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3831B1 -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 Google Patents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831B1
KR100543831B1 KR1020050034152A KR20050034152A KR100543831B1 KR 100543831 B1 KR100543831 B1 KR 100543831B1 KR 1020050034152 A KR1020050034152 A KR 1020050034152A KR 20050034152 A KR20050034152 A KR 20050034152A KR 100543831 B1 KR100543831 B1 KR 10054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shaft
gear
shaft member
manual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양
Original Assignee
(주)동광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알파 filed Critical (주)동광알파
Priority to KR102005003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8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는, 외부 손잡이와 내부 손잡이가 연동되지 않는 이중 회전축 결합구조를 갖고, 내부 손잡이에 의해서만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일시에 작동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레버 구동부; 상기 레버 구동부에 연동되는 데드볼트를 모터구동에 의해 잠금 상태 및 해제상태를 제어하고,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쇠나 섬턴, 레버를 이용해, 구동모터 및 이와 연동된 감속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수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된 모터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 손잡이와 내부 손잡이가 연동되지 않는 이중 회전축 결합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내부 손잡이에 의해서만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일시에 작동되어 잠금상태 해제가 됨에 따라, 사용자는 위급 상황 시, 정신이 없는 와중에도 한번에 도어를 열고 긴급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어 귀중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구동에 의해 데드볼트의 잠금 상태 및 해제상태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열쇠나 섬턴을 이용해 데드볼트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 및 수동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Door lock device automatic and hand-operated control combine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 구동부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어셈블리 구조를 부분 결합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외부 손잡이 작동에 의한 도어 개폐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내부 손잡이 작동에 의한 도어의 패닉 기능을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 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동기어와 축 부재에 결합된 회동기어의 결합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가변형 탄성가압부재에 의한 데드볼트의 양방향 지지구조를 설명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외부 손잡이 120: 축 부재
121: 몸체 122: 상단 회동축
123: 고정키 124: 하단 회동축
125: 관통공 130: 제1 연동 아암
131: 축 고정부 132: 삽입공
133: 키홈 134: 좌/우 회동 제한턱
135: 래치홀더 구동부 140: 제2 연동아암
141: 축 회동부 142: 힌지홀
143: 핀홀 145: 데드볼트 구동부
150: 핀 연결부재 151: 대향핀
153: 평면부 154: 결합홀
160: 내부 손잡이 171: 래치홀더
173: 래치볼트
210: 동력 발생부 211: 모터
213: 회전축 215: 웜기어
220: 감속부 223: 감속기어
230: 종동기어 231: 하판기어
233: 상판기어 233a: 구간 치형부
240: 제2 축부재 241: 몸체
242: 상단 회동축 243: 하단 회동축
244: 고정키 245: 관통공
250: 회동기어 251: 키홈
253: 구간 치형부 260: 스위칭판
261: 키홈 263: 접지날개
264: 좌측 센서 265: 우측 센서
270: 제3 연동아암 271: 안내돌기
280: 데드볼트 281: 안내홈
283,284: 좌/우 경사면
본 발명은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문에 장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을 문틀에 고정시키거나 문틀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보안용 장치로서, 크게 실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케이스, 실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백셋(backset)으로 구성된다.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는 백셋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보통 전기적 장치와 기구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백셋에는 상기 전기적 장치에 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물리적인 힘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기(예를 들면 모터 등)와, 상기 기구적 장치에 반응하는 연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연동수단은 데드볼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데드볼트는 문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거나 해방되는 구조에 의해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백셋은 보안용 장치로서의 역할을 위해 설정된 조건(비밀번호 입력, 키(key) 입력 등)을 만족하지 않을 때에 지속적으로 데드볼트가 문틀의 홈에 고정되는 상태(이하 이를 '잠금 상태'라 한다)를 유지시키는 기능과,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데드볼트를 문틀의 홈에서 고정되지 않게 하는 상태(이하 이를 '잠금 해제 상태'라 한다)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여기서, 잠금 상태는 내부 및 외부 핸들을 조작하여도 데드볼트가 움직이지 않으며, 잠금 해제 상태는 내부 및 외부 핸들의 조작에 따라 데드볼트가 움직이게 된다.
