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5658B1 -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658B1
KR100505658B1 KR10-2002-0078905A KR20020078905A KR100505658B1 KR 100505658 B1 KR100505658 B1 KR 100505658B1 KR 20020078905 A KR20020078905 A KR 20020078905A KR 100505658 B1 KR100505658 B1 KR 10050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m capacitor
film
upper electrode
insulating layer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069A (ko
Inventor
오병준
이경태
정무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658B1/ko
Priority to US10/657,490 priority patent/US6940114B2/en
Priority to TW092127380A priority patent/TWI236066B/zh
Priority to JP2003355576A priority patent/JP2004193563A/ja
Priority to DE10351875A priority patent/DE10351875B4/de
Priority to CNB2003101029920A priority patent/CN100385659C/zh
Publication of KR2004005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069A/ko
Priority to US11/168,126 priority patent/US720879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658B1/ko
Priority to US11/684,865 priority patent/US7679123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2Capaci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01L23/5223Capacitor integral with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92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8/00Three-dimensional [3D] integra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95Local interconnects; Local pads, as exemplified by patent document EP0896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하부 전극 및 유전체막 및 상부 전극으로 구성된 MIM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 상에는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에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 및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에서 제1 비아홀 및 제2 비아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이 형성되어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과 배선층간의 수직거리를 크게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는 배선방법을 변경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MIM 커패시터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MIM(Metal-Insulator-Metal)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Semiconductor device having MIM capacitor}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IM(Metal-Insulator-Metal)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종래의 MIS(Metal-Insulator-Semiconductor) 커패시터는 유전체막과 실리콘막 사이에 저유전체막이 형성되어 원하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얻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MIS 커패시터를 대체할 수 있는 MIM(Metal-Insulator-Metal) 커패시터를 도입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형성된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1) 상에 게이트(13), 소오스(15) 및 드레인(17a, 17b)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1 드레인(17a)은 도전체 패턴(19)을 통하여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21)이 연결된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21) 상에는 MIM 커패시터의 유전체막(23) 및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전극(21) 및 상부 전극(25)은 금속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25) 상에는 배선층(2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2 드레인(17b)은 도전체 패턴(19) 및 배선층(29, 31)을 통하여 상부 배선층(33)과 연결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35, 45, 55, 65는 절연막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반도체 소자는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21)과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25)을 연결하는 배선층(27)간의 거리가 충분치 않아 기생 커패시터가 과도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기생 커패시터는 상기 MIM 커패시터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더하여, 상기 기생 커패시터에 의한 MIM 커패시터 영향은 MIM 커패시터가 형성되는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간의 단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절연막의 두께를 낮추는 경우에는 더욱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절연막의 두께에 따른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에 보시는 바와 같이 기생 커패시턴스는 절연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21)과 상부 전극(25)에 연결된 배선층(27) 사이에 형성된 기생 커패시터의 영향으로 인해 안정적인 MIM 커패시터의 특성을 얻기가 어렵다. 더하여, 상기 기생 커패시턴스는 제조공정상의 변수들로 인해 많이 변화하므로 더더욱 안정적인 MIM 커패시터 특성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생 커패시턴스로 인한 영향을 억제하여 안정된 특성의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하부 전극, 유전체막 및 상부 전극으로 구성된 MIM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되고,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복수개의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이 마련된다. 상기 제1 비아홀 내에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 상부의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노출하는 복수개의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드레인과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 하부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가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 상에는 산화막, 질화막, FSG막, OSG막, 및 SiC막 중의 어느 하나의 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된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은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1 비아홀보다 크고 상기 제1 비아홀보다 낮은 깊이로 형성된 트렌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2 비아홀보다 크고 상기 제2 비아홀보다 낮은 깊이로 형성된 트렌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랜딩패드형 독립 배선층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랜딩패드형 독립 배선층의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2 층간 절연막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과 접촉하는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유전체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전체막 상에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에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복수개의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비아홀 내에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 상부의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노출하는 복수개의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하부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가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 상에는 산화막, 질화막, FSG막, OSG막, 및 SiC막 중의 어느 하나의 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된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과 접촉하는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두께가 그 이외의 지역에 형성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유전체막을 구비한다. 