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0721B1 -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721B1
KR100510721B1 KR10-2002-0070793A KR20020070793A KR100510721B1 KR 100510721 B1 KR100510721 B1 KR 100510721B1 KR 20020070793 A KR20020070793 A KR 20020070793A KR 100510721 B1 KR100510721 B1 KR 10051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etal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des
touch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486A (ko
Inventor
오의열
홍희정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721B1/ko
Priority to US10/702,639 priority patent/US7180505B2/en
Priority to CNB2003101153078A priority patent/CN100545787C/zh
Publication of KR2004004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7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제 2 투명 전극들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좌측 및 우측 가장 자리에 형성된 제 1, 제 2 금속 전극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는 분리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상측에 제 1 금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 3 금속 전극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더미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측 및 하측 가장 자리에 형성된 제 4, 제 5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는 분리되고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좌측에 제 4 금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 6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우측에 형성된 제 2 더미 금속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판과 하판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는데 적당한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장치들은 PC의 용도 확대에 따라 인터페이스로서의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제품 대응이 어렵고 보다 간단하고 오조작은 적으면서 누구라도 입력할 수 있고 또 휴대하면서 손으로 문자입력도 가능한 필요성에 의해 발전했다.
현재는 이러한 입력장치의 일반적 기능과 관련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 고 신뢰성, 새로운 기능의 제공, 내구성, 재료나 물질을 포함한 설계 및 가공과 관련된 제조 기술 등과 같이 미세한 기술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특히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으며, 휴대하면서 누구라도 입력이 가능하고, 다른 입력기기 없이 문자입력도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 패널(Touch Panel)이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검출방식, 구조 및 성능 등에 있어서도 자세히 알려져 있다.
간단히 살펴보면, 스페이서에 의해 격리되고 눌림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된 두 개의 저항 성분의 시트를 합쳐놓아 구성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터치 패널 외에 터치 패널을 방식에 따라 구분하면,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초음파 방식, 광(적외선)센서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이 있다.
각각의 방식에 따라 신호 증폭의 문제나 해상도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차이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어 장점을 잘 살릴 수 있게 구분하여 그 방식을 선택한다. 선택 기준은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특성 등 외에 내구성과 경제성 등도 고려된다.
그중 저항막 방식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의 조합으로 전자수첩, PDA, 휴대용 PC등 입력 기기로서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박형, 소형, 경량 그리고 저소비전력 등에서 다른 방식에 유리한 설계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저항막 방식의 검출방식은 메트릭스 방식과 아날로그 방식이 있고, 기판 재료로서 0.1mm~0.2mm 두께의 필름기판, 0.2mm~2mm 두께의 글래스 기판 및 1mm~2mm 두께의 플라스틱 기판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조합하여 상/하부 전극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에 펜 또는 손가락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에 접촉하게 되면, 상부 기판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하부 기판에 형성된 하부 전극이 상호 통전되고, 그 위치의 저항 값 또는 정전용량 값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을 읽어들인 후 제어 장치에서 전위차의 변화에 따라 위치 좌표를 찾게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상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Ⅱ' 선상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Ⅲ-Ⅲ' 선상의 단면도이며, 도 5a는 종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상판 레이아웃도이고, 도 5b는 종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하판 레이아웃도이다.
종래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LCD 표시장치의 표시면 위에 설치되어 신호 입력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해당되는 표시 영역(viewing area, V/A)과,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표시 영역 주변부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영역(20)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상하 기판이 절연상 접착제에 의해 합착되게 된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상하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기판(1,2)의 내측면에 각각 투명 전극(3,4)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상하 PET 기판(1,2)은 돗트 스페이서(dot space)에 의해 일정 간격을 갖고 접착제에 의해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합착된다.
