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3817B1 -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817B1
KR100463817B1 KR10-2001-0064192A KR20010064192A KR100463817B1 KR 100463817 B1 KR100463817 B1 KR 100463817B1 KR 20010064192 A KR20010064192 A KR 20010064192A KR 100463817 B1 KR100463817 B1 KR 10046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signal line
voltage
positive
nega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3426A (ko
Inventor
아소유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81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주사신호선 방향에 인접하는 2화소 분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선을 1조로서,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에 각각의 조에 해당하는 단위블록을 제공한다. 각 단위블록에는, 정극성용 레벨시프터, D/A 변환회로 및 전압 폴로워로 구성되는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용 레벨시프터, D/A 변환회로 및 전압 폴로워로 구성되는 부극성 계통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정극성용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 및 상기 부극성용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를, 각각 정극성/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의 고전압측의 반 및 저전압측의 반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단위블록에는 디지털 화상신호를 상기 2계통으로 나누는 셀렉터 및 스위치와, 상기 2개의 전압 폴로워의 출력에 대응하는 화소로 나누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전압 폴로워를 제공하면서 저소비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DATA SIGNAL LINE DRIVING CIRCUIT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매트릭스형 화상표시장치의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 등의 주사신호선 및 데이터신호선을 사용하는 매트릭스형 화상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교류구동이 행해진다. 이러한 화상표시장치 중, 디지털 화상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디지털방식의 화상표시장치의 대부분은 교류구동을 위해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에서 데이터신호선 각각에 대하여 D/A 변환회로의 후단에 정극성 및 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압 폴로워(출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 D/A 변환회로는 정극성 및 부극성의 양 전압범위에 대응시필 필요가 있어 회로규모가 커지므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7-26765호(공개일: 1997.1.28)에는, 인접하는 2개의 데이터신호선에 대하여 정극성용 출력증폭기를 포함한 처리회로와 부극성용 출력증폭기를 포함한 처리회로를 1개씩 제공하고, 각 처리회로에 대한 입력원과 각 처리회로로부터의 출력단을 상기 데이터신호선들의 극성이 다르도록 절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10075호(공개일: 2000.1.14)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7-281930호(공개일: 1997.10.31)에도 동일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9-73164호(공개일: 1999.3.16)에는, 액정패널 상하에 출력버퍼를 포함한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를 배치하여, 일방을 정극성용, 타방을 부극성용으로 함과 동시에, 일방이 홀수 번째의 데이터신호선을 구동할 때 타방이 짝수 번째의 데이터신호선을 구동하도록 접속이 절환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6-137443호(공개일: 1996.5.31)에는, 화소어레이의 상하에 각각 정극성용 증폭기와 부극성용 증폭기를 포함한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를 구비하여, 일방이 홀수 번째의 데이터신호선, 타방이 짝수 번째의 데이터신호선을 서로 극성이 다르도록 구동함과 동시에, 1필드마다 극성을 반전시키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의 휴대정보단말기로 대표되는 배터리 구동장치용 화상표시장치에는,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저소비전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에서는, 전압 폴로워의 바이어스전류의 총합이 크고 소비전력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상신호의 처리회로가 다수 존재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의 회로규모가 역시 크고, 고해상도의 화상표시장치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면서 저소비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 외에 화상표시장치의 고해상도화를 도모할 수 있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사신호선과 데이터신호선을 갖는 화상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신호선에, 입력된 디지털 화상신호를 D/A 변환하여 얻어지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전압 폴로워를 통해, 인접하는 상기 데이터신호선들의 소정 전압에 대한 전압극성을 반전함과 동시에, 동일의 상기 데이터신호선들의 상기 전압극성이 소정 주기마다 반전하는 극성관계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로서, 상기 전압극성의 정극성용 D/A 변환회로와 정극성용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는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용 D/A 변환회로와 부극성용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는 부극성 계통이 연속하는 3개 이상의 소정 개수의 상기 데이터신호선들을 1조로하여 각 조에 대하여 1개씩 제공되고, 정극성용의 상기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는 정극성/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의 고전압측의 반에 있고 부극성용의 상기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는 정극성/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의 저전압측의 반에 있으며, 입력되는 상기 각각의 디지털 화상신호를 상기 극성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상기 정극성 계통과 상기 부극성 계통에 1주사기간으로 분할하여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선택회로와, 상기 각 전압 폴로워의 출력신호가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신호선의 순서로 병렬로 출력되도록 경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속하는 3개 이상의 소정 개수의 데이터신호선으로 구성되는 각 조에 대하여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을 1개씩 제공하여, 선택회로에 의해 각각의 계통에, 1조로 입력되는 복수의 디지털 화상신호를 1주사기간에 순차적, 선택적으로 입력함과 동시에, 절환회로에 의해 각각의 전압 폴로워의 출력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신호선의 순서로 병렬로 출력한다. 또한, 전압 폴로워를 정극성용과 부극성용으로 분리하여 제공하고, 각각의 전원전압범위를, 정극성/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를 사용하는 경우의 고전압측의 반과 저전압측의 반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입력되는 모든 디지털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전압 폴로워가 1조의 데이터신호선의 총수보다도 적은 수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데이터신호선에 전압 폴로워가 제공되는 경우에 비해 전압 폴로워의 총수가 적어짐과 동시에, 각 전압 폴로워의 바이어스전류도 억제된다. 따라서, 전압 폴로워의 바이어스전류의 총합은 감소된다.
