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5380B1 - 수지 충전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것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충전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것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380B1
KR100435380B1 KR10-2001-0042782A KR20010042782A KR100435380B1 KR 100435380 B1 KR100435380 B1 KR 100435380B1 KR 20010042782 A KR20010042782 A KR 20010042782A KR 100435380 B1 KR100435380 B1 KR 100435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hydroxide
hydroxide powder
resin
particle diamete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227A (ko
Inventor
오니시아키라
타카하시유키히코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3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수지 충전시의 점도저감과 고충전이 가능하며, 열경화 수지에 충전한 경우의 경화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35∼150㎛의 범위를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 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10∼35㎛범위를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 및 비표면적이 3.0㎡/g이하이며, 2차 입자 지름이 0.5∼10㎛범위를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의 질량조성비가 도 1에 나타내는 3원 조성도에 있어서, 점α, 점β, 점γ, 점δ의 4점으로 둘러 싸여지고, 또한 선상을 포함하는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Description

수지 충전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것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FINE PARTICLE OF ALUMINIUM HYDROXIDE FOR FILLING RESIN AN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고무 등의 난연용 등으로서 이용되는 수지 충전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것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산화 알루미늄은 고무, 플라스틱에 충전하는 필러로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고무, 에폭시 수지에는 난연제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는 조색필러로서 이용되고 있다.
수산화 알루미늄은 난연제로서 이용되는 경우, 충전량을 증가시키면 난연성능은 향상되나, 성형성이나 혼련 토오크 상승에 의해 성형온도가 상승하여 수산화 알루미늄이 일부 탈수하여 발포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열경화 수지에 충전하는 경우도, 충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재료 비용 절감이 가능하지만, 성형 작업성의 악화, 경화속도가 지연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에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분체를 충전한 수지 조성물은 인조 대리석으로서, 버스탭, 키친카운터 등의 소재에 이용되지만, 천연의 대리석에 가까운 질감(중량감)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지중에 다량의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충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여러가지 기술, 예를 들면 (1)일차입자가 큰 응집조립자 또는 그것을 분쇄한 미립자와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고 평성5-48782호 공보), (2)입자크기나 소다량을 한정한 것을 분쇄하고, 비표면적이 작은 수산화 알루미늄을 얻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고 평성4-664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평성 6-49573호 공보)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1)에 있어서는, 조립자 단독으로는 성형시의 침강에 의한 표면 평활성의 저하나 성형체 강도의 저하라는 결점이 있고, 미립자와 혼합사용한 경우에는, 비표면적의 증가에 따른 경화시간이 길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2)의 경우도 응집입자의 분쇄·해쇄에 의한 비표면적의 증대가 있어 경화시간이 길어지고, 또 단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입자가 미세하므로, 충전량에 한계가 있다.
또, 수지로의 충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방산, 실란커플링제 등으로 표면처리하는 일도 자주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하에서 플라스틱, 고무 등의 수지에 충전하는 종래의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개량하여, 수지에 충전할 때 점도를 저감시키고, 고충전이 가능한 동시에, 열경화 수지로 충전한 경우, 경화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바람직한 성질을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범위에 존재하는 2차 입자 지름과 비표면적을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적어도 2성분 배합(2원계), 특히 바람직하게는 3성분배합(3원계)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로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에 관한 3원 조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에 관한 3원 조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의 일례로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에 관한 3원 조성도를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α----X:Y:Z가 47.5:25.0:27.5인 조성비
β----X:Y:Z가 47.5:50.0:2.5인 조성비
γ----X:Y:Z가 82.5:0.0:17.5인 조성비
δ----X:Y:Z가 72.5:0.0:27.5인 조성비
