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791B1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foc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foc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1791B1 KR100741791B1 KR1020050055237A KR20050055237A KR100741791B1 KR 100741791 B1 KR100741791 B1 KR 100741791B1 KR 1020050055237 A KR1020050055237 A KR 1020050055237A KR 20050055237 A KR20050055237 A KR 20050055237A KR 100741791 B1 KR100741791 B1 KR 100741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ue
- focus
- lens
- current frame
- maxim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로 촬영된 영상 신호를 필터링 하기 위한 라플라시안 필터 및 대역 필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렌즈의 초점을 자동 조정하기 위해, 상기 라플라시안 필터로부터 출력된 제1 초점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극대값을 검출하고, 상기 대역 필터로부터 출력된 제2 초점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해당하는 상기 렌즈의 최대 위치값을 결정하고, 상기 극대값 및 최대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극대값을 찾을 수 있고, 자동으로 최적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Laplacian filter and a band pass filter for filtering an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a lens, by using a first focus value output from the Laplacian filter to automatically adjust the focus of the lens. Detec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position of the current frame, using the second focus value output from the band pass filter to determine the maximum position value of the len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frame, and using the maximum value and the maximum position value By includ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focus of the feature, it is possible to find the maximum value faste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optimal focus.
Description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렌즈 구동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a lens driving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필터의 출력인 위치값을 도시한 그래프,3 is a graph showing a position value that is an output of an image filt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의 초점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렌즈 구동부의 극대값 검출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aximum value detector of a lens drive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focus of a lens of a digital camer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의 초점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렌즈 구동부의 결정기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eterminer of a lens drive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focus of a lens of a digital camer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10 : 렌즈 120 : 화상 처리부110: lens 120: image processing unit
130 : 렌즈 구동부 131 : 고역 필터(HPF)130: lens drive unit 131: high pass filter (HPF)
132 : 라플라시안 필터 133 : 고역 필터(BPF)132: Laplacian filter 133: high pass filter (BPF)
134 : 극대값 검출기 135 : 결정기134: maximum value detector 135: the determiner
136 : 렌즈 조정기 140 : 센서136: lens adjuster 140: sensor
150 : 제어부 160 : 저장부150: control unit 160: storage unit
170 : 표시부 180 : 무선 처리부170: display unit 180: wireless processing unit
190 : 음성 처리부 190: voice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gital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focus of a digital camera lens.
이동 통신 기술은 음성 서비스 위주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발전하고 있다.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evol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cused on voice servic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a multimedia service with various functions.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방송 및 영상 메일 서비스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음악 및 사진 촬영등을 할 수 있도록 이동 통신 단말기에 MP3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부가적인 장치 등이 장착되고 있다. Rec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the Internet, broadcasting and video mail services, and additional devices such as MP3 and digital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music and photographs can be taken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의 거리나 움직임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를 조정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apturing an image using a digital camera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mag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s of the digital camera according to the distance or movement of the subject.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렌즈의 초점을 조정하기 위해 글러벌 최대값(global maximum)을 판단하기 위해 임계값(threshold)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설계에서 고려하지 못한 주파수를 갖는 대상(object)에 대해서는 상기 설계한 임계값이 잘 적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초점을 자동적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조정하기 어려웠다. In general, thresholds are used to determine a global maximum for adjusting the focus of a lens in a digital camer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designed threshold is not applied to an object having a frequency not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focus automatically and quickly.