따라서,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상기 상부 PET 기판(1)의 어느 한 점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투명 전극(3,4)이 상기 점에서 상호 접촉되어 그 위치의 저항치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되는 위치의 저항 값 또는 커패시터 값에 의해 변화된 전압 값을 읽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투명 전극(3,4)에 전압을 인가하고 임의의 접촉된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 값을 읽어내기 위한 신호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신호선은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 부분에서 투명 전극(3,4)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단면도를 이용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내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상하 PET 기판(1,2)이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상응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PET 기판(1)과 하부 PET 기판(2)의 내측면에 각각 투명 전극(3,4)이 형성된다.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 금속 전극(Ag paste)이 각각 형성된다. 즉, 도 5a와 같이, 상판에는 좌우측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투명 전극(3)과 연결되도록 제 1, 제 2 금속 전극(5a, 5b)이 형성되고, 상측 또는 하측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도 제 3 금속 전극(5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금속 전극(5a,5b)은 상기 투명 전극(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제 3 금속 전극(5c)은 상기 제 2 금속 전극(5b)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상기 투명 전극(3)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전극(3)과 상기 제 3 금속 전극(5c)을 포함한 전극 사이에는 절연막(1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PET 기판(1) 일측에서 상기 제 3 금속 전극(5c)을 통해 제 1, 제 2 금속 전극(5a,5b)과 신호선인 FPC(Flexible Printed Cable)(7)가 도전성 접착제(8a)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도 5b와 같이, 하부 PET 기판(2)에는 상/하측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투명 전극(4)과 연결되도록 제 1, 제 2 금속 전극(6a,6b)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제 5 금속 전극(6a,6b)과 신호선인 FPC(7)를 연결하기 위한 제 6 금속 전극(6c)이 각각 데드 스페이스 좌측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6 금속 전극(6c)은 상기 상부 PET 기판(1)에 형성된 제 3 금속 전극(5c)과 마찬가지로 상기 투명 전극(4)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전극(4)과 상기 제 6 금속 전극(6c) 사이에는 절연막(1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선인 FPC(7)가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상에서 상기 제 6 금속 전극(6c)을 통해 상기 제 4, 제 5 금속 전극(6a, 6b)과 연결된다. 즉, 상기 FPC(7)는 상하부 면에 각각 2개의 신호선이 인쇄되어 있고, 도전성 접착제(8a, 8b)에 의해 상기 제 1, 제 3, 제 6 금속 전극(5a, 5c, 6c)에 본딩된다.
여기서, 상기 FPC(7)의 상부 및 하부에 인쇄된 각 2개의 신호선은 상기 투명 전극(3 또는 4)에 상기 금속 전극(5a, 5b, 5c 또는 6a, 6b, 6c)을 통해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을 인가하거나 상기 상하부 투명 전극(3, 4)이 일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접촉되었을 때 상기 투명전극(3 또는 4)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FPC(7)와 금속 전극(5a, 5c, 6c)의 본딩은 도전성 접착제(8a, 8b)에 의해 본딩되고, 상기 FPC(7)가 본딩되지 않은 부분의 데드 스페이스(20) 영역에서는 절연성 접착제(9)에 의해 상하 기판이 합착된다.
이 때, 상기 FPC(7)를 금속 전극(5a, 5b)에 본딩하는 방법은, 상기 FPC(7)가 본딩되는 부분의 제 1, 제 3, 제 6 금속 전극(5a, 5c, 6c)위에는 도전성 접착제(8a, 8b)를 위치시키고 상기 FPC(7)가 본딩되지 않은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 절연성 접착제(9)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FPC(7)가 본딩되는 부분(도전성 접착제가 위치된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약100℃ 정도의 온도로 열을 가열하면서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FPC(7)를 금속 전극에 본딩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하 기판을 합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상기 상부 기판의 어느 한 점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투명 전극(3, 4)이 상기 지점에서 상호 접촉된다.