(1)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가 그 분체 200중량부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리고랙2004WM-2, 쇼와고분시(주)제조) 100중량부에 충전했을 때의 부룩필드형 점도계에 의한 35℃에서의 점도측정에 있어서 200포이즈 미만이 될 수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이며, 또한 그 분체 150중량부를 다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라이트 TP-123, 다이니뽄잉크가가쿠고교(주)제조) 100중량부와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2중량부의 수지 조성물에 충전했을 때의 부룩필드형 점도계에 의한 35℃에서의 점도측정에 있어서, 수지 경화에 의해 점도측정불능이 될 때까지의 경화시간이 20분 미만이 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2)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35∼150㎛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 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10∼35㎛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 및 BET비표면적이 3.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0.5∼10㎛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의 질량조성비가 전체를 100질량%로 한 도 1에 나타내는 3원 조성도에 있어서, 점α(X:Y:Z=47.5:25.0:27.5), 점β(X:Y:Z=47.5:50.0:2.5), 점γ(X:Y:Z=82.5:0.0:17.5), 점δ(X:Y:Z=72.5:0.0:27.5)의 4점으로 둘러싸여지고, 또한 선상을 포함하는 질량조성비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3)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35∼150㎛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 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10∼35㎛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 및 BET비표면적이 3.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0.5∼10㎛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의 질량조성비가 전체를 100질량%로 한 도 2에 나타내는 3원 조성도에 있어서, 점A(X:Y:Z=50.0:25.0:25.0), 점B(X:Y:Z=50.0:45.0:5.0), 점C(X:Y:Z=80.0:0.0:20.0), 점D(X:Y:Z=75.0:0.0:25.0)의 4점으로 둘러싸여지고, 또한 선상을 포함하는 질량조성비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4)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의 2차 입자 지름이 50∼150㎛의 범위에 있고,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의 2차 입자 지름이 10∼25㎛의 범위에 있고,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의 2차 입자 지름이 0.5∼8㎛의 범위에 있는 (2) 또는 (3)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5)(1)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6)(1)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부룩필드형 점도계로 35℃에서 측정했을 때의 점도가 200포이즈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7)(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인조 대리석 형성용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9)(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경화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리고랙 204WM-2, 쇼와고분시(주)제조)100중량부에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200중량부를 충전한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부룩필드형 점도계에 의한 35℃에서의 점도측정에 있어서 200포이즈 미만이 될 수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이며, 또한 다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라이트 TP-123, 다이니뽄잉크가가쿠고교(주)제조) 100중량부에 상기 수산화 알루미늄 150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2중량부를 충전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부룩필드형 점도계에 의한 35℃에서의 점도측정시, 수지 경화에 의해 점도측정 불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경화시간이 20분 미만이 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충전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이다.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의 표면은 많은 OH기로 덮여져 있으므로, 이것을 경화성 수지등에 함유시킨 경우, 경화성 수지의 경화반응을 저해하고, 경화반응을 길어지게 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고, 상기 특성을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발견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수지의 경화반응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로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의 BET비표면적이나 2차 입자 지름, 충전조성, 충전량 등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바람직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 배합조성비를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는 바람직하게는 2차 입자 지름이 35∼150㎛, 바람직하게는 50∼150㎛, 질소흡착법(BET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1.0㎡/g이하, 바람직하게는 0.5㎡/g이하의 특징을 갖는 조립(粗粒)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와, 2차 입자 지름이 10∼35㎛, 바람직하게는 10∼25㎛, 비표면적이 1.0㎡/g이하, 바람직하게는 0.8㎡/g이하의 특징을 갖는 중립(中粒)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 및 2차 입자 지름이 0.5∼10㎛, 바람직하게는 0.5∼8㎛, 비표면적이 3.0㎡/g이하 바람직하게는 2.0㎡/g이하의 특징을 갖는 미립(微粒)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를 소정의 질량배합비의 범위에서 배합한 경우, 특히 수지 충전시의 점도를 저감시키고, 또한 열경화 수지 충전시의 경화시간을 짧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부룩필드형 점도계에 의한 35℃에서의 점도측정은 JISK6901,4.4.1에 준거해서 행한다. 즉, 동기 전동기에 의해 로터를 시료속에서 회전시키고, 그 점도 저항 토오크를 스프링 밸런스에 의해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시료를 500ml의 비커에 넣고, 시료의 온도가 35±0.5℃로 되었을 때 점도계의 로터를 표선까지 침지시키고, 약 5분간 고정한 후, 로터를 3분간 회전시켜 값을 판독한다. 사용한 로터와 회전수에 따라 정해진 승수를 측정값에 곱해 점도를 구한다.
