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1902B1 -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902B1
KR100541902B1 KR1020030052498A KR20030052498A KR100541902B1 KR 100541902 B1 KR100541902 B1 KR 100541902B1 KR 1020030052498 A KR1020030052498 A KR 1020030052498A KR 20030052498 A KR20030052498 A KR 20030052498A KR 100541902 B1 KR100541902 B1 KR 10054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veying
post
guide
shee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526A (ko
Inventor
후까쯔마사요시
구와따다까시
세끼야마준이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27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the nip between moving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2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surface of outermost articles of the pile, e.g. in nip between pair of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65H2404/1442Trip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시트 후처리 장치는 시트를 이송하는 중간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를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 상부 안내부 및 이송 하부 안내부와, 이송 상부 안내부 및 이송 하부 안내부의 하류측에서 시트를 배출시키는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와,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아암과,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아암을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캠과, 중간 롤러보다 낮게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이송 하부 안내부에 적층된 시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스테이플러와, 아암이 캠에 의해 변위된 때 이송 상부 안내부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링크 부분과, 링크 레버를 포함한다.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스테이플러,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는 하류측에 순서대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 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SHEET CONVEYING APPARATUS,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 및 시트 후처리 장치가 구비되고 시트 이송 장치에 의해 시트를 이송하거나 시트 후처리 장치에 의해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고 시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경로가 차지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을 좁히도록 형성된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이러한 시트 이송 장치 및 시트 후처리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예컨대 시트 후처리 장치는 중간 적층부(intermediate stacking portion)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수용된 시트의 단부를 배열시키는 정렬과, 시트가 예컨대 스테이플러(stapler)에 의해 묶여지는 시트 후처리부에서의 후처리를 수행하며, 시트를 배출하여 적층시킨다. 시트 후처리 수단인 시트 후처리부, 중간 롤러, 시트 배출 롤러 등은 중간 적층부에 마련된다. 시트 후처리부는 중간 롤러의 닙(nip)보다 높은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시트 후처리 모드에서, 종래 기술의 시트 후처리 장치는 중간 롤러를 통해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으로 통과한 시트를 일단 스위치백 이송하고 나서, 시트를 기준벽에 대해 부딪치게 하며, 시트의 후단부를 정렬시킨다. 그리고 나서, 시트 후처리 장치는 그 위치에서 시트 후처리부에 의해 시트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시트 배출 롤러에 의해 시트를 적층 트레이(stacking tray)로 배출하여 시트를 적층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시트 후처리부는 중간 롤러보다 높은 상류측에 마련되므로, 중간 롤러를 통과한 시트가 일단 이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스위치백 이송되는데, 이는 시트 후처리 장치의 입구로부터 중간 롤러까지의 제1 시트 경로 및 기준벽으로부터 시트 배출 롤러까지의 제2 시트 경로라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중 설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본체의 높이가 증가하고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경로가 차지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이 좁게 되는 시트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경로가 차지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이 본체 내에서 좁게 되는 시트 후처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는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수단과, 시트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의 상부면을 안내하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이송 상부 안내부와, 하부측에서 이송 상부 안내부에 대향하여 있으며 시트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시트를 안내하는 이송 하부 안내부와, 이송 상부 안내부 및 이송 하부 안내부의 하류측에서 시트를 배출 및 이송하고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와,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아암 부재와,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아암 부재를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승강 수단과, 시트 이송 수단보다 낮은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이송 하부 안내부에 적층된 시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시트 후처리 수단과, 아암 부재가 승강 수단에 의해 상방으로 변위된 때 이송 상부 안내부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데, 시트 후처리 수단,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는 시트 이송 수단보다 낮은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하류측에 차례로 배열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는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수단과, 시트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의 상부면을 안내하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이송 상부 안내부와, 하부측에서 이송 상부 안내부에 대향하여 있으며 시트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시트를 안내하는 이송 하부 안내부와, 이송 상부 안내부 및 이송 하부 안내부의 하류측에서 시트를 배출 및 이송하고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와,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아암 부재와,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아암 부재를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승강 수단과, 시트 이송 수단보다 낮은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이송 하부 안내부에 적층된 시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시트 후처리 수단과, 아암 부재가 승강 수단에 의해 상방으로 변위된 때 이송 상부 안내부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데, 연동 수단은 아암 부재가 승강 수단에 의해 상승되어서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가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되어 이송 상부 안내부의 시트 안내면보다 상방으로 변위된 후에 이송 상부 안내부를 상방으로 변위시킨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아암 부재에 의해 변위되는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의 상방 변위 거리는 이송 상부 안내부의 상방 변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된다.