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렌즈의 초점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of a le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gital camer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렌즈로 촬영된 영상 신호를 필터링 하기 위한 라플라시안 필터 및 대역 필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렌즈의 초점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라플라시안 필터로부터 출력된 제1 초점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극대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대역 필터로부터 출력된 제2 초점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해당하는 상기 렌즈의 최대 위치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극대값 및 최대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of the le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aplacian filter and a band pass filter for filtering the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the lens. Detecting a maximum value of a position of a current frame using a first focus value output from the Laplacian filter, and a maximum position of the len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frame using a second focus value output from the band pass filter. Determining a value, and adjusting a focus of the lens by using the maximum value and the maximum position value.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렌즈 초점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렌즈로부터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고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고역 필터와, 상기 고역 필터링된 영상 신호에서 가장자리를 미세하게 필터링하는 라 플라시안 필터와,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에서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 필터와, 상기 라플라시안 필터로부터 출력된 제1 초점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극대값을 검출하는 극대값 검출기와, 상기 대역 필터로부터 출력된 제2 초점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해당하는 상기 렌즈의 최대 위치값을 결정하는 결정기와, 상기 극대값 및 최대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정하는 렌즈 조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s focu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 video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lens to remove the low-frequency components to perform high pass filtering A high pass filter to perform, a La Placian filter to finely filter edges in the high pass filtered image signal, a band filter to perform band pass filtering on the received video signal, and a first focus output from the Laplacian filter A maximum value detector for detecting a maximum valu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current frame using a value, a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maximum position value of the len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frame using a second focus value output from the band pass filter, and the maximum value And a lens adjuster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lens using the maximum position value. Also by 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를 최적의 초점으로 맞추기 위한 자동 초점 조정(Automatic Focusing 이하, AF라 칭함)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이러한 AF 알고리즘은 초점값(focus value : FV)이 가장 큰 값을 찾아서 초점을 맞추며, 일반적인 AF 알고리즘처럼 라플라시안 필터를 사용하고, 지역 극대값(local maxima)을 판단하기 위해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이용한다. 또한, 극대값을 찾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퀵 소트(Quick Sort)방법을 변용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an automatic focusing algorith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F) for applying the lens of the digital camera to an optimal focus is applied. This AF algorithm finds and focuses on the largest focus value (FV), uses the Laplacian filter like a normal AF algorithm, and uses a band pass filter to determine local maxima. Use We also use the Quick Sort method to speed up finding local maxim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110)와,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부(120)와, 상기 렌즈 조립체(110)의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 구동부(130)와, 상기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서(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50)와, 상기 변환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160)와, 상기 변환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70)와, 상기 영상을 무선 처리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무선 처리부(180)와, 음성 처리부(190)가 더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화상 처리부(110)는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빨강(Red), 녹색(Green), 파란색(Blue)의 밝기와 컬러 값을 영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변환된 영상 신호를 압축/복원하한다. The
상기 렌즈 구동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렌즈(110)의 초점 조정을 위해 영상 필터를 사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조정한다. The
상기 센서(140)는 피사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250)로 감지된 값을 전송한다. The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화상 처리부(120)로부터 변환되어 수신된 영상 신호 즉, 이미지 데이타를 렌즈 구동부(130)로 전송하여 상기 렌즈(110)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he
이와 같은 구조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렌즈(110)의 초점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상기 렌즈 구동부(130)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ructure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렌즈 구동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structure of a lens dri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구동부(130)는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 즉, 이미지 데이터(I(p(i)))를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있는 저주파 정보를 제거하는 고역 필터(High Pass Filter : HPF)(131)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고주파 성분 방사를 약화시켜 필요한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Band Pass Filter : BPF)(13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그리고 상기 렌즈 구동부(130)는 상기 고역 필터(131)와 연결된 라플라시안 필터(132)와, 상기 대역 필터(133)와 상기 라플라시안(Laplacian) 필터(132)와 연결된 렌즈 위치 조정부를 포함한다. The
