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2081B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081B1
KR100582081B1 KR1020040039386A KR20040039386A KR100582081B1 KR 100582081 B1 KR100582081 B1 KR 100582081B1 KR 1020040039386 A KR1020040039386 A KR 1020040039386A KR 20040039386 A KR20040039386 A KR 20040039386A KR 100582081 B1 KR100582081 B1 KR 10058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oking chamber
insertion guide
heate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161A (ko
Inventor
여태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08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레인지의 조리실(31) 일측면에 형성되는 회동공(31c)을 관통하여 삽입안내부(101)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안내부(101)는 구동모터(105)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조리실(31)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05)는 상기 조리실(31)에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41)에 의하여 동작되는 센싱스위치(90)에 의하여 정방향구동 또는 역방향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안내부(101)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회전구동부(103)에 의하여 정방향구동 또는 역방향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105)를 정지시키는 제1정지스위치(108)와 제2정지스위치(109)가 교호되게 동작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의 상면과 저면을 히터에 의하여 동시에 조리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히터의 회동이 트레이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게 된다.
전자레인지, 회동히터, 트레이, 속도조절수단

Description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내측면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외측면을 보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트레이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캐비티어셈블리 31: 조리실
32a: 체결공 32b: 관통공
32c: 회동공 33: 도어
35: 컨트롤부 37: 고정히터
39: 회동히터 41: 트레이
43: 가이드 44: 가이드홈
50: 브라켓 51: 브라켓본체
52: 관통부 53,54: 체결공
55: 설치플랜지 57: 체결플랜지
58: 체결공 60: 베이스
61: 걸림후크 62: 체결공
63: 가이드슬롯 65: 연동슬롯
67: 힌지축 70: 노브
71: 노브몸체 73: 누름돌기
75: 가이드후크 76: 연동바아
77: 가이드돌기 79: 코일스프링
80: 레버 81: 회동부
82: 힌지홀 83: 연동부
85: 동작부 90: 센싱스위치
91: 이동단자 101: 삽입안내부
101a: 접촉면 101b: 비접촉면
103: 회전구동부 105: 구동모터
106: 고정플랜지 107: 체결공
108: 제1정지스위치 109: 제2정지스위치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의 후단에 히터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10) 내부에는 음식물이 안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11)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11)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에 전자레인지의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일측에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와 같은 각종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전면 일측에는,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의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컨트롤부(1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1)에는, 상기 조리실(11)에 안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개의 히터(17)(19)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17)(19)는, 음식물의 표면을 가열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방식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히터(17)와 회동히터(19)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히터(17)는 상기 조리실(11)의 천장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히터(19)는 상기 조리실(11)의 후단에 그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히터(19)는, 그 배면이 상기 조리실(11)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연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1)에 안착되는 음식물에 따라서 그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1)에는 트레이(21)가 전후방으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21)는, 상기 고정히터(17)와 회동히터(19)를 이용하여 조리할 때 조리되는 음식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1)는 상기 회동히터(19)가 그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히터(17)와 회동히터(19) 사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11)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23)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23)는, 상기 조리실(11)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각각 한쌍이 동일한 높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트레이(21)의 입출을 안내하거나 상기 조리실(11)에 설치된 트레이(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 히터에 의한 조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트롤부(15)를 통하여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동히터(19)의 상단이 그 하단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대략 상기 조리실(11)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1)에 상기 트레이(21)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트레이(21)는 그 상면에 음식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23)를 따라서 상기 조리실(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3)를 회동시켜서 상기 조리실(11)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17)(19)가 입력된 조작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면, 상기 트레이(21)에 안착된 음식물의 상면은 상기 고정히터(17)의 히터열이 직접 복사되어 조 리되고, 음식물의 저면은 상기 트레이(21)를 통하여 전도되는 상기 회동히터(19)의 히터열에 의하여 조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히터(19)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21)에 안착된 음식물의 저면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동히터(19)를 회동시킨 다음에 상기 트레이(21)를 상기 조리실(11)에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히터(19)를 회동시키는 작업과 상기 트레이(21)를 설치하는 작업, 모두 두번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상기 회동히터(19)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가 번거로워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11)에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21)가 이동하는 속도가 상기 회동히터(19)가 회동하는 속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경우에는 양자가 서로 부딪힐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트레이(21)에 의하여 상기 회동히터(19)의 회동이 간섭받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상면과 저면을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트레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가 히터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트레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실의 일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조리실에 전후방으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와 회동과 트레이의 이동이 간섭됨을 방지하는 트레이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안내수단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에 입출되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삽입안내부와;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안내부를 소정의 