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8174B1 - Control center - Google Patents

Control ce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174B1
KR100548174B1 KR1020037008687A KR20037008687A KR100548174B1 KR 100548174 B1 KR100548174 B1 KR 100548174B1 KR 1020037008687 A KR1020037008687 A KR 1020037008687A KR 20037008687 A KR20037008687 A KR 20037008687A KR 100548174 B1 KR100548174 B1 KR 10054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ain circuit
control unit
connector
circuit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28703A (en
Inventor
하야시가즈후미
아키야마유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7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74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57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ch Board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컨트롤 센터는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어유닛을 다단다열 정렬해서 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소유하고, 유닛실의 후부에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서 제어유닛은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하는 전자 개폐기와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커넥터와,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는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에 조작핸들, 차단장치, 전자 개폐기, 주회로 커넥터를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하고, 제어회로 커넥터를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The control center owns a unit chamber that has openings in the front of the van and houses the control units that are long inward,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nd retractable forwardly, and the main circuit of the control uni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unit chamber. In a control center having a main circuit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o a circu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ircuit breaker having an operation handle, an electronic switch for controlling operation, a main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to a power supply side and a load side external main circuit, and a control circuit. A control circuit connector is provided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circuit, and an operation handle, a blocking device, an electronic switch, and a main circuit connector are arranged in order in the control unit's inner direction, and 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is arranged in a lower part of the main circuit connector. .

컨트롤 센터, 제어유닛, 전원 분배기, 모선실, 배선실.Control center, control unit, power distributor, busbar, wiring closet.

Description

컨트롤 센터{CONTROL CENTER} Control Cente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전력용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모터의 기동제어보호 등을 실시하는 배전반으로서의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제어유닛을 수납하는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center as a switchgear for performing start control protection and the like of a motor used in a power plant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center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컨트롤 센터는 전력용 플랜트 등에 사용되고 모터나 조명 등의 설비기기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되고, 각 설비기기에 전력을 배전하는 동시에 설비기기의 제어를 하는 것이다. 이 컨트롤 센터내에는 일반적으로 각 설비기기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되는 제어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이 수납되어 있다.The control center is used for electric power plants and the like, and is connected to equipment such as motors and lights by wires, respectively, and distributes electric power to each equipment and controls equipment. In the control center, busbars are generally housed to supply power to control equipment connected to the respective equipment and wires.

제어유닛은 상술한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브레이커 또는 퓨즈스위치 또 릴레이 스위치 등이 내장되고, 유닛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닛은 모선으로부터의 전력을 설비기기에 배전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수동조작에 따라 이 배전을 컨트롤한다. 또 제어유닛은 브레이커 또는 퓨즈에 의해 사고전류로부터 설비기기를 보호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breaker, a fuse switch, a relay switch, or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equipment described above, and is configured in units of units. The control unit distributes the power from the bus to the equipment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or manual operation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also protects the equipment from accidental currents by means of breakers or fuses.

유닛단위로 구성된 제어유닛을 갖는 컨트롤 센터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58-3390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컨트롤 센터에서는, 각 제어유닛이 반을 향해 좌우방향으로 폭이 넓다. 이 때문에 컨트롤 센터가 대단히 대형이다.As a control center having a control unit composed of unit units, for example, the one described in JP-A-58-33908 is proposed. However, in this control center, each control unit is w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ward half. Because of this, the control center is very large.

이에 대해, 근년 컨트롤 센터의 소형 집약화를 도모하기 위해 하나의 컨트롤 센터에 많은 제어유닛을 고밀도로 실장하는 것이 구해져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lan the compactness of a control center, it is calculated | required to mount many control units in one control center at high densit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고밀도 실장을 적절히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intended to obtain a control center capable of appropriately realizing high density mounting.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는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소유하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수의 제어유닛을 다단다열 정렬해서 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소유하고 유닛실의 후부에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서, 제어유닛은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하는 전자 개폐기와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커넥터와,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는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에 조작핸들, 차단장치, 전자 개폐기, 주회로 커넥터를 순서대로 나열해서 배치하고, 제어회로 커넥터를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해서 배치하고 있다.The control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esses an opening in the front side of the van, and owns a unit chamber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long inwardly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nd retractable forwardly. In a control center having a main circuit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a main circuit to an external main circu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ircuit breaker having an operation handle, an electronic switch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a main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to a power supply side and a load side external main circuit. And a control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rol circuit to an external circuit, and arranging the operation handle, the disconnecting device, the electronic switch, and the main circuit connector in the order of the inner side of the control unit, and placing 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in the main circuit connector. It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wer part of.

또,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In the main circuit connector, the connectors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respective terminals ar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In the main circuit connector, the connectors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terminals of each phase a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 제어회로 커넥터는 제어유닛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외부 회로에 접속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at the main circuit connection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또 차단장치는 퓨즈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The breaker uses a fuse switch.

또 차단장치는 노퓨즈 브레이커를 사용하고 있다.The breaker also uses a no-fuse br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center (distribution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center (switchboard).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 - Ⅲ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line III-III of FIGS. 1 and 2;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line IV-IV of FIG.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요부 도면.5 is an essential part diagram in which a portion of FIG. 4 is enlarged and displayed;

도 6은 하나의 제어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ontrol unit.

도 7은 제어유닛을 배후에서 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unit seen from behind;

도 8은 컨트롤 센터로부터 제어유닛을 모두 제거하고 또 배선실의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ll control units are removed from the control center and the door of the wiring chamber is removed.

도 9는 제어유닛을 제거한 하나의 유닛실을 표시하는 단면도.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one unit room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removed.

도 10은 유닛실을 형성하는 상판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late forming a unit chamber.

도 11은 상판의 상면도.11 is a top view of the top plate;

도 12는 유닛실을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의 사시도.The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plate which partitions a unit chamber.

도 13은 칸막이판의 정면도.13 is a front view of a partition plate;

도 14는 칸막이판의 측면도.14 is a side view of a partition plate;

도 15는 제어유닛과 전원 분배기가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표시하는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 unit and a power distributor are connected.

도 16은 전원 분배기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distributor.

도 17은 컨트롤 센터 내부의 제어유닛의 측면부분을 일부 확대해서 표시하는 요부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enlarged view of a side portion of a control unit inside a control center;

도 18은 전원 분배기와 수직 분기모선과의 접속의 모양을 표시하는 단면도.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distributor and the vertical branch bus bar;

도 19는 반내의 주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in the class;

도 20은 전원 분배기의 상면도.20 is a top view of the power distributor.

도 21은 전원 분배기의 우측면도.21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ower splitter.