이상으로부터,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면서 저소비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디지털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계통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보다 작은 피치의 데이터신호선을 갖는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표시장치의 고해상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외에, 상기 정극성 계통과 상기 부극성 계통이, 연속하는 소정 짝수 개의 상기 데이터신호선을 1조로서 각 조에 대하여 1개씩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신호선의 1조가 4개 이상의 소정 짝수 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통 중 어느 하나가 사용중인 때, 타방 계통에는 대기소비전력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외에, 상기 정극성 계통과 상기 부극성 계통이 상기 주사신호선 방향에 인접하는 RGB의 3개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화소 2개 분의 상기 데이터신호선을 1조로서 각 조에 대하여 1개씩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2 화소 분의 데이터신호선으로 구성되는 각 조에 대하여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을 1개씩 제공하기 때문에, 선택회로에 의한 선택입력동작 및 절환회로에 의한 절환 동작을 RGB 각각의 색 단위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칼라표시의 화상표시장치에 탑재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가 된다.
또한, 상기 구성 외에, 전술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의 출력신호가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신호선에 출력되도록 상기 절환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데이터신호선간의 접속경로를 절환하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의 출력신호를 디멀티플렉서에 의해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에 출력하여 화상표시를 행하기 때문에, 1주사기간에 절환회로로부터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시계열로 분할출력되는 경우,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으로의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소비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의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블록도이다.
도3은 도1의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는 도3의 화상표시장치의 화소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구현하는 1 실시예에 대해, 도1 내지 4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화상표시장치의 일례로서 액정표시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는 화소의 스위칭소자로서 TFT(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디지털 액정표시장치이다. 액정표시장치(1)는 화소어레이(2),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 및 주사신호선 구동회로(4)를 포함한다. 또한, 화소어레이 (2)에는 다수의 데이터신호선(SLi(i=1,2,…,n))과 다수의 주사신호선 (GLj(j=1,2, …,m))이 서로 교차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데이터신호선 (SLi,SLi+1)과 인접하는 2개의 주사신호선(GLj,GLj+1)으로 둘러 쌓인 부분에 화소(2a)가 제공되고, 복수의 화소(2a)가 전체로서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클록신호(CKS), 스타트신호(SPS) 및 디지털 화상신호(DAT)를 수신한다.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는 1수평주사 기간의 디지털 화상신호(DAT)가 입력되면 이를 기억하여, 이들의 디지털 데이터를 후술하는 D/A 변환회로에 의해 아날로그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후술하는 전압 폴로워를 통해 각각의 데이터신호선(SLi)에 기입한다. 또한, 주사신호선 구동회로(4)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클록신호(CKG) 및 스타트신호(SPG)를 수신한다. 주사신호선 구동회로(4)는 상기 클록신호(CKG) 등의 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주사신호선(GLj)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각 화소(2a) 내에 제공된 스위칭소자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각 데이터신호선(SLi)에 기입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각 화소(2a)에 기입함과 동시에 각 화소(2a)에 유지시킨다.
도4는 화소(2a)의 구성을 도시한다. 각각의 화소(2a)는, 스위칭소자로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특히 TFT)(5)와 화소용량을 포함하고 있다. 화소용량은, 액정용량(CL)과 필요에 따라 부가되는 보조용량(CS)으로 구성된다. 도4에서, 화소용량의 일 전극(화소전극)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의 드레인 및 소스를 통해 데이터신호선(SLi)에 접속된다. 또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의 게이트는 주사신호선(GLj)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용량의 다른 전극은 모든 화소(2a)에 공통된 공통전극선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화소(2a)를 구성함으로써, 주사신호선(GLj)을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의 게이트에 선택전압을 인가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5)를 도통시키고, 데이터신호선(SLi)을 통해 각 액정용량(CL)의 전압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액정의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변조되어 화상표시가 행해진다.