본 발명의 수지 경화에 의한 점도측정불능이 될 때까지의 경화시간이란,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와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2중량부를 혼합후, 상기 측정방법으로 점도를 측정한 경우, 로터의 회전이 정지하고, 점도측정을 할 수 없을 때까지의 시간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상기 소정의 질량배합비의 범위란, 예를 들면 3원계 배합의 분체의 경우, 조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 중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 미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를 전체를 100질량%로 한 도 1에 나타내는 3원 조성도에 있어서,점α(X:Y:Z=47.5:25.0:27.5),점β(X:Y:Z=47.5:50.0:2.5),점γ(X:Y:Z=82.5:0.0:17.5), 점δ(X:Y:Z=72.5:0.0:27.5)의 4점으로 둘러싸여지고, 또한 선상을 포함하는 범위내에서 배합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이하, X:Y:Z의 순서로 배합비를 기재한다)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나타낸 3원조성비에 있어서, 점A(50.0:25.0:25.0), 점B(50.0:45.0:5.0), 점C(80.0:0.0:20.0), 점D(75.0:0.0:25.0)의 4점으로 둘러싸여지고, 또한 선상을 포함하는 범위내의 질량배합비가 좋다.
또, 점도란 수지(예를 들면, 경화성 수지이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들 수 있다.) 100질량부에 대해서 상기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200질량부를 충전한 수지 조성물의 부룩필드형 점도계로 35℃에서 측정했을 때의 점도(단위는 포이즈)가 이용된다.
또, 경화시간이란 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그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150질량부, 및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화합물 등의 라디칼 발생제 2질량부를 충전한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부룩필드형 점도계로 35℃에서 측정했을 때, 수지 경화에 의해 점도측정불능이 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수산화 알루미늄은 일반식 Al2O3·3H2O로 나타내어지는알루미나3수화물이며, 순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는 바이어법으로 석출시킨 응집입자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35∼150㎛, 바람직하게는 50∼150㎛, 질소흡착법(BET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1.0㎡/g이하, 바람직하게는 0.5㎡/g이하이다. 2차 입자 지름이 35㎛보다 작으면, 후술하는 중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와 입자 지름이 가까우므로, 입자배합했을 때의 점도저감효과가 낮다. 2차 입자 지름이 150㎛보다 크면, 수지에 충전했을 때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비표면적이 1.0㎡/g보다 크면 수지에 충전했을 때의 경화시간이 길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2차 입자 지름이란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가 집합해서, 응집체, 집합체, 또는 결합체를 형성한 경우의 입자 지름을 가리킨다. 2차 입자 지름의 측정에는 통상의 체분리, 광학현미경, 콜터카운터, 레이저산란회절법을 이용한다. 이 중에서 특히 레이저산란회절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중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는 조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의 응집물을 기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공지의 건식 혹은 습식분쇄기를 이용해서 1차 입자까지 분해파쇄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산알칼리용액에 상기 응집물을 첨가해서 슬러리화한 후, 이 슬러리를 60∼90℃로 승온함으로써 응집입자를 일부 용해해서 1차 입자까지 화학적으로 분해파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 2차 입자 지름은 10∼35㎛, 바람직하게는 10∼25㎛, 비표면적이 1.0㎡/g이하, 바람직하게는 0.8㎡/g이하이다. 2차 입자 지름이 10㎛보다 작으면, 후술하는 미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와 입자 지름이 가까우므로, 입자배합했을 때의 점도저감효과가 낮다. 2차 입자 지름이 35㎛보다 크면, 앞에 서술한 조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와 입자 지름이 가까우므로 입자배합했을 때의 점도저감효과가 낮다. 또, 비표면적이 1.0㎡/g보다 크면 수지에 충전했을 때의 경화시간이 길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미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는 바이어법으로 얻어진 조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보다 2차 입자 지름이 작은 응집입자의 응집물을 기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종래 공지의 건식 혹은 습식분쇄기를 이용해서 1차 입자까지 분해파쇄하거나, 또는 상기 응집물을 알루미늄 산알칼리용액에 첨가해서 슬러리화한 후, 이 슬러리를 60∼90℃로 승온함으로써 응집 입자 사이를 일부 용해하고, 1차 입자까지 화학적으로 분해파쇄해서 얻을 수 있다. 