상기 유전체막이 두꺼운 영역에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에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복수개의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비아홀 내에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 상부의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노출하는 복수개의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과 접촉하는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유전체막을 구비한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상에 상기 유전체막의 두꺼운 부분을 개재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에만 한정적으로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복수개의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비아홀 내에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 상부의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노출하는 복수개의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비아홀 내에 상기 복수개의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1 층간 절연막과 제2 층간절연막으로 형성된 두꺼운 절연막이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에 연결된 배선층 사이에 존재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커패시턴스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막 또는 영역들의 크기 또는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의 "위(상)"에 있다라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막이 상기 다른 막의 위에 직접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다른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01), 예컨대 실리콘 기판 상에 트랜치 분리 영역(103)과 액티브 영역(1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티브 영역(105)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07) 개재하여 형성된 게이트(109), 소오스(111) 및 드레인(113)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오스(111) 및 드레인(113)은 반도체 기판(101)에 불순물을 주입하여 형성된 불순물 영역이다. 상기 트랜지스터 상에는 제1 절연막(115)에 형성된 콘택홀(117)을 통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105)의 드레인(113)과 접촉하는 도전체 패턴(1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전체 패턴(119) 상에는 제1 비아홀(121) 및 제1 트랜치(122)를 가지는 제2 절연막(123)과 제3 절연막(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절연막(123)과 제3 절연막(125) 내에는 상기 제1 트랜치(122), 제1 비아홀(121) 및 콘택홀(117)을 통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105)의 드레인(113)과 접촉하는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127) 및 제1 배선층(1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127) 상에는 유전체막(131),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전극(133) 상에는 제4 절연막 패턴(135), 제5 절연막(137) 및 제6 절연막(139)으로 구성되는 제1 층간 절연막(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41)의 총 두께는 0.01㎛ ~ 2.0㎛, 바람직하게는 0.1㎛ ~ 0.8㎛로 형성한다. 상기 제4 절연막 패턴(135), 제5 절연막(137) 및 제6 절연막(139)은 하나의 절연막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41)을 제4 절연막 패턴(135), 제5 절연막(137) 및 제6 절연막(139)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41)을 제5 절연막(137) 및 제6 절연막(139)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해도 무방하다.
상기 MIM 커패시터 및 제1 배선층(129) 상의 제1 층간 절연막(141) 내에는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133) 및 제1 배선층(129)을 노출하는 제2 비아홀(143) 및 제2 트랜치(144)와, 상기 제2 트랜치(144) 및 제2 비아홀(143)을 각각 채우는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 상의 제2 트랜치(144) 및 제2 비아홀(143)은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은 제1 층간 절연막(141) 내로 매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의 폭은 MIM 커패시터 하부전극(127)의 폭 이하, 예컨대 200㎛ 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랜딩 패드용 독립 배선층(145)의 상부 폭은 하부 폭보다 더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랜딩 패드용 독립 배선층(145)은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배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제2 배선층(149) 및 제1 층간 절연막(141) 상에는 제7 절연막(151)과 제8 절연막(153)으로 구성된 제2 층간 절연막(1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의 총 두께는 0.01㎛ ~ 2㎛, 바람직하게는 0.1㎛ ~ 0.8㎛로 형성한다. 상기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은 동일한 막 혹은 복합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155)에는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을 노출하는 제3 비아홀(157)과 제3 배선층(161) 형성을 위한 제3 트랜치(trench, 15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비아홀(157)은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층간 절연막(155)에 형성된 제3 비아홀(157)과 제3 트랜치(trench, 159)에는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13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배선층(16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에 형성된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은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133)과 제3 배선층(161)의 연결을 위한 콘택 플러그로써 사용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41)과 제2 층간절연막(155)으로 형성된 두꺼운 절연막이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131)과 제3 배선층(161) 사이에 존재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커패시턴스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1), 예컨대 실리콘 기판 상에 트랜치 분리 영역(103)을 STI(Shallow Trench Isolation) 방법으로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1) 상에 게이트 절연막(107)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5)의 상부에 게이트(109)를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109)는 폴리사이드막, 즉 폴리실리콘막 상에 실리사이드층을 갖는 복합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109)의 양측벽에 소오스(111) 및 드레인(113)을 이온주입법으로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109), 소오스(111) 및 드레인(113)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 상에 제1 절연막(115)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절연막(115)은 플라즈마 인핸스트 산화막(plasma enhanced(PE)-Oxide),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막(High Density Plasma(HDP) Oxide), 플라즈마 인핸스트 테오스 산화막(PE-TEOS oxide), 고온 산화막(High Temperature Oxide(HTO)), 비피에스지막(BPSG layer) 또는 유동 산화막(Flowable oxide(FOX)) 등의 단일막 혹은 복합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절연막(115)은 0.01㎛ ~ 2㎛, 바람직하게는 0.4㎛ ~ 1.0㎛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제1 절연막(115)에 사진 식각공정을 통하여 콘택홀(117)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콘택홀(11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도전체막을 형성한 후 통상의 사진 및 식각 방법에 의해 상기 콘택홀(117)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113)과 접하는 도전체 패턴(119)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체 패턴(119)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제2 절연막(123) 및 제3 절연막(12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2 절연막(123) 및 제3 절연막(125)은 산화막 혹은 다른 절연막, 예컨대 FSG(Fluorine-Doped Silicate Glass)막, OSG(Organo Silicate Glass)막 또는 무기 폴리머(Inorganic Polymer)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2 절연막(123) 및 제3 절연막(125)은 CVD법, PVD법, ALD법 또는 스핀 코팅(Spin Coating)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2 절연막(123) 및 제3 절연막(125)은 0.01㎛ ~ 2㎛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3㎛ ~ 0.8㎛의 두께로 형성한다.