이 때, 상기 FPC(7)의 상부에 인쇄된 2개의 신호선 및 제 1, 제 2, 제 3 금속 전극(5a, 5b, 5c)을 통해 상기 상부 PET 기판(1)에 인쇄된 투명 전극(3)의 좌측 및 우측에 전원 전압(Vcc) 및 접지전압(GND)을 인가하고, 상기 하부 PET 기판(2)의 투명 전극(4) 및 제 4, 제 5, 제 6 금속 전극(6a, 6b, 6c) 및 상기 FPC(7)의 하부에 인쇄된 신호선을 통해서 상기 접촉된 지점의 전압 값을 읽어내어 X축 상의 좌표값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FPC(7)의 하부에 인쇄된 2개의 신호선 및 제 4, 제 5, 제 6 금속 전극(6a, 6b, 6c)을 통해 상기 하부 PET 기판(2)에 인쇄된 투명 전극(4)의 상하측에 전원 전압(Vcc) 및 접지전압(GND)을 인가하고, 상기 상부 PET 기판(1)의 투명 전극(3) 및 제 1, 제 2, 제 3 금속전극(5a, 5b, 5c)을 통해서 상기 접촉된 지점의 전압 값을 읽어내어 Y축 상의 좌표값을 인식한다. 따라서, 접촉된 부분의 X-Y 좌표값을 읽어내어 접촉된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판의 금속 전극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과 하판의 금속 전극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에 의한 상판과 하판을 합착할 때 공간에 따른 두께 차이가 발생하여 위치 검출시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판과 하판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제 2 투명 전극들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좌측 및 우측 가장 자리에 형성된 제 1, 제 2 금속 전극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는 분리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상측에 제 1 금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 3 금속 전극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더미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측 및 하측 가장 자리에 형성된 제 4, 제 5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는 분리되고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좌측에 제 4 금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 6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우측에 형성된 제 2 더미 금속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6 금속 전극과 제 1, 제 2 더미 금속 전극은 동일한 금속 전극 즉, 실버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된 도트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 3 금속 전극 및 제 5, 제 6 금속 전극을 전기적으로 본딩하는 도전성 접착제와,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 1,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절연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 3 금속 전극 및 제 5, 제 6 금속 전극에 본딩되는 신호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신호선은 4개의 신호 라인을 갖고, 상기 2개의 신호 라인과 제 2, 제 3 금속 전극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나머지 2개의 신호 라인과 제 4, 제 5 금속 전극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기판의 레이아웃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기판의 레이아웃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의 Ⅰ-Ⅰ' 및 Ⅳ-Ⅳ' 선에 따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PET 기판(10)과 하부 PET 기판(20)내측면의 소정 영역에 각각 제 1, 제 2 투명 전극(30,40)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부 PET 기판(10)에는 상기 제 1 투명 전극(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3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제 1, 제 2 금속 전극(50,60)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 상기 제 1 투명 전극(30)과는 분리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4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제 1 금속 전극(50) 또는 제 2 금속 전극(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금속 전극(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금속 전극(70)과 대응하도록 상기 제 1 투명 전극(30)과는 분리되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3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제 1 더미 금속 전극(8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PET 기판(20)에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투명 전극(40)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제 4, 제 5 금속 전극(90,100)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 상기 제 2 투명 전극(40)과는 분리되면서 상기 제 2 투명 전극(4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제 4 금속 전극(90) 또는 제 5 금속 전극(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6 금속 전극(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6 금속 전극(110)과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투명 전극(40)과는 분리되면서 상기 제 2 투명 전극(4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제 2 더미 금속 전극(1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6 금속 전극(50,60,70,90,100,110)과 상기 제 1, 제 2 더미 금속 전극(80,120)은 동일한 금속(예를 들면, 실버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제 1, 제 2 투명 전극(30,40) 및 제 1 내지 제 6 금속 전극(50,60,70,90,100,110)과 연결되지 않도록 두께 보상을 위한 제 1, 2 더미 금속 전극(80,120)을 구성함으로써 상부 PET 기판(10)과 하부 PET 기판(20)을 합착했을 때 전체적으로 상부 PET 기판(10)과 하부 PET 기판(2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a에서와 같이, 하부 PET 기판(20)상의 일정영역에 제 2 투명 전극(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투명 전극(40)상의 좌측 및 우측의 가장자리에 제 4 금속 전극(90)과 제 5 금속 전극(1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투명 전극(40)이 형성되지 않는 제 2 투명 전극(40) 상측 또는 하측의 상기 하부 PET 기판(20)상에 제 4 금속 전극(90) 또는 제 5 금속 전극(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6 금속 전극(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6 금속 전극(110)과 대응하면서 상기 제 2 투명 전극(40)이 형성되지 