다음에,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는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을 필드마다 반전하는(역극성으로 하는) 교류구동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반전방식에는 1수평주사기간마다 일 타이밍에 반전하는 라인반전방식, 인접하는 데이터신호선(소스버스라인)마다 반전하는 소스반전방식, 및 좌우상하의 모든 인접 화소(도트)를 반전하는 도트반전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소비전력화의 효과가 가장 큰 소스반전방식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소스반전방식의 경우, 1개의 데이터신호선(SLi)에 접속되는 화소 전압의 극성은, 상기 공통전극선의 전압에 대해 동일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표시가 유사한 통상의 화상신호의 경우, 데이터신호선(SLi)의 전위는 그 직전의 전위와 거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전하의 극히 일부만이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로부터 부가되면 충분하므로, 라인반전방식이나 도트반전방식에 비해 화상신호를 액정에 기입하기 위한 소비전력은 매우 작게 된다.
도1은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를 구성하는 단위블록(3(k,k+1))의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 화소어레이(2)에서는, 주사신호선(GLj) 방향에 인접하는 RGB의 각 화소(2a)를 부화소로 하고, 상기 3개의 부화소로 1개의 화소를 구성한다. 단위블록(3(k,k+1))은, 화소어레이(2)의 주사신호선(GLj) 방향 단부, 예컨대 도3의 좌단으로부터 k(홀수) 번째의 화소(k) 및 k+1(짝수) 번째의 화소(k+1)에 접속되는 총 6개의 데이터신호선(SLi)을 1조로서 각 조에 대하여 제공된다. VGA의 경우,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에 320개의 단위블록(3(k,k+1))이 제공되고, SVGA의 경우,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에 400개의 단위블록(3(k,k+1))이 제공된다. 또한, 복수의 단위블록(3(k,k+1))을 IC로서 단일 패키지화할 수 있다.
단위블록(3(k,k+1))은 셀렉터(31a,31b), 스위치(32a,32b), 레벨시프터 (33a,33b), D/A 변환회로(34a,34b), 전압 폴로워(35a,35b) 및 아날로그 스위치(36)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 레벨시프터(33a), D/A 변환회로(34a) 및 전압 폴로워 (35a)는 정극성 전용의 화상신호 처리회로로서 정극성 계통을 구성한다. 레벨시프터(33b), D/A 변환회로(34b) 및 전압 폴로워(35b)는 부극성 전용의 화상신호 처리회로로서 부극성 계통을 구성한다. 또한, 셀렉터(31a,31b)의 전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회로 및 홀드메모리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외부의 제어회로로부터 주어지는, 화소(k)의 디지털 화상신호(Rk,Gk,Bk)와, 화소(k+1)의 디지털 화상신호 (Rk+1,Gk+1,Bk+1)를 유지한다.
셀렉터(31a,31b) 및 스위치(32a,32b)는 상기 디지털 화상신호(Rk,Gk,Bk, Rk+1,Gk+1,Bk+1)의 그룹으로부터, 표시 순서와 그 극성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에 상기 선택된 소정의 신호를 입력한다. 극성관계는, 인접하는 데이터신호선(SLi,SLi+1)의 극성이 공통전극선의 전압(소정전압)에 대해 전압극성이 반전함과 동시에, 동일 데이터신호선(SLi)의 상기 전압극성이 소정 주기마다 반전하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일정 1수평주사기간(1주사기간)에 디지털 화상신호(Rk,Bk,Gk+1)에 대하여 정극성의 처리를 함과 동시에, 디지털 화상신호(Gk,Rk+1,Bk+1)에 대하여 부극성의 처리를 하는 경우, 최초의 3분의 1의 수평주사기간에 도1에 나타낸 2비트 정렬제어신호(SORT CNTL)에 근거하여, 셀렉터 (31a,31b)는 디지털 화상신호(Rk,Rk+1)를 각각 선택한다. 또한, 극성반전신호(POL INV)에 근거하여, 스위치(32a)는 셀렉터(31a)의 출력단자와 레벨시프터(33a)의 입력단자를 접속함과 동시에, 스위치(32b)는 셀렉터(31b)의 출력단자와 레벨시프터 (33b)의 입력단자를 접속한다.
다음의 3분의 1의 수평주사기간에서, 스위치(32a,32b)의 동작은 변하지 않으며, 셀렉터(31a,31b)는 디지털 화상신호(Gk+1,Gk)를 각각 선택한다. 또한, 최종 3분의 1의 수평주사기간에서, 스위치(32a,32b)의 동작은 변하지 않으며, 셀렉터 (31a,31b)는 디지털 화상신호(Bk,Bk+1)를 각각 선택한다. 상기 극성은 소정 주기로, 예컨대 필드마다 반전된다. 상기 반전시, 극성반전신호(POL INV)가 바뀌는 것에 의해, 스위치(32a)가 셀렉터(31b)의 출력단자와 레벨시프터(33a)의 입력단자를 접속함과 동시에, 스위치(32b)는 셀렉터(31a)의 출력단자와 레벨시프터(33b)의 입력단자를 접속한다. 따라서, 셀렉터(31a,3lb) 및 스위치(32a,32b)는 입력된 각각의 디지털 화상신호가 전술한 극성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정극성 계통 또는 부극성 계통에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선택회로로서 기능한다.
