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8455B1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455B1
KR100478455B1 KR10-2002-0049034A KR20020049034A KR100478455B1 KR 100478455 B1 KR100478455 B1 KR 100478455B1 KR 20020049034 A KR20020049034 A KR 20020049034A KR 100478455 B1 KR100478455 B1 KR 100478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upport member
cooking chamber
support
he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744A (ko
Inventor
황윤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455B1/ko
Priority to US10/279,889 priority patent/US6713740B2/en
Priority to CNB021498563A priority patent/CN1277071C/zh
Priority to EP02257911A priority patent/EP1392082B1/en
Priority to DE60228831T priority patent/DE60228831D1/de
Publication of KR2004001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4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복수의 조리물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전자렌지가 개시된다. 조리실의 상부에는 상부 히터가 설치되고, 상부 히터와 턴테이블 사이에는 복수의 중간 히터가 설치되며, 상부 히터와 중간 히터 사이에는 상부 지지대가 마련되고, 중간 히터와 턴테이블 사이에는 하부 지지대가 마련되어서, 복수의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리실의 일측벽에는 상부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된 걸림돌기가 설치되어서 조리물 받침부재의 전면이 하향으로 기울어져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조리실의 일측벽의 전방에는 상부 및 하부 지지대 사이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돌출턱이 마련되어서,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부 및 하부 지지대 사이로 진입하여 중간 히터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리물 받침부재의 양측단에는 비전도성 및 내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튜브가 끼워져 있어서, 조리물 받침부재와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리실의 상부와 중간부분에 각각 상부히터와 복수의 중간히터를 설치하고, 상부히터와 중간히터 사이와, 중간히터와 조리실의 바닥 사이에 각각 조리물 받침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물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전장품실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실에 놓여진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데우는 기구로서, 고주파를 조리실의 내부로 주사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고주파만을 이용하여 조리를 할 경우에는 조리물의 수분함량이나 분포, 그리고 조리물의 크기에 따라 고주파가 음식물의 전 부분에 균일하게 조사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리물이 만족스럽게 조리되지 않게 되며, 또한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조리실의 상부에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음식물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조리함과 동시에, 히터의 열을 음식물에 전달하여 조리물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익히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히터의 고온의 열에 의해 조리물의 표면을 갈변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가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상부에 히터가 설치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렌지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렌지는 조리물이 조리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조리실(1)과,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3) 등과 같은 전기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전장실(2)을 구비한다.
조리실(1)의 상부에는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히터(4)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리실의 하부에는 조리물이 올려지는 턴테이블(5)과, 이 턴테이블(5)을 회전시키는 모터(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3)과 모터(6)를 작동시키면 조리물이 적재된 턴테이블(5)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조리물에 고주파가 주사되어 턴테이블(5) 위에 올려진 조리물이 조리되게 된다. 또한, 조리실(1)의 상부에 설치된 히터(4)를 작동시키게 되면 히터(4)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조리물이 조리되게 되는데, 이 히터(4)의 작동과 함께 마그네트론(3)을 동시에 작동하게 되면 히터열과 고주파에 의해 조리물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다.
그러나 히터를 조리실의 상부에 하나만 설치한 종래의 전자렌지는 크기가 작은 조리물의 경우에는 조리물이 히터로부터 상당히 떨어지게 되어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조리물의 하부에는 히터의 열이 충분하게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조리물의 하부를 익히거나 갈변시키기 위해서는 조리 중에 음식물을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자렌지는 조리실 전체가 하나의 조리공간을 형성하여 턴테이블에 올려진 조리물을 조리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한 번에 복수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없게 되어 조리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물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리 중에 조리물을 뒤집을 필요가 없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실에 복수의 조리물 받침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벽과 양측벽, 그리고 상부벽과 바닥면에 의해 한정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에 설치된 턴테이블을 구비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벽에 인접하여 상부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히터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는 상기 후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중간 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히터와 상기 중간 히터 사이에는 상기 양측벽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한 상부 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중간 히터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는 상기 양측벽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한 하부 지지대가 마련되어서, 복수의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실의 일측벽에는 상기 상부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향해 일정길이 돌출한 걸림돌기가 설치되어서 상기 조리물 받침부재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조리물 받침부재의 전면이 하향으로 기울어져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조리실의 양측벽 중의 어느 하나의 전방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대 사이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돌출턱이 마련되어서, 상기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중간 히터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복수의 조리물 받침부재는 와이어 래크로 이루어진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와, 트레이로 이루어진 제 2 조리물 받침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의 양측단에는 비전도성 및 내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튜브가 끼워져 있어서,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조리실에 장착될 때 상기 튜브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에는 그 선단 및 후단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조리실의 후벽으로부터 일정길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조리물 받침부재의 테두리에는 하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에 얹혀져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부의 하단에는 비전도성 및 내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브가 끼워져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조리실에 장착될 때 상기 튜브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조리물 받침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조리실의 상부와 중간부분에 각각 상부 히터와 복수의 중간 히터가 설치되고, 상부 히터와 중간 히터 사이와 중간 히터와 조리실의 바닥 사이에 각각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지지대가 마련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11)과 같은 전기부품들이 설치되어 고주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전장품실(10)과, 상기 전장품실(10)과 구획되며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20)을 구비하여서, 마그네트론(11)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가 조리실(20)로 주사되어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한다.
