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7516B1 -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516B1
KR100457516B1 KR10-2002-0007720A KR20020007720A KR100457516B1 KR 100457516 B1 KR100457516 B1 KR 100457516B1 KR 20020007720 A KR20020007720 A KR 20020007720A KR 100457516 B1 KR100457516 B1 KR 10045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ignal
broadcast
partial
displa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960A (ko
Inventor
김희진
최필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7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516B1/ko
Priority to US10/361,013 priority patent/US20030227570A1/en
Publication of KR20030067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51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방송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a) 제1 방송채널로부터 얻어진 제1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제2 방송채널로부터 얻어진 제2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구성된 PIP(Picture-In-Picture)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소정 방송채널을 시청하면서 다른 방송채널의 대응 화면 중 일부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보다 개선된 화질로 동시에 볼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App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본 발명은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PIP(Picture In Picture) 기술을 바탕으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PIP란 두 개의 방송채널로부터 각각 수신된 방송 신호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PIP 모드에서는 일 방송채널로부터의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진 주 화면과 다른 방송채널로부터의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진 부 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도 1은 PIP 기술을 사용한 종래 디스플레이 방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체 화면은 제1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화면을 가리키고 제2 전체 화면은 제2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화면을 가리키는 것으로, 방송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원하는 스크린 전체를 커버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종래 PIP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2 개의 화면 중 보다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화면은 주 화면이라 하고, 보다 좁은 영역을 차지하는 화면은 부 화면이라 할 때, 제1 전체 화면이 주 화면으로 선택되고 제2 전체 화면이 부 화면으로 선택되면 제1 전체 화면과 제2 전체 화면은 각각 주 화면과 부 화면의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scaling)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본 예에서, 주 화면은 제1 전체 화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할당되므로 제1 전체 화면은 축소되지 않고 그대로 디스플레이되지만 부 화면은 주 화면의 내부의 소정 영역에 주 화면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할당되므로 제2 전체 화면은 부 화면에 맞게 축소되어 표시된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방송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하나의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기초한 방송 화면이라도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의 하단에 실시간으로 주식 정보를 알려주는 띠 형상의 화면이 흘러가도록 구성되는 경우 등이 그것이다. 사용자가 소정 방송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다른 방송채널의 방송 화면 중 일부 영역에 표시된 정보 - 위의 예에서는 주식 정보 - 만을 보기를 원하더라도 종래 PIP 모드를 선택하면 대응 부 화면에는 다른 방송채널의 전체 화면이 축소되어 표시된다. 통상적으로 부 화면의 크기는 주 화면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부 화면에 축소되어 표시된 다른 방송채널의 전체 화면 중 사용자가 보기를 원하는 일부 영역(주식 정보가 표시된 영역)의 크기는 더욱 축소되어 해상도가 저하되므로 해당 정보를 쉽게 알아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부 화면에는 사용자가 보기를 원하지 않는 영역의 정보까지 함께 표시되므로 즉, 주식 정보뿐 아니라 다른 내용까지 함께 표시되므로 화면 구성이 불필요하게 복잡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방송채널의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다른 방송채널의 방송 화면 중 일부 영역에 표시된 정보만을 보다 개선된 화질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 방송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시청하면서 이와 동시에 다른 방송채널의 방송 화면 중 보기 원하는 정보만을 함께 볼 수 있도록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PIP 기술을 사용한 종래 디스플레이 방법을 보여주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장치의 일 예로서 리모트 콘트롤러(3)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1)의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1)의 상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P 화면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IP 화면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IP 화면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방송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 방송채널로부터 얻어진 제1 전체 화면이 주 화면으로, 제2 방송채널로부터 얻어진 제2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 화면이 부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제2 전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띠 형상의 화면이 상기 부분 화면으로 구성된 상기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a2) 상기 제2 전체 화면에 위치한 스톡티커(stockticker) 화면이 상기 부분 화면으로 구성된 상기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 방송채널로부터 수신된 제1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전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체화면 신호를 얻는 단계; (b) 제2 방송채널로부터 수신된 제2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전체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부분화면 신호를 얻는 단계; 및 (c) 상기 전체화면 신호와 상기 부분화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상기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PIP화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제2 