않는 제 2 투명 전극(40)의 하측 또는 상측의 상기 상부 PET 기판(20)상에 제 2 더미 금속 전극(1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PET 기판(10)의 상측 및 하측의 가장 자리에 제 1, 제 2 금속 전극(50,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PET 기판(10)의 우측에 상기 제 2 금속 전극(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금속 전극(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금속 전극(70)과 대응되는 상부 PET 기판(10)의 좌측에는 두께 보상을 위한 제 1 더미 금속 전극(8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금속 전극(50,60)은 상부 PET 기판(10)에 형성된 투명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상기 제 3 금속 전극(70) 및 제 1 더미 금속 전극(80)은 투명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 PET 기판(20)의 좌측 및 우측의 가장 자리에 제 4, 제 5 금속 전극(90,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PET 기판(20)의 상측에 상기 제 4 금속 전극(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6 금속 전극(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6 금속 전극(110)과 대응되는 하부 PET 기판(20)의 하측에는 두께 보상을 위한 제 2 더미 금속 전극(1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 제 5 금속 전극(90,100)은 하부 PET 기판(20)에 형성된 투명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상기 제 6 금속 전극(110) 및 제 2 더미 금속 전극(120)은 투명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각 전극이 형성된 상부 PET 기판(10)과 하부 PET 기판(20)을 합착할 때 서로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해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1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상부 PET 기판(10)과 하부 PET 기판(20)의 가장 자리 영역에서 상기 상부 PET 기판(10)과 하부 PET 기판(20)을 합착하는 절연성 접착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 3 금속 전극(60,70) 및 제 5, 제 6 금속 전극(90,100)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본딩되어 있고, 상기 제 2, 제 3 금속 전극(60,70) 및 제 5, 제 6 금속 전극(90,100)에는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인 FPC(Flexible Printed Cable)이 본딩되어 있고, 상기 신호선은 4개의 신호 라인을 갖고 그 중에서 2개의 신호 라인과 제 2, 제 3 금속 전극(60,70)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나머지 2개의 신호 라인과 제 4, 제 5 금속 전극(90,100)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상판 전극만 존재하는 구간과 하판 전극만 존재하는 구간에 더미 금속 전극을 삽입함으로써 두 기판의 합착시 상판과 하판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 선상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Ⅱ-Ⅱ' 선상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Ⅲ-Ⅲ' 선상의 단면도
도 5a는 종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상판 레이아웃도
도 5b는 종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하판 레이아웃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기판의 레이아웃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기판의 레이아웃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의 Ⅰ-Ⅰ' 및 Ⅳ-Ⅳ' 선에 따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구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PET 기판 20 : 하부 PET 기판
30 : 제 1 투명 전극 40 : 제 2 투명 전극
50 : 제 1 금속 전극 60 : 제 2 금속 전극
70 : 제 3 금속 전극 80 : 제 1 더미 금속 전극
90 : 제 4 금속 전극 100 : 제 5 금속 전극
110 : 제 6 금속 전극 120 : 제 2 더미 금속 전극
130 : 도트 스페이서

Claims (8)

  1.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제 2 투명 전극들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좌측 및 우측 가장 자리에 형성된 제 1, 제 2 금속 전극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는 분리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상측에 제 1 금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 3 금속 전극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더미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측 및 하측 가장 자리에 형성된 제 4, 제 5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는 분리되고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좌측에 제 4 금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 6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우측에 형성된 제 2 더미 금속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6 금속 전극과 제 1, 제 2 더미 금속 전극은 동일한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극은 실버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된 도트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 3 금속 전극 및 제 5, 제 6 금속 전극을 전기적으로 본딩하는 도전성 접착제와,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 1,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절연성 접착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 3 금속 전극 및 제 5, 제 6 금속 전극에 본딩되는 신호선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은 4개의 신호 라인을 갖고, 상기 2개의 신호 라인과 제 2, 제 3 금속 전극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나머지 2개의 신호 라인과 제 4, 제 5 금속 전극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KR10-2002-0070793A 2002-11-14 2002-11-14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Expired - Lifetime KR10051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793A KR100510721B1 (ko) 2002-11-14 2002-11-14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US10/702,639 US7180505B2 (en) 2002-11-14 2003-11-07 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CNB2003101153078A CN100545787C (zh) 2002-11-14 2003-11-14 显示设备的触摸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793A KR100510721B1 (ko) 2002-11-14 2002-11-14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486A KR20040042486A (ko) 2004-05-20