도 22는 전원 분배기의 구성부품을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power distributor.

도 23은 전원 분배기의 내부를 상세하게 표시하는 사시도.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side of the power distributor.

도 24는 전원 분배기의 내부의 분기도체의 배분의 모습을 표시하는 정면도.Fig. 2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distribution of branch conductors inside the power distributor.

도 25는 도 24의 XXV - XXV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2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line XXV-XXV in FIG. 24;

도 26은 분기도체 및 분배도체의 구조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ranch conductor and the distribution conductor.

도 27은 하나의 제어유닛을 시험위치로 끌어낸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Fig. 2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one control unit is pulled out to a test position.

도 28은 제어유닛이 접속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 - XXVIII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line XXVIII-XXVIII in FIG. 27 showing that the control unit is in the connecting position; FIG.

도 29는 제어유닛이 시험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I - XXVIIII선 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29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line XXVIIII-XXVIIII in FIG. 27 showing that the control unit is in the test posi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개략 구형 상자상태의 컨트롤 센터(배전반)(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제어유닛(3)이 종횡으로 바둑판상태로 규칙 정연하게 배열되어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컨트롤 센터(1)에서는 수평방향으로 4열, 세로방향으로 10단, 전체로 40개의 제어유닛(3)이 수납되어 있다.1 is a front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ntrol center (distribution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center (switchboard). In Fig. 1 and Fig. 2,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3 are arranged and housed in a regular square shape in th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ide the control center (distribution board) 1 in a rectangular box state. In the control center 1 of this embodiment, 40 control units 3 are accommodated in four r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0 step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hole.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 - Ⅲ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S. 1 and 2.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해서 표시한 요부도이다. 도 3에서 도 5에서, 수평방향으로 4개 나란히 한 제어유닛(3)의 배면측에 개략 박폭의 상자상의 전원 분배기(4)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각 단에 병설된 4개의 제어유닛(3)에 대해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원 분배기(4)는 제어유닛(3)의 1단에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후에 진술하는 바와 같이 이 4개의 제어유닛(3)에 전력을 분배하는 작용을 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5 is an enlarged main view of a portion of FIG. 4. 3 to 5, a box-shaped power distributor 4 having a rough width is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trol unit 3, which is arranged side by side in fou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power distributor 4 is provided for four control units 3 provided in each stage. That is, one power distributor 4 is provided at one stage of the control unit 3. The power divider 4 serves to distribute power to these four control units 3 as will be stated later.

전원 분배기(4)에는 후에 상세하게 진술하는 흡기구(4a) 및 배기구(4b),(4c)가 형성되어 있다.The power distributor 4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 4a and exhaust ports 4b and 4c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전원 분배기(4)의 또 이면에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모선실 (5)이 형성되어 있다. 모선실(5) 내에는 전원 분배기(4)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직 분기모선(모선)(16)이 상하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수직 분기모선(16)은 외부로부터 컨트롤 센터(1)의 내부에 3상 4극의 전력을 공급한다.The busbar chamber 5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rol center 1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wer distributor 4. In the busbar chamber 5, a vertical branch bus (bus) 16 that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power distributor 4 is spoke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branch bus 16 supplies three-phase four-pole electric power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center 1 from the outside.

수직 분기모선(16)은, 3상 및 중성상의 4개의 도체로 되고 3개의 도체는 단면 L자형을 이루고 하나의 도체는 단면 I자형을 이루고 있다. 모선실(5)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고 있다.The vertical branch bus bar 16 consists of four conductors of three-phase and neutral phases, three conductors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one conductor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The mothership 5 has a ventilation space therein.

한편 제어유닛(3) 및 전원 분배기(4)의 측방에는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배선실(6)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ing chamber 6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3 and the power distributor 4 over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rol center 1.

배선실(6)에는 제어유닛(3)에서 외부의 설비기기로 뻗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이 수납되어 있다. 배선실(6)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고 있다.The wiring chamber 6 houses wirings (not shown) that extend from the control unit 3 to external equipment. The wiring chamber 6 has a ventilation space therein.

도 6은 하나의 제어유닛(3)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어유닛(3)을 배후에서 본 사시도이다. 하나의 제어유닛(3)은 컨트롤 센터(1)의 안쪽방향으로 기다란 개략 직방체를 이루고 있다. 제어유닛(3)은 전면을 덮는 전면판(31), 저면 및 한쪽의 측면을 덮는 유닛 베이스(32) 및 이면을 덮는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 (38),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를 가지고 있다. 유닛 베이스(32)는 상부의 한쪽에 형성된 세판부(32a)와 한쪽의 측면을 전면에 걸쳐 덮는 측면부(32b)를 가지고 있다. 제어유닛(3)의 상면 및 유닛 베이스(32)와 반대측의 측면은 밀폐되어 있지 않고 크게 개구되어 있다. 이는 제어유닛(3)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ontrol unit 3.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unit 3 seen from behind. One control unit 3 constitutes an elongated rough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control center 1. The control unit 3 has a front plate 31 covering the front surface, a unit base 32 covering the bottom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a main circuit connector attaching bracket 38 covering the back surface, and a control circuit connector attaching bracket 40. have. The unit base 32 has the thin plate part 32a formed in the upper side, and the side part 32b which covers one side surface over the whole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 and the sid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unit base 32 are not closed but are largely opened. This improves workability in assembling the control unit 3.

제어유닛(3)은 외부의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내부에 여러가지의 기기를 탑재하고 있다. 즉 우선 전부에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 (34)를 탑재하고 있다. 또, 전자 개폐기(35)는 상세하게는 전자 접촉기(35a)와 서멀 릴레이(35b)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3 is equipped with various devices therein for controlling external equipment. That is, first of all, the breaker 34 made of a fuse switch or a no-fuse breaker is mounted.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switch 35 is comprised by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35a and the thermal relay 35b in detail.

제어유닛(3)의 전면에는 차단장치(34)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조작핸들(3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핸들(33)은 전면판(31)을 관통해서 차단장치(34)와 접촉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회전시킴으로서 차단장치(34)의 온/오프를 전환한다.In the front of the control unit 3, the operation handle 33 for switching the on / off of the blocking device 34 is provided. The operation handle 33 i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device 34 by penetrating the front plate 31, and turns the blocking device 34 on / off by rotating left and right about the axis.

한편, 제어유닛(3)의 후부에는 우선 상측에 설치된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 (38)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전원그립)(36)과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부하그립((37)이 상하방향으로 평행되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하측에 설치된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에는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ar part of the control unit 3, the main circuit connector attachment bracket 38 provided on the upper side first, the power supply main circuit connector (unit side power grip) 36 and the load side main circuit connector (unit side load grip (37)). Unit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is provided horizontally in 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attachment bracket 40 provided on the lower side in parallel.

