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0796B1 -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796B1
KR100510796B1 KR10-2002-7015421A KR20027015421A KR100510796B1 KR 100510796 B1 KR100510796 B1 KR 100510796B1 KR 20027015421 A KR20027015421 A KR 20027015421A KR 100510796 B1 KR100510796 B1 KR 10051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line
sensor
main control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846A (ko
Inventor
시게까즈 가와이
가즈야 이마무라
유따까 이시이
가쯔미 마에까와
쯔또무 이시꾸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7015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7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79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을 가지는 온도 센서, 스위칭 소자 등의 검출 수단과 송수신 수단을 통해 주 제어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주 제어 장치는, 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 후, 판독 지시까지의 사이에 대기 기간을 두고, 또한 대기 기간 중에 고전위로 유지된 신호선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확실하면서도 신속한 검출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비용 삭감이나 제어의 원활화, 배선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는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EQUIPMENT SENSING SYSTEM AND EQUIPMEN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업무용·가정용 냉장고, 저온 쇼 케이스, 프레파브 냉장고, 자동 판매기 등의 냉각 저장고 또는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등의 기기의 온도상태 등을 검출하는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업무용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각 장치를 구성하는 컴프레서, 응축기, 냉각기 등을 내장하고, 또는 컴프레서, 응축기는 별도로 두기로 하고, 이 컴프레서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기로 응축하여 감압 장치로 감압한 후, 냉각기에 공급해서 냉각 효과를 발휘시키고, 이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고내(庫內) 팬으로 고내에 순환시켜서 소정의 저온도로 냉각시키고 있다.
또, 냉각운전에 의해 냉각기에 성장한 착상은 디프로스터(서리 제거 히터)에 의해 가열 융해되는 동시에, 냉각작용으로 부착되는 결로는 방로(防露) 히터에 의해 가열제거한다. 한편, 컴프레서나 응축기 주변에는 응축기용 팬이 설치되고, 이 응축기용 팬으로 응축기나 컴프레서를 공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운전제어를 하기 위해서, 냉장고에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컨트롤러가 탑재된다. 또한, 고내나 냉각기, 응축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가 부착되는 동시에, 컴프레서, 디프로스터나 방로 히터, 고내 팬 등의 부착 부품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도 탑재되고, 상기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받아들여 컨트롤러가 각 스위치에 의해 부착부품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에서는, 고내 온도의 제어 또는 컴프레서나 응축기의 보호 등의 각종 용도에 따른 온도 센서가 부착되고, 그들의 수는 기종에 따라 다르다. 또, 팬의 수나 결로 방지용 방로 히터 등의 수도 기종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그것들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계 배선이나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구성도 기종마다 다르다. 그 때문에, 특히 다기종 소량 생산되는 업무용의 기기 등에 있어서는,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어서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과 같은 기기는 경년 운전·동작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각종 부품이 열화되어 고장이 생긴다. 그 때문에, 이러한 고장 발생시, 또는 정기적(업무용의 경우)으로 보수 점검(메인터넌스;maintenance)이 행해지고, 그 시점에서 고장개소의 수리를 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점검시에 과거의 메인터넌스 내용을 알 수 있으면 그 후의 대책을 세우기 쉬워진다.
즉, 예를 들면 특정 부품의 교환을 빈번하게 행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해당 부품 자체의 대책·개량이 필요하다고 분석할 수 있다. 종래부터 이와 비슷한 대처로서, 점검 라벨 등을 기기에 부착해 두고, 이것에 점검한 날짜 등을 기입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지만, 과거의 메인터넌스 내용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상이었다. 또, 이러한 라벨에 이러한 내용을 기입하면, 도리어 사용자에게 쓸데없는 불안을 가지게 할 위험성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업무용 냉장고에 있어서도, 복수대 설치된 기기를 신호선에 의해 연결하고, 1대의 컨트롤러에 의해 집중해서 제어하는 방식이 모색·개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집중 제어를 행할 경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단말, 즉, 각 냉장고의 부착부품에 지시를 행하기 위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게 되는데, 이들 냉장고의 대수 또는 그것에 부착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지면, 컨트롤러와의 통신이 일순(一巡)하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렇게 컨트롤러의 통신시간이 길어지면, 예를 들면 특정한 냉장고의 설정이나 동작을 즉시 변경하고 싶은 경우 등에 늦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편의점의 점포 관리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점포 관리 시스템 중의 점포기기 감시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컨트롤러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전자 서모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서모스탯(thermostat) 칩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온도 센서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전환기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I/O센서 유닛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I/O센서 유닛과 주변 회로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10은 카운터 센서 유닛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컨트롤러에 의한 각 온도 센서, 카운터 센서 유닛 등(단말 장치)의 ID코드 판독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컨트롤러에 의한 온도 센서로부터의 온도 데이터의 수집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컨트롤러에 의한 카운터 센서 유닛으로부터의 카운트 데이터의 수집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업무용 냉장고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냉장고의 전기계 배선도이다.
도 16은 컨트롤 박스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온도 센서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온도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온도 센서를 몰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스위칭 소자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스위칭 유닛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22는 온도 센서를 몰드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복수대 설치된 냉장고의 컨트롤 박스를 통신선으로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업무용 냉장고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냉장고의 전기계 배선도이다.
도 26은 컨트롤 박스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7은 온도 센서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8은 스위칭 소자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9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스위칭 유닛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30은 복수대 설치된 냉장고의 컨트롤 박스를 통신선으로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기억 장치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2는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업무용 냉장고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4는 복수대 설치된 냉장고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5는 각 냉장고의 신호계 배선도이다.
도 36은 온도 센서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7은 스위칭 소자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8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스위칭 유닛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39는 전환 장치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부품의 공통화와 배선의 간소화에 의한 현저한 생산성의 향상과 비용 삭감을 꾀하면서, 확실하면서도 신속한 검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기기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부품의 공통화와 배선의 간소화에 의한 현저한 생산성의 향상과 비용의 삭감을 꾀할 수 있고, 기기에 실시한 메인터넌스 이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데이터의 수수에 의해 1대의 주 제어 수단에 의해 다수의 센서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장치와 센서로 구축되고, 이 센서는 검출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장치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송수신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주 제어 장치로부터 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를 받은 경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동작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주 제어 장치로부터 판독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주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단말측 제어 수단을 가지고, 상기 주 제어 장치는,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려고 하는 모든 센서에 대해서 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를 하고, 그 후, 소정의 대기 기간을 두고, 이 대기 기간의 경과 후, 상기 ID코드를 지정해서 상기 센서에 대해서 판독 지시를 행하는 기기 검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장치와 복수의 센서로 구축되고, 각 센서는 검출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장치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주 제어 장치로부터 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를 받은 경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동작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주 제어 장치로부터 판독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주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단말측 제어 수단을 가지고, 상기 주 제어 장치는,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복수의 센서에 대해서 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를 행하고, 그 후 소정의 대기 기간을 두고 이 대기 기간 경과 후, 상기 ID코드를 지정해서 개개의 상기 센서에 대해서, 판독 지시를 행하는 기기 검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기에 배선된 신호선과, 이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는,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기에 배선된 신호선과, 이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부착부품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이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기에 배선된 신호선과, 이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는 센서와,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부착부품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는 검출 소자와, 자신의 l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냉각 저장고에 배선된 신호선과, 이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는 온도 검출용의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는, 온도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소자가 검출한 온도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냉각 저장고에 배선된 신호선과, 이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컴프레서, 팬 등의 부착부품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이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냉각 저장고에 배선된 신호선과, 이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는 온도 검출용 센서와,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컴프레서, 팬 등의 부착부품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온도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소자가 검출한 온도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센서 및 또는 스위칭 소자는, 신호선이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에 충전을 행하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방전해서 각 수단의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는, 냉각 저장고 등의 기기에 부착되는 부착부품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기에 배선된 신호선과, 상기 기기에 설치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상기 주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기억 장치와, 상기 신호선에 외부 제어 장치를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장치는 기기의 메인터넌스 이력이 기입된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을 보유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선에 상기 외부 제어 장치가 접속된 상태로, 해당 외부 제어 장치에 의해, 보유하는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내의 데이터가 판독되고, 또한 데이터가 기입되는 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주 제어 수단은,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가 교환된 경우, 새로운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검색하고, 기억 장치내의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에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억 장치는, 데이터를 보유하는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 및 외부 제어 장치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기억 수단에의 데이터의 기입 및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는 기억 장치측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이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에 충전을 하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방전해서 상기 각 수단의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소자를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을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기에 설치된 주 제어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이들 각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는 복수의 계통으로 분류되는 동시에, 각 계통과 상기 주 제어 수단 사이의 신호선에는 각각 전환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전환 장치는 상기 신호선을 통한 상기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받아서 신호계를 개폐하는 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환 장치는, 신호계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개폐 수단을 제어하는 전환 장치측 제어 수단을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을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에 근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제1의 실시 형태로서의 편의점(CVS)의 점포 관리 시스템(1)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점포 관리 시스템(1) 중의 점포기기 감시 시스템(6)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의 점포 관리 시스템(1)은, 편의점(CVS)측에 설치된 점포 시스템(2)과, 해당 편의점(CVS)이 소속하는 체인의 본부(C)나 유지·메인터넌스를 행하는 보수관리회사(M)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터 시스템(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점포 시스템(2)과 센터 시스템(3)은, 터미널 어댑터(TA…) 및 공중회선(ISDN)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본부(C)나 보수관리회사(M)에서는 점포기기의 감시업무를 행하는 것으로, 각각 퍼스널 컴퓨터(P)가 설치되고, 각각이 터미널 어댑터(T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점포 시스템(2)은 점내나 뒷문 등을 촬영하기 위한 점포 영상 시스템(4)과, 점포에 설치된 후술하는 쇼 케이스나 조명 등의 각 전기기기의 운전을 감시하는 점포기기 감시 시스템(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점포 영상 시스템(4)은, 송신기(7)와 그것에 접속된 복수대의 고정 카메라(8…) 및 스피커(9), 마이크(11)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고정 카메라(8…)는 점내의 각처 및 출입구(뒷문 등)를 촬영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점내의 천장면 등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카메라(8)는 CCD 촬상 소자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촬영 가능하게 한 것이고, 각 고정 카메라(8…)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는 송신기(7)에 보내진다. 송신기(7)는 각 고정 카메라(8…)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를, 터미널 어댑터(TA) 및 ISDN 회선을 경유해서 본부(C)나 보수관리회사(M)의 퍼스널 컴퓨터(P, P)에 전송한다.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각 퍼스널 컴퓨터(P)의 디스플레이에 비추어진다.
그리고, 본부(C)나 보수관리회사(M)의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는 송신기(7)에 제어 데이터가 보내지고, 송신기(7)는 각 고정 카메라(8…)의 지향 방향 제어나 줌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본부(C)나 보수관리회사(M)는 퍼스널 컴퓨터(P)에 의해 편의점(CVS)에 있어서의 절도의 발생 등을 감시하고, 원격 경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편의점(CVS)의 점내에는 복수대의 오픈 쇼 케이스(S1…)나 아이스크림 스토커(stocker;S2), 1대 또는 2대의 냉장 워크인 저장고(프레파브 냉장고)(S3), 클로즈드 타입의 리치인 쇼 케이스(S4), 1대 또는 2대의 업냉고(業冷庫)(S5)가 설치되어 있고, 천장부에는 공기 조화기(12)(실시예에서는 2대)나 형광등 및 조광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명(1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중, 오픈 쇼 케이스(S1…)나 냉장 워크인 저장고(S3) 및 리치인 쇼 케이스(S4)는, 편의점(CVS)의 기계실 또는 옥외에 설치된 냉동기(콘덴싱 유닛)(R1, R2)와 배관 접속되어 있고, 이것들로부터 냉매의 공급을 받아서 냉각능력을 발휘한다. 또한, 아이스크림 스토커(S2) 및 업냉고(S5)는 냉각 장치가 내장되고, 독자적인 온도 조절기도 탑재된 것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점포감시 시스템(6)은, 주 제어 장치로서의 컨트롤러(16)와, 이 컨트롤러(16)에 접속되어 점포안에 배선된 일련의 신호선(17)과, 이 신호선(17)에 커플러에 의해 접속된 버튼 리더(18)(이 버튼 리더에는 버튼형 온도 기록 칩이 접속된다), 센서로서의 복수의 제어용 온도 센서(19…)(온도 센서(19)는 후술하는 전환기(42)를 통해 신호선(17)에 접속된다) 및 복수의 감시용 온도 센서(20…), 복수의 전자 서모 유닛(21…)(이것도 주 제어 장치가 된다), 복수의 I/O센서 유닛(22…), 고온 센서 유닛(23), 카운터 센서 유닛(24)과, 이 카운터 센서 유닛(24)과 함께 전력량 검출 장치(26)를 구성하는 전력량계(27) 등으로 구축된다.
다음에, 상기 컨트롤러(16)의 구성을 도 3에 도시한다. 컨트롤러(16)는 편의점(CVS)의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것이고, CPU(마이크로컴퓨터)(31), 플래시 메모리등으로 구성되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S2), I/O인터페이스(33) 및 송수신 수단으로서의 버스 I/O인터페이스(3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컨트롤러(16)에는 LCD등으로 구성된 표시기(37)와, 입력 수단으로서의 스위치(3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버스 I/O인터페이스(34)는 컨트롤러(16)의 포트(36)를 통해 상기 신호선(17)에 접속되어 있고, 이 포트(36) 및 신호선(17)을 통해 상기 버튼 리더(18), 온도 센서(19…)(후술하는 전환기(42)를 통해), 온도 센서(20…), 전자 서모 유닛(21), I/O센서 유닛(22…), 센서 유닛(23), 카운터 센서 유닛(24)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컨트롤러(16)의 메모리(32)에는 상기 버튼 리더(18), 온도 센서(19…), 온도 센서(20…), 전자 서모 유닛(21…), I/O센서 유닛(22…), 고온 센서 유닛(23), 카운터 센서 유닛(24)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이나 버튼 리더(18), 온도 센서(19…), 온도 센서(20…), 전자 서모 유닛(21…), I/O센서 유닛(22…), 고온 센서 유닛(23), 카운터 센서 유닛(24)을 식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운전제어를 행하는데 있어서의 제어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16)의 I/O인터페이스(33)는 RS-232C 케이블을 경유해서 점포측의 터미널 어댑터(TA)에 접속되는 동시에, 버스 I/O인터페이스(34)는 동일한 신호선(17)을 경유해서 점포 영상 시스템(4)의 송신기(7)에도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서모 유닛(21)은, 각 오픈 쇼 케이스(S1…), 냉장 워크인 저장고(S3) 및 리치인 쇼 케이스(S4)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 서모 유닛(2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칩상으로 구성된 서모스탯 칩(41)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서모스탯 칩(41)에는 전환기(42)와 신호선(17A, 17B)을 통해 쇼 케이스의 고내에 설치된 상기 제어용의 온도 센서(19)가 접속되고, 전환기(42)는 다시 신호선(1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서모스탯 칩(41)에는 볼륨(43)과, 트랜지스터나 사이리스터(thyristor) 등으로 구성되는 스위칭 소자(44)와, 포토커플러(photocoupler)로 구성된 릴레이(46) 등이 배선 접속되어 있다.
