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6643B1 -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643B1
KR100476643B1 KR10-2001-0076128A KR20010076128A KR100476643B1 KR 100476643 B1 KR100476643 B1 KR 100476643B1 KR 20010076128 A KR20010076128 A KR 20010076128A KR 100476643 B1 KR100476643 B1 KR 10047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late member
fuel injection
valve seat
injection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086A (ko
Inventor
무네자네쓰요시
스미다마모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6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02M61/1826Discharge orifices having different siz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02M51/0682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the body being hollow and its interior communicating with the fue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53Orific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02M51/067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the valve body having cylindrical guiding or metering portions, e.g. with fuel passages
    • F02M51/0678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the valve body having cylindrical guiding or metering portions, e.g. with fuel passages all portions having fuel passages, e.g. flats, grooves, diameter red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39/00Fluid sprinkling, spraying, and diffusing
    • Y10S239/90Electromagnetically actuated fuel injector having ball and seat typ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분사된 연료의 미립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미립화된 균일한 분무류를 큰 분사각(예를 들면 15°이상)을 형성할 수가 있고, 플래이트의 분구부 가공이 간단히 되고, 값싸고 생산성이 좋은 연료분사밸브를 제공한다.
연료통로와 이 사이에 연료캐비티를 형성하는 플래이트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분구(噴口)를, 연료통로의 중심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피치경 øP상에만 배치하고, 또 분구의 직경을 ød, 연료통로의 직경을 øD1, 연료캐비티의 축방향의 길이를 t로 했을 때에 øD1 + ød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로 설정하고 있다. 분사된 연료의 미립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미립화된 균일한 분무류를 큰 분사각(예를 들면, 15°이상)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 플래이트의 가공각도가 작아도 되므로 플래이트의 분구부 가공이 간단하게 되고, 값싸고 생산성이 좋은 연료분사밸브를 공급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연료분사밸브{FUEL INJECTION VALVE}
본 발명은 연료분사밸브에 관해, 특히 내연기관에 사용하는 연료분사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료의 미립자화를 촉진하는 연료분사밸브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104647호에 표시된 것이 있었다. 도 13은 이 종래예의 연료분사밸브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연료분사밸브의 선단부의 확대도를 표시하고,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 E의 방향에서 본 전면도이다.
연료분사밸브(1)는 수지제하우징(2)의 내부에 전자코일(3), 고정철심(4), 및 자기통로를 구성하는 금속플래이트(5)가 배치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전자코일(3)은 수지제의 보빈(3a)과 그 외주에 권선되어 있는 코일(3b) 및 외부와의 접속을 위해 설치된 터미널(6)에 의해 구성되어 수지제하우징(2)내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고정철심(4)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7)의 하중을 조정하는 어저스터(8)가 고정되어 있다. 2장의 자기통로를 구성하는 금속플래이트(5)는 일단을 고정철심(4)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자기통로를 구성하는 전자파이프(9)에 용접되어 있다. 고정철심(4)과 자기파이프(9) 사이에 자기파이프(9)의 내부에 배치된 가동철심(10)이 상하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게 비자성파이프(11)가 고정철심(4)과 자기파이프(9)에 고정배치 되어 있다.
가동철심(10)의 일단에는 니들파이프(12)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가동철심 (10)의 타단, 즉 니들파이프(12)의 가동철심(10)측의 일단은 압축스프링(7)에 당접되어 있고 타단에는 밸브로서의 밸브체(101)가 고착되어 있다. 밸브체(101)는 자기파이프(9)의 내부에 배치된 밸브시트(102)에 가이드되고, 밸브시트(102)의 시트부(102a)에 착좌 및 이좌가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 (101)의 밸브시트(102)에 의해 가이드되는 외주부는, 다각형으로 가공되어서 밸브시트(102)의 가이드부(102b)의 밸브체(101) 사이에 연료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시트(102)의 하단에는 도 14 및 도 15에 잘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수의 연료의 분구(103)를 갖는 플래이트(104)가 설치되어 있다. 각 분구(103)는 연료분사밸브의 중심축 C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게 되어 있다.