그 2차 입자 지름은 0.5∼10㎛, 바람직하게는 0.5∼8㎛, 비표면적이 3.0㎡/g이하, 바람직하게는 2.0㎡/g이하이다. 2차 입자 지름이 10㎛보다 크면, 앞에 서술한 중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와 입자 지름이 가까우므로 입자배합했을 때의 점도저감효과가 낮다. 2차 입자 지름이 0.5㎛보다 작으면, 핸들링성이 현저히 악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비표면적이 3.0㎡/g보다 크면 수지에 충전했을 때의 경화시간이 길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특성을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은 부룩필드형 점도계에 있어서의 35℃에서 측정했을 때의 점도가 200포이즈 미만이면 좋고, 조성물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 점도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수지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면 3원계의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Y,Z의 3성분을 함유한 분체)를 수지에 충전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에는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 크실렌포름알데히드 수지, 구아나민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페놀 수지, 푸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인조 대리석 형성용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인조 대리석 형성용 수지로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 사용된다.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의 배합방법에 대해서는, 에어블렌더, V형 블렌더, 록킹블렌더, 헨셀믹서 등,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표면처리한 것을 이용해도 좋고, 그 방법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등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5)
2차 입자 지름 84㎛, 비표면적 0.2㎡/g의 조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 2차 입자 지름 16.5㎛, 비표면적 0.5㎡/g의 중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 2차 입자 지름 5.9㎛, 비표면적 1.6㎡/g의 조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의 적어도 2성분을 표 1에 나타낸 조성비로 V형 블렌더로 10분간 혼합하고, 입자배합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얻었다.
상기 입자배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200질량부와, 시판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리고랙 2004WM-2, 쇼와고분시(주)제조)100질량부에 충전하여, 브룩필드형 점도계로 35℃에서 점도를 측정했다. 또, 상기 입자배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150질량부를 시판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라이트TP-123다이니뽄잉크가가쿠고교(주)제조)100질량부에 충전하여, 경화촉매로서 메틸에틸케톤 화합물(트리고녹스 63(주)가야쿠앙조 제조)를 2질량부 첨가하여 부룩필드형 점도계로 35℃에서 점도를 계속 측정하여, 측정개시로부터 수지 경화에 의해 측정불가능할 때까지의 시간, 즉, 경화시간을 측정했다.
(비교예1∼12)
실시예1∼5와 마찬가지의 적어도 2성분을 표 1에 나타내는 조성비로 혼합한 후, 실시예1∼5와 동일한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13)
2차 입자 지름 16.4㎛, 비표면적 1.4㎡/g의 중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조성비, 타성분 모두 동일하게 혼합한 입자배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이용해서 실시예1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14)
2차 입자 지름 6.4㎛, 비표면적 3.2㎡/g의 미립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조성비, 타성분 모두 마찬가지로 혼합한 입자배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이용해서 실시예1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Y,Z)의 질량조성비를 도 3에 나타냈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한 2차 입자 지름과 비표면적을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특정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플라스틱, 고무 등의 수지에 충전했을 때, 점도를 저감시키고, 고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열경화 수지에 충전한 경우, 경화시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나타내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는 수지 충전용에 요구되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에서 그 공업적 효과는 매우 크다.

