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8174B1 - 컨트롤 센터 - Google Patents

컨트롤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174B1
KR100548174B1 KR1020037008687A KR20037008687A KR100548174B1 KR 100548174 B1 KR100548174 B1 KR 100548174B1 KR 1020037008687 A KR1020037008687 A KR 1020037008687A KR 20037008687 A KR20037008687 A KR 20037008687A KR 100548174 B1 KR100548174 B1 KR 10054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ain circuit
control unit
connector
circuit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703A (ko
Inventor
하야시가즈후미
아키야마유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57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ch Board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컨트롤 센터는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어유닛을 다단다열 정렬해서 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소유하고, 유닛실의 후부에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서 제어유닛은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하는 전자 개폐기와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커넥터와,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는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에 조작핸들, 차단장치, 전자 개폐기, 주회로 커넥터를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하고, 제어회로 커넥터를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컨트롤 센터, 제어유닛, 전원 분배기, 모선실, 배선실.

Description

컨트롤 센터{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전력용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모터의 기동제어보호 등을 실시하는 배전반으로서의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제어유닛을 수납하는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컨트롤 센터는 전력용 플랜트 등에 사용되고 모터나 조명 등의 설비기기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되고, 각 설비기기에 전력을 배전하는 동시에 설비기기의 제어를 하는 것이다. 이 컨트롤 센터내에는 일반적으로 각 설비기기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되는 제어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유닛은 상술한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브레이커 또는 퓨즈스위치 또 릴레이 스위치 등이 내장되고, 유닛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닛은 모선으로부터의 전력을 설비기기에 배전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수동조작에 따라 이 배전을 컨트롤한다. 또 제어유닛은 브레이커 또는 퓨즈에 의해 사고전류로부터 설비기기를 보호한다.
유닛단위로 구성된 제어유닛을 갖는 컨트롤 센터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58-3390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컨트롤 센터에서는, 각 제어유닛이 반을 향해 좌우방향으로 폭이 넓다. 이 때문에 컨트롤 센터가 대단히 대형이다.
이에 대해, 근년 컨트롤 센터의 소형 집약화를 도모하기 위해 하나의 컨트롤 센터에 많은 제어유닛을 고밀도로 실장하는 것이 구해져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고밀도 실장을 적절히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는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소유하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수의 제어유닛을 다단다열 정렬해서 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소유하고 유닛실의 후부에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서, 제어유닛은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하는 전자 개폐기와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커넥터와,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는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에 조작핸들, 차단장치, 전자 개폐기, 주회로 커넥터를 순서대로 나열해서 배치하고, 제어회로 커넥터를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해서 배치하고 있다.
또,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 제어회로 커넥터는 제어유닛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외부 회로에 접속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차단장치는 퓨즈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또 차단장치는 노퓨즈 브레이커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 - Ⅲ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요부 도면.
도 6은 하나의 제어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어유닛을 배후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컨트롤 센터로부터 제어유닛을 모두 제거하고 또 배선실의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제어유닛을 제거한 하나의 유닛실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유닛실을 형성하는 상판의 사시도.
도 11은 상판의 상면도.
도 12는 유닛실을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의 사시도.
도 13은 칸막이판의 정면도.
도 14는 칸막이판의 측면도.
도 15는 제어유닛과 전원 분배기가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전원 분배기의 사시도.
도 17은 컨트롤 센터 내부의 제어유닛의 측면부분을 일부 확대해서 표시하는 요부 사시도.
도 18은 전원 분배기와 수직 분기모선과의 접속의 모양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반내의 주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0은 전원 분배기의 상면도.
도 21은 전원 분배기의 우측면도.