상기 라플라시안 필터(132)는 가장자리 찾기 필터로서 영상의 가장자리를 미세하게 찾는다. The Laplacian
상기 렌즈 위치 조정부는 상기 라플라시안 필터(132)로부터 수신되는 제1 초점값(FV1(p(i)))에서 극대값(Maxima)을 검출하는 극대값 검출기(Maxima Searcher)(134)와, 상기 대역 필터(132)로부터 제2 초점값(FV2(p(i)))을 수신하여 최대 위치값(pmax)을 갖는 초점 렌즈 위치를 결정하는 결정기(Decision)(135)와, 다음 블록으로 초점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조정기(Positioning)(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초점값(FV)들은 렌즈의 OTF(Optical Transfer Function)과 대상(object)의 주파수에 의존한다. The lens posit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maximum value detector (134) for detecting a maximum value at a first focus value FV 1 (p (i)) received from the Laplacian
상기 극대값 검출기(134)는 렌즈 조정기(136)로 다음 블록 위치 값(P(i+1))을 전송하고, 인에이블(enable) 상태인 경우 최대 위치값(pmax)으로 결정하도록 현재 위치값(p(i))을 결정기(135)로 전송한다. 상기 극대값 검출기(134)는 극대값을 찾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변용된 퀵 소트(Quick Sort)방식을 적용한다. The
상기 결정기(135)는 대역 필터(133)로부터 출력된 제2 초점값(FV1(p(i)))을 이용하여 최대 위치값을 찾으며, 상기 극대값 검출기(134)에서 찾은 극대값이 글러벌 최대값(global maximum)인지를 판단한다. Th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of a digital camera le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필터의 출력인 초점값(FV)의 일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3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ocus value FV which is an output of an image filt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10)가 움직이는 범위를 총 위치 범위(total position range)라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총 위치 범위를 n개의 부분 블록(partial block)으로 나누어 적용한다. 이러한 부분 블록의 적용은 복잡성(complexity)을 줄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moving range of the
그러면 디지털 카메라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of the digital camera lens will be described. Firs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상기 센서(140)에서 촬영할 피사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알려주면, 제어부(150)는 렌즈 구동부(130)로 렌즈(110)의 초점을 조정하도록 명령한다. 이에 따라 렌즈 구동부(130)는 렌즈(1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최적의 초점을 맞춘다. 그러면 화상 처리부(120)는 렌즈(110)로부터 쵤영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변환된 영상 신호를 압축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수신된 영상 신호 즉,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부(160)로 전송하여 저장시키고, 표시부(170)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When the
한편,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측에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압축된 영상 신호를 무선 처리부(18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 처리부(180)는 상기 영상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등의 무선 처리를 수행한 후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Meanwhile, when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receiving side, the
다음으로 상기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렌즈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will be described.
렌즈 구동부(130)는 현재 프레임의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I(p(i)))를 고역 필터(131)와 라플라시안 필터(132)를 통해 필터링한 후 제1 초점값(FV1(p(i)))을 렌즈 위치 조정을 위해 극대값 검출기(134)로 출력한다. The
그러면 극대값 검출기(134)는 상기 제1 초점값(FV1(p(i)))을 수신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T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의 초점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렌즈 구동부의 극대값 검출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 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aximum detector of a lens drive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focus of a lens of a digital camer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렌즈 구동부(130)의 극대값 검출기(134)는 라플라시안 필터(132)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제1 초점값을 수신한다. 210단계에서 극대값 검출기(134)는 상기 수신된 현재 프레임의 제1 초점값이 이전 프레임의 제1 초점값보다 큰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제1 초점값이 크지 않으면, 215단계에서 극대값 검출기(134)는 현재 프레임의 초점 렌즈 위치값(p(i))과, 이전 프레임의 초점 렌즈의 위치값(p(i+1))을 교환한다. Referring to FIG. 4, in
반면, 220단계에서 극대값 검출기(134)는 현재 프레임의 위치값(p(i))과 이전 프레임의 위치값(p(i-1)) 사이의 타겟 범위를 한정한다. In contrast, in
230단계에서 현재 프레임의 위치값(p(i))에서 이전 프레임의 위치값(p(i))을 뺀 절대값이 렌즈가 움직이는 최소 단위(Minimum moving unit) 즉, 최소값(mumin)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기 절대값이 최소값보다 크면 235단계에서 극대값 검출기(134)는 다음 렌즈 위치를 셋팅한다. 여기서 다음 렌즈 위치는 p(i+1)=p(i)+p(i-1)/2로 계산한다. 그러면 236단계에서 셋팅된 다음 위치값(p(i+1))을 렌즈 조정기(136)로 출력한다. In
반면, 240단계에서 확인한 결과가 최소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240단계에서 극대값 검출기(134)는 극대값을 검출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ult confirmed in
250단계에서 극대값 검출기(134)는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인에이블 상태인 경우 상기 극대값을 결정기(135)로 전송한다. In operation 250, the