백셋은 상기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만족시키는 기능을 동력 발생기와 연동 수단을 통해 달성한다. 연동 수단은 보통 상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는 내부 핸들 및 외부 핸들의 조작이 데드볼트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력 발생기의 구동에 의해 또는 기구적 장치의 물리적 힘에 의해 내부 핸들 및 외부 핸들의 조작이 데드볼트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내부에서 도어를 열고 나가기 위해서는 데드볼트의 잠금상태가 우선적으로 해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잠금상태 해제 버튼을 조작시켜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다음 내부 손잡이를 조작해 래치볼트를 해제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두 단계 이상을 거쳐야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는 실내에 화재나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순간적으로 판단력을 잃게 되는 사용자는 내부 손잡이만을 돌려 탈출을 시도하게 되거나, 내부 잠금 레버 등을 실수로 오작동시켜 오히려 당황스럽고 어려운 상황이 발생됨에 따라 충분히 대피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불구하고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심각한 문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모터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모터 회전축을 데드볼트와 연동되는 데드레버 아암의 회전축과 직접 축결합시켜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모터구동방식은 열쇠나 섬턴, 손잡이를 이용해 데드볼트를 직접 제어하게 될 경우, 부득이하게 모터를 사용자의 완력으로 강제 구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강제 구동할 경우, 과부하가 발생되어 모터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터의 출력을 향상시키고자 감속기 구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완력만으로 감속기 기어 및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어, 대용량의 모터를 직접 연결해 사용되는데, 이로 인해, 모터 구입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고, 도어락 장치의 세트가 커지게 되어 제조비용 및 물류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취급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외부 손잡이와 내부 손잡이가 연동되지 않는 이중 회전축 결합구조를 갖고, 내부 손잡이에 의해서만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일시에 작동되어 잠금상태 해제가 되도록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구동에 의해 데드볼트의 잠금 상태 및 해제상태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열쇠나 섬턴을 이용해 데드볼트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제어 시, 감속기어 및 구동모터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에서 데드볼트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모터를 강제 역회전 시키는 것이 방지되고, 모터에 과부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시켜 모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속부를 통해 동력이 최대한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되는 모터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락 장치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물류비용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는, 외부 손잡이와 내부 손잡이가 연동되지 않는 이중 회전축 결합구조를 갖고, 내부 손잡이에 의해서만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일시에 작동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레버 구동부; 상기 레버 구동부에 연동되는 데드볼트를 모터구동에 의해 잠금 상태 및 해제상태를 제어하고,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쇠나 섬턴, 레버를 이용해, 구동모터 및 이와 연동된 감속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수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된 모터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 구동부는 도어 외측에서 설치되는 외부 손잡이; 상기 외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백셋 내부에 설치되는 축 부재; 상기 축 부재의 일측 외경에 삽입 고정되어 축 부재와 함께 회동되는 제1 연동아암; 상기 제1 연동아암과 대면하도록 축 부재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축 부재에 관통된 상태로 자유 회동되는 제2 연동아암; 상기 제2 연동아암의 회전축 바깥에 일단이 정합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된 핀 연결부재; 상기 핀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동되도록 도어 내측에서 설치되어 제2 연동암이 회동되도록 하는 내부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 역 구동되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들로 조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의 구동 출력이 증가되도록 한 감속부; 상기 감속부의 회전력을 데드볼트 작동을 위한 구동력으로 제공하고, 90° 구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도록 된 구간치형부를 갖는 상판기어 및 하판기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종동 기어; 상기 종 동기어와 맞물리도록 된 회동기어; 상기 회동기어가 축 결합되는 제2 축부재; 상기 회동기어 하측에서 제2 축부재와 축 결합되는 스위칭 판; 상기 제2 축부재 상단에 결합되어 제2 축부재와 함께 회동되는 제3 연동아암; 상기 제3 연동아암에 의해 직선운동 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동 도면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레버 구동부(100)와, 모터 구동부(20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장치의 레버 구동부(100)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레버 구동부(100)는 크게 외부 손잡이(110), 축 부재(120), 제1 연동아암(130), 제2 연동아암(140), 핀 연결부재(150), 내부 손잡이(16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손잡이(110)는 도어 외측에서 설치되고, 도어 내측의 축 부재(120)와 연동된다.