도 22는 전원 분배기의 구성부품을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3은 전원 분배기의 내부를 상세하게 표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전원 분배기의 내부의 분기도체의 배분의 모습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25는 도 24의 XXV - XXV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26은 분기도체 및 분배도체의 구조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7은 하나의 제어유닛을 시험위치로 끌어낸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28은 제어유닛이 접속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 - XXVIII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29는 제어유닛이 시험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I - XXVIIII선 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개략 구형 상자상태의 컨트롤 센터(배전반)(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제어유닛(3)이 종횡으로 바둑판상태로 규칙 정연하게 배열되어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컨트롤 센터(1)에서는 수평방향으로 4열, 세로방향으로 10단, 전체로 40개의 제어유닛(3)이 수납되어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 - Ⅲ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해서 표시한 요부도이다. 도 3에서 도 5에서, 수평방향으로 4개 나란히 한 제어유닛(3)의 배면측에 개략 박폭의 상자상의 전원 분배기(4)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각 단에 병설된 4개의 제어유닛(3)에 대해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원 분배기(4)는 제어유닛(3)의 1단에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후에 진술하는 바와 같이 이 4개의 제어유닛(3)에 전력을 분배하는 작용을 한다.
전원 분배기(4)에는 후에 상세하게 진술하는 흡기구(4a) 및 배기구(4b),(4c)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의 또 이면에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모선실 (5)이 형성되어 있다. 모선실(5) 내에는 전원 분배기(4)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직 분기모선(모선)(16)이 상하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수직 분기모선(16)은 외부로부터 컨트롤 센터(1)의 내부에 3상 4극의 전력을 공급한다.
수직 분기모선(16)은, 3상 및 중성상의 4개의 도체로 되고 3개의 도체는 단면 L자형을 이루고 하나의 도체는 단면 I자형을 이루고 있다. 모선실(5)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제어유닛(3) 및 전원 분배기(4)의 측방에는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배선실(6)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실(6)에는 제어유닛(3)에서 외부의 설비기기로 뻗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이 수납되어 있다. 배선실(6)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하나의 제어유닛(3)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어유닛(3)을 배후에서 본 사시도이다. 하나의 제어유닛(3)은 컨트롤 센터(1)의 안쪽방향으로 기다란 개략 직방체를 이루고 있다. 제어유닛(3)은 전면을 덮는 전면판(31), 저면 및 한쪽의 측면을 덮는 유닛 베이스(32) 및 이면을 덮는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 (38),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를 가지고 있다. 유닛 베이스(32)는 상부의 한쪽에 형성된 세판부(32a)와 한쪽의 측면을 전면에 걸쳐 덮는 측면부(32b)를 가지고 있다. 제어유닛(3)의 상면 및 유닛 베이스(32)와 반대측의 측면은 밀폐되어 있지 않고 크게 개구되어 있다. 이는 제어유닛(3)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다.
제어유닛(3)은 외부의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내부에 여러가지의 기기를 탑재하고 있다. 즉 우선 전부에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 (34)를 탑재하고 있다. 또, 전자 개폐기(35)는 상세하게는 전자 접촉기(35a)와 서멀 릴레이(35b)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닛(3)의 전면에는 차단장치(34)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조작핸들(3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핸들(33)은 전면판(31)을 관통해서 차단장치(34)와 접촉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회전시킴으로서 차단장치(34)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한편, 제어유닛(3)의 후부에는 우선 상측에 설치된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 (38)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전원그립)(36)과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부하그립((37)이 상하방향으로 평행되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하측에 설치된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에는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컨트롤 센터(1)로부터 제어유닛(3)을 모두 제거하고, 또 배선실(6)의 도어를 제어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어유닛(3)을 제거한 하나의 유닛실(2)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컨트롤 센터(1)에는 상판(1a)으로 구분된 다수의 유닛실(2)이 상하방향으로 다수단 형성되어 있다.
각 단에 설치된 유닛실(2)은 후에 진술하는 칸막이판으로 갈라져 제어유닛 (3)을 각각 4개 수납하는 방을 형성한다.
도 10은 유닛실(2)을 형성하는 상판(1a)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판(1a)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유닛실(2)을 막는 칸막이판(1b)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칸 막이판(1b)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칸막이판(1b)의 측면도이다. 상판(1a)에는 안쪽으로 뻗는 4조의 슬릿(1a1)이 천공되어 있다. 칸막이판(1b)은 이 슬릿(1a1)에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 (1b1)를 끼워서 설치된다.