이 같은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에서는 밸브체(101)는 상부의 전자코일(3) 및 가동철심(10) 등으로 구성된 전자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어서, 밸브좌 (102)와 이접함으로서 밸브의 개폐를 한다. 연료는, 밸브체(101)와 밸브시트(102) 사이를 통해서 흐르고, 밸브체(101)의 선단과 플래이트(104) 사이의 연료캐비티(105)에 유입하고, 플래이트(104)에 형성된 분구(103)에서 외부로 분사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표시한 연료분사밸브(1)에서는 연료의 분사방향은 플래이트(104)에 설치된 분구(103)의 각도에 의해 분사방향을 결정하나, 플래이트(104)의 상류의 연료캐비티(105)내의 연료의 흐름방향이 전체로서 외주부에서 내주부로 향하는 흐름이므로, 분사된 연료의 분사각을 크게 하기 힘들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 스프레이파이프로 분사각이 큰 사양(예를 들면 15°이상)을 제작하는 경우, 분구(103)의 각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분구경을 작게해서 가공하는 것이 어렵고, 분구경을 작게 해서 연료의 미립화를 도모하기가 곤란하고 실시되었다 하더라도 플래이트의 분구가공에 상당한 비용이 든다. 특히 미립화를 촉진하기 위해 분구를 6개 이상 설치한 타입에서는, 특히 분구경이 작아지므로 플래이트(104)의 가공이 어려워진다.
플래이트(104)에 설치하는 분구(103)의 길이 L과 직경 ød와의 비인 L/ød를 크게 함으로서, 분사방향을 규정해 분무각을 크게 할 수도 있으나, 그런 경우 연료의 미립자화가 손상되게 된다. 또 L/ød를 크게 했을때는 플래이트(104)에 분구 (103)를 형성하는 가공도 어렵고, 분구(103)의 각도도 크게 하려면, 플래이트(104)의 분구(103)를 설치하는 가공작업이 곤란해지므로 대단한 비용 상승을 동반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일본국 특개평 10-12209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래이트에 연료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은 제안되고 있으나, 이같은 플래이트는 제작이 곤란하고, 대단한 비용 상승을 수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플래이트에 설치한 분구배치에 대해 다수의 분구로 형성되는 분무류를 다수의 방향으로 분사하는 연료분사밸브에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7206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복수의 동심원상에 분구를 배치되고 있으나 이 경우 내측의 원상에 배열된 분구에서 분출된 연료류와 외측의 원상에 배열된 분구에서 분출된 연료류의 입자경의 구성에 상위가 발생하고 입경이 균일한 분무류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분사된 연료의 미립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미립화된 균일한 분무류를 큰 분사각(예를 들면 15°이상)을 형성할 수가 있고 플래이트의 분구부가공이 간단하게 되고, 값싸고, 생산성이 좋은 연료분사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1)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는 6개 이상의 다수의 분구를 갖는 플래이트부재와, 상기 분구의 상류에 밸브좌를 설치한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에 설치된 하나의 원통형상의 연료통로와, 상기 연료통로와 상기 다수의 분구를 갖는 플래이트부재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분구직상에 배치된 연료캐비티와, 상기 밸브시트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밸브시트에 설치된 밸브좌에 착좌 가능한 당접부를 소유하고 상기 당접부가 상기 밸브좌에서 이좌 및 착좌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분구에서 분사되는 다수의 연료류로 구성되는 분무류를 다수 형성하는 연료분사밸브로서, 상기 플래이트에 배치된 다수의 분구를 상기 연료통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피치경 øP 상에만 배치하고, 또 상기 분구의 직경을 ød, 상기 연료통로의 직경을 øD1, 상기 연료캐비티의 축방향의 깊이를 t로 했을 때에, øD1 + ød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이다.
