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7742B1 -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기 - Google Patents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742B1
KR100467742B1 KR10-2002-0006539A KR20020006539A KR100467742B1 KR 100467742 B1 KR100467742 B1 KR 100467742B1 KR 20020006539 A KR20020006539 A KR 20020006539A KR 100467742 B1 KR100467742 B1 KR 10046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ing
cooking
valves
gas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203A (ko
Inventor
김건택
황정태
정호일
노영우
Original Assignee
(주)세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티 filed Critical (주)세티
Priority to KR10-2002-000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7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0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3/2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 G01F3/2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for gases
    • G01F3/226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for gas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meter body or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01D7/04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a separate indicating element for each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 미터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가스미터기에서 각각 공급가격이 다른 난방/취사용과 발전용 가스의 사용량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하나의 가스입구(1)와, 상기 가스입구(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난방/취사용과 전력용의 각 용도별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V1,V2,V3,V4)들이 설치된 분배실(2)과, 상기 밸브(V1,V2,V3,V4)들의 개폐동작에 의해 유입된 가스량을 적산하기 위한 2개의 구분된 계량실(C1,C2,C3,C4)과, 상기 각 계량실(C1,C2,C3,C4)에 유입된 가스가 다이어프램(D1,D2,D3,D4)의 펌핑운동에 의해 난방/취사기와 전력설비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2개의 가스출구(3,4)와, 상기 각 계량실(C1,C2,C3,C4)의 다이어프램(D1,D2,D3,D4)동작에 의해 구동되어 난방/취사용과 전력용으로 사용된 가스량을 표시하기 위한 적산표시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기 {Gas Meter for Double Measuring}
본 발명은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 미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하나의 가스미터기에서 각각 공급가격이 다른 난방/취사용과 발전용 가스의 사용량을 구분하여 별도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스미터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입구(도시안됨)가 일측부에 구비되고, 이 가스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계량실(12)에 유입되며, 계량실(12)에 유입된 가스는 계량실 내부에 설치된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13)에 의해 가스출구(14)쪽으로 공급된다. 상기 계량실(12)에 유입된 가스를 펌핑하면서 가스출구쪽으로 공급하는 다이어프램(13)에는 다이어프램 레버(15)가 접속되어 있고, 이 다이어프램(13)이 전후로 펌핑운동을 하게 되면 다이어프램 레버(15)를 통해 다이어프램의 펌핑운동이 프래그샤프트(16)를 돌려주게 되고, 프래그샤프트(16)의 상단에 부착된 커넥팅로드 (17)를 통해 크랭크(18)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가스량을 외부로 표시하며, 이와 함께 밸브(19)를 교차적으로 개폐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연료전지(fuel cell)의 기술발전에 따라 소규모 분산발전이나 가정용 발전을 위한 장비인 RPG(RESIDENTIAL POWER GENERATOR)가 대중적으로 보급되게 되면, 기존의 난방/취사용 가스미터기와는 별도로 발전에 사용된 가스량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미터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현재 난방/취사용으로 사용될때의 LNG 가스비와 발전용으로 사용될 때의 가스비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는 상기한 난방/취사용으로 사용된 가스량과 발전용으로 사용된 가스량을 각각 별도로 측정하기 위하여 2개의 가스미터기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이럴 경우 가스 배관이 복잡하게 되고, 검침 또한 2개소에서 행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2개의 가스미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비용도 2배가 되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가스미터기에서 용도별로 사용되는 가스량을 구분하여 측정하고 표시할 수 있는 