KR100510721B1 true KR100510721B1 (ko) 2005-08-30

Family

ID=3232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793A Expired - Lifetime KR100510721B1 (ko) 2002-11-14 2002-11-14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80505B2 (ko)
KR (1) KR100510721B1 (ko)
CN (1) CN10054578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559B1 (ko) 2008-06-18 2011-11-23 소니 주식회사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및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8527B2 (ja) * 2003-05-26 2008-1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01149659B (zh) * 2006-09-20 2010-09-15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输入装置、触摸定位装置及其方法
WO2008081710A1 (ja) * 2007-01-04 2008-07-10 Nissha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機能を有する保護パネル
KR101481682B1 (ko) * 2007-04-09 2015-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JP5519539B2 (ja) * 2008-02-28 2014-06-11 ニューヨーク・ユニバーシティ 処理装置に入力を与え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センサパッド
TWI412980B (zh) * 2008-03-14 2013-10-21 Innolux Corp 影像顯示系統
KR101450901B1 (ko) * 2008-04-29 2014-10-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TWI380072B (en) 2008-05-09 2012-12-21 Au Optronics Corp Touch panel
TWI377497B (en) * 2008-11-05 2012-11-21 Au Optronics Corp Touch-sensing substrate, color filter substrate and touch-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1022087B1 (ko) 2009-01-16 2011-03-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22185B1 (ko) 2009-01-16 2011-03-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CN101995988B (zh) 2009-08-19 2012-08-15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
KR101119355B1 (ko) * 2010-09-09 2012-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CN102096510A (zh) * 2011-01-22 2011-06-15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触控板
TWI474235B (zh) * 2012-10-03 2015-02-21 Giantplus Technology Co Ltd 單層電極觸控面板
EP2772836A4 (en) 2012-11-30 2015-08-26 Lg Chemical Lt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615318A (zh) * 2015-01-23 2015-05-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屏及具有该触摸屏的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289A (ja) * 1994-06-07 199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抵抗膜方式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772A (ja) * 2000-06-28 2002-03-22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KR100659048B1 (ko) * 2000-09-06 2006-1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외부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는 더미전극을 구비한 터치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289A (ja) * 1994-06-07 199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抵抗膜方式タッチ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559B1 (ko) 2008-06-18 2011-11-23 소니 주식회사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및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5787C (zh) 2009-09-30
US7180505B2 (en) 2007-02-20
CN1501225A (zh) 2004-06-02
KR20040042486A (ko) 2004-05-20
US20040100452A1 (en)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721B1 (ko)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US7633564B2 (en) 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175472B2 (ja) 電磁誘導型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CN100403243C (zh) 数字电阻型触摸面板
US8803839B2 (en) Capacitive coupling of a capacitive touchscreen to a printed circuit and controller
TWI394067B (zh) Multi - sensor touchpad
CN103729083A (zh) 触控显示装置与手持式电子装置
US20120162096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sensing panel
US20110315536A1 (en) Touch panel
KR20130126228A (ko) 압력 감지가 가능한 매트릭스 스위칭 타입 터치 스크린 패널
KR100347439B1 (ko) 터치 패널의 압력 감지 구조 및 감지 방법
CN102221919A (zh) 触控面板
KR100499576B1 (ko) 전자기 유도형 터치 패널을 구비한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US20050017956A1 (en) Touch panel
KR101524928B1 (ko) 디지타이저 기능을 구비한 터치패널
US9696576B2 (en) Pen writing on one-dimensional capacitive touch sensor
CN106354350B (zh) 触控结构及触控显示面板
KR101510888B1 (ko)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US8400421B2 (en) Touch panel and multi-touch detecting method thereof
KR100375175B1 (ko) 터치 패널의 접촉부 구조
KR20110121992A (ko) 터치스크린
KR100368688B1 (ko) 터치 패널의 기판 배선 구조
CN201436625U (zh) 感压式触控结构
KR100510723B1 (ko)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KR200472035Y1 (ko) 용량성 터치 센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51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