이 서모스탯 칩(41)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직 회로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로직(47)과, 서모스탯 레지스터(기억 수단)(48)과, 컴퍼레이터(비교수단)(49)와, 온도 데이터 레지스터(51)와, 시프트 레지스터(52)와, A/D 컨버터(53)(설정 수단)와, 동작 모드(컨피규레이션) 레지스터(기억 수단)(54)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들이 1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로직(47)은 온도 센서(19)와 신호선(17A, 17B), 전환기(42)를 통해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시리얼 통신 기능, 레지스터, 프로토콜 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환기(42)에 의해 신호선(17A, 17B)을 통해 온도 센서(19)와 접속됨으로써, 온도 센서(19)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 온도 센서(19)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서모스탯 레지트터(48)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도 센서(19)로부터 받아들인 상한 온도(TH)와 하한 온도(TL)가 기입된다.
온도 데이터 레지스터(5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도 센서(19)로부터 인터페이스(47)가 받은 고내 온도(TP)의 데이터가 기입된다. 또, A/D 컨버터(53)에 볼륨(43)이 외장된다. 그리고, 이 볼륨(43)의 저항값을 A/D 컨버터(53)로 온도 시프트 값(TC)으로 변환한다(64포지션 디지털 레지스터). 또, A/D 컨버터(53)에는 레지스터 비트 시프트에 의해, 온도 시프트 값(TC)의 변경 폭인 64℃, 32℃, 16℃, 8℃도, 4℃의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이것은 동작 모드 레지스터(54)에 의해 어느 것인가로 설정된다. 또, 시프트 레지스터(52)는 온도 시프트 값의 몇자리를 사용할지 설정한다.
상기 온도 데이터 레지스터(51)내의 고내 온도(TP)의 데이터는, 컴퍼레이터(49)에 보내진다. 또, 컴퍼레이터(49)에는 서모스탯 레지트터(48)내의 상한 온도(TH) 및 하한 온도(TL)도 보내진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52)를 통해 상기 온도 시프트 값(TC)도 컴퍼레이터(49)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 컴퍼레이터(49)의 출력이 스위칭 소자(44)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칭 소자(44)는 릴레이(46)를 제어하고, 릴레이(46)는 쇼 케이스(S1, S3, S4)의 냉매 제어용 전자 밸브(V)(서리 제거용 전기 히터의 제어도 행한다)에의 통전을 제어한다.
이러한 각 기능의 동작 모드는 동작 모드 레지스터(54)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이 동작 모드 레지스터(54)에 의해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생산시에 설정된다. 특히, 동작 모드 레지스터(54)에 의해 A/D 컨버터(53)에 있어서의 온도 시프트 값(TC)의 변경 폭도, 상기 64℃, 32℃, 16℃, 8℃, 4℃ 중의 어느 값으로 선택된다.
한편, 상기 온도 센서(19)(온도 센서(20)도 같다)는, 도 6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61)와,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62)와, 송수신 수단 및 기억 수단으로서의 I/O인터페이스(63)와, 검출 수단으로서의 센서부(64)와, TH레지스터(66)와, TL레지스터(67)와, 상태를 결정하는 설정 레지스터(68)와, 통신의 정합성을 취하는 CRC제너레이터(69)와, 후술하는 Vcc전원을 검지하는 전원 검지부(71)와, 축전 수단을 구성하는 콘덴서(72) 및 다이오드(73, 7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콘덴서(72)는 다이오드(73)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76)는 이 다이오드(73)와 I/O인터페이스(6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단자(76)는 전환기(42)를 통해 신호선(17A, 17B)에 의해, 서모스탯 칩(41) 또는 신호선(17)에 접속되고, 콘덴서(72)는 I/O인터페이스(63)에도 접속된다. 신호선(17) 또는 서모스탯 칩(41)의 출력에는, 예를 들면 +5V의 전위(고전위)와 0V(저전위)로 구성되는 펄스 신호에 의해 데이터가 만들어져 보내진다.
그리고, 온도 센서(19)가 신호선(17) 또는 서모스탯 칩(41)(신호선(17B))에 접속되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이 공급되고, 콘덴서(72)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72)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온도 센서(19)에는 Vcc(DC+5V) 전원 단자(77)도 설치되고, 다이오드(74)에 접속되어 있고, 온도 센서(19)는, 이 Vcc 전원 단자(77)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전원 공급 모드). 즉, 이 전원 공급 모드에서는 콘덴서(72)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온도 센서(19)를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61)는 I/O인터페이스(63)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모스탯 칩(41)(온도 센서(20)의 경우에는 컨트롤러(16))으로부터 지시되면, 센서부(64)에 의해 고내(온도 센서(20)의 경우에는 그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 온도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일단 메모리(62)에 기입한다. 그리고, I/O인터페이스(63)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모스탯 칩(41)(온도 센서(20)의 경우에는 컨트롤러(16))로부터 폴링(polling)되면, 메모리(62)에 기입된 온도 데이터를 인터페이스(63)에 의해 서모스탯 칩(41)(온도 센서(20)의 경우에는 컨트롤러(16))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I/O인터페이스(63)에는 온도 센서(19) 자체의 ID코드나 센서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입되고, TH레지스터(66)는 해당 쇼 케이스의 상한 온도(TH)가, 또 TL레지스터(67)에는 하한 온도(TL)가 기입된다. 이들 상한 온도(TH), 하한 온도(TL)의 데이터는 컨트롤러(16)로부터 신호선(17), 전환기(42), 신호선(17A)을 통해 송신된다. 또, 메모리(62)에는 서모스탯 칩(41)이나 컨트롤러(16)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온도 센서(19)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고장 데이터도 메모리(62)에 기입되고, 서모스탯 칩(41)이나 컨트롤러(16)에 송신된다. 또한, 온도 센서(19)는 서모스탯 칩(41)등과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유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전환기(42)의 내부구성의 블록도를 도 7에 도시한다. 전환기(42)는 IC1과 IC2 및 IC3의 세개의 IC로 구성되고, 각각은 데이터 라인으로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IC1이 상기 신호선(17)에 접속되고, IC2에 신호선(17B)을 통해 서모스탯 칩(41)이 IC3에 신호선(17A)을 통해 온도 센서(19)의 입력 단자(76)가 각각 접속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평소에는 서모스탯 칩(41)(인터페이스 로직(47))과 온도 센서(19) 사이의 회선을 접속하고 있지만, 컨트롤러(16)로부터 데이터(접속 지시)가 보내지면, 이 서모스탯 칩(41)과 온도 센서(19) 사이의 회선을 끊고, 신호선(17)과 온도 센서(19) 사이의 회선을 우선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감시용 온도 센서(20)의 구성은 상기 온도 센서(19)와 동일하지만, 직접 신호선(17)에 접속되는 동시에, 각각 점포의 실내(점내), 각 쇼 케이스 등(S1, S2, S3, S4, S5)의 고내 또는 주위, 및 냉동기(R1, R2)의 주위(기계실내 등)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I/O센서 유닛(22)의 구성을 도 8에 도시한다. I/O센서 유닛(22)은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81)와, 메모리(82, 83)와, I/O인터페이스(84)와, 입출력부(86)와, 이 입출력부(86)가 입력상태인지 출력상태인지를 기억하는 상태 기억부(87)와, 자신의 ID코드를 기억하는 ID부(88)와, 콘덴서(89)와, 다이오드(91, 9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콘덴서(89)는 다이오드(91, 92)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콘덴서(89)의 단자에 각 소자가 접속되는 I/O센서 유닛(22)의 입력 단자(93)가 신호선(17)에 접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89)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89)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I/O센서 유닛(22)에도 다이오드(92)의 입력측에 접속된 Vcc(DC+5V) 전원 단자(94)가 설치되고, 이 Vcc 전원 단자(94)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I/O센서 유닛(22)의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89)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I/O센서 유닛(22)을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81)는 I/O인터페이스(84)에 의해, 신호선(17)을 통해 컨트롤러(16)로부터 ON/OFF 데이터가 송신되면, 이 ON/OFF 데이터에 근거해서, 입출력부(86)에 의해 입출력 단자(96, 96)(2단자 있음)를 ON/OFF한다(출력 모드).
여기에서, ID부(88)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I/O센서 유닛(22) 자체의 ID코드나 I/O센서 유닛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억되고, 메모리(82)에는 각종 데이터나 컨트롤러(16)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I/O센서 유닛(22)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도 메모리(82)에 기입되어, 컨트롤러(16)에 송신된다. 또, I/O센서 유닛(22)도 컨트롤러(16)와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유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I/O센서 유닛(22)(입출력부(86)는 출력 모드)은 기판상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배선된다. 즉, 101은 포토 다이오드(101A)와 포토트라이액(101B)으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이고, 102는 저항, 103은 정류소자로서의 다이오드, 104는 축전소자로서의 콘덴서이다.
이 경우, 콘덴서(104)는 다이오드(103)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103)와 콘덴서(104)의 접속점과 I/O센서 유닛(22)의 입출력 단자(96)사이에 저항(102)과 포토 다이오드(101A)가 직렬로 접속된다. 또, I/O센서 유닛(22)의 Vcc 전원 단자(94)는 다이오드(103)의 앞에 접속된다. 그리고, 포토트라이액(101b)은 전원 AC와 교류 제어소자(사이리스터 등)(106)사이에 접속된다. 이 교류 제어소자(106)에 의해 상기 공기 조화기(12)의 운전을 제어하고, 조명(13)을 조광하는 동시에, 송신기(7)에도 제어 출력을 송신하게 된다.
여기에서, 다이오드(103)가 신호선(17)에 접속되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저항(102)을 통해 포토 다이오드(101A)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104)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104)로부터 방전되어, 포토 다이오드(101A)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다이오드(103)와 콘덴서(104)의 접속점에 Vcc 전원 단자(107)를 접속하고, 이 Vcc 전원 단자(107)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포토 다이오드(101A)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104)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에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냉동기(R1, R2)에 부착된 I/O센서 유닛(22)의 입출력부(86)는 입력 모드로 되고, 냉동기(R1, R2)의 운전상태를 검출해서 컨트롤러(16)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고온 센서 유닛(23)은 냉동기(R1, R2)의 이상고온을 검출해서 컨트롤러(16)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음에, 상기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구성을 도 10에 도시한다. 카운터 센서 유닛(24)은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11)와,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112, 113)와, 단자(123)로 신호선(17)에 접속되는 송수신 수단으로서의 인터페이스 로직(114)과, 카운터(116)와, 트리거 카운터(117)와, 자신의 ID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ID부(118)와, 도시하지 않은 축전 수단으로서의 콘덴서,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콘덴서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 센서 유닛(24)에도 Vcc(DC+5V) 전원 단자(119)가 설치되고, 이 Vcc 전원 단자(119)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카운터 센서 유닛(24)을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전력량계(27)는 편의점(CVS)에 있어서 소비되고 있는 전력을 검출하고, 펄스 출력을 발생킨다. 즉, 그 시점의 소비전력이 낮은 경우에는 펄스의 간격은 길어지고, 높은 경우에는 간격이 짧아진다.
이러한 펄스 출력은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입력 단자(121, 121)(2단자 있음)에 입력된다. 트리거 카운터(117)는 이러한 펄스의 시동에 의해 전력량계(27)의 펄스 출력을 검출하고, 카운터(116)는 트리거 카운터(117)가 검출한 펄스 출력을 계수(적산)한다.
제어부(111)는 컨트롤러(16)로부터 폴링되면, 카운터(116)가 계수한 카운트 데이터를 받아 들여, 인터페이스 로직(114)에 의해 해당 카운트 데이터를 신호선(17)을 통해 컨트롤러(16)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ID부(118)에는 카운터 센서 유닛(24) 자체의 ID코드나 카운터 센서 유닛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입되고, 메모리(113)에는 컨트롤러(16)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카운터 센서 유닛(24)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고장 데이터도 메모리(113)에 기입되고, 컨트롤러(16)에 송신된다. 또한, 카운터 센서 유닛(24)은 컨트롤러(16)와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보유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전환기(42)는 온도 센서(19)(신호선(17A))와 신호선(17) 사이의 회선을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컨트롤러(16)의 CPU(31)는 우선 신호선(17)에의 각 소자(온도 센서(19, 20), I/O센서 유닛(22), 고온 센서 유닛(23), 카운터 센서 유닛(24) 등)의 접속상황을 스캔한다.
이 스캔 동작은 도 11에 도시하는 순서로 각 온도 센서(19, 20), I/O센서 유닛(22), 고온 센서 유닛(23),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ID코드를 판독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하, 이들을 모두 단말 장치라고 부르고, 예를 들면 네개의 단말 장치의 ID코드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64비트인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비트 012345678……63
제1의 단말 장치 001100000……0
제2의 단말 장치 101100000……0
제3의 단말 장치 110000000……0
제4의 단말 장치 001000000……0
컨트롤러(16)(CPU(31))는 최초에 통신 커맨드(지시)를 각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각 단말 장치는 0K커맨드를 회신한다. 다음에, 컨트롤러(16)가 ID검색 커맨드를 송신하면, 단말 장치는 자신의 ID코드로, 응답 1로서 0비트째를 회신하고, 그 보수를 응답 2로서 이하와 같이 회신한다. 또한, 실제로는, 0비트째가 0인 경우는 신호선(17)의 접속단자를 상기 저전위(이하, 「L」)로 하고, 1인 경우에는 단자를 상기 고전위(이하, 「H」)로 한다.
비트 0 응답 1 응답 2
제1의 단말 장치 0 1
제2의 단말 장치 1 0
제3의 단말 장치 1 0
제4의 단말 장치 0 1
논리곱 0 0
컨트롤러(16)는 그 논리곱으로부터 판정을 하고, 각 단말 장치의 0비트째에 0과 1이 존재하는 것을 판정한다. 또한, 실제로는 신호선(17)에 접속된 각 단말 장치의 접속단자 중에 「L」가 하나라도 있으면 신호선(17)은 「L」가 되고, 모두 「H」이면 「H」가 된다. 컨트롤러(16)는 이 신호선(17)의 전위를 판단하므로, 결과로서 논리곱의 정보를 컨트롤러(16)가 검출하게 된다.
그래서, 컨트롤러(16)는 1비트째의 검색 커맨드 0, 1을 송신한다. 이 때, 0을 송신했을 경우에는, 0비트째가 0인 단말 장치만 1비트째를 회신하고, 1을 송신했을 때에는, 0비트째가 1인 것만 1비트째를 회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비트째의 검색시에 있어서의 0에 대한 응답은 이하와 같이, 제1 및 제4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다.
비트 1 응답 1 응답 2
제1의 단말 장치 0 1
제2의 단말 장치
제3의 단말 장치
제4의 단말 장치 0 1
논리곱 0 1
컨트롤러(16)는 그 논리곱으로부터 판정을 하고, 이 경우의 1비트째에 0만 존재하는 것을 판정한다. 따라서, 00의 ID코드의 것이 있는 것이 확정된다.