도 8은 컨트롤 센터(1)로부터 제어유닛(3)을 모두 제거하고, 또 배선실(6)의 도어를 제어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ll control units 3 are removed from the control center 1 and the doors of the wiring chamber 6 are controlled.

도 9는 제어유닛(3)을 제거한 하나의 유닛실(2)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컨트롤 센터(1)에는 상판(1a)으로 구분된 다수의 유닛실(2)이 상하방향으로 다수단 형성되어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unit room 2 in which the control unit 3 is removed. In the control center 1, many unit chambers 2 divided by the upper plate 1a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각 단에 설치된 유닛실(2)은 후에 진술하는 칸막이판으로 갈라져 제어유닛 (3)을 각각 4개 수납하는 방을 형성한다.The unit chamber 2 provided in each stage is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mentioned later, and forms the room which accommodates four control units 3, respectively.

도 10은 유닛실(2)을 형성하는 상판(1a)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판(1a)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유닛실(2)을 막는 칸막이판(1b)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칸 막이판(1b)의 정면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late 1a forming the unit chamber 2. 11 is a top view of the upper plate 1a.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plate 1b that blocks the unit chamber 2. 13 is a front view of the partition plate 1b.

도 14는 칸막이판(1b)의 측면도이다. 상판(1a)에는 안쪽으로 뻗는 4조의 슬릿(1a1)이 천공되어 있다. 칸막이판(1b)은 이 슬릿(1a1)에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 (1b1)를 끼워서 설치된다.14 is a side view of the partition plate 1b. Four sets of slits 1a1 extending inward are perforated in the upper plate 1a. The partition plate 1b is provided by inserting the protrusion part 1b1 formed in the lower part to this slit 1a1.

칸막이판(1b)은 각 단의 상판(1a)에 각각 4개가 설치되고 각 단의 유닛실(2)을 4개의 방으로 칸막이된다. 칸막이판(1b)은 개략 단면

Figure 112003023031174-pct00001
(감마)상을 이루고, 측면판(1b2)과 측면판(1b2)의 상부로부터 수평으로 구부려서 되는 수평부(1b3)와, 수평부(1b3)로부터 다시 하방으로 구부려진 폭이 좁은 가이드부(1b4)를 갖는다.Four partition plates 1b ar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a of each stage, and the unit chamber 2 of each stage is partitioned into four rooms. The partition plate 1b is a schematic cross section
Figure 112003023031174-pct00001
(Gamma) The horizontal part 1b3 which bends horizontal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side plate 1b2 and the side plate 1b2, and the narrow guide part 1b4 bent downward again from the horizontal part 1b3. Has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개략 직방체의 제어유닛(3)은 칸막이판(1b)으로 칸막이 된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개략 직방체의 공간에 수납된다. 그리고 전면 개구부방향으로 서랍과 같이 끌어당겨지는 구조가 되어 있다. 상술한 가이드부(1b4)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유닛(3)을 출입시킬 때에 가이드의 작용을 한다.The control unit 3 of the rough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long length inwardly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of the rough rectangular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1b. And it is structured to be pulled like a drawer toward the front opening direction. The guide portion 1b4 described above acts as a guide when moving the control unit 3 in and out as described later.

도 15는 제어유닛(3)과 전원 분배기(4)가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전원 분배기(4)에는 4개의 제어유닛(3)이 접속 가능하나, 도 15에서는 알기 쉽게 양단에 각각 1개의 제어유닛(3)이 접속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접속된 다수의 제어유닛(3)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 분배기(4)는 가로방향으로 병설된 4개의 제어유닛(3)에 대해 1개가 설치되고 두께가 얇은 직방체상의 광체를 가지고 있고 대응하는 4개의 제어유닛(3)의 이면을 폭이 넓은 면으로 덮도록 제어유닛(3)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각 단의 유닛실 (2)의 뒤에 1개가 설치되어 있고, 즉 상하방향으로 여러개가 나란히 해서 설치되어 있고 전체로 바둑판상태로 배열된 제어유닛(3)군의 이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3 and the power distributor 4 are connected. Four control units 3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or 4, but in FIG. 15, one control unit 3 is connected to both ends for clarity. The power distributor 4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3 connected thereto. The power distributor 4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e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dy installed in one of the four control units 3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a width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our control units 3. It is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3 so that it may cover with a wide surface. One power distributor 4 is provided behind the unit chamber 2 of each stage, that is, several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group of control units 3 arranged in a checkered state as a whole. Is arranged.

도 4나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원 분배기(4)군의 뒤에 모선실(5)이 설치되어 있다. 모선실(5)은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에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모선실(5)내에는 전원 분배기(4)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직 분기모선(16)이 수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bus bar 5 is provided behind the power distributor 4 group. The bus bar 5 is formed over the entir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rol center 1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control center 1. In the busbar chamber 5, the vertical branch bus 16 which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power distributor 4 is accommodated.

도 16은 전원 분배기(4)의 사시도이다. 도 1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원 분배기(4)의 전면, 즉 제어유닛(3)속에는 제어유닛(3)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슬릿상의 흡기구(4a)가 설치되어 있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distributor 4. As shown in FIG. 16, a slit-like inlet 4a for sucking air heated by the control unit 3 is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power distributor 4, that is, inside the control unit 3.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이면, 즉 모선실(5)측에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배출하는 슬릿상의 배기구(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공간이 비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slit-like exhaust port 4b for discharging heat from the control unit 3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wer distributor 4, that is, the bus chamber 5 side. In the power distributor 4, a ventilation space for circulating heat from the control unit 3 is empty.

그리고, 전원 분배기(4)군의 뒤에 설치된 모선실(5)에는 상하방향으로 뻗는 통풍공간이 비어 있다. 또 모선실(5)의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4) 및 모선실(5)을 경유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모선실(5)은 전원 분배기(4)를 통해서 이동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실의 작용을 하고 있다.The ventilation spac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empty in the busbar chamber 5 provided behind the power distributor 4 group. In addition, an exhaust port (not shown) is provided above the busbar chamber 5. The heat from the control unit 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power distributor 4 and the busbar chamber 5. In other words, the busbar chamber 5 functions as an exhaust chamber for discharging the heat moved through the power distributor 4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1)에서는 유닛실(2)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제어유닛(3)에서 덥혀지고 전원 분배기(4) 및 배기실로서의 모선실(5)을 통해서 외부로 흐른다. 즉, 전원 분배기(4)를 열기를 빼앗기지 않고 통풍로로서 활용할 수 있가 있다. 이런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컨트롤 센터(1)는 많은 제 어유닛(3)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가 있고 또 특별한 통풍구조를 설치하지 않고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In the control cent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ir introduced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unit chamber 2 is heated in the control unit 3 and flows outward through the power distributor 4 and the bus chamber 5 as the exhaust chamber. That is, the power distributor 4 can be utilized as a ventilation path without losing heat. From this, the control center 1 of this embodiment can mount many control units 3 at high density, and can discharge the heat from the control unit 3 to the outside without providing a special ventilation structure.