전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띠 형상의 화면을 상기 부분 화면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c2) 상기 제2 전체 화면에 위치한 스톡티커 화면을 상기 부분 화면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제1 및 2 방송채널로부터 제1 및 2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닝부; 상기 제1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제1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전체화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제2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분화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전체화면 신호 및 부분화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상기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PIP화면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전체화면 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제2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부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부분화면 신호로서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 전체 화면에 포함된 스톡티커 화면을 상기 부분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부분화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TV 시스템은 셋탑 박스(1) 및 TV(2), 및 리모트 콘트롤러(3)를 포함한다. 셋탑 박스(1) 및 TV(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셋탑 박스(1)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TV(2)로 출력하며, TV(2)는 셋탑 박스(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리모트 콘트롤러(3)에는 각종 기능 버튼 및 제어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3)에 마련된 각종 버튼을 눌러 셋탑 박스(1) 또는 TV(2)를 작동시킨다. 셋탑 박스(1) 및 TV(2)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1, 2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11, 21)는 적외선(IR: Intra Red) 수신장치로 구현되어, 리모트 콘트롤러(3)로부터의 적외선 신호, 즉 사용자의 채널 선택 정보, 제어 명령, 등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셋탑 박스(1)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TV(2)로 제공한다. TV(2)는 셋탑 박스(1)로부터 제공된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셋탑 박스(1)는 본 발명에 따라 PIP 모드에서 2 개의 방송채널로부터 각각 수신된 제1 및 2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PIP화면 신호를 TV(2)로 출력하고 TV(2)는 셋탑 박스(1)로부터 수신된 PIP화면 신호를 사용하여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나아가, 셋탑 박스(1)는 TV(2)에 내장되기도 한다. 셋탑 박스(1)가 TV(2)에 내장되는 경우에는 셋탑 박스라는 별개의 명칭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셋탑 박스(1)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은 TV(2)가 수행하는 것으로 보면 족하다. 나아가, 셋탑 박스(1)의 사용자 입력 수신부(11)와 TV(2)의 사용자 입력 수신부(21)는 하나로 구현된다.
도 3은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장치의 일 예로서 리모트 콘트롤러(3)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콘트롤러(3)에는 온/오프 버튼(31), 4 방향 키(32), 숫자 키 패드(33), TV 버튼(34). PIP 버튼(35), 채널 이동 키(36) 및 볼륨 조정 키(37)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4 방향 키(32)는 현재 선택된 방송채널의 번호를 상향이동하거나 하향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PIP 버튼(35)은 본 발명에 따른 PIP 모드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PIP 버튼(35)을 누른 다음 부 화면으로서 보고자하는 방송채널의 번호를 입력하거나 원하는 방송채널의 번호를 입력한 다음 PIP 버튼(35)을 누르면 해당 방송채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부분 화면이 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다만, PIP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부 화면으로 표시될 방송채널의 선택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리모트 콘트롤러(3)에 마련된 다양한 기능 버튼 중 적어도 일부는 OSD(On Screen Display) 방식의 메뉴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모트 콘트롤러(3)에는 적외선 발생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이에 각 버튼 또는 키가 눌려지면 해당 적외선 신호가 발생되어 셋탑 박스(1) 또는 TV(2)의 사용자 입력 수신부(11 또는 21)로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1)는 튜닝부(12), 신호처리부(13), 및 화면합성부(14)를 포함한다. 튜닝부(12)는 PIP 모드에서 외부의 방송 소스(external broadcasting source) 중 2 개의 방송채널로부터 각각 제1 및 2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처리부(13)는 튜닝부(12)에 의해 수신된 제1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대응 전체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분화면 신호라 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3)는 튜닝부(12)에 의해 수신된 제2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대응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전체화면 신호라 한다. 화면합성부(14)는 신호처리부(1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합성하여,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TV(2)로 출력한다. 이 신호는 PIP화면 신호라고 부른다.
「전체 화면」은 소정 방송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화면을 가리키는 것으로, 화면이 TV(2)의 스크린 전체를 커버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부분 화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붙여진 이름으로,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일부 영역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소정 방송 화면에 소정 방송 프로그램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전체 화면 중 일부 영역에 주식 정보가 중첩되어 표시될 때 주식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만을 의미한다. 「PIP 화면」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으로서 「주 화면」과 「부 화면」으로 구성된다. 「주 화면」은 PIP 화면에서 주로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가리키고 「부 화면」은 주 화면에 매립(embedded)되거나 주 화면과 나란히 배치되어 부수적으로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가리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1)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1)는 튜너(111), 제1 비디오 처리기(122), 제2 비디오 처리기(123), 콘트롤러(100), 및 믹서(131)를 포함한다. 나아가, 오디오 처리기(121)를 더 구비한다.
