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5782B1 -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782B1
KR100485782B1 KR10-2003-0000441A KR20030000441A KR100485782B1 KR 100485782 B1 KR100485782 B1 KR 100485782B1 KR 20030000441 A KR20030000441 A KR 20030000441A KR 100485782 B1 KR100485782 B1 KR 100485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pport member
image forming
suppor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037A (ko
Inventor
남동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782B1/ko
Priority to US10/684,417 priority patent/US7559550B2/en
Priority to CNB2003101187290A priority patent/CN100376408C/zh
Publication of KR2004006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3Roller pairs driving roller and idler roll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배지구측에 서로 상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롤러 및 아이들 롤러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배지구측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게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가변가능케 하는 간격조절수단으로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지지플레이트의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배지롤러와 아이들 롤러의 사이에 발생되는 접촉압력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 Paper-discharging apparatus for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상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용지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복사기, 잉크젯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 중 잉크젯 프린터를 일례로 들어 그 내부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용지의 공급을 위한 용지공급장치(120)와, 그 용지공급장치(120)와 배지구(미도시)를 연결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내부에 구획형성된 용지이송로(130)와, 상기 인쇄용지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시키는 잉크 카트리지(140)와,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외부로 배출하는 용지배출장치(150)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145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캐리지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내부에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전술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150)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용지배출장치(150)는 배지롤러(151)와, 지지플레이트(153)와, 지지부재(155)와, 아이들 롤러(157)를 포함한다.
배지롤러(151)는 상기 배지구에 인접한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용지를 상기 배지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소정의 회전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된다.
지지플레이트(153)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내부에 고정되며, 용지이송로(130)를 사이에 두고 배지롤러(151)와 마주한다. 통상적으로, 지지플레이트(153)는 그 길이방향 너비가 상기 배지구의 횡방향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지지부재(155)는 지지플레이트(153)의 하면에 배지롤러(151)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그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157)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배지롤러(151)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55)와 지지플레이트(153)는 복수의 체결보스(155a)와 체결부재(159)에 의해 상호간에 유격없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아이들 롤러(157) 각각은 배지롤러(151) 각각과 그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아이들 롤러(157) 각각은 회전구동하는 배지롤러(151)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도 2에 도시된 아이들 롤러(157)의 경우,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회전축(158)에 의해 지지부재(1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축(158)의 탄성범위 내에서 외력에 의한 탄력적인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배지롤러(151)도 소정의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적인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기도 한다. 이에 의하면, 인쇄용지의 이송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용지배출장치(150) 구성부품들의 형상변형에 의해, 아이들 롤러(157)와 배지롤러(151)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접촉압력이 변화되더라도 아이들 롤러(157) 및/또는 배지롤러(151)가 탄력적으로 유동됨으로써 이를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들 롤러(157) 및/또는 배지롤러(151)의 탄성유동범위는 인쇄용지의 이송에 필요한 각 롤러(151)(158) 간의 접촉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소정 범위 내에서 한정된다.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53) 또는 지지부재(155)의 형상변형이 상기 탄성유동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하중이 아이들 롤러(157) 일부에만 집중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유동범위를 벗어난 지지플레이트(153)의 형상변형은, 그 지지플레이트(153)의 형상변형과 동일한 지지부재(155)의 형상변형으로 발전되어, 아이들 롤러(157)가 배지롤러(151)로부터 이격되거나, 상기 접촉압력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게 한다.
이에 의해, 인쇄용지가 경사지게 상기 배지구를 통해 배출되는, 이른바, 스큐(Skew) 현상이 발생하여 화상이 인쇄용지에 경사지게 인쇄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인쇄용지의 인쇄면과 접촉하는 아이들 롤러(157)가 상기 집중하중에 의해 인쇄용지에 인쇄된 화상 일부를 손상시키는 문제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아이들 롤러 및/또는 배지롤러의 탄성유동범위를 초과하는 지지플레이트의 형상변형에 의해, 아이들 롤러와 배지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접촉압력의 크기가 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배지구측에 서로 상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롤러와 아이들 롤러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배지구측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가변가능케 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지지플레이트의 형상변화에 대응해 지지부재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간격조절수단으로 억제할 수 있어, 결국, 배지롤러와 아이들 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접촉압력의 크기가 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인쇄가 인쇄용지에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과, 인쇄된 화상이 손상된 상태로 인쇄용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그 양단 각각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접촉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횡방향 유동 및 굽힘변형을 억제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의 결합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체결보스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근접되게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상기 체결보스의 돌출길이보다 소정 길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횡방향 유동 및 굽힘변형을 억제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의 결합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체결보스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보스에 의하면,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가 상호 일정 거리 이상 근접되는 것까지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고 설명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여기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5b는 화상형성장치들 중 잉크젯 프린터에 채용된 용지배출장치를 일례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250)는 용지이송로(130)와, 지지플레이트(253)와, 지지부재(255)와, 아이들 롤러(257)와, 배지롤러(151) 및 간격조절수단(260)을 포함한다.