(2)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분구 중, 하나의 분무류를 구성하는 분구의 그룹에 대해, 이들을 원주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열할 수가 있다.
(3)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분구 중, 하나의 분무류를 구성하는 분구의 그룹에 대해, 플래이트부재의 연료분출 측면에서,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배치된 각각의 분구의 중심추과, 분구의 중심을 통과하고 연료분사밸브의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이 이루는 각은, 플래이트부재의 중심을 통과해 연료분무류의 분출방향의 반경방향 성분에 직교하는 기분축에 대해, 상기 기준축과 분구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크게 할 수가 있다.
(4)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분구는, 직경이 2종 이상의 분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에서 최대의 직경을 ød1이라고 했을때에 øD1 + ød1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1으로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연료분사밸브(1)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측면단면도이다. 연료분사밸브(1)는 수지제하우징(2)의 내부에 전자코일(3), 고정철심(4) 및 자기통로를 구성하는 금속플래이트(5)가 배치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전자코일(3)은 수지제의 보빈(3a)과 그 외주에 전선되어 있는 코일(3b) 및 외부와의 접속을 위해 설치된 터미널(6)에 의해 구성된 수지제하우징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고정철심(4)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7)의 하중에 조정하는 어저스터(8)가 고정되어 있다. 두장의 자기통로를 구성하는 금속플래이트(5)는 일단을 고정철심(4)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자기통로를 구성하는 전자파이프(9)에 용접되어 있다.
고정철심(4)과 자기파이프(9) 사이에는 자기파이프(9) 내부에 배치된 가동철심 (10)을 상하로 가동되게 비자성파이프(11)가 고정철심(4)과 자기파이프(9)에 고정배치되어 있다.
가동철심(10)은 일단에 니들파이프(12)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니들파이프 (12)의 가동철심(10)측의 일단은 압축스프링(7)에 당접해 있고, 타단은 밸브부재로서의 블(13)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블(13)은 자기파이프(9)의 내부에 배치된 밸브시트(14)에 가이드되고 밸브시트(14)의 시트부인 밸브좌(14a)에 착좌 및 이좌 가능한 당접부를 갖도록 되어 있다. 블(13)의 외주부는 부분적으로 깎겨서 5각형으로 가공되고 밸브시트(14)의 가이드부(14b) 사이에 연료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좌(14a)를 갖는 밸브시트(14)의 하단에는 연료분사밸브와 공통의 중심축 CL을 갖는 단일의 원통상의 연료통로(14c)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연료통로(14c)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같은 공통의 축심을 갖는 원형의 凹부, 즉 연료캐비티(14d)가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밸브시트(14)의 하단에는 도 2, 3 및 4에 잘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6개 이상의 다수의 연료의 분구(18)를 갖는 플래이트부재(17)가 상술한 연료캐비티(14d)의 하단을 덮고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연료캐비티(14d)가 플래이트부재 (15)와 연료통로(14c)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플래이트부재(17)의 분구(18)에 공통적으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플래이트부재(17)에 배치된 다수의 분구(18)는 연료통로(14c)의 중심축심 CL, 즉 연료분사밸브의 축심 CL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피치경 øP상에만 배치되어 있고, 또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분구(18)의 직경을 ød, 연료통로(14c)의 직경을 øD1, 연료캐비티(14d)의 축방향의 깊이를 t로 했을때에, øD1 + ød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로 하고 있다.
다음에 연료분사밸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단자(6)를 통해서 코일(3)에 통전하면 고정철심(4), 금속플래이트(5), 자기파이프(9), 가동철심 (10)으로 구성되는 자기통로에 자속이 발생하고, 가동철심(10)이 고정철심(4)에 전전자흡인력에 의해 끌어당겨져, 가동철심(10)과 접합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니들파이프(12) 및 니들파이프(12)에 용저고정 되어 있는 밸브부재인 블(13)이 동작하고, 밸브시트(14)의 밸브좌(14a)와 블(13)이 동작하고, 밸브시트(14)의 밸브좌(14a)와 브(13)사이에 연료유로가 형성되고, 플래이트(17)에 설치된 분구(18)로부터 연료가 분사된다.