다음에, 이중 다마신(Dual Damascene)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절연막(123) 및 제3 절연막(125) 내의 제1 비아홀(121) 및 제1 트랜치(122)에 MIM 커패시터의 하부전극(127) 및 제1 배선층(129)을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이중 다마신 방법은 비아 퍼스트 이중 다마신(Via first dual damascene)방법과 트랜치 퍼스트 이중 다마신(Trench first dual damascene)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비아 퍼스트 이중 다마신 방법은 먼저 상기 제2 절연막(123) 및 제3 절연막(125)에 제1 비아홀(121)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절연막(125)에 제1 트랜치(122)를 형성한다. 상기 트랜치 퍼스트 이중 다마신 방법은 먼저 제3 절연막(125) 내에 제1 트랜치(122)를 형성한 후, 상기 제2 절연막(123) 내에 제1 비아홀(12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비아홀(121) 및 제1 트랜치(122)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의 전면에 상기 제1 배선층(129) 및 MIM 커패시터의 하부전극(127)으로 사용되는 도전막을 증착한다. 다음에, CMP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비아홀(121) 및 제1 트랜치(122) 이외에 증착된 도전막을 제거하여 MIM 커패시터의 하부전극(127) 및 제1 배선층(129)을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전극(127) 및 제1 배선층(129)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이중 다마신 방법이 아닌 통상의 방법, 예컨대 제1 비아홀(121) 형성, 상기 제1 비아홀(121)을 채우는 콘택 플러그 형성, 상기 제1 트랜치(122) 형성, 제1 배선층 및 하부 전극용 도전막 증착, 상기 도전막의 화학기계적연마 실시등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막(123) 및 제3 절연막(125)은 동일한 막 혹은 복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막(123) 및 제3 절연막(125)은 다수개의 스텝 혹은 하나의 스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치(122)는 상기 제3 절연막(125)에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2 절연막(123)쪽으로 더 침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127) 및 제1 배선층(129)으로 사용되는 도전막은 금속막, 예컨대 구리막, Al막, Ti막, Ta막, TiN막, TaN막, TaSiN막, TiSiN막, WN막 또는 WSiN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127) 및 제1 배선층(129)으로 사용되는 도전막은 CVD법, PVD법 또는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127) 및 제1 배선층(129)으로 사용되는 도전막은 0.001㎛ ~ 2㎛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05㎛ ~ 0.8㎛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12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 상에 MIM 커패시터의 유전체막 패턴(131)과 상부 전극(133) 및 제4 절연막 패턴(13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전극(127), 제3 절연막(125), 제1 배선층(129) 상에 MIM 커패시터의 유전체막, 상부 전극용 도전막, 제4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패터닝하여 유전체막 패턴(131), 도전막 패턴인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133) 및 제4 절연막 패턴(135)을 형성한다. 상기 패터닝시 하부전극(127) 상에 상기 유전체막 패턴(131)이 0.001㎛ ~ 1㎛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01㎛ ~0.1㎛의 두께로 남아 있도록 하는 것이 하부전극(127)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외향 확산(Out Diffusion)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반도체 기판(101) 상부에 형성된 하부 전극(127), 유전체막 패턴(131) 및 상부 전극(133)으로 형성된 MIM 커패시터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전극(133)은 상기 하부 전극(127)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 전극(133)은 평면적으로 상기 하부 전극(127) 보다 크게(넓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전극(127)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전체막 패턴(131)은 질화막, 산화막, SiC막, SION막, SiCN막, SiOF막, SiOH막, HfO2막, ZrO2막 또는 Al2O3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유전체막 패턴(131)은 CVD법, PVD법 또는 ALD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유전체막 패턴(131)은 0.001㎛ ~ 1㎛, 바람직하게는 0.01㎛ ~ 0.5㎛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전극(133)은 도전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전극용 도전막은 구리막, TaN막, Al막, Ti막, Ta막, TiN막, TaSiN막, TiSiN막, WN막 또는 WSiN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전극용 도전막은 CVD법, PVD법,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전극용 도전막은 0.001㎛ ~ 2㎛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05㎛ ~ 0.8㎛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제4 절연막 패턴(135)은 산화막, 질화막, FSG(Fluorine-Doped Silicate Glass)막, OSG(Organo Silicate Glass)막 및 SiC막중의 어느 하나의 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4 절연막 패턴(135)은 CVD법, PVD법 또는 ALD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4 절연막 패턴(135)은 0.001㎛ ~ 1㎛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01㎛ ~0.5㎛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제4 절연막 패턴(135)은 후에 콘택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폴리머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상기 MIM 커패시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의 전면에 제5 절연막(137)과 제6 절연막(139)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133) 및 제1 배선층(129) 상에 상기 제4 절연막 패턴(135), 제5 절연막(137) 및 제5 절연막(139)으로 구성된 제1 층간 절연막(141)이 형성된다. 