또, 1비트째의 검색시에 있어서의 1에 대한 응답은 이하와 같이, 제2 및 제3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다.
비트 1 응답 1 응답 2
제1의 단말 장치
제2의 단말 장치 0 1
제3의 단말 장치 1 0
제4의 단말 장치
논리곱 0 0
컨트롤러(16)는 그 논리곱으로부터 판정을 하고, 이 경우의 1비트째에 0과 1이 존재하는 것을 판정한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10과 11의 ID코드의 것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ID코드 00의 존재 확정을 받아서 컨트롤러(16)는 2비트째의 검색 커맨드 0을 송신한다. 2비트째의 검색시에 있어서의 0에 대한 응답은 이하와 같이, 제1 및 제4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다.
비트 2 응답 1 응답 2
제1의 단말 장치 1 0
제2의 단말 장치
제3의 단말 장치
제4의 단말 장치 1 0
논리곱 1 0
컨트롤러(16)는 그 논리곱으로부터 판정을 하고, 이 경우의 2비트째에 1만 존재하는 것을 판정한다. 따라서, 001의 ID코드의 것이 있는 것이 확정된다.
다음에, ID코드 001의 존재 확정을 받아서 컨트롤러(16)는 3비트째의 검색 커맨드 1을 송신한다. 3비트째의 검색시에 있어서의 1에 대한 응답은 제1 및 제4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다.
비트 3 응답 1 응답 2
제1의 단말 장치 1 0
제2의 단말 장치
제3의 단말 장치
제4의 단말 장치 0 1
논리곱 0 0
컨트롤러(16)는 그 논리곱으로부터 판정을 하고, 이 경우의 3비트째에 0과 1이 존재하는 것을 판정한다. 따라서, 0011과 0010의 ID코드의 것이 있는 것이 확정된다.
다음에, ID코드 0011과 0010의 존재 확정을 받아서 컨트롤러(16)는 4비트째의 검색 커맨드 1을 송신한다. 4비트째의 검색시에 있어서의 1에 대한 응답은 제1 및 제4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다.
비트 4 응답 1 응답 2
제1의 단말 장치 1 0
제2의 단말 장치
제3의 단말 장치
제4의 단말 장치 0 1
논리곱 0 0
컨트롤러(16)는 그 논리곱으로부터 판정을 하고, 이 경우의 4비트째에 0과 1이 존재하는 것을 판정한다. 따라서, 00110과 0010의 ID코드의 것이 있는 것이 확정된다.
다음에, ID코드 00110의 존재 확정을 받아서 컨트롤러(16)는 5비트째의 검색 커맨드 0을 송신한다. 5비트째의 검색시에 있어서의 0에 대한 응답은 제1의 단말 장치만으로 이루어진다.
비트 5 응답 1 응답 2
제1의 단말 장치 0 1
제2의 단말 장치
제3의 단말 장치
제4의 단말 장치
논리곱 0 1
컨트롤러(16)는 그 논리곱으로부터 판정을 하고, 이 경우의 5비트째에 0만 존재하는 것을 판정한다. 따라서 001100의 ID코드의 것이 있는 것이 확정된다. 이후에는 검색 커맨드 0만을 63비트째까지 반복하면, 001100……0, 즉, 이 ID코드의 제1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확정된다.
또, 상기 T비트째의 검색시에 있어서의 1에 대한 응답으로 1비트째에는 1과 0이 존재하는 점에서, 이번에는 2비트째의 검색으로 0과 1을 송신해서 마찬가지로 좁혀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0과 1이 존재하는 비트를 없애 가면 모든 단말 장치의 ID코드가 확정되게 된다.
컨트롤러(16)의 CPU(31)는 이렇게 해서 수집한 ID코드에 의해, 온도 센서(19, 20), I/O센서 유닛(22), 고온 센서 유닛(23),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접속 상황을 식별하여 메모리(32)에 보유하는 동시에, 이후에는 이 ID코드를 이용해서 각 온도 센서 또는 센서 유닛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다음에, 컨트롤러(16)의 CPU(31)는 수집한 ID코드를 이용해서 각 온도 센서(19…)에 상기 상한 온도(TH)와 하한 온도(TL)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5비트째의 검색시에 있어서의 0에 대한 응답은 제1의 단말 장치만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환기(42)가 서모스탯 칩(41)과 온도 센서(19)를 접속하면, 인테페이스 로직(47)에 의해 온도 센서(19)의 TH 레지스터(66) 및 TL레지스터(67)내의 상한 온도(TH) 및 하한 온도(TL)가 받아들여지고, 서모스탯 레지스터(48)에 저장된다. 또한, 인테페이스 로직(47)에 의해, 서모스탯 레지스터(48)에는, 예를 들면 상한 온도(TH)로서 4℃(레지스터의 내용으로서는 00000100B가 된다)와, 하한 온도(TL)로서 0℃(레지스터의 내용으로서는 00000000B가 된다)가 기입된 것으로 한다.
동작 모드 레지스터(54)는 A/D 컨버터(53)에 있어서, 온도 시프트 값(TC)의 변경 폭을 16℃로 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동작 모드 레지스터(54)에는 서모스탯 동작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전원시동 후에도 서모스탯 칩(41)은 단독으로 서모스탯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그리고, 볼륨(43)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온도 시프트 값(TC)을 변경 폭 16℃의 중간값인 8℃(레지스터의 내용으로서는 00001000B)로 한 것으로 하면, 컴퍼레이터(49)는 상기 상한 온도(TH)(4℃:00000100B)에 온도 시프트 값(TC)을 가산한다. 이것에 의해, 시프트된 상한 온도는 00000100B+00001000B=00001100B, 즉, 12℃가 된다.
또, 컴퍼레이터(49)는 상기 하한 온도(TL)(0℃:00000000B)에 온도 시프트 값(TC)을 가산한다. 이것에 의해, 시프트된 하한 온도는 00000000B+00001000B=00001000B, 즉, 8℃가 된다.
한편, 서모스탯 칩(41)의 인터페이스 로직(47)은 온도 센서(19)에 폴링을 행한다. 온도 센서(19)의 제어부(61)는 이 폴링에 응답해서, 메모리(62)에 기입되어 있는 온도 데이터(고내 온도(TP))를 인터페이스(63)에 의해 서모스탯 칩(41)에 송신한다. 인테페이스 로직(47)은 이 온도 데이터를 받고, 온도 데이터 레지스터(51)에 기입한다.
그리고, 컴퍼레이터(4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프트된 상한 온도:12℃와 하한 온도 8℃와 온도 데이터 레지스터(51)에 온도 센서(19)로부터 보내진 고내 온도(TP)를 비교하여, 고내 온도(TP)가 12℃(상한 온도)에 달한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44)를 ON하고, 고내 온도(TP)가 8℃(하한 온도)로 강하한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44)을 OFF하는 출력을 발생시킨다.
스위칭 소자(44)가 ON되면, 릴레이(46)에 의해 전자 밸브(V)에 통전되어, 전자 밸브(V)를 여는 동시에, 스위칭 소자(44)가 OFF되면 릴레이(46)에 의해 전자 밸브(V)의 통전이 정지된다. 냉동기(R1, R2)는 도시하지 않은 저압 스위치의 제어에 의해, 어느 쇼 케이스(S1, S3, S4)의 전자 밸브(V)가 열려 있으면 운전되고, 모두가 닫혀 있으면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오픈 쇼 케이스(S1)의 고내는 12℃와 8℃의 사이에서 온도 제어되게 되는 것이다.
또, 컨트롤러(16)는 감시용 온도 센서(20…)에 폴링을 행한다. 이 때의 순서(통신 프로토콜)를 도 12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경우, 전 온도 센서(20…)의 Vcc 전원 단자(77)는 전원선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것을 이하 기생 모드라고 한다.
컨트롤러(16)는 통신 개시 커맨드를 송신한다. 컨트롤러(16)는 신호선(17)에 접속된 포트(36)를 평소에는 「H」로 하고 있고, 이 통신 개시 커맨드의 송신은, 포트(36)를 500㎲ 내지 960㎲(마이크로초)「L」로 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6)는 15㎲ 내지 60㎲ 대기한다. 이 동안, 신호선(17)은 「H」이다.
그 후, 각 온도 센서(20…)로부터는 0K커맨드가 회신된다. 이 0K커맨드의 송신은, 입력 단자(76)를 60㎲ 내지 240㎲ 「L」로 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6)는 전 온도 센서(20…)에 대해서 동보(同報) 설정 커맨드를 송신한다. 온도 센서(20…)의 제어부(61)는 I/O인터페이스(63)를 통해 상기 동보 설정 커맨드를 받으면, 다음에 송신되는 커맨드가 전 온도 센서(20…)에 대해서 지령(동보)되는 것을 인식한다.
다음에, 컨트롤러(16)는 전 온도 센서(20…)에 대해서 온도 계측 개시 커맨드(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를 송신한다. 그리고, 이 온도 계측 개시 커맨드의 송신후, 컨트롤러(16)는 500㎳(밀리초) 대기한다. 이 동안, 신호선(17)은 「H」이고, 전 온도 센서(20…)의 각 소자에는 입력 단자(76)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72)는 충전된다.
전 온도 센서(20…)의 제어부(61)는, I/O인터페이스(63)를 통해 상기 온도 계측 개시 커맨드(동보의 커맨드)를 받으면, 일제히 각 센서부(64)에 의해 온도를 계측(검출)하고, 계측한 온도 데이터를 각각의 메모리(62)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500㎳의 대기 기간이 경과하면, 컨트롤러(16)는 다시 통신 개시 커맨드를 송신하고, 전 온도 센서(20…)로부터는 0K커맨드가 회신된다.
다음에, 컨트롤러(16)는 온도 센서의 호출 커맨드와 특정의 온도 센서(20)(예를 들면 최초의 ID코드를 보유하는 온도 센서(20))의 상기 ID코드를 송신한다. 그리고, 메모리 호출 커맨드(판독 지시)를 송신한다. 상기 ID코드를 보유하는 온도 센서(20)의 제어부(61)는, 자신의 ID코드로 지정된 상기 판독 커맨드에 응답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62)에 저장한 온도 데이터를 컨트롤러(16)에 회신한다.
컨트롤러(16)의 CPU(31)는 온도 센서(20)로부터 송신된 온도 데이터를 메모리(32)에 기입한다. 그리고, 최후에 컨트롤러(16)는 리셋 커맨드를 송신하고, 해당 온도 센서(20)로부터는 0K커맨드가 회신된다.
다음에, 컨트롤러(16)는 온도 센서의 호출 커맨드와 다음의 온도 센서(20)(예를 들면 상기 ID코드의 다음의 ID코드를 보유하는 온도 센서(20))의 ID코드를 송신한다. 그리고, 메모리 호출 커맨드(판독 지시)를 송신한다. 이 ID코드를 보유하는 온도 센서(20)의 제어부(61)는, 자신의 ID코드로 지정된 상기 판독 커맨드에 응답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62)에 저장한 온도 데이터를 컨트롤러(16)에 회신한다.
컨트롤러(16)의 CPU(31)는 해당 온도 센서(20)로부터 송신된 온도 데이터를 메모리(32)에 기입한다. 그리고, 최후에 컨트롤러(16)는 리셋 커맨드를 송신하고, 해당 온도 센서(20)로부터는 OK커맨드가 회신된다. 컨트롤러(16)는 이러한 통신 개시 커맨드, 온도 센서 호출 커맨드, 온도 센서 ID코드 내지 리셋 커맨드의 송신까지의 동작을 전 온도 센서(20…)에 대해서 반복해서 행하고, 모든 온도 센서(20…)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서모스탯 칩(41)과 온도 센서(19) 사이의 온도 데이터의 수집도 이것과 동일하다.
컨트롤러(16)의 CPU(31)는 이렇게 해서 수집하고, 메모리(32)에 기입된 온도 데이터를, 본부(C)나 보수관리회사(M)의 퍼스널 컴퓨터(P)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본부(C)나 보수관리회사(M)에서는 점포의 실내나 각 쇼 케이스의 고내 온도, 기계실의 온도 등을 집중 감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기생 모드에서는 온도 센서(20…)(19도 동일)와의 통신 개시시와 온도 계측 개시시에 신호선(17)(17A, 17B)을 「H」로 유지하는 대기 기간(500ms)을 두도록(다른 커맨드 사이의 시간간격은 예를 들면 500㎲) 하고 있으므로, 컨트롤러(16)(서모스탯 칩(41))와의 통신 개시에 있어서 온도 센서(20(19))에는 신호선(17)으로부터 충분한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신호선(17)에 복수 접속된 온도 센서(20(19))와 컨트롤러(16)(서모스탯 칩(41)) 사이의 통신 개시도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전 온도 센서(20(19)…)가 온도 계측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 신호선(17;17A, 17B)으로부터는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므로, 확실한 계측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온도 센서(20(19))의 검출 데이터는 「00」가 된다.
또한, 검출 동작 개시의 커맨드를 전 온도 센서(20(19)…)에 대해서 동보하는 형태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전 온도 센서(20(19)…)에 일제히 온도 계측을 행하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후의 판독 커맨드는 ID코드를 지정해서 개개의 온도 센서(20(19)…)에 대해서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 온도 센서(20(19)…)로부터의 온도 데이터의 판독도 각각 지장없이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온도 센서(20(19))에 온도 계측을 행하게 하고, 해당 온도 센서(20(19))가 계측한 온도 데이터를 판독하는 작업을 개개의 센서마다 실행했을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대기 기간을 각각의 온도 센서(20(19))에 대해서 두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온도 데이터의 수집에 지극히 긴 시간을 요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의 데이터 계측·수집에 대해서 대기 기간은 일회(예를 들면 500㎳는 일회)로 끝나게 되므로, 신호선(17)에 접속된 복수의 온도 센서(2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을 단기간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통신 시간이 단기간이 됨으로써, 통신중에 노이즈가 침입하는 문제점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대체로 확실하면서도 신속한 검출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컨트롤러(16)의 CPU(31)는 제어 데이터를 그 ID코드와 함께 신호선(17)을 통해 각 I/O센서 유닛(22…)에 송신한다. 공기 조화기(12), 조명(13)의 I/O센서 유닛(22)의 제어부(81)는 자신의 ID코드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에 근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단자(96)를 ON/OFF한다. 이 ON/OFF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101A)가 ON(발광)/OFF(소등)하고, 그것에 의해 포토트라이액(101B)이 ON/OFF 되고, 이것에 의해 교류 제어소자(106)가 ON/OFF된다.
통상 공기 조화기(12)는 이 교류 제어소자(106)에 의해 100% 운전되는 동시에, 조명(13)도 100%의 조도로 발광된다.
