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4028B1 - 전자부품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028B1
KR100484028B1 KR1019970710001A KR19970710001A KR100484028B1 KR 100484028 B1 KR100484028 B1 KR 100484028B1 KR 1019970710001 A KR1019970710001 A KR 1019970710001A KR 19970710001 A KR19970710001 A KR 19970710001A KR 100484028 B1 KR100484028 B1 KR 100484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ever
rotation
electronic component
wi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1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678A (ko
Inventor
세이이치 모기
와타루 히라이
구니오 사쿠라이
미노루 야마모토
요이치 마키노
아키코 이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0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2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34Apparatus having delaminating means adapted for delaminating a specified article
    • Y10S156/941Means for delaminating semiconductive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 Y10T156/1983Poking dela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전자부품을 안정된 자세로 확실하게 전자부품 실장기에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리한 톱테이프의 감기가 안정되고, 실장 스피드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릴(42)이 톱테이프(4)를 감고 있을때 셔터(34)가 후퇴이동하고 셔터(4)에 일체로 설치된 슬릿(51)도 후퇴이동한다. 릴(42)의 테이프 감기 방향의 회동은 복귀스프링(39)의 복원력에 의하여 행해진다. 릴(42)의 감기동작이 끝나고, 셔터(34)가 후퇴했을때 전자부품(1)이 전자부품 꺼내기 위치에 있어서, 꺼내진다. 슬릿(51)과 릴(42)과의 사이에 고정롤러(31)를 설치하고, 다시 슬릿(51)과 고정롤러(31)의 사이의 톱테이프(4)의 길이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동롤러(32)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의 공급장치{DEVICE FOR FEEDING ELECTRONIC PARTS}
본 발명은 전자부품 실장기에 부속하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부품의 공급장치를 도 9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전자부품의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도 9에 표시한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사용하여 전자부품(1)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 이유는 전자부품(1)을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가 있고 연속공급에 적합하다고 하는 기술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도 들고 운반하는 것이나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도 9에 표시한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의 구성은 격납오목부(2)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유지테이프(3)와, 상기 격납오목부(2)에 격납된 전자부품(1)과, 상기전자부품(1)의 탈락방지와 보호때문에 상기 유지테이프(3)의 상면에 첩부한 톱테이프(4)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이송구멍(5)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전자부품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사용하여 전자부품(1)을 공급하려면, 톱테이프(4)를 벗기는 박리공정과, 흡착노즐이 전자부품(1)을 흡착하는 흡착공정과, 상기 격납오목부(2)의 일정간격분만큼 상기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간헐이동시키는 이동공정과의 3공정을 1사이클로하는 되풀이 동작이 필요하다.
전자부품 실장기에 장치된 종래예의 전자부품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되풀이 동작을 도 10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정면도, 도 11의 배면도, 도 12의 선단부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사용하여, 도 12에 표시한 타이밍 챠트에 의거하여, 흡착노즐이 동작에 맞춘 각 부분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전자부품 실장기의 흡착노즐이 강하·흡착·상승으로 구성되는 사이클에 맞춘 부품 공급동작을 각 부분이 되풀이 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상기 흡착노즐의 동작에 맞춰서,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도시하지 않음)가 피드레버(6)(도 19에 사선으로 표시함)에 당접하고, 피드레버(6)를 제 1회동중심(16)을 축으로하여, 도 10의 시계방향으로 회동·강하시킨다. 피드레버(6)는 어느정도 회동·강하하면 동일의 회동중심(16)을 갖는 감기레버(11)에 충돌하고 감기레버(11)를 도 10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상승시킨다.
또, 피드레버(6)의 1사이클의 강하·정지·상승동작은 도 11에 표시한 바와같이 링크(7)를 통하여 호일구동레버(18)의 제 2회동중심(19)을 축으로 하는 왕복회동운동에 변환된다.
또 호일구동레버(18)에 설치되어 셔터(24)의 구멍부(24a)에 끼워 맞춤하고 있는 제 1핀(20)과, 테이프 가이드(12)에 설치된 제 2핀(22,22)과 셔터(24)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핀(22,22)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긴 구멍(23)에 의하여 상기 호일 구동레버(18)의 왕복회동운동이 셔텨(24)의 간헐적인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셔터(24)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단(24b)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고, 테이프 가이드(12)의 부품 빼내기 위치에 설치된 흡착창(25)의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라, 상기 흡착창(25)에 노출되어 있는 전자부품(1)의 중앙부분만을 유지하는 형태로, 테이프 가이드(12)의 상면을 간헐적으로 왕복운동한다. 셔터(24)의 구부러진 선단(24b)은 셔터(24)가 흡착창(25)을 덮지 않을 때에는 테이프 가이드(12)에 설치된 틈새(24a)로 퇴피하고 있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드레버(6)가 회동·강하하면, 셔터(24)가 도 11에 있어서 오른쪽방향으로 후퇴하기 시작하고, 상기 선단(24b)은 상기 틈새(24a)로 퇴피한다.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가 소정위치에서 정지하면, 피드레버(6)가 정지하고,그에 수반하여 감기레버(11)와 셔터(24)가 정지한다. 그리고, 셔터(24)가 후퇴위치에 있기 때문에, 테이프 가이드(12)에 설치된 흡착창(25)이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흡착창(25)은 전자부품(1)을 꺼낼수 있는 이상의 개구면적을 갖고, 흡착창(25)이 열린상태에서는 전자부품(1)은 흡착창(25)의 중앙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강하하고 있던 흡착노즐이 전자부품(1)을 흡착하여 상승한다.
흡착노즐이 상승하면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가 상승을 개시한다. 복귀스프링(9)의 작용에 의하여 피드레버(6)가, 상기 구동레버의 상승에 따라서, 제 1회동중심(16)을 축으로 하여 도 1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상승한다. 이 상승에 의하여, 피드레버(6)가 감기레버(11)에서 떨어지려고 하므로, 복귀스프링(10)의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감기레버(11)는 도 1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강하한다.
감기레버(11)와 릴(8)은 제 1회동중심(16)을 공통의 축으로 하고, 양자간에는 주지의 한방향 회전래칫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있어서, 감기레버(1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릴(8)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감기레버(1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릴(8)은 정지하고 있는 것같이 상기 한방향 회전래칫 기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하여 감기레버(11)에 가해지는 복귀스프링(10)의 당기는 작용은 릴(8)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되고, 톱테이프(4)를 감는 힘이 된다. 이 감는 힘에 의하여,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가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될 때에, 테이프 가이드(12)에 설치된 슬릿(13)에 있어서 유지 테이프(3)의 상면에서 톱테이프(4)는 박리되고, 고정롤러(15)를 통하여 릴(8)에 감기게 된다.
이때, 호일구동레버(18)가 제 2회동중심(19)을 축으로 하여 제 11도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셔터(24)는 도 12(a)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전진하여 흡착창(25)을 덮는다.
