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5483B1 -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 Google Patents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483B1
KR100465483B1 KR1020040008808A KR20040008808A KR100465483B1 KR 100465483 B1 KR100465483 B1 KR 100465483B1 KR 1020040008808 A KR1020040008808 A KR 1020040008808A KR 20040008808 A KR20040008808 A KR 20040008808A KR 100465483 B1 KR100465483 B1 KR 10046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y
mixed concrete
weight
fine powder
lime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환
전중기
Original Assignee
넥서스 엠 주식회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서스 엠 주식회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넥서스 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1Organic co-binders for mineral binder compositions
    • C04B2103/0092Organic co-binders for mineral binder compositions for improving green str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2Grinding aids; Additives added during gr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에 관한 것으로, 레미콘 자체의 기본 품질을 보장하면서 유동성 개선, 재료분리 저항성의 향상, 블리딩 억제, 수화발열의 억제, 레미콘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는, 화학성분이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CaCO392.5중량% 이상, MgO 5중량% 이하, SO30.5중량% 이하, Al2O31.0중량% 이하 및 습분 1.0중량% 이하인 석회석 미분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는 분쇄조제, 강도증진제 중 하나 이상이 첨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Admixture of Ready Mixed Concrete Using Limestone Powder}
본 발명은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미콘의 혼합재로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하여 개선된 품질의 레미콘을 제공함과 아울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국내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시장은 줄곧 향상 일로에 있으며, 시멘트 업계는 생산량을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생산원가를 절감하려하는 경향이고, 그 차이가 바로 레미콘 혼합재 시장이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혼합재로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미분말 등이 있으며, 이들의 분말도는 3,000∼4,500㎠/g이다. 이 중 플라이애시는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폐기물로서, 저가의 메리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플라이애시를 제품에 적용할 때, 플라이애시의 시멘트 치환량이 시멘트 내할 10중량% 정도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플라이애시의 반응성이 시멘트에 비해 현저히 낮아 10중량% 이상 사용시 콘크리트의 초기강도가 저하되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같은 이유로 고로슬래그미분말 역시 제품에 적용할 때 시멘트 내할 20중량% 정도로 그 시멘트 치환량이 제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로슬래그미분말이나 플라이애시는 현재 레미콘업체에 원가절감 노력과 품질향상 노력에 힘입어 거의 모든 국내업체에서 사용하며 국내의 혼합재 시장에서 성수기에는 품귀현상마저 나타나고 있어, 또다른 시멘트 혼합재의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미콘 자체의 기본 품질을 보장하면서 유동성 개선, 재료분리 저항성의 향상, 블리딩 억제, 수화 발열의 억제, 레미콘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인 석회석 미분말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의 치환율과 AE 감수제의 사용량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의 사용량과 블리딩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가 첨가된 레미콘의 시료와 종래 기술에 따른 레미콘의 재령별 압축강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가 첨가된 레미콘의 단열온도 상승량을 보인 그래프.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는, 화학성분이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CaCO392.5중량% 이상, MgO 5중량% 이하, SO30.5중량% 이하, Al2O31.0중량% 이하 및 습분 1.0중량% 이하인 석회석 미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는 분쇄조제, 강도증진제 중 하나 이상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는, 석회석으로서 그 화학조성은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삼산화황(SO3), 산화알루미늄(Al2O3), 습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석회석의 품위 선정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석회석의 품위가 낮으면, 석회석 미분말 제조시 입도 조정 및 형상 제어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석회석 원료의 화학조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와 같이 석회석의 화학조성은 산화칼슘(CaO) 52.6중량%, 이산화탄소(CO2) 43.79%로 되어 있으나, 천연물질이기 때문에, 일부 불순물로서 Al2O3, SiO2, Fe2O3및 MgO 등과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표 1]