조리실(20)은 후벽(21)과 좌우측벽(22)(23), 그리고 상부벽(24)과 바닥면(25)에 의해 형성되어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조리실(20)을 개폐하게 된다. 조리실(20)의 바닥면(25)에는 음식물이 올려져서 조리되도록 하는 턴테이블(26)과 모터(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리실(20)의 상부벽(24)에 인접한 위치에는 조리실(20)의 하부를 향해 고온의 열을 방출하는 상부 히터(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히터(31)와 턴테이블(26) 사이에는 조리실(20)의 상부와 하부를 향해 고온의 열을 방출하는 복수의 중간 히터(3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부 히터(31)는 조리실(20)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중간 히터(32)는 상부 히터(31)와 턴테이블(26)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히터(31)와 중간 히터(32) 사이에 놓여진 조리물은 그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히터열을 전달받게 되며, 중간 히터(32)와 턴테이블(26) 사이에 놓여진 조리물은 그 상면으로부터 히터열을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복수의 중간 히터(32)는 조리실(20)의 후벽(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회동부재(33)에 고정되어서, 상기 회동부재(33)가 조리실(20)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조리실(20)의 각 측벽(22)(23)에 인접하여 접혀진 위치와, 조리실(20)의 중심을 향해 수평으로 펼쳐진 위치(도 5 참조)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부 히터(31)와 중간 히터(32) 사이에는 조리실(20)의 좌우측벽(22)(23)으로부터 수평을 이루어 연장한 한 쌍의 상부 지지대(34)가 마련되어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50)(60)(도 3 및 도 4 참조) 중의 어느 하나를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대(34)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중간 히터(32)와 턴테이블(26) 사이에는 조리실(20)의 좌우측벽(22)(23)으로부터 수평을 이루어 연장한 한 쌍의 하부 지지대(35)가 마련되어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50)(60) 중의 어느 하나를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 지지대(34)와 하부 지지대(35)에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50)(6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조리실(20)에서 복수의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조리실(20)의 좌측벽(22)의 전방에는 상부 지지대(34)의 상부에서 상부 지지대(34)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조리실(20)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일정길이로 돌출한 걸림돌기(3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36)에 의해 상부 지지대(34)에 장착된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 또는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가 전방으로 미끄럼이동할 때 그 위에 얹혀진 조리물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져서 조리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도 6 참조). 상기 걸림돌기(36)는 동일한 높이에서 우측벽(23)에 설치되거나, 또는 좌우측벽(22)(23) 모두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 또는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가 상부 지지대(34)와 하부 지지대(35) 사이에 위치한 한 쌍의 중간 히터(32)를 향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측벽(22)의 전방에는 상부 지지대(34)와 하부 지지대(35)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턱(37)이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턱(37)은 도 2에서와 같이, 각 중간 히터(32)가 좌우측벽(22)(23)에 인접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그 수직길이보다 약간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하여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 또는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가 중간 히터(32)들과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돌출턱(37)은 동일한 형상으로 우측벽(23)에 설치되거나, 또는 좌우측벽(22)(23) 모두에 설치되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는 대략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전후단 바아(51)와 한 쌍의 양측단 바아(52)와,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이루는 전후단 바아(51)와 양측단 바아(52)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지지 바아(53)를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와이어 래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는 생선이나 고기류와 같은 조리물을 다수의 지지 바아(53) 위에 올려 놓고 고주파 또는 히터열에 의해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전후단 바아(51)의 대략 중앙에는 각각 전후단 바아(51)들로부터 수평하게 일정길이로 연장한 대략 반원형상의 스토퍼(5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토퍼(54)는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가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에 놓여진 상태에서 전후단 바아(51)가 조리실(20)의 후벽(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후단 바아(51)가 후벽(21)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스파크를 방지하게 됨과 동시에,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 위에 올려진 조리물이 히터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의 양측단 바아(52)에는 각각 비전도성과 내열성을 가진 튜브(55)가 끼워져 있다. 이 튜브(55)들은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가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에 안치될 때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와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가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 위에서 마모가 발생됨이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튜브(55)들은 비전도성과 내열성을 가진 재질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테프론(Teflon)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후단 바아(51)들은 각 스토퍼(54)가 후벽(21)에 점접촉하기 때문에, 조리실(20)의 후벽(21)과의 사이에서 스파크나 마모의 문제가 거의 없지만, 이 스토퍼(54)에도 상기와 같은 튜브(55)를 끼우게 되면 스파크와 마모가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는 상하로 개방되어 있어서 조리물의 상하면을 골고루 갈변시키면서 익힐 수 있게 되며, 또한 고기류의 조리시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의 하면 구조를 보이기 위해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를 