이러한 쇼 케이스(S1 내지 S5)나 냉동기(R1, R2), 공기 조화기(12)의 운전, 조명(13)의 점등에 의해 점포(편의점(CVS))에서는 전력이 소비되고 있는데, 전력량계(27)은 이러한 점포에 있어서 소비되고 있는 전력을 검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 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그리고,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카운터(116)는 이러한 펄스 출력을 계수(적산)하고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6)는 카운터 센서 유닛(24)에 폴링을 행한다. 이 때의 순서(통신 프로토콜)를 도 13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컨트롤러(16)는 통신 커맨드를 송신하고, 카운터 센서 유닛(24)으로부터는 0K커맨드가 회신된다. 컨트롤러(16)는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호출 커맨드와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ID코드를 송신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6)는 카운터 호출 커맨드를 송신한다. 카운터 센서 유닛(24)의 제어부(111)는 이 폴링에 응답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116)가 계수하고 있는 카운트 데이터를 회신한다. 그리고, 최후에 컨트롤러(16)는 리셋 커맨드를 송신하고, 카운터 센서 유닛(24)으로부터는 0K커맨드가 회신된다.
컨트롤러(16)의 CPU(31)는 이렇게 해서 받아 들인 카운트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32)에 기입하고, 다음에 그 날 해당 점포에서 소비된 전력 및 그 증가 경향을 산출한다. 그리고, 해당 점포에서 허용되어 있는 1일 소비전력을 초과해 버린다고 예측 판단될 경우, 컨트롤러(16)의 CPU(31)는 제어 데이터를 그 ID코드와 함께 신호선(17)을 통해 공기 조화기(12)와 조명(13)의 각 I/O센서 유닛(22…)에 송신한다.
이 경우의 제어 데이터는 공기 조화기(12)의 운전률을 예를 들면 10% 저하시키고, 조명(13)의 조도를 예를 들면 20% 저하시키는 조광을 행하는 뜻의 데이터가 된다. 공기 조화기(12), 조명(13)의 I/O센서 유닛(22)의 제어부(81)는 자신의 ID코드의 이러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에 근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단자(96)를 ON/OFF한다. 이 ON/OFF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101A)가 ON(발광)/OFF(소등)하고, 그것에 의해 포토트라이액(101B)이 ON/OFF 되고, 이것에 의해, 교류 제어소자(106)가 ON/OFF 되므로, 공기 조화기(12)는 90% 운전되는 동시에, 조명(13)도 80%의 조도로 조광(감광)된다.
여기에서, 컨트롤러(16)는 상기와 같은 온도 센서(20)에 의한 감시에 의해, 이상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I/O센서 유닛(22)에 의해 송신기(7)에 지시를 하고, 고정 카메라(8)를 제어해서 이상 발생 개소를 촬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온도 센서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온도나 압력 등을 검출하는 센서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편의점(CVS)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슈퍼마켓이나 레스토랑 등의 점포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한, 점포의 해석으로서는 일반 사무소 빌딩 등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신호선에 접속되는 센서의 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의 단말측 제어 수단은, 검출 수단이 검출한 데이터를 송수신 수단에 의해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장치에 송신하므로, 주 제어 장치는 센서로부터 지장없이 검출 데이터를 받아 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신호선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동시에, 기억 수단에는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신호선에 각 센서를 접속하는 것 만으로 주 제어 장치는 센서를 식별할 수 있고, 센서의 배선은 완료된다. 이것에 의해, 소위 플러그 인에 의해 센서를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현저한 배선의 간소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의 수 등에 관계없이 주 제어 장치에는 공통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통화에 의한 비용의 현저한 삭감을 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특히 이 경우, 센서의 단말측 제어 수단은, 송수신 수단에 의해 주 제어 장치로부터 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를 받은 경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동작을 실행하고, 주 제어 장치로부터 판독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검출 수단이 검출한 데이터를 송수신 수단에 의해 주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주 제어 장치는, 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 후, 판독 지시까지의 동안에 대기 기간을 두고, 또한, 이 대기 기간 중, 신호선을 고전위로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단말측 제어 수단이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 신호선에서는 충분한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제1항의 발명에서는 검출 동작 개시의 지시를 데이터 수집하려고 하는 모든 센서에 대해서 행하므로, 센서가 복수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각 센서에 일제히 검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후의 판독 지시는 ID코드를 지정해서 센서에 대해서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도 각각 지장없이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호선에 센서가 복수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을 단기간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통신중에 노이즈가 침입하는 문제점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대체로 확실하면서도 신속한 검출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제2의 실시 형태로서, 냉각 저장고 등의 기기의 실시예로서의 업무용 냉장고(201)의 개략 단면도, 도 15는 냉장고(201)의 전기계 배선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 냉장고(201)는 전면으로 개구하는 단열 하우징(202)에 의해 본체(205)가 구성되어 있고, 이 단열 하우징(202)안에 저장실(203)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저장실(203)의 전면 개구는 도어(204)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閉塞)되어 있다.
또, 저장실(203)안에는 냉각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각기(206)와 모터로 구동되는 냉각 팬(20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열 하우징(202)의 개구엣지에는 결로 방지용 방로 히터(208)가 배치되는 동시에, 도어(204)의 전면에는 주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 박스(209)의 조작 패널(211)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단열 하우징(202)의 아래쪽에는 기계실(2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계실(212)내에는 상기 냉각기(206)와 함께 냉각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컴프레서(213), 응축기(214), 응축기용 팬(216)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컴프레서(213)가 운전되면, 컴프레서(213)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응축기(214)로 방열되어서 응축되고, 도시하지 않은 감압 장치로 감압된 후, 냉각기(206)에 공급된다. 냉각기(206)에서는 이 냉매가 증발함으로써 냉각작용을 발휘하고, 그 후 저온의 가스 냉매는 컴프레서(213)로 다시 귀환한다. 냉각 팬(207)이 운전되면, 냉각기(206)로 냉각된 냉기는 저장실(203)안으로 순환되고, 이것에 의해, 저장실(203)안은 냉각된다. 또, 응축기용 팬(216)이 운전되면, 외기를 응축기(214), 컴프레서(213)에 통풍하므로 이들은 공냉된다. 또한, 방로 히터(208)에 통전되면 단열 하우징(202)의 개구 엣지가 가열되어, 결로가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15에 있어서 221은 냉각 저장고(201)의 본체(205)안에 배선된 AC전원선이고, 222는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신호선이다. AC전원선(221)과 신호선(222)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209)가 접속되는 동시에, 컴프레서(213)의 구동기판(223), 상기 각 팬(207, 216)의 전원기판(224) 및 상기 방로 히터(208)의 전원기판(226)은 AC전원선(221)에 접속된다.
또, 신호선(222)에는 칩상의 온도 센서(227)와, 상기 구동기판(223), 전원기판(224, 226)에 각각 부착된 칩상의 스위칭 소자(228…)가 각각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다. 여기에서, 전원기판(224)에는 스위칭 소자(228)를 1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팬(207, 216)에 대해서 각각 설치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이들 구동기판(223)과 전원기판(224, 226)이 컴프레서(213), 각 팬(207, 216) 및 방로 히터(208)와 별체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구동기판(223)과 전원기판(224, 226)을, 각각의 스위칭 소자(228)와 함께, 컴프레서(213), 각 팬(207, 216) 및 방로 히터(208)에 내장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컴프레서(213) 등의 온도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 기종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227)도 컴프레서(213)에 내장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컴프레서(213)나 팬(207, 216) 또는 방로 히터(208)에 내장된 각 스위칭 소자(228)나 온도 센서(227)를 신호선(222)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것 만으로 이들 부착부품의 배선이 완료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조립·배선작업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209)의 구성을 도 16에 도시한다. 컨트롤 박스(209)에는 컨트롤러(기판)(2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236)는, CPU(마이크로컴퓨터)(231),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232), I/O인터페이스(233) 및 송수신 수단으로서의 버스 I/O인터페이스(23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컨트롤 박스(209)에는 LED등으로 구성된 표시기(237)와, 입력 수단으로서의 스위치(238)와, 전환기(239)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기(237)와 스위치(238)는 I/O인터페이스(233)에 접속되어 상기 조작 패널(211)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버스 I/O 인터페이스(234)는 상기 전환기(239)를 통해 신호선(22)에 접속되고, 신호선(222)을 통해 상기 온도 센서(227)나 스위칭 소자(228…)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여기에서, 냉장고(201)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대 설치되어 있고, 각 냉장고(201)의 컨트롤 박스(209)의 전환기(239)는 전화 회선 등의 통신선(242)을 통해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P) 등의 외부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36) 또는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신호선(222)에 접속되는 신호계를 버스 I/O인터페이스(234)가 통신선(242)으로 전환되고, 또, 버스 I/O인터페이스(234)와 통신선(242)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컨트롤러(236)에는 상기 온도 센서(227)나 스위칭 소자(228), 퍼스널 컴퓨터(P)등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이나 온도 센서(227)나 스위칭 소자(228)를 식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온도 센서(227)의 구성을 도 17 내지 도 19, 도 22에 도시한다. 온도 센서(227)는, 도 17(a)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40)와,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241)와, 송수신 수단 및 기억 수단으로서의 I/O인터페이스(243)와, 검출 수단으로서의 센서부(244)과, TH레지스터(245A)와, TL레지스터(245B)와, 상태를 결정하는 설정 레지스터(245C)와, 통신의 정합성을 취하는 CRC제너레이터(246)와, 후술하는 Vcc전원을 검지하는 전원 검지부(247)와, 축전 수단을 구성하는 콘덴서(248) 및 다이오드(249A, 249B) 등으로 구성있다.
이 경우, 콘덴서(248)는 다이오드(249A, 249B)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276)는 이 다이오드(279A)와 I/O인터페이스(24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단자(276)는 신호선(222)(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콘덴서(248)는 I/O인터페이스(243)에도 접속된다.
그리고, 온도 센서(227)가 신호선(222)(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5V)와 저전위(0V)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248)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248)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온도 센서(227)에는 Vcc(DC+5V) 전원 단자(277)도 설치되고, 다이오드(249B)에 접속되어 있고, 온도 센서(227)는 이 Vcc 전원 단자(277)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전원 공급 모드). 즉, 이 전원 공급 모드에서는 콘덴서(248)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온도 센서(227)를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261)는, 신호선(222)(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입력 단자(276)로부터 I/O인터페이스(243)에 입력하는 온도검출 지시에 근거해서 센서부(264)에 의해 고내를 검출하고, 그 온도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일단 메모리(241)에 기입한다. 그리고, 메모리(241)에 기입된 온도 데이터를 I/O인터페이스(243)에 의해 신호선(222)에 접속된 버스 I/O인터페이스(234)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I/O인터페이스(243)에는 온도 센서(227) 자체의 ID코드나 센서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입되고, TH레지스터(245A)에는 해당 쇼 케이스의 상한 온도(TH)가, 또, TL레지스터(245B)에는 하한 온도(TL)가 기입된다. 이들의 상한 온도(TH), 하한 온도(TL)의 데이터는 I/O인터페이스(243)로부터 신호선(222)을 통해 송신된다. 또, 메모리(241)에는 버스 I/O인터페이스(234)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온도 센서(227)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고장 데이터도 메모리(241)에 기입되고, 버스 I/O인터페이스(234)에 송신된다. 또, 온도 센서(227)는 버스 I/O인터페이스(234)와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유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7(b)는, 메모리(241)의 맵을 도시하고, 이 메모리(241)는, 8비트의 스크래치 패드이고, 0에서 8까지의 각 바이트에 각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17(b)에 있어서는, 0바이트에 온도 데이터 하위, 1바이트에 온도 데이터 상위, 2바이트에 상한 온도(TH) 및 유저 사용 메모리, 3바이트에 하한 온도(TL) 및 유저 사용 메모리, 4바이트에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5바이트에서 7바이트는 사용하지 않고, 8바이트에 CRC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온도 센서(227)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 5㎜ 정도의 기판(252)의 일면에 부착된다.
도 19는, 수지 몰드된 온도 센서를 나타내고, 온도 센서(227)가 부착된 기판(252)은, 또한, 케이스(253)안에 수납된 후, 수지(254)로 몰드된다. 이 때, 기판(252)의 표면은 프라이머 처리되어 있어서 수지(254)와의 밀착성·방수성은 향상되어 있다.
또한, 256은 기판(252)으로부터 인출된 리드 선이고, 이들의 표면도 프라이머 처리되어 있다. 또, 257은 신호선(222)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227)의 칩과 다이오드(255)를 기판(252)에 배치해서 수지 몰드함으로써, 온도 센서(227)의 강도와 방수성은 현저하게 향상되어 열악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스위칭 소자(228)의 구성을 도 20에 도시한다. 스위칭 소자(228)는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81)와, 메모리(282, 283)와, I/O인터페이스(284)와, 입출력부(286)와, 이 입출력부(286)가 입력 상태인지 출력 상태인지를 기억하는 상태 기억부(287)와, 자신의 ID코드를 기억하는 ID부(288)와, 콘덴서(289)와, 다이오드(291, 29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콘덴서(289)는 다이오드(291, 292)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콘덴서(289)의 단자에 각 소자가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228)의 입력 단자(293)가 신호선(222)에 접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289)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289)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228)에도 다이오드(292)의 입력측에 접속된 Vcc(DC+5V) 전원 단자(294)가 설치되고, 이 Vcc 전원 단자(294)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스위칭 소자(228)의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289)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스위칭 소자(228)를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281)는 I/O인터페이스(284)에 의해, 신호선(222)을 통해 버스 I/O인터페이스(234)로부터 ON/OFF 데이터가 송신되면, 이 ON/OFF 데이터에 근거해서 입출력부(286)에 의해 입출력 단자(296, 296)(2단자 있음)를 ON/OFF한다(출력 모드).
여기에서, ID부(288)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228) 자체의 ID코드나 I/O센서 유닛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억되고, 메모리(282)에는 각종 데이터나 패스 I/O인터페이스(234)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스위칭 소자(228)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도 메모리(282)에 기입되고, 버스 I/O인터페이스(234)에 송신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228)도 버스 I/O인터페이스(234)와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유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228)는 각 구동기판(223), 전원기판(224, 226)상에 있어서 도 21과 같이 배선되어 스위칭 유닛(268)을 구성한다. 즉, 269는 포토 다이오드(269A)와 포토트라이액(269B)으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이고, 271은 저항, 272는 정류소자로서의 다이오드, 274는 축전소자로서의 콘덴서이다.
이 경우, 콘덴서(274)는 다이오드(272)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272)와 콘덴서(274)의 접속점과 저항(271)과 포토 다이오드(269A)가 스위칭 소자(228)의 일단에 직렬로 접속된다. 또, 스위칭 소자(228)의 타단은 다이오드(272)의 앞에 접속된다. 그리고, 포토트라이액(269B)은 AC전원선(221)과 컴프레서(213), 팬(207, 215), 방로 히터(208) 사이에 각각 개설된다.
다이오드(272)가 신호선(222)에 접속되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저항(271)을 통해 포토 다이오드(269A)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274)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274)로부터 방전되어 포토 다이오드(269A)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다이오드(272)와 콘덴서(274)의 접속점에 Vcc 전원 단자(260)를 접속하고, 이 Vcc 전원 단자(260)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포토 다이오드(269A)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274)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에 신속하게 동작하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 경우, 전환기(239)는 버스 I/O인터페이스(234)를 신호선(222)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냉장고(201)의 조립완료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온도 센서(227)나 스위칭 소자(228…)가 신호선(222)에 접속된 것으로 하면, 컨트롤러(236)의 CPU(231)는 우선 신호선(222)에의 각 소자(온도 센서(227), 스위칭 소자(228))의 접속 상황을 스캔한다.