속도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와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에 설치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삽입안내부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에서 분리된 후에는 상기 삽입안내부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타방향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인가수단은, 상기 조리실에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동작되고, 상기 구동모터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센싱스위치와; 상기 삽입안내부의 회동에 연동하는 회전구동부에 의하여 교호되게 동작되고,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정지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지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일방향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정지스위치와, 상기 구동모터의 타방향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2정지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안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방향회전 또는 타방향회전되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안내부에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삽입안내부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에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서 상기 삽입안내부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에 설치된 트레이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비접촉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안내부와 상기 회전구동부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해당하는 상기 조리실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브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해당하는 상기 조리실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브와, 상기 조리실의 외측면에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센싱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스위치는 상기 노브의 이동에 의하여 동작하여 상기 히터의 회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노브가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눌려지면 상기 센싱스위치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히터가 회동하여 상기 트레이의 하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노브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조리실의 양측면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에 의하여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는 상기 조리실의 선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안내부는 상기 조리실의 후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와 탄성부재, 레버, 센싱스위치, 삽입안내부, 회전구동부, 구동모터, 제1 및 제2정지스위치는 브라켓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의 외측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실의 천장 일측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상면과 저면을 동시에 조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조리실의 내부에서 본 측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A-A'선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30)에는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30)의 일측에 도어(3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리실(31)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30)의 전면에는 컨트롤부(3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31)의 내부에는 한쌍의 히터(37)(39)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37)(39)는, 히터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리실(31)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히터(37)와, 상기 조리실(31)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히터(39)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히터(37)는 아래에서 설명할 트레이(41)에 안착되는 음식물의 상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히터(39)는 상기 조리실(31)의 후면에 평행한 상태에서,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음식물의 저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31)의 내부에는 상면에 음식물이 안착되는 트레이(41)가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41)는 상기 히터(37)(39)를 이용한 조리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조리실(31)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41)는 상기 회동히터(39)가 그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히터(37)와 회동히터(39)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트레이(41)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31)의 양측면의 서로 대응 하는 위치에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43)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43)는 상기 조리실(31)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상기 트레이(41)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조리실(3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트레이(41)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43)에는 상기 트레이(41)의 양측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4)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에는 브라켓(50)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50)은 상기 트레이(41)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 및 트레이(41)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50)의 브라켓본체(51)는 대략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본체(51)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60)의 설치를 위한 관통부(5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본체(51)에는 다수개의 체결공(53)(5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3)(54)은 베이스(60)와 구동모터(105)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본체(51)의 하단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센싱스위치(90)의 설치를 위한 설치플랜지(5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플랜지(55)가 구비되는 상기 브라켓본체(51)의 하단 일부를 제외한 상기 브라켓본체(51)의 테두리에는 체결플랜지(5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플랜지(57)는 상기 브라켓(50)을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트레이(41)의 삽입을 센싱하는 구성 및 트레이(41)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플랜지(57)에는 상기 조리실(3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공(31a)에 체결되는 스크류(S)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공(58)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50)의 관통부(5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노브(70)와 레버(80)의 설치를 위한 베이스(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상하단과 양측에는 걸림후크(61)와 체결공(6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60)의 내부에는 가이드슬롯(63)과 연동슬롯(65)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후크(61)는 상기 베이스(60)가 상기 관통부(52)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부(52)에 인접하는 상기 브라켓본체(51)의 일측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60)의 체결공(62)을 관통한 스크류(미도시)가 상기 브라켓본체(51)의 체결공(53)에 체결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노브(70)의 가이드후크(75)와 연동바아(76)가 상기 가이드슬롯(63)과 연동슬롯(65)을 관통한다.