또, 호일구동레버(18)와 호일(21)은 같은 제 2회동중심(19)을 갖고, 양자간에는 주지의 한방향 회전래칫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호일구동레버(18)가 도 11에 있어서 시계반대방향을 회동할 때에만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호일(21)의 외주에는 유지테이프(3)의 이송구멍(5)에 결합하는 동일 피치의 복수의 핀(21a)이 붙어있으므로, 셔터(24)가 도 12(a)에 있어서의 좌측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호일(21)이 도 11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호일(21)의 둘레가장자리에 있는 핀(21a)이 유지테이프(3)의 이송구멍(5)에 결합하고, 유지테이프(3)를 호일(21)의 회동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하여 박리력이 가해지고 있는 톱테이프(4)가 유지테이프(3)의 상면에서 박리되어, 고정롤러(15)를 통하여 릴(8)에 감기게 된다. 피드레버(6)가 상사점에서 정지하면, 호일구동레버(18)도 정지하고 셔터(24)와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가 동작을 정지한다.
릴(8)은 박리된 톱테이프(4)를 감아들이고, 톱테이프(4)의 장력과 감는 힘이 균형이 맞는 시점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감기레버(11)는 그 동작완료 시점에서는 피드레버(6)에서 분리된 위치에 정지하고, 복귀스프링(10)에 의하여 도 10에 있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 이때의 감기레버(11)의 정지위치는 릴(8)에 감겨져 있는 톱테이프(4)의 감은양, 즉 감은 지름에 따라서 다르다.
도 14는 상기 테이프 가이드(12)를 공급장치본체(17)에 탄성적으로 누르는 눌림부재(14)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전자부품집합 테이프(A)는 유지테이프(3)의 격납오목부(2)내에 전자부품(1)을 격납하고, 그위를 톱테이프(4)가 눌러서 유지하고 있지만, 톱테이프(4)가 박리되어 전자부품(1)이 흡착노즐에 흡착될때까지의 동안에, 테이프 가이드(12)가, 전자부품(1)을 격납오목부(2)내에 유지하는 역할을 다하고, 동시에, 톱테이프(4)를 박리할때의 전자부품집합테이프(A)의 뜨기, 느순함, 어긋남 등의 혼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지점(14b)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누름부재(14)는 테이프 가이드(12)의 들뜸을 스프링(26)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누르는 동작을 하고 있다.
또, 제 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가 피드레버(6)에 당접하고, 피드레버(6)를 제 1회동중심(16)을 축으로 하여, 도 10의 시계방향으로 회동·강하시키는 요동량에는 d,c의 대소 2종류의 요동량이 있다. 이 때문에 구동레버가 소 스트로크(c)요동했을때, 피드레버(6)가 소 스트로크(c )요동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와, 구동레버가 대 스트로크(d)요동했을때, 피드레버(6)가 대 스트로크(d')요동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와의 2종류의 전자부품공급장치가 있다.
또, 소 스트로크(c')요동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가 잘못하여 대 스트로크(d)요동했을때,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파손되지 않도록 피드레버(6)가 대 스트로크(d')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예에 있어서는 피드레버(6)가 복귀회동시에 감기레버(11)가 제 10도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릴(8)을 같은 방향의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톱테이프(4)를 감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릴(8) 및 감기레버(11)의 테이프 감을 때의 회동각은 릴(8)에 감긴 톱테이프(4)의 양에 의하여 다르고, 톱테이프(4)의 감기지름이 소인때에는 상기 회동각은 대가되고, 톱테이프(4)의 감기지름이 대인때에는 상기 회동각은 소가된다. 이와같이 상기 회동각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피드레버(6)와 감기레버(11)는 이접 가능하게 구성되고, 피드레버(6)가 도 1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감기레버(11)를 동 방향으로 회동시킬때, 처음 양자는 일체가 되어 회동하지만, 도중의 톱테이프(4)의 감기완료시점에서 감기레버(11)는 정지하고, 도 15(a)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드레버(6)만이 감기레버(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다시 회동한 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드레버(6)가 왕방향으로 회동할때, 처음엔 피드레버(6)만이 도 10 및 도 15(a)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회동도중에,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레버(6)가 감기레버(11)의 접촉점(28)에 충돌하고, 그후 피드레버(6)과 감기레버(11)가 일체가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감기레버(11)는 정지중의 릴(8)에 대하여 프리의 상태에서 도 10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은 이미 진술한바 대로이다.
상기 충돌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셔터(24)가 후퇴하고 있을때 일어난다. 환언하면, 흡착창(25)이 열리기 직전의 타이밍에서 상기 충돌이 생긴다. 이 때문에 상기 충돌에서 생긴 충격이나 진동이, 열린흡착창(25)의 중앙부근에 있어서 상면의 유지력을 상실하고 있는 전자부품(1)을 진동시키는 원인이 되고, 때로는 격납오목부(2)내의 전자부품(1)이 튀어나오거나, 서버리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는 미소한 전자부품(1)일수록 그 영향을 받기쉽고, 또, 실장스피드가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의 충격이나 진동이 커져서 일어나기 쉽고, 흡착노즐의 흡착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또, 도 14에 있어서, 테이프 가이드(12)와 눌림부재(14)는 테이프 가이드(12)에 설치된 장출부분(12a)과 누름부재(14)에 설치된 돌기부(14a)와의 접촉점(27)에서 점접촉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접촉점(27)에서의 미끄럼이 좋지않고, 스프링(26)의 힘이 테이프가이드(12)를 누르는 힘으로는 효율좋게 전달되지 않는다. 즉, 흡착노즐의 전자부품(1)이 흡착에 실패한 경우나 유지테이프(3)와 테이프 가이드(12)와의 사이에 전자부품(1)이 들어간 경우등 어떤 원인에 의하여 테이프가이드(12)가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에서 들뜬 경우에, 상기 접촉점(27)에서의 미끄럼이 불량하므로, 스프링(26)의 힘이 테이프 가이드(12)를 신속하게 억누를 수가 없고, 상기의 인입된 전자부품(1)이 테이프의 이동에 따라서 밖으로 나와도 금방은 틈새가 없어지지 않고, 톱테이프(4)가 박리된 위치에서 흡착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전자부품(1)의 상면유지력이 상실된 형태가 되고, 전자부품(1)의 자세가 흐트러져, 흡착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소 스트로크(c')요동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가 실수하여 대 스트로크(d)요동했을때 전자부품공급장치가 파손되지 않도록 피드레버(6)를 대 스트로크(d')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전자부품공급장치에 세트하는 경우, 피드레버(6)를 손으로 요동시키면서 행하지만, 소 스트로크(c')요동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피드레버(6)를 정확하게 소 스트로크(c')요동시켜, 정지시키는 것은 곤란하고, 또 잘못하여 피드레버(6)를 소 스트로크(c')보다 큰 스트로크 요동시켰을때,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가 소정량 이상이동하고 전자부품(1)이 복수개 송출되어서, 전자부품(1)의 낭비가 생기는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이동 도중에 톱테이프(4)의 박리가 종료하고, 박리되지 않은채 유지테이프(3)와 함께 이동한 톱테이프(4)가 테이프 가이드(12)와 공급장치 본체(17)와의 사이로 파고 들어가는 문제가 생긴다.