온도 센서(227)나 스위칭 소자(228)의 제어부(240, 281)는 컨트롤러(236)로부터의 폴링에 대해서 메모리(241), ID부(288)에 기억되어 있는 자신의 ID코드를 회신한다. 컨트롤러(236)의 CPU(231)는 회신된 ID코드에 의해, 온도 센서(227)와 스위칭 소자(228…)의 접속상황을 식별하여 메모리(232)에 보유하는 동시에, 이후에는 이 ID코드를 이용해서 각 소자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다음에, 실제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컨트롤러(236)의 CPU(231)는 온도 센서(227)에 소정의 주기로 폴링을 행한다. 이 폴링은 상술의 ID코드에 근거해서 행하여진다. 온도 센서(227)의 제어부(240)는 이 폴링에 응답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데이터를 컨트롤러(236)에 송신한다. 컨트롤러(236)의 CPU(231)는 받은 온도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232)에 기입하고, 해당 온도 데이터와 설정온도를 비교해서 ON/OFF데이터를, 구동기판(223)의 스위칭 소자(228)의 ID코드와 함께 신호선(222)에 송신한다.
구동기판(223)의 스위칭 소자(228)의 제어부(281)는 자신의 ID코드의 ON/OFF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에 근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단자(296, 296)를 ON/OFF한다. 이 입출력 단자(296, 296)의 ON/OFF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269A)가 ON(발광)/OFF(소등)하고, 그것에 의해서 포토트라이액(269B)이 ON/OFF되고, 이것에 의해 컴프레서(213)가 기동/정지된다.
또한, 각 팬(207, 215) 및 방로 히터(208)는 연속통전이므로, 그 뜻의 ON/OFF 데이터가, 각 전원기판(224, 226)의 스위칭 소자(228)의 ID코드에 근거해서 송신된다. 그리고, 각 스위칭 소자(228)는 해당 ON/OFF 데이터에 근거해서 각 팬(207, 215) 또는 방로 히터(208)를 운전 또는 통전하는 것이다.
또, 온도 센서(227)나 각 스위칭 소자(228…)에 고장이 발생되어 있으면, 해당 고장 데이터는 각 소자의 제어부로부터 컨트롤러(236)에 송신된다. 컨트롤러(236)의 CPU(231)는 이러한 고장 데이터를 받으면, 표시기(237)에 해당 온도 센서(227) 또는 스위칭 소자(228…)에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뜻을 표시한다. 또한, 전환기(239)에 의해 버스 I/O인터페이스(234)를 통신선(242)에 접속하여 퍼스널 컴퓨터(P)에 그 뜻을 경보한다.
또한, 상술하는 바와 같이 각 냉장고(201)가 각각에 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컨트롤러(236)의 CPU(231)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또는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전환기(239)는 신호선(222)을 통신선(242)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각 온도 센서(227)와 스위칭 소자(228…)의 데이터의 수수·제어는, 이후 퍼스널 컴퓨터(P)를 대신해서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각 기기가 제어되게 된다.
다음에, 각 냉장고(201)를 퍼스널 컴퓨터(P)로 집중적으로 제어할 경우에는, 컨트롤러(236), 또는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전환기(239)는 신호선(222)을 통신선(242)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마찬가지로 각 온도 센서(227)와 스위칭 소자(228…)의 데이터의 수수·제어는, 이후 퍼스널 컴퓨터(P)가 대신하므로,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각 냉장고(201)의 컴프레서(213) 등이 집중 제어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각 냉장고(201…)의 컴프레서(213)를 기동할 때에는, 타이밍을 늦춰서 기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최대 소비전력을 저감하고, 전력의 평준화를 행하는 등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업무용 냉장고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가정용 냉장고나 저온 쇼 케이스, 프레파브 냉장고, 공기 조화기, 자동 판매기 등의 각종 전기기기, 또는 자동차, 가옥에 있어서의 홈 오토메이션·경비 시스템 등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센서로서 온도 센서를 채택했지만, 센서부로서 습도 또는 압력 등을 검출하는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습도 센서나 압력 센서로서도 유효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검출용 등의 센서의 센서측 제어 수단은, 온도 검출 소자 등의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송수신 수단에 의해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에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냉각 저장고 등의 기기의 주 제어 수단은 지장없이 데이터를 받아 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기억 수단에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신호선에 센서를 접속함으로써 주 제어 수단은 센서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센서의 배선은 완료된다. 이것에 의해, 소위 플러그 인에 의해 센서를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현저한 배선의 간소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센서의 수 등에 관계없이 주 제어 수단에는 공통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 제어 수단의 공통화에 의한 비용의 현저한 삭감을 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컴프레서, 팬 등의 부착부품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은, 신호선을 통해 송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므로, 냉각 저장고 등의 기기의 주 제어 수단은 지장없이 기기의 부착부품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는 기억 수단에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신호선에 스위칭 소자를 접속함으로써 주 제어 수단은 스위칭 소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스위칭 소자의 배선은 완료된다. 이것에 의해, 마찬가지로 소위 플러그 인에 의해 스위칭 소자를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현저한 배선의 간소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위칭 소자의 수 등에 관계없이 주 제어 수단에는 공통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주 제어 수단의 공통화에 의한 비용의 현저한 삭감을 꾀하는 것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에 부가해서, 센서 및 또는 스위칭 소자는, 신호선이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에 충전을 행하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방전해서 각 수단의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는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신호선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전원선에 접속하지 않고서, 신호선에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접속하는 것 만으로 배선이 완료하게 되고, 플러그 인에 의한 배선의 더 한층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부가해서,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냉각 저장고 등의 기기에 부착되는 부착부품에 내장시켰으므로, 부착부품을 기기에 장착하고,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신호선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부착부품의 배선이 완료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생산시의 조립 작업성, 또는 그 후의 부품 증설작업이 지극히 용이해지는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제3의 실시 형태로서, 기기의 실시예로서의 업무용 냉장고(301)의 개략 단면도, 도 25는 냉장고(301)의 전기계 배선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에 있어서, 냉장고(301)는 전면으로 개구하는 단열 하우징(302)에 의해 본체(305)가 구성되어 있고, 이 단열 하우징(302)안에 저장실(303)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저장실(303)의 전면 개구는 도어(304)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되어 있다. 또, 저장실(303)안에는 냉각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각기(306)와 모터로 구동되는 고내 팬(307)이 설치되어 있다.
또, 냉각기(306)에는 서리 제거용 디프로스터(defroster; 전기 히터)(330)(도 25)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단열 하우징(302)의 개구 엣지에는 결로방지용 방로 히터(308)가 배치되는 동시에, 도어(304)의 전면에는 주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 박스(309)의 조작 패널(311)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단열 하우징(302)의 아래쪽에는 기계실(3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계실(312)안에는 상기 냉각기(306)와 함께 냉각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컴프레서(313), 응축기(314), 응축기용 팬(31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컴프레서(313)가 운전되면, 컴프레서(313)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응축기(314)로 방열되어 응축되고, 도시하지 않은 감압 장치로 감압된 후, 냉각기(306)에 공급된다. 냉각기(306)에서는 이 냉매가 증발함으로써 냉각작용을 발휘하고, 그 후 저온의 가스 냉매는 컴프레서(313)에 다시 귀환한다. 고내 팬(307)이 운전되면, 냉각기(306)로 냉각된 냉기는 저장실(303)안으로 순환되고, 이것에 의해 저장실(303)안은 냉각된다.
또, 응축기용 팬(316)이 운전되면, 외기를 응축기(314), 컴프레서(313)에 통풍하므로, 이들은 공냉된다. 또한, 디프로스터(330)에는 소정시간마다, 또는 소정시각에 통전된다. 디프로스터(330)에 통전이 이루어지면 발열해서 냉각기(306)를 가열함으로써 서리 제거가 행하여진다. 또, 방로 히터(308)에 통전되면 단열 하우징(302)의 개구 엣지가 가열되어 결로가 방지된다.
다음에, 도 25에 있어서 321은 냉장고(301)의 본체(305)안에 배선된 AC전원선이고, 322는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신호선이다. AC전원선(321)과 신호선(322)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309)가 접속되는 동시에, 컴프레서(313)의 구동기판(323), 상기 각 팬(307, 316)의 전원기판(324) 및 상기 디프로스터(330), 방로 히터(308)의 전원기판(326)은 AC전원선(321)에 접속된다.
또, 신호선(322)에는 칩상의 기억 장치(325)와, 저장실(303)안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의 칩상의 고내 온도 센서(327)와, 냉각기(306)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의 칩상의 서리 제거 센서(310)과, 응축기(314)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의 칩상의 고온 센서(320)와, 상기 구동기판(323), 전원기판(324, 326)에 각각 부착된 칩상의 스위칭 소자(328…)가 각각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전원기판(324, 326)에는 스위칭 소자(328)를 1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팬(307, 316), 디프로스터(330), 방로 히터(308)에 대해서 각각 설치된다.
또, 실시예에서는 이들 구동기판(323), 전원기판(324, 326)이 컴프레서(313), 각 팬(307, 316) 및 디프로스터(330), 방로 히터(308)와 별체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 구동기판(323), 전원기판(324, 326)을, 각각의 스위칭 소자(328)와 함께 컴프레서(313), 각 팬(307, 316) 및 디프로스터(330), 방로 히터(308)에 각각 내장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컴프레서(313)나 팬(307, 316) 또는 디프로스터(330), 방로 히터(308)에 내장된 각 스위칭 소자(328)와 신호선(322)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것 만으로 배선이 완료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조립·배선작업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309)의 구성을 도 26에 도시한다. 컨트롤 박스(309)에는 컨트롤러(기판)(3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336)는, CPU(마이크로컴퓨터) (331),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332), I/O인터페이스(333) 및 송수신 수단으로서의 버스 I/O인터페이스(33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컨트롤 박스(309)에는 액정표시 패널로 구성된 표시기(337)와, 입력 수단(키보드, 마우스 등)으로서의 스위치(338)와, 전환 수단으로서의 전환기(339) 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기(337)와 스위치(338)는 I/O인터페이스(333)에 접속되어 상기 조작 패널(311)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버스 I/O인터페이스(334)는 상기 전환기(339)를 통해 신호선(322)에 접속되고, 신호선(322)을 통해 상기 기억 장치(325)나 온도 센서(327), 스위칭 소자(328…)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전환기(339)에는 통신선(342)을 통해 외부의 랩탑 퍼스널 컴퓨터(P)(디스플레이·키보드·마우스 등을 구비한 외부 제어 장치)등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환기(339)는 평소에는 버스 I/O인터페이스(334)와 신호선(322)을 접속하고 있지만, 퍼스널 컴퓨터(P)가 접속된 경우에는, 버스 I/O인터페이스(334)(즉, 컨트롤 박스(309))를 신호선(322)으로부터 분리하고, 퍼스널 컴퓨터(P)를 신호선(322)에 접속한다.
또한, 컨트롤러(336)에는 상기 고내 온도 센서(327), 서리 제거 센서(310), 고온 센서(320)나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나 퍼스널 컴퓨터(P)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이나 후술하는 각 센서(327, 310, 320)나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를 서치해서 식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표시기(337)에의 표시 화상데이터 등이 설정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P)에도 상기 각 센서(327, 310, 320)나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나 컨트롤러(336)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이나 후술하는 각 센서(327, 310, 320)나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를 서치해서 식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등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 고내 온도 센서(327), 서리 제거 센서(310), 고온 센서(320)의 구성을 도 27에 도시한다. 또한, 각 센서(327, 310, 320)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는 고내 온도 센서(327)에 대해서 기술한다. 상기 온도 센서(327)는, 도 27(a)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340)와,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341)와, 송수신 수단 및 기억 수단으로서의 I/O인터페이스(343)와, 검출 수단으로서의 센서부(344)과, TH레지스터(345A)와, TL레지스터(345B)와, 상태를 결정하는 설정 레지스터(345C)와, 통신의 정합성을 취하는 CRC제너레이터(346)와, 후술하는 Vcc전원을 검지하는 전원 검지부(347)와, 축전 수단을 구성하는 콘덴서(348) 및 다이오드(349A, 349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콘덴서(348)는 다이오드(349A, 349B)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376)는 이 다이오드(349A)와 I/O인터페이스(34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단자(376)는 신호선(322)(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콘덴서(348)는 I/O인터페이스(343)에도 접속된다.
그리고, 온도 센서(327)가 신호선(322)(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5V)와 저전위(0V)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348)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348)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제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온도 센서(327)에는 Vcc(DC+5V) 전원 단자(377)도 설치되고, 다이오드(349B)에 접속되어 있고, 온도 센서(327)는, 이 Vcc 전원 단자(377)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전원 공급 모드). 즉, 이 전원 공급 모드에서는 콘덴서(348)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온도 센서(327)를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361)는, 신호선(322)(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입력 단자(376)로부터 I/O인터페이스(343)에 입력하는 온도 검출 지시에 근거해서 센서부(364)에 의해 고내를 검출하고, 그 온도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일단 메모리(341)에 기입한다. 그리고, 메모리(341)에 기입된 온도 데이터를 I/O인터페이스(343)에 의해 신호선(322)에 접속된 버스 I/O인터페이스(334)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I/O인터페이스(343)에는 온도 센서(327) 자체의 ID코드나 센서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입되고, TH레지스터(345A)에는 해당 쇼 케이스의 상한 온도(TH)가, 또 TL레지스터(345B)에는 하한 온도(TL)가 기입된다. 이들 상한 온도(TH), 하한 온도(TL)의 데이터는 I/O인터페이스(343)로부터 신호선(322)을 통해 송신된다. 또, 메모리(341)에는 버스 I/O인터페이스(334)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온도 센서(327)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고장 데이터도 메모리(341)에 기입되고, 버스 I/O인터페이스(334)에 송신된다. 또, 온도 센서(327)는 버스 I/O인터페이스(334)와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유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27(b)는, 메모리(341)의 맵을 도시하고, 이 메모리(341)는, 8비트의 스크래치 패드이고, 0에서 8까지의 각 바이트에 각 데이터가 저정된다. 도 27(b)에 있어서는, 0바이트에 온도 데이터 하위, 1바이트에 온도 데이터 상위, 2바이트에 상한 온도(TH) 및 유저 사용 메모리, 3바이트에 하한 온도(TL) 및 유저 사용 메모리, 4바이트에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5바이트에서 7바이트는 사용하지 않고, 8바이트에 CRC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스위칭 소자(328)의 구성을 도 28에 도시한다. 스위칭 소자(328)는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381)과, 메모리(382, 383)와, I/O인터페이스(384)와, 입출력부(386)와, 이 입출력부(386)가 입력상태인지 출력상태인지를 기억하는 상태 기억부(387)와, 자신의 ID코드를 기억하는 ID부(388)와, 콘덴서(389)와, 다이오드(391, 39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콘덴서(389)는 다이오드(391, 392)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콘덴서(389)의 단자에 각 소자가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328)의 입력 단자(393)가 신호선(322)에 접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389)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389)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328)에도 다이오드(392)의 입력측에 접속된 Vcc(DC+5V) 전원 단자(394)가 설치되고, 이 Vcc 전원 단자(394)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스위칭 소자(328)의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389)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스위칭 소자(328)를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381)는 I/O인터페이스(384)에 의해, 신호선(322)을 통해 버스 I/O인터페이스(334)로부터 ON/OFF 데이터가 송신되면, 이 ON/OFF데이터에 근거해서 입출력부(386)에 의해 입출력 단자(396, 396)(2단자 있음)를 ON/OFF한다(출력 모드).