상기와 같이 정극성 계통 또는 부극성 계통에 입력된 디지털 화상신호에 대해, 레벨시프터(33a,33b)는 전압레벨의 변환을 행하며, D/A 변환회로(34a,34b)는아날로그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그 후,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정극성 데이터 또는 부극성 데이터로서 전압 폴로워(35a,35b)에 각각 입력된다.
도2는 전압 폴로워(35a,35b) 및 아날로그 스위치(36)의 구성을 도시한다. 소스반전방식에서 상기 공통전극선의 전압(공통전위)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극성 및 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를 사용하는 경우, +V/2 및 -V/2의 아날로그 화상신호의 전압범위가 정극성측과 부극성측에 각각 생성되며, 이로써 전압 폴로워의 바이어스전류에 의한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극성용 전압 폴로워(35a)의 전원 전압범위는 V/2와 V사이로서 정극성/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의 고전압측의 반인 반면, 부극성용 전압 폴로워(35b)의 전원 전압범위는 GND와 V/2사이로서 정극성/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의 저전압측의 반이다. 이에 의해, 각 전압 폴로워의 바이어스전류에 의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아날로그 스위치(36)는, 전압 폴로워(35a)로부터 출력되는 정극성의 아날로그 화상신호와, 전압 폴로워(35b)로부터 출력되는 부극성의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SLi)의 순서로 병렬로 출력되도록, 즉 정극성 및 부극성의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표시될 화소(k,k+1)에 출력되도록 경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로서 기능한다.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36)는 n채널 MOSFET(36a,36c,36e,36g) 및 p채널 MOSFET(36b,36d,36f,36h)을 포함한다.
n채널 MOSFET(36a)의 드레인과 p채널 MOSFET(36b)의 소스는 서로 접속되며, 그 접속점은 전압 폴로워(35a)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n채널 MOSFET(36a)의 소스와 p채널 MOSFET(36b)의 드레인은 서로 접속되며, 그 접속점은 홀수 번째의 화소(k)에 대한 출력단자이다.
n채널 MOSFET(36c)의 드레인과 p채널 MOSFET(36d)의 소스는 서로 접속되며, 그 접속점은 전압 폴로워(35a)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n채널 MOSFET(36c)의 소스와 p채널 MOSFET(36d)의 드레인은 서로 접속되며, 그 접속점은 짝수 번째의 화소(k+1)에 대한 출력단자이다.
n채널 MOSFET(36e)의 드레인과 p채널 MOSFET(36f)의 소스는 서로 접속되며, 그 접속점은 전압 폴로워(35b)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n채널 MOSFET(36e)의 소스와 p채널 MOSFET(36f)의 드레인은 서로 접속되며, 그 접속점은 홀수 번째 화소(k)에 대한 출력단자이다.
n채널 NIOSFET(36g)의 드레인과 p채널 MOSFET(36h)의 소스는 서로 접속되며, 그 접속점은 전압 폴로워(35b)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n채널 MOSFET(36g)의 소스와 p채널 MOSFET(36h)의 드레인은 서로 접속되며, 그 접속점은 짝수 번째 화소(k+1)에 대한 출력단자이다.
또한, n채널 MOSFET(36a,36g) 및 p채널 MOSFET(36d,36f)의 각각의 게이트에는 ON/OFF 신호(Φ)가 인가되도록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n채널 MOSFET(36c,36e) 및 p채널 MOSFET(36b,36h)의 각각의 게이트에는 ON/OFF 신호(Φ)와 극성이 반대인 ON/OFF 신호(/Φ(Φ바))가 인가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전압 폴로워(35a,35b) 및 아날로그 스위치(36)에서, 전압 폴로워(35a)로부터 홀수 번째 화소(k)에 속하는 부화소의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출력되고, 전압 폴로워(35b)로부터 짝수 번째의 화소(k+1)에 속하는 부화소의 아날로그화상신호가 출력되는 경우(a), ON/OFF 신호(Φ)는 n채널 MOSFET의 문턱값 이상의 정극성 전압이 되며, ON/OFF 신호(/Φ)는 p채널 MOSFET의 문턱값 이하의 부극성 전압이 되고, 이로써 n채널 MOSFET(36a), p채널 MOSFET(36b), n채널 MOSFET(36g) 및 p채널 MOSFET(36h)이 ON 상태가 되고, n채널 MOSFET(36c), p채널 MOSFET(36d), n채널 MOSFET(36e) 및 p채널 MOSFET(36f)은 OFF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전압 폴로워(35a)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아날로그 스위치(36)의 화소(k)에 대한 출력단자에 출력되고, 전압 폴로워(35b)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아날로그 스위치(36)의 화소(k+1)에 대한 출력단자에 출력된다.