또, 소 스트로크(c')요동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전자부품 실장기에 장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부품 실장기의 프로그램의 설정의 잘못에 의하여 구동레버가 대 스트로크(d)요동했을때, 그후 피드레버(6)는 대 스트로크(d'), 도 1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초기위치에 되돌아가기 때문에, 전자부품 실장기의 프로그램의 설정의 잘못을 발견하는 것이 늦어지고, 또한, 셔터(24)의 이동량이 대가되어 흡착노즐이 셔터(24)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생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전단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톱테이프의 감기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톱테이프의 감기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테이프 가이드의 누름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스토퍼의 활동을 (a),(b)에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는 전자부품 집합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종래예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종래예의 배면도이고,
도 12는 종래예의 전단부를 나타내고, (a)는 그 평면도, (b)는 그 단면도이고,
도 13은 종래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이고,
도 14는 종래예의 테이프 가이드의 눌림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5는 종래예의 피드레버와 감기레버와의 관계를 (a),(b)에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부품의 공급장치는 전자부품 집합테이프의 유지테이프를 간헐적으로 한방향 회전에 의하여 이송하고, 유지테이프의 격납오목부에 유지되는 전자부품을 순차 부품 꺼내기 위치에 인도하는 호일과, 전자부품 집합테이프의 톱테이프를 유지테이프에서 박리하기 위하여 톱테이프를 감는 릴과, 전자부품 집합테이프를 받아들여서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에 안내지지되고, 톱테이프가 박리된 유지테이프의 격납오목부에 유지되는 전자부품의 상면을 덮도록 전후이동하고, 후퇴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부품 꺼내는 위치의 윗쪽을 개방하여 전자부품의 꺼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셔터와, 셔터에 일체로 설치되어 유지테이프에서 박리된 톱테이프를 통과시켜서 상기 릴측에 인도하는 슬릿과, 릴과 동일의 회동중심을 갖고 왕회동, 정지, 복회동을 순차되풀이하는 간헐적 왕복회동을 전자부품 실장기에서의 구동력을 받아서 행하는 피드레버와, 피드레버의 간헐적 왕복회동을 상기 호일의 한방향 간헐회전으로 변환하여, 피드레버의 복회동시에만 호일을 회전시켜서 유지테이프를 전진시키는 전동수단과, 피드레버의 간헐적 왕복회동을 상기 셔터의 간헐전후이동으로 변환하여, 피드레버의 왕회동시에 셔터를 후퇴시켜, 피드레버의 복회동시에 셔터를 전진시키는 전동수단과, 릴과 동일한 회동중심을 갖고 왕복회동하는 감기레버와, 감기레버를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가압하는 스프링과, 피드레버에 구동되어서 감기레버에 대하여 이접가능하게 왕복이동하고, 피드레버의 왕회동시에 감기레버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으로 가압하는 감기레버의 테이프 감기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하고, 피드레버의 복회동시에 감기레버에 접근한후 당접하고, 이어서 감기레버를 테이프감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감기레버 구동부재와, 감기레버의 테이프 감기방향의 회동을 릴에 전달하여 릴을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한편, 감기레버의 테이프감기 반대방향의 회동을 릴에 전달하지 않고 감기레버를 프리회동시키는 한방향 회전전달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피드레버의 왕회동시에, 릴이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하여 톱테이프를 감고, 그때 셔터에 일체로 설치한 슬릿이 후퇴이동하므로, 톱테이프의 박리와 감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 릴을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구동하는 감기레버는 스프링에 가압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종래예와 같이 전자부품을 빼내는 타이밍의 직전에 감기레버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 그후의 피드레버의 정지시에 셔터가 부품꺼냄 위치의 윗쪽을 개방하여 전자부품이 흡착노즐등에 의하여 꺼내게 되지만, 그 직전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자부품의 자세를 바르게 안정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결과, 흡착등에 의한 전자부품의 꺼냄을 효율좋게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피드레버의 복회동시에, 호일의 회동에 의하여 전자부품 집합테이프가 셔터와 함께 전진케 되지만, 그때 톱테이프는 박리되지 않고 또 격납오목부상에서 드러내는 전자부품은 동기이동하는 셔터에 의하여 그 상면이 구속되므로, 전자부품집합 테이프의 전진중에 있어서도 전자부품의 자세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피드레버의 복회동중에 감기레버 구동부재가 감기레버에 충돌하지만, 상기 충돌은 전자부품의 꺼냄후에 생기므로, 전자부품의 꺼내기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리된 톱테이프를 상기 릴에 가이드하는 고정롤러와, 상기 슬릿와 상기 고정롤러와의 중간에 위치하고, 슬릿와 고정롤러 사이의 톱테이프의 길이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동롤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이동롤러의 톱테이프를 여유를 가지고 유지하는 활동에 의하여 피드레버의 복회동시에, 릴이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부품집합테이프와 함께 셔터가 전진하고, 셔터에 설치된 슬릿가 전진해도, 그 전진된 이동롤러가 이동하여, 박리된 톱테이프에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톱테이프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롤러의 활동에 의하여 릴에 감긴 톱테이프의 감기지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이동롤러의 상기 작용을 바르게 영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롤러를 피드레버에 일체로 설치하면,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테이프가이드는 누름부재를 통하여 공급장치 본체에 탄성적으로 억누른 상태로 장치되었고, 테이프 가이드와 누름부재와는 롤러를 통하여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면, 테이프가이드와 누름부재와의 마찰을 롤러가 저감시키므로, 전자부품 집합테이프에 대한 테이프 가이드의 추종성이 향상되고, 전자부품 집합테이프에 주행의 