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연동 수단은 승강 수단에 의해 아암 부재가 밀려 올라가,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가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되어 이송 상부 안내부의 시트 안내면보다 상방으로 변위된 후, 이송 상부 안내부를 상방으로 변위시킨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연동 수단은 이송 상부 안내부 및 아암 부재에 구비되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한 쌍의 맞닿음부를 가지며, 맞닿음부 쌍은 아암 부재가 승강 수단에 의해 상승되어서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가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되어 이송 상부 안내부의 시트 안내면보다 상방으로 변위된 후에 맞닿음부 쌍이 서로 맞닿게 되는 방식으로 이송 상부 안내부를 변위시킨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연동 수단은 이송 안내부를 아암 부재와 연동시키는 탄성체를 가지며, 아암 부재는 아암 부재가 승강 수단에 의해 상승되어서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가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되어 이송 상부 안내부의 시트 안내면보다 상방으로 변위된 후에 탄성체를 통해 이송 상부 안내부를 변위시킨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이송 상부 안내부의 하류측 단부는 아암 부재가 하방에 위치된 때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의 외주면보다 상방에 위치되며, 아암 부재가 상방에 위치될 때 이송 상부 안내부의 하류측 단부는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의 외주면보다 하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시트 이송 수단, 이송 하부 안내부, 시트 후처리 수단,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는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승강 수단은 캠을 갖는데, 캠은 아암 부재와 항상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아암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는 시트를 귀환시키도록 이송 하부 안내부에 적층된 시트를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으로 회전시키는 귀환 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송 상부 안내부 및 귀환 수단은 이송 상부 안내부 및 귀환 수단의 회전 중심들이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는 이송 상부 안내부와 아암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 하부 안내부의 일측으로 이송 상부 안내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트 후처리 장치는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수단과, 시트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의 상부면을 안내하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이송 상부 안내부와, 하부측에서 이송 상부 안내부에 대향하여 있으며 시트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시트를 안내하는 이송 하부 안내부와, 이송 상부 안내부 및 이송 하부 안내부의 하류측에서 시트를 배출 및 이송하고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와,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시키는 승강 수단과, 시트 이송 수단보다 낮은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이송 하부 안내부에 적층된 시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시트 후처리 수단을 포함하는데,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는 이송 상부 안내부와 함께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이송 상부 안내부는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와 회전될 수 있는 무한 벨트(endless belt)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는 아암 부재를 하부 위치에 위치시키고,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에 의해 시트를 이송 하부 안내부를 통과시켜 시트를 이송하는 제1 처리 모드와; 아암 부재 및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상방으로 변위시키고, 이송되는 시트가 시트 이송 수단을 통과하는 위치에서 이송 하부 안내부에 소정 매수의 시트들을 중간에 적층시키고, 시트 후처리 수단에 의해 소정 매수의 시트들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며, 아암 부재를 하방으로 변위시키고,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에 의해 한 묶음의 소정 매수의 시트들을 배출시키는 제2 처리 모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를 포함하는데, 시트 후처리 장치는 전술한 시트 후처리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시트 후처리 수단은 시트 이송 수단보다 낮은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는 시트 후처리 수단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시트 후처리 수단으로부터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까지의 시트 경로가 실질적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고, 시트 경로가 차지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이 좁게 될 수 있으며, 시트 후처리 장치 자체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는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아암 부재는 이송 상부 안내부와 연동(링크 연결)되어, 시트 후처리 장치가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이송 상부 안내부의 높이를 낮게 하여 이송 상부 안내부와 이송 하부 안내부의 하류측 단부들 사이의 거리를 좁게 할 수 있고, 시트를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와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 사이의 위치로 확실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시트를 단순 적층 모드로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시트 후처리 모드에서,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는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를 이송 상부 안내부의 시트 안내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미리 후퇴시켜, 시트의 선단부(하류측 단부)가 후퇴된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의 외주면과 충돌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나서, 시트 후처리 장치는 아암 부재를 이송 상부 안내부와 연동(링크 연결)시키고 이송 상부 안내부를 이송 하부 안내부로부터 분리시켜, 시트 경로가 차지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이 이전보다 좁게 설정되면서 시트 두께 방향으로의 거리가 넓게 보장될 수 있으며 시트들의 묶음이 확실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에서, 이송 상부 안내부, 아암 부재 및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의 회전 중심 위치들은 동일 위치에서 정렬되고 이송 상부 안내부 및 아암 부재는 동일한 승강 수단에 의해 변위되어, 최소 개수의 구성 요소, 저비용 및 공간 절감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의 시트 후처리 장치와, 이러한 시트 후처리 장치를 본체 내에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프린터(이하, "프린터"라 한다)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및 다기능 기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시트 후처리 장치는 프린터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다.
(프린터)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를 포함하는 프린터(A)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시트 후처리 장치(B1)는 프린터(A)의 구성 요소들 중 하나로서 본체(Aa)의 상부에 배치된다.
프린터(A)에서, 본체(Aa)는 단독으로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LAN 등의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프린터(A)는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화상 정보, 인쇄 신호 등에 근거하여 소정 화상 형성 공정에 의해 시트에 화상을 형성(인쇄)하여 시트를 배출한다. 프린터(A)는 원본을 판독하는 판독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판독부의 판독 정보에 근거하여 원본의 화상을 시트에 복사하여 시트를 배출할 수 있다.