또한, 전압 폴로워(35a)에서 짝수 번째 화소(k+1)에 속하는 부화소의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출력되고, 전압 폴로워(35b)에서 홀수 번째의 화소(k)에 속하는 부화소의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출력되는 경우(b), 0N/OFF 신호(Φ,/Φ)의 극성은 전술한 경우(a)와 반대가 되며, 따라서 n채널 MOSFET(36c), p채널 MOSFET(36d), n채널 MOSFET(36e) 및 p채널 MOSFET(36f)은 ON 상태가 되고, n채널 MOSFET(36a), p채널 MOSFET(36b), n채널 MOSFET(36g) 및 p채널 MOSFET(36h)은 OFF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전압 폴로워(35a)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아날로그 스위치(36)의 화소(k+1)에 대한 출력단자에 출력되며, 전압 폴로워(35b)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아날로그 스위치(36)의 화소(k)에 대한 출력단자에 출력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블록(3(k,k+ 1))과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SLi) 사이에는 디멀티플렉서(6k,6k+l)가 제공된다. 디멀티플렉서(6k)의 입력단자는 아날로그 스위치(36)의 화소(k)에 대한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디멀티플렉서 (6k)는 R, G 및 B를 구별하는 신호(RGB CNTL)에 근거하여, 디지털 화상신호 (Rk,Gk,Bk)를 D/A 변환하여 얻어진 아날로그 화상신호(Rk',Gk',Bk')의 부화소에 접속되는 각 데이터신호선(SLi)에 대해 3개의 출력단자들로부터 표시해야 할 것을 선택하고, 이로써 상기 입력단자(화소(k)에 대한 출력단자)와 각각의 데이터신호선 (SLi)간의 접속경로를 절환한다.
디멀티플렉서(6k+1)의 입력단자는 아날로그 스위치(36)의 화소(k+1)에 대한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디멀티플렉서(6k+1)는 신호(RGB CNTL)에 근거하여, 디지털 화상신호(Rk+1,Gk+1,Bk+1)를 D/A 변환하여 얻어진 아날로그 화상신호 (Rk+1',Gk+1',Bk+1')의 부화소에 접속되는 각각의 데이터신호선(SLi)에 대한 3개의 출력단자로부터 표시해야 할 것을 선택하고, 상기 입력단자(화소(k+1)에 대한 출력단자)와 각각의 데이터신호선(SLi)간의 접속경로를 절환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의 각 출력신호가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SLi)에 출력된다.
전술한 액정표시장치(1)의 1수평주사기간에서 셀렉터(31a,31b), 스위치 (32a,32b), 아날로그 스위치(36) 및 디멀티플렉서(6k,6k+1)의 상태에 대해, 표1은 홀수 필드시의 상태예를, 표2는 짝수 필드시의 상태예를 나타낸다.
[표 1]
(주) * "비반전"은 RGB 부화소들의 인접 조들이 반전되지 않음을 가리킨다.
** "반전"은 RGB 부화소들의 인접 조들이 반전됨을 가리킨다.
[표 2]
(주) * "비반전"은 RGB 부화소들의 인접 조들이 반전되지 않음을 가리킨다.
** "반전"은 RGB 부화소들의 인접 조들이 반전됨을 가리킨다.
상기 표1 및 2에서, "SEL"은 셀렉터, "SW"는 스위치(32a,32b의 조합), "ASW"는 아날로그 스위치(36전체의 상태), "DMUX"는 디멀티플렉서를 나타내며, "H"는 수평주사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SEL" 란은 셀렉터(31a,31b)가 각각의 디지털 화상신호(Rk,Gk,Bk,Rk+l,Gk+1,Bk+1)의 그룹으로부터 선택하는 디지털 화상신호를 나타낸다. "DMUX" 란은 아날로그 화상신호(Rk',Gk',Bk',Rk+1',Gk+1',Bk+1')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데이터신호선(SLi)에 대한 절환후의 경로를 나타낸다. 1H이후는, OH와 동일한 상태가 되풀이된다.
또한, 1수평주사기간에서 아날로그 화상신호의 흐름에 대해, 표3은 홀수 필드시의 상태예를, 표4는 짝수 필드시의 상태예를 나타낸다.