콘트롤러(100)는 리모트 콘트롤러(3)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대응 제어 명령을 튜너(111), 제2 비디오 처리기(123), 및/또는 믹서(131)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튜너(111)로는 수신해야 할 방송 신호의 방송채널을 알려주는 방송 정보를 전송하고, 제2 비디오 처리기(123)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PIP 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미리 설정된 부분 화면을 얻기 위해 대응 방송 신호를 처리할 것을 명령하며, 믹서(131)로는 본 발명에 따른 PIP 화면을 합성할 것을 명령한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100)는 부분 화면을 얻기 위한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방송채널 별로 대응 부분 화면의 모양 및 크기가 설정된다. 즉, 사용자가 PIP 모드를 선택하여 부분 화면으로 보기를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하면 콘트롤러(100)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른 부분 화면이 표시되도록 튜너(111), 제2 비디오 처리기(123). 및 믹서(131)를 제어한다.
튜너(111)는 본 발명에 따른 PIP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콘트롤러(100)로부터 제공된 채널 정보에 따른 2 개의 방송채널로부터 각각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제1 비디오 처리기(122)는 전체 화면을 위한 비디오 처리기이고, 제2 비디오 처리기(123)는 부분 화면을 위한 비디오 처리기이다. 즉, 제1 비디오 처리기(122)는 튜너(111)에 의해 수신된 제1 방송신호로부터 대응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처리하여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전체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비디오 처리기(123)는 튜너(111)에 의해 수신된 제2 방송신호로부터 대응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처리하여 부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분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비디오 처리기(122)는 제2 방송신호에 따른 제2 전체 화면에 위치한 스톡티커(stockticker) 화면이 부분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2 방송 신호로부터 대응 비디오 신호를 추출한다.
오디오 처리기(121)는 전체 화면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처리한다. 선택적으로, 오디오 처리기(121)는 부분 화면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처리할 수 있다. 믹서(131)는 전체화면 신호와 부분화면 신호를 합성하여, 제1 방송채널로부터 얻어진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서, 제2 방송채널로부터 얻어진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PIP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P 화면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서 표시되고, 제2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제2 전체 화면 중 선택된 부분 화면은 부화면으로서 표시된다. 즉, 제1 비디오 처리기(122)는 제1 방송신호로부터 제1 전체 화면에 해당되는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전체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비디오 처리기(123)는 제2 방송신호로부터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 화면에 해당되는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부분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믹서(131)는 전체화면 신호와 부분화면 신호를 믹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PIP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PIP 화면을 구성하는 부 화면은 제2 전체 화면의 하단에 마련된 띠 형상의 부분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IP 화면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서 표시되고, 제2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제2 전체 화면 중 선택된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제1 비디오 처리기(122)는 제1 방송신호로부터 제1 전체 화면에 해당되는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전체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비디오 처리기(123)는 제2 방송신호로부터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 화면에 해당되는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부분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믹서(131)는 전체화면 신호와 부분화면 신호를 믹스하여 대응 주 화면과 부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PIP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PIP 화면을 구성하는 부 화면은 제2 전체 화면의 우측 절반을 차지하는 부분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IP 화면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서 표시되고, 제2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제2 전체 화면 중 선택된 부분 화면은 부화면으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제1 비디오 처리기(122)는 제1 방송신호로부터 제1 전체 화면에 해당되는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전체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비디오 처리기(123)는 제2 방송신호로부터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 화면에 해당되는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부분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믹서(131)는 전체화면 신호와 부분화면 신호를 믹스하여 대응 주 화면과 부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PIP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PIP 화면을 구성하는 부 화면은 제2 전체 화면의 우측에 위치한 기둥 형상의 부분 화면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부분 화면은 전체 화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부분 화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 화면은 추출된 부분 화면의 100% 배율에 해당하지만 필요에 따라 부분 화면을 축소하거나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축소하거나 확대하여 표시하더라도 종래 PIP 모드와는 구분된다. 왜냐하면 종래 PIP 모드는 전체 화면을 할당된 부 화면에 맞도록 축소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PIP 모드에서는 전체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 화면을 추출한 다음 이를 그대로 표시하거나, 확대 또는 축소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TV 시스템은 제1 방송채널로부터 제1 방송신호를 수신하고수신된 제1 방송신호로부터 제1 전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대응 전체화면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TV 시스템은 제2 방송채널로부터 제2 방송신호를 수신한 다음 수신된 제2 방송신호로부터 제2 전체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대응 부분화면 신호를 생성한다(901단계). TV 시스템은 생성된 전체화면 신호와 부분화면 신호를 합성하여,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서,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902단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TV 시스템은 제1 방송채널로부터 제1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방송신호로부터 제1 전체 화면을 얻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처리한다(1001단계). 