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825B1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50825B1 KR100450825B1 KR10-2002-0071398A KR20020071398A KR100450825B1 KR 100450825 B1 KR100450825 B1 KR 100450825B1 KR 20020071398 A KR20020071398 A KR 20020071398A KR 100450825 B1 KR100450825 B1 KR 1004508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device
- film
- carbon nanotube
- carbon nanotubes
- charge st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elements whose operation depends upon chemical change
- G11C13/02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elements whose operation depends upon chemical change using fullerenes, e.g. C60, or nanotubes, e.g. carbon or silicon nano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10—Resistive cells; Technology aspects
- G11C2213/17—Memory cell being a nanowire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6)
- 기판;상기 기판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연결하며, 전자이동의 채널이 되는 탄소나노튜브;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로부터 유입되는 전하를 저장하는 메모리셀; 및상기 메모리셀의 상부와 접촉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로부터 상기 메모리셀로 유입되는 전하량을 조절하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실리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의 상부에 실리콘 옥사이드막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은,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상부에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절연막;상기 제1절연막의 상부에 증착되며, 전하를 저장하는 전하 저장막; 및상기 전하 저장막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접촉하는 제2절연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1절연막은 상기 전하 저장막과 비슷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2절연막은 상기 전하 저장막의 두 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절연막은 실리콘 옥사이드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 저장막은 실리콘막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 저장막은 15n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 저장막은 전하저장물질로 채워지는 복수개의 나노 도트가 배치되는 다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은,상기 게이트 전극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접촉하는 제3절연막; 및상기 제3절연막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접촉하며, 전하저장물질로 채워지는 복수개의 나노도트가 배치되는 다공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3절연막은 상기 다공막의 두 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3절연막은 상기 다공막과 비슷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3절연막은 실리콘옥사이드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저장물질은 실리콘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다공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나노 도트는 15nm 이하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 기판 상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킨 다음,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전하이동채널로 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탄소나노튜브와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제1단계;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상부에 제1절연막, 전하 저장막 및, 제2절연막을 순서대로 증착한 다음 포토공정을 이용하여 패터닝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접촉하는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상기 제2절연막의 상부에 금속층을 증착한 다음 포토공정을 이용하여 패터닝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로부터 상기 전하 저장막으로 유입되는 전하량을 조절하는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실리콘이고 상기 절연층은 실리콘 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전자빔 리소그라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절연막과 상기 저장막을 비슷한 두께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2절연막은 상기 저장막의 두 배의 두께가 되도록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절연막은 실리콘 옥사이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 저장막은 실리콘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 저장막은 15nm 이하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기판 상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킨 다음,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전하이동채널로 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탄소나노튜브와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제1단계;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의 상부에 제1절연막을 증착하고 양극산화한 다음 식각하여 제1절연막이 산화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노 도트를 가지는 다공막을 형성하는 제2단계;상기 다공막의 상부에 전하저장물질을 증착한 다음 식각하여 상기 나노도트에 전하저장물질을 채우는 제3단계;상기 다공막의 상부에 제2절연막을 증착한 다음, 포토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막, 다공막 및 제2절연막을 패터닝하여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제4단계; 및상기 제2절연막의 상부에 금속층을 증착한 다음 포토공정을 이용하여 패터닝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로부터 상기 다공막으로 유입되는 전하량을 조절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을 실리콘으로 형성하고 상기 절연층을 실리콘 옥사이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전자빔 리소그라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절연막과 상기 다공막의 두께를 비슷하게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2절연막은 상기 저장막의 두께의 두 배가 되도록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절연막은 실리콘 옥사이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 저장 물질은 실리콘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 저장막은 100nm 이하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절연막을 모두 산화시켜 복수개의 나노도트를 가지는 다공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3250805A EP1341184B1 (en) | 2002-02-09 | 2003-02-07 | Memory device utilizing carbon nanotub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memory device |
JP2003030273A JP5165828B2 (ja) | 2002-02-09 | 2003-02-07 | 炭素ナノチューブを用いる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DE60301582T DE60301582T2 (de) | 2002-02-09 | 2003-02-07 | Speicheranordnung mit Kohlenstoffnanoröhr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Speicheranordnung |