도 17은 컨트롤 센터(1) 내부의 제어유닛(3)의 측면부분을 일부 확대해서 표시하는 요부 사시도이다. 제어유닛(3)군 및 전원 분배기(4)군의 측면측에 배선실 (6)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실(6)은 제어유닛(3)과 외부의 설비기기를 연결하는 배선을 수납하고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 전장에 걸쳐 형성된 공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in which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 inside the control center 1 is enlarged. A wiring chamber 6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3 group and the power distributor 4 group. The wiring chamber 6 is a space that houses the wiring connecting the control unit 3 and the external equipment and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ontrol center 1 in the vertical direction.

배선실(6)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유통시키는데 충분한 통풍공간이 비어 있다.Inside the wiring chamber 6, there is an empty ventilation space sufficient to distribute heat from the control unit 3.

전원 분배기(4)의 전면, 즉 제어유닛(3)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 (3)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슬릿상의 흡기구(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측면, 즉 배선실(6)측은 전면에 걸쳐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4c)를 형성하고 있다.On the front of the power distributor 4, that is, on the control unit 3 side, as described above, a slit-like inlet 4a for sucking air heated by the control unit 3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side of the power distributor 4, that is, the wiring chamber 6 side, is opened over the entire surface, and this opening forms an exhaust port 4c for discharging heat from the control unit 3.

그리고 배선실(6)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공간이 비어 있다. 이 통풍공간은 컨트롤 센터(1)이 상하방향으로 뻗고, 배선실 (6)의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4) 및 배선실(6)을 경유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배선실(6)은 전원 분배기(4)를 통해서 이동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실의 작용을 하고 있다.And the ventilation space which distribute | circulates the heat | fever from the control unit 3 is empty inside the wiring chamber 6. In this ventilation space, the control center 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exhaust port (not shown) is provided above the wiring chamber 6. The heat from the control unit 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power distributor 4 and the wiring chamber 6. In other words, the wiring chamber 6 functions as an exhaust chamber for discharging the heat moved through the power distributor 4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에서는 유닛실(2)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어유닛(3)에서 데워지고, 전원 분배기(4) 및 배기실로서의 배선실(6)을 통해서 외부로 흐른다. 즉 전원 분배기(4)를 열기를 내보내는 통로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In the control cen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ir introduced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unit chamber 2 is warmed by the control unit 3 and flows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wer distributor 4 and the wiring chamber 6 as the exhaust chamber. In other words, the power distributor 4 can be utiliz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heat is released.

이런 것으로부터 많은 제어유닛(3)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가 있고, 또, 특별한 통풍구조를 두지 않고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From this, a large number of control units 3 can be mounted at high density, and a control center capable of discharging heat from the control unit 3 to the outside can be obtained without providing a special ventilation structure.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4c)는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출용의 개구를 겸하고 있다. 즉 도 1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4a) 및 배기구(4c)가 설치된 부분인 전원 분배기(4)의 상부에 형성된 방은 어느 기기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완전한 공간이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간은 배기전용으로 특별히 설치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제어유닛(3)의 사고로 발생하는 예를 들면 아크가스를 경로에서 쉽게 방출할 수가 있고, 모선실(5)내에 수납된 모선에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고, 유닛실(2)내에서 발생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port 4c formed on the side of the power distributor 4 also serves as an arc discharge opening generated inside the power distributor 4. That is, as shown in FIG. 17, the room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ower distributor 4 which is the part in which the inlet port 4a and the exhaust port 4c were provided becomes a complete space in which neither apparatus is provided. And this space is specially installed for exhaust. For this reason, for example, arc gas generated by an accident of the control unit 3 can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path, and there is no fear of affecting the busbars stored in the busbar chamber 5, and within the unit chamber 2 It can prevent the expansion of accidents that occurred.

도 18은 전원 분배기(4)와 수직 분기모선(16)과의 접속의 모습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반내의 주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전원 분배기(4)의 뒤쪽에는 외부의 모선에 접속된 컨트롤 센터(1)내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이 설치되어 있다. 수직 분기모선(16)은 도전재료로 제작된 단면 L자형태 또는 단면 I자형을 이루고 한쪽의 폭광면을 서로 대향하도록 해서 상하방향으로 1렬로 정렬해서 병설되고 있다. 이 4개의 수직 분기모선 (16)은 상하방향으로 병설된 다수의 전원 분배기(4)의 뒤쪽에서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으로 거의 전장에 걸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은 컨트롤 센터(1)내에 3상 4극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distributor 4 and the vertical branch bus 16.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class. At the rear of the power distributor 4, four vertical branch buses 16 are provided which extend substantially vertically in the control center 1 connected to the external bus bar. The vertical branch bus bars 16 are formed in an L-shape or an I-shape in cross sectio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re arranged in one 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one light-facing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se four vertical branch buses 16 extend vertically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rol center 1 behind the plurality of power distributors 4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se four vertical branch buses 16 supply three-phase four-pole electric power in the control center 1.

도 20은 전원 분배기(4)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전원 분배기(4)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전원 분배기(4)의 구성부품을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전원 분배기(4)의 내부의 분기도체의 돌리는 모습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XV - XXV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26은 분기도체(8) 및 분배도체(9)의 구조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20 is a top view of the power distributor 4. 21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ower distributor 4.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mponents of the power distributor 4. FIG. 24 is a front view showing a turning state of branch conductors inside the power distributor 4. FIG.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V-XXV in FIG. 24.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ranch conductor 8 and the distribution conductor 9.

도 20에서 도 26까지에서 전원 분배기(4)는 개략 박폭상자상태의 직방체를 이루고 전면인 제어유닛(3)측에 평판상의 전면 패널(4d), 이면인 수직 분기모선 (16)측에 후부 패널(4e)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의 이면에는 모선계합수단으로서 4쌍의 공통 전원그립(7)이 수직 분기모선(16)측에 뻗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20 to 26, the power divider 4 form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a thin box, and the front panel 4d is flat on the control unit 3 side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panel on the side of the vertical branch bus 16 on the back side. Has (4e)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wer distributor 4, four pairs of common power grips 7 are installed so as to exten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branch bus 16 as bus bar engaging means.