연료는 엘리베이터파이프(도시않음)에서 도 1의 상부로부터 연료분사밸브(인젝터본체)에 흘러들어 필터(16)를 통과하고, 고정철심(4)내에 배치되어 있는 어저스터(8) 및 압축스프링(7), 가동철심(10), 니들파이프(12)의 내부를 통해 흐른다. 연료는 다시 밸브시트(14)의 가이드부(14b)와 블(13)의 내에 들어간다. 연료는 연료캐비티(14d)의 중앙부에 들어가고, 플래이트부재(17)에 충돌해서 경방향으로 퍼지고, 플래이트부재(17)의 중앙부 보다도 경방향 외측에 설치된 분구(18)를 통해서 그로부터 외측으로 퍼지게 되는 각도를 가지고 외부로 분사된다.
도 2, 도 3 및 도 4에서는 직경 ød의 분구(18)를 플래이트부재(17)의 피치 øP상에만 배치하고, 원통형상의 연료통로(14c)의 직경을 øD1, 연료캐비티(14d)의 축방향의 깊이를 t로 했을때에, øD1 + ød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연료류에 혼란을 일으켜 분구에서 분출된 연료가 충분히 미립자화되고, 각 연료류(20)의 미립자화 레벨의 흐트러짐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분무류(21)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분구(18)에 이르는 연료의 흐름을 연료캐비티(14d)의 중심에서 외측으로의 흐름으로 하였으므로 같은 분사각(22)을 형성하는 경우, 플래이트(17)의 분구부가공각도(ø)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플래이트의 제작상 값싼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도 5에 t < ød로 했을 때에 øD, ød, øP의 치수와 연료의 미립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한다. 도 5에서 명백한 대로, 연료분무의 입경은, t < ød의 경우에는, øP가 파선으로 표시하는 øD1 + ød보다도 작을때는 크게, øD1 + ød에 가까워짐에 따라 급격히 작아지고, øD1 + ød보다도 크면 충분히 작다. 이와 같이 연료분사의 입경은 øD1 + ød < øP로 하면 충분히 작게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표시한다. 도면 같이 플래이트부재 (17)의 연료분출측의 표면에서, 플래이트부재(17)에 배치된 각각의 분구(18)의 중심축(24)과 연료분사밸브의 중심축 CL(즉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래이트부재 (17)의 연료분출 측면(23)에서, 분구(18)의 중심을 통과해 연료분사밸브의 중심축 CL에 평행인 직선(26)과 이루는 각을 ø1~ø3로 하고, 이 플래이트부재(17)의 중심을 통과하고, 연료분무류의 분출방향의 반경방향 성분에 직교하는 기준축(25)에 대해, 상기 기준축(25)과 분구(18)의 거리를 L1~L3로 했을 때에, L1 < L2 < L3인 경우, ø1 < ø2 <ø3가 되도록 L가 커질수록 ø를 크게 설정함으로서 각 분무류에서 각각의 분구에서 분출되는 연료류(20)끼리의 충돌을 방지하고 전체로서 양호한 분무류(21)를 얻을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7에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를 표시한다. 플래이트부재(17)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분구(18a),(18b)는 직경이 ød1, ød2의 2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에서 최대의 직경을 ød1으로 했을 때에, øD1 + ød1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1으로 함으로서 각 분무류(21)의 연료분배를 불균일하게 해도 양호한 분무류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분사밸브는, 6개월 이상의 다수의 분구를 갖는 플래이트부재와, 상기 분구의 상류에 밸브좌를 둔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에 설치된 하나의 원통형상의 연료통로와 상기 연료통로와 상기 다수의 분구를 갖는 플래이트부재와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분구직상에 배치된 연료캐비티와, 상기 밸브시트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밸브시트에 설치된 밸브좌에 착좌가능한 당접부를 소유하고 상기 당접부가 상기 밸브좌로부터 이좌 및 착좌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분구로부터 분사되는 다수의 연료류에서 구성되는 분무류를 다수 형성하는 연류분무밸브로서 상기 플래이트에 배치된 다수의 분구를 상기 연료통로의 중심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피치경 øP상에만 배치하고, 또 상기 분구의 직경을 ød, 상기 연료통로의 직경을 øD1 + ød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로 한 것이다. 따라서 분사된 연료의 미립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미립화된 균일한 분무류를 큰 분사각(예를 들면 15°이상)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 플래이트의 가공각도가 작아도 되므로, 플래이트의 분구부가공이 간단히 되고 값싸고 생산성이 좋은 연료분사밸브를 공급할 수가 있다.