시트 후처리 장치(B1)는 본체(Aa)로부터 이송된 시트들을 직접 배출하거나, 시트의 폭을 정렬시킴으로써 시트들을 묶어서 스테이플러(11)로 시트들을 제본하여 배출한다. 배출된 시트 또는 한 묶음의 시트들은 시트가 하방을 향한 상태로 적층 트레이(4) 상에 적층된다.
시트 후처리 장치(B1) 및 본체(Aa)는 케이블 커넥터(도시안됨)에 의해 전기 접속된다. 시트 후처리 장치(B1)의 각 부분을 보유하는 케이싱 부분(Ba)은 후술하는 본체(Aa) 내에 설치된다.
본체(Aa)의 각 부분의 구성 및 작용을 이송되는 시트(C)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 매수의 시트(C)들이 본체(Aa)의 시트 공급 카세트(21) 내에 적층된다. 복수 매수의 시트(C)들은 시트가 여러 롤러들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로 최상부 시트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본체(Aa)에서, 예컨대, 레이저 빔 방법의 화상 형성 공정에 의해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인 화상 형성부(22)에서, 시트 공급 카세트(21)로부터 공급된 시트(C)의 상부면 상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소정 인쇄 신호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시트(C)가 화상 형성부(22)로 이송된 때, 토너 화상은 카트리지(24) 내의 토너에 의해 화상 형성부(22)의 감광 드럼(23) 상에 이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하류측의 정착 장치(25)에 의해 시트(C)에 열과 압력이 인가되어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시트(C)는 제어부(도시안됨)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절환되는 본체(Aa)의 플래퍼(flapper, 26)의 위치에 따라, 시트(C)가 본체(Aa)의 상부에 구비된 하향(face down; FD) 배출부(27)로 배출될 지 또는 시트 후처리 장치(B1)의 적층 트레이(4)로 배출될 지가 선택된다.
플래퍼(26)가 파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절환된 때, 시트(C)는 플래퍼(26)에 의해 안내되어 거의 U자형 시트 이송 경로로 한 쌍의 배출 롤러(28)로 귀환되어 시트(C)의 화상 면이 뒤집히게 되고 시트(C)는 화상 면이 하방으로 향한 상태로 한 쌍의 배출 롤러(28)에 의해 본체(Aa)로부터 FD 배출부(27)로 배출된다.
컴퓨터 등으로부터 미리 출력된 명령에 근거하여 스테이플러(11)에서 스테이플 공정이 수행될 때, 제본될 시트(C)가 시트 후처리 장치(B1)로 이송되기 전에, 프린터(A)는 플래퍼(26)가 솔레노이드(도시안됨)에 의해 파선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토퍼(stopper, 29)에 맞닿아 실선 위치에서 정지하는 방식으로 시트(C)를 시트 후처리 장치(B1)로 이송한다.
따라서, 시트(C)는 플래퍼(26)의 안내에 의해 시트 후처리 장치(B1)의 입구로 이송된다. 시트 후처리 장치(B1)로 이송된 시트(C)는 입구 센서(30)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나서, 시트(C)는 한 쌍의 입구 롤러(1)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다.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
도2는 시트 후처리 장치(B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한 쌍의 입구 롤러(1)는 본체(Aa)로부터 이송된 시트(C)를 수용하여 시트 이송 수단인 중간 롤러(2)로 시트를 이송한다. 중간 롤러(2)는 수용된 시트(C)를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로 이송한다.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는 시트(C)를 적층 트레이(4)로 배출한다.
시트 추림 장치(jogger, 5)는 시트 이송 방향을 따라 시트들의 모서리 부분들을 정렬시킨다(시트들의 폭을 정렬시킨다). 퍼들(puddle, 6)은 시트가 기준벽(10)에 맞닿는 방식으로 시트의 후단부를 정렬시킨다. 이송 방향으로의 정렬을 위한 맞닿음 기준벽(10)은 후술하는 중간 롤러(2)의 부근에서 중간 롤러(2)의 하류측에 거의 수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기준벽(10)은 후술하는 이송 하부 안내부(9b)로부터 중간 롤러(2)를 향하여 있다.
중간 적층부(D)는 중간 롤러(2), 퍼들(6), 후술하는 스테이플러(11) 등을 포함한다. 정렬부(E)는 시트 추림 장치(5)를 포함한다.
도2는 제1 처리 모드인 단순 적층 모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의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는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에 대해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A)로부터 수용된 단일 시트(C)는 중간 적층부(D)에 멈추지 않고 한 쌍의 입구 롤러(1) 및 중간 롤러(2)를 통해 적층 트레이(4)에 적층되도록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에 의해 직접 배출된다. 시트 배출 롤러(3)는 시트 배출 수단의 일례이다.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는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의 일례이다.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는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의 일례이다.
도3은 제2 처리 모드인 시트 후처리 모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에서의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는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A)로부터 수용된 단일 시트(C)는 한 쌍의 입구 롤러(1) 및 중간 롤러(2)를 통해 시트 추림 장치(5)로 안내된다. 시트(C)의 후단부가 중간 롤러(2)를 통과한 후에, 시트(C)는 예컨대 실선 위치로부터 파선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귀환 수단인 퍼들(6)에 의해 시트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귀환되고, 시트가 기준벽(10)에 맞닿게 되어 시트의 후단부가 정렬된다.