Claims (10)

  1. 삭제
  2. 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35∼150㎛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 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10∼35㎛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 및 BET비표면적이 3.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0.5∼10㎛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의 질량조성비가 전체를 100질량%로 한 도 1에 나타내는 3원 조성도에 있어서, 점α(X:Y:Z=47.5:25.0:27.5), 점β(X:Y:Z=47.5:50.0:2.5), 점γ(X:Y:Z=82.5:0.0:17.5), 점δ(X:Y:Z=72.5:0.0:27.5)의 4점으로 둘러싸여지고, 또한 선상을 포함하는 질량조성비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3. 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35∼150㎛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 BET비표면적이 1.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10∼35㎛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 및 BET비표면적이 3.0㎡/g이하이며 그 2차 입자 지름이 0.5∼10㎛의 범위에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의 질량조성비가 전체를 100질량%로 한 도 2에 나타내는 3원 조성도에 있어서, 점A(X:Y:Z=50.0:25.0:25.0), 점B(X:Y:Z=50.0:45.0:5.0), 점C(X:Y:Z=80.0:0.0:20.0), 점D(X:Y:Z=75.0:0.0:25.0)의 4점으로 둘러싸여지고, 또한 선상을 포함하는 질량조성비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X)의 2차 입자 지름이 50∼150㎛의 범위에 있고,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Y)의 2차 입자 지름이 10∼25㎛의 범위에 있고,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Z)의 2차 입자 지름이 0.5∼8㎛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6.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부룩필드형 점도계로 35℃에서 측정했을 때의 점도가 200포이즈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7.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인조 대리석 형성용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8.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9.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경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가 그 분체 200중량부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리고랙2004WM-2, 쇼와고분시(주)제조) 100중량부에 충전했을 때의 부룩필드형 점도계에 의한 35℃에서의 점도측정에 있어서 200포이즈 미만이 될 수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이며, 또한 그 분체 150중량부를 다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라이트 TP-123, 다이니뽄잉크가가쿠고교(주)제조) 100중량부와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2중량부의 수지 조성물에 충전했을 때의 부룩필드형 점도계에 의한 35℃에서의 점도측정에 있어서, 수지 경화에 의해 점도측정불능이 될 때까지의 경화시간이 20분 미만이 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KR10-2001-0042782A 2000-07-17 2001-07-16 수지 충전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것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435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16488 2000-07-17
JP2000216488 2000-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227A KR20020007227A (ko) 2002-01-26
KR100435380B1 true KR100435380B1 (ko) 2004-06-12

Family

ID=3746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7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5380B1 (ko) 2000-07-17 2001-07-16 수지 충전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것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00B1 (ko) 2017-05-19 2020-12-04 (주)엘지하우시스 소수성 수산화알루미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227A (ko)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5314C (en) Dry ground/wet ground calcium carbonate filler compositions
WO2013039103A1 (ja) 無機フィラー複合体、熱伝導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S6296540A (ja) 無機充填材
JPH0375570B2 (ko)
CN1114968A (zh) 低膨胀的聚合物组合物
JP2016500385A (ja) 熱伝導性プラスチック
KR101009787B1 (ko) 실리카-함유 조핵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폴리올레핀에사용하는 방법
KR100843874B1 (ko) 수산화마그네슘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수지조성물
US5432227A (en) Phenolic resin molding material
KR101941990B1 (ko) 수산화마그네슘 입자 및 그것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
KR100435380B1 (ko) 수지 충전용 수산화 알루미늄 분체 및 그것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US6786964B2 (en) Fine particle of aluminum hydroxide for filling resin an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JP7185798B1 (ja) アルミナ系熱伝導性丸み盤状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熱伝導性組成物、物品、液状組成物、熱伝導性薄膜、並びに、電子機器用部材
US3397169A (en) Abrasion-resistant mineral-filled thermosetting molding composition
JP5010072B2 (ja) 樹脂充填用水酸化アルミニウム粉体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樹脂組成物
KR20230008821A (ko) 탈크 미립자
JP3575150B2 (ja) 樹脂充填用水酸化アルミニウム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樹脂組成物
JPH08231760A (ja) 表面改質重質炭酸カルシウム及び当該炭酸カルシウムを配合した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20230066370A (ko) 산화 마그네슘 분말, 필러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방열 부품
JPS5911367A (ja) 着色酸化アルミニウム粉末
Wiebking The performance of ultrafine talc in rigid PVC
JP7036336B2 (ja) 複合スラリーの製造方法
JP7358669B1 (ja) 熱伝導性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混合物、物品、樹脂組成物、並びに、熱伝導性薄膜
JPH06211515A (ja) 粉末シリカの高分散性造粒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14744A (ja) 吸熱性粒状充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