(2) 또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분구중 하나의 분무류를 구성하는 분구의 그룹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열하였으므로 더욱 균일한 분무류를 얻을 수가 있다.
(3) 또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분구중 하나의 분무류를 구성하는 분구의 그룹에 대해 플래이트부재의 연료분출 측면에서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배치된 각각의 분구의 중심축과 분구의 중심을 통과하고 연료분사밸브의 중심축에 평행인 직선이 이루는 각은 플래이트부재의 중심을 통과해 연료분무류의 분출방향의 반경방향 성분에 직교하는 기준축에 대해 상기 기준축과 분구의 거리가 떨어질수록 크게 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분무류를 구성하는 연료류에서 각각의 연료류끼리의 간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분무류를 얻을 수가 있다.
(4) 또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분구는 직경이 다른 2종 이상의 분구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에서 최대의 직경을 ød1으로 했을때에 øD1 + ød1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1으로 하였으므로 다수의 분무류의 연료분배량을 불균일하게 한 경우도 양호한 분무류를 얻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연료분사밸브의 전체 구성을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연료분사밸브의 일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플래이트부재의 배치를 표시하는 개략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플래이트부재의 분구의 배치를 표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에서 t < ød로 했을때의 øD, ød, øP의 치수와 연료의 미립화를 측정한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제2의 실시형태의 플래이트부재를 표시하는 부분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제3의 실시형태의 플래이트부재를 분구와 분사연료의 관계를 표시하는 부분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제3의 실시형태의 플래이트부재의 분구의 배치를 표시하는 부분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제3의 실시형태의 플래이트부재의 제1의 경사를 갖는 분구를 표시하는 부분측면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제3의 실시형태의 플래이트부재의 제2의 경사를 갖는 분구를 표시하는 측면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제3의 실시형태의 플래이트부재의 제3의 경사를 갖는 분구를 표시하는 부분측면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연료분사밸브의 제4의 실시형태의 플래이트부재를 표시하는 부분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연료분사밸브의 분구의 확대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연료분사밸브의 분구확대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밸브부재, 13a : 당접부,
14 : 밸브시트, 14a : 밸브좌,
14c : 연료통로, 14d : 연료캐비티,
17 : 플래이트부재, 18 : 분구,
18a : 분구중심축, 21 : 분구그룹,
25 : 기준축, 26 : 분구의 중심을 통과해서 연료분 사밸브의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
CL : 중심축심, øP : 피치형,
ød : 분구의 직경, ød1,d2 : 분구직경,
øD1 : 연료통로의 직경, t : 연료캐비티 깊이,
ø1,ø2,ø3 : 분구중심을 통과하고 연료분사 중심축에 평행인 직선이 이루는 각,
L1,L2,L3 : 기준축과 분구의 거리.