이송 하부 안내부(9b)의 상류측이 이송 하부 안내부(9b)의 하류측보다 낮은 때, 시트는 때때로 그 자중에 의해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 상에서 상류측을 향해 미끄러져 내려 기준벽(10)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퍼들(6)이 항상 요구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시트의 후단부는 퍼들(6)이 구비되지 않은 프린터(A)와 비교할 때 프린터(A)에 퍼들(6)이 구비된 경우에 확실하게 정렬될 수 있다.
시트(C)는 도1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시트 추림 장치(5)에 의해 폭 방향으로 정렬되어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후속의 시트들에 대해서도, 시트 후처리 장치(B1)는 중간 적층부(D)에서 동일한 정렬 작용을 수행한다. 시트 후처리 장치(B1)가 요구되는 매수의 시트들의 정렬을 완료한 후에, 시트들의 후단부들은 시트 후처리 수단, 예컨대 중간 롤러(2)의 부근에서 시트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에 구비된 스테이플러(11)에 의해 묶여진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묶음의 묶여진 시트(F)는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두 번째 하강에 의해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와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 사이에 놓이고, 시트 배출 롤러(3)의 회전에 의해 적층 트레이(4)로 배출되어 적층된다.
시트 추림 장치(5)의 작용 및 시트 배출 작용을 도5 내지 도8의 시트 후처리 장치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5에 도시된 시트 후처리 장치(B1)는 전술한 제2 처리 모드인 시트 후처리 모드에 대응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시트 추림 장치(5)들 중 하나의 시트 추림 장치(5L)는 시트 수용 거리(G)로 개방되어 있으면서 다른 하나의 시트 추림 장치(5R)를 위해 대기 상태에 있다. 프린터(A)의 장치 본체(Aa)로부터 배출된 시트는 시트 추림 장치(5)로 진입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정렬 및 후처리가 시트에 대해 수행된 후에 시트가 묶여진 상태로 배출됨과 동시에 시트가 시트 추림 장치(5R, 5L)에 의해 지지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추림 장치(5L, 5R)가 (시트 이송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시트의 폭보다 넓은 거리(H)로 넓어진 때 시트(Ca)가 적층 트레이(4) 상으로 낙하하여 적층된다.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메커니즘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9는 시트 후처리 장치(B1)가 제1 처리 모드 상태에 있을 때 시트 후처리 장치(B1)의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주변부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 적층 모드에서는, 프린터(A)의 본체(Aa)로부터 중간 적층부(D)로 이송된 시트는 중간부(D)를 통과하여 적층 트레이(4)로 배출된다.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축(axis)은 아암 부재들, 예컨대 아암(8)의 베어링 부분(8c)들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암(8)의 축은 케이싱 부분(Ba) 내에 제공된 지지점 축(fulcrum shaft, 12)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송 상부 안내부(9a)는 시트의 상부면을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아암(8)을 위한 동일한 지지점 축(12) 상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송 하부 안내부(9b)는 시트의 하부면을 지지 및 안내한다. 이송 상부 안내부(9a) 및 이송 하부 안내부(9b)는 중간 적층부(D)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송 상부 안내부(9a) 및 이송 하부 안내부(9b)는 안내 수단의 일례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상부 안내부(9a)는 이송 상부 안내부(9a)에 구비된 스토퍼 핀(stopper pin, 9a-1)이 케이싱 부분(Ba)측의 스토퍼(13)에 맞닿는 방식으로 도9의 홈 위치(home position)에 정지한다. 링크 레버(9a-2)는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상부를 향해 돌출한다. 링크 레버(9a-2)는 도9에 도시된 상태에서 아암(8)에 구비된 링크 부분(8a)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아암(8)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는 연동 상태에 있지 않다. 링크 레버(9a-2) 및 링크 부분(8a)은 연동 수단의 일례이면서 맞닿음부의 일례이기도 하다.
승강 수단, 예컨대 캠(7)은 아암(8)의 하부면(8b)에 항상 맞닿아 있다. 도9에 도시된 캠(7)은 아암(8)과, 축이 아암(8) 상에서 지지되는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를 최하부 위치에 하강시켜 정지시킨다.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는 롤러들 사이의 위치로 서로 진입하여 롤러들 사이에 시트를 파형 형상으로 놓이게 하며 시트 이송 방향을 향해 회전한다. 이 때,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은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하부면의 시트 안내면(9aa)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시트는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의 외주면으로 신속하게 진입하고, 시트는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에 의해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물린 상태로 이송되어 단순히 적층 트레이(4)로 직접 배출된다. 복수개의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가 회전축의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그러나, 복수개의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는 복수개의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를 교대로 배열함이 없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배열될 수 있으며, 시트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됨이 없이 배출되도록 평평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도10 내지 도12는 캠(7)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아암(8)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캠(7)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아암(8)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상승 거리는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상향 회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된다.