칸막이판(1b)은 각 단의 상판(1a)에 각각 4개가 설치되고 각 단의 유닛실(2)을 4개의 방으로 칸막이된다. 칸막이판(1b)은 개략 단면
Figure 112003023031174-pct00001
(감마)상을 이루고, 측면판(1b2)과 측면판(1b2)의 상부로부터 수평으로 구부려서 되는 수평부(1b3)와, 수평부(1b3)로부터 다시 하방으로 구부려진 폭이 좁은 가이드부(1b4)를 갖는다.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개략 직방체의 제어유닛(3)은 칸막이판(1b)으로 칸막이 된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개략 직방체의 공간에 수납된다. 그리고 전면 개구부방향으로 서랍과 같이 끌어당겨지는 구조가 되어 있다. 상술한 가이드부(1b4)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유닛(3)을 출입시킬 때에 가이드의 작용을 한다.
도 15는 제어유닛(3)과 전원 분배기(4)가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전원 분배기(4)에는 4개의 제어유닛(3)이 접속 가능하나, 도 15에서는 알기 쉽게 양단에 각각 1개의 제어유닛(3)이 접속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접속된 다수의 제어유닛(3)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 분배기(4)는 가로방향으로 병설된 4개의 제어유닛(3)에 대해 1개가 설치되고 두께가 얇은 직방체상의 광체를 가지고 있고 대응하는 4개의 제어유닛(3)의 이면을 폭이 넓은 면으로 덮도록 제어유닛(3)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각 단의 유닛실 (2)의 뒤에 1개가 설치되어 있고, 즉 상하방향으로 여러개가 나란히 해서 설치되어 있고 전체로 바둑판상태로 배열된 제어유닛(3)군의 이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나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원 분배기(4)군의 뒤에 모선실(5)이 설치되어 있다. 모선실(5)은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에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모선실(5)내에는 전원 분배기(4)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직 분기모선(16)이 수납되어 있다.
도 16은 전원 분배기(4)의 사시도이다. 도 1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원 분배기(4)의 전면, 즉 제어유닛(3)속에는 제어유닛(3)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슬릿상의 흡기구(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이면, 즉 모선실(5)측에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배출하는 슬릿상의 배기구(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공간이 비어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군의 뒤에 설치된 모선실(5)에는 상하방향으로 뻗는 통풍공간이 비어 있다. 또 모선실(5)의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4) 및 모선실(5)을 경유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모선실(5)은 전원 분배기(4)를 통해서 이동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실의 작용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1)에서는 유닛실(2)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제어유닛(3)에서 덥혀지고 전원 분배기(4) 및 배기실로서의 모선실(5)을 통해서 외부로 흐른다. 즉, 전원 분배기(4)를 열기를 빼앗기지 않고 통풍로로서 활용할 수 있가 있다. 이런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컨트롤 센터(1)는 많은 제 어유닛(3)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가 있고 또 특별한 통풍구조를 설치하지 않고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도 17은 컨트롤 센터(1) 내부의 제어유닛(3)의 측면부분을 일부 확대해서 표시하는 요부 사시도이다. 제어유닛(3)군 및 전원 분배기(4)군의 측면측에 배선실 (6)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실(6)은 제어유닛(3)과 외부의 설비기기를 연결하는 배선을 수납하고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 전장에 걸쳐 형성된 공간이다.
배선실(6)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유통시키는데 충분한 통풍공간이 비어 있다.