Claims (3)

  1. 6개 이상의 다수의 분구를 갖는 플래이트부재와,
    상기 분구의 상류에 밸브좌를 설치한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에 설치된 하나의 원통형상의 연료통로와,
    상기 연료통로와 상기 다수의 분구를 갖는 플래이트부재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분구직상에 배치된 연료캐비티와,
    상기 밸브시트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밸브시트에 설치된 밸브좌에 착좌 가능한 당접부
    를 소유하고,
    상기 당접부가 상기 밸브좌로부터 이좌 및 착좌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분구로부터 분사되는 다수의 연료류로 구성되는 분무류를 다수 형성하는 연료분사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래이트에 배치된 다수의 분구를 상기 연료통로의 중심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피치경 øP상에만 배치하고,
    또 상기 분구의 직경을 ød, 상기 연료통로의 직경을 øD1, 상기 연료캐비티의 축방향의 깊이를 t로 했을때에, øD1 + ød < øP로 하는 동시에, t < ød로 한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분구 중, 하나의 분무류를 구성하는 분구의 그룹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분구 중, 하나의 분무류를 구성하는 분구의 그룹에 대해 플래이트부재의 연료분출 측면에서 상기 플래이트부재에 배치된 각각의 분구의 중심축과, 분구의 중심을 통과하고 연료분사밸브의 중심축에 평행인 직선이 이루는 각은, 플래이트부재의 중심을 통과하고 연료분무류의 분출방향의 반경방향 성분에 직교하는 기준축에 대해 상기 기준축과 분구의 거리가 떨어질수록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KR10-2001-0076128A 2000-12-04 2001-12-04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Expired - Lifetime KR100476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68580A JP3556899B2 (ja) 2000-12-04 2000-12-04 燃料噴射弁
JPJP-P-2000-00368580 2000-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086A KR20020044086A (ko) 2002-06-14
KR100476643B1 true KR100476643B1 (ko) 2005-03-17

Family

ID=1883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128A Expired - Lifetime KR100476643B1 (ko) 2000-12-04 2001-12-04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69638B2 (ko)
JP (1) JP3556899B2 (ko)
KR (1) KR100476643B1 (ko)
DE (1) DE1015934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9639B2 (en) * 2000-07-18 2004-08-03 W. C. Bradley/Zebco Holdings, Inc. Spinning reel with rear adjustable drag, adjustable handle length and universal pivot handle grip
JP3759918B2 (ja) * 2002-10-16 2006-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噴射弁
JP2004225598A (ja) * 2003-01-22 2004-08-12 Hitachi Ltd 燃料噴射弁
JP4120632B2 (ja) * 2004-01-22 2008-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弁
JP4511960B2 (ja) * 2005-01-26 2010-07-28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噴射弁
JP4490840B2 (ja) * 2005-01-28 2010-06-30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噴射弁
JP4610533B2 (ja) * 2006-08-02 2011-01-12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エンジン
WO2008117459A1 (ja) * 2007-03-27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燃料噴射弁
JP4691523B2 (ja) * 2007-05-09 2011-06-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式燃料噴射弁の制御回路
AT508049B1 (de) * 2009-03-17 2016-01-1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einspritzen von kraftstoff in den brennraum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21099055A (ja) * 2019-12-23 2021-07-01 日立Astemo株式会社 燃料噴射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5265A (ja) * 1985-05-06 1986-11-12 ゼネラル モ−タ−ズ コ−ポレ−シヨン 電磁式燃料噴射器のための薄いオリフイス・デイレクタ・プレ−ト
JPH1172067A (ja) * 1997-06-24 1999-03-1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弁
JPH11264365A (ja) * 1998-03-19 1999-09-28 Denso Corp 燃料噴射弁
JP2000038974A (ja) * 1998-07-22 2000-02-08 Denso Corp 流体噴射ノズル