즉,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는, 탄산칼슘(CaCO3) 92.5중량% 이상, 산화마그네슘(MgO) 5중량% 이하, 삼산화황(SO3) 0.5중량% 이하, 산화알루미늄(Al2O3) 1.0중량% 이하, 습분 1.0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며, 미분말로 분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석회석 미분말을 제조할 때, 입도분포, 입자형상, 성분 등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강도증진제 및 분쇄조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석회석 미립분의 입도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쇄조제(예컨대,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DEG)는 석회석 미분말 100중량%에 대하여 0.01~0.20중량%첨가될 수 있다. 분쇄조제 첨가량은 석회석의 품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그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레미콘 혼합재로서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0.20중량% 이상일 경우는 오히려 볼 코팅을 유발하여 입도분포 및 형상의 불균질성을 초래하기 때문에 0.01∼0.20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증진제(예컨대,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 TIPA)는 0.05∼1.0중량% 첨가, 혼합되어 분쇄될 수도 있고, 이 때, 석회석 미분말의 블레인 비표면적은 2,000∼6,000cm2/g인 것이 제공되며, 강도증진제의 첨가에 따라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해 석회석 미분말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분쇄조제가 2000cm2/g미만이면 과다한 양의 분쇄조제가 소요되고, 6000cm2/g을 초과하면 교반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1은 블레인 비표면적 4,050cm2/g인 석회석 미분말의 입도분포를 보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미분말의 입도분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평균입경이 약간 작고, 보다 미세한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레미콘 제조시 미분말의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를 첨가하게 되면 레미콘의 작업성 및 충전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해 석회석 미분말을 5∼30중량% 치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유동성 개선, 재료분리 저항성의 향상, 블리딩 억제, 수화 발열의 억제, 레미콘의 제조원가 절감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표 1과 같은 화학조성을 갖는 석회석에 강도증진제(TIPA) 5.0중량%와 분쇄조제(DEG) 0.1중량% 첨가한 후 볼밀에서 분쇄하여 브레인 비표면적 4,050cm2/g 인 석회석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분쇄하여 제조된 석회석 미분말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해 20중량% 치환하여 KS L 5105(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그 결과, 비중 및 비표면적은 비교예인 일반 석회석 미분말과 큰 차이가 없으나, 압축강도 발현율은 물리적인 충전성 향상과 더불어 증진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석회석 미분말을 제조하여 미경화 및 경화 콘크리트의 물리특성을 측정하였다.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및 플라이애시(FA)를 12중량% 대체한 혼합재의 콘크리트 배합설계표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구 분 Gmax(㎜) 목표작업성 W/C(%) S/a(%) W(㎏/㎥) 단위재료량(㎏/㎥)
슬럼프(㎝) 공기량(%) C FA 혼합재 S G
비교예 OPC 25 15±2.5 5±1.5 55.2 49.5 166 300.7 - - 892 959
FA 12% 264.6 36.0 - 885 952
실시예 12% 264.6 - 36.0 889 967
15% 255.6 - 45.1 889 956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를 결합재량에 대해 치환 사용할 경우 증가하고,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에서는 그 유동속도도 증대된다. 특히 결합재량이 많은 콘크리트의 경우 유동성 및 변형성의 개선효과가 크다.
또한, 혼화재의 흡착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동일한 작업성을 얻기 위해 필요한 혼화제의 사용량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작아 도 2와 같이 단위수량 저감효과를 가져온다. 즉, 혼화재 사용량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단독의 경우보다 AE 감수제의 경우 10%정도, 고성능AE 감수제의 경우 20%정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가 사용된 콘크리트는 블리딩수의 이동속도를억제하기 때문에 도 3처럼 사용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하여 블리딩양은 감소하고, 블리딩 속도도 작아진다.
또한, 콘크리트의 응결은 도 4와 같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초결 및 종결이 약간 지연되는 특성이 있다.