안전성이 좋아지고, 전자부품의 종류에 의한 전자부품 집합테이프의 두께의 상위에 문제없이 대응할 수가 있고, 흡착등의 전자부품 꺼내기의 효율의 향상, 보다 미소한 전자부품에의 대응력의 향상, 실장스피드의 향상등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전자부품의 공급장치는 전자부품집합테이프의 유지테이프를 간헐한방향 회전에 의하여 이송하고, 유지테이프의 격납오목부에 유지되는 전자부품을 순차 부품꺼냄 위치에 인도하는 호일과, 전자부품 집합테이프의 톱테이프를 유지테이프에서 박리하기 위하여 톱테이프를 감는 릴과, 전자부품 집합 테이프를 받아들여서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에 안내지지되어 전후이동하고, 후퇴위치에 있을때에만 상기 부품꺼냄 위치의 윗쪽을 개방하여 전자부품의 꺼내기를 가능하게하는 셔터와, 상기 부품 꺼내기 위치의 후방위치에 설치되고, 유지테이프에서 박리된 톱테이프를 통과시켜서 상기 릴측에 인도하는 슬릿과, 릴과 동일의 회동중심을 가지고, 왕회동, 정지, 복회동을 순차되풀이 하는 간헐왕복회동을 전자부품 실장기에서의 구동력을 받아서 행하는 피드레버와, 피드레버의 간헐왕복회동과, 상기 호일의 한방향 간헐회전에 변환하는 전동수단과, 피드레버의 간헐왕복회동을 상기 셔터의 간헐전후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수단과, 피드레버의 간헐왕복회동을 상기 릴의 테이프 감기동작으로 변환하는 전동수단과, 피드레버가 소정량이상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하였을때 그 소정회동위치에서 피드레버에 회동저지 저항을 부여하고, 피드레버가 이 회동저지 저항을 이겨내고 다시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후의 복회동 방향의 회동을 소정회동위치에서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전자부품 집합테이프를 전자부품공급장치에 손으로 장치하여 세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피드레버를 잘못하여 손으로 필요량 이상 요동하고자 했을때, 피드레버는 스토퍼에 맞닿아서 정지하기 때문에, 피드레버를 손으로 필요량만 요동시킬 수가 있고, 전자부품 집합테이프가 소정거리만큼 이동하고 전자부품이 1개만 송출되므로, 전자부품의 낭비가 최소가 되고, 전자부품 집합테이프의 교환작업등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전자부품 실장기에 장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전자부품 실장기의 프로그램의 설정의 실수에 의하여 구동레버가 필요량 이상 요동했을때 피드레버는 필요량 이상 회동한 후, 복귀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스토퍼에 맞닿은 후 걸려서 정지하고, 최기 위치에 되돌아 오지 않으므로, 전자부품의 공급이 정지하여, 조기에 전자부품 실장기의 프로그램 설정의 잘못을 발견할 수가 있고, 또한 흡착노즐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사용하는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는 도 9에 표시하는 종래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사선으로 표시하는 피드레버(29)는 제 1회동중심(41)을 축으로하여 간헐왕복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피드레버(29)는 전자부품실장기의 구동레버(62)(도 8참조)의 구동력을 받음과 동시에, 복귀스프링(43)(도 2, 도 8참조)의 복원력을 받아서 상기 구동레버(62)의 하향이동, 정지, 상향이동에 대응하여, 왕회동, 정지, 복회동을 행한다. 즉 전자부품 실장기의 흡착노즐이 강하할때 동시에 상기 구동레버(62)가 강하하고, 이 구동레버(62)가 피드레버(29)에 맞닿아서, 이것을 제 1회동중심(41)을 축으로하여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강하(왕회동)시킨다. 흡착노즐이 하사점 위치에서 전자부품을 흡착할 때에는 구동레버(62)는 하사점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고, 피드레버(29)도 정지하고 있다. 다음에 흡착노즐이 상승할때 구동레버(62)가 상동한다. 그때 피드레버(29)는 복귀스프링(43)의 복원력을 받아서, 제 1회동중심(41)을 축으로하여 도 1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상승(복회동)한다.
전자부품집합테이프(A)의 유지테이프(3)를 한방향 간헐회전에 의하여 이송하고, 유지테이프(3)의 격납오목부(2)에 유지되는 전자부품(1)을 순차부품 꺼내기 위치에 인도하는 호일(47)은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호일(47)은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만 회전하여, 유지테이프(3)를 전진시키는 것이지만, 이와같이 피드레버(29)의 간헐왕복회동을 호일(47)의 한방향 간헐회전으로 변환하는 전동수단도, 종래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일(47) 및 상기 전동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에 표시한 바와같이 호일(47)은 제 2회동중심(48)을 축으로하여 회전한다. 이 제 2회동중심(48)을 축으로하여 회동하는 호일구동레버(46)와, 상기 피드레버(29)와는 링크(30)에 의하여 연결되고 피드레버(29)의 왕회동, 정지, 복회동이, 호일구동레버(46)의 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방향회동, 정지, 시계반대방향 회동으로 변환된다. 호일구동레버(46)와 호일(47) 사이에는 호일구동레버(46)가 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할때만 그 회동력을 호일(47)에 전달하는 주지의 한방향 회전래칫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 호일(47)의 외주에는 유지테이프(3)의 이송구멍(5)에 결합하는 등 피치복수의 핀(47a)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드레버(29)의 왕회동시에는 호일구동레버(46)가 도 2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지만, 호일구동레버(46)는 호일(47)에 대하여 프리의 상태에서 회동하므로 호일(47)은 정지한 채로이다. 피드레버(29)의 정지시에도, 호일(47)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 호일구동레버(46)가 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이 한방향 회전래칫 기구를 통하여 호일(47)에 전달되고, 호일(47)을 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호일(47)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핀(47a)에 결합하는 유지테이프(3), 나아가서는 전자부품집합테이프(A)가 전진하게 된다.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받아들여서 가이드 하는 테이프 가이드(35)는 도 1, 도 2, 도 3, 도 7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급장치 본체(36)에 탄성적으로 억눌린 상태로 장치되어 있다. 테이프가이드(35)를 탄성적으로 억누르는 누름부재(33)는 도 7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 가이드(35)에 설치된 롤러(50)를 누르는 누름돌기(59)를 가짐과 동시에, 누름스프링(60)에 의하여 상기 롤러(50)에 누르는 힘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돌기(59)는 롤러(50)와 굴러서 접촉하므로 마찰에 대한 저항이 작고, 테이프가이드(35)의 상하이동에 대한 추종이 빨라진다.