CNB031285929A CN1287459C (zh) | 2002-02-09 | 2003-02-09 | 采用碳纳米管的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
US10/361,024 US7015500B2 (en) | 2002-02-09 | 2003-02-10 | Memory device utilizing carbon nanotubes |
US11/352,310 US7378328B2 (en) | 2002-02-09 | 2006-02-13 | Method of fabricating memory device utilizing carbon nanotub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20007709 | 2002-02-09 | ||
KR1020020007709 | 2002-02-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8029A KR20030068029A (ko) | 2003-08-19 |
KR100450825B1 true KR100450825B1 (ko) | 2004-10-01 |
Family
ID=3222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713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0825B1 (ko) | 2002-02-09 | 2002-11-16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5082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105B1 (ko) | 2005-05-09 | 2013-06-28 | 난테로 인크. | 나노튜브 스위치를 이용한 비휘발성 섀도우 래치 |
KR101461688B1 (ko) * | 2006-08-08 | 2014-11-13 | 난테로 인크. | 비휘발성 나노튜브 다이오드 및 비휘발성 나노튜브 블럭과,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7908B1 (ko) * | 2004-11-03 | 2006-1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분자흡착층을 구비한 메모리 소자 |
KR100687100B1 (ko) * | 2005-05-11 | 2007-0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나노선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KR100682952B1 (ko) * | 2005-08-31 | 2007-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나노탄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KR100695167B1 (ko) * | 2006-01-04 | 2007-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불휘발성 탄소나노튜브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방법 |
KR100843336B1 (ko) * | 2006-11-30 | 2008-07-03 | 한국과학기술원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US8063430B2 (en) | 2007-10-18 | 2011-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operating same |
KR100909365B1 (ko) | 2007-12-05 | 2009-07-2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휘발성 유기 쌍안정성 기억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1539669B1 (ko) | 2008-12-16 | 2015-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코어-쉘 타입 구조물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0788A (ko) * | 1999-01-14 | 2000-08-05 | 최규술 | 탄소나노튜브의 선택적 성장을 이용한 수직형 스위칭소자의 제작 |
KR20000050787A (ko) * | 1999-01-14 | 2000-08-05 | 최규술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수직형 스위칭소자의 제작. |
KR20020001260A (ko) * | 2000-06-27 | 2002-01-09 | 윤종용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 크기 수직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
KR20020001259A (ko) * | 2000-06-27 | 2002-01-09 | 윤종용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 크기 수직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
JP2002076324A (ja) * | 2000-08-31 | 2002-03-15 | Fuji Xerox Co Ltd | トランジスタ |
-
2002
- 2002-11-16 KR KR10-2002-0071398A patent/KR10045082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0788A (ko) * | 1999-01-14 | 2000-08-05 | 최규술 | 탄소나노튜브의 선택적 성장을 이용한 수직형 스위칭소자의 제작 |
KR20000050787A (ko) * | 1999-01-14 | 2000-08-05 | 최규술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수직형 스위칭소자의 제작. |
KR20020001260A (ko) * | 2000-06-27 | 2002-01-09 | 윤종용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 크기 수직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
KR20020001259A (ko) * | 2000-06-27 | 2002-01-09 | 윤종용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 크기 수직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
JP2002076324A (ja) * | 2000-08-31 | 2002-03-15 | Fuji Xerox Co Ltd | トランジスタ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105B1 (ko) | 2005-05-09 | 2013-06-28 | 난테로 인크. | 나노튜브 스위치를 이용한 비휘발성 섀도우 래치 |
KR101461688B1 (ko) * | 2006-08-08 | 2014-11-13 | 난테로 인크. | 비휘발성 나노튜브 다이오드 및 비휘발성 나노튜브 블럭과,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8029A (ko) | 2003-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65828B2 (ja) | 炭素ナノチューブを用いる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790859B1 (ko) | 수직 나노튜브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 |
KR100459895B1 (ko) | 퀀텀 도트를 가지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JP4227504B2 (ja) | ナノチューブを用いたメモリ素子 | |
US6472705B1 (en) | Molecular memory & logic | |
US7608883B2 (en) | Transistor for non 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a carbon nanotube channel and electrically floating quantum dots in its gate dielectric | |
US20040144972A1 (en) | Carbon nanotube circuits with high-kappa dielectrics | |
US20110018053A1 (en) | Memory cel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20180037167A (ko)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06107398A1 (en) | Non-volatile memory transistor with nanotube floating gate | |
KR100450825B1 (ko)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US20100208522A1 (en) | Memory device and reading method thereof | |
JP2005347328A (ja) | 記憶素子 | |
KR100652135B1 (ko) | 안정된 다층 양자점을 가지는 유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0744959B1 (ko) | 유기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작 방법 | |
Zhu et al. | Silicon nanowire NVM cell using high-k dielectric charge storage layer | |
KR100652134B1 (ko)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HK1015936B (en) | Memory device | |
HK1015936A1 (en) | Memo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0909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92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