상기 축 부재(120)는, 원통형상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 상/하단에 돌출되는 상/하단 회동축(122)(124)과, 상기 상단 회동축(122)의 하부 외경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한 고정키(1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 부재(120)는 상/하단 회동축(122)(124)을 관통하는 관통공(125)을 더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25)에 외부 손잡이(11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키(123)는 안정적인 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양 방향 내지 세 방향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축 부재(120)는 외부 손잡이(110)의 작동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백셋 내부에 설치되는데, 내측에 제1 연동아암(130)이 결합된다.
상기 제1 연동아암(130)은 축 부재(120)의 상단 회동축(122)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132)과, 상기 삽입공(132) 내주연에 고정키(123)가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키홈(133)과, 상기 삽입공(132)의 바깥 외주연의 적정 구간 내에 핀 연결부재(150)가 관통되어 회동이 제한되도록 돌출 형성하는 좌/우 회동 제한턱(134)으로 이루어진 축 고정부(131)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축 고정부(131)의 일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치홀더(171) 및 래치홀더(171)와 연동되는 래치볼트(173)를 이동시키도록 된 래치홀더 구동부(135)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연동아암(130)은 축 부재(120)의 일측 외경에 삽입 고정되어 축 부재(120)와 함께 회동되면서, 래치볼트(173)의 문틀 결합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제2 연동아암(140)은 축 부재(120)의 상단 회동축(122)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힌지홀(142)과, 상기 힌지홀(142)의 바깥 외주연의 대향면에 각각 핀 연 결부재(150)가 정합되도록 형성하는 핀홀(143)로 이루어진 축 회동부(141)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축 회동부(141)의 일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치볼트(173) 및 데드볼트(280; 도 2a 참조)를 동시에 잠금 해제시키도록 하는 데드볼트 구동부(145)를 구성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연동아암(140)은 상기 제1 연동아암(130)과 대면하도록 축 부재(120)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축 부재(120)에 관통된 상태로 자유 회동도록 핀 연결부재(150)와 정합된다.
상기 핀 연결부재(150)는 제2 연동아암(140)의 외주연과 정합되는 한 쌍의 대향핀(151)과, 상기 대향핀(151)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평면부(153)와, 상기 평면부(153)에 내부 손잡이(160)가 결합되도록 형성한 결합홀(154)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핀 연결부재(150)는 제2 연동아암(140)의 회전축 바깥에 일단이 정합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에 내부손잡이(160)가 결합된다.
상기 내부 손잡이(160)는 도어 내측에서 설치되어 제2 연동아암(140)이 회동되도록 하는데,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외부 손잡이(110)와 연계작동하지 않고, 별다른 버튼 조작 없이, 내부 손잡이(160) 조작에 의해 데드볼트(280) 및 래치볼트(173)를 한번에 작동시켜 도어를 열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패닉(Panic)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작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어셈블리 구조를 부분 결합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외부 손잡이 작동에 의한 도어 개폐과정을 보인 개략도 이다.
우선, 사용자가 외부에서 열쇠 또는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데드볼트(28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열쇠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열쇠를 이용해 제3 데드볼트 연동아암(270)을 도 3a에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3 데드볼트 연동아암(270)과 연동된 데드볼트(280)가 백셋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문틀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을 설명하면, 입력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에 의해 상기 제3 데드볼트 연동아암(270)이 직접 작동되어 데드볼트(280)를 백셋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을 통해 데드볼트(280)의 잠김 상태가 해제 되면, 도 3b에서와 같이 외부 손잡이(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외부 손잡이(110)와 연동 결합된 축 부재(120)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 부재(120)의 상단 회동축(122)에는 제1 연동아암(130)이 고정키(123) 및 키홈(133)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연동아암(130)이 상기 축 부재(120)의 회동방향(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방향 단면에 핀 접지되고 있는 래치홀더(171)를 백셋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와 연동된 래치볼트(173)가 백셋 내부로 삽입되어 도어를 열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b에서와 같이 축 부재(120) 및 제1 연동아암(130) 회동되더라도 제2 연동아암(140) 및 이와 연동된 핀 연결부재(150)는 회동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외부 손잡이(110)가 작동되더라도 내부 손잡이(160)는 작동하지 않는 이중 회전축 구조를 갖는다.