4쌍의 공통 전원그립(7)은 각각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공통 전원그립(7)은 대향하는 3개의 단자(7a),(7b)를 소유하고, 이 2개의 단자(7a),(7b)로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을 끼고 소위 그립 접속을 한다.Four pairs of common power grips 7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four vertical branch buses 16, respectively. The common power grip (7) has three terminals (7a) and (7b) facing each other, and the two terminals (7a) and (7b) sandwich four vertical branch buses (16) and make so-called grip connections. .

2개의 단자(7a),(7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거의 병행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 선단부 및 대향하는 내측부에는 일단 낮아진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단자(7a),(7b)는 입설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즉, 컨트롤 센터(1)의 안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직 분기모선(16)을 끼워서 수직 분기모선(16)과 접속된다.The two terminals 7a and 7b are provid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step lowered once is formed at the leading end and the opposing inner side. The two terminals 7a and 7b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branch bus 16 by inserting the vertical branch bus 16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of entering, i.e., moving inward of the control center 1.

전원 분배기(4)를 컨트롤 센터(1)에 올려 놓을 때에는 전원 분배기(4)를 수직 분기모선(16)을 향해 공통 전원그립(7)의 입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공통 전원그립(7)이 수직 분기모선(16)을 끼고 공통 전원립(7)과 수직 분기모선(16)이 접속된다.When the power splitter 4 is placed on the control center 1, the power splitter 4 moves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common power grip 7 toward the vertical branch bus 16 so that the common power grip 7 vertically branches. The common power supply lip 7 and the vertical branch bus 16 are connected with the bus 16.

다음, 전원 분배기(4)의 내부를 설명한다. 도 23에 표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분기도체(8)는 일단(8a)을 볼트(8c)로 체결되어 각각 공통 전원그립(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분기도체(8)는 각각 전원 분배기(4)내를 덜려져 타단(8b)을 4개의 분배도선(9)에 접속되어 있다.Next, the inside of the power splitter 4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23, the four branch conductors 8 are fastened to one end 8a with bolts 8c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power supply grips 7, respectively. And the four branch conductors 8 are each retracted in the power distributor 4, and the other end 8b is connected to the four distribution wires 9, respectively.

4개의 분배도체(9)는 전원 분배기(4)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4개의 분배도체(9)에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으로 각각 4개의 분배기 전원그립 탭(10)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제어유닛(3)측에 돌출하는 평판상부를 소유하고 있다.Four distribution conductors 9 are arranged in the power distributor 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our distribution conductors 9 are provided with four distributor power grip tabs 10 at predetermined positions as main power engagement means for the power supply side. Each distributor side power grip tab 10 possesses a flat plate portion protruding to the control unit 3 side.

각각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각각 제어유닛(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평판상부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1렬로 정렬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한쪽을 분배도체(9)에 접속되고 타단을 후에 설명하는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전원그립(36)에 끼워져 소위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 (3)에 대해 수직 분기모선(16)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한다.Each of the distributor side power grip tabs 10 is arranged so as to be aligned in a 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lat plate upper portion is located in the same plan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3, respectively. The distributor side power grip tab 1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conductor 9,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nit side power grip 36 of the control unit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vertical branch bus 16.

전원 분배기(4)의 각각의 제어유닛(3)에 대응한 위치에는 또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으로서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는 상하방향으로 정렬해서 설치된 4개의 접속 계합자(11a)를 가지고 있다. 이 4개의 접속 계합자(11a)는 후에 설명하는 제어유닛(3)의 유니측 부하그립(37)에 끼워져 소위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으로부터 배전을 외부에 출력한다.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에는 또 4개의 접속 계합자에 대응하는 나사 고정부(11b)가 설치되어 있다.The distributor 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is provid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unit 3 of the power distributor 4 as the load side main circuit engaging means. The distributor-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has four connection engaging members 11a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our connection engaging members 11a are fitted to the uni-side load grips 37 of the control unit 3 described later, so-called grip connections, and output power distribution from the control unit 3 to the outside. The distributor 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is provided with screw fixing portions 11b corresponding to four connection engaging members.

이 나사 고정부(11b)에는 도시하지 않고 외부 케이블 단자대를 통해서 설비기기로부터 뻗은 전선이 접속된다.The wire which extended from the equipment through the external cable terminal block is connected to this screw fixing part 11b not shown.

전원 분배기(4)의 각각의 제어유닛(3)에 대응한 위치에는 또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직선상으로 뻗는 단면 凸과 凹의 2개의 커넥터이고 후에 설명하는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와 계합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제어신호를 공급 및 외부에 출력한다.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케이블 단자대를 통해서 제어반으로부터의 제어신호선이 접속된다.The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unit 3 of the power distributor 4. The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is two connectors having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cross-section 凸 and 凹, and are connected to the unit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of the control unit 3 described later to control the control unit 3. The signal is supplied and output to the outside. The control signal line from the control panel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via an external cable terminal block (not shown).

도 16에 되돌아와 상술한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모두 전면패널(4d)에 거의 면이 같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과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와는 전면패널(4d)에 천공된 슬릿상의 구멍으로부터 들여다보고 있다 또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전면패널(4d)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Returning to FIG. 16, the distributor-side power grip tab 10, the distributor-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and the distributor-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of the power distributor 4 described above are almost faced to the front panel 4d. It is installed to be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distributor-side power grip tab 10 and the distributor-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are viewed from a slit-shaped hole formed in the front panel 4d. The distributor-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is a front panel ( It protrudes in 4d).

다음 전원 분배기(4)의 전면패널(4d)에 대향하는 제어유닛(3)의 이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3)의 이면에는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에 대응한 위치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전원그립)(3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에 대응한 위치에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부하그립)(3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Next, the structure of the back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 facing the front panel 4d of the power distributor 4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7, a main power connector (unit side power grip) 36 protrudes and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tab 10 of the distributor side of the power distributor 4. have. A load side main circuit connector (unit side load grip) 37 is protru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or 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유닛측 전원그립(36) 및 유닛측 부하그립(37)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정렬해서 설치된 4개의 그립 접속단자를 가지고 있다. 이 그립 접속단자는 대향하는 2개의 가위상태의 단자로 되고, 이 대향하는 2개의 단자는 선단부에는 간격이 넓혀져 있다. 이 대향하는 단자는 세워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 대향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10) 및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의 접속 계합자(11a)를 끼고 이들과 접속된다.The unit side power supply grip 36 and the unit side load grip 37 each have four grip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in a vertical alignment. This grip connection terminal is a terminal of two opposing scissors states, and these two terminals are spaced apart at the distal end. When the opposing terminals move in the upright direction,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mating member 11a of the opposing distributor side power grip 10 and the distributor 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또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 대응한 위치에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는 직선상으로 뻗는 단면 凸과 凹의 2개의 커넥터로 되고,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와 계합 접속한다.In addition, the unit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protrudes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of the power distributor 4. The unit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is constituted by two connectors having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a cross-sectional view, i and u, and engaging with the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상술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1b)은 개략 단면