용지이송로(13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0;도 1참조) 내부에 구획형성되며, 용지급지장치(130;도 1참조)와 배지구(미도시)를 연결한다.
배지롤러(151)는 상기 배지구에 인접한 화상형성장치 본체(110;도 1 참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의 배지롤러(151)는 소정의 회전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151a) 상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회전축(151a)의 회전구동시 인쇄용지를 상기 배지구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배지롤러(151)들은 탄력적인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기도 한다. 이렇게, 배지롤러(151)들을 탄력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여기에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플레이트(253)는 상기 배지구에 근접한 위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되며, 용지이송로(130)를 사이에 두고 배지롤러(151)와 마주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53)는 그 양측단이 소정의 체결수단(252)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내부에 고정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253a)이 관통형성된다.
지지부재(255)는 지지플레이트(253)의 하면에 배지롤러(151)와 마주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55)와 지지플레이트(253)의 결합은, 지지부재(255)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보스(265)와, 그 체결보스(265) 각각에 대응되게 지지플레이트(253)에 관통형성된 체결공(253a)과, 체결공(253a)을 관통하여 체결보스(265)와 결합되는 체결부재(269)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체결보스(265)는 지지부재(255) 상에 두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체결부재(269)와 체결보스(265)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와는 다르게, 체결보스(265)의 상단면과 지지플레이트(253)의 하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d;도 5b 참조)이 형성될 때 까지만 상호 체결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55)와 지지플레이트(253)는 상호 근접/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아이들 롤러(257)는 지지부재(255)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안착홈(255b) 각각에 안착되는 회전축(258)들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외주면이 배지롤러(151) 각각과 접촉된다. 여기서, 아이들 롤러(257)들은 소정 탄성수단에 의해 배지롤러(151)들에 근접되거나 배지롤러(151)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그 실시가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수단은 아이들 롤러(257)들 각각을 지지부재(255)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그 형상 변형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회전축(258)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이들 롤러(257)들은 통상적으로 인쇄용지의 인쇄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인쇄용지에 인쇄된 화상이 아이들 롤러(257)들과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서의 용지배출장치(250)는, 지지부재(255)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휠본체(257a)와, 그 휠본체(257a)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소정 형상의 요철부(257b)를 포함하는 스타휠(Star-wheel)을 아이들 롤러(257)로 사용한다.