뒤집어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그 테두리로부터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조리물 수용부(61)가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트레이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는 그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전후면 플랜지부(62)와 한 쌍의 양측면 플랜지부(63)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는 양측면 플랜지부(63)들이 조리실(20)에 마련된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에 올려져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조리실(20)에 장착되거나 조리실(2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와 마찬가지로,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가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에 올려져서 조리될 때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양측면 플랜지부(63)의 전방과 후방에는 비전도성과 내열성을 가진 튜브(66)들이 삽입된다. 각 튜브(66)는 양측면 플랜지부(63)의 전방과 후방에 마련된 장방형의 삽입홀(64)에 끼워져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삽입홀(64)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돌출한 돌기(65)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 튜브(66)가 삽입홀(64)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내측면이 상기 돌기(65)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튜브(66)들은 각 삽입홀(64)들에 유동됨이 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튜브(66)들도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에 설치된 튜브(55)와 마찬가지로 내열성과 비전도성을 가진 테프론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튜브(66)들이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의 양측면 플랜지부(63)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튜브(66)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전후면 플랜지부(62)에도 부착하게 되면 조리실(20)의 후벽(21)과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스파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가볍고 열전도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50)(60)가 각각 상부 지지대(34)와 하부 지지대(35)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50)(60)는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 위에서 각 튜브(55)(66)가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와 직접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조리실(20)에 장착 또는 분리되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가 상부 지지대(34)에 장착되고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가 하부 지지대(35)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부 히터(31)와 한 쌍의 하부 히터(32)가 작동되어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 위에 고기류와 같이 기름기가 있는 조리물의 상하부를 골고루 익힘과 동시에, 그 표면이 갈변되도록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에 올려진 고기류의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은 트레이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로 떨어져서 수용되게 된다.
또한,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진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는 상하부 히터(31)(32)들로부터 전달되는 복사열을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로 반사시켜서 히터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50)(60)가 조리실(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식빵을 올려 놓고 조리하게 되면 한 번에 많은 조각의 식빵을 구울 수 있어서 토스트를 신속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레이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조리물 받침부재(60)를 상부 지지대(34) 또는 하부 지지대(35) 중의 어느 하나에 올려놓고 상부 히터(31)와 중간 히터(32)를 작동시키게 되면, 쿠키나 피자, 또는 케익 등과 같은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31)(32)들의 작동과 함께 마그네트론(11)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를 조리실(20)로 주사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50)(60)에 올려진 조리물을 더욱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제 1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부 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된 걸림돌기에 의해 걸려진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6)는 조리실(20)의 좌측벽(22)의 전방에서 우측벽(23)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하여 상부 지지대(34)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리실(20)로부터 분리될 때 조리물의 무게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전면이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그 일측단 바아(52)가 상기 걸림돌기(36)에 걸려져서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가 엎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조리물 받침부재(50) 위에 올려진 조리물이 쏟아지게 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상부 히터가 조리실의 상부벽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중간 히터가 턴테이블과 상부 히터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져서, 조리물 받침부재에 올려진 조리물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부 히터와 중간 히터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히터들의 열이 음식물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음식물을 신속하게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조리실의 양측벽에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가 마련되어 복수의 조리물 받침부재가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양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조리물 받침부재가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조리실의 양측벽을 마모시키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조리실의 일측벽에 조리물 받침부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조리물을 안정적으로 출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조리실의 상부에 히터가 설치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렌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조리실의 상부와 중간부분에 각각 상부 히터와 복수의 중간 히터가 설치되고, 상부 히터와 중간 히터 사이와 중간 히터와 조리실의 바닥 사이에 각각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지지대가 마련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와이어 래크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트레이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 2 조리물 받침부재의 하면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제 1 및 제 2 조리물 받침부재가 각각 상부 및 하부 지지대에 올려져서 지지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대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부 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된 걸림돌기에 의해 걸려진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조리실 26: 턴테이블