이때,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상기 제1 연동아암(130)은 삽입공(132)의 바깥 외주연 일측의 회동 제한턱(134)이 핀 연결부재(150)에 맞닿아 회동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축 부재(120)의 상단 회동축(122)과 제2 연동아암(140)이 고정 결합되지 않고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됨으로써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내부 손잡이 작동에 의한 도어의 패닉 기능을 보인 개략도 이다.
우선, 화재나 시급을 다투는 비상 상황을 가정하여 사용자가 내부 손잡이(16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 손잡이(160)와 축 결합된 핀 연결부재(150)가 회동되고, 상기 핀 연결부재(150)는 제2 연동아암(140)을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연동아암(140)은 축 회동부(14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축 회동부(141) 일측으로 연장된 데드볼트 구동부(145)에 의해 제3 데드볼트 연동아암(270)을 연동하게 된다.
상기 제3 데드볼트 연동아암(270)은 데드볼트(280)와 연동되어 있어 데드볼트(280)를 백셋 내측으로 이동시켜 문틀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연동아암(140)이 회동될 때, 데드볼트 구동부(145)의 회동 반경 내에 래치홀더(171)의 핀 접지부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래치홀더(171) 및 이와 연동된 래치볼트(173)를 백셋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즉, 내부 손잡이(160)의 회동됨에 따라 데드볼트(280)와 래치볼트(173)가 동시에 작동되어 문틀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는 위급 상황 시, 긴급히 도어를 열고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 손잡이(160) 및 제2 연동아암(140)이 작동되어도 제1 연동아암(130) 및 이와 연동된 외부 손잡이(110)가 회동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축 부재(120)의 상단 회동축(122)과 제2 연동아암(140)이 고정 결합되지 않고,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2중 회전축 고정구조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동력 발생부(210), 감속부(220), 종동기어(230), 제2 축부재(240), 회동기어(250), 스위칭판(260), 제3 연동아암(270), 데드볼트(280; 도8 참조)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 발생부(210)는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전원에 의해 정, 역 구동되는 모터(211)와, 상기 모터(211)의 회전축(213), 상기 회전축(213)에 결합되는 웜 기어(21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211)의 회전동력은 웜기어(215)를 통해 감속부(220)에 전달된다.
상기 감속부(220)는 동력 발생부(210)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223)들로 조합되어, 상기 동력 발생부(210)의 구동 출력이 증가되도록 하는데, 상기 감속기어(223)는 동일 회전축 상에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기어가 결합되도록 한 다단기어 또는 복수 개의 다단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감속부(220)의 회전력은 종동기어(230)에 전달되어, 데드볼트(도 5참조) 작동을 위한 구동력으로 제공된다.
상기 종동기어(230)는 하판기어(231) 및 상판기어(23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판기어(233)는 90°구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도록 된 구간치형부(233a)를 형성한다.
이처럼, 구간치형부(233a)를 90°구간에만 형성하는 것은 이와 맞물리도록 된 회동기어(250)의 회전 범위가 90°로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종동기어(230)와 회동기어(250)의 기어크기는 동일해야 한다.
상기 회동기어(250)는 제2 축부재(240)의 고정키(244)와 정합되는 다수 개의 키홈(251)이 내경에 형성되고, 그 외경에는 90°∼120°구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도록 된 구간치형부(253)를 갖는다. 상기 회동기어(250)는 제2 축부재(240)에 축 결합되어 함께 회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 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 여지는 바와 같은 제2 축부재(240)는 원통형 몸체(24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41) 상/하단에 각각 백셋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기 위한 상/하단 회동축(242)(243)을 형성하며, 상기 상/하단 회동축(242)(243)을 관통하는 관통공(245)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 회동축(243) 상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키(244)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축부재(240)의 하단 회동축(243)에 스위칭판(260)이 더 결합된다.
상기 스위칭판(260)은 제2 축부재(240)의 고정키(244)와 정합되는 다수 개의 키홈(251,261)이 내경에 형성되고, 그 외경의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접지날개(263)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접지날개(263)는 제2 축부재(240)의 회전됨에 따라 좌우로 회동되고 좌, 우측에 설치된 센서(도5 참조)를 번갈아 접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축부재(240) 상단에는 제2 축부재(240)와 함께 회동되는 제3 연동아암(270)이 결합된다.
