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4115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115B1
KR100534115B1 KR10-2003-0053376A KR20030053376A KR100534115B1 KR 100534115 B1 KR100534115 B1 KR 100534115B1 KR 20030053376 A KR20030053376 A KR 20030053376A KR 100534115 B1 KR100534115 B1 KR 10053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racket
electromagnetic wave
display unit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952A (ko
Inventor
김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115B1/ko
Priority to US10/832,357 priority patent/US7268999B2/en
Priority to CNB2004100712587A priority patent/CN1324356C/zh
Publication of KR2005001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내의 전기·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불요 전자파를 스탠드부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0) 및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하는 스탠드부(3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스탠드부(30)는 비전도성의 지지스탠드(40)와; 디스플레이부(20) 및 지지스탠드(40)에 각각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부(20)에서 발생된 불요 전자파가 전도되는 연결부재(50)와; 지지스탠드(4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되며, 장착시에는 연결부재(50)와 접촉되어 연결부재(50)로부터 불요 전자파를 유도하는 전자파유도브래킷(6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에 따른 불요 전자파를 스탠드부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폐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 내의 전기·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불요 전자파를 스탠드부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는 브라운관 면에 문자나 도형의 형식으로 데이터(data)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여러 종류의 장치들을 포괄하여 일컫는 말이다.
특히, 평판형 표시장치의 일종인 액정표시장치(LCD)는 컴퓨터용 모니터, TV 등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 기기에서 발생되는 불요 전자파로 인한 전자파간섭(EMI) 등을 차폐하기 위한 노력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2)와; 디스플레이부(2)에 연결되며, 스탠드몸체(3a)와 스탠드커버(3b) 및 연결부재(3c)로 구분되는 스탠드부(4)와; 스탠드부(4) 내에 설치되어, 스탠드부(4)의 강도를 유지하는 브래킷프레임(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2)의 특성에 따라 불요 전자파가 스탠드부(4)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재(3a)까지 유도될 때 차폐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 반면에, 불요 전자파가 연결부재(3a)를 거쳐 스탠드부(4)의 하단까지 유도될 때 차폐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부(4) 대부분은 불요 전자파를 전도성 재질의 브래킷프레임(6)을 통해 스탠드부(4)의 하단으로 유도하여 차폐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불요 전자파가 스탠드부(4)의 상단까지 유도될 때 차폐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2)에 적용될 때에는 차폐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래킷프레임(6)이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불요 전자파가 스탠드부(4)의 하단까지 유도될 때 차폐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2)에 적용될 때에는 차폐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상기와 같은 구조를 지닌 스탠드부(4)를 통해서는 디스플레이부(2)의 특성에 따른 불요 전자파를 차폐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편, 브래킷프레임(6)은 스탠드부(4)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지만, 브레킷프레임(6)의 주된 기능이 스탠드부(4)의 강도 유지에 있으므로 스탠드부(4)에서 브래킷프레임(6)을 제거할 경우에는 스탠드부(4)의 자체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져 디스플레이부(2)를 지지하는 데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불요 전자파에 대한 차폐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스탠드부를 적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에 따른 경제적인 비용도 상당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에 따른 불요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비전도성의 지지스탠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지스탠드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된 불요 전자파가 전도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스탠드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되며, 장착시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불요 전자파를 유도하는 전자파유도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스탠드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의 일측이 상호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스탠드베이스와; 상기 스탠드베이스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을 지지하는 스탠드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탠드브래킷은 상기 스탠드베이스에 스크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은 상기 스탠드브래킷에 스크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탠드베이스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은 그 일측이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크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에는 제1스크류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에는 상기 제1스크류홀과 대응되는 제2스크류홀 및 제3스크류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힌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이나 장점들은 부분적으로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의 실제 적용에 의해 알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부에 전자파유도브래킷이 결합 또는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부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20)와; 디스플레이부(20)의 하단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하는 스탠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20)는 내부의 전기·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불요 전자파를 스탠드부(30) 쪽으로 유도하여 차폐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불요 전자파의 특성이 각각 다르다.
불요 전자파는 전자기기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간 및 접속케이블로 전해지는 불필요한 전자파를 일컫는 말로서, 전자파간섭(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등의 원인이 된다.