JP2000145590A (ja) * 1998-11-10 2000-05-26 Aisan Ind Co Ltd 燃料噴射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1074A (en) * 1976-06-17 1978-07-18 The Bendix Corporation Fuel inlet assembly for a fuel injection valve
JPH0725323B2 (ja) * 1987-12-25 1995-03-22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に使用される前後輪操舵系統
WO1995004881A1 (en) * 1993-08-06 1995-02-16 Ford Motor Company A fuel injector
JP3183156B2 (ja) 1995-04-27 2001-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流体噴射ノズル
JPH08303321A (ja) 1995-05-02 1996-11-19 Unisia Jecs Corp フューエルインジェクタ
DE19639506A1 (de) * 1996-09-26 1998-04-02 Bosch Gmbh Robert Lochscheibe und Ventil mit einer Lochscheibe
JPH10122096A (ja) 1996-10-16 1998-05-12 Aisan Ind Co Ltd 燃料噴射弁
JP3750768B2 (ja) * 1996-10-25 2006-03-01 株式会社デンソー 流体噴射ノズル
DE19724075A1 (de) * 1997-06-07 1998-12-1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ochscheibe für ein Einspritzventil und Lochscheibe für ein Einspritzventil und Einspritzventil
JP3164023B2 (ja) * 1997-06-25 2001-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弁
JPH11200998A (ja) 1998-01-19 1999-07-27 Denso Corp 流体噴射ノズル
JP3777259B2 (ja) 1998-09-24 2006-05-24 株式会社ケーヒン 電磁式燃料噴射弁
JP2000104647A (ja) * 1998-09-25 2000-04-11 Denso Corp 燃料噴射ノズル
JP2002039036A (ja) * 2000-07-24 2002-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噴射弁
JP3837283B2 (ja) 2000-10-24 2006-10-25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噴射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5265A (ja) * 1985-05-06 1986-11-12 ゼネラル モ−タ−ズ コ−ポレ−シヨン 電磁式燃料噴射器のための薄いオリフイス・デイレクタ・プレ−ト
JPH1172067A (ja) * 1997-06-24 1999-03-1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弁
JPH11264365A (ja) * 1998-03-19 1999-09-28 Denso Corp 燃料噴射弁
JP2000038974A (ja) * 1998-07-22 2000-02-08 Denso Corp 流体噴射ノズル
JP2000145590A (ja) * 1998-11-10 2000-05-26 Aisan Ind Co Ltd 燃料噴射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69638B2 (en) 2004-08-03
DE10159345A1 (de) 2002-06-20
KR20020044086A (ko) 2002-06-14
US20020125347A1 (en) 2002-09-12
JP2002168161A (ja) 2002-06-14
JP3556899B2 (ja) 2004-08-25
DE10159345B4 (de)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946B1 (en) Fluid injection nozzle
KR100840454B1 (ko) 연료 분사 밸브
KR100493602B1 (ko) 연료분사밸브
KR930004967B1 (ko) 전자식 연료 분사밸브
KR100282108B1 (ko) 연료분사밸브
JP4022882B2 (ja) 燃料噴射装置
EP1392968B1 (en) Spray pattern control with non-angled orifices in fuel injection metering disc
KR100476643B1 (ko)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US6789754B2 (en) Spray pattern control with angular orientation in fuel injector and method
US20030127547A1 (en) Fuel injection valve
US5044562A (en) Dual spray director using an &#34;H&#34; annulus
US5044561A (en) Injection valve for fuel injection systems
JPS6350667A (ja) 電磁式燃料噴射弁のノズル構造
US6929197B2 (en) Generally circular spray pattern control with non-angled orifices in fuel injection metering disc and method
US6854448B2 (en) Fuel injection valve and fuel injection system
US6789752B2 (en) Fuel injection
JP6745986B2 (ja) 燃料噴射弁
JP2004225549A (ja) 燃料噴射装置
JP2000045913A (ja) 燃料噴射弁
JP3790381B2 (ja) 燃料噴射弁
JPH08232811A (ja) 流体噴射ノズル
JP3020899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H0914079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60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