여기에서, ID부(388)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328) 자체의 ID코드나 I/O센서 유닛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억되고, 메모리(382)에는 각종 데이터나 버스 I/O인터페이스(334)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스위칭 소자(328)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도 메모리(382)에 기입되고, 버스 I/O인터페이스(334)에 송신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328)도 버스 I/O인터페이스(334)와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유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328)는 각 구동 기판(323), 전원 기판(324, 326)상에 있어서 도 29와 같이 배선되어 스위칭 유닛(368)을 구성한다. 즉, 369는 포토다이오드(369A)와 포토트라이액(369B)으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이고, 371은 저항, 372는 정류 소자로서의 다이오드, 374는 축전 소자로서의 콘덴서이다.
이 경우, 콘덴서(374)는 다이오드(372)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372)와 콘덴서(374)의 접속점과 저항(371)과 포토다이오드(369A)가 스위칭 소자(328)의 일단에 직렬로 접속된다. 또, 스위칭 소자(328)의 타단은 다이오드(372)의 앞에 접속된다. 그리고, 포토트라이액(369B)은 AC전원선(321)과 컴프레서(313), 팬(307, 315), 방로 히터(308)사이에 각각 개설된다.
다이오드(372)가 신호선(322)에 접속되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저항(371)을 통해 포토 다이오드(369A)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374)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374)로부터 방전되어 포토 다이오드(369A)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다이오드(372)와 콘덴서(374)의 접속점에 Vcc 전원 단자(360)를 접속하고, 이 Vcc 전원 단자(360)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포토 다이오드(369A)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374)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에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기억 장치(325)의 구성을 도 31에 도시한다. 기억 장치(325)는, 기억 장치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381)와, 기억 수단으로서의 ROM(382), RAM(383), EEPROM(384)과, 송수신 수단으로서의 I/O인터페이스(386)와, 축전소자로서의 콘덴서(387)와, 정류소자로서의 다이오드(38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콘덴서(388)는 다이오드(387)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387)와 콘덴서(388)의 접속점에 각 소자가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억 장치(325)가 신호선(322)에 접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388)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388)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CPU(381)는 I/O인터페이스(386)에 의해, 신호선(322)을 통해 컨트롤러(336)나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면, 이 데이터에 근거해서 동시에 보내져 오는 데이터를 RAM(383)을 이용해서 EEPROM(384)에 기입하고, 또한, EEPROM(384)에 기입된 데이터를 I/O인터페이스(386)에 의해 컨트롤러(336)나 퍼스널 컴퓨터(P)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ROM(382)에는 기억 장치(325) 자체의 ID코드나 기억 장치인 뜻의 식별 데이터 및 컨트롤러(336)나 퍼스널 컴퓨터(P)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최초에 퍼스널 컴퓨터(P)는 전환기(339)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고, 냉장고(301)의 생산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센서(327, 310, 320)나 스위칭 소자(328…)가 신호선(322)에 접속된 것으로 하면, 컨트롤러(336)(의 CPU(331))는 우선 신호선(322)에의 각 소자(센서(327, 310, 320),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의 접속상황을 서치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336)는 모든 센서(327, 310, 320),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에 ID요구를 행하고, 이것에 응답해서 모든 센서(327, 310, 320),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는 자신의 ID코드 등을 컨트롤러(336)에 회답한다. 컨트롤러(336)는 응답된 ID코드 등에 근거해서 신호선(322)에 기억 장치(325)나, 고내 온도 센서(327), 서리 제거 센서(310) 및 고온 센서(320)의 각 센서가 접속되고, 컴프레서(313)용의 스위칭 소자(328), 디프로스터(330)용의 스위칭 소자(328), 고내 팬(307)용의 스위칭 소자(328), 방로 히터(308)용의 스위칭 소자(328)(실제로는 응축기용 팬도 있다)의 각 스위칭 소자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컨트롤러(336)는 인식된 온도 센서(327, 310, 320)와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의 접속상황은 메모리(332)에 보유하는 동시에, 이후에는 이 ID코드를 이용해서 각 소자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다음에, 냉장고(301)의 출하시의 작업을 설명한다. 즉, 출하시에 있어서의 검사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를 전환기(339)에 접속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36)는 신호선(32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는 신호선(322)을 통해 기억 장치(325)에 해당 냉장고(301)의 종류(냉동·냉장 등), 제어방법, 기능(온도대) 등의 파라미터(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억 장치(325)는,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 송신된 파라미터의 데이터를 EEPROM(384)내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한다.
그 후, 퍼스널 컴퓨터(P)를 전환기(339)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컨트롤러(336)를 신호선(322)에 접속한다. 컨트롤러(336)는 신호선(322)에 접속되면, 이번에는 기억 장치(325)에 액세스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EEPROM(384)내에 기입된 파라미터를 기억 장치(325)로부터 판독하여 자신의 메모리(332)에 보유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 컨트롤러(336)에의 파라미터의 설정이 완료된다.
다음에, 컨트롤러(336)는 ON/OFF데이터를 구동기판(323)의 스위칭 소자(328) 및 전원기판(324)의 스위칭 소자(328)의 각 ID코드와 함께 신호선(322)에 송신하고, 컴프레서(313)와 고내 팬(307)을 기동해서 냉각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36)의 CPU(331)는 각 센서(327, 310, 320)에 소정의 주기로 폴링을 행한다. 이 폴링은 상술의 ID코드에 근거해서 행하여진다. 센서(327, 310, 320)의 CPU(340)는 이 폴링에 응답해서 온도 데이터를 컨트롤러(336)에 송신한다. 컨트롤러(336)의 CPU(331)는 받은 온도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332)에 기입하고, 다음에, 이러한 냉각 운전을 개시한 후의 온도 데이터의 추이에 근거해서 각 센서의 기능 할당을 행한다.
즉, 냉각운전 개시후, 일정시간 경과했을 때에 온도 데이터에 의한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ID의 센서는 고온 센서(310)인 뜻의 기능 할당을 컨트롤러(336)는 행하고, 메모리(332)는 기억한다. 또, 온도 데이터에 의한 온도가 강하하고 있고, 그 온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해당 ID의 센서는 고내 온도 센서(327)인 뜻의 기능 할당을 컨트롤러(336)는 행하고, 메모리(332)에 기억한다. 또한, 온도 데이터에 의한 온도가 강하하고 있고, 그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해당 ID의 센서는 서리 제거 센서(320)인 뜻의 능력 할당을 컨트롤러(336)는 행하고, 메모리(332)에 기억한다. 이것에 의해, 미리 설정하지 않고서 컨트롤러(336)에는 각 센서의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다.
다음에, 냉장고(301) 설치후의 실제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컨트롤러(336)의 CPU(3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327, 310, 320)에 소정의 주기로 폴링을 행한다. 이 폴링은 상술의 ID코드에 근거해서 행하여진다. 센서(327, 310, 320)의 CPU(343)는 이 폴링에 응답해서 상술과 같이 온도 데이터를 컨트롤러(336)에 송신한다. 컨트롤러(336)의 CPU(331)는 받은 온도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332)에 기입하고, 이 중의 고내 온도 센서(327)로부터의 온도 데이터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설정온도를 비교해서 ON/OFF데이터를 구동기판(323)의 스위칭 소자(328)의 ID코드과 함께 신호선(322)에 송신한다.
구동기판(323)의 스위칭 소자(328)의 제어부(281)는 자신의 ID코드의 ON/OFF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에 근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단자(296, 296)를 ON/OFF한다. 이 입출력 단자(296, 296)의 ON/OFF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369A)가 ON(발광)/OFF(소등)하고, 그것에 의해 포토트라이액(369B)이 ON/OFF되고, 이것에 의해 컴프레서(313)가 기동/정지된다.
또, 컨트롤러(336)의 CPU(331)는, ON/OFF 데이터를 전원기판(326)의 스위칭 소자(328)의 ID코드와 함께 신호선(322)에 송신하고, 소정의 주기로 또는 소정의 시각에 디프로스터(330)에 통전해서 냉각기(306)의 서리 제거를 행한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받은 서리 제거 센서(310)로부터의 온도 데이터에 근거해서 냉각기(306)의 서리 제거 제어(소정온도로 종료)를 실행한다
또한, 각 팬(307, 315) 및 방로 히터(308)는 연속 통전이므로, 그 뜻의 ON/OFF 데이터가, 각 전원기판(324, 326)의 스위칭 소자(328)의 ID코드에 근거해서 송신된다. 그리고, 각 스위칭 소자(328)는 해당 ON/OFF 데이터에 근거해서 각 팬 (307, 315) 또는 방로 히터(308)를 운전 또는 통전하는 것이다.
또, 컨트롤러(336)는 각 센서(327, 310, 320)로부터의 온도 데이터에 근거해서 어느 센서로부터의 온도 데이터가 운전개시후에도 변화 없는 경우에는, 해당 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또, 모든 센서로부터의 온도 데이터가 변화 없는 경우에는, 컴프레서(313) 등의 냉각 장치 자체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또한, 센서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를 받아 들일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센서와의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스위칭 소자(328…)로부터의 데이터를 받아 들일 수 없는 경우에도 해당 스위칭 소자(328)의 고장 또는 단선으로 판단한다. 컨트롤러(336)의 CPU(331)는 이러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표시기(337)에 해당 센서(327, 310, 320) 또는 스위칭 소자(328…)에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뜻을 표시한다.
이러한 고장표시에 근거해서, 또는 정기적으로 냉장고(301)의 보수·점검(메인터넌스)을 행할 때에는, 퍼스널 컴퓨터(P)를 전환기(339)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36)는 신호선(322)으로부터 분리되고, 그것에 대신해서 퍼스널 컴퓨터(P)가 신호선(322)에 접속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P)에 소정의 키 조작이 행하여지면, 퍼스널 컴퓨터(P)는 기억 장치(325)에 액세스해서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를 수렴한다.
여기에서, 기억 장치(325)의 EEPROM(384)에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이 작성되어 있고, 이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에는 지금까지 행하여진 메인터넌스로 교환된 부품명이 교환된 날짜와 함께 기입되어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 데이터 요구가 되면 기억 장치(325)는 이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내의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P)에 송신한다.
퍼스널 컴퓨터(P)는 이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그 디스플레이에 지금까지 해당 냉장고(301)에 대해서 행하여진 메인터넌스로 교환된 부품명과 날짜를 각각 표시한다.
보수 작업원(서비스맨)은 이러한 메인터넌스 이력(부품교환 리스트)을 보고, 지금까지 해당 냉장고(301)에 발생되어 있는 고장상황을 파악하고, 그 분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센서가 빈번하게 교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센서 자체에 결함이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신속한 대책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수리, 교환 등이 종료했을 경우는, 그 때에 메인터넌스를 행한 담당자 명(서비스맨의 이름)을 퍼스널 컴퓨터(P)의 키 조작으로 입력한다. 퍼스널 컴퓨터(P)는 입력된 담당자 명을 당일의 날짜와 함께 기억 장치(325)내의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에 기입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P)를 전환기(339)로부터 분리하면, 컨트롤러(336)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모든 센서(327, 310, 320),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에 ID요구를 행하고, 이것에 응답해서 모든 센서(327, 310, 320),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는 자신의 ID1코드 등을 컨트롤러(336)에 회답한다. 컨트롤러(336)는 회답된 IID코드 등에 근거해서 상술과 마찬가지로 각 소자가 신호선(322)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컨트롤러(336)는 인식된 온도 센서(327, 310, 320)와 스위칭 소자(328…), 기억 장치(325)의 접속상황을 메모리(332)에 보유하고, 이후에는 마찬가지로 이 ID코드를 이용해서 각 소자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상술의 메인터넌스에 의해 예를 들면 온도 센서(327)가 교환된 것으로 하면, 컨트롤러(336)는 받아들인 새로운 온도 센서(327)의 ID코드에 의해, 해당 온도 센서(327)가 신호선(322)에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이후 컨트롤러(336)는 교환후의 온도 센서(327)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또, 컨트롤러(336)는 새로운 온도 센서(327)를 발견했을 경우, 그 ID코드와 함께 기억 장치(325)의 EEPROM(384)내의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에 기입한다. 이 경우, 당일의 날짜와 대조하여, 당일의 메인터넌스를 행한 담당자 명과 함께, 교환된 새로운 온도 센서(327)의 ID코드를 파일에 기입하는 것이다.
한편, 컨트롤러(336)의 CPU(331) 자체가 고장났을 경우는 퍼스널 컴퓨터(P)를 전환기(339)에 접속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P)를 신호선(322)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각 센서(327, 310, 320)와 스위칭 소자(328…)의 데이터의 수수·제어는, 이후 퍼스널 컴퓨터(P)를 대신해서, 퍼스널 컴퓨터(P)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P)에는 도 26,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대의 냉장고(301…)의 컨트롤 박스(309…)를 통신선(342)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과 같은 고장 등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 제어를 퍼스널 컴퓨터(P)가 대신했을 경우에는, 각 냉장고(301…)의 운전을 퍼스널 컴퓨터(P)로 집중 제어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각 냉장고(301…)의 컴프레서(313)의 기동 타이밍을 늦춰서 비용전력의 평준화를 행하는 등의 제어도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채택했지만, 센서부로서 습도 또는 압력 등을 검출하는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습도 센서나 압력 센서로서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 실시예에서는 업무용 냉장고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가정용 냉장고나 저온 쇼 케이스, 프레파브 냉장고, 자동 판매기 등의 각종 전기기기, 또는 자동차, 가옥에 있어서의 홈 오토메이션·경비 시스템 등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이상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에 배선된 신호선과, 기기에 설치된 주 제어 수단과, 신호선에 접속되어 주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설치했으므로,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는,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고, 기기는 주 제어 수단에 의해 운전이 제어된다.
특히, 신호선에 접속된 기억 장치와, 신호선에 외부 제어 장치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전환 수단을 설치하고, 기억 장치는, 기기의 메인터넌스 이력이 기입된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을 보유하는 동시에, 신호선에 외부 제어 장치가 접속된 상태로, 해당 외부 제어 장치에 의해, 보유하는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내의 데이터가 판독되고, 또한 데이터가 기입되도록 했으므로, 기기의 보수·점검을 행할 경우에는, 전환 수단에 의해 신호선에 외부 제어 장치를 접속하고, 이 외부 제어 장치에 의해 기억 장치의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내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동시에, 점검후에는 고장내용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에 발생한 과거의 메인터넌스 이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적확한 분석과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종래의 라벨에 기입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에게 파악될 일도 없으므로, 쓸데없는 불안을 줄 걱정도 없는 것이다.
