KR100678161B1 -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8161B1 KR100678161B1 KR1019990024013A KR19990024013A KR100678161B1 KR 100678161 B1 KR100678161 B1 KR 100678161B1 KR 1019990024013 A KR1019990024013 A KR 1019990024013A KR 19990024013 A KR19990024013 A KR 19990024013A KR 100678161 B1 KR100678161 B1 KR 100678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terminal
- charger
- mounting groove
- housing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된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평면 모양의 전면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전면부에는 무선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한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대향된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하여 충전기에 거치되는 무선 단말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거치홈의 상단에는 하우징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화상을 감지하는 화상 입력부 및; 상기 화상 입력부에 입력된 화상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received image information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and a charger o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is mounted,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flat front surface; A mounting groove recessed inward to allow the wireless terminal to be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pposite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wireless terminal mounted on the charger; An image input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image of a user located at a front of the housing at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input unit to the wireless terminal.
무선 단말기, 충전기, 화상 통신Wireless terminal, charger, video communic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에 무선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less terminal is mounted on a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충전기 110 : 하우징100: charger 110: housing
120 : 거치홈 130 : 가이드 돌기120: mounting groove 130: guide projection
140 : 미러 150 : 화상 입력부140: mirror 150: image input unit
200 : 무선 단말기 210 : 본체200: wireless terminal 210: main body
220 : 폴더 222 : 가이드 홈220: Folder 222: Guide Home
224 : 디스플레이부224: display uni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 단말기의 충전 및 화상 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for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that enables charging and image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via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무선 단말기 등 이동 통신 기기의 발달은 원격지에 위치한 통화자 상호간의 음성 및 문자 정보 교환 뿐만 아니라, 통화자의 화상 정보까지도 교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wireless terminals enables not only the exchange of voice and text information between callers located at remote sites, but also the caller's image information.
이와 같은 화상 정보의 교환은 무선 단말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대형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능한 것이며, 그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 필수적인 충전기를 화상 통신에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Such exchange of image information is possible as the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can be enlarged, and accordingly, a technology development is attempted to utilize a charger essential for the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의 충전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을 보조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meet the above demand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video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terminal while maintaining a charg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된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평면 모양의 전면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전면부에는 무선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한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대향된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하여 충전기에 거치되는 무선 단말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거치홈의 상단에는 하우징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화상을 감지하는 화상 입력부 및; 상기 화상 입력부에 입력된 화상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received image information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and a charger equipp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front surface having a flat shape; A mounting groove recessed inward to allow the wireless terminal to be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pposite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wireless terminal mounted on the charger; An image input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image of a user located at a front of the housing at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input unit to the wireless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수신된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화상 통신용 충전기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received image informatio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ans, and a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is mou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에 무선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ireless terminal is mounted on a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충전기(100)는 하우징(110), 거치홈(120), 가이드 돌기(130) 및 화상 입력부(카메라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는 미도시)로 구성되고, 실시예에 따라 미러(140) 및 상태 표시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기(100) 내부에는 충전 회로, 화상 입력 회로, 상태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구동 회로 및 근거리 통신 회로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하우징(110)은 평면 모양의 전면부(110a)와, 상기 전면부를 둘러싸므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는 후면부(110b)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전면부(110a)의 모양은 응용예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에는 네 변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룬 사각형 모양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면부(110a)는 무선 단말기가 충전기에 거치되었을 때,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관찰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단이 후방으로 젖혀진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전면부(110a)의 하단 양쪽에는 각각 다수개의 충전기 스피커홀(11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후면부(110b)는 측면에서 보아 하단이 길고 상단이 짧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짐으로써, 하우징(11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The shape of the