지지부재(255)는 지지플레이트(253)의 하면에 배지롤러(151)와 마주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55)와 지지플레이트(253)의 결합은, 지지부재(255)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보스(265)와, 그 체결보스(265) 각각에 대응되게 지지플레이트(253)에 관통형성된 체결공(253a)과, 체결공(253a)을 관통하여 체결보스(265)와 결합되는 체결부재(269)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체결보스(265)는 지지부재(255) 상에 두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체결부재(269)와 체결보스(265)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와는 다르게, 체결보스(265)의 상단면과 지지플레이트(253)의 하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d;도 5b 참조)이 형성될 때 까지만 상호 체결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55)와 지지플레이트(253)는 상호 근접/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지지부재(255)와 지지플레이트(253)는, 체결보스(265)의 상단면과 지지플레이트(253)의 접촉에 의해, 체결보스(265)의 길이에 해당되는 간격이 될때까지만 상호 접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61)로서, 지지플레이트(253)와 지지부재(255) 사이에 설치되어 그 양단이 지지부재(255)의 상면과, 지지플레이트(253) 하면 각각을 접촉지지하는 코일 스프링(261)이 사용된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261)은 체결보스(265)의 길이(d1;도 5b 참조)보다 소정 크기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253)와 지지부재(255)의 상호근접 이동시 압축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261)은 그 양단이 접촉지지하고 있는 지지플레이트(253)의 하면과, 지지부재(255)의 상면 사이의 간격(d2;도 5b 참조)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체결부재(269)와 체결보스(265)의 체결에 의해 지지부재(255)가 지지플레이트(253)에 대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지지플레이트(253)와 지지부재(255)의 결합시, 코일 스프링(2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부재(255)가 지지플레이트(253)에 대해 소정 간격(d;도 5b)만큼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55)와 지지플레이트(253)의 결합에 의하면, 지지플레이트(253)의 형상변형에 대응하여 지지부재(255) 대신 코일 스프링(261)의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지지부재(255)의 형상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그 지지부재(255)의 형상변형에 의한 배지롤러(151)들과 아이들 롤러(257)들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압력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소수의 체결부재(269) 및 체결보스(265)를 사용하여도 코일 스프링(2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53)와 지지부재(255)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효과도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61)을 탄성부재로서 사용하는 간격조절수단의 경우, 지지플레이트(253)와 지지부재(255)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61)의 압축/팽창시 그 코일 스프링(261) 중앙부의 횡방향 굽힘 및 코일 스프링(261)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55)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체결보스(265)가 사용된다. 이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261)이 체결보스(26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그 체결보스(265)에 의해 코일 스프링(261) 중앙부의 굽힘 또는 코일 스프링(261)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간격조절수단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부재(255)를 지지플레이트(253)에 결합시키는데 있어 지지부재(255)와 지지플레이트(253) 간에 소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간격이 탄성적으로 가변되기만 한다면 본 실시예에서의 간격조절수단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외에도 화상이 인쇄된 용지가 배지롤러 및 아이들 롤러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화상형성장치에는 모두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간의 간격을 지지플레이트의 형상변형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지지플레이트의 형상변형에 의한 지지부재의 형상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의 형상변형 억제에 의해, 아이들 롤러와 배지롤러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접촉압력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용지배출시 인쇄용지가 사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지롤러 및 아이들 롤러에 의해 인쇄용지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화상출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소수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도 지지부재와 지지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발생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과 수정 및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지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용지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중 아이들 롤러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분해사시도,
도 5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배출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배출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화상형성장치 본체
130 : 용지이송로 151 : 배지롤러
250 : 용지배출장치 253 : 지지플레이트
253a : 체결공 255 : 지지부재
257 : 아이들 롤러 258 : 회전축
260 : 간격조절수단 261 : 코일 스프링
265 : 체결보스 269 : 체결부재

Claims (6)

  1.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배지구측에 서로 상응하게 설치되는 배지롤러와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며, 그 배지롤러와 아이들 롤러의 사이를 통해 용지가 압접된 상태로 이송배출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배지구측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가변가능케 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그 양단 각각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접촉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호 소정 간격 이내로 접근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의 결합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체결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근접되게 이동할 때 압축되도록 상기 체결보스의 돌출길이보다 소정 길이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KR10-2003-0000441A 2003-01-04 2003-01-04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KR100485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441A KR100485782B1 (ko) 2003-01-04 2003-01-04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US10/684,417 US7559550B2 (en) 2003-01-04 2003-10-15 Paper-discharging apparatus used with an image-forming device