캠(7)의 회전에 의해, 아암(8)의 하부면(8b)은 상방으로 가압되어 지지점 축(1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 축이 아암(8) 상에 지지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도 상방으로 일체로 이동하여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아암(8)을 위한 동일한 지지점 축(12) 상에 축이 지지된 이송 상부 안내부(9a)는 이송 상부 안내부(9a)가 아암(8)과 연동되는 상태가 되지 않으며(이송 상부 안내부(9a)는 이송 상부 안내부(9a)가 링크 연결되기 시작하는 상태가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아암의 링크 부분(8a)과 링크 레버(9a-2) 사이에 여전히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암(8) 및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만이 상향 이동을 계속하는데, 아암(8) 및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는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 분리된다. 이 단계에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은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시트 안내면(9aa)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도11은 캠(7)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캠(7)의 회전에 의해, 아암(8)의 링크 부분(8a)은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링크 레버(9a-2)와 접촉하게 되고 이송 상부 안내부(9a)도 아암(8)의 상향 회전에 의해 상향 회전한다. 즉, 아암(8)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는 링크 연결 상태가 된다. 이 단계에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은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시트 안내면(9aa)으로부터 거리(α1)만큼 상방으로 후퇴된다. 그리고 나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가 이러한 위치 관계(링크 연결 상태)에서 유지되면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는 상향 회전한다.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는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 분리되고, 이송 상부 안내부(9a)는 이송 하부 안내부(9b)로부터 분리된다.
도12는 캠(7)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아암(8) 및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는 도12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을 종료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은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시트 안내면(9aa)으로부터 거리(α1)만큼 상방으로 후퇴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후처리 장치(B1)는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가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 가장 멀리 있고 이송 상부 안내부(9a)도 이송 하부 안내부(9b)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동안에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시트를 수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에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가 상승하여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때,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과 상부 이송 안내부(9a)의 시트 안내면(9aa) 사이의 위치 관계의 반대 상태인 아암과 이송 상부 안내부(9a) 사이의 연동 메커니즘(링크 연결 구성)이 설명되었다.
시트 후처리 모드에서, 이송된 시트(C)는 중간 롤러(2)를 통과하여 중간 적층부(D)인 이송 하부 안내부(9b) 상에 적층된다. 퍼들(6)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6a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면 부호 6b로 나타낸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면 부호 6b로 나타낸 위치에서 시트와 접촉하며, 시트를 이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이동시킨다. 퍼들(6)은 시트의 후단부가 기준벽(10)에 맞닿아 있는 동안에 시트의 종방향 정렬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퍼들(6)은 시계 방향 회전을 계속하여 홈 위치(6a)로 복귀한다. 시트의 후단부가 기준벽(10)에 맞닿은 후에, 시트의 횡방향 정렬이 시트 추림 장치(5)에 의해 수행된다.
시트 후처리 장치(B1)에서, 전술한 작용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소정 매수의 시트들의 정렬이 수행된 후에, 소정 매수의 시트들은 스테이플러(11)로 묶여져 한 묶음의 시트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나서, 캠(7)은 반시계 방향 회전을 계속하고, 도1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9에 도시된 초기 위치까지 회전하며, 아암(8) 및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이송 상부 안내부(9a)도 하향 회전하고, 이송 상부 안내부(9a)가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보다 낮게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는 한 묶음의 시트를 적층 트레이(4)로 배출하여 적층한다.
한 묶음의 시트의 후단부가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를 통과한 때, 다음 묶음의 시트의 첫 번째 시트가 중간 롤러(2)에 의해 중간 적층부(D) 내로 이송되므로, 캠(7)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고,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은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시트 안내면(9aa)으로부터 상방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아암(8),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캠(7)의 회전은 한 묶음의 시트의 후단부가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를 통과하고 다음 묶음의 시트의 첫 번째 시트가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에 의해 중간 적층부(D)로부터 시트 추림 장치(5)로 진입한 직후에 개시될 수 있다. 첫 번째 시트만이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에 의해 이송되는 이유는 시트 묶음이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에 의해 중간 적층부(D)와 시트 추림 장치(5) 사이의 간극을 확실하게 건너게 하기 위한 때문이다. 첫 번째 시트 이후의 시트를 이송하는 데 있어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는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만, 그 첫 번째 시트가 다음 시트에 대한 가교(bridge)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간극은 시트의 이송에 대한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도13은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가 상승하고 시트의 이송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때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와 이송 상부 안내부(9a)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이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시트 안내면(9aa)으로부터 거리(α2)만큼 하방으로 돌출하면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가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의 분리를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로 이송된 시트(C)에서, 선단부(C-1)는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에 걸리게 되어 흔들리면서 이동하게 되어, 이송 상부 안내부(9a)와 이송 하부 안내부(9b) 사이에서 종이 걸림(paper jam)의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시트 안내면(9aa)이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보다 하방에 배치되므로, 시트는 이송 상부 안내부(9a)와 이송 하부 안내부(9b) 사이에서 결코 걸리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에서, 스테이플러(11)가 중간 롤러(2)의 닙(nip)보다 훨씬 하류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가 스테이플러(11)의 하류측에 배치되므로, 중간 롤러(2)로부터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까지의 시트 경로(14)가 형성된 중간 적층부(D)는 거의 직선형 경로가 만들어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이 좁게 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시트 경로(14)가 차지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을 좁게 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시트 경로(14)를 직선 경로로 만듦으로써, 단순 적층 모드 및 시트 후처리 모드가 동일한 직선 경로 상에서 수행될 수 있어, 시트 후처리 장치의 작용이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단순 적층 모드에서, 본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는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 및 이송 상부 안내부(9a)를 하강시켜, 이송 상부 안내부(9a) 및 이송 하부 안내부(9b)의 선단부(하류측 단부)(9ab, 9bb)들 사이의 거리를 좁혀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3)의 닙 내로 시트의 선단부를 확실하게 이송시키며 시트를 확실하게 배출시킨다.
