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3180B1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180B1
KR100463180B1 KR10-2002-0028962A KR20020028962A KR100463180B1 KR 100463180 B1 KR100463180 B1 KR 100463180B1 KR 20020028962 A KR20020028962 A KR 20020028962A KR 100463180 B1 KR100463180 B1 KR 10046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emale connector
female
male connec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476A (ko
Inventor
송영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1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착탈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절감이 가능하도록, 윗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이 바닥면과 접하는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하나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암커넥터와, 암커넥터에 삽입되고 암커넥터의 한쪽 옆면에 대응되는 옆면에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수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한 암커넥터의 걸림돌기 및 수커넥터의 결합돌기는 서로 결합되어 걸린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예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커넥터의 한쪽면을 접철식으로 형성하여 착탈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구동 제품에서 인쇄회로기판 사이나 각종 부품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전기 커넥터를 주로 사용한다.
종래 전기 커넥터는 한쌍의 암, 수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암커넥터에는 홈을 형성하고 수커넥터에는 상기한 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를 형성하여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결합할 때에 상기한 돌기가 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것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커넥터에 형성되는 돌기는 신축성이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수커넥터를 암커넥터로 분리할 때에 홈에 걸린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수커넥터의 돌기는 반복하여 체결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수커넥터의 돌기를 탄성력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기 위하여 이중구조로 돌출되므로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
또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커넥터를 조립한 다음에 암커넥터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돌기를 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손가락 등으로 돌기를 눌러 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이 곤란하여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수커넥터의 돌기가 암커넥터의 홈으로 삽입되기 위해서는 돌기가 압축되면서 홈의 모서리를 타넘어가야 하므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손 등의 피부가 수커넥터와 암커넥터 사이에 끼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암커넥터의 한쪽면을 접철식으로 형성하여 수커넥터를 삽입한 다음에 접철식으로 형성한 한쪽면을 열고닫는 것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윗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이 바닥면과 접하는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하나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암커넥터와, 상기한 암커넥터에 삽입되고 상기한 암커넥터의 한쪽 옆면에 대응되는 옆면에는 상기한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수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에서 암커넥터에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 수커넥터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는 서로 결합되어 걸린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예각으로 돌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24)이 바닥면과 접하는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하나이상의 걸림돌기(25)가 형성되는 암커넥터(20)와, 상기한 암커넥터(20)에 삽입되고 상기한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24)에 대응되는 옆면에는 상기한 걸림돌기(25)가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돌기(14)가 형성되는 수커넥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암커넥터(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5) 및 수커넥터(1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4)는 서로 결합되어 걸린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예각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걸림돌기(25)는 바닥면쪽으로 향하여 날카롭게 돌출하는 예각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결합돌기(14)는 개방된 쪽을 향하여 날카롭게 돌출하는 예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면 걸림돌기(25)가 결합돌기(14)에 갈고리방식으로 결합되어 용이하게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수커넥터(10)에 결합돌기(14)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결합돌기(14) 대신에 예각으로 경사지게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24)은 바닥면에 한쪽 모서리가 굽힘과 펴짐이 자유롭게 얇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힌지핀 등을 이용하여 한쪽 모서리가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24) 상단에는 상기한 수커넥터(10)가 결합되어 닫힌 상태에서 손가락 끝부분이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 끝부분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개방홈(2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커넥터(10)에는 복수의 전선(18)이 연결되고, 상기한 암커넥터(20)는 인쇄회로기판(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수커넥터(10)의 몸체(12) 내부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전선(18)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암단자가 설치되고, 상기한 암커넥터(20)의 몸체(22) 내부에는 상기한 수커넥터(10)의 암단자와 결합되는 수단자가 설치된다.
상기에서는 암커넥터(20)를 인쇄회로기판(2)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수커넥터(10)와 같이 전선이 연결되어 공중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2)에 고정 설치된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24)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한 수커넥터(10)의 암단자를 상기한 암커넥터(20)의 수단자와 결합되도록 삽입한 다음, 상기한 한쪽 옆면(24)을 닫아 상기한 수커넥터(10)의 결합돌기(14)에 암커넥터(20)의 걸림돌기(25)를 갈고리형상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수커넥터(10)의 결합돌기(14)가 암커넥터(20)의 걸림돌기(25)에 걸려있으므로 수커넥터(10)가 암커넥터(2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한 수커넥터(10)를 암커넥터(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끝부분이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한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24)을 바깥쪽으로 밀어 개방시키면, 상기한 걸림돌기(25) 및 결합돌기(14)가약간 변형되면서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24)이 개방된 상태에서 수커넥터(10)를 잡아빼면, 용이하게 암단자와 수단자의 결합이 해제되어 분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24)에는 곡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8)가 형성되는 암커넥터(20)와, 상기한 암커넥터(20)에 삽입되고 상기한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에 대응되는 옆면에는 상기한 걸림돌기(28)가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홈(16)이 형성되는 수커넥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걸림돌기(28)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삽입방향을 따라 점차 돌출되는 높이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양쪽 경사면인 삼각뿔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걸림돌기(28)는 단면이 반원형, 반타원형, 원 또는 타원의 일부, 삼각형 등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한 결합홈(16)은 상기한 걸림돌기(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수커넥터(10)를 암커넥터(20)에 삽입하면, 상기한 걸림돌기(28)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바깥쪽으로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24)이 팽창되면서 수커넥터(10)의 끝면모서리가 타넘어가게 되고, 상기한 걸림홈(16)에 걸림돌기(28)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한쪽 옆면(24)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수축되어 걸림돌기(28)가 걸림홈(16)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걸림돌기(28)가 걸림홈(16)에 삽입되어 걸려 있으므로 용이하게 수커넥터(10)가 암커넥터(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다시 상기한 수커넥터(10)를 잡고서 암커넥터(20)로부터 강제로 빼내게 되면, 상기한 암커넥터(20)의 한쪽 옆면(24)이 바깥쪽으로 팽창되면서 상기한 걸림홈(16)으로부터 걸림돌기(28)가 이탈되고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수커넥터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과 암커넥터의 걸림돌기가 매우 단순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금형의 가공이 용이하여 원가절감이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편리성이 크게 증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걸림돌기와 결합돌기의 체결이 갈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암커넥터 몸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돌기가 결합홈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결합력이 확실하게 유지되고 암커넥터로부터 수커넥터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다.