31: 상부 히터 32: 중간 히터
34: 상부 지지대 35: 하부 지지대
36: 걸림돌기 37: 돌출턱
50: 제 1 조리물 받침부재 60: 제 2 조리물 받침부재

Claims (12)

  1. 후벽과 양측벽, 그리고 상부벽과 바닥면에 의해 한정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에 설치된 턴테이블을 구비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벽에 인접하여 상부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히터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는 상기 후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중간 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히터와 상기 중간 히터 사이에는 상기 양측벽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한 상부 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중간 히터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는 상기 양측벽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한 하부 지지대가 마련되어 복수의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리실의 일측벽에는 상기 상부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향해 일정길이 돌출한 걸림돌기가 설치되어 상기 조리물 받침부재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조리물 받침부재의 전면이 하향으로 기울어져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양측벽 중의 어느 하나의 전방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대 사이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돌출턱이 마련되어서, 상기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중간 히터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리물 받침부재는 와이어 래크로 이루어진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와, 트레이로 이루어진 제 2 조리물 받침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의 양측단에는 비전도성 및 내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튜브가 끼워져 있어서,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조리실에 장착될 때 상기 튜브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테프론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에는 그 선단 및 후단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조리실의 후벽으로부터 일정길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물 받침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상부 히터와 중간 히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조리물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물 받침부재의 테두리에는 하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에 얹혀져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하단에는 비전도성 및 내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브가 끼워져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물 받침부재가 상기 조리실에 장착될 때 상기 튜브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조리물 받침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지지대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테두리로부터 수평하게 돌출한 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삽입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내측면이 상기 돌기에 걸려지게 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테프론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2-0049034A 2002-08-19 2002-08-19 전자렌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47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034A KR100478455B1 (ko) 2002-08-19 2002-08-19 전자렌지
US10/279,889 US6713740B2 (en) 2002-08-19 2002-10-25 Microwave oven having heaters for cooking food
CNB021498563A CN1277071C (zh) 2002-08-19 2002-11-07 微波炉
EP02257911A EP1392082B1 (en) 2002-08-19 2002-11-15 Heaters in a microwave oven
DE60228831T DE60228831D1 (de) 2002-08-19 2002-11-15 Heizelemente bei einem Mikrowellenof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034A KR100478455B1 (ko) 2002-08-19 2002-08-19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744A KR20040016744A (ko) 2004-02-25
KR100478455B1 true KR100478455B1 (ko) 2005-03-22

Family

ID=3118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0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8455B1 (ko) 2002-08-19 2002-08-19 전자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13740B2 (ko)
EP (1) EP1392082B1 (ko)
KR (1) KR100478455B1 (ko)
CN (1) CN1277071C (ko)
DE (1) DE6022883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483A (ko) * 2002-12-06 200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0582081B1 (ko) * 2004-05-31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US6965095B1 (en) * 2004-09-20 2005-11-15 Ronco Inventions, Llc Rotisserie oven hav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riented cooking elements
CA2807931C (en) * 2004-12-14 2017-07-25 Enodis Corporation Impingement/convection/microwave oven and method
MX364100B (es) 2005-08-05 2019-04-12 Araim Pharmaceuticals Inc Péptidos protectores de tejido y sus usos.