경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그 결과 플라이애시와 동등 이상의 강도발현을 보이고, 일반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강도발현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반 석회석 미분말을 치환 사용함에 따라 물결합재비가 높아지며 자연히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나, 본 발명의 경우 강도증진제 및 물리적인 충진작용, 각종 칼슘알루미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하여 플라이애시와 같이 포졸란 반응과 비슷한 강도 발현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6과 같이 수화발열량이 감소되며, 최종 단열온도 상승량은 결합재의 종류 및 사용량에 영향을 받지만, 결합재 중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의 사용량만큼 수화열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보다 낮은 단열온도 상승량을 나타내고 수화열 저감에 의한 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에 의하면, 보통 콘크리트 결합재의 10∼30중량% 만 사용함으로써 유동성 향상, 블리딩 억제 및 수화열 억제 등의 효과가 있으며, 잔골재 대체재로 사용할 경우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교각, LNG 탱크 저판 및 측벽, 지중연속벽, 건물 기초 등 크기가 큰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고유동 콘크리트 그리고 고강도 콘크리트 등에 본 발명의 혼합재를 일부 치환 사용하면 시멘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고유동 콘크리트는 재료분리저항성을 유지하면서 유동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하여 다짐이 필요 없이 구조물에 타설 할 수 있는 신 개념 콘크리트로써 상기의 물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분체량이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다량으로 소요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고가의 증점제 사용 없이 본 발명품을 결합재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수화열 발생을 억제하면서 소요의 유동성 및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용 충전재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혼합재가 치환 사용할 경우 공극 충전 효과, 결합재의 분산, 블리딩 억제에 따른 내부 결함 감소 등에 의해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장제품의 고유동 콘크리트의 결합재로 사용함으로써 재료분리저항성 및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분쇄조제, 강도증진제가 혼합된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에 있어서,
    화학성분이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CaCO392.5중량% 이상, MgO 5중량% 이하, SO30.5중량% 이하, Al2O31.0중량% 이하 및 습분 1.0중량% 이하이며 블레인 비표면적 2,000∼6,000㎠/g인 석회석 미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제는 상기 석회석 미분말 100중량%에 대하여 0.01∼0.20중량%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증진제는 상기 석회석 미분말 100중량%에 대하여 0.05∼1.0중량%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5. 삭제
KR1020040008808A 2004-02-10 2004-02-10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KR10046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08A KR100465483B1 (ko) 2004-02-10 2004-02-10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08A KR100465483B1 (ko) 2004-02-10 2004-02-10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483B1 true KR100465483B1 (ko) 2005-01-13

Family

ID=3738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808A KR100465483B1 (ko) 2004-02-10 2004-02-10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4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209B1 (ko) * 1989-10-06 1998-10-15 스티븐 티. 트링커 강도 증진 배합 시멘트 및 포트랜드 시멘트 조성물
KR100222776B1 (ko) * 1997-10-31 1999-10-01 명호근 폐부동액을 이용한 광물의 미분쇄방법
KR20030092712A (ko) * 2002-05-31 2003-1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석회석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209B1 (ko) * 1989-10-06 1998-10-15 스티븐 티. 트링커 강도 증진 배합 시멘트 및 포트랜드 시멘트 조성물
KR100222776B1 (ko) * 1997-10-31 1999-10-01 명호근 폐부동액을 이용한 광물의 미분쇄방법
KR20030092712A (ko) * 2002-05-31 2003-1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석회석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4574B2 (ja) 高流動性コンクリート用セメント組成物および高流動性コンクリート組成物
Türkel et al. The effect of limestone powder, fly ash and silica fume on the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repair mortars
Khalil et al. Beneficiation of the huge waste quantities of barley and rice husks as well as coal fly ashes as additives for Portland cement
CN113213788A (zh) 一种少硅酸盐熟料组分复合水泥及其制备方法
KR19980065526A (ko) 다기능성 고성능몰탈의 조성물
KR20060104990A (ko) 시멘트용 응결 촉진제
CN112441760A (zh) 喷射混凝土用复合掺和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875322A (zh) 一种多组分混凝土复合修补砂浆
CA1095540A (en) Binding agent based on cement clinker
JP2004292307A (ja) 水硬性組成物
CN108249849B (zh) 一种高石灰石粉掺量绿色混凝土
CN107021698A (zh) 一种碾压混凝土及其制备方法
JP2000281399A (ja) セメントクリンカ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7436249B2 (ja) セメントクリンカー
JP2003137618A (ja) 無機混和材を含有する高炉スラグ微粉末、高炉セメント、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1240445A (ja) 水硬性組成物
JP4157662B2 (ja) セメントクリンカ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2005324982A (ja) 超速硬性セメント組成物
JPH10330135A (ja) セメントクリンカー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7369849B2 (ja) セメント組成物
KR100465483B1 (ko)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레미콘 혼합재
KR100978842B1 (ko) 비시멘트계 초속경 분말 조성물
KR20040065100A (ko) 재생골재콘크리트의 제조방법
JP7315496B2 (ja) 高炉セメントの製造方法
KR101111635B1 (ko) 탄닌을 이용한 저알칼리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6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