상기 제5 절연막(137)과 제6 절연막(139)은 산화막, SiC막, SION막, SiCN막, SiOF막, SiOH막, HfO2막, ZrO2막 또는 Al2O3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5 절연막(137)과 제6 절연막(139)은 CVD법, PVD법 또는 ALD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5 절연막(137)과 제6 절연막(139)은 0.1㎛ ~ 2㎛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3㎛ ~ 0.8 ㎛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제5 절연막(137)과 제6 절연막(139)은 동일한 막 혹은 복합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수개의 스텝 혹은 하나의 스텝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이중 다마신 방법을 이용하여 제2 비아홀(143), 제2 트랜치(144),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비아홀(143), 제2 트랜치(144),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중 다마신 방법이 아닌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제5 절연막 형성(137), 제2 비아홀(143) 형성, 제2 비아홀(143)을 채우는 콘택 플러그 형성, 제6 절연막(139) 형성, 제2 트랜치(144) 형성, 제2 배선층 및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용 금속막 증착, 상기 금속막의 화학기계적연마(CMP) 실시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5 내지 도 7은 편의상 이중 다마신 방법중 비아 퍼스트 이중 다마신 방법에 의해 제2 비아홀(143), 제2 트랜치(144),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물론 트랜치 퍼스트 이중 다마신 방법에 의해 제2 비아홀(143), 제2 트랜치(144),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인 제6 절연막(139), 제5 절연막(137) 및 제4 절연막 패턴(135)을 패터닝하여 제2 비아홀(143)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비아홀(143)은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133)과 제1 배선층(129)을 노출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 상에 형성된 제1 층간절연막의 일부, 예컨대 제6 절연막(139)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2 배선층(149) 및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이 형성될 제2 트랜치(144)를 형성한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이 형성될 제2 트랜치(144)는 상기 MIM 커패시터 상의 제1 층간절연막, 예컨대 제6 절연막(139) 내에 형성되면서 제2 비아홀(143)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비아홀(143) 및 제2 트랜치(trench)(144) 내에 매립된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과 제2 배선층(149)을 형성한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은 제4 절연막 패턴(135), 제5 절연막(137) 및 제6 절연막(139)으로 구성된 제1 층간 절연막(141) 내에 형성된 제2 비아홀(143) 및 제2 트랜치(144)에 형성된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은 제2 비아홀(143) 및 제2 트랜치(144)를 매립하도록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도전막을 형성한 후 화학기계적연마법으로 평탄화하여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과 제2 배선층(149)의 표면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41)을 구성하는 제6 절연막(139)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의 폭은 MIM 커패시터 하부전극(127)의 폭 이하, 예컨대 20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딩 패드용 독립 배선층(145)의 상부 폭은 하부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전극(127)의 상부에는 제2 배선층(149)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은 독립된 복수개의 배선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과 제2 배선층(149)은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은 금속막, 예컨대 구리막, Al막, Ti막, Ta막, TiN막, TaN막, TaSiN막, TiSiN막, WN막 또는 WSiN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은 CVD법, PVD법,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2 배선층(149)은 0.1㎛ ~ 2㎛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05㎛ ~0.8㎛의 두께로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MIM 커패시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의 전면에 제2 층간 절연막(155)으로 사용되는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을 형성한다. 즉,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 및 제1 층간절연막(141) 상에 제2 층간 절연막(155)으로써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155)은 단일 공정 혹은 복수개의 공정을 통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막의 종류도 후술하는 막중에서 단일막 및 복합막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은 산화막 혹은 다른 절연막, 예컨대 SiC막, SION막, SiCN막, SiOF막, SiOH막, HfO2막, ZrO2막, Al2O3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은 CVD, PVD, ALD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은 0.001㎛ ~ 1㎛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01 ㎛ ~ 0.1㎛의 두께로 형성한다.