테이프 가이드(35)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부품(1)을 꺼내기 위하여, 및 톱테이프(4)를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하여 릴(42)측에 인도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테이프 가이드(35)에 안내지지되어 전후이동하고, 후퇴위치에 있을때에만 전자부품(1)의 꺼내기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부품꺼내기 위치의 상방을 개방하는 셔터(34)는 종래예의 것과는 다르고, 플랫셔터 구조의 것이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35)의 개구부를 덮고, 톱테이프(4)가 박리된 유지테이프(3)의 격납오목부(2)에 유지되는 전자부품(1)의 상면을 평면으로 덮는 것 같이 하여 전후이동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셔터(34)의 전단에는 셔터(34)가 후퇴위치에 있을때 전자부품(1)을 빼내도록 하기 위한 부품취출구(34a)가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된 톱테이프(4)를 통과시켜서 릴(42)측에 인도하기 위한 슬릿(51)이 상기 부품취출구(34a)의 후방위치에 있어서 셔터(34)에 설치되어있다. 이와같이 셔터(34)에 슬릿(51)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은 종래예와는 다른 특징점이다. 상기 셔터(34)는 피드레버(29)의 왕회동시에 후퇴하고, 피드레버(29)의 정지시에 정지하여 부품 꺼내기 위치의 윗쪽을 개방하고,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 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같이 피드레버(29)의 간헐왕복회동을 셔터(34)의 간헐전후동으로 변환하는 전동수단은 종래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피드레버(29)의 왕회동, 정지, 복회동은 호일구동레버(46)의 도 2의 시계방향회동, 정지, 시계반대방향 회동으로 변환된다. 호일구동레버(46)에는 셔터(34)의 결합오목부(34a)에 결합하는 제 1핀(49)이 설치되고, 또 전후방향으로 뻗는 긴구멍(45)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테이프가이드(35)에는 전후 1쌍의 제 2핀(44,44)이 설치되고, 이 제 2핀(44,44)에 셔터(34)의 긴구멍(45)이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호일구동레버(46)의 간헐왕복회동은 제 1핀(49)을 통하여 셔터(34)의 간헐전후이동으로 변환되고, 그 전후이동은 상기 긴구멍(45)과 제 2핀(44,44)과의 끼워맞춤에 따라서 안내지지된다.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의 톱테이프(4)를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하기 위하여 톱테이프(4)를 감는 릴(42)은 제 1회동중심(41)을 축으로하여, 도 1의 시계반대방향, 즉 톱테이프(4)를 감는 방향으로만 간헐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회동중심(41)에는 이것을 축으로 하여 왕복회동하는 감기레버(4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 3회동중심(38a)을 축으로 하여 왕복회동하는 <자형레버(감기레버 구동부재)(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형레버(38)의 아래쪽 돌출부(38b)는 링크(37)를 통하여 피드레버(29)에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자형 레버(38)의 릴방향 돌출부(38c)는 상기 감기레버(40)의 접촉점(40a)에 이접가능하게 맞닿는다. 상기 감기레버(40)는 복귀스프링(39)에 의하여 상기 링크(37)에 연결되고, 복귀스프링(39)의 인장력에 의하여, 도 1의 시계반대방향, 즉, 테이프 감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감기레버(40)와 공급장치본체(36)와의 사이에 복귀스프링(39)을 설치하여, 감기레버(40)를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감기레버(40)와 상기 릴(42) 사이에는 감기레버(40)의 테이프 감기방향의 회동을 릴(42)에 전달하여 릴(42)을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한편, 감기레버(40)의 테이프 감기반대방향의 회동을 릴(42)에 전달하지 않고, 감기레버(40)를 프리회동시키는 주지의 한방향 회전래칫기구(한방향 회동전달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피드레버(29)가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왕회동)하면, 링크(37)를 통하여 <자형 레버(38)는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자형 레버(38)의 릴방향 돌출부(38c)는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감기레버(40)의 접촉점(40a)에서 분리되려고 한다. 복귀스프링(39)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는 감기레버(40)는 <자형 레버(38)의 회동에 수반하여 도 1의 시계반대방향(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감기레버(40)의 회동이 한방향 회전 래칫 기구를 통하여 릴(42)에 전달되고, 릴(42)은 도 1의 시계반대방향(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하여 톱테이프(4)를 감는다. 릴(42)은 소정량의 톱테이프(4)를 감은 시점에서, 톱테이프(4)의 장력과 균형, 그 저항에 의하여 정지하고, 이에 수반하여 감기레버(40)도 그 회동을 정지한다. 그후에도 <자형 레버(38)는 회동을 계속하고, 그 릴방향 돌출부(38c)가 감기레버(40)의 접촉점(40a)에서 떨어진 소정위치에서 정지한다.
다른 한편, 피드레버(29)가 도 1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복회동)하면, 링크(37)를 통하여 <자형 레버(38)는 도 1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자형 레버(38)의 릴 방향 돌출부(38c)가 감기레버(40)의 접촉점(40a)에 접근한 후 충돌하고, 그후 감기레버(40)는 <자형 레버(38)로 구동되어 도 1의 시계방향(테이프감기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소정위치에 도달했을때에 정지한다. 이때 감기레버(40)는 릴(42)에 대하여 프리의 상태에서 회동하고, 릴(42)은 정지한 채로이다. 또 이때 복귀스프링(39)은 신장하여 복원 에너지를 축적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피드레버(29)의 왕회동시에 릴(42)을 회동시켜서, 톱테이프(4)를 감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점은 피드레버의 복회동시에 릴을 회동시켜서 톱테이프를 감도록 구성한 종래예와 틀리는 특징점이다. 또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 <자형 레버(38)가 감기레버(40)에 충돌하여, 감기레버(40)를 복회동시키는 점도 종래예에 없는 특징점이다.
전자부품집합테이프(A)의 톱테이프(4)는 릴(42)의 테이프 감기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감겨지고, 상기 슬릿(51)를 통과하여 방향을 바꿀 때에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된다. 슬릿(51)에서 도출되는 톱테이프(4)는 도 1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동롤러(32) 및 고정롤러(31)에 가이드되어 릴(42)에 인도된다. 고정롤러(31)는 공급장치본체(36)의 소정위치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동롤러(32)는 슬릿(51)과 고정롤러(31)의 중간에 위치하고, 슬릿(51)과 고정롤러(31)의 사이의 톱테이프(4)를 굴곡시켜, 그 굴곡도를 변화시키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롤러(32)는 슬릿(51)를 구비한 셔터(34)의 이동에 불구하고 슬릿(51)과 고정롤러(31)의 사이의 톱테이프(4)의 길이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슬릿(5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표시한 바와같이, 피드레버(29)의 셔터방향 돌출편(29a)의 선단에 이동롤러(32)가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피드레버(29)의 왕회동시에, 릴(42)이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하여 톱테이프(4)를 감고, 동시에 셔터(34)를 후퇴이동시키고 있다. 이때 상기 호일(47)은 정지한 그대로이고, 유지테이프(3)는 정지하고 있다. 유지테이프(3)의 정지시에, 톱테이프(4)를 유지테이프(3)에서 부드럽게 박리시키기 위하여, 셔터(34)에 일체로 슬릿(51)을 설치하여 슬릿(51)를 가동구조로 하고, 슬릿(51)이 후퇴하는 분량의 톱테이프(4)가 점차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되어 릴(42)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는 릴(42)은 정지하고 있는 한편, 셔터(34)의 전진이동에 수반하여 슬릿(51)이 전진하고, 또한 호일(47)이 회동하여 유지테이프(3)를 전진시킨다. 따라서, 가령 상기 이동롤러(3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면, 슬릿(51)의 전진에 의하여 톱테이프(4)는 절단된다. 이와 같은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롤러(3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도 5에 의거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실선으로 슬릿(51)이 전진위치(54)에 있을 때의 이동롤러(32)의 위치 및 톱테이프(4)의 상태를 표시하고, 파선으로 슬릿(51)이 후퇴위치(55)에 있을 때의 이동롤러(32)의 위치 및 톱테이프(4)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피드레버(29)의 왕회동시에는 슬릿(51)의 후퇴이동에 수반하여 이동롤러(22)는 도 5의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고정롤러(31)와 슬릿(51) 사이의 톱테이프(4)의 굴곡도를 높인다. 또 한편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는 슬릿(51)이 전진함에 따라서, 이동롤러(32)는 도 5의 윗쪽으로 회동하고, 상기 굴곡도를 낮춰서, 슬릿(51)이 원활한 전진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 실선, 파선으로 표시하는상태 및 그 중간의 상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같이, 슬릿(51)과 고정롤러(31) 사이의 톱테이프(4)의 길이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동롤러(32)가 이동하므로, 슬릿(51)의 전진시의 톱테이프(4)의 절단이 방지된다.