시트 후처리 모드에서, 본 실시예의 후처리 장치(B1)는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를 이송 상부 안내부(9a)의 시트 안내면(9aa)보다 높게 상방으로 미리 후퇴시켜 시트의 선단부가 후퇴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나서, 시트 후처리 장치(B1)는 아암(8)과 이송 상부 안내부(9a)를 링크 연결하여 이송 상부 안내부(9a)를 이송 하부 안내부(9b)로부터 분리시켜, 시트 경로(14)가 차지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이 이전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게 하고, 시트 두께 방향으로 넓은 거리를 갖는 처리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하며, 시트 묶음의 정렬이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에서, 중간 적층부(D) 내에서 시트 경로의 가동 부분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들(이송 상부 안내부(9a), 아암(8) 및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축들이 공통 회전 중심 위치에 있는 지지점 축(12) 상에서 지지되고 주요 구성 요소들이 동일한 캠(7)에 의해 이동될 수 있어서, 중간 적층부(D)의 가동 부분이 최소 개수의 구성 요소, 저비용 및 공간 절감을 가지고 실현될 수 있게 한다.
높이가 낮은 시트 후처리 장치가 본체 내에 구비된 프린터의 높이도 낮아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
도14는 제2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에서, 아암(8)은 링크 부분(8a)이 링크 레버(9a-2)에 맞닿는 방식으로 이송 상부 안내부(9a)와 연동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2)에서는, 아암은 연동 수단이고 탄성체인 인장 스프링(201)을 갖는 이송 상부 안내부와 연동된다. 두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들의 구성은 이 점에서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이한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14에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축은 아암(200) 상에서 지지된다. 시트 후처리 장치(B2)에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에서의 캠(7)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캠(도시안됨)의 회전에 의해 아암(200)이 상방으로 회전되고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가 시트 배출 하부 롤러(3b)로부터 분리된 때, 이송 상부 안내부(202)는 인장 스프링(201)에 의해 잡아당겨져 상방으로 회전된다.
아암(200)이 하방으로 회전될 때, 인장 스프링(201)은 이송 상부 안내부(202)를 상방으로 잡아당기지 않으므로, 아암(200)과 이송 상부 안내부(202) 사이의 연동 상태는 해제된다. 아암(200)은 아암(200)의 중점 부근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203)으로 이송 상부 안내부(202)를 내리 누르고 도14에 도시된 위치에서 정지한다. 즉, 이송 상부 안내부(202)에서, 스토퍼 핀(9a-1)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에 맞닿아 하향 회전을 방지한다. 이 때,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은 이송 상부 안내부(202)의 하부면(202aa)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이송 상부 안내부(202)와 시트 배출 상부 롤러(3a)의 외주면(3aa)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에서와 동일하다.
제2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2)에서,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는 것 외에도, 이송 상부 안내부(202)가 아암(200)의 하향 회전시 가압 수단, 예컨대 압축 스프링(203)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지고, 이송 상부 안내부(202)가 확실하게 하강되며, 시트가 이송 상부 안내부(202)로 진입할지라도 이송 상부 안내부(202)가 상승되지 않으므로, 단순 적층 모드에서의 이송이 개선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
도16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3)는 시트 배출 상부 회전, 예컨대 시트 배출 상부 롤러(301)의 회전에 따라 순환하는 벨트(300) 등의 이송 상부 안내부가 제1 및 제2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 B2)에 도시된 이송 상부 안내부(9a) 대신에 사용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승 수단(도시안됨)에 의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01)의 상향 이동에 따라, 벨트(300)는 지지점 축(1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벨트(300)와 시트 배출 상부 롤러(301) 사이에 돌출부가 없어 시트는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벨트(300)는 시트 배출 상부 롤러(301)에 종동하여 순환하도록 되어 있지만, 시트 배출 상부 롤러(301)만 회전하고 벨트(300)는 종동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고정 벨트가 사용되는 경우, 시트에 대한 마찰이 작고 양호한 미끄러짐 성질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4 및 도15에서, 도면 부호 205는 배출되는 시트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한 시트 검출 센서 레버를 나타낸다. 시트가 이송될 때, 시트 검출 센서 레버(205)는 시트에 의해 눌러지면서 하방으로 경사져 시트를 검출한다.