스탠드부(30)는 지지스탠드(40)와; 디스플레이부(20) 및 지지스탠드(40)에 각각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부(20)에서 발생된 불요 전자파가 전도되는 연결부재(50)와; 지지스탠드(4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되며, 장착시에는 일측면이 연결부재(50)와 접촉되어 연결부재(50)로부터 불요 전자파를 유도하는 전자파유도브래킷(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스탠드(40)는 연결부재(50)로부터 불요 전자파가 전도되지 못하도록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보강부재 없이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지지스탠드(40)의 구조는 연결부재(50)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전자파유도브래킷(60)을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나, 연결부재(50) 및 전자파유도브래킷(60)의 일측이 상호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스탠드베이스(42)와; 스탠드베이스(4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자파유도브래킷(60)을 지지하는 스탠드브래킷(44)과; 스탠드베이스(42)에 결합되는 스탠드커버(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탠드베이스(42)는 격벽(46)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제1수용부(47) 및 제2수용부(48)가 각각 형성되고, 연결부재(50)와 전자파유도브래킷(60)은 그 일측이 격벽(46)에 밀착되도록 제1수용부(47) 및 제2수용부(48)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크류(70)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되는 스크류(70)의 수는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스크류(70) 대신 다른 형태의 결합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격벽(46)에는 제1스크류홀(45)이 형성되고, 연결부재(50) 및 전자파유도브래킷(60)에는 제1스크류홀(45)과 대응되는 제2스크류홀(52) 및 제3스크류홀(62)이 각각 형성되어, 스크류(70)를 통해 연결부재(50) 및 전자파유도브래킷(60)을 동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탠드브래킷(44)은 스탠드베이스(42)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여러 다양한 결합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결합력이 우수한 스크류(7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탠드커버(80)는 연결부재(50) 및 전자파유도브래킷(60)의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50)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발생된 불요 전자파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나 디스플레이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힌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파유도브래킷(60)은 연결부재(50)로부터 불요 전자파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0)의 종류에 따른 불요 전자파의 특성에 맞게 지지스탠드(40)의 제2수용부(48)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함으로써 연결부재(50)와 접촉 또는 분리된다. 즉, 불요 전자파가 연결부재(50)까지 유도되었을 때 차폐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20)의 경우에는 전자파유도브래킷(60)이 제거된 상태의 스탠드부(30)를 적용하고, 불요 전자파가 지지스탠드(40)의 바닥면까지 유도되었을 때 차폐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20)의 경우에는 전자파유도브래킷(60)이 결합된 상태의 스탠드부(30)를 적용함으로써 불요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전자파유도브래킷(60)은 스탠드브래킷(44)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여러 다양한 결합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스크류(72)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파유도브래킷(60)은 필요에 따라 스탠드브래킷(44)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스탠드베이스(42)의 제2수용부(48)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그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라면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파유도브래킷을 스탠드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에 따른 불요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성을 기존에 비해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부를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부에 전자파유도브래킷이 결합 또는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부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디스플레이부 30 : 스탠드부
40 : 지지스탠드 42 : 스탠드베이스
44 : 스탠드브래킷 45 : 제1스크류홀
46 : 격벽 47 : 제1수용부
48 : 제2수용부 50 : 연결부재
52 : 제2스크류홀 60 : 전자파유도브래킷
62 : 제3스크류홀

Claims (7)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비전도성의 지지스탠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지스탠드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된 불요 전자파가 전도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스탠드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되며, 장착시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불요 전자파를 유도하는 전자파유도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탠드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의 일측이 상호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스탠드베이스와; 상기 스탠드베이스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을 지지하는 스탠드브래킷과; 상기 스탠드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탠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브래킷은 상기 스탠드베이스에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은 상기 스탠드브래킷에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베이스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은 그 일측이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제1스크류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전자파유도브래킷에는 상기 제1스크류홀과 대응되는 제2스크류홀 및 제3스크류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힌지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3-0053376A 2003-08-01 2003-08-01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3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376A KR100534115B1 (ko) 2003-08-01 2003-08-01 디스플레이 장치
US10/832,357 US7268999B2 (en) 2003-08-01 2004-04-27 Display apparatus