[표 3]
[표 4]
상기 표3 및 4에서, "+전압 폴로워 입력" 및 "-전압 폴로워입력" 란은 각각 정극성용 전압 폴로워(35a), 부극성용 전압 폴로워(35b)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1수평주사기간의 3분의 1마다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홀수출력라인" 및 "짝수출력라인" 란은 각각, 도2에 도시된 홀수 번째 화소(k) 또는 짝수 번째 화소(k+1)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의 극성이 1수평주사기간의 3분의 1마다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에는, 홀드메모리 후단의 레벨시프터, D/A 변환회로 및 전압 폴로워를 정극성 전용과 부극성 전용의 두 계통으로 제공하고,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 전체를 통해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을 교대로 배치한다. 또한, 1개의 정극성 계통과 1개의 부극성 계통 각각을, 입력된 디지털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1개의 화상신호 처리회로로서 기능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화상신호 처리회로의 총수는 주사신호선(GLj) 방향의 부화소 조의수와 같게 한다. 예컨대, VGA의 경우 640개의 화상신호 처리회로가 있으며, SVGA의 경우 800개가 있다.
또한, 입력되는 디지털 화상신호(Rk,Gk,Bk,Rk+1,Gk+1,Bk+1)를, 인접하는 데이터신호선(SLi)들의 소정전압에 대한 전압극성이 반전됨과 동시에, 상기 데이터신호선(SLi)들의 전압극성이 소정 주기마다 반전하는 극성관계를 만족하도록,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에 대한 디지털 화상신호(Rk,Bk,Gk+1)의 조합 및 디지털 화상신호(Gk,Rk+1,Bk+1)의 조합에 대하여 1주사기간으로 분할하여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선택회로(셀렉터(31a,31b) 및 스위치(32a,32b))와, 각 전압 폴로워의 출력신호가,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SLi)의 순서로 병렬로 출력되도록 경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아날로그 스위치(36))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1개의 데이터신호선(SLi)에 대하여 1개의 화상신호 처리회로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신호 처리회로의 총수가 3분의 1로 감소한다. 또한, 정극성용 전압 폴로워(35a)의 전원 전압범위 및 부극성용 전압 폴로워(35b)의 전원 전압범위를 각각, 정극성/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의 전원 전압범위의 고전압측의 반, 저전압측의 반으로 한다. 따라서, 액정에 대한 충전량이 적어지는 소스반전방식의 특징을 살리면서, 전압 폴로워에서의 바이어스전류의 총합을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면서 저소비전력화를 꾀할 수 있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상신호 처리회로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종래의 한계 화소 피치의 또한 3분의 1 화소 피치의 데이터신호선(SLi)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표시장치의 고해상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주사신호선(GLj) 방향의 2화소 분에 정극성 계통 및 부극성 계통을 1개씩 제공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연속하는 3개 이상의 소정 개수의 데이터신호선(SLi)을 1조로서, 각 조에 대하여 정극성 계통 및 부극성 계통을 1개씩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 진술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회로는 입력되는 각 조의 각 디지털 화상신호가 상기 극성관계를 만족하도록 1 주사기간에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에 상기 디지털 화상신호를 각각 분할하여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입력되는 모든 디지털 화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1조의 데이터신호선에 대한 전압 폴로워의 총수가 상기 조의 데이터신호선의 수보다 적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데이터신호선에 전압 폴로워가 제공되는 경우에 비해 총수가 적어져, 각 전압 폴로워의 바이어스전류를 억제함과 동시에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상신호 처리회로의 수가 감소하므로, 종래의 한계 화소 피치보다 작은 화소 피치의 데이터신호선을 갖는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을, 연속하는 4개 이상의 소정 짝수 개의 데이터신호선(SLi)으로 구성된 각 조에 대하여 1개씩 제공하는 구성에 의해, 표3 및 표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 모두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방 계통의 사용중에 다른 계통에는 대기 소비전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 계통을, 주사신호선(GLj) 방향에 인접하는 RGB의 3개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화소 2개 분의 데이터신호선(SLi)을 1조로서 각 조에 대하여 1개씩 제공하는 구성에 의해, 선택회로에 의한 선택입력동작 및 절환회로에 의한 절환동작을, RGB 각각의 색 단위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칼라표시의 화상표시장치에 탑재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는, 전술한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3)와,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가,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SLi)에 출력되도록 절환회로의 출력단자와 데이터신호선(SLi)의 접속경로를 절환하는 디멀티플렉서(6k,6k+1)를 포함한다.