다음으로, TV 시스템은 제2 방송채널로부터 제2 방송신호를 수신한 다음 수신된 제2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제2 전체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 화면을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처리한다(1002단계). 제1 전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띠 형상의 화면을 상기 부분 화면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제1 전체 화면에 위치한 스톡티커 화면을 부분 화면으로 추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1001단계 및 1002단계에서 얻어진 신호들을 합성하여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1003단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IP 화면의 구현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a는 주 화면으로서 제1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전체 화면을 나타내며 b는 부 화면으로서 제2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부분 화면으로서의 스톡티커 화면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방송채널의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다른 방송채널의 방송 화면 중 일부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보다 개선된 화질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종래 PIP 모드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PIP 모드에서는 부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전체 화면으로 볼 때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정 방송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이와 동시에 다른 방송채널의 방송 화면 중 보기 원하는 정보만을 보다 개선된 화질로 함께 볼 수 있다.

Claims (10)

  1. 방송신호로부터 얻어진 방송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 방송채널로부터 얻어진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제2 방송채널로부터 얻어진 제2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구성된 PIP(Picture-In-Picture)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3) 상기 제1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한 제1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전체 화면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와, (a4) 상기 제2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한 제2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부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부분 화면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제2 전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띠 형상의 화면이 상기 부분 화면으로 구성된 상기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2) 상기 제2 전체 화면에 위치한 스톡티커(stockticker) 화면이 상기 부분 화면으로 구성된 상기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 방송채널로부터 수신된 제1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전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전체화면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b) 제2 방송채널로부터 수신된 제2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전체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부분화면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체화면 신호와 상기 부분화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상기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PIP화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제2 전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띠 형상의 화면을 상기 부분 화면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2) 상기 제2 전체 화면에 위치한 스톡티커 화면을 상기 부분 화면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처리 방법.
  7. 제1 및 2 방송채널로부터 제1 및 2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닝부;
    상기 제1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제1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전체화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제2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분화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전체화면 신호 및 부분화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부분 화면은 부 화면으로, 상기 제1 전체 화면은 주 화면으로 구성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PIP화면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합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전체화면 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제2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부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부분화면 신호로서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전체 화면과 함께 송출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 전체 화면에 포함된 스톡티커 화면을 상기 부분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부분화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0007720A 2002-02-09 2002-02-09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5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720A KR100457516B1 (ko) 2002-02-09 2002-02-09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10/361,013 US20030227570A1 (en) 2002-02-09 2003-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and broadcast screen obtained from broadcast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720A KR100457516B1 (ko) 2002-02-09 2002-02-09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960A KR20030067960A (ko) 2003-08-19
KR100457516B1 true KR100457516B1 (ko) 2004-11-17

Family

ID=2970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7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7516B1 (ko) 2002-02-09 2002-02-09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227570A1 (ko)
KR (1) KR100457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081B1 (en) 2001-10-18 2006-09-12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127271B1 (en) 2001-10-18 2006-10-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466992B1 (en) 2001-10-18 2008-12-1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29512B1 (en) 2003-02-08 2012-07-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41128B1 (en) 2003-04-03 2012-08-1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090402B1 (en) 2003-09-26 2012-01-03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917167B1 (en) 2003-11-22 2011-03-29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KR100598223B1 (ko) * 2003-12-12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질개선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GB0402637D0 (en) * 2004-02-06 2004-03-10 Nokia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US8041348B1 (en) 2004-03-23 2011-10-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08954B1 (en) 2005-04-08 2012-06-2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WO2008031262A1 (en) * 2006-09-06 2008-03-20 Intel Corporation A media playing tool with a multiple media playing model