상기에 부가해서, 주 제어 수단은,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가 교환된 경우, 새로운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서치하고, 기억 장치내의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에 기입하도록 했으므로, 교환한 센서나 스위칭 소자를 외부 제어 장치로부터 기억 장치에 기입할 필요가 없어지고, 메인터넌스 작업성이 향상하는 것이다.
상기에 부가해서, 기억 장치의 기억 장치측 제어 수단은, 신호선을 통해 송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주 제어 수단 및 외부 제어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기억 수단의 데이터의 판독과 기입을 제어하므로, 주 제어 수단 및 외부 제어 장치는 지장없이 기억 장치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판독과 기입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억 장치는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신호선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므로, 기억 장치는 신호선에 접속됨으로써 다른 전원 공급을 받지 않고서 동작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위 플러그 인에 의해 기억 장치를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현저한 배선의 간소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에 부가해서, 센서의 센서측 제어 수단은,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송수신 수단에 의해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에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기기의 주 제어 수단은 지장없이 데이터를 받아 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기억 수단에 자신의 ID 코드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선에 센서를 접속함으로써 주 제어 수단은 센서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센서의 배선은 완료된다.
또, 상기에 부가해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은, 신호선을 통해 송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므로, 기기의 주 제어 수단은 지장 없이 기기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스위칭 소자는 기억 수단에 자신의 ID 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신호선에 스위칭 소자를 접속함으로써 주 제어 수단은 스위칭 소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스위칭 소자의 배선은 완료된다.
이들에 의해, 소위 플러그인에 의해서 상기 기억 장치, 센서나 스위칭 소자를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현저한 배선의 간소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상술과 같은 주 제어 수단에 의한 센서나 스위칭 소자의 서치도, ID 코드에 의해서 신속하면서도 적확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또, 기억 장치, 센서나 스위칭 소자의 수 등에 관계없이 주 제어 수단 또는 외부 제어 장치에는 공통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공통화에 의한 비용의 현저한 삭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제4의 실시 형태로서, 기기의 실시예로서의 업무용 냉장고(401)의 개략 단면도, 도 34는 병설된 냉장고(401A, 401B, 401C)를 도시하는 도, 도 35는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신호계의 배선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냉장고(401)(도 34에 도시하는 동일 구조의 각 냉장고(401A, 401B, 401C)를 대표해서 도시한 것)는 전면으로 개구하는 단열 하우징(402)에 의해 본체(405)가 구성되어 있고, 이 단열 하우징(402)안에 저장실(403)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저장실(403)의 전면 개구는 도어(404)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되어 있다. 또, 저장실(403)안에는 냉각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각기(406)와 모터로 구동되는 고내 팬(407)이 설치되어 있다.
또, 냉각기(406)에는 서리 제거용 디프로스터(전기히터)(430)(도 35)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단열 하우징(402)의 개구 엣지에는 결로 방지용 방로 히터(408)가 배치되는 동시에, 특히 냉장고(401A)의 도어(404)의 전면에는 주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 박스(409)의 조작 패널(411)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단열 하우징(402)의 아래쪽에는 기계실(4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계실(412)안에는 상기 냉각기(406)와 함께 냉각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컴프레서(413), 응축기(414), 응축기용 팬(416)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컴프레서(413)가 운전되면, 컴프레서(413)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414)로 방열되어 응축되고, 도시하지 않은 감압장치로 감압된 후, 냉각기(406)에 공급된다. 냉각기(406)에서는 이 냉매가 증발함으로써 냉각작용을 발휘하고, 그 후 저온의 가스 냉매는 컴프레서(413)에 다시 귀환한다. 고내 팬(407)이 운전되면, 냉각기(406)로 냉각된 냉기는 저장실(403)안으로 순환되고, 이것에 의해, 저장실(403)안은 냉각된다.
또, 응축기용 팬(416)이 운전되면, 외기를 응축기(414), 컴프레서(413)에 통풍하므로, 이들은 공냉된다. 또한, 디프로스터(430)에는 소정시간마다, 또는 소정시각에 통전된다. 디프로스터(430)에 통전이 이루어지면 발열해서 냉각기(406)를 가열함으로써, 서리 제거가 행하여진다. 또, 방로 히터(408)에 통전되면 단열 하우징(402)의 개구 엣지가 가열되고, 결로가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35에 있어서 421은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본체(405)안에 배선된 AC전원선이고, 422는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신호선이다. 이 신호선(22)은 각 냉장고(401A, 401B, 401C) 각각의 본체(405)안에 배선되어 있고, 또한, 각 냉장고(401A, 401B, 401C) 사이에는 연결 배선(신호선)(422A)도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신호선(422…)은 이 연결 배선(422A)으로부터 분기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신호선(422)에 접속되는 각 소자가 각각 계통을 구성하고, 각 계통에의 분기점에 위치하는 신호선(422)에는 도 35와 같이 전환 장치(425)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이 경우 각 냉장고(401A, 401B, 401C)는 집중적으로 제어되는 것이고, 제어상의 리더가 되는 냉장고는 냉장고(401A)로 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401A)의 AC전원선(421)과 연결 배선(422A)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40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AC전원선(421)과 신호선(422)에는 상기 컴프레서(413)의 구동기판(423), 상기 각 팬(407, 416)의 전원기판(442) 및 상기 디프로스터(430), 방로 히터(408)의 전원기판(426)이 접속된다.
또,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신호선(422)에는 저장실(403)안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의 칩상의 고내 온도 센서(427)와, 냉각기(406)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의 칩상의 서리 제거 센서(410)와, 응축기(414)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의 칩상의 고온 센서(420)와, 상기 구동기판(423), 전원기판(424, 426)에 각각 부착된 칩상의 스위칭 소자(428…)가 각각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전원기판(424, 426)에는 스위칭 소자(428)를 1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팬(407, 416), 디프로스터(430), 방로 히터(408)에 대해서 각각 설치된다.
또, 실시예에서는 이들 구동기판(423), 전원기판(424, 426)이 컴프레서(413), 각 팬(407, 416) 및 디프로스터(430), 방로 히터(408)와 별체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구동기판(423), 전원기판(424, 426)을, 각각의 스위칭 소자(428)와 함께, 컴프레서(413), 각 팬(407, 416) 및 디프로스터(430), 방로 히터(408)에 각각 내장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컴프레서(413)나 팬(407, 416) 또는 디프로스터(430), 방로 히터(408)에 내장된 각 스위칭 소자(428)와 신호선(22)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것 만으로 배선이 완료되는 형태가 되는 때문에, 조립·배선작업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다음에, 냉장고(401A)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 박스(409)의 구성은 도 35에 도시되어 있다. 컨트롤 박스(409)에는 컨트롤러(기판)(4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436)는, CPU(마이크로컴퓨터)(431),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432), I/O인터페이스(433) 및 송수신 수단으로서의 버스 I/O인터페이스(43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컨트롤 박스(409)에는 액정표시 패널로 구성된 표시기(437)와, 입력 수단(키보드, 마우스 등)으로서의 스위치(438) 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기(437)와 스위치(438)는 I/O인터페이스(433)에 접속되어 상기 조작 패널(411)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버스 I/O인터페이스(434)는 상기 연결 배선(422A)에 접속되어, 이 연결 배선(422A) 및 신호선(422)을 통해 해당 냉장고(401A) 및 병설된 냉장고 (401B, 401C)의 상기 온도 센서(427), 스위칭 소자(428…)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전환 장치(425)는 뒤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신호선(422)을 연결 배선(422A)에 접속(신호계 폐쇄)하는지, 분리(신호계 개방)하는지를 제어하고, 그것에 의해서 컨트롤러(436)와 각 계통(냉장고(401A, 401B, 401C))의 신호계를 개폐하는 것이다.
또한, 컨트롤러(436)에는 상기 고내 온도 센서(427), 서리 제거 센서(410), 고온 센서(420)나 스위칭 소자(428), 전환 장치(425)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이나 후술하는 각 센서(427, 410, 420)나 스위칭 소자(428), 전환 장치(425)를 서치해서 식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표시기(437)에의 표시화상 데이터 등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고내 온도 센서(427), 서리 제거 센서(410), 고온 센서(420)의 구성을 도 36에 도시한다. 또한, 각 센서(427, 410, 420)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는 고내 온도 센서(427)에 대해서 기술한다. 상기 온도 센서(427)는, 도 36(a)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440)와,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441)와, 송수신 수단 및 기억 수단으로서의 I/O인터페이스(443)와, 검출 수단으로서의 센서부(444)와, TH레지스너(445A)와, TL레지스터(445B)와, 상태를 결정하는 설정 레지스터(445C)와, 통신의 정합성을 취하는 CRC 제너레이터(446)와, 후술하는 Vcc전원을 검지하는 전원 검지부(447)와, 축전 수단을 구성하는 콘덴서(448) 및 다이오드(449A, 449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콘덴서(448)는 다이오드(449A, 449B)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476)는 이 다이오드(449A)와 I/O인터페이스(44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단자(476)는 신호선(422)(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콘덴서(448)는 I/O인터페이스(443)에도 접속된다.
그리고, 온도 센서(427)는 신호선(422)(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5V)와 저전위(0V)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448)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448)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온도 센서(427)에는 Vcc(DC+5V) 전원 단자(477)도 설치되고, 다이오드(449B)에 접속되어 있고, 온도 센서(427)는, 이 Vcc 전원 단자(477)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전원 공급 모드). 즉, 이 전원 공급 모드에서는 콘덴서(448)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온도 센서(427)를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461)는, 신호선(22)(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입력 단자(476)로부터 I/O인터페이스(443)에 입력하는 온도검출 지시에 근거해서 센서부(464)에 의해 고내를 검출하고, 그 온도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일단 메모리(441)에 기입한다. 그리고, 메모리(441)에 기입된 온도 데이터를 I/O인터페이스(443)에 의해 신호선(422)에 접속된 버스 I/O인터페이스(434)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I/O인터페이스(443)에는 온도 센서(427) 자체의 ID코드나 센서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입되고, TH레지스터(445A)에는 해당 쇼 케이스의 상한 온도(TH)가, 또 TL레지스터(445B)에는 하한 온도(TL)가 기입된다. 이들 상한 온도(TH), 하한 온도(TL)의 데이터는 I/O인터페이스(443)로부터 신호선(22)을 통해 송신된다. 또, 메모리(441)에는 버스 I/O인터페이스(434)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온도 센서(427)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고장 데이터도 메모리(441)에 기입되고, 버스 I/O인터페이스(434)에 송신된다. 또, 온도 센서(427)는 버스 I/O인터페이스(434)과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유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36(b)는, 메모리(441)의 맵을 나타내고, 이 메모리(441)는, 8비트의 스크래치 패드이고, 0에서 8까지의 각 바이트에 각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36(b)에 있어서는, 0바이트에 온도 데이터 하위, 1바이트에 온도 데이터 상위, 2바이트에 상한 온도(TH) 및 유저 사용 메모리, 3바이트에 하한 온도(TL) 및 유저 사용 메모리, 4바이트에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5바이트에서 7바이트는 미사용이고, 8바이트에 CRC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스위칭 소자(428)의 구성을 도 37에 도시한다. 스위칭 소자(428)는 단말측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481)와, 메모리(482, 483)와, I/O인터페이스(484)와, 입출력부(486)와, 이 입출력부(486)가 입력상태인지 출력상태인지를 기억하는 상태 기억부(487)와, 자신의 ID코드를 기억하는 ID부(488)와, 콘덴서(489)와, 다이오드(491, 49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콘덴서(489)는 다이오드(491, 492)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콘덴서의 단자에 각 소자가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428)의 입력 단자(493)가 신호선(422)에 접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각 소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489)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248)로부터 방전되어, 각 소자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428)에도 다이오드(492)의 입력측에 접속된 Vcc(DC+5V) 전원 단자(494)가 설치되고, 이 Vcc 전원 단자(494)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스위칭 소자(428)의 각 소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489)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의 스위칭 소자(428)를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481)는 I/O인터페이스(484)에 의해, 신호선(422)을 통해 버스 I/O인터페이스(434)로부터 ON/0FF 데이터가 송신되면, 이 ON/OFF 데이터에 근거해서 입출력부(486)에 의해 입출력 단자(496, 496)(2단자 있음)를 ON/OFF한다(출력 모드).
여기에서, ID부(488)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428) 자체의 ID코드나 I/O 센서 유닛인 뜻의 식별 데이터가 기억되고, 메모리(482)에는 각종 데이터나 버스 I/O인터페이스(434)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스위칭 소자(428)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도 메모리(482)에 기입되고, 버스 I/O인터페이스(434)에 송신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428)도 버스 I/O인터페이스(434)와의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자기유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428)는 각 구동기판(423), 전원기판(424, 426)상에 있어서 도 38과 같이 배선되어 스위칭 유닛(468)을 구성한다. 즉, 469는 포토 다이오드(469A)와 포토트라이액(469B)으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이고, 471은 저항, 472는 정류소자로서의 다이오드, 474는 축전소자로서의 콘덴서이다.
이 경우, 콘덴서(474)는 다이오드(472)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472)와 콘덴서(474)의 접속점과 저항(471)과 포토 다이오드(469A)가 스위칭 소자(428)의 일단에 직렬로 접속된다. 또, 스위칭 소자(428)의 타단은 다이오드(472)의 앞에 접속된다. 그리고, 포토트라이액(469B)은 AC전원선(421)과 컴프레서(413), 팬(407, 415), 방로 히터(408) 사이에 각각 개설된다.
다이오드(472)가 신호선(422)에 접속되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고전위와 저전위의 펄스 신호가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그대로 저항(471)을 통해 포토 다이오드(469A)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콘덴서(474)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콘덴서(474)로부터 방전되어서, 포토 다이오드(469A)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다이오드(472)와 콘덴서(474)의 접속점에 Vcc 전원 단자(460)를 접속하고, 이 Vcc 전원 단자(460)를 전원선에 접속하면, 포토 다이오드(469A)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콘덴서(474)에 충전하지 않고서, 각 소자는 동작하게 되므로, 검사시 등에 신속하게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전환 장치(425)의 구성을 도 39에 도시한다. 전환 장치(425)는, 전환 장치측 제어 수단, 개폐 수단 및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컨트롤러(491)와,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492)와, 발광 다이오드(493) 및 저항(49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9에 도시하는 컨트롤러(491)의 단자(S3)가 연결 배선(422A)에 접속되고, 컨트롤러(491)의 다른 단자가 신호선(422)에 접속된다.
컨트롤러(491)는 송수신 수단에 의해, 연결 배선(422A)을 통해 컨트롤러(436)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면, 이 데이터에 근거해서 신호선(422)을 연결 배선(422A)에 접속하고, 또는 신호선(422)을 연결 배선(422A)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신호선(422)을 연결 배선(422A)에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493)에 통전해서 점등하고,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493)를 비통전으로 하여 소등한다.
또한, 메모리(492)에는 전환 장치(425) 자체의 ID코드나 전환 장치인 뜻의 식별 데이터 및 컨트롤러(436)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각 냉장고(401A, 401B, 401C)를 설치되고, 연결 배선(422A)과 전환 장치(425…)가 배선되는 동시에,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각 센서(427, 410, 420)나 스위칭 소자(428…)가 신호선(422)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컨트롤러(436)(의 CPU(431))는 우선 연결 배선(422A)을 통해 신호선(422)에의 각 소자(센서(427, 410, 420), 스위칭 소자(428…) 전환 장치(425))의 접속상황을 서치한다.