고정롤러(31)는 이동롤러(32)의 상기 작용을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릴(42)에 감겨진 톱테이프(4)의 감기지름(53)이 소의 경우를 도 6은 그 감기지름(58)이 대인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도 5, 도 6을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톱테이프(4)가 릴(42)에 감길 때의 감기지름(53,58)에 대한 접점(52,57)은 감기지름(53,58)의 대소에 의하여, 그 위치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롤러(31)를 설치하지 않고, 이동롤러(32)만을 설치하고, 슬릿(51)과 감기지름(53,58)에 대한 접점과의 사이의 톱테이프(4)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이동롤러(32)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이와 같은 감기지름(53,58)의 변화가 이동롤러(32)의 제어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롤러(31)를 설치한 것이고, 이에 따라서 피드레버(29)에 이동롤러(32)를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로 슬릿(51)즉 셔터(34)의 부드러운 전후이동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2, 도 8에 있어서, 61은 피드레버(29)의 과잉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표시한다. 이 스토퍼(61)는 피드레버(29)가 소정량 이상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 소정회동위치 e로 피드레버(29)에 회동저지저항을 부여하고, 피드레버(29)가 이 회동저지저항을 이겨내고 다시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후의 복회동 방향의 회동을 소정회동위치 f에서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 스토퍼(61)를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피드레버(29)가 필요이상 요동했을때, 스토퍼(61)가 상기 피드레버(29)를 정지시키는 두가지 경우를 (a),(b)에 표시한 것이다. 스토퍼(61)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선단부분에 판을 되접은 클릭부(61a)를 설치하고 있다.
(a)는,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손으로 부착하여 세트하는 경우, 피드레버(29)를 손으로 요동하여 전자부품(1)을 1개 송출하고자 한 경우이다.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손으로 부착하는 경우, 피드레버(29)를 손으로 e스트로크 요동시키면서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소정위치로 이동시킨다. 피드레버(29)는 f스트로크까지 요동가능하기 때문에, 피드레버(29)를 손으로 요동하고 전자부품(1)을 1개 송출하고자 했을때, 피드레버(29)는 제 1회동중심(41)을 축으로 하여 e스트로크 도 8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토퍼(61)에 맞닿은 후, 정지한다. 그리고 피드레버(29)가 도 8의 시계방향으로 복귀시프링(43)의 힘에 의하여 복귀할때,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가 소정거리만큼 이동하고 전자부품(1)이 1개만 송출된다.
(b)는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전자부품 실장기에 장치되어 있고, 전자부품 실장기의 프로그램의 설정의 잘못에 의하여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62)가 필요량 이상 요동한 경우이다.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전자부품 실장기에 장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부품 실장기의 프로그램 설정의 잘못에 의하여,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62)가 피드레버(29)에 맞닿음하여, 피드레버(29)를 제 1회동중심(41)을 축으로 하여 f스트로크, 도 8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시점에서 상기 구동레버(62)는 정지한다. 그 도중, 피드레버(29)가 e 스트로크 도 8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 스토퍼(61)의 클릭부(61a)에 맞닿았지만 상기 구동레버(62)가 피드레버(29)를 회동시키는 힘이 스토퍼(61)가 피드레버(29)를 정지시키는 힘보다 더 크기때문에, 피드레버(29)는 그 지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f스트로크 지점에서 정지한다.
그때, 스토퍼(61)의 클릭부(61a)가 피드레버(29)에 (b)에 표시한 바와같이 걸린다. 그리고, 상기 구동레버(62)가 도 8의 시계방향의 회동을 개시하면, 피드레버((29)는 복귀스프링(43)의 힘에 의하여 상기 구동레버(62)의 회동에 추종하려고 하지만, 피드레버(29)는 스토퍼(61)의 클릭부(61a)에 걸려서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위치에 되돌아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61)를 설치함에 따라서,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손으로 부착하여 세트하는 경우에, 확실하게 피드레버(29)를 소정의 스트로크 왕회동시켜서, 1개씩 정확하게 전자부품(1)을 이송시킬 수가 있고, 또 톱테이프(4)가 테이프가이드(35)와 공급장치본체(36) 사이에 파고 들어가는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소 스트로크 요동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전자부품 실장기에 장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전자부품 실장기의 프로그램 설정의 잘못에 의하여, 구동레버(62)가 대 스트로크 요동했을때, 피드레버(29)는 상기 소정회동위치 f에서 정지하므로, 상기 프로그램의 설정의 잘못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또 흡착노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61)를 설치한 구조는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0, 도 11에 표시하는 종래의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4에 표시하는 타이밍 챠트에 의거하여, 흡착노즐의 동작에 맞춘 본 실시의 형태의 각 부분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는 도 1의 좌측에 있고 도시하지 않는 릴 스탠드에서 화살방향으로 공급되고, 우측에 표시하는 셔터(34)에 설치한 슬릿(51)에서 톱테이프(4)가 박리되고, 전자부품(1)이 공급되고, 테이프가이드(35)에서 유지테이프(3)가 배출된다. 상기 슬릿(51)에 있어서 박리된 톱테이프(4)는 이동롤러(32)에 의하여, 고정롤러(31)와 상기 슬릿(51)간의 길이를 일정치로 유지되어, 상기 고정롤러(31)를 경유하여 릴(42)에 감긴다. 이 경우, 상기 고정롤러(31)와 상기 슬릿(51)간의 톱테이프(4)의 길이를 일정치로 유지하도록 상기 이동롤러(32)를 이동시킴으로써, 셔터(3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톱테이프(4)를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하면서, 톱테이프(4)를 릴(42)에 감을 수가 있다.
상기 흡착노즐의 동작에 맞춰서,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62)가 구동되어 피드레버(29)에 맞닿고, 피드레버(29)를 제 1회동중심(41)을 축으로 하여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강하(왕회동)시킨다.
피드레버(29)에는 링크(37)와 <자형레버(38)가 연결되어 있고, 피드레버(29)의 소정의 왕복요동운동의 <자형 레버(38)를 통한 힘과 복귀스프링(39)의 힘에 의하여 감기레버(40)가 제 1회동중심(41)을 회동중심으로하여 왕복요동 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먼저, 피드레버(29)가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왕회동)하면, 링크(37)도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자형 레버(38)는 제 2회동중심(38a)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제 1회동중심(41)에는 상기 피드레버(29)와 감기레버(40)와 릴(42)등이 회동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감기레버(40)는 복귀스프링(39)으로 링크(3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피드레버(29)가 도 1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상승(복회동)하면, <자형 레버(38)가 도 1에 있어서 제 3회동중심(38a)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제 1회동중심(41)에 장치된 감기레버(40)와 릴(42)은 제 1도에 있어서, 감기레버(40)가 시계방향(테이프감기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릴(42)은 정지하고, 감기레버(40)가 시계반대방향(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릴(42)은 감기레버(40)와 동일의 회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흡착노즐의 동작에 맞춰서 전자부품 실장기의 구동레버(62)가 피드레버(29)에 맞닿고, 피드레버(29)를 제 1회동중심(41)을 축으로 하여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강하시키면 <자형 레버(38)가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강하한다.