또는, 상기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은 산화막 혹은 다른 절연막, 예컨대 FSG(Fluorine-Doped Silicate Glass)막, OSG(Organo Silicate Glass)막, 무기 폴리머(Inorganic Polymer)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은 CVD, 스핀 코팅(Spin Coating)법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은 0.01㎛ ~ 2㎛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1㎛ ~0.8㎛로 형성한다.
다음에,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중 다마신 방법을 통하여 제3 비아홀(157), 제3 트랜치(153) 및 제3 배선층(도 3의 161)을 형성한다. 상기 제3 비아홀(157), 제3 트랜치(153) 및 제3 배선층(도 3의 161)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이중 다마신 방법이 아닌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제7 절연막(151) 형성, 제3 비아홀(157) 형성, 제3 비아홀(157)을 채우는 콘택 플러그 형성, 제8 절연막(153) 형성, 제3 트랜치(159) 형성, 제3 배선층 형성용 금속막 증착, 상기 금속막의 화학기계적연마실시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도 9 및 도 10은 편의상 이중 다마신 방법중 비아 퍼스트 이중 다마신 방법에 의해 제3 비아홀(157), 제3 트랜치(159), 및 제3 배선층(161)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물론 트랜치 퍼스트 이중 다마신 방법에 의해 제3 비아홀(157), 제3 트랜치(159), 제3 배선층(16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층간절연막(155)인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을 패터닝하여 제3 비아홀(157)을 형성한다. 상기 제3 비아홀(157)은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과 제2 배선층(149)을 노출시킨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층간절연막(155)의 일부, 예컨대 제8 절연막(153)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3 배선층(161)이 형성될 제3 트랜치(159)를 형성한다. 상기 제3 배선층(161)이 형성될 제3 트랜치(159)는 상기 제2 층간절연막(155), 예컨대 제8 절연막(153) 내에 형성되면서 제3 비아홀(157)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비아홀(157) 및 제3 트랜치(159) 내에 매립된 제3 배선층(16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3 배선층(161)은 제7 절연막(151) 및 제8 절연막(153)으로 구성된 제2 층간 절연막(155) 내에 형성된 제3 비아홀(157) 및 제3 트랜치(159)에 형성된다. 상기 제3 배선층(161)은 제3 비아홀(157) 및 제3 트랜치(159)를 매립하도록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도전막을 형성한 후 화학기계적연마법으로 평탄화하여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배선층(161)의 표면은 상기 제2 층간 절연막(155)을 구성하는 제8 절연막(153)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3 배선층(161)이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145)과 접촉하는 제3 비아홀(157)은 복수개의 배선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배선층(161)은 금속막, 예컨대 구리막, Al막, Ti막, Ta막, TiN막, TaN막, TaSiN막, TiSiN막, WN막 또는 WSiN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3 배선층(161)은 CVD법, PVD법, 또는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제3 배선층(161)은 0.01㎛ ~ 2㎛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1㎛ ~ 0.8㎛의 두께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다마신 방법을 이용한 배선층 형성에 관하여 설명을 하고 있으나 배선층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사진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비아홀과 제3 비아홀을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2 비아홀의 형성 공정을 생략하고, 제3 비아홀을 형성 시 제1 층간 절연막 및 제2 층간절연막을 동시에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을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부의 배선층과 연결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터에 의한 MIM 커패시터의 특성의 왜곡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특성을 가진 MIM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형성된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서 절연막 두께에 따른 기생 커패시턴스의 시뮬레이션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Claims (24)

  1.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하부 전극, 유전체막 및 상부 전극으로 구성된 MIM 커패시터;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되고,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복수개의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1 비아홀 내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
    상기 MIM 커패시터 상부의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노출하는 복수개의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형성되고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드레인과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하부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가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는 0.01㎛ ~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상에는 산화막, 질화막, FSG막, OSG막, 및 SiC막 중의 어느 하나의 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된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패턴은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1 비아홀보다 크고 상기 제1 비아홀보다 낮은 깊이로 형성된 트렌치를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2 비아홀보다 크고 상기 제2 비아홀보다 낮은 깊이로 형성된 트렌치를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패드형 독립 배선층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2 층간 절연막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패드형 독립 배선층의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4.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과 접촉하는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
    상기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에 형성된 절연막 패턴;
    상기 절연막 패턴 상에 형성되고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복수개의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1 비아홀 내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