전원 분배기(4)의 전면, 즉 제어유닛(3)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 (3)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슬릿상의 흡기구(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측면, 즉 배선실(6)측은 전면에 걸쳐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4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배선실(6)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공간이 비어 있다. 이 통풍공간은 컨트롤 센터(1)이 상하방향으로 뻗고, 배선실 (6)의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4) 및 배선실(6)을 경유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배선실(6)은 전원 분배기(4)를 통해서 이동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실의 작용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에서는 유닛실(2)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어유닛(3)에서 데워지고, 전원 분배기(4) 및 배기실로서의 배선실(6)을 통해서 외부로 흐른다. 즉 전원 분배기(4)를 열기를 내보내는 통로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
이런 것으로부터 많은 제어유닛(3)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가 있고, 또, 특별한 통풍구조를 두지 않고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4c)는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출용의 개구를 겸하고 있다. 즉 도 1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4a) 및 배기구(4c)가 설치된 부분인 전원 분배기(4)의 상부에 형성된 방은 어느 기기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완전한 공간이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간은 배기전용으로 특별히 설치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제어유닛(3)의 사고로 발생하는 예를 들면 아크가스를 경로에서 쉽게 방출할 수가 있고, 모선실(5)내에 수납된 모선에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고, 유닛실(2)내에서 발생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8은 전원 분배기(4)와 수직 분기모선(16)과의 접속의 모습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반내의 주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전원 분배기(4)의 뒤쪽에는 외부의 모선에 접속된 컨트롤 센터(1)내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이 설치되어 있다. 수직 분기모선(16)은 도전재료로 제작된 단면 L자형태 또는 단면 I자형을 이루고 한쪽의 폭광면을 서로 대향하도록 해서 상하방향으로 1렬로 정렬해서 병설되고 있다. 이 4개의 수직 분기모선 (16)은 상하방향으로 병설된 다수의 전원 분배기(4)의 뒤쪽에서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으로 거의 전장에 걸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은 컨트롤 센터(1)내에 3상 4극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도 20은 전원 분배기(4)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전원 분배기(4)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전원 분배기(4)의 구성부품을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전원 분배기(4)의 내부의 분기도체의 돌리는 모습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XV - XXV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26은 분기도체(8) 및 분배도체(9)의 구조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에서 도 26까지에서 전원 분배기(4)는 개략 박폭상자상태의 직방체를 이루고 전면인 제어유닛(3)측에 평판상의 전면 패널(4d), 이면인 수직 분기모선 (16)측에 후부 패널(4e)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의 이면에는 모선계합수단으로서 4쌍의 공통 전원그립(7)이 수직 분기모선(16)측에 뻗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4쌍의 공통 전원그립(7)은 각각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공통 전원그립(7)은 대향하는 3개의 단자(7a),(7b)를 소유하고, 이 2개의 단자(7a),(7b)로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을 끼고 소위 그립 접속을 한다.
2개의 단자(7a),(7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거의 병행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 선단부 및 대향하는 내측부에는 일단 낮아진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단자(7a),(7b)는 입설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즉, 컨트롤 센터(1)의 안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직 분기모선(16)을 끼워서 수직 분기모선(16)과 접속된다.
전원 분배기(4)를 컨트롤 센터(1)에 올려 놓을 때에는 전원 분배기(4)를 수직 분기모선(16)을 향해 공통 전원그립(7)의 입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공통 전원그립(7)이 수직 분기모선(16)을 끼고 공통 전원립(7)과 수직 분기모선(16)이 접속된다.
다음, 전원 분배기(4)의 내부를 설명한다. 도 23에 표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분기도체(8)는 일단(8a)을 볼트(8c)로 체결되어 각각 공통 전원그립(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분기도체(8)는 각각 전원 분배기(4)내를 덜려져 타단(8b)을 4개의 분배도선(9)에 접속되어 있다.
4개의 분배도체(9)는 전원 분배기(4)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4개의 분배도체(9)에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으로 각각 4개의 분배기 전원그립 탭(10)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제어유닛(3)측에 돌출하는 평판상부를 소유하고 있다.
각각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각각 제어유닛(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평판상부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1렬로 정렬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한쪽을 분배도체(9)에 접속되고 타단을 후에 설명하는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전원그립(36)에 끼워져 소위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 (3)에 대해 수직 분기모선(16)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분배기(4)의 각각의 제어유닛(3)에 대응한 위치에는 또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으로서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는 상하방향으로 정렬해서 설치된 4개의 접속 계합자(11a)를 가지고 있다. 이 4개의 접속 계합자(11a)는 후에 설명하는 제어유닛(3)의 유니측 부하그립(37)에 끼워져 소위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으로부터 배전을 외부에 출력한다.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에는 또 4개의 접속 계합자에 대응하는 나사 고정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고정부(11b)에는 도시하지 않고 외부 케이블 단자대를 통해서 설비기기로부터 뻗은 전선이 접속된다.