상기 제3 연동아암(270)은 끝단 저면에 적어도 세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된 사각형상의 안내돌기(27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 연동아암(270)의 회전운동에 의해 데드볼트(280)가 직선운동 하게 되는데, 상기 데드볼트(280)는 제3 연동아암(270)의 안내돌기(271)가 삽입되는 안내홈(28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안내홈(281) 내측에 좌/우 경사면(283)(284)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좌/우 경사면(283)(284)은 45°경사면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동기어와 축 부재에 결합된 회동기어의 결합구조를 보인 측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보인 개략도 이다.
우선,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211)에 전원이 인가되고, 회전이 제어된다.
상기 모터(211)는 웜기어(215)를 회전시켜 감속부(220)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감속부(220)를 통해 출력이 증가되어 종동기어(23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230)는 하판기어(231) 및 상판기어(233)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상판기어(233)는 90°구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는 구간치형부(233a)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구간치형부(233a)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즉, 데드볼트의 잠김 상태)에서는 회동기어(250)의 구간치형부(253)로부터 분리된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대기 상태에서 축 부재(240)의 관통공(245)에 연동되는 열쇠나 섬턴(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 레버의 일종)을 조작하게 되면, 종동기어(230)에 간섭되지 않고 데드볼트 연동아암(270)을 회동시켜 데드볼트(280)를 잠금 및 해제 상태로 수동제어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연동아암(270)은 도 1내지 도 4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내부 손잡이(160)에 의해 회동되는 제2 연동아암(140)에 의해서도 작동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상태를 보인 개략도 이다.
이어서, 모터(211) 구동에 의해 종동기어(230)의 상판기어(23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상판기어(233)의 구간치형부(233a)가 회동기어(250)의 구간치형부(253) 치합되어 회전되기 시작해서 치합구간이 끝날 때까지 회동기어(250)를 90°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회동기어(250)가 90°회동된 상태 즉, 상판기어(233)의 구간치형부(233a)와 회동기어(250)의 구간치형부(253)가 치합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모터(211)의 회전이 정지되는데, 이는 회동기어(250)와 함께 회전되는 스위칭판(260)의 접지날개(263)가 우측센서(265)를 작동하게 되고, 상기 우측센서(265)로부터 전해진 신호에 의해 모터(2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 내측에서 섬턴을 이용해 제3 연동아암(270)을 역 회동시켜 데드볼트(280)를 잠금 상태로 할 수 있는데, 제3 연동아암(270)과 함께 회동기어(250)가 역회전되더라도 본 발명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항상 회동기어(250)와 종동기어(230)의 연결이 끊겨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모터(211) 또는 웜기어(215)에 역회전력이 작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설정시간 내에 도어를 개방시키지 않으면, CPU는 구동모터(211)를 역회전시켜 종동기어(2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종동기어(230)와 치합되어 회동기어(250)가 시계방향으로 90°회동하면서, 제3 연동아암(270)을 회동시켜, 이와 연동된 데드볼트(280)를 백셋 바깥으로 돌출시켜 잠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회동기어(250)가 90°회동된 상태 즉, 상판기어(233)의 구간치형부(233a)와 회동기어(250)의 구간치형부(253)가 치합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모터(211)의 회전이 정지되는데, 이는 회동기어(250)와 함께 회전되는 스위칭판(260)의 접지날개(263)가 좌측센서(264)를 작동하게 되고, 상기 좌측센서(264)로부터 전해진 신호에 의해 모터(211)가 구동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가변형 탄성가압부재에 의한 데드볼트의 양방향 지지구조를 설명한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코일 형상의 탄성가압부재(290)의 힌지 결합단(291)이 데드볼트(280)의 몸체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가압부재(290)의 고정단(293)이 백셋 케이스에 고정된다.