    상기 MIM 커패시터 상부의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노출하는 복수개의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형성되고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하부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가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는 0.01㎛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상에는 산화막, 질화막, FSG막, OSG막, 및 SiC막 중의 어느 하나의 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된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9. 삭제
  20.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과 접촉하는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두께가 그 이외의 지역에 형성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유전체막;
    상기 유전체막이 두꺼운 영역에 형성된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에 형성된 절연막 패턴;
    상기 절연막 패턴 상에 형성되고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복수개의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1 비아홀 내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
    상기 MIM 커패시터 상부의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노출하는 복수개의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형성되고 상기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영역 이외에 형성된 상기 유전체막의 두께는 0.01㎛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3. 삭제
  24.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과 접촉하는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유전체막;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 상에 상기 유전체막의 두꺼운 부분을 개재하여 형성되고 상기 MIM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 상에만 한정적으로 형성된 절연막 패턴;
    상기 절연막 패턴 상에 형성되고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복수개의 제1 비아홀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1 비아홀 내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
    상기 MIM 커패시터 상부의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노출하는 복수개의 제2 비아홀을 갖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2 비아홀 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랜딩 패드형 독립 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MIM 커패시터의 상기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02-0078905A 2002-12-11 2002-12-11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50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05A KR100505658B1 (ko) 2002-12-11 2002-12-11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US10/657,490 US6940114B2 (en) 2002-12-11 2003-09-08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a MIM capacitor
TW092127380A TWI236066B (en) 2002-12-11 2003-10-03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a MIM capacitor
JP2003355576A JP2004193563A (ja) 2002-12-11 2003-10-15 Mimキャパシタを有する半導体素子
DE10351875A DE10351875B4 (de) 2002-12-11 2003-10-29 Integriertes Schaltkreisbauelement mit MIM-Kondensator
CNB2003101029920A CN100385659C (zh) 2002-12-11 2003-10-31 包括金属-绝缘体-金属电容器的集成电路装置和半导体装置
US11/168,126 US7208791B2 (en) 2002-12-11 2005-06-28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a capacitor
US11/684,865 US7679123B2 (en) 2002-12-11 2007-03-12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a 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05A KR100505658B1 (ko) 2002-12-11 2002-12-11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69A KR20040051069A (ko) 2004-06-18
KR100505658B1 true KR100505658B1 (ko) 2005-08-03

Family

ID=3664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9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5658B1 (ko) 2002-12-11 2002-12-11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6940114B2 (ko)
JP (1) JP2004193563A (ko)
KR (1) KR100505658B1 (ko)
CN (1) CN100385659C (ko)
DE (1) DE10351875B4 (ko)
TW (1) TWI2360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41B1 (ko) 2008-06-12 2010-05-0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8364B1 (en) * 2000-01-21 2002-12-24 Agere Systems Inc. Capacitor for integration with copper damascene processes
KR100505658B1 (ko) * 2002-12-11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100575092B1 (ko) * 2003-12-24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JP4707330B2 (ja) * 2004-03-30 2011-06-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27952A (ja) * 2004-05-17 200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用半導体装置
DE102005035346A1 (de) * 2004-08-19 2006-03-09 Atmel Germany Gmbh Verlustleistungsoptimierter Hochfrequenz-Koppelkondensator und Gleichrichterschaltung
US20060038293A1 (en) * 2004-08-23 2006-02-23 Rueger Neal R Inter-metal dielectric fill
US20060089001A1 (en) * 2004-10-27 2006-04-27 Erickson Sean C Localized use of high-K dielectric for high performance capacitor structures
KR100613346B1 (ko) * 2004-12-15 2006-08-2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148192A1 (en) * 2005-01-04 2006-07-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Damascene MIM capacitor structure with self-aligned oxidation fabrication process
JP4848137B2 (ja) * 2005-05-13 2011-12-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62537B1 (ko) * 2005-07-05 2010-06-14 후지쯔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154744B2 (ja) * 2005-07-14 2013-02-2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84856B2 (ja) * 2005-11-08 2011-05-1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