한편 상기 연동슬롯(65)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60)의 일측에는, 힌지축(67)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67)은 레버(80)의 회동중심이 되는 곳으로, 전자레인지의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60)의 일측에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60)의 일면에는 노브(70)가 설치된다. 상기 노브(70)는 그 일부가 상기 조리실(31)의 내부에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41)에 의하여 눌려서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레버(8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브(70)는,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60) 사이에 구비되는 노브몸체(71)와, 상기 노브몸체(71)의 일측에 구비되는 누름돌기(73)와, 상기 누름돌기(73)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노브몸체(7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후크(75)와 연동바아(76), 그리고 상기 노브몸체(71)의 내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몸체(71)는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60) 사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돌기(73)는 상기 트레이(41)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눌려지는 부분으로, 상기 노브몸체(71)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31)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31b)을 관통하여 조리실(31)의 내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누름돌기(73)는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후크(75)는 상기 노브몸체(7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트레이(41)에 의하여 상기 누름돌기(73) 및 노브몸체(71)가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후크(75)는 상기 가이드슬롯(63)을 관통한 상태로 소정의 범위에서 도 4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바아(76)는 상기 연동슬롯(65)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하여 레버(8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77)는 상기 베이스(60)와 마주보는 상기 노브몸체(71)의 내면에서 베이스(60)를 향하여 돌출되어 코일스프링(79)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79)은 상기 노브(70)에 상기 조리실(31)의 내부를 향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60)와 노브몸체(71) 사이에는 코일스프링(79)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79)은 상기 베이스(60)와 노브몸체(71) 사이에 좌우로 길게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돌기(77)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베이스(60)의 일측에 밀착된다.
상기 노브(70)가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일면에 반대측에 해당하는 베이스(60)의 타면에는 레버(80)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80)는 상기 노브(7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센싱스위치(9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80)는, 상기 힌지축(67)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81)와, 상기 연동바아(76)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회동부(8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연동부(83), 그리고 상기 연동부(83)의 회동에 의하여 회동하여 센싱스위치(90)의 이동단자(91)를 누르는 동작부(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8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부(81)의 내부에는 힌지홀(82)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홀(82)은 상기 힌지축(67)이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힌지축(67)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다. 상기 연동부(83)는 상기 회동부(81)의 외주면 일측에서 그 접선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때 상기 연동부(83)의 길이는, 그 선단이 이루는 회동궤적과 상기 연동바아(76)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궤적과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하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연동부(83)의 선단은, 상기 노브(70)가 상기 코일스프링(79)으로부터 부여받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바아(76)의 선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85)는 상기 연동부(83)의 선단에서 연동부(83)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다. 상기 동작부(85)의 길이 및 상기 연동부(83)와 이루는 각도는, 상기 연동바아(76)에 의하여 상기 연동부(83)가 회동한 상태에서 센싱스위치(90)의 이동단자(91)를 누를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50)의 설치플랜지(55)에는 센싱스위치(90)가 장착된다. 상기 센싱스위치(90)는 상기 회동히터(39)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상기 레버(80)에 의하여 온/오프동작한다. 여기서 정방향과 역방향은 도 3에서 도면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센싱스위치(90)에는, 그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단자(91)와, 그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단자(91)는 상기 동작부(85)에 의하여 눌려서 상기 센싱스위치(90)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한다. 상기 이동단자(91)와 고정단자가 사로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히터(39)를 정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고, 양자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히터(39)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자(91)에는 상기 동작부(85)에 의하여 이동되는 방향, 즉 고정단자에 접촉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43)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조리실(31)의 일측면에는 삽입안내부(101)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안내부(101)는 상기 조리실(31)에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41)가 삽입을 안내하여 상기 회동히터(39)의 회동과 상기 트레이(41)의 이동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안내부(101)는 상기 조리실(31)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동공(31c)을 관통하여 조리실(31)의 내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안내부(101)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모터(105)에 의하여 대략 90°이내의 범위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삽입안내부(101)에는 