CNB2004100712587A CN1324356C (zh) 2003-08-01 2004-07-16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376A KR100534115B1 (ko) 2003-08-01 2003-08-0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952A KR20050014952A (ko) 2005-02-21
KR100534115B1 true KR100534115B1 (ko) 2005-12-08

Family

ID=3410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376A KR100534115B1 (ko) 2003-08-01 2003-08-0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68999B2 (ko)
KR (1) KR100534115B1 (ko)
CN (1) CN132435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14760T2 (de) * 2002-06-25 2008-04-10 Globotech Displays De Colombia S.A. System aus ultraleichten zerlegbaren konstruktionen zur darbietung von gegenständen und zur bedienung von kunden
KR100568181B1 (ko) * 2003-10-17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0973B1 (ko) * 2004-10-25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314235B1 (ko) * 2005-09-13 201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74064B1 (ko) * 2007-03-27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TWI344303B (en) * 2007-04-13 2011-06-21 Qisda Corp Holding apparatus
JP2010054718A (ja) * 2008-08-27 2010-03-11 Sony Corp 表示装置
TWI375505B (en) * 2008-10-24 2012-10-21 Wistron Corp Frame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10003654A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1749302B1 (ko) * 2010-12-24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310833B2 (en) * 2014-01-16 2016-04-12 Amx, Llc Display device housing and form-fitted configuration
KR102719268B1 (ko) * 2019-04-08 202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00110A (ko) * 2019-06-24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9351B1 (en) * 1995-03-22 2004-02-25 Canon Kabushiki Kaisha Support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KR100212314B1 (ko) * 1996-11-06 1999-08-02 윤종용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구조
US6217137B1 (en) 1998-02-13 2001-04-17 Sony Electronics, Inc. Hinge for connection of plastic molding
US6018847A (en) 1998-07-02 2000-02-01 Lu; Sheng-Nan Hinge axle device for a LCD monitor
JP2000148031A (ja) * 1998-11-13 2000-05-26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TW375316U (en) 1999-01-15 1999-11-21 Optoma Corp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LCD
JP2001075486A (ja) 1999-09-06 2001-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33164B1 (ko) 1999-10-26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구조
US6502792B1 (en) 1999-10-26 2003-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nitor stand having a multistage structure
KR20020014399A (ko) 2000-08-18 2002-02-25 김홍기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KR100386180B1 (ko) 2000-10-05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KR200247968Y1 (ko) 2001-06-18 2001-10-31 드림맥(주)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KR20030004967A (ko) 2001-07-06 2003-01-15 동오정밀 주식회사 엘씨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443979B1 (ko) * 2001-10-24 2004-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내장형 lcd모니터 스탠드
CN2531412Y (zh) * 2002-02-05 2003-01-15 彭庆龙 铝挤型液晶显示器外框架
KR200288328Y1 (ko) 2002-05-30 2002-09-10 김용근 모니터용 힌지장치
KR200295979Y1 (ko) 2002-08-26 2002-11-22 이미지퀘스트(주) Lcd 모니터 스탠드의 힌지구조
US6837469B2 (en) * 2003-05-01 2005-01-04 Wei Chung Wu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LCD)
US6712321B1 (en) * 2003-05-21 2004-03-30 Compal Electronics, Inc.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panel
USD517551S1 (en) * 2004-08-16 2006-03-21 Lg Electronics Inc. LCD monitor for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4356C (zh) 2007-07-04
US7268999B2 (en) 2007-09-11
KR20050014952A (ko) 2005-02-21
US20050023418A1 (en) 2005-02-03
CN1580884A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1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6330150B1 (en) System for exchanging lamp of LCD
JP3568786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携帯用の情報処理装置
WO2000026888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a panneau a plasma
KR20040003310A (ko) 컴퓨터 시스템
JP2004361958A (ja) 平板表示装置
KR20040084374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715973B1 (ja) 電子機器
JP443591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を用いた表示装置
CN1767730A (zh) 显示装置
KR100286976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
JP2010266812A (ja) 表示装置
KR10063094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20703U (ko) 엘씨디 모니터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0816066B1 (ko) 액정표시모듈
KR100698123B1 (ko) 영상표시장치의 소켓 고정구조
KR100651298B1 (ko) 영상표시기기의 베사 월마운팅을 위한 가변 쉴드구조
KR1006309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09913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JP2515622Y2 (ja) 電子機器
JP383210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90415B1 (ko) Lcd 모니터의 외장형 와이어레스 스피커 구조
KR200500915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26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체결 구조
KR200333168Y1 (ko) 모니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