전원 분배기(4)의 각각의 제어유닛(3)에 대응한 위치에는 또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직선상으로 뻗는 단면 凸과 凹의 2개의 커넥터이고 후에 설명하는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와 계합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제어신호를 공급 및 외부에 출력한다.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케이블 단자대를 통해서 제어반으로부터의 제어신호선이 접속된다.
도 16에 되돌아와 상술한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모두 전면패널(4d)에 거의 면이 같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과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와는 전면패널(4d)에 천공된 슬릿상의 구멍으로부터 들여다보고 있다 또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전면패널(4d)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다음 전원 분배기(4)의 전면패널(4d)에 대향하는 제어유닛(3)의 이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3)의 이면에는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에 대응한 위치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전원그립)(3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에 대응한 위치에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부하그립)(3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유닛측 전원그립(36) 및 유닛측 부하그립(37)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정렬해서 설치된 4개의 그립 접속단자를 가지고 있다. 이 그립 접속단자는 대향하는 2개의 가위상태의 단자로 되고, 이 대향하는 2개의 단자는 선단부에는 간격이 넓혀져 있다. 이 대향하는 단자는 세워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 대향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10) 및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의 접속 계합자(11a)를 끼고 이들과 접속된다.
또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 대응한 위치에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는 직선상으로 뻗는 단면 凸과 凹의 2개의 커넥터로 되고,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와 계합 접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1b)은 개략 단면
Figure 112003023031174-pct00002
(감마)상을 이루고, 수평으로 구부려진 수평부(1b3)로부터 더 아래로 구부려진 폭이 좁은 가이드부(1b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1b)은 제어유닛(3)의 세판(細板)부(32a)와 측면부 (32b)를 포함하도록 세워 설치된다.
그리고, 칸막이판(1b)의 상부에서 수평부(1b3)와 가이드부(1b4)로 형성되는 아래쪽에 개구를 갖는 단면 ㄷ자형의 가이드부는 세판부(32a)에 대해 세판부(32a)가 제어유닛(3)의 출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미소한 간극을 두고 계합한다. 그 리고, 제어유닛(3)은 상판(1a)위에 올려놓아질 때 이 칸막이판(1b)에 가이드되어 소정의 정밀도를 가지고 컨트롤 센터(1)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제어유닛(3)에 설치된 유닛측 전원그립(36), 유닛측 부하그립(37) 및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는 각각 전원 분배기(4)에 설치된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 양호하게 계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유닛 베이스(32)의 세판부(32a)와 칸막이판(1b)는 제어유닛(3)을 전원 분배기(4)에 대해 진퇴 이동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컨트롤 센터에는 수직 분기모선(16)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제어유닛(3)은 공급된 전력을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에 입력된 제어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수동조작에 따라 유닛측 부하그립(37)에 출력한다. 유닛측 부하그립(37)에 출력된 전력은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를 통해서 외부의 설비기기에 배전되어 이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 분배기(3)에서는 한쪽을 분기도체(8)에 접속되어 다른쪽을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전원그립(36)에 끼워져서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수직 분기모선(16)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분배기측 전워그립 탭(10)과 제어유닛(3)의 유닛측 부하그립(37)에 끼워져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배전을 외부에 출력한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와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와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제어신호를 공급 및 외부로 출력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유닛(3)의 추가ㆍ변 경할 때에 제어유닛(3)을 전원 분배기(4)에 대해 진퇴동시켜 접속ㆍ이간시킬 수가 있고 수직 분기모선(16)을 정전하지 않고 제어유닛(3)의 추가ㆍ변경을 할 수가 있다.