접촉면(101a)과 비접촉면(101b)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면(101a)은 상기 삽입안내부(101)가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트레이(41)와 밀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트레이(41)의 이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접촉면(101b)은 상기 삽입안내부(101)가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4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상기 조리실(31)에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4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31)의 외측면과 상기 브라켓(50) 사이에 해당하는 브라켓(50)의 내측면에는 회전구동부(103)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구동부(103)는 상기 삽입안내부(101)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제1정지스위치(108)와 제2정지스위치(109)를 교호되게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삽입안내부(101)와 회전구동부(10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브라켓(5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105)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05)는 상기 삽입안내부(101)와 회전구동부(103)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05)의 구동축(미도시)에는 상기 삽입안내부(101)와 회전구동 부(103)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103)는 상기 구동모터(105)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05)의 구동속도는, 상기 회동히터(39)의 회동속도와 상기 삽입안내부(101)와 회동히터(39) 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상기 트레이(41)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히터(39)의 회동이 간섭받지 않게 되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05)는 상기 센싱스위치(90)에 의하여 회전방향이 변환된다. 즉 상기 센싱스위치(90)의 온동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05)가 정방향구동하고, 상기 센싱스위치(90)의 오프동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05)가 역방향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정방향과 역방향은 도 5를 기준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을 정방향, 반시계방향을 역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05)에는 한쌍의 고정플랜지(106)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플랜지(106)는 상기 구동모터(105)를 상기 브라켓(5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플랜지(106)에는 상기 브라켓본체(51)의 체결공(54)에 대응하는 체결공(107)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106)의 체결공(107)을 관통한 스크류(미도시)가 상기 브라켓본체(5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05)가 상기 브라켓(5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부(103)에 인접하는 상기 브라켓(50)의 내측면에는 제1정지스위치(108)와 제2정지스위치(109)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정지스위치(108)와 제2정지스위치(109)는 정방향구동 또는 역방향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105)를 정지시 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05)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상기 삽입안내부(101)에 의하여 교호되게 동작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정지스위치(108)는 상기 구동모터(105)에 의하여 정방향구동하는 상기 회전구동부(103)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구동모터(105)의 정방향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정지스위치(109)는 상기 구동모터(105)에 의하여 역회전하는 상기 회전구동부(103)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구동모터(105)를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7a 내지 도 7d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레이가 설치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조리실(31)을 차폐하는 도어(33)를 회동시켜서 상기 조리실(3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트레이(41)를 상기 조리실(31)의 내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41)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가이드(43)의 가이드홈(44)에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어 상기 조리실(31)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41)의 설치전 또는 설치후에 상기 트레이(41)의 상면에 음식물을 안착시킨다.
한편 상기 트레이(41)는 상기 가이드(43)의 가이드홈(44)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조리실(31)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31b)을 관통하여 내부로 돌출된 상기 노브(70)의 누름돌기(73)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70)의 노브몸체(71)는 상기 조리실(3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브(70)의 가이드후크(75)는 상기 베이스(60)의 가이드슬롯(6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노브몸체(71)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70)의 연동바아(76)는 상기 베이스(60)의 연동슬롯(65)을 관통하여 상기 노브몸체(7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와 노브(7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코일스프링(79)은 상기 노브몸체(71)의 이동에 의하여 압축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상기 연동바아(76)는 상기 레버(80)의 연동부(83)를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부(83)는 상기 회동부(8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연동부(83)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동작부(85)도 상기 연동부(83)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85)의 선단은 상기 센싱스위치(90)의 이동단자(91)를 눌러서 상기 센싱스위치(90)의 고정단자와 접촉시킨다. 따라서 상기 센싱스위치(90)가 온동작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기 센싱스위치(90)의 온동작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31)의 후면에 인접되게 연직으로 설치된 회동히터(39)가 정방향, 즉 도 7a 및 도 7b에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트레이(41)가 상기 조리실(31)에 설치되는 동작과 동시에 상기 회동히터(39)가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싱스위치(90)의 온동작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구동모터(105)가 정방향, 즉 도 7b에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한편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41)는 상기 가이드(43)의 가이 드홈(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그 회동경로 상에 위치되는 상기 삽입안내부(101)의 접촉면(101a)에 접촉된다. 