상기 거치홈(120)은 전면부(110a) 중앙에 형성한다. 상기 거치홈(120)은 무선 단말기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구간을 구비하며,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단은 개구된 포탄 모양의 거치홈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거치홈(120)은 바닥이 편평한 상단부(120a)와, 상기 상단부에서 단차져 바닥이 아아치형을 이루는 하단부(120b)로 나뉘어진다. The
상기 거치홈(120)의 상단부(120a)에는 충전기 내부의 충전 회로와 연결된 다수 개의 충전 단자(122)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충전 단자(122)는 충전기에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었을 때 무선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충전 단자와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 상기 상단부(120a)의 A 부분에는 무선 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부(ex. 커넥터 혹은 커넥터홀)를 설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가이드 돌기(130)는 거치홈(120)의 대향된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하며, 충전기(100)의 거치홈(120)에 거치되는 무선 단말기의 폴더 양측면(가이드 홈이 형성됨)을 지지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가이드 돌기(130)는 중앙이 볼록한 봉우리 모양을 가진다.The
상기 화상 입력부는 거치홈 상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화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렌즈(150)와,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된 화상 신호를 촬상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관과, 상기 촬상관에서 촬상된 신호를 샘플링 및 이득제어한 후 디지털신호로 변환출력하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인코딩처리하여 출력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구비한다. The image input unit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groove, the
또한, 상기 화상 입력부는 상기 DSP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DCT 변환, 양자화, VLC(Variable Length Code)처리하여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부와, 상기 데이터 압축부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전송전까지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 입력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The image input unit may include a data compression unit configured to sequentially compress data input from the DSP by DCT conversion, quantization, and variable length code (VLC) processing, 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data compressed by the data compression unit until transmission. Equipped.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input unit may va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화상 입력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는 충전기 내부의 근거리 통신 회로를 통해 거치된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로 송신되고, 데이터를 수신받은 무선 단말기는 다시 상대방 무선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충전기의 화상 입력부로부터 무선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은 커넥터(도 1의 A 부분에 설치)를 통 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서는 이미 공지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compressed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image input unit is transmitted to the antenna of the wireless terminal mount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ircuit inside the charger, and th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the data transmits the data to the other wireless terminal again. Data transmission from the image input unit of the charger to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made through a connector (installed in part A of FIG. 1). For reference, a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circuit, an already know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Bluetooth,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미러(140)는 하우징(110)의 전면부(110a)에 부착하는 판 모양의 반사체이다. 상기 미러(140)는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일부러 거울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 단말기 및 충전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자신의 용모를 단정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The
상기 상태 표시부(160)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 정도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 램프(162)와, 메시지 혹은 화상 정보의 수신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 표시 램프(162)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무선 단말기(200)는 크게 본체(210)와 폴더(220)로 구성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foldable
상기 본체(21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다이얼 신호 혹은 기능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키버튼(214)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폰(216)을 가진다. 상기 본체(210)는 상측단에 힌지 모듈을 내장한 힌지부(212)를 구비한다.The
상기 폴더(220)는 접철 가능하도록 본체(210)의 힌지부(212)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가이드 홈(222)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 홈(222)의 하단(222a)은 경사진 형태로 개구되고, 상기 가이드 홈(222)의 상단(222b)은 단차진 형태로 막힌다. 이와 같은 가이드 홈(222)의 형상은 무선 단말기(200)가 충전기(100)의 거치홈(120)에 거치될 때, 상기 거치홈(120)의 가이드 돌기(130)가 가이드 홈(222)에 삽입되어 무 선 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폴더(220)의 전면에는 안테나(228)를 통해 수신된 통화 상대방의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2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폴더(220)는 안테나(228)를 통해 수신된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가지며, 상기 폴더(22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피커홀(2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폴더(220)의 배면에는 무선 단말기의 내부 충전 회로와 연결된 충전 단자(미도시)를 설치한다.The front of the
도 2 및 도 3에는 폴더형(Folder Type) 무선 단말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서는 바형(Bar Type) 또는 플립형(Flip Type) 무선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바형 또는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본체 양측면에도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무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홈을 형성함으로써, 무선 단말기를 충전기의 거치홈에 거치시켰을 때 거치홈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무선 단말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2 and 3, only a folder type wireless terminal is shown. However, according to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bar type or a flip type wireless terminal. That is, by forming guide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of the bar-type or flip-type wireless terminal, similarly to the folding typ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rotrusion of the mounting groove is mounted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of the charger. I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wireless terminal.