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를 디멀티플렉서(6k,6k+1)에 의해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SLi)에 출력하여 화상표시를 행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1주사기간에 절환회로에서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시계열로 분할출력되는 경우,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선(SLi)으로의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소비전력화를 꾀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멀티플렉서(k,6k+1)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3)의 일부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상과 같이 소스반전방식에 의한 교류구동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도트반전방식의 교류구동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태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되어 협의로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이하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1. 주사신호선과 데이터신호선을 갖는 화상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신호선에, 입력된 디지털 화상신호를 D/A 변환하여 얻어지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전압 폴로워를 통해, 인접하는 상기 데이터신호선끼리의 소정 전압에 대한 전압극성이 반전함과 동시에, 동일한 상기 데이터신호선의 상기 전압극성이 소정 주기마다 반전하는 극성관계로 출력하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압극성의 정극성용 D/A 변환회로와 정극성용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는 정극성 계통과, 부극성용 D/A 변환회로와 부극성용 전압 폴로워를 포함하는 부극성 계통이, 연속하는 3개 이상의 소정 개수의 상기 데이터신호선을 1조로 하여 각 조에 대하여 1개씩 제공되고,
    정극성용과 부극성용의 상기 전압 폴로워의 각각의 전원전압 범위가 정극성/부극성 겸용의 전압 폴로워의 전원전압 범위의 고전압측의 반, 저전압측의 반이며,
    입력되는 상기 각 디지털 화상신호를 상기 극성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정극성 계통과 상기 부극성 계통에 1주사기간으로 분할하여 선택입력하는 선택회로; 및
    상기 각각의 전압 폴로워의 출력신호가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신호선의 순서로 병렬로 출력되도록 경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성 계통과 상기 부극성 계통은 연속하는 소정 짝수 개의 상기 데이터신호선을 1조로 하여 각 조에 대하여 1개씩 제공되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성 계통과 상기 부극성 계통이 상기 주사신호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RGB의 3개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화소 2개 분의 상기 데이터신호선을 1조로 하여 각 조에 대하여 1개씩 제공되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간은 상기 R의 부화소에 대응하여 제공된 제1 주사기간, 상기 G의 부화소에 대응하여 제공된 제2 주사기간, 및 상기 B의 부화소에 대응하여 제공된 제3 주사기간으로 분할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각 조의 절환회로는, 상기 제1 주사기간에는 R의 부화소에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주사기간에는 G의 부화소에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3 주사기간에는 B의 부화소에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상기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의 출력신호가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신호선에 출력되도록 상기 절환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데이터신호선의 접속경로를 절환하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6. 제4항에 기재된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상기 제1 주사기간에는 상기 절환회로의 각각의 출력단자를 R의 부화소에 대한 데이터신호선에 접속하며, 상기 제2 주사기간에는 대응 출력단자를 G의 부화소에 대한 데이터신호선에 접속하고, 상기 제3 주사기간에는 대응 출력단자를 B의 부화소에 대한 데이터신호선에 접속하도록 접속경로를 절환하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01-0064192A 2000-10-19 2001-10-18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63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9871A JP3638121B2 (ja) 2000-10-19 2000-10-19 データ信号線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JPJP-P-2000-00319871 2000-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426A KR20020033426A (ko) 2002-05-06
KR100463817B1 true KR100463817B1 (ko) 2004-12-29

Family

ID=1879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1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3817B1 (ko) 2000-10-19 2001-10-18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18708B2 (ko)
JP (1) JP3638121B2 (ko)
KR (1) KR100463817B1 (ko)
CN (1) CN1177307C (ko)
TW (1) TW5691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6378B2 (en) 2004-03-16 2010-02-02 Nec Electronics Corporation Drive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6732B (en) * 2001-12-19 2007-09-11 Himax Tech Ltd Method for driving an LCD with a class-A operational amplifier
US7352133B2 (en) * 2002-08-05 2008-04-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JP3659247B2 (ja) * 2002-11-21 2005-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駆動方法
JP4641710B2 (ja) * 2003-06-18 2011-03-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NL1027799C2 (nl) * 2003-12-17 2008-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rkwijzen en systemen voor het aansturen van een weergavepaneel met gedeeld buffer.