Figure 112003023031174-pct00002
(감마)상을 이루고, 수평으로 구부려진 수평부(1b3)로부터 더 아래로 구부려진 폭이 좁은 가이드부(1b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1b)은 제어유닛(3)의 세판(細板)부(32a)와 측면부 (32b)를 포함하도록 세워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plate 1b is a schematic cross section
Figure 112003023031174-pct00002
It has the narrow guide part 1b4 which forms the (gamma) image, and is bent further from the horizontal part 1b3 bent horizontally. And the partition plate (1b) is installed upright so as to include the plate portion (32a) and the side portion (32b) of the control unit (3).

그리고, 칸막이판(1b)의 상부에서 수평부(1b3)와 가이드부(1b4)로 형성되는 아래쪽에 개구를 갖는 단면 ㄷ자형의 가이드부는 세판부(32a)에 대해 세판부(32a)가 제어유닛(3)의 출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미소한 간극을 두고 계합한다. 그 리고, 제어유닛(3)은 상판(1a)위에 올려놓아질 때 이 칸막이판(1b)에 가이드되어 소정의 정밀도를 가지고 컨트롤 센터(1)에 삽입된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 C-shaped guide portion having an opening at a lower portion formed by the horizontal portion 1b3 and the guide portion 1b4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1b is disposed on the plate portion 32a with respect to the plate portion 32a. Engage with a small gap so as to be movable in and out of (3). Then, when the control unit 3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1a, it is guided to the partition plate 1b and inserted into the control center 1 with a predetermined precision.

이 때문에 제어유닛(3)에 설치된 유닛측 전원그립(36), 유닛측 부하그립(37) 및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는 각각 전원 분배기(4)에 설치된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 양호하게 계합할 수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unit side power grip 36, the unit side load grip 37, and the unit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3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divider side of the distributor side. The distributor 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and the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can be properly engaged.

이와 같이, 유닛 베이스(32)의 세판부(32a)와 칸막이판(1b)는 제어유닛(3)을 전원 분배기(4)에 대해 진퇴 이동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Thus, the thin plate portion 32a and the partition plate 1b of the unit base 32 constitute guide means for guiding the control unit 3 with respect to the power distributor 4 in the advancing and moving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의 컨트롤 센터에는 수직 분기모선(16)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제어유닛(3)은 공급된 전력을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에 입력된 제어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수동조작에 따라 유닛측 부하그립(37)에 출력한다. 유닛측 부하그립(37)에 출력된 전력은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를 통해서 외부의 설비기기에 배전되어 이를 구동한다.In the control cent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vertical branch bus line 1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ted to the unit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or a manual operation from the outside. Output to side load grip 37. The power output to the unit side load grip 37 is distributed to the external equipment through the divider 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to drive i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 분배기(3)에서는 한쪽을 분기도체(8)에 접속되어 다른쪽을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전원그립(36)에 끼워져서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수직 분기모선(16)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분배기측 전워그립 탭(10)과 제어유닛(3)의 유닛측 부하그립(37)에 끼워져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으로부터의 배전을 외부에 출력한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와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와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제어신호를 공급 및 외부로 출력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유닛(3)의 추가ㆍ변 경할 때에 제어유닛(3)을 전원 분배기(4)에 대해 진퇴동시켜 접속ㆍ이간시킬 수가 있고 수직 분기모선(16)을 정전하지 않고 제어유닛(3)의 추가ㆍ변경을 할 수가 있다.In this way, in the power splitter 3 of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ranch conductor 8 and the other is inserted into the unit side power grip 36 of the control unit 3 and grip-connec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control unit 3. It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side power grip tab 10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rom the branch bus 16 and the unit side load grip 37 of the control unit 3 to be connected to the grip to output the power distribution from the control unit 3 to the outside. The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which is connected to one distributor 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and the unit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of the control unit 3, su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3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Since the control unit 3 can be connected and separated by moving the control unit 3 with respect to the power distributor 4 when the control unit 3 is added or changed, the control unit 3 can be operated without powering off the vertical branch bus 16. ) Can be added or changed.

또, 전원 분배기(4)에서는 제어유닛(3)에 대응하는 다수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전면패널(4d)에 거의 면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문에 컨트롤 센터(1)내에서 1단에 여러대의 제어유닛(3)을 병설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해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In the power distributor 4, a plurality of distributor side power grip tabs 10, a distributor side load grip terminal block 11 and a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3 are provided. It is provided almost entirely on the front panel 4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tore several control units 3 side by side in the control center 1 so that the stora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27은 하나의 제어유닛(30)을 시험위치로 인출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어유닛(3)이 접속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 - XXVIII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어유닛(3)이 시험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I - XXVIIII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2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control unit 30 is taken out to the test position.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XXVIII-XXVIII in FIG. 27 showing that the control unit 3 is in the connecting position. 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line XXVIIII-XXVIIII of FIG. 27 showing that the control unit 3 is in the test position.

제어유닛(3)은 각 제어유닛(3)의 하부에 배치된 상판(1a)의 상면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38)에 부착된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에 의해 전원 분배기 (4)와 접속되어 수직 분기모선(16)으로부터 주회로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가 있다.The control unit 3 move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a disposed under the control unit 3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power-side circumference attached to the main circuit connector mounting bracket 38 so that each phase terminal is in the up-down direction. The furnace connector 36 and the load-side main circuit connector 37 are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or 4 so that the main circui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vertical branch bus 16.

또 제어유닛(3)이 상판(1a)위를 전방으로 이동하고, 주회로 커넥터(36),(37)을 전원 분배기(4)에서 인출해 주회로가 단로상태에 있을 때에도 제어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를 부착하는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가 제어유닛 베이스(32)상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로부터 분리하지 않도록 시험위치 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control unit 3 moves forward on the upper plate 1a and pulls out the main circuit connectors 36 and 37 from the power distributor 4 so that the main circuit is in the disconnected state, the control unit side control circuit The test position state can be obtained so that 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mounting bracket 40 to which the connector 39 is attached slides on the control unit base 3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distributor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12.

