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3432B1 -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432B1
KR100433432B1 KR10-2002-0057243A KR20020057243A KR100433432B1 KR 100433432 B1 KR100433432 B1 KR 100433432B1 KR 20020057243 A KR20020057243 A KR 20020057243A KR 100433432 B1 KR100433432 B1 KR 100433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reflected
scanning means
light emit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320A (ko
Inventor
유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432B1/ko
Priority to US10/436,998 priority patent/US20040056185A1/en
Priority to CNA03147103XA priority patent/CN1484109A/zh
Priority to EP03254708A priority patent/EP1400361B1/en
Priority to DE60304295T priority patent/DE60304295T2/de
Publication of KR2004002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4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9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aser arrays, the laser array being smaller than the medium to be recor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4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5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polygonal mirror and the image pl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화상데이터에 따른 잠상을 감광매체에 형성하기 위하여 광을 주사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광주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광주사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화상신호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레이저광원과, 복수의 레이저광원 각각에서 방출되는 레이저광을 각각 평행광으로 변환시켜 출사하는 복수의 콜리메이터렌즈와, 복수의 콜리메이터 렌즈 각각에서 출사된 광을 일면을 통해 반사 또는 투과시키며, 반사된 광에 대해 파장에 따라 타면을 통해 반사 또는 투과시켜 최종단에서 단일의 출사경로를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광학부재와, 최종단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스캐닝수단, 및 스캐닝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최선단에서 전달받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며, 최선단에서 반사된 광에 대해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대응하는 감광매체에 조사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광학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원과 반사 및 투과 영역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학부재를 적절히 배치하여 단일의 광 출사경로를 갖도록 함으로서, 광주사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장치의 제어가 수월하게 된다.

Description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Scanning unit of laser printer}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데이터에 따른 잠상을 감광매체에 형성하기 위하여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는 화상데이터에 따라 감광매체에 토너를 흡착시키고, 감광매체에 흡착된 토너가 인쇄매체에 전사되도록 함으로써 인쇄매체에 화상을 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치를 말한다. 이때, 감광매체에는 화상데이터에 따라 광이 주사되어 잠상을 형성하게 되며, 그러한 광에 의해 형성된 잠상에 토너가 흡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 프린터는 비충격식으로 속도가 빠르며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레이저 프린터에서 감광매체에 선형으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는, 모노(mono)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BP)에서는 하나의 광주사장치가, 컬러 LBP인 경우 C(Cyan), Y(Yellow), M(Magenta), K(Black) 각각에 대응하는 4개의 광주사장치가 마련된다.
그러나 최근 컬러 LBP에서도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하나의 광주사장치로 컬러 LBP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탠덤(Tandem) 방식의 광주사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문서(공개특허번호: 2000-0047538, 공개일자:2000.07.25)에 탠덤방식 광주사장치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탠덤방식 광주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탠덤방식 광주사장치는 광학 케이스(12) 내에 광원출력수단(14A, 14B, 14C, 14D), 제1 반사미러(17A, 17B), 제2 반사미러(18A, 18B, 18C, 18D), 결상렌즈계(20A, 20B), 실린더미러(24A, 24B, 24C, 24D) 및 스캐닝수단(22)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고 있지만 주사라인의 수평동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복수의 동기검출수단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각 광원출력수단(14A, 14B, 14C, 14D)은,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고 있지만 레이저다이오드와, 콜리메이터 렌즈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캐닝수단(22)은 다면미러(26) 및 다면미러(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8)를 포함한다. 또한, 스캐닝수단(22)을 중심으로 상하측에 각각 위치한 결상렌즈계(20A, 20B)는, 각각 2개 1조의 결상렌즈(21, 23)를 구비한다.