가스미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하나의 가스입구와, 상기 가스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난방/취사용과 전력용의 각 용도별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들과, 상기 밸브들의 개폐동작에 의해 유입된 가스량을 적산하기 위한 2개의 구분된 계량실과, 상기 각 계량실에 유입된 가스가 다이어프램의 펌핑운동에 의해 난방/취사기와 전력설비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가스출구와, 상기 각 계량실의 다이어프램 동작에 의해 구동되어 난방/취사용과 전력용으로 사용된 가스량을 표시하기 위한 적산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가스미터기에서 난방/취사용으로 사용된 가스량과 전력용으로 사용된 가스량을 구분하여 적산함으로써 용도별로 공급가격이 다르게 책정된 가스의 소모비용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미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2b,2c,2d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미터기의 개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입구로부터 유입된 도시가스가 난방/취사용 계량부 및 발전용 계량부로 도입되어 기기로 공급되는 상태의 밸브개폐상태 및 다이어프램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a,3b,3c,3d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미터기의 운동변환부와 밸브의 작동상태를 도 2a~2d의 단계에서 각각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가스미터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입구 2 : 분배실
3, 4 : 가스출구 5, 6 : 적산표시부
C1, C2, C3, C4 : 계량실
D1, D2, D3, D4 : 다이어프램
V1, V2, V3, V4 : 밸브
R : 커넥팅 로드 S : 프래그샤프트
K : 크랭크 I : 크랭크 축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미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2b, 2c,2d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미터기의 개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가스입구로부터 유입된 도시가스가 난방/취사용 계량부 및 발전용 계량부로 도입되어 기기로 공급되는 상태의 밸브개폐상태 및 다이어프램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a,3b,3c,3d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미터기의 운동변환부와 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미터기는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하나의 가스입구(1)와, 상기 가스입구(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난방/취사용과 발전용의 각 용도별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V1,V2,V3,V4)들이 설치된 분배실(2)과, 상기 밸브(V1,V2,V3,V4)들의 개폐동작에 의해 유입된 가스량을 적산하기 위한 2개의 구분된 계량실(C1,C2,C3,C4)과, 상기 각 계량실(C1,C2,C3,C4)에 유입된 가스가 다이어프램(D1,D2,D3,D4)의 펌핑운동에 의해 도시안된 난방/취사기와 발전설비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2개의 가스출구(3,4)와, 상기 각 계량실 (C1,C2,C3,C4)의 다이어프램(D1,D2,D3,D4)동작에 의해 구동되어 난방/취사용과 발전용으로 사용된 가스량을 표시하기 위한 적산표시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가스미터기는 외관상으로 볼 때 기존의 가스미터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다만 가스출구(3,4)가 2개인 점과, 적산표시부(5,6)가 2개로 이루어진 차이점이 있다.
상기 가스출구(3,4)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도 있고,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도 있으며, 배관상태에 따라서 가스출구(3,4)와 가스입구(1)의 위치를 반대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난방/취사용 가스와 발전용 가스는 각각 사용될 수도 있고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난방/취사용 가스만이 사용되는 경우나 전력용 가스만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측의 밸브(V1,V2 또는 V3,V4)와 다이어프램(D1,D2 또는 D3,D4)및 적산표시부(5 또는 6)은 작동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가스미터기에서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난방/취사용과 발전용 가스가 동시에 사용될 경우 소비된 가스량을 외부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가스가 가스입구(1)를 통해 분배실(2)로 도입되어 밸브 (V1,V2,V3,V4)의 개폐동작과 다이어프램(D1,D2,D3,D4)의 펌핑운동에 의해 가스 출구(3,4)로 각각 가스가 공급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의 상태에서는 분배실(2)의 밸브(V1,V3)는 닫힌 상태를 이루고, 다른 밸브(V2,V4)는 열린 상태가 되어 분배실(2)로 공급된 가스가 자체의 압력에 의해 계량실(C2,C4)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 계량실(C2,C4)로 가스가 공급되면 이 계량실 (C2,C4)의 중간부에 설치된 다이어프램(D2,D4)이 화살표방향으로 밀리면서 이 계량실(C2,C4)에 채워져 있던 가스는 열려 있는 밸브(V2,V4)를 통해 각 가스출구(3,4)로 배출된다.