CNB2003101187290A CN100376408C (zh) 2003-01-04 2003-12-02 用于成像设备的纸排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441A KR100485782B1 (ko) 2003-01-04 2003-01-04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037A KR20040063037A (ko) 2004-07-12
KR100485782B1 true KR100485782B1 (ko) 2005-04-28

Family

ID=3427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441A KR100485782B1 (ko) 2003-01-04 2003-01-04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59550B2 (ko)
KR (1) KR100485782B1 (ko)
CN (1) CN1003764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6463B2 (en) * 2002-04-08 2006-06-27 Ecr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heet transporting using dual capstan rollers
US20050116988A1 (en) * 2003-12-01 2005-06-02 Shun-Sheng Cheng Method of a double starwheel unit in multiple rows with a multi-hole manner, an instrument and the like
JP4277830B2 (ja) * 2005-07-07 2009-06-10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31027A (ja) * 2005-07-25 2007-02-08 Kyocera Mita Corp 用紙搬送装置
CN100551710C (zh) * 2006-07-27 2009-10-2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送纸机构
US7900919B2 (en) * 2008-06-16 2011-03-08 Xerox Corporation Sheet transport roller system
FR2964375B1 (fr) * 2010-09-08 2013-05-17 Sidel Participations Table d'injection d'un film plastique pour fardeleuse
US9517906B2 (en) * 2012-08-29 2016-12-13 Canon Kabushiki Kaisha Conveying guide,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30784B2 (ja) * 2012-11-30 2017-1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CN103449221B (zh) * 2013-08-27 2016-06-22 昆山能缇精密电子有限公司 三料带送料机
JP6651749B2 (ja) * 2015-03-17 2020-0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印刷装置
CN105905641A (zh) * 2016-05-24 2016-08-31 苏州格兰斯柯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进纸装置
CN112092491B (zh) * 2016-12-09 2022-07-01 重庆市国盛包装有限责任公司 设防护栏间隙可调的纸袋生产用印刷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1223A1 (de) * 1977-09-13 1979-03-22 Siemens Ag Roentgenaufnahmegeraet
US4426785A (en) * 1982-01-04 1984-01-24 Loftus Pet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thickness conditions such as folded and/or missing corners of moving sheets
JPS60116487A (ja) * 1983-11-30 1985-06-22 Nec Home Electronics Ltd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DE3600527A1 (de) * 1986-01-10 1987-07-16 Fresenius Ag Filter zur gewinnung von plasma bzw. plasmawasser,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1150651A (ja) * 1987-12-08 1989-06-13 Toshiba Corp 紙葉類送り機構
JPH03293242A (ja) * 1990-04-09 1991-12-24 Seiko Instr Inc 送り装置
JP2748254B2 (ja) * 1990-07-09 1998-05-06 三田工業株式会社 紙送り装置
JPH0543082A (ja) * 1991-08-08 1993-02-23 Mita Ind Co Ltd 用紙搬送装置
JP2649026B2 (ja) * 1991-11-30 1997-09-03 三田工業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KR970000610B1 (ko) * 1992-06-04 1997-01-16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프린터의 용지배출장치
JP3143334B2 (ja) * 1994-09-20 2001-03-07 株式会社東芝 読取装置
US5884323A (en) * 1995-10-13 1999-03-16 3Com Corporation Extendible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files on two different computer systems
KR100255647B1 (ko) * 1997-08-30 2000-06-01 윤종용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US6382857B1 (en) * 1998-08-27 2002-05-07 Canon Kabushiki Kaisha Bearing mechanism and convey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DE10021629A1 (de) * 1999-05-28 2000-11-30 Heidelberger Druckmasch Ag Mehrfachbogenkontrollvorrichtung
JP2001075377A (ja) * 1999-08-31 2001-03-23 Copyer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739683B2 (en) * 2000-10-02 2004-05-25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6494451B2 (en) * 2001-03-19 2002-12-17 Hewlett-Packard Company Anti-skew idler roll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6408C (zh) 2008-03-26
KR20040063037A (ko) 2004-07-12
US7559550B2 (en) 2009-07-14
CN1515421A (zh) 2004-07-28
US20050098943A1 (en)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782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US7744209B2 (en) Media conveyance system of an ink ejec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40253630A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485195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搬送ユニットの位置決め部材
US20070296792A1 (en) Paper shift apparatus and array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and array printer printing method
JP7505235B2 (ja) ベル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3019648A (ja) プリンタ
JP402010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152971B2 (en) Positioning structur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667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9981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251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30975A (ja) 液滴吐出装置
US8939547B2 (en) Recording apparatus
JP7545111B2 (ja) 記録ヘッド位置調整機構、記録ヘッドモジュ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762588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21091210A (ja) 記録ヘッド位置調整機構、記録ヘッドモジュ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16873A (ja) 液滴吐出ヘッドユニ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1191610A (ja) 記録ヘッドの位置決め機構
JP7416325B2 (ja) ヘッド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176002A (ja) ラインヘッド型記録装置
KR101276058B1 (ko)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2006111008A (ja) ポータブルプリンティング装置
JP2024071001A (ja) 記録ヘッド位置調整機構、記録ヘッドモジュ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80251985A1 (en) Driven roller, transport roller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