도 10a는 데드볼트(280)가 돌출되도록 탄성력이 작용되는데 상기 탄성가압부재(290)는 힌지 결합단(291)과 고정단(293) 사이에서 팽창력이 작용되고 있다. 이후, 도 10b와 같이 데드볼트(280)를 백셋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탄성가압부재(290)의 힌지 결합단(291)과 고정단(293)이 교차되는 시점까지 압축력이 강제적으로 작용되고 있다. 이후 계속해서 도 10c와 같이 데드볼트(280)를 이동시켜 힌지 결합단(291)과 고정단(293)이 교차점을 벗어나게 되면 그 순간부터 데드볼트(280)를 열림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팽창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기술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 손잡이와 내부 손잡이가 연동되지 않는 이중 회전축 결합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내부 손잡이에 의해서만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일시에 작동되어 잠금상태 해제가 됨에 따라, 사용자는 위급 상황 시, 정신이 없는 와중에도 한번에 도어를 열고 긴급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어 귀중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모터구동에 의해 데드볼트의 잠금 상태 및 해제상태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열쇠나 섬턴, 레버를 이용해 데드볼트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 및 수동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동제어 시, 감속기어 및 구동모터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에서 데드볼트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모터를 강제 역회전 시키는 것이 방지되고, 모터에 과부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시켜 모터의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속부를 통해 동력이 최대한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되는 모터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락 장치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 절감 및 물류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취급이 쉬워져 제품의 고급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외부 손잡이와 내부 손잡이가 연동되지 않는 이중 회전축 결합구조를 갖고, 내부 손잡이에 의해서만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일시에 작동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외측에서 설치되는 외부 손잡이
    상기 외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백셋 내부에 설치되는 축 부재
    상기 축 부재의 일측 외경에 삽입 고정되어 축 부재와 함께 회동되는 제1 연동아암
    상기 제1 연동아암과 대면하도록 축 부재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축 부재에 관통된 상태로 자유 회동되는 제2 연동아암
    상기 제2 연동아암의 회전축 바깥에 일단이 정합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된 핀 연결부재
    상기 핀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동되도록 도어 내측에서 설치되어 제2 연동암이 회동되도록 하는 내부 손잡이로 구성되는 레버 구동부;와,
    상기 레버 구동부에 연동되는 데드볼트를 모터구동에 의해 잠금 상태 및 해제상태를 제어하고,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쇠나 섬턴, 레버를 이용해, 구동모터 및 이와 연동된 감속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수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된 모터 구동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2. 삭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상/하단에 돌출되는 상/하단 회동축과, 상기 상단 회동축의 하부 외경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한 고정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아암은, 축 부재의 상단 회동축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 내주연에 고정키가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키홈과, 상기 삽입공의 바깥 외주연의 적정 구간 내에 핀 연결부재가 관통되어 회동이 제한되도록 돌출 형성하는 좌/우 회동 제한턱으로 이루어진 축 고정부;
    상기 축 고정부의 일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치홀더 및 래치홀더와 연동되는 래치볼트를 이동시키도록 된 래치홀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동아암은, 축 부재의 상단 회동축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힌지홀과, 상기 힌지홀의 바깥 외주연의 대향면에 각각 핀 연결부재가 정합되도록 형성하는 핀 홀로 이루어진 축 회동부;
    상기 축 회동부의 일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동시에 잠금 해제시키도록 하는 데드볼트 구동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 연결부재는, 제2 연동아암의 외주연과 정합되는 한 쌍의 대향 핀과, 상기 대향 핀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내부 손잡이가 결합되도록 형성한 결합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 역 구동되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들로 조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의 구동 출력이 증가되도록 한 감속부;
    상기 감속부의 회전력을 데드볼트 작동을 위한 구동력으로 제공하고, 90° 구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도록 된 구간치형부를 갖는 상판기어 및 하판기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종동 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한편, 제2 축부재의 고정키와 정합되는 다수 개의 키홈이 내경에 형성되고, 그 외경에는 90°∼120°구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도록 된 구간치형부를 갖는 회동기어;
    상기 회동기어가 축 결합되는 제2 축부재;
    상기 회동기어 하측에서 제2 축부재와 축 결합되는 스위칭 판;
    상기 제2 축부재 상단에 결합되어 제2 축부재와 함께 회동되는 제3 연동아암;