ITBO20080559A1 (it) * 2008-09-12 2010-03-13 Premark Feg Llc Forno combinato a vapore, a conduzione ed a micro-onde
US20130008895A1 (en) * 2011-07-06 2013-01-10 General Electric Company Double line break
CN104797885B (zh) * 2013-10-24 2017-06-0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加热烹调器、烹调系统、运算装置及烹调支援方法
AU2015206075B2 (en) * 2014-01-14 2019-01-1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wire tray for a microwave oven or a cooking appliance with microwave heating function
US20150359046A1 (en) * 2014-06-05 2015-12-10 Younes Mohseni "2-IN-1 Toaster Oven" / "2-IN-1 Microwave Oven"
KR101729401B1 (ko) 2015-06-18 2017-04-21 (주)펠리테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세라믹 발열렌지
ES2672149B1 (es) * 2016-12-09 2019-03-20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Aparato doméstico con un generador de microondas
CN106678905B (zh) * 2016-12-20 2019-07-2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加热电器
DE102017101166A1 (de) 2017-01-23 2018-07-26 Miele & Cie. Kg Garsystem mit Gargerät
CN108954415B (zh) * 2018-07-25 2019-10-25 泉州市在亨工业科技有限公司 微波炉的防位移结构
CN115166019B (zh) * 2022-07-06 2023-11-24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测定小麦对土壤镉富集效应的分析方法及其实验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4519A (ja) * 1991-01-30 1992-09-01 Toshiba Corp 加熱調理装置
KR950006884U (ko) * 1993-08-28 1995-03-21 전자레인지의 양면구이 장치
JPH102563A (ja) * 1996-06-13 1998-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加熱調理器に使用する焼き網及びその高周波加熱調理器
JPH10300101A (ja) * 1997-04-21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H116624A (ja) * 1997-06-17 1999-01-12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KR20000001736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전자렌지용 석쇠의 스파크 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8592A (en) * 1955-12-29 1958-08-19 Gen Electric Adjustable heating units for electric range ovens
ES8402065A1 (es) * 1983-01-26 1984-01-16 Ulgor S Coop Perfeccionamientos en hornos microondas.
JPH0338569Y2 (ko) * 1985-02-14 1991-08-14
DE3686735T2 (de) * 1985-04-15 1993-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ochfrequenzheizapparat mit elektrischem heizgeraet.
JPH05256458A (ja) * 1992-03-13 1993-10-05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KR100212857B1 (ko) 1996-01-24 1999-08-02 윤종용 고주파가열장치
KR19980065545A (ko) 1997-01-11 1998-10-15 김광호 히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안전장치
US6381518B1 (en) 1998-08-19 2002-04-30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Electronic oven temperature controller having adaptable temperature regulation limits
US6232584B1 (en) 1999-12-15 2001-05-1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self cleaning oven having catalyst temperature control
DE10044854C2 (de) * 2000-09-11 2003-06-18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behandlungsgerä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4519A (ja) * 1991-01-30 1992-09-01 Toshiba Corp 加熱調理装置
KR950006884U (ko) * 1993-08-28 1995-03-21 전자레인지의 양면구이 장치
JPH102563A (ja) * 1996-06-13 1998-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加熱調理器に使用する焼き網及びその高周波加熱調理器
JPH10300101A (ja) * 1997-04-21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H116624A (ja) * 1997-06-17 1999-01-12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KR20000001736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전자렌지용 석쇠의 스파크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2082A2 (en) 2004-02-25
KR20040016744A (ko) 2004-02-25
US6713740B2 (en) 2004-03-30
CN1277071C (zh) 2006-09-27
CN1477336A (zh) 2004-02-25
EP1392082B1 (en) 2008-09-10
US20040031789A1 (en) 2004-02-19
EP1392082A3 (en) 2006-05-10
DE60228831D1 (de)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455B1 (ko) 전자렌지
US7472644B2 (en) High speed baking in novel toasting apparatus
US9924830B1 (en)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A2759917C (e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rack system
CN113227659B (zh) 烤箱
CA2338129A1 (en) Apparatus for cooking dishes by heating
JP6173526B2 (ja) 加熱調理器
CN107920686A (zh) 与烹饪炉箅直接接触的烹饪器具
JP6021849B2 (ja) 加熱調理器
JP5896979B2 (ja) グリル皿及び加熱調理器
US5126534A (en) Toaster with cool exterior
US6104005A (en) Electric heating element for cooking oven
CN100435600C (zh) 用于带有烤箱的微波炉的托盘组件
GB2561276A (en) Oven
JP3881777B2 (ja) ガスグリル
KR200279960Y1 (ko) 테이블용 원적외선 구이 장치
JP3240691U (ja) ベーキングオーブン内の熱分布を均一化するための装置
JPS6017601Y2 (ja) 電熱調理器
JPH11235280A (ja) 加熱調理器
JP6832144B2 (ja) グリル
KR20080003711U (ko) 가스레인지의 그릴 구조
KR100808864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208330B1 (ko) 그릴조리부를 갖는 가스렌지
KR100722022B1 (ko) 전기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