그런데 상기 삽입안내부(101)는 상기 구동모터(105)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결합된 상태로 구동모터(105)에 의하여 정방향, 즉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41)의 이동이 상기 삽입안내부(101)에 의하여 방해받아서 트레이(41)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이(41)의 이동이 상기 삽입안내부(101)에 의하여 정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회동히터(39)가 상기 트레이(41)에 의하여 회동이 간섭받지 않게 되는 범위까지 회동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41)의 이동은 그 선단에 의하여 상기 회동히터(39)의 회동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까지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기 트레이(41)의 정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안내부(101)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하여 상기 접촉면(101a)이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서 이탈되는 범위까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안내부(101)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전구동부(103)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회전구동부(103)는 초기위치에서 대략 90°정도를 회동하여 제1정지스위치(108)를 온동작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정지스위치(108)의 온동작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05)의 정방향구동이 정지되고, 이에 의한 상기 삽입안내부(101)의 회동도 정지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05)의 정방향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삽입안내부(101)도 상기 회전구동부(103)와 동일하게 대략 90°정도를 회동한 상태로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안내부(101)가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서 이탈되어 상기 삽입안내부(101)의 비접촉면(101b)이 트레이(41)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41)는 더 이상 상기 삽입안내부(101)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고 상기 조리실(3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히터(39)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동하여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31)의 바닥면에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상기 트레이(41)가 상기 조리실(31)에 설치되면, 상기 도어(33)를 회동시켜서 상기 조리실(31)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35)를 조작하여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히터(37)(39)가 가열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상기 고정히터(37)의 히터열은 상기 트레이(41)에 안착된 음식물에 직접 복사되고, 상기 회동히터(39)의 히터열은 상기 트레이(41)를 통하여 그 상면에 안착된 음식물에 전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이(41)에 안착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트레이(41)를 상기 조리실(31)에서 분리시키는데, 이와 같은 트레이(41)의 분리는 상술한 트레이(41)의 설치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먼저 상기 도어(33)를 회동시켜서 상기 조리실(31)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31)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41)를 잡아당겨서 상기 조리실(31)의 외부로 분리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안내 부(101)가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서 이탈되어 상기 트레이(41)와 비접촉면(101b)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트레이(41)가 상기 조리실(31)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안내부(101)에 의하여 그 이동이 간섭받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이(41)가 상기 조리실(31)에서 분리되면, 상기 코일스프링(79)에 의하여 상기 노브몸체(71)가 상기 조리실(31)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누름돌기(73)는 상기 관통공(31b)을 관통하여 상기 조리실(31)의 내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연동바아(76)도 상기 노브몸체(7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레버(80)를 회동시키는 외력이 제거된다.
그런데 상기 센싱스위치(90)의 이동단자(91)에는, 고정단자와 이격되는 방향, 즉 상기 레버(80)의 동작부(85)에 의하여 눌려서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자(91)는 상기 센싱스위치(90)의 고정단자에서 이격되어 상기 센싱스위치(90)가 오프동작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이동하는 상기 이동단자(91)에 의하여 상기 레버(80)가 상기 회동부(81)를 중심으로 상기 센싱스위치(90)를 온동작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상기 센싱스위치(90)의 오프동작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31)의 바닥면에 평행을 이루는 상기 회동히터(39)가 역방향, 즉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싱스위치(90)의 오프동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05)를 역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구 동모터(105)의 역구동에 의하여 상기 삽입안내부(101)가 역회전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상기 트레이(41)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103)도 상기 삽입안내부(101)와 동일하게 역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구동부(103)에 의하여 온동작된 상기 제1정지스위치(108)는 오프동작되고, 상기 제2정지스위치(109)가 온동작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정지스위치(109)의 온동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05)의 역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구동모터(105)의 역구동이 정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실에 설치되는 트레이에 의하여 동작되는 센싱스위치에 의하여 히터의 회동이 제어되고, 상기 트레이의 이동이 트레이안내수단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트레이를 조리실에 설치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안착되는 음식물의 저면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회동하게 되므로, 다수개의 히터를 사용하여 음식물의 상면과 저면을 보다 간단하게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와 히터가 서로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히터의 회 동이 상기 트레이의 이동에 의하여 간섭받는 현상이 방지된다.