또한, 당초 각 전환 장치(425…)는 각 신호선(422)을 연결 배선(422A)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436)는 모든 냉장고(401A, 401B, 401C)의 센서(427, 410, 420), 스위칭 소자(428…) 및 전환 장치(425…)에 순차 ID요구를 행해 가서 일순한다. 이것에 응답해서 모든 냉장고(401A, 401B, 401C)의 센서(427, 410, 420), 스위칭 소자(428…), 전환 장치(425…)는 자신의 ID코드 등을 컨트롤러(436)에 회답한다. 컨트롤러(436)는 회답된 ID코드 등에 근거해서 연결 배선(422A) 및 신호선(422…)에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전환 장치(425…)나, 고내 온도 센서(427), 서리 제거 센서(410) 및 고온 센서(420)의 각 센서가 접속되어, 컴프레서(413)용의 스위칭 소자(428), 디프로스터(430)용의 스위칭 소자(428), 고내 팬(407)용의 스위칭 소자(428), 방로 히터(408)용의 스위칭 소자(428)(실제로는 응축기용 팬도 있다)의 각 스위칭 소자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컨트롤러(436)는 인식된 온도 센서(427, 410, 420)와 스위칭 소자(428…), 전환 장치(425…)의 접속 상황을 메모리(432)에 보유하는 동시에, 이후에는 이 ID코드를 이용해서 각 소자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다음에, 컨트롤러(436)는 각 전환 장치(425)에 데이터를 송신해서 냉장고(401A)의 전환 장치(425)만 신호계를 닫고(신호선(422)을 연결 배선(422A)에 접속한다), 다른 냉장고(401B, 401C)의 전환 장치(425)는 신호계를 연다(신호선(422)을 연결 배선(422A)으로부터 분리한다). 이 전환 장치(425…)에의 데이터 송신은 상술의 ID코드에 근거해서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436)에는 연결 배선(422A)과 신호선(422)을 통해 냉장고(401A)의 각 소자만이 접속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컨트롤러(436)는 ON/OFF데이터를 냉장고(401A)의 구동기판(423)의 스위칭 소자(428) 및 전원기판(424)의 스위칭 소자(428)의 각 ID코드와 함께 연결 배선(422A)에 송신하고, 컴프레서(413)와 고내 팬(407)을 기동해서 냉각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436)의 CPU(431)는 냉장고(401A)의 각 센서(427, 410, 420)에 소정의 주기로 폴링을 행한다. 이 폴링은 상술의 ID코드에 근거해서 행하여진다. 센서(427, 410, 420)의 CPU(443)는 이 폴링에 응답해서 온도 데이터를 컨트롤러(436)에 송신한다. 컨트롤러(436)의 CPU(431)는 받은 온도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432)에 기입하고, 다음에, 이러한 냉각운전을 개시한 후의 온도 데이터의 추이에 근거해서 각 센서의 기능 할당을 행한다.
즉, 냉장고(401A)의 냉각운전 개시후, 일정시간 경과했을 때에 온도 데이터에 의한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ID의 센서는 고온 센서(410)인 뜻의 기능 할당을 컨트롤러(436)는 행하고, 메모리(432)에 기억한다. 또, 온도 데이터에 의한 온도가 강하하고 있고, 그 온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해당 ID의 센서는 고내 온도 센서(427)인 뜻의 기능 할당을 컨트롤러(436)는 행하여 메모리(432)에 기억한다. 또한, 온도 데이터에 의한 온도가 강하하고 있고, 그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해당 ID의 센서는 서리 제거 센서(420)인 뜻의 기능 할당을 컨트롤러(436)는 행하여 메모리(432)에 기억한다. 이것에 의해, 미리 설정하지 않고서 컨트롤러(436)에는 냉장고(401A)의 각 센서의 기능이 할당된다.
다음에, 컨트롤러(436)는 냉장고(401B)의 전환 장치(425)만 신호계를 닫고, 다른 전환 장치(425)는 신호계를 연 상태로, 이번에는 냉장고(401B)의 각 센서에 대해서 같은 방법으로 기능 할당을 행하고, 그 후, 냉장고(401C)에 대해서도 같은 기능 할당 동작을 실행해서 모두 메모리(432)에 기억한다.
다음에, 냉장고(401A, 402B, 401C)의 실제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 전환 장치(425…)는 신호계를 닫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컨트롤러(436)의 CPU(431)는 모든 냉장고(401A, 401B, 401C)의 각 센서(427, 410, 420)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순차 폴링을 행하고, 이것을 일순시킨다. 이 폴링은 상술의 ID코드에 근거해서 행하여진다.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센서(427, 410, 420)의 CPU(443)는 이 폴링에 응답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데이터를 컨트롤러(436)에 송신한다.
컨트롤러(436)의 CPU(431)는 받은 온도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432)에 기입하고, 이 중의 고내 온도 센서(427)로부터의 온도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를 비교해서 ON/OFF데이터를,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구동기판(423)의 스위칭 소자(428)의 ID코드와 함께 순차 연결 배선(422A) 및 신호선(422)에 송신하고, 이것을 일순시킨다.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구동기판(423)의 스위칭 소자(428)의 제어부 (481)는 자신의 ID코드의 ON/OFF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에 근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단자(496, 496)를 ON/OFF 한다. 이 입출력 단자(496, 496)의 ON/OFF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469A)가 ON(발광)/OFF(소등)하고, 그것에 의해 포토트라이액(469B)이 ON/OFF 되고, 이것에 의해, 컴프레서(413)가 기동/정지된다.
또, 컨트롤러(436)의 CPU(431)는, ON/OFF데이터를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전원기판(426)의 스위칭 소자의 ID코드와 함께 순차 연결 배선(422A) 및 신호선(422)에 송신하고, 소정의 주기로, 또는 소정의 시각에 디프로스터(430)에 통전해서 냉각기(406)의 서리 제거를 행한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받은 서리 제거 센서(410)로부터의 온도 데이터에 근거해서 냉각기(406)의 서리 제거 제어(소정온도로 종료)를 실행한다.
또한, 각 냉장고(401A, 401B, 401C)의 팬(407, 415) 및 방로 히터(408)는 연속통전이므로, 그 뜻의 ON/OFF데이터가, 각 전원기판(424, 426)의 스위칭 소자(428)의 ID코드에 근거해서 송신된다. 그리고, 각 스위칭 소자(428)는 해당 ON/OFF데이터에 근거해서 각 팬(407, 415) 또는 방로 히터(408)를 운전 또는 통전하는 것이다.
이렇게 컨트롤러(436)는 모든 냉장고(401A, 401B, 401C)의 센서(427, 410, 420)나 스위칭 소자(428…)에 대해서 순차 폴링을 행해서 일순시키는 동작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모든 냉장고(401A, 401B, 401C)의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다음에, 예를 들면 냉장고(401B)의 온도설정을 변경해서 동작을 바꾸고 싶은 경우나 냉장고(401B)만 감시할 필요가 생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436)에 소정의 입력조작이 행하여지면, 컨트롤러(436)는 각 전환 장치(425)에 데이터를 송신해서 냉장고(401B)의 전환 장치(425)만 신호계를 닫고, 다른 냉장고(401A, 401C)의 전환 장치(425)는 신호계를 연다. 이 전환 장치(425…)에의 데이터 송신은 상술의 ID코드에 근거해서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436)에는 연결 배선(422A)과 신호선(422)을 통해 냉장고(401B)의 각 소자만이 접속되게 된다. 이 상태로 컨트롤러(436)는 냉장고(401B)의 각 센서(427, 410, 420) 및 스위칭 소자(428…)에 폴링을 행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의 냉장고(401B)의 동작변경을 행하고 싶은 경우 등에, 전환 장치(425…)에 의해서 냉장고(401B)만 신호선(422), 연결 배선(422A)을 통해 컨트롤러(436)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상술과 같이 모든 냉장고(401A, 401B, 401C)의 각 소자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고, 그것을 일순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컨트롤러(436)와 냉장고(401B)의 각 소자의 데이터 통신 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진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채택했지만, 센서부로서 습도 또는 압력 등을 검출하는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습도 센서나 압력 센서로서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 실시예에서는 업무용 냉장고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가정용 냉장고나 저온 쇼 케이스, 프레파브 냉장고, 자동 판매기 등의 각종 전기기기, 또는 자동차, 가옥에 있어서의 홈 오토메이션·경비 시스템 등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이상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에 설치된 주 제어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설치하고, 이들 각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복수의 계통으로 분류하는 동시에, 각 계통과 주 제어 수단 사이의 신호선에는 각각 전환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전환 장치가 신호선을 통한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받아서 신호계를 개폐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특정한 계통의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만 데이터의 수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계통의 전환 장치만 신호계를 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호선에 접속되는 센서나 스위칭 소자가 다수로 올라가는 경우에도, 특정한 계통의 센서나 스위칭 소자의 설정이나 동작을 신속하게 변경 등 할 수 있게 되고, 제어성능이 향상하는 것이다.
상기에 부가해서, 전환 장치는, 신호계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개폐 수단을 제어하는 전환 장치측 제어 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 제어 수단은 지장없이 신호계의 개폐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 장치는 기억 수단에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신호선에 전환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주 제어 수단은 전환 장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전환 장치의 배선은 완료된다.
상기에 부가해서, 센서의 센서측 제어 수단은,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송수신 수단에 의해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에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기기의 주 제어 수단은 지장없이 데이터를 받아 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기억 수단에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신호선에 센서를 접속함으로써 주 제어 수단은 센서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센서의 배선은 완료된다.
또, 상기에 부가해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은, 신호선을 통해 송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므로, 기기의 주 제어 수단은 지장없이 기기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스위칭 소자는 기억 수단에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신호선에 스위칭 소자를 접속함으로써 주 제어 수단은 스위칭 소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스위칭 소자의 배선은 완료된다.
이들에 의해, 소위 플러그 인에 의해 상기 전환 장치, 센서나 스위칭 소자를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현저한 배선의 간소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환 장치, 센서나 스위칭 소자의 수 등에 관계없이 주 제어 수단에는 공통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공통화에 의한 비용의 현저한 삭감을 꾀하는 것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21)

  1.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센서로 구축되고,
    상기 센서는,
    검출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 검출동작 개시의 지시를 받은 경우,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동작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 판독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단말측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 수단은,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고자 하는 상기 센서에 대해서 검출동작 개시의 지시를 하고, 그 후, 소정의 대기 기간을 두고, 상기 대기 기간의 경과 후, 상기 ID코드를 지정해서 상기 센서에 대해서 판독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시스템.
  2.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복수의 센서로 구축되고,
    각 센서는,
    검출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 검출동작 개시의 지시를 받은 경우,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동작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 판독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단말측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 수단은,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복수의 센서에 대해서 동시에 검출동작 개시의 지시를 하고, 그 후, 소정의 대기 기간을 두고, 상기 대기 기간 경과 후, 상기 ID코드를 지정해서 개개의 상기 센서에 대해서 판독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기기에 배선된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기판상에 설치해서 수지 몰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8. 기기에 배선된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는 센서와,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부착 부품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기판상에 설치해서 수지 몰드함으로써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은 냉각 저장고에 배선되고, 상기 센서는 온도 검출용의 센서이고, 검출 소자로서 온도 데이터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10. 냉각 저장고에 배선된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는 온도 검출용의 센서를 포함하고,
    이 센서는, 온도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소자가 검출한 온도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을 기판상에 설치해서 수지 몰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11. 제5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및/또는 스위칭 소자는, 신호선이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에 충전을 행하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방전해서 각 수단의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12. 삭제
  13. 제5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는, 냉각 저장고 등의 기기에 부착되는 부착 부품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기기에 배선된 신호선과,
    상기 기기에 설치된 주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상기 주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기억 장치와,
    상기 신호선에 외부 제어 장치를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전환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 수단은, 상기 센서 또는 상기 스위칭 소자가 교환된 경우 새로운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서치하고, 상기 기억 장치내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 이력 데이터 파일에 기입하고,
    상기 기억 장치는, 기기의 메인터넌스 이력이 기입된 상기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을 보유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선에 상기 외부 제어 장치가 접속된 상태로, 해당 외부 제어 장치에 의해 보유하는 상기 메인터넌스 이력 데이터 파일내의 데이터가 판독되고, 또한, 데이터가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데이터를 보유하는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 및 외부 제어 장치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기억 수단에의 데이터의 기입 및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는 기억 장치측 제어 수단과,
    상기 신호선이 고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에 충전을 행하고, 저전위가 되어 있는 동안은 방전해서 상기 각 수단의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 소자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18. 기기에 설치된 주 제어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 센서 또는 스위칭 소자는 복수의 계통으로 분류되는 동시에, 각 계통과 상기 주 제어 수단과의 사이의 신호선에는 각각 전환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신호선을 통한 상기 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받아서 신호계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신호계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전환 장치측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검출 소자와,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검출 소자가 검출한 데이터를 받아 들여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내의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센서측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수단과,
    자신의 ID코드를 보유한 기억 수단과,
    신호선을 통해 주 제어 수단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이 송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측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 장치.
KR10-2002-7015421A 2002-11-15 2000-05-16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1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5421A KR100510796B1 (ko) 2002-11-15 2000-05-16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5421A KR100510796B1 (ko) 2002-11-15 2000-05-16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846A KR20030011846A (ko) 2003-02-11
KR100510796B1 true KR100510796B1 (ko) 2005-08-31

Family

ID=4367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4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0796B1 (ko) 2002-11-15 2000-05-16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360A1 (ko) * 2017-07-28 2019-01-31 전자부품연구원 위치 정보 기반의 특정 타입 디바이스 데이터 조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846A (ko)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2349B1 (en) Equipment sensing system and equipment control device
EP0581603B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510796B1 (ko) 기기 검출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장치
JP4278213B2 (ja) 機器の制御装置
JP4306884B2 (ja) 機器の制御装置
JP2000146268A (ja) 機器の制御装置
JP4397075B2 (ja) 機器の制御装置及び冷却貯蔵庫の除霜制御装置
JP2000171131A (ja) 冷却装置の制御装置
JP2001265434A (ja) 検出システム
JP2000154969A (ja) 機器の制御装置
JP4307644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の制御装置
JP4404394B2 (ja) 冷却装置
JP2001050652A (ja) 検出システム
JP4086427B2 (ja) 機器の制御装置
JP2000171080A (ja) 制御装置の設定システム
JP4155647B2 (ja) 冷却貯蔵庫
JP2001245368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000154959A (ja) 機器の制御装置
JP2000241007A (ja) 機器の制御装置
JP2000181518A (ja) 機器の制御装置
JP2000161756A (ja) 冷却貯蔵庫などの機器の制御装置
JP2000304400A (ja) ショーケースの制御装置
JP2000154958A (ja) 機器の制御装置
JP2000356453A (ja) 店舗管理システム
JP2000181531A (ja) 機器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