KR100655082B1 (ko) * 2005-12-23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984549B2 (ja) * 2006-01-27 2012-07-25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38074C (zh) * 2006-06-16 2008-11-26 广州南科集成电子有限公司 平面型单硅双金属层功率器件及制造方法
US20070290347A1 (en) * 2006-06-19 2007-12-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ive device having resist poison aluminum oxide barri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488643B2 (en) * 2006-06-21 2009-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M capaci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439151B2 (en) * 2006-09-13 2008-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integrating MIM capacitors within dual damascene processing techniques
JP2008071897A (ja) * 2006-09-13 2008-03-27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及び半導体メモリの製造方法
US7468525B2 (en) * 2006-12-05 2008-12-23 Spansion Llc Test structures for development of metal-insulator-metal (MIM) devices
KR100834238B1 (ko) * 2006-12-26 2008-05-3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엠아이엠 캐퍼시터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608538B2 (en) * 2007-01-05 2009-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rmation of vertical devices by electroplating
KR100885777B1 (ko) 2007-10-10 2009-02-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8445913B2 (en) 2007-10-30 2013-05-21 Spansion Llc Metal-insulator-metal (MIM) device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8476745B2 (en) * 2009-05-04 2013-07-02 Mediatek Inc. Integrated circuit chip with reduced IR drop
US8766417B2 (en) 2009-05-04 2014-07-01 Mediatek Inc. Integrated circuit chip with reduced IR drop
US8722530B2 (en) * 2011-07-28 2014-05-1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making a die with recessed aluminum die pads
US9331137B1 (en) 2012-03-27 2016-05-03 Altera Corporation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s between metal interconnect layers
US8957500B2 (en) * 2012-10-10 2015-02-17 Nxp B.V. High-voltage integrated metal capacitor and fabrication method
US9012966B2 (en) 2012-11-21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Capacitor using middle of line (MOL) conductive layers
US20140145297A1 (en) * 2012-11-28 2014-05-29 Nxp B.V. Mim-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515080B2 (en) * 2013-03-12 2016-12-06 Sandisk Technologies Llc Vertical NAND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ing sequential stack etching and landing pad
US8946023B2 (en) 2013-03-12 2015-02-03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a vertical NAND device using sequential etching of multilayer stacks
US9484879B2 (en) * 2013-06-06 2016-11-01 Qorvo Us, Inc. Nonlinear capacitance linearization
US8890223B1 (en) 2013-08-06 2014-11-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voltage hybrid polymeric-ceramic dielectric capacitor
CN104517959A (zh) * 2013-09-30 2015-04-15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JP6473692B2 (ja) * 2013-10-30 2019-02-20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パネル
US9425308B2 (en) * 2013-12-31 2016-08-23 Delta Electronics, Inc.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577025B2 (en) * 2014-01-31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al-insulator-metal (MIM) capacitor in redistribution layer (RDL) of an integrated device
US9824889B2 (en) * 2014-04-21 2017-11-21 Applied Materials, Inc. CVD silicon monolayer formation method and gate oxide ALD formation on III-V materials
US10128327B2 (en) * 2014-04-30 2018-11-13 Stmicroelectronics, Inc. DRAM interconnect structure having ferroelectric capacitors exhibiting negative capacitance
KR102211741B1 (ko) * 2014-07-21 2021-02-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US9780046B2 (en) * 2015-11-13 2017-10-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al rings structures in semiconductor device interconnect laye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05742296B (zh) * 2016-03-31 2019-05-07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17222515A1 (en) * 2016-06-22 2017-12-28 Intel Corporation Via blocking layer
US10546915B2 (en) * 2017-12-26 2020-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uried MIM capacitor structure with landing pads
CN110060979B (zh) * 2018-01-18 2021-05-28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装置
CN108428669B (zh) * 2018-03-07 2020-11-17 西安电子科技大学 三维异质集成系统及其制作方法
US11049820B2 (en) * 2018-07-30 2021-06-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rack suppression structure for HV isolation component
CN112956024B (zh) * 2018-10-29 2024-09-10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用于半导体器件的单片3d集成的架构
JP2021077799A (ja) * 2019-11-12 2021-05-20 ローム株式会社 電子部品
CN111192873B (zh) * 2020-01-09 2020-09-04 华南理工大学 一种提高mim电容高频可靠性的版图结构及其实现方法
WO2021145662A1 (ko) * 2020-01-14 2021-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로 기판
KR102375281B1 (ko) * 2020-06-22 2022-03-17 울산과학기술원 고유전 탄화수소 박막을 이용한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CN112289738B (zh) * 2020-10-14 2024-01-23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金属互连结构的形成方法