상기 다이어프램(D2,D4)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완전히 밀리게 되면, 다이어프램(D2,D4)에 연결된 레버와 프래그샤프트 및 커넥팅로드를 통해 각각의 적산표시부(5,6)를 구동시켜주게 되면서 동시에 밸브(V1~V4)를 교차적으로 개폐시키주게 되는데, 이때 열려 있던 밸브(V2,V4)는 닫히고 닫혀 있던 밸브 (V1,V3)는 개방상태로 전환되면서 이번에는 분배실(2)로 공급된 가스가 자체의 압력에 의해 계량실(C1,C3)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 계량실(C1,C3)로 가스가 공급되면 이 계량실(C1,C3)의 중간부에 설치된 다이어프램(D1,D3)이 화살표방향으로 밀리면서 이 계량실(C1,C3)에 채워져 있던 가스는 열려 있는 밸브(V1,V3)를 통해 각 가스출구(3,4)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이어프램(D1,D3)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완전히 밀리게 되면, 이 다이어프램(D1,D3)에 연결된 레버와 프래그샤프트 및 커넥팅로드를 통해 각각의 적산표시부(5,6)를 구동시켜주게 되면서 동시에 밸브(V1~V4)를 다시 교차적으로 개폐시키주게 되는데, 이때 열려 있던 밸브(V1,V3)는 닫히고 닫혀 있던 밸브(V2,V4)는 개방상태로 전환되면서 이번에는 분배실(2)로 공급된 가스가 자체의 압력에 의해 계량실(C2,C4)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 계량실(C2,C4)로 가스가 공급되면 이 계량실(C2,C4)의 중간부에 설치된 다이어프램(D2,D4)이 화살표방향으로 밀리면서 이 계량실(C2,C4)에 채워져 있던 가스는 열려 있는 밸브(V2,V4)를 통해 각 가스출구(3,4)로 배출된다.
또, 상기 다이어프램(D2,D4)이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완전히 밀리게 되면, 이 다이어프램(D2,D4)에 연결된 레버와 프래그샤프트 및 커넥팅로드를 통해 각각의 적산표시부(5,6)를 구동시켜주게 되면서 동시에 밸브(V1~V4)를 또다시 교차적으로 개폐시키주게 되는데, 이때 열려 있던 밸브(V2,V4)는 닫히고 닫혀 있던 밸브(V1,V3)는 개방상태로 전환되면서 이번에는 분배실(2)로 공급된 가스가 자체의 압력에 의해 계량실(C1,C3)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 계량실(C1,C3)로 가스가 공급되면 이 계량실(C1,C3)의 중간부에 설치된 다이어프램(D1,D3)이 화살표방향으로 밀리면서 이 계량실(C1,C3)에 채워져 있던 가스는 열려 있는 밸브(V1,V3)를 통해 각 가스출구(3,4)로 배출되면서 다시 상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되면서 이와 같은 사이클을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됨으로써 난방/취사용 설비와 발전설비로의 가스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3a,3b,3c,3d는 상기한 도 2a 내지 도 2d의 각 작동상태에서 동력전달기구를 통한 밸브개폐 및 적산표시부로의 구동력전달상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적인 평단면도로서, 다이어프램(D1,D2,D3,D4)의 펌핑동작에 의한 밸브(V1,V2,V3,V4)의 개폐작동과 도시안된 적산표시부(5,6)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기구는 일정각도로 정역회전동작하는 프래그샤프트(S), 이 프래그샤프트(S)의 상단에 부착된 커넥팅 로드(R), 이 커넥팅 로드(R)의 말단에 부착된 크랭크(K)및 크랭크 축(I)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동력전달구조는 기존의 기계식 가스미터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각 적산표시부(5,6)를 위하여 2개의 동력전달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차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미터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블록화 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스입구(1)에서 공통의 분배실(2)로 가스가 유입되어 이 분배실(2)에서 각각의 밸브(V1,V2,V3,V4)를 통해 각각의 계량실(C1,C2 및 C3,C4)로 가스가 공급되어 다이어프램(D1,D2,D3,D4)에 의해 각 가스출구(3,4)로 가스가 배출되며 이때 각 다이어프램(D1,D2 및 D3,D4)의 펌핑동작에 의해 각각의 적산표시부(5,6)가 구동되어 난방/취사용과 전력용으로 사용된 가스소모량을 구분하여 외부로 표시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가스미터기에서 난방/취사용과 발전용으로 사용된 가스량을 각각 구분하여 적산 표시해 줄 수 있게 되므로 가스배관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2개의 가스미터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설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검침도 한번에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하나의 가스미터기에서 난방/취사용과 발전용 가스의 사용량을 구분하여 별도로 표시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가스미터기는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하나의 가스입구(1)와, 상기 가스입구(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난방/취사용과 발전용의 각 용도별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V1,V2,V3,V4)들이 설치된 분배실(2)과, 상기 밸브(V1,V2,V3,V4)들의 개폐동작에 의해 유입된 가스량을 적산하기 위한 2개의 구분된 계량실(C1,C2,C3,C4)과, 상기 각 계량실(C1,C2,C3,C4)에 유입된 가스가 다이어프램(D1,D2,D3,D4)의 펌핑운동에 의해 난방/취사기와 발전설비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2개의 가스출구(3,4)와, 상기 각 계량실(C1,C2,C3,C4)의 다이어프램(D1,D2,D3,D4)동작에 의해 구동되어 난방/취사용과 발전용으로 사용된 가스량을 표시하기 위한 적산표시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 미터기.