<자형 레버(38)와 감기레버(40)와의 접촉이 분리되지만, 복귀스프링(39)이 링크(37)와 감기레버(40)를 접속하고 있으므로, 복귀스프링(39)의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감기레버(40)는 충격이나 진동없이 도 1의 시계반대방향(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강하한다.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는 도 1의 좌측에서 화실표의 방향으로 공급되고 있으므로, 감기레버(40)가 도 1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강하하면, 상기와 같이 릴(42)이 시계반대방향(테이프 감는방향)으로 회전하고, 셔터(34)에 설치한 슬릿(51)에서 톱테이프(4)가 박리되고, 릴(42)은 박리된 톱테이프(4)를 감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일구동레버(46)에 설치되어 셔터(34)의 결합오목부(34a)에 끼워맞춤하고 있는 제 1핀(49)과, 테이프 가이드(35)에 설치된 제 2핀(44,44)와 셔터(34)에 설치되어 상기 제 2핀(44,44)을 가이드 하는 긴 구멍(45)등에 의하여, 셔터(34)는 테이프 가이드(35)내의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의 상면에서 소정의 왕복직선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있어서, 피드레버(29)가 강하(왕회동)하면, 셔터(34)가 도 3의 우방향으로 후퇴한다. 이때에는 슬릿(51)에 박리력이 활동하기 시작하므로, 셔터(34)가 후퇴한 만큼 톱테이프(4)가 박리되고, 박리된 톱테이프(4)는 이동롤러(32), 고정롤러(31)를 경유하여 릴(42)에 감겨진다.
상기에 의하여, 도 4에 있어서, 감기레버(40)의 테이프 감기방향의 회동에 수반하여, 릴(42)이 톱테이프(4)를 박리된 만큼 감도록 회전한다.
도 4에 있어서, 실장기 측의 구동레버(62)가 정지하면, 피드레버(29)가 정지하고, 동시에, 셔터(34), 링크(37), <자형 레버(38)가 정지한다. 이 경우, 감기레버(40) 및 릴(42)은 톱테이프(4)의 장력과 균형을 이룬 상태로, <자형 레버(38)의 정지전에 정지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셔터(34)는 도 3의 우방향으로 후퇴하고 제 3도에 있어서의 셔터(34)의 좌단에 있는 부품취출구(34a)가 흡착해야할 전자부품(1)이 격납되어 있는 격납오목부(2)의 위에 위치하고, 강하해온 흡착노즐이 이 부품 취출구(34a)의 중앙부에 있는 전자부품(1)을 흡착하고 상승을 시작한다.
흡착노즐의 상승에 맞춰서, 실장기 측의 구동레버(62)가 상승을 개시하고, 피드레버(29)는 복귀스프링(43)의 힘으로 구동레버의 상승에 추종하여 복회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링크(30)와 호일 구동레버(46)등이 상승하고, 셔터(34)가 도 2, 도 3에 있어서의 좌측방향으로 전진한다.
톱테이프(4)는 박리가 정지하고 셔터(34)가 전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롤러(32)의 움직임에 따라서 절단됨이 없이 추종된다.
호일구동레버(46)와 호일(47)은 제 2회동중심(48)을 축으로 하여 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동일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호일(47)은 피드레버(29)의 상승에 의하여 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둘레가장자리의 복수의 핀(47a)이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의 이송구멍(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도 2, 도 3의 좌측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자형 레버(38)의 선단이 도 1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상승하고, 정지하고 있던 감기레버(40)에 충돌하고, 다시 밀어 올려서 감기레버(4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호일(47)이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킨 시점에서, 전체가 정지하고, 1사이클의 동작을 종료한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안정된 자세로 확실하게 전자부품 실장기에 공급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박리된 톱테이프의 감기를 안정되게 행하고, 실장스피드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로서 유용한 것이다.

Claims (7)

  1.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의 유지테이프(3)를 한방향 간헐회전에 의하여 이송하고, 유지테이프(3)의 격납오목부(2)에 유지되는 전자부품(1)을 순차 부품 꺼내기 위치에 인도하는 호일(47)과,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의 톱테이프(4)를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하기 위해서 톱테이프(4)를 감는 릴(42)과,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받아들여서 가이드 하는 테이프 가이드(35)와, 상기 테이프가이드(35)에 안내지지되고, 톱테이프(4)가 박리된 유지테이프(3)의 격납오목부(2)에 유지되는 전자부품(1)의 상면을 덮도록 전후이동하고, 후퇴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부품 꺼내기 위치의 윗쪽을 개방하여 전자부품(1)의 꺼내기를 가능케하는 셔터(34)와, 셔터(34)에 일체로 설치되어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된 톱테이프(4)를 통과시켜서 상기 릴(42)측에 인도하는 슬릿(51)과, 릴(42)과 동일한 회동중심(41)을 가지고 왕회동, 정지, 복회동을 순차되풀이하는 간헐왕복회동을 전자부품 실장기에서의 구동력을 받아 행하는 피드레버(29)와, 피드레버(29)의 간헐왕복회동을 상기 호일(47)의 한방향 간헐회전으로 변환하고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만 호일(47)을 회전시켜서 유지테이프(3)를 전진시키는 전동수단(30, 46)과, 피드레버(29)의 간헐왕복회동을 상기 셔터(34)의 간헐 전후이동으로 변환하고 피드레버(29)의 왕회동시에 셔터(34)를 후퇴시켜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 셔터(34)를 전진시키는 전동수단(30, 46, 49)과, 릴(42)과 동일한 회동중심(41)을 가지고 왕복회동하는 감기레버(40)와, 감기레버(40)를 테이프 감기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가압하는 스프링(39)과, 피드레버(29)에 구동되어 감기레버(40)에 대하여 이접가능하게 왕복회동하고, 피드레버(29)의 왕회동시에 감기레버(40)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39)으로 가압되는 감기레버(40)의 테이프감기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피드레버(29)의 복회동시에 감기레버(40)에 접근한 후 맞닿고 이어서 감기레버(40)를 테이프감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감기레버 구동부재(38)와, 감기레버(40)의 테이프감기방향의 회동을 릴(42)에 전달하여 릴(42)을 테이프감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한편, 감기레버(40)의 테이프감기 반대방향의 회동을 릴(42)에 전달하지 않고 감기레버(40)를 프리 회동시키는 한방향 회동전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된 톱테이프(4)를 상기 릴(42)에 가이드하는 고정롤러(31)와, 상기 슬릿(51)과 상기 고정롤러(31)와의 중간에 위치하고, 슬릿(51)과 고정롤러(31)와의 사이의 톱테이프(4)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동롤러(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롤러(32)는 피드레버(29)에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가이드(35)는 누름부재(33)를 통하여 공급장치 본체(36)에 탄성적으로 눌러붙인 상태로 장치되어, 테이프가이드(35)와 누름부재(33)는 롤러(50)를 통하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드레버(29)가 소정량 이상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 소정회동 위치에서 피드레버(29)에 회동저지저항을 부여하고, 피드레버(29)가 이 회동저지 저항을 이겨내고 다시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후의 복회동 방향의 회동을 소정회동 위치에서 저지하는 스토퍼(6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6.