US20250107077A1 (en) * 2023-09-27 2025-03-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9455A (ja) * 1999-03-15 2000-09-29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31520A (ko) * 2000-10-20 2002-05-02 박종섭 시스템 온 칩 소자의 제조 방법
US6410386B1 (en) * 2001-06-15 2002-06-25 Silicon Integrated Systems Corp. Method for forming a metal capacitor in a damascene process
KR20030037215A (ko) * 2001-11-03 2003-05-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359A (en) * 1995-03-03 1996-12-10 Northern Telecom Limited Capacitor structure for an integrated circuit
JP3368726B2 (ja) * 1995-08-07 2003-01-20 ヤマハ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0183739B1 (ko) * 1995-09-19 1999-03-20 김광호 감결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853406B2 (ja) * 1995-10-27 2006-12-06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当該装置の製造方法
US5926359A (en) * 1996-04-01 1999-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TW399319B (en) * 1997-03-19 2000-07-21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JP3149817B2 (ja) * 1997-05-30 2001-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97044B2 (ja) * 1997-12-19 2005-09-2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24199A (en) * 1999-04-28 2000-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imultaneously forming a storage-capacitor electrode and interconnect
US6488730B2 (en) * 1999-07-01 2002-12-03 Cheil Industries, Inc. Polishing composition
JP3967544B2 (ja) * 1999-12-14 2007-08-29 株式会社東芝 Mimキャパシタ
TW503439B (en) * 2000-01-21 2002-09-2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Combination structure of passive element and logic circuit on silicon on insulator wafer
EP1130654A1 (de) * 2000-03-01 2001-09-05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s Bauelement mit Metall-Isolator-Metall-Kondensator
US6838717B1 (en) * 2000-08-31 2005-01-04 Agere Systems Inc. Stacked structure for parallel capacitor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399495B1 (en) * 2000-11-06 2002-06-04 Ling-Hsu Tseng Copper interconnections for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in mixed mode signal process
US6528366B1 (en) * 2001-03-01 2003-03-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Fabrication methods of vertical metal-insulator-metal (MIM) capacitor for advanced embedded DRAM applications
JP2002299558A (ja) * 2001-03-29 2002-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5658B1 (ko) * 2002-12-11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9455A (ja) * 1999-03-15 2000-09-29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31520A (ko) * 2000-10-20 2002-05-02 박종섭 시스템 온 칩 소자의 제조 방법
US6410386B1 (en) * 2001-06-15 2002-06-25 Silicon Integrated Systems Corp. Method for forming a metal capacitor in a damascene process
KR20030037215A (ko) * 2001-11-03 2003-05-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41B1 (ko) 2008-06-12 2010-05-0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5452A1 (en) 2007-06-28
US7679123B2 (en) 2010-03-16
US6940114B2 (en) 2005-09-06
US20050247968A1 (en) 2005-11-10
CN1507045A (zh) 2004-06-23
US20040113190A1 (en) 2004-06-17
CN100385659C (zh) 2008-04-30
TW200410340A (en) 2004-06-16
KR20040051069A (ko) 2004-06-18
DE10351875B4 (de) 2009-01-29
US7208791B2 (en) 2007-04-24
TWI236066B (en) 2005-07-11
DE10351875A1 (de) 2004-07-15
JP2004193563A (ja) 200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658B1 (ko)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10050351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263452B2 (en) Reservoir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KR20120041642A (ko) 반도체 소자
KR20010076387A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US2011011505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30082900A1 (en) Method of forming contact plugs
KR100572829B1 (ko) 엠아이엠 캐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제조방법
US6680511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providing improved short prevention
KR100273987B1 (ko) 디램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168606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물 및 이의 형성 방법
KR100772251B1 (ko) 반도체 소자의 더미 콘택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128819A1 (en) Lateral mos tran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6903022B2 (en) Method of forming contact hole
KR20010051026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164491A1 (en) Bit line contact hol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6855617B1 (en) Method of filling intervals and fabricating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s
KR10104461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20127026A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079827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6800515B2 (en) DRAM and MOS transistor manufacturing
KR2002003446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N118946140A (zh) 制造半导体设备的方法
KR100731138B1 (ko) 반도체 소자의 mim 커패시터 형성방법
KR20060131144A (ko) 반도체 소자의 컨택 플러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