여기서 주회로 커넥터(36),(37)은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의 각상 단자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 (37)의 각상 단자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main circuit connectors 36 and 37 have the respective phase terminals of the power supply main circuit connector 36 and the respective phase terminals of the load side main circuit connector 37 side by side so that each phase terminal i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is arranged.

이 구성에 의해, 비교적 작은 점유공간에서 주회로 커넥터(36),(37)의 배치가 가능해지고, 고밀도 실장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This configuration enables the main circuit connectors 36 and 37 to be arranged in a relatively small occupied space, thereby enabling accurate high density mounting.

또, 이 주회로 커넥터(36),(37)에서는 각상 단자가 수평 좌우방향으로 되도록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의 각상 단자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의 각상 단자를 나란히 해서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main circuit connectors 36 and 37, each phas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main circuit connector 36 and each phase terminal of the load side main circuit connector 37 may b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each phase terminal is in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

이 구성에 의해서도, 비교적 작은 점유공간에서 주회로 커넥터(36),(37)의 배치가 가능해지고, 고밀도 실장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Eve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main circuit connectors 36 and 37 can be arranged in a relatively small occupied space, and high density mounting can be accurately realiz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제어유닛(3)의 전후방향으로 차단장치(34), 전자 개폐기(35)를 나란히 배치하고, 제어유닛(3)후면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 제어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를 배치함으로서 고밀도 실장을 가능케하고, 또 개략 L자형으로 성형된 제어유닛 베이스 (32)를 사용함으로서 제어유닛(3)조립시의 작업성 향상이 얻어지는 동시에 주회로 단로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한 시험위치 상태를 얻음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시험시에 작업효율 향상의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breaker 34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35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3, and the power supply main circuit connector 36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 By disposing the load side main circuit connector 37 and the control unit sid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high-density mounting is possible, and the control unit 3 is assembled by using the control unit base 32 shaped into an approximately L-shape. By improving the workability, the test position can be operated only in the main circuit disconnection state, so that no external power supply is requir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during the test.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소유하고 제어유닛 (3)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하는 다수의 유닛실(2)의 후부에 전원 분배기 (4)의 구성요소로서 설치되고 제어유닛(3)의 주회로를 모선(16)으로 되는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1)에서 조작핸들(33)을 갖는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34)와 제어동작을 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35)와 제어유닛(3)의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36),(37)와 제어유닛(3)의 제어회로를 모터제어회 등의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39)를 구비하고, 제어유닛(3)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조작핸들(33), 차단장치(34), 전자 개폐기(35), 주회로 커넥터(36),(37)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주회로 커넥터(36),(37)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를 나란히 배치하고 또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39)는 제어유닛(3)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모터제어회로 등의 외부 회보에 접속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주회로 단로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하고 시험시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installed and controlled as a component of the power distributor 4 at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unit chambers 2 which have openings in the front of the van and which releasably mount the control unit 3 forwardly. A breaker 34 made of a fuse switch or a no-fuse breaker having an operation handle 33 in a control center 1 having a main circuit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of the unit 3 to an external main circuit which is the bus bar 16. And control of the main circuit connectors 36, 37 and the control unit 3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of the electronic switch 35 and the control unit 3 to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external main circuit for the control operation. And a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for connecting the circuit to an external circuit such as a motor control circuit, wherein the operation handle 33, the blocking device 34,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35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ontrol unit 3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circuit connectors 36 and 37, The circuit connectors 36 and 37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connector on the power supply side so that the respective terminals ar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39 is the main circuit connection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3. Since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n external newsletter such as a motor control circuit, it is possible to realize high-density mounting properly by using a fuse switch or a no-fuse breaker, and to operate only the control circuit even in the state of disconnection of the main circuit. You can get a control center to improve your work efficiency.

이와 같이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유닛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하는 다수의 유닛실의 후부에 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서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와 유닛의 주회로를 전원측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와 유닛의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유닛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조작핸들, 차단장치, 전자 개폐기, 주회로 커넥터를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를 상기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하였으므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center has an opening in the front of the van and a control handle in a control center having a main circuit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of the unit to an external main circuit at the rear of a plurality of unit chambers in which the unit can be pulled forward. A main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of the unit to the power supply side load side and a control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rol circuit of the unit to an external circuit; Since an operation handle, a breaker, an electronic switch, and a main circuit connector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is arranged side by side under the main circuit connector, a control center capable of appropriately realizing high density mounting can be obtained.

또,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를 나란히 배치하였으므로 고밀도 실장을 보다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circuit connector is arranged with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connectors side by side so that the respective terminals ar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control center capable of more appropriately implementing high density mounting can be obtained.

또,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를 나란히 해서 배치하였으므로 고밀도 실장을 한층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circuit connector is arranged so that the terminals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terminals of each phase a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control center capable of more appropriately implementing high density mounting can be obtained.

또,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 유닛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상기 외부 회로에 접속가로 하였으므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주회로 단로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하고 시험시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circu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at the main circuit connection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of 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unit, high-density mounting can be appropriately realized, and only the control circuit can be operated even in the main circuit disconnection state. A control center can be obtained to improve the efficiency.

또, 상기 차단장치는 퓨즈스위치를 사용하였으므로 퓨즈스위치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said breaker used fuse switch, the control center which can implement | achieve a high density mounting suitably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breaker which consisted of a fuse switch.

또, 상기 차단장치는 노프즈 브레이커를 사용하였으므로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said breaker used the nose breaker, the control center which can implement | achieve a high density mounting suitably by using the breaker which consists of a no-fuse breaker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는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수의 제어유닛을 다단다열 정렬해서 또 전방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소유하고, 유닛실 후부에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서, 제어유닛은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 제어동작을 하는 전자 개폐기와,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커넥터와,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는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에 조작해들, 차단장치, 전자 개폐기, 주회로 커넥터를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하고, 제어회로 커넥터를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The control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owns a unit chamber that has an opening in the front of the van and has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long inwardly arranged in a multi-stage array and retractable in the front. In a control center having a main circuit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a circuit to an external main circu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ircuit breaker having an operation handle, an electronic switchgear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a main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to a power supply side and a load side external main circuit. And a control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rol circuit to an external circuit, and operating inwardly of the control unit, arranging the circuit breaker, the electronic switchgear, and the main circuit connector side by side in order. It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wer part. For this reason, the control center which can implement | achieve a high density mounting suitably can be obtained.

또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 실장을 보다 적절하게 실현 가능한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In the main circuit connector, connectors on the power supply side load side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terminals of each phase ar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ntrol center which can realize high density mounting more appropriately.