이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100)에 무선 단말기(200)를 거치하는 과정과, 상기 충전기(100)에 무선 단말기(200)가 거치된 후 화상 통신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Subsequently, the process of mounting the
충전기(100)에 무선 단말기(200)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를 하우징(110)의 거치홈(120)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어, 상기 폴더(2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222)에 거치홈(120)의 가이드 돌기(130)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무선 단말기(200)를 하향으로 밀어 내린다. In order to mount the
그러면, 상기 거치홈(120)의 가이드 돌기(130)가 폴더(220)의 가이드 홈(222) 상단(222b)에 걸리면서, 상기 무선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하우징(110)의 거치홈(120) 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폴더(220) 배면에 설치된 충전 단자(미도시)와 충전기(100)의 거치홈(120)에 돌출되어 있는 충전 단자(122)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충전기(100)로부터 무선 단말기(200)로 충전 전압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n, while the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100)에 무선 단말기(200)를 거치한 상태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 사용자(이하, `통화 상대방`이라 함)와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perform video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terminal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l counterpart) located at a long distance while the
즉, 사용자는 충전기(100)에 거치된 무선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4)를 통해 통화 상대방의 화상을 볼 수 있고, 충전기(100)의 거치홈(120)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150)를 통해 본인의 화상을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음성은 무선 단말기(200)의 마이크로폰(216)을 통해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통화 상대방의 음성은 무선 단말기(200)의 단말기 스피커홀(226) 및 충전기(100)의 충전기 스피커홀(112)을 통해 전해 듣게 된다.That is, the user can view the im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는 충전이라는 기본 기능 이외에도 화상의 입력 및 전송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무선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원격지의 통화 상대방과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inputting and transmitting image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charg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video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all party while the wireless terminal is stationary. It can be effectiv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4013A KR100678161B1 (en) | 1999-06-24 | 1999-06-24 |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wireless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4013A KR100678161B1 (en) | 1999-06-24 | 1999-06-24 |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wireless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3648A KR20010003648A (en) | 2001-01-15 |
KR100678161B1 true KR100678161B1 (en) | 2007-02-01 |
Family
ID=1959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40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8161B1 (en) | 1999-06-24 | 1999-06-24 |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wireless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81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7066B1 (en) * | 2001-06-09 | 2003-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Video phone for using display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the personal digital assitant therefor |
KR20030044550A (en) * | 2001-11-30 | 2003-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image calling apparatus using a mobile phone and charger |
KR20040005427A (en) * | 2002-07-10 | 2004-01-16 | 주식회사 프리눅스 | charging equipment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Internet connect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9066U (en) * | 1998-03-05 | 1998-07-06 | 김학선 | Amplifier for mobile phone. |
KR19990003372U (en) * | 1997-06-30 | 1999-01-25 | 유기범 | Camera-Combination Structure for Video Call of Notebook Computer |
KR19990014414A (en) * | 1998-11-06 | 1999-02-25 | 변석재 | Handfree Device of Desktop Cell Phone Charger |
JPH11136174A (en) * | 1997-10-29 | 1999-05-21 | Kyocera Corp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i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
-
1999
- 1999-06-24 KR KR1019990024013A patent/KR1006781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3372U (en) * | 1997-06-30 | 1999-01-25 | 유기범 | Camera-Combination Structure for Video Call of Notebook Computer |
JPH11136174A (en) * | 1997-10-29 | 1999-05-21 | Kyocera Corp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i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
KR19980019066U (en) * | 1998-03-05 | 1998-07-06 | 김학선 | Amplifier for mobile phone. |
KR19990014414A (en) * | 1998-11-06 | 1999-02-25 | 변석재 | Handfree Device of Desktop Cell Phone Char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3648A (en) | 2001-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46026B2 (en) |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 |
US6219560B1 (en) | Mod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EP2066126A2 (en) |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 |
KR100703317B1 (en) | Antenna device of mobile terminal | |
JP2004191820A (en) | Mobile phone terminal with camera | |
KR100663470B1 (en) |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a shoo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461769B1 (en) | Stylus with exterior-type camera lens module and portable telephone therewith | |
KR100575746B1 (en) | Clamshell terminal | |
KR100800767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removable auxiliary housing and its locking device | |
KR100678161B1 (en) |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wireless terminal | |
KR100312546B1 (en) | Folder-type cellular phone in which cover including display at its external surface is glidingly opened and closed | |
KR100548623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 |
JP2000106594A (en) | Portable telephone device | |
JPH03263957A (en) | mobile phone | |
JP3500563B2 (en) | Power warning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adapter | |
KR10069832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H11136655A (en) | Adapter for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handset | |
KR100298355B1 (en) | Hinge mechanism for flip-type portable telephone | |
KR100417827B1 (en) | Portable Image Telephone of removable type of camera | |
KR20060068244A (en)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ternal insertable battery including a push-type locking device | |
KR100513066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able to regulate focal distance | |
KR20030061980A (en) | Digital camera | |
KR100689529B1 (en) | Camera lens assembly in portable terminal | |
KR20060126172A (en) | Speaker for camera with built-in camera | |
KR20090003573U (en) |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6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