    상기 제3 연동아암에 의해 직선운동 되는 데드볼트;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부재는 원통형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 상/하단에 각각 백셋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기 위한 상/하단 회동축을 형성하며, 상기 상/하단 회동축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 회동축 상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키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는 제3 연동아암의 안내돌기가 삽입되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의 좌우측 수직면에 연장되어 45°경사면을 이루도록 된 좌/우 고정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는 코일 형상의 탄성가압부재의 힌지 결합단이 몸체에 힌지 결 합되고, 탄성가압부재의 고정단이 백셋 케이스에 고정됨에 따라 이동방향에 따른 양방향 탄성력을 지지받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20050034152A 2005-04-25 2005-04-25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54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52A KR100543831B1 (ko) 2005-04-25 2005-04-25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52A KR100543831B1 (ko) 2005-04-25 2005-04-25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3831B1 true KR100543831B1 (ko) 2006-01-20

Family

ID=3717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1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3831B1 (ko) 2005-04-25 2005-04-25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83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33B1 (ko) 2006-06-29 2007-09-06 김종엽 전자식 문 잠금장치용 백셋
KR100786338B1 (ko) 2006-11-29 2007-12-14 주식회사 웅진해피올 전자도어락의 백셋
KR100817019B1 (ko) 2006-09-27 2008-03-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용 휠부재 일체형 도어정 손잡이
KR100817017B1 (ko) 2006-09-08 2008-03-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8-08-29 (주)나이락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KR100895874B1 (ko) 2007-04-10 2009-04-30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도어록
CN101769103A (zh) * 2008-12-29 2010-07-07 张仙驰 遥控电动螺纹锁
WO2013103205A1 (ko) * 2012-01-03 2013-07-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CN103422728A (zh) * 2012-05-16 2013-12-04 天津海州科工贸有限公司 一控信息通锁器
KR20140137930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CN110029877A (zh) * 2019-05-19 2019-07-19 德施盾(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双驱锁体
CN110195528A (zh) * 2019-07-02 2019-09-03 德施盾(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锁体
CN114622776A (zh) * 2022-03-17 2022-06-14 张毅 一种防碰撞的弹簧锁紧机构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33B1 (ko) 2006-06-29 2007-09-06 김종엽 전자식 문 잠금장치용 백셋
KR100817017B1 (ko) 2006-09-08 2008-03-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KR100817019B1 (ko) 2006-09-27 2008-03-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용 휠부재 일체형 도어정 손잡이
KR100786338B1 (ko) 2006-11-29 2007-12-14 주식회사 웅진해피올 전자도어락의 백셋
KR100895874B1 (ko) 2007-04-10 2009-04-30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도어록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8-08-29 (주)나이락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CN101769103A (zh) * 2008-12-29 2010-07-07 张仙驰 遥控电动螺纹锁
WO2013103205A1 (ko) * 2012-01-03 2013-07-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CN103422728A (zh) * 2012-05-16 2013-12-04 天津海州科工贸有限公司 一控信息通锁器
KR20140137930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1982277B1 (ko) * 2013-05-24 2019-05-24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CN110029877A (zh) * 2019-05-19 2019-07-19 德施盾(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双驱锁体
CN110195528A (zh) * 2019-07-02 2019-09-03 德施盾(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锁体
CN114622776A (zh) * 2022-03-17 2022-06-14 张毅 一种防碰撞的弹簧锁紧机构
CN114622776B (zh) * 2022-03-17 2023-10-13 张毅 一种防碰撞的弹簧锁紧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US6517127B1 (en) Electric door lock
KR200469274Y1 (ko)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CN103375051A (zh) 能够双向解锁的榫眼结构
US11808059B2 (en) Lock for door
CN210738299U (zh) 提升组装性和操作稳定性的榫眼
JP3880661B2 (ja) 電気錠
KR200446206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장치
KR101595853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0516150B1 (ko)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KR200476806Y1 (ko)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CN109653602B (zh) 包括弹键闩自动松开结构的数字门锁
KR200457974Y1 (ko)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0543829B1 (ko)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JP4179686B2 (ja) 電気錠のデッドボルト制御機構
KR101912381B1 (ko) 디지털 도어락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20220104430A (ko) 푸쉬풀 타입 핸들을 갖는 도어락 장치
TWM367955U (en) Latch-interconnected mechanism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444405Y1 (ko) 디지털식 도어록
CN116241129B (zh) 一种锁体
CN222863077U (zh) 一种执手离合机构及锁具
JPH03410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