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의 유지테이프(3)를 한방향 간헐회전에 의하여 이송하고, 유지테이프(3)의 격납오목부(2)에 유지되는 전자부품(1)을 순차 부품 꺼내기 위치에 인도하는 호일(21,47)과,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의 톱테이프(4)를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하기 위하여 톱테이프(4)를 감는 릴(8,42)과, 전자부품 집합테이프(A)를 받아들여서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12,35)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12,35)에 안내지지되어 전후이동하고, 후퇴위치에 있을때만 상기 부품 꺼내기 위치의 윗쪽을 개방하여 전자부품(2)의 꺼내기를 가능케하는 셔터(24,34)와, 상기 부품꺼내기 위치의 후방위치에 설치되어, 유지테이프(3)에서 박리된 톱테이프(4)를 통과시켜서 상기 릴(8,42)측에 인도하는 슬릿(13,51)과, 릴(8,42)과 동일의 회동중심(6,41)을 가지고 왕회동, 정지, 복회동을 순차되풀이하는 간헐왕복회동을 전자부품 실장기에서의 구동력을 받아 행하는 피드레버(6,29)와, 피드레버(6,29)의 간헐왕복회동을 상기 호일(21,47)의 한방향 간헐회전으로 변환하는 전동수단(7,18,30,46)과, 피드레버(6,29)의 간헐왕복회동을 상기 셔터(24,34)의 간헐전후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수단(7,18,20,30,46,49)과, 피드레버(6,29)의 간헐왕복회동을 상기 릴(8.42)의 테이프 감기동작으로 변환하는 전동수단(10,11,37,38,39)과, 피드레버(6,29)가 소정량 이상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 소정회동위치에서 피드레버(6,29)에 회동저지저항을 부여하고, 피드레버(6,29)가 이 회동저지 저항을 이겨내고 더욱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후의 복회동 방향의 회동을 소정회동 위치에서 저지하는 스토퍼(6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피드레버(29)가 소정량 이상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 소정회동 위치에서 피드레버(29)에 회동저지저항을 부여하고, 피드레버(29)가 이 회동저지 저항을 이겨내고 다시 왕회동 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그후의 복회동 방향의 회동을 소정회동 위치에서 저지하는 스토퍼(6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KR1019970710001A 1996-05-13 1997-05-13 전자부품의공급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84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68096 1996-05-13
JP96-117680 1996-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678A KR19990028678A (ko) 1999-04-15
KR100484028B1 true KR100484028B1 (ko) 2005-06-16

Family

ID=1471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100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4028B1 (ko) 1996-05-13 1997-05-13 전자부품의공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26885A (ko)
EP (1) EP0838991B1 (ko)
KR (1) KR100484028B1 (ko)
DE (1) DE69737545T2 (ko)
WO (1) WO1997043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2316A1 (fr) * 1997-01-20 1998-07-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et appareil d'alimentation en composants
JPH1168383A (ja) * 1997-08-11 1999-03-09 Fuji Mach Mfg Co Ltd テープ巻取体およびカバーテープ巻取装置
US6332387B1 (en) * 1997-10-29 2001-12-25 Fuji Machine Manufacturing Co., Ltd. Cover-tap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ic-component supplying unit
JP4117859B2 (ja) * 1998-06-24 2008-07-1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部品供給ユニット
JP4242479B2 (ja) * 1998-06-24 2009-03-2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トップカバーテープ送り装置
US6321817B1 (en) * 1998-12-25 2001-11-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US6368045B1 (en) * 2000-04-05 2002-04-09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Multiple index tape feeder and method
DE60131175T2 (de) * 2000-06-30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Teilezuführungseinrichtung
US6631868B2 (en) * 2000-12-14 2003-10-1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Tape feeder with splicing capabilities
CN2770290Y (zh) * 2004-12-24 2006-04-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封皮导出装置
MY190124A (en) * 2013-12-11 2022-03-29 Semiconductor Tech & Instruments Pte Ltd Tape reel turret apparatus for a tape and reel machine
JP6836661B2 (ja) * 2017-10-31 2021-03-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5299A (ja) * 1983-11-14 1985-06-10 ソニー株式会社 チツプテ−プのトツプテ−プ剥離装置
GB8513296D0 (en) * 1985-05-28 1985-07-03 Dynapert Precima Ltd Machines for handling electrical components
GB8513297D0 (en) * 1985-05-28 1985-07-03 Dynapert Precima Ltd Machines for handling electrical components
JP2740348B2 (ja) * 1989-10-17 1998-04-15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ープ送出装置のカバーテープ剥離装置
JPH04120799A (ja) * 1990-09-11 1992-04-21 Hitachi Ltd チップ電子部品供給装置
JPH077292A (ja) * 1993-06-18 1995-01-10 Toshiba Corp 部品供給装置
JP3301846B2 (ja) * 1994-01-24 2002-07-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3404431B2 (ja) * 1994-07-04 2003-05-0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部品供給取出装置
JP3397900B2 (ja) * 1994-08-12 2003-04-2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JP3459499B2 (ja) * 1995-06-22 2003-10-2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テープ送出装置
JPH09186487A (ja) * 1995-12-28 1997-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装置
US5725140A (en) * 1996-09-09 1998-03-10 Amistar Corporation Tape feeder for a surface mount plac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7545D1 (de) 2007-05-16
WO1997043890A1 (fr) 1997-11-20
EP0838991A4 (en) 1999-08-04
KR19990028678A (ko) 1999-04-15
EP0838991A1 (en) 1998-04-29
DE69737545T2 (de) 2007-12-13
EP0838991B1 (en) 2007-04-04
US6026885A (en) 200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028B1 (ko) 전자부품의공급장치
US5725140A (en) Tape feeder for a surface mount placement system
US5310301A (en) Chip feeder for chip mounter
US4437232A (en)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JPH0157519B2 (ko)
JP3602545B2 (ja) 部品供給方法及び装置
US4294000A (en) Machine for inserting electronic components
JP3566831B2 (ja) 電子部品の供給装置
EP0751702B1 (en) Tape feeder
JP5966479B2 (ja) ロータリーカッタ装置
US5492593A (en) Parts feeder
CN114449778B (zh) 一种印制电路板撕胶带装置
CA1036334A (en) Machines for reforming and repackaging components
JP3872832B2 (ja) 部品供給装置
JPH0590784A (ja) チツプ電子部品供給装置
JP3860821B2 (ja) 部品供給装置
JPH0662248B2 (ja) 電子部品キヤリアテ−プ送出装置
JPH1041687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2841844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7507362B1 (ja) 部品供給装置
JPS5813423A (ja) プレス加工機におけるワ−ク排出装置
US4350556A (en) Component retaping machine with tooth engaging means
JPH11340687A (ja) 部品供給装置
JPS63178593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851294A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