또한, 렌즈 구동부(130)는 이미지 데이터(I(p(i)))를 대역 필터(133)를 통해 필터링 한 후 제2 초점값(FV2(p(i)))을 결정기(135)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그러면 상기 제2 초점값을 수신한 결정기(135)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의 초점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렌즈 구동부의 결정기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eterminer of a lens drive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focus of a lens of a digital camer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0단계에서 결정기(135)는 제2 초점값을 수신한 후 310단계에서 제1 절대값(mi-1)값에서 제2 절대값(mi)을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δ)을 비교한다. 만약, 상기 뺀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음 블록으로 타겟 범위를 이동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여기서 mi-1는 현재 프레임의 제2 초점값(FV2(p(i)))에서 이전 프레임의 제2 초점값(FV2(p(i-1)))을 뺀 값의 절대값이며, mi는 현재 프레임의 제2 초점값(FV2(p(i)))에서 전전 프레임의 제2 초점값(FV2(p(i-2)))을 뺀 값의 절대값이다. In
반면, 상기 뺀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320단계에서 결정기(135)는 현재 프레임의 위치값(p(i))을 최대 초점을 갖는 초점 렌즈의 위치값인 최대 위치값(pmax)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지역 극대값(local maxima)을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ubtracted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th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라플라시안 필터뿐만 아니라 대역필터를 이용하여 극대값을 찾고, 퀵 소트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극대값을 찾음으로써 최적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ffect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optimal focus by finding the maximum value by using not only the Laplacian filter but also the bandpass fil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and faster by using the quick sort. There is.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5237A KR100741791B1 (en) | 2005-06-24 | 2005-06-24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foc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5237A KR100741791B1 (en) | 2005-06-24 | 2005-06-24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foc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5343A KR20060135343A (en) | 2006-12-29 |
KR100741791B1 true KR100741791B1 (en) | 2007-07-25 |
Family
ID=3781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52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1791B1 (en) | 2005-06-24 | 2005-06-24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foc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17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79875A1 (en) * | 2016-10-27 | 2018-05-03 |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 Image stabilization control device for imag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34661A (en) * | 2015-09-15 | 2017-03-22 |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 Automatic focus algorithm accumulated based on strongest edge gradient Laplasse opera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0457A (en) * | 2003-05-23 | 2004-12-02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able to regulate focal distance |
-
2005
- 2005-06-24 KR KR1020050055237A patent/KR1007417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0457A (en) * | 2003-05-23 | 2004-12-02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able to regulate focal distanc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4-100457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79875A1 (en) * | 2016-10-27 | 2018-05-03 |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 Image stabilization control device for imaging device |
US10887517B2 (en) | 2016-10-27 | 2021-01-05 | Dongwoon Anatech Co., Ltd. | Image stabilization control device for imag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5343A (en) | 2006-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6482B1 (en) | Image sensing apparatus, image sen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photographing method | |
US9426352B2 (en) |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focus control apparatus | |
US9800772B2 (en) | Focus adjustment device and focus adjustment method that detects spatial frequency of a captured image | |
JP4824586B2 (en) | Imaging device | |
US20170004603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 |
EP1404134B1 (en) | Camera-integrated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5493493B (en) | Photographic device, image capture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JP2008164839A (en) | Imaging apparatus and focusing method | |
CN106506946B (en) | A camera automatic focusing method and camera | |
JP2017063245A (en) | Imaging device | |
KR10074179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foc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8897462B2 (en) | Audio processing apparatus, sound pickup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 |
JP2012134745A (en) |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 |
JP6729574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US7633529B2 (en) |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chromatic and monochromatic modes of an imaging apparatus | |
JP2010183461A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10012394A (en) | Imaging Device and Method Using Auto Focus Assist Light | |
KR100558522B1 (en) | Camera driving clock variable device and method | |
JP2018189666A (en) |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 |
JP2010169825A (en) | Imaging device | |
JP2009077259A (en) | Imaging apparatus | |
KR20100068717A (en) | Autofocus method and apparatus of the digital imaging device | |
JPWO2020059424A1 (en) | Imaging device and focus control method | |
JP2018189853A (en) |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 |
JPH06205266A (en) | Automatic focus det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