  2. 삭제
KR10-2002-0006539A 2002-02-05 2002-02-05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기 KR10046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39A KR100467742B1 (ko) 2002-02-05 2002-02-05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39A KR100467742B1 (ko) 2002-02-05 2002-02-05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203A KR20030066203A (ko) 2003-08-09
KR100467742B1 true KR100467742B1 (ko) 2005-01-24

Family

ID=3222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39A KR100467742B1 (ko) 2002-02-05 2002-02-05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9191A (zh) * 2021-07-29 2021-11-12 查特深冷工程系统(常州)有限公司 单柱双管双出口lng流量计加气系统及加气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1640A2 (en) * 1979-06-09 1981-01-07 United Gas Industries Limited Dry gas meters
US4422324A (en) * 1981-11-20 1983-12-27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our chamber direct drive gas meter
US4706496A (en) * 1986-05-14 1987-11-17 American Meter Company Diaphragm gas meter
US5415032A (en) * 1994-03-02 1995-05-16 Gas Research Institute Gas me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1640A2 (en) * 1979-06-09 1981-01-07 United Gas Industries Limited Dry gas meters
US4422324A (en) * 1981-11-20 1983-12-27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our chamber direct drive gas meter
US4706496A (en) * 1986-05-14 1987-11-17 American Meter Company Diaphragm gas meter
US5415032A (en) * 1994-03-02 1995-05-16 Gas Research Institute Gas 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203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G137818A1 (en) Display device for a portable instrument such as a watch
KR100467742B1 (ko) 용도별 구분계량이 가능한 가스미터기
US9540224B2 (en) Fluid meter with improved piston guidance
CN207161815U (zh) 水龙头及其定量出水控制装置
US9027595B2 (en) Transparent fluid recirculation reservoir system
CN206411285U (zh) 一种降水传感器检测装置
CN109781202B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智能家用燃气表
CN211621770U (zh) 水路系统
EP1514078A2 (en) Device for manufacturing an axial flow meter
CN206387473U (zh) 一种油泵流量测试装置
CN219349690U (zh) 一种过程控制新技术实验平台
RU2779382C1 (ru) Объёмный счётчик газа
JP3495817B2 (ja) ガスメータ
CN2646669Y (zh) 防滴漏双向计量水表
CN206449844U (zh) 一种简易型节能温水器
CN201903174U (zh) 新型节能增压水箱
CN201021898Y (zh) 自来水表辅助装置
Tewolde et al. High-resolution meter reading system for gas utility meter
CN103884404A (zh) 一种交变式流量仪表耐久性实验装置
CN2931856Y (zh) 零部件的寿命试验台
CN214039186U (zh) 一种半导体产线外延炉鼓泡器用恒温控制系统
CN203573414U (zh) 一种可分体安装的预付费热量表
CN2415353Y (zh) 防窃水热水供暖热量表
CN2897098Y (zh) 变功率快速电加热饮水机
CN214584080U (zh) 一种应用在燃气热水炉上的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