또, 전원 분배기(4)에서는 제어유닛(3)에 대응하는 다수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전면패널(4d)에 거의 면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문에 컨트롤 센터(1)내에서 1단에 여러대의 제어유닛(3)을 병설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해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27은 하나의 제어유닛(30)을 시험위치로 인출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어유닛(3)이 접속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 - XXVIII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어유닛(3)이 시험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I - XXVIIII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제어유닛(3)은 각 제어유닛(3)의 하부에 배치된 상판(1a)의 상면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38)에 부착된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에 의해 전원 분배기 (4)와 접속되어 수직 분기모선(16)으로부터 주회로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가 있다.
또 제어유닛(3)이 상판(1a)위를 전방으로 이동하고, 주회로 커넥터(36),(37)을 전원 분배기(4)에서 인출해 주회로가 단로상태에 있을 때에도 제어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를 부착하는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가 제어유닛 베이스(32)상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로부터 분리하지 않도록 시험위치 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
여기서 주회로 커넥터(36),(37)은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의 각상 단자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 (37)의 각상 단자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비교적 작은 점유공간에서 주회로 커넥터(36),(37)의 배치가 가능해지고, 고밀도 실장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이 주회로 커넥터(36),(37)에서는 각상 단자가 수평 좌우방향으로 되도록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의 각상 단자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의 각상 단자를 나란히 해서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비교적 작은 점유공간에서 주회로 커넥터(36),(37)의 배치가 가능해지고, 고밀도 실장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제어유닛(3)의 전후방향으로 차단장치(34), 전자 개폐기(35)를 나란히 배치하고, 제어유닛(3)후면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 제어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를 배치함으로서 고밀도 실장을 가능케하고, 또 개략 L자형으로 성형된 제어유닛 베이스 (32)를 사용함으로서 제어유닛(3)조립시의 작업성 향상이 얻어지는 동시에 주회로 단로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한 시험위치 상태를 얻음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시험시에 작업효율 향상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소유하고 제어유닛 (3)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하는 다수의 유닛실(2)의 후부에 전원 분배기 (4)의 구성요소로서 설치되고 제어유닛(3)의 주회로를 모선(16)으로 되는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1)에서 조작핸들(33)을 갖는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34)와 제어동작을 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35)와 제어유닛(3)의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36),(37)와 제어유닛(3)의 제어회로를 모터제어회 등의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39)를 구비하고, 제어유닛(3)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조작핸들(33), 차단장치(34), 전자 개폐기(35), 주회로 커넥터(36),(37)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주회로 커넥터(36),(37)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를 나란히 배치하고 또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39)는 제어유닛(3)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모터제어회로 등의 외부 회보에 접속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주회로 단로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하고 시험시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유닛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하는 다수의 유닛실의 후부에 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서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와 유닛의 주회로를 전원측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와 유닛의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유닛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조작핸들, 차단장치, 전자 개폐기, 주회로 커넥터를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를 상기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하였으므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를 나란히 배치하였으므로 고밀도 실장을 보다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를 나란히 해서 배치하였으므로 고밀도 실장을 한층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 유닛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상기 외부 회로에 접속가로 하였으므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주회로 단로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하고 시험시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상기 차단장치는 퓨즈스위치를 사용하였으므로 퓨즈스위치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상기 차단장치는 노프즈 브레이커를 사용하였으므로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는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수의 제어유닛을 다단다열 정렬해서 또 전방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소유하고, 유닛실 후부에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서, 제어유닛은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하는 전자 개폐기와,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커넥터와,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는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에 조작해들, 차단장치, 전자 개폐기, 주회로 커넥터를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하고, 제어회로 커넥터를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 실장을 보다 적절하게 실현 가능한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 실장을 한층 적절하게 실현 가능한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제어회로 커넥터는 제어유닛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외부 회로에 접속가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 가능할뿐 아니라 주회로 단로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하고 시험시에서의 작업효율 을 향상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차단장치는 퓨즈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퓨즈스위치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차단장치는 노퓨즈 브레이커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히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3)

  1.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수의 제어유닛을 다단다열로 정렬하고, 또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실 후부에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행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와,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의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와,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핸들, 상기 차단장치, 상기 전자 개폐기,및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상기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으로 상기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는 상기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각각의 상의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센터.