제3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3)에서,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와 동일한 효과를 성취하는 것 외에도, 이송 하부 안내부(9b)에 대한 벨트(300)의 분리량 및 하강량은 임의의 시트 경로의 상하 방향으로의 거리가 단순 적층 모드 및 시트 후처리 모드 각각에서 시트 배출 상부 롤러(301)의 상승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선택되는 방식으로 소정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시트 경로의 거리는 묶여진 시트들의 매수에 따라 최적 위치에서 제어될 수 있고 시트의 정렬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B1, B2, B3)들에서 아암(8), 이송 상부 안내부(9a) 및 벨트(300)는 상하로 회전된다. 그러나, 아암(8), 이송 상부 안내부(9a) 및 벨트(300)는 상하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시트 후처리 수단은 스테이플러로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 후처리 수단은 시트에 구멍을 만드는 천공 장치, 시트들을 함께 접합하는 접합 장치, 시트들을 실로 묶는 실 묶음 장치 등일 수 있다.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는 롤러로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 배출 상부 회전체 및 시트 배출 하부 회전체는 회전 무한 벨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는 시트 경로가 차지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공간이 좁게 되어, 이러한 시트 후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도 높이가 낮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3은 제2 처리 모드에 있는 시트 후처리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2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묶음 종이 시트들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2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제2 처리 모드인 시트 후처리 모드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2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제2 처리 모드인 시트 후처리 모드가 된 상태에서 시트가 시트의 양측에서 시트 추림 장치(jogger)들에 의해 지지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도2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제2 처리 모드인 시트 후처리 모드가 된 상태에서 양측의 시트 추림 장치들 사이의 거리가 넓어져 시트를 낙하시키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2의 시트 후처리 장치에서 제2 처리 모드인 시트 후처리 모드가 된 상태에서 양측의 시트 추림 장치들 사이의 거리가 넓어져 시트를 적층 트레이 상으로 낙하시키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시트 후처리 장치가 제1 처리 모드인 단순 적층 모드의 상태가 된 때, 도2의 시트 후처리 장치의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들과 이송 상부 안내부의 주변부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10은 도9에서 캠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도10에서 캠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도11에서 캠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시트 배출 상부 롤러가 상승하여 시트의 이송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때의 시트 배출 상부 롤러와 이송 상부 안내부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제2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이송 상부 안내부가 인장 스프링에 의해 잡아당겨져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제3 실시예의 시트 후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프린터
B1, B2, B3: 시트 후처리 장치
C: 시트
D: 중간 적층부
2: 중간 롤러
3: 배출 롤러
4: 적층 트레이
7: 캠
8: 아암
9: 이송 안내부
11: 스테이플러

Claims (17)

  1.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수단과,
    상기 시트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를 안내하는 가동 이송 안내부와,
    상기 이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를 이송하는 가동 시트 이송 회전체와,
    상기 이송 안내부 및 시트 이송 회전체를 시트 이송 위치로부터 상기 시트 이송 위치와 분리된 각각의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의 외주면은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가 상기 시트 이송 위치에 위치된 때 상기 이송 안내부의 시트 안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의 외주면은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가 상기 후퇴 위치에 위치된 때 상기 이송 안내부의 시트 안내면으로부터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의 이동 거리는 상기 이송 안내부의 이동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를 갖고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 아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과 연동되고, 상기 가동 아암 부재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이송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후퇴 위치로 이동된 때 상기 이송 안내부의 시트 안내면으로부터 후퇴되고 나서 상기 이송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이송 안내부 및 아암 부재에 구비되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한 쌍의 맞닿음부를 가지며, 한 쌍의 맞닿음부는 맞닿음부가 서로 맞닿는 방식으로 상기 이송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아암 부재를 구비한 상기 이송 안내부를 연동시키는 탄성체를 가지며,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이송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아암 부재와 항상 접촉하면서 회전되는 방식으로 상기 아암 부재를 이동시키는 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안내부를 시트 이송 위치의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상기 이송 안내부와 상기 아암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시트 이송 회전체가 대향하는 회전축들 상에 교대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장치.