Claims (13)

  1. 조리실의 일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조리실에 전후방으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와 회동과 트레이의 이동이 간섭됨을 방지하는 트레이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안내수단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에 입출되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삽입안내부와;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안내부를 소정의 속도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와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에 설치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삽입안내부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에서 분리된 후에는 상기 삽입안내부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타방향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인가수단은,
    상기 조리실에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동작되고, 상기 구동모터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센싱스위치와;
    상기 삽입안내부의 회동에 연동하는 회전구동부에 의하여 교호되게 동작되고,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정지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일방향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정지스위치와,
    상기 구동모터의 타방향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2정지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방향회전 또는 타방향회전되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부에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삽입안내부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에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서 상기 삽입안내부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에 설치된 트레이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비접촉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부와 상기 회전구동부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상에 해당하는 상기 조리실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브와,
    상기 조리실의 외측면에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센싱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스위치는 상기 노브의 이동에 의하여 동작하여 상기 히터의 회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노브가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눌려지면 상기 센싱스위치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히터가 회동하여 상기 트레이의 하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노브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조리실의 양측면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에 의하여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조리실의 선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안내부는 상기 조리실의 후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탄성부재, 레버, 센싱스위치, 삽입안내부, 회전구동부, 구동모터, 제1 및 제2정지스위치는 브라켓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의 외측면에 고 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천장 일측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1020040039386A 2004-05-31 2004-05-31 전자레인지 KR100582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386A KR100582081B1 (ko) 2004-05-31 2004-05-31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386A KR100582081B1 (ko) 2004-05-31 2004-05-31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161A KR20050114161A (ko) 2005-12-05
KR100582081B1 true KR100582081B1 (ko) 2006-05-23

Family

ID=3728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386A KR100582081B1 (ko) 2004-05-31 2004-05-31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0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541A (ko) * 2002-06-14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용 조리선반 및 이를 갖춘 전자렌지
KR20040016744A (ko) * 2002-08-19 200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40056500A (ko) * 2002-12-24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87219A (ko) * 2003-04-04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20040087220A (ko) * 2003-04-04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541A (ko) * 2002-06-14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용 조리선반 및 이를 갖춘 전자렌지
KR20040016744A (ko) * 2002-08-19 200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40056500A (ko) * 2002-12-24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87219A (ko) * 2003-04-04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20040087220A (ko) * 2003-04-04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161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060B1 (ko) 전자레인지
KR100582081B1 (ko) 전자레인지
KR100377732B1 (ko) 전자레인지의 댐퍼장치
US6057533A (en) Control panel of a microwave oven having slide type power control knob
KR100423993B1 (ko) 전자렌지
US20050194380A1 (en) Microwave oven
US7947935B2 (en) Microwave oven and latch board in the microwave oven
CA2528013C (en) Microwave oven
KR20070103247A (ko) 전자렌지
KR10051666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도어 인터락 시스템
KR970003074Y1 (ko) 전자렌지의 마이크로 스위치 구동장치
KR960007557B1 (ko) 전자렌지의 도어록킹장치
KR100303562B1 (ko) 전자렌지의 버튼 지지구조
KR200169604Y1 (ko) 전자 렌지용 도어
JP2022183918A (ja) 加熱調理器
KR100302903B1 (ko)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200150894Y1 (ko) 전자렌지용 후크레버의 스프링 걸림구조
KR200181603Y1 (ko) 전자렌지의 래치보드
KR100274671B1 (ko) 전자렌지의 표시창 결합장치
KR100208571B1 (ko) 전자렌지의 회동히터
KR200390576Y1 (ko)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KR930004279Y1 (ko) 전자레인지의 기능 절환장치
KR960005771B1 (ko) 전자렌지용 댐퍼의 개폐장치
KR100821753B1 (ko) 오븐
KR200386094Y1 (ko) 오븐도어 개폐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