Claims (5)

  1. 윗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이 바닥면과 접하는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하나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암커넥터; 및
    상기한 암커넥터에 삽입되고 상기한 암커넥터의 한쪽 옆면에 대응되는 옆면에는 상기한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수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한 암커넥터의 걸림돌기 및 수커넥터의 결합돌기는 서로 결합되어 걸린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예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암커넥터의 한쪽 옆면 상단에는 개방홈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삭제
  5. 삭제
KR10-2002-0028962A 2002-05-24 2002-05-24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46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962A KR100463180B1 (ko) 2002-05-24 2002-05-24 전기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962A KR100463180B1 (ko) 2002-05-24 2002-05-24 전기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476A KR20030090476A (ko) 2003-11-28
KR100463180B1 true KR100463180B1 (ko) 2004-12-23

Family

ID=3238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962A KR100463180B1 (ko) 2002-05-24 2002-05-24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980B1 (ko) * 2018-09-17 2023-09-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와이어 보호커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84U (ja) * 1991-10-14 1993-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オン型同軸コネクタ
KR950021601U (ko) * 1993-12-22 1995-07-28 코넥터 체결 안전장치
JPH0935586A (ja) * 1995-07-17 1997-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イッチ及びコネクタ
JPH09102364A (ja) * 1995-10-05 1997-04-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19990029834A (ko) * 1997-09-18 1999-04-26 조셉 에스. 로마나우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JP2001015213A (ja) * 1999-06-28 2001-01-19 Yazaki Corp 半嵌合検知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84U (ja) * 1991-10-14 1993-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オン型同軸コネクタ
KR950021601U (ko) * 1993-12-22 1995-07-28 코넥터 체결 안전장치
JPH0935586A (ja) * 1995-07-17 1997-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イッチ及びコネクタ
JPH09102364A (ja) * 1995-10-05 1997-04-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19990029834A (ko) * 1997-09-18 1999-04-26 조셉 에스. 로마나우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JP2001015213A (ja) * 1999-06-28 2001-01-19 Yazaki Corp 半嵌合検知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476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4223A (en) Double terminal stop connector
JPH04306573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JP2003217739A (ja)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GB2130026A (en) Electric connector
CN100444474C (zh) 带锁定机构的连接器
JP2000058199A (ja) コネクタモジュ―ル
JPS6332876A (ja) コネクタ
CN1223486A (zh) 带管状铰链的连接器锁定装置
JP2002025675A (ja) コネクタ
WO2009099748A2 (en) Connector cover
CN203536623U (zh) 连接器保护盖及连接器组件
KR100463180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435756B1 (en) Push-pul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for this assembly
CN205960332U (zh) 转接连接器
JP2700108B2 (ja) コネクタの端子カバー構造
JP4389902B2 (ja) モジュラジャック用爪折れ修復アタッチメント
KR100246005B1 (ko) 와이어 커넥터
JP2897869B2 (ja) 電気コネクタ
JPH0321016Y2 (ko)
JPS6233253Y2 (ko)
TWI504080B (zh) The locking devic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JPH10177884A (ja) 可撓性ケーブルの接続装置
JP3270638B2 (ja) 電気配線用コネクタ
JP3057426U (ja) インレットとアウトレットとの組合わせ
KR100383126B1 (ko) 휴대전화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