JP4367386B2 (ja) * 2004-10-25 2009-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回路、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6267525A (ja) * 2005-03-24 2006-10-05 Renesas Technology Corp 表示装置用駆動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駆動方法
JP4584131B2 (ja) * 2005-04-18 2010-11-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JP4736618B2 (ja) * 2005-08-16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増幅回路および表示装置
JP5059773B2 (ja) * 2005-11-18 2012-10-31 トライデント マイクロ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力消費を低減した液晶ディスプレイ駆動装置
JP2007193237A (ja) * 2006-01-20 2007-08-0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CN100498916C (zh) * 2006-02-13 2009-06-10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的驱动电路
KR101192790B1 (ko) 2006-04-13 2012-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US7821296B2 (en) * 2006-08-04 2010-10-26 Analog Devices, Inc. Stacked buffers
US7911435B2 (en) * 2007-03-28 2011-03-22 Himax Technologies Limited Display and source driver thereof
CN100536134C (zh) * 2007-07-05 2009-09-02 盛群半导体股份有限公司 包含多个电位移转器的集成电路
JP4724785B2 (ja) * 2007-07-11 2011-07-13 チーメイ イノラ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
JP2010041368A (ja) * 2008-08-05 2010-02-18 Nec Electronics Corp 演算増幅回路及び表示パネル駆動装置
JP2010041370A (ja) * 2008-08-05 2010-02-18 Nec Electronics Corp 演算増幅回路及び表示パネル駆動装置
KR20100092738A (ko) 2009-02-13 2010-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374356B2 (ja) * 2009-12-28 2013-12-25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TWI529687B (zh) 2010-06-14 2016-04-1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驅動晶片、面板驅動系統及面板驅動方法
CN102298912B (zh) * 2010-06-24 2014-10-08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芯片、面板驱动系统及面板驱动方法
US9047838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3-column demultiplexers
US9047832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2-column demultiplexers
US9245487B2 (en) 2012-03-14 2016-01-2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loss of transmittance due to column inversion
US9368077B2 (en) 2012-03-14 2016-06-1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liquid crystal display white point using column inversion
US9047826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reordered image data
CN104217691B (zh) * 2014-08-28 2017-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数据驱动电路、显示面板驱动方法及显示装置
FR3047380B1 (fr) * 2016-01-29 2018-05-18 STMicroelectronics (Alps) SAS Detection d'un branchement analogique dans un decodeur video
KR102655655B1 (ko) * 2020-03-18 2024-04-09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레벨 시프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스 드라이버
CN113096613A (zh) * 2021-04-09 2021-07-09 南京芯视元电子有限公司 一种模拟像素电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891A (ja) * 1995-07-18 1997-02-0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方法
KR100209644B1 (ko) * 1996-05-02 1999-07-15 구자홍 액정표시소자 구동회로
JPH11249629A (ja) * 1998-03-05 1999-09-17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KR19990074551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0098331A (ja) * 1998-09-28 2000-04-07 Nec Ic Microcomput Syst Ltd 液晶表示用駆動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41B1 (ko) * 1993-02-09 1998-06-15 쯔지 하루오 표시 장치용 전압 발생 회로, 공통 전극 구동 회로, 신호선 구동 회로 및 계조 전압 발생 회로
JPH08137443A (ja) 1994-11-09 1996-05-31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JPH07219484A (ja) 1994-02-02 1995-08-18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JPH08234237A (ja) 1995-02-28 1996-09-1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433337B2 (ja) 1995-07-11 2003-08-04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用信号線駆動回路
JP3417514B2 (ja) 1996-04-09 2003-06-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3385910B2 (ja) 1997-05-15 2003-03-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
JPH10319424A (ja) 1997-05-23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1173164A (ja) 1997-08-29 1999-03-1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3469764B2 (ja) * 1997-12-17 2003-11-25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KR100530732B1 (ko) * 1998-05-20 2005-11-23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소자 구동 회로,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268904B1 (ko) 1998-06-03 2000-10-16 김영환 Tft-lcd 구동 회로
JP4454705B2 (ja) 1998-06-19 2010-04-21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JP3611293B2 (ja) * 1999-02-24 2005-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891A (ja) * 1995-07-18 1997-02-0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方法
KR100209644B1 (ko) * 1996-05-02 1999-07-15 구자홍 액정표시소자 구동회로
JPH11249629A (ja) * 1998-03-05 1999-09-17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KR19990074551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0098331A (ja) * 1998-09-28 2000-04-07 Nec Ic Microcomput Syst Ltd 液晶表示用駆動電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6378B2 (en) 2004-03-16 2010-02-02 Nec Electronics Corporation Drive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7656419B2 (en) 2004-03-16 2010-02-02 Nec Electronics Corporation Drive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7812804B2 (en) 2004-03-16 2010-10-12 Nec Electronics Corporation Drive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426A (ko) 2002-05-06
US20020074948A1 (en) 2002-06-20
CN1350279A (zh) 2002-05-22
US6518708B2 (en) 2003-02-11
JP2002132221A (ja) 2002-05-09
TW569179B (en) 2004-01-01
JP3638121B2 (ja) 2005-04-13
CN1177307C (zh)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817B1 (ko) 데이터신호선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0445123B1 (ko) 화상 표시 장치
EP0391655B1 (en)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matrix-type LCD apparatus
KR100339799B1 (ko)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5774106A (en) Liquid crystal dr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9036319B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252854B1 (ko) 액정 패널, 데이터 드라이버,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구동 방법
US20070091050A1 (en) Display device
US20080100603A1 (en)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circuit of the same
KR10088499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6232945B1 (en)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JP2005173592A (ja) データ駆動集積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と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KR10054998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70097056A1 (en) Driving method and data driving circuit of a display
KR20010020634A (ko) Lcd패널 구동 회로
US72597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inversion
KR100248133B1 (ko) 다계조 액정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제어하는 화상신호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CN100410997C (zh) 液晶显示装置
KR2002007703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회로
JP4984337B2 (ja) 表示パネルの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US7522147B2 (en) Source driver and data switching circuit thereof
JP4991127B2 (ja) 表示信号処理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864975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01027887A (ja) 平面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283172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