  2.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수의 제어유닛을 다단다열로 정렬하고, 또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실 후부에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행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와,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의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와,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핸들, 상기 차단장치, 상기 전자 개폐기,및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상기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으로 상기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는 상기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각각의 상의 단자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센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는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 접속 위치 및 시험 위치에서 상기 외부회로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센터.
KR1020037008687A 2001-10-30 2002-03-08 컨트롤 센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2102 2001-10-30
JP2001332102 2001-10-30
PCT/JP2002/002207 WO2003038962A1 (fr) 2001-10-30 2002-03-08 Centre de comma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703A KR20040028703A (ko) 2004-04-03
KR100548174B1 true KR100548174B1 (ko) 2006-01-31

Family

ID=1914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6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174B1 (ko) 2001-10-30 2002-03-08 컨트롤 센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33821B2 (ko)
KR (1) KR100548174B1 (ko)
CN (1) CN1314178C (ko)
TW (1) TWI313089B (ko)
WO (1) WO20030389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57B1 (ko) 2008-08-08 2010-04-2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멀티 배전반
KR101357285B1 (ko) 2013-09-04 2014-01-2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수배전반에 다적재가 가능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KR102744558B1 (ko) * 2024-03-08 2024-12-19 주식회사 퍼스텍 자동화 장비용 전장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0A (ja) * 1993-04-09 1995-01-06 San House Kk 性行為感染症予防プロテクター
JP4873994B2 (ja) * 2006-05-24 2012-02-08 中国電力株式会社 遮断器位置表示装置
JP5190407B2 (ja) * 2009-04-20 2013-04-24 三菱電機株式会社 機能ユニットおよびコントロールセン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5603Y2 (ko) * 1974-11-20 1980-06-20
JPS57197713U (ko) * 1981-06-10 1982-12-15
JPS6339405A (ja) * 1986-07-30 1988-02-19 株式会社戸上電機製作所 閉鎖配電盤
US5225962A (en) * 1992-03-11 1993-07-06 Square D Company Distribution board with rear electrical acc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57B1 (ko) 2008-08-08 2010-04-2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멀티 배전반
KR101357285B1 (ko) 2013-09-04 2014-01-2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수배전반에 다적재가 가능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KR102744558B1 (ko) * 2024-03-08 2024-12-19 주식회사 퍼스텍 자동화 장비용 전장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3089B (ko) 2009-08-01
KR20040028703A (ko) 2004-04-03
JPWO2003038962A1 (ja) 2005-02-24
CN1483233A (zh) 2004-03-17
WO2003038962A1 (fr) 2003-05-08
JP4133821B2 (ja) 2008-08-13
CN1314178C (zh)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864B1 (ko)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EP0144753B1 (en) Enclosed switchgear
KR101337012B1 (ko) 스위치기어
EP1786070B1 (en) Multiple height, high density horizontal low voltage motor control center
RU2420845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9941645B2 (en) Compact plug assemblies for plug and socket unit isolator systems for motor control centers (MCC)
JP5484638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548174B1 (ko) 컨트롤 센터
EP0092774B1 (en) Switch board
KR100500865B1 (ko) 컨트롤 센터
JP2013141407A (ja) 配電盤
US4133994A (en) Cell of low-voltage feed and distribution cellular switchboard
EP0909472B1 (en) Modular cabinet arrangement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users, particularly motors
CN1037796C (zh) 组合开关柜
KR101070575B1 (ko) 스위치 기어
PL196532B1 (pl) Elektryczna rozdzielnica
JP3081949B2 (ja) 多段積引出型閉鎖配電盤
RU2806084C1 (ru) Улучшенный четырехполюсный выходной штепсельный узел
KR100729191B1 (ko) 선박의 발전기용 배전반
CN107591262B (zh) 控制与保护开关
JPH0946829A (ja) 2段積遮断器の母線ブッシング
JP2007318980A (ja) 引出形機器及び配電盤
JP2874502B2 (ja) 配電盤
JP2022172767A (ja) スイッチギヤ
EP3903391A1 (en) Switching and/or distribu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