또 주회로 커넥터는 각상 단자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 실장을 한층 적절하게 실현 가능한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In the main circuit connector, connectors on the power supply side load side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terminals are horizontal in each phase. For this reason, the control center which can implement | achieve a high density mounting more appropriately can be obtained.

또 제어회로 커넥터는 제어유닛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외부 회로에 접속가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 가능할뿐 아니라 주회로 단로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하고 시험시에서의 작업효율 을 향상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at the main circuit connection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As a result, not only the high-density mounting can be appropriately realized but also the control circuit can be operated only in the disconnection state of the main circuit, and a control center can be obtained that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during the test.

또 차단장치는 퓨즈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퓨즈스위치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차단장치는 노퓨즈 브레이커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노퓨즈 브레이커로 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히 실현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The breaker uses a fuse switch. For this reason, the control center which can implement | achieve a high density mounting suitably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fuse switch disconnection device. The breaker also uses a no-fuse breaker. For this reason, the control center which can implement | achieve a high density mounting suitably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breakdown device which is a no fuse breaker.

Claims (3)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수의 제어유닛을 다단다열로 정렬하고, 또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실 후부에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  A unit chamber having an opening in the front surface of the van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long inwardly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nd retractable forwardly; and a main circuit of the control unit at the rear of the unit chamber. In a control center having a main circuit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main circuit, 상기 제어유닛은 The control unit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A blocking device having an operation handle, 제어동작을 행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와,An electronic switch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의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와, A main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of the control unit to external main circuits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Control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rol circuit to external circuits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조작핸들, 상기 차단장치, 상기 전자 개폐기,및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상기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으로 상기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되고,The operation handle, the blocking device, the electromagnetic switch, and the main circuit connector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order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는 상기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is disposed side by side below the main circuit connector,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각각의 상의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센터.The main circuit connector is a control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terminals of the respective ph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반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고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다수의 제어유닛을 다단다열로 정렬하고, 또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유닛실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실 후부에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갖는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    A unit chamber having an opening in the front surface of the van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long inwardly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nd retractable forwardly; and a main circuit of the control unit at the rear of the unit chamber. In a control center having a main circuit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main circuit, 상기 제어유닛은 The control unit 조작핸들을 갖는 차단장치와,A blocking device having an operation handle, 제어동작을 행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와,An electronic switch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의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와, A main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of the control unit to external main circuits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제어회로를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Control circui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rol circuit to external circuits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조작핸들, 상기 차단장치, 상기 전자 개폐기,및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상기 제어유닛의 안쪽방향으로 상기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되고,The operation handle, the blocking device, the electromagnetic switch, and the main circuit connector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order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는 상기 주회로 커넥터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is disposed side by side below the main circuit connector, 상기 주회로 커넥터는 각각의 상의 단자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센터.The main circuit connector is a control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on the power supply side, the load side is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terminals of the respective ph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는 상기 제어유닛의 주회로 접속 위치 및 시험 위치에서 상기 외부회로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센터.And the control circuit connector i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external circuit at the main circuit connection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KR1020037008687A 2001-10-30 2002-03-08 Control center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1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2102 2001-10-30
JP2001332102 2001-10-30
PCT/JP2002/002207 WO2003038962A1 (en) 2001-10-30 2002-03-08 Control ce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703A KR20040028703A (en) 2004-04-03
KR100548174B1 true KR100548174B1 (en) 2006-01-31

Family

ID=1914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6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174B1 (en) 2001-10-30 2002-03-08 Control cent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33821B2 (en)
KR (1) KR100548174B1 (en)
CN (1) CN1314178C (en)
TW (1) TWI313089B (en)
WO (1) WO2003038962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57B1 (en) 2008-08-08 2010-04-2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Multi switchboard with two-stage entry / exit structure
KR101357285B1 (en) 2013-09-04 2014-01-2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Drawer unit for branch breaker with multi load in switchgear
KR102744558B1 (en) * 2024-03-08 2024-12-19 주식회사 퍼스텍 Electrical panel for automation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0A (en) * 1993-04-09 1995-01-06 San House Kk Sexual act infectious disease preventing protector
JP4873994B2 (en) * 2006-05-24 2012-02-08 中国電力株式会社 Circuit breaker position display device
JP5190407B2 (en) * 2009-04-20 2013-04-24 三菱電機株式会社 Functional unit and control cen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5603Y2 (en) * 1974-11-20 1980-06-20
JPS57197713U (en) * 1981-06-10 1982-12-15
JPS6339405A (en) * 1986-07-30 1988-02-19 株式会社戸上電機製作所 Enclosed switchboard
US5225962A (en) * 1992-03-11 1993-07-06 Square D Company Distribution board with rear electrical acc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57B1 (en) 2008-08-08 2010-04-2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Multi switchboard with two-stage entry / exit structure
KR101357285B1 (en) 2013-09-04 2014-01-2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Drawer unit for branch breaker with multi load in switchgear
KR102744558B1 (en) * 2024-03-08 2024-12-19 주식회사 퍼스텍 Electrical panel for automation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3089B (en) 2009-08-01
KR20040028703A (en) 2004-04-03
JPWO2003038962A1 (en) 2005-02-24
CN1483233A (en) 2004-03-17
WO2003038962A1 (en) 2003-05-08
JP4133821B2 (en) 2008-08-13
CN1314178C (en)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864B1 (en) Power distributor and control center
EP0144753B1 (en) Enclosed switchgear
KR101337012B1 (en) Switchgear
EP1786070B1 (en) Multiple height, high density horizontal low voltage motor control center
RU2420845C2 (en) Distribution device for electric equipment
US9941645B2 (en) Compact plug assemblies for plug and socket unit isolator systems for motor control centers (MCC)
JP5484638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KR100548174B1 (en) Control center
EP0092774B1 (en) Switch board
KR100500865B1 (en) Control center
JP2013141407A (en) Distribution panel
US4133994A (en) Cell of low-voltage feed and distribution cellular switchboard
EP0909472B1 (en) Modular cabinet arrangement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users, particularly motors
CN1037796C (en) Combination switch cabinet
KR101070575B1 (en) switchgear
PL196532B1 (en) Switchpanel for circuit breakers, with a device compartment and a cable terminal compartment
JP3081949B2 (en) Multi-stage draw-out closed switchboard
RU2806084C1 (en) Improved four-pole output socket
KR100729191B1 (en) Switch board for generator of marine
CN107591262B (en) Control and protection switch
JPH0946829A (en) Busbar bushing for 2-stage circuit breaker
JP2007318980A (en) Drawer type equipment and switchboard
JP2874502B2 (en) switchboard
JP2022172767A (en) Switch gear
EP3903391A1 (en) Switching and/or distribu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