  11. 제1항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와,
    상기 이송 안내부에 보관된 시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시트 후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시트 이송 수단, 이송 안내부, 시트 후처리 수단 및 시트 이송 회전체는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안내부는 시트의 상면을 안내하는 상부 이송 안내부이고, 상기 시트 후처리 수단은 상기 이송 안내부에 대향하는 하측의 고정 이송 안내부에 적층된 시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후처리 장치는 시트를 귀환시키도록 상기 이송 안내부에 보관된 시트를 시트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으로 회전시키는 귀환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안내부 및 상기 귀환 수단은 상기 이송 안내부 및 상기 귀환 수단의 회전 중심들이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를 시트 이송 위치에 위치시키고, 시트를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에 의해 상기 이송 안내부를 통과시켜 시트를 이송하는 제1 처리 모드와,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송되는 시트가 상기 시트 이송 수단을 통과하는 위치에서 상기 이송 안내부에 소정 매수의 시트들을 중간에 보관하고, 상기 시트 후처리 수단에 의해 소정 매수의 시트들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를 시트 이송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시트 이송 회전체에 의해 한 묶음의 소정 매수의 시트들을 이송하는 제2 처리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
  16.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이송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후처리 장치는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트 후처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52498A 2002-07-31 2003-07-30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0541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4143A JP4047091B2 (ja) 2002-07-31 2002-07-31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224143 2002-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526A KR20040012526A (ko) 2004-02-11
KR100541902B1 true KR100541902B1 (ko) 2006-01-11

Family

ID=3011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498A KR100541902B1 (ko) 2002-07-31 2003-07-30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988730B2 (ko)
EP (1) EP1386870B1 (ko)
JP (1) JP4047091B2 (ko)
KR (1) KR100541902B1 (ko)
CN (1) CN1260105C (ko)
DE (1) DE6030494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7091B2 (ja) * 2002-07-31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733361B2 (ja) * 2003-07-15 2006-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58391B2 (ja) * 2003-07-16 2008-03-0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用紙束排出装置,用紙束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36638B2 (ja) * 2003-12-03 2009-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31933B2 (ja) * 2004-04-01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46954B2 (ja) * 2004-10-29 201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08845B2 (ja) * 2005-04-26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90298B2 (ja) 2005-04-26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12880B2 (ja) * 2005-08-29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4679407B2 (ja) * 2006-03-27 2011-04-27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878913B1 (en) * 2006-07-14 2013-03-13 OpenHydro Group Limited Bi-directional tidal flow hydroelectric turbine
US8004717B2 (en) * 2006-07-25 2011-08-23 Dst Output Stack flipping document handling system for utilization with printing lazy-portrait formatted documents
JP5094438B2 (ja) * 2007-01-26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530566B2 (en) * 2007-04-02 2009-05-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KR101249830B1 (ko) * 2007-08-09 2013-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E602007008924D1 (de) * 2007-12-12 2010-10-14 Openhydro Group Ltd Generatorkomponente für eine hydroelektrische Turbine
JP2009179415A (ja) * 2008-01-29 2009-08-13 Noritsu Koki Co Ltd ペーパー排出機構
EP2112370B1 (en) * 2008-04-22 2016-08-31 OpenHydro Group Limited A hydro-electric turbine having a magnetic bearing
JP5279600B2 (ja) * 2009-04-30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26699B2 (ja) 2009-10-21 2014-06-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000737B2 (ja) 2011-08-23 2016-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12410B2 (ja) 2012-11-05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79785B2 (ja) * 2015-04-17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14131999B (zh) * 2021-11-30 2023-08-18 江苏鑫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酒盒包装用衬纸自动粘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4965A (ja) 1982-04-08 1983-10-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288062A (en) 1992-05-26 1994-02-22 Xerox Corporation High capacity compil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sheet discharge and acquire means
JP3110662B2 (ja) 1994-11-07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585350B2 (ja) 1997-08-28 2004-11-04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0072323A (ja) 1998-09-01 2000-03-07 Canon Inc 搬送路切替手段を備える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ソータ
DE19844230C2 (de) 1998-09-26 2001-02-22 Bdt Buero Datentech Gmbh Weiche für die Umkehr der Transportrichtung eines Beleges oder dergleichen
US6382616B1 (en) 1999-01-19 2002-05-07 Canon Kabushiki Kaisha Aligning device for sheet finisher
US6302606B1 (en) 1999-01-20 2001-10-1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receiving/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371479B1 (en) 1999-02-25 2002-04-16 Kyocera Mita Corporation Switchback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6427997B1 (en) 1999-06-15 2002-08-06 Konica Corporation Sheet stacker with aligning/conveying roller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1031313A (ja) 1999-07-22 2001-02-06 Canon Inc シート材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36897B2 (ja) 2000-10-02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661995B2 (en) 2001-08-31 2003-12-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4047091B2 (ja) * 2002-07-31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526A (ko) 2004-02-11
US20060071418A1 (en) 2006-04-06
US6988730B2 (en) 2006-01-24
JP4047091B2 (ja) 2008-02-13
EP1386870A1 (en) 2004-02-04
EP1386870B1 (en) 2006-05-03
CN1260105C (zh) 2006-06-21
DE60304942D1 (de) 2006-06-08
DE60304942T2 (de) 2006-11-30
JP2004059313A (ja) 2004-02-26
US20040104528A1 (en) 2004-06-03
US7192029B2 (en) 2007-03-20
CN1478711A (zh)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902B1 (ko)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4047092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777839B2 (ja) シート整合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561503B1 (en) Sheet processing device with stack alignment
JP5474228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48727B2 (ja) フィニッシャ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650145B1 (en) Paper post-processing method for punching paper and apparatus therefore
JP4920883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31933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83079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5151711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535480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4703399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341927A (ja) 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
CN110872019A (zh) 薄片体后处理装置以及具备该装置的图像形成系统
JP7433899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174116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2105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00040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769736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27865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193993A (ja) 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145515A (ja) シート整合装置、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5034238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262625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