US8559983B1 (en) 2007-05-03 2013-10-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890089B1 (en) 2007-05-03 2011-02-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676273B1 (en) 2007-08-24 2014-03-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639214B1 (en) 2007-10-26 2014-01-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72935B1 (en) 2007-10-29 2013-06-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744720B1 (en) 2007-12-27 2014-06-03 Iwao Fujisaki Inter-vehicle middle point maintaining implementer
US8543157B1 (en) 2008-05-09 2013-09-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which notifies its pin-point location or geographic area in accordance with user selection
US8340726B1 (en) 2008-06-30 2012-12-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52307B1 (en) 2008-07-02 2013-05-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CN102905183A (zh) * 2012-10-11 2013-01-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电视分屏观看的方法、机顶盒及电视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1875A (ja) * 1994-10-11 1996-04-30 Eriko Shimizu 立体画像構成方式
JPH09222877A (ja) * 1996-02-16 1997-08-26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装置
KR19980084382A (ko) * 1997-05-23 1998-12-05 배순훈 텔레비전의 부화면 하프블랭킹처리장치
KR20000004900A (ko) * 1995-12-29 2000-01-25 크리트먼 어윈 엠 가변크기의 보조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텔레비젼시스템
KR20000055573A (ko) * 1999-02-08 2000-09-05 구자홍 텔레비젼 수신기에서의 부화면 처리 장치
KR20010081301A (ko) * 2000-02-11 2001-08-29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서브화면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5920A (en) * 1978-02-07 1979-08-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icture display device
JP3256619B2 (ja) * 1993-12-24 2002-02-12 株式会社東芝 文字情報表示装置
JP3393356B2 (ja) * 1995-05-26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5847771A (en) * 1996-08-14 1998-12-08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igital entertainment terminal providing multiple digital pictures
US6055023A (en) * 1996-12-19 2000-04-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Television apparatus for simultaneous decoding of auxiliary data included in multiple television signals
JP3409734B2 (ja) * 1999-04-20 2003-05-2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合成システム及び方法
US6833874B2 (en) * 2001-03-27 2004-12-21 Sony Corporation Ticker tape picture-in-picture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1875A (ja) * 1994-10-11 1996-04-30 Eriko Shimizu 立体画像構成方式
KR20000004900A (ko) * 1995-12-29 2000-01-25 크리트먼 어윈 엠 가변크기의 보조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텔레비젼시스템
JPH09222877A (ja) * 1996-02-16 1997-08-26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装置
KR19980084382A (ko) * 1997-05-23 1998-12-05 배순훈 텔레비전의 부화면 하프블랭킹처리장치
KR20000055573A (ko) * 1999-02-08 2000-09-05 구자홍 텔레비젼 수신기에서의 부화면 처리 장치
KR20010081301A (ko) * 2000-02-11 2001-08-29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서브화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27570A1 (en) 2003-12-11
KR20030067960A (ko) 200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516B1 (ko)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7412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and selecting channel on digital television
KR100816916B1 (ko)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002702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4449996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KR101265609B1 (ko)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US20030074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JPH1132262A (ja) チャンネルプリセット装置
US20090031349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of main screen/sub-scree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1936966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0467616B1 (ko) Epg 조작 방법
EP1406442A2 (en) Teletext-enabled television apparatus
JP4240636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及び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KR0185315B1 (ko) 두화면 동시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기능조정시 메뉴화면표시장치와 메뉴화면표시방법
KR100687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81106A (ja) マルチ画面制御装置,表示装置
KR100456018B1 (ko) 피아이피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및 그의 채널선국방법
KR10065295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프로그램 시청환경 설정방법
KR20040019797A (ko) 휴대용 보조영상표시장치를 가지는 영상표시장치
JP200829491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20704B1 (ko)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영상을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그 방법
KR20010046766A (ko)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JP2006140593A (ja) チャンネル選択装置,チャンネル選択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50046986A (ko) 2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의 장르별 채널 검색 장치및 방법
KR960008069B1 (ko) 화면절환기능을 갖는 채널탐색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