위와 같은 종래 탠덤방식 광주사장치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레이저광(14a ~ 14d)이 콜리메이터렌즈에 의해 평행광 또는 수속광으로 변환된 후, 제1 반사미러(17A)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제1 반사미러(17A)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결상렌즈계(20A, 20B)를 통해 다면미러(26)의 편향면(26A) 일면에 집속된다. 다면미러(26)의 편향면(26A)에 집속된 광은 다시 결상렌즈계(20A, 20B)를 통해 제2 반사미러(18A ~ 18D)에 출사되어 대응하는 실린더미러(24A ~ 24D)로 출사되며, 실린더미러(24A ~ 24D)에서 다시 반사되어 대응하는 감광매체(38A ~ 38D)에 조사된다. 이때, 레이저광(14a ~ 14d)은 스캐닝수단(22)에서 반사되기 전후에 각각 주사평면에 대해 소정각도를 형성하며 결상렌즈계(20A, 20B)를 통과한다.
위와 같이 광주사장치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대응하는 감광매체(38A ~38D)에는 잠상이 형성되며, 이후, 통상적인 인쇄과정을 거쳐 인쇄매체에 화상을 재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탠덤방식 광주사장치는 2조의 결상렌즈계(20A, 20B)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광로를 형성하는 반사미러 및 수평동기를 위한 동기검출수단이 광원별로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주사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며, 장치를 제어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주사장치를 구성하는 요소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상렌즈계로 입/출사되는 레이저광이 주사평면에 대해 소정각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주사선이 휘는(bow) 문제점이 있으며, 그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정수단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캐닝수단을 중심으로 결상렌즈계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됨에 따라 인쇄매체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4개의 컬러화상 신호중 두개의 신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주사되며, 나머지 두개의 화상신호는 우측에서 자측으로 주사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4개의 컬러신호에 대해 두쌍의 주사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므로 올바른 컬러화상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올바른 컬러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 두개의 화상신호는 좌우의 순서를 반전하여 주사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화상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주사선에 대한 별도의 보정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더 간단하게 제어가 가능한 탠덤방식 광주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탠덤방식 광주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보인 제2 내지 제3 다이크로익미러의 광에 대한 반사 및 투과율 분포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광학부재의 광에 대한 반사 및 투과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주사장치 12: 케이스
14A, 14B, 14C, 14D, L1, L2, L3, L4: 레이저광원
14Aa, 14Ba, 14Ca, 14Da: 광
17A, 17B, 18A, 18B, 18C, 18D, 24A, 24B, 24C, 24D: 반사미러
20A, 20B: 렌즈계 22, 105: 스캐닝수단
26, 106: 다면미러 28: 모터
101: 광원부 102: 콜리메이터렌즈부
103: 제1 광학부 104: 실린더렌즈
107: 결상렌즈 108: 제2 광학부
110: 동기검출수단 C1, C2, C3, C4: 콜리메이터렌즈
D1, D2, D3, D4: 감광매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주사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화상신호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레이저광원; 상기 복수의 레이저광원 각각에서 방출되는 레이저광을 각각 평행광으로 변환시켜 출사하는 복수의 콜리메이터렌즈; 상기 복수의 콜리메이터 렌즈 각각에서 출사된 광을 일면을 통해 반사 또는 투과시키며, 상기 반사된 광에 대해 파장에 따라 타면을 통해 반사 또는 투과시켜 최종단에서 단일의 출사경로를 갖도록 복수의 광학부재가 배치된 제1 광학부; 상기 제1 광학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광을 화상신호에 따라 반사하는 스캐닝수단; 그리고 상기 스캐닝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최선단에서 전달받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며, 상기 최선단에서 반사된 광에 대해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대응하는 감광매체에 조사되도록 복수의 광학부재가 배치된 제2 광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제1 광학부의 최종단 광학부재를 통해 출사된 광을 상기 스캐닝수단의 반사면에 집속시키는 실린더렌즈; 및 상기 스캐닝수단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제2 광학부의 최선단 광학부재에 집속시키는 결상렌즈;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스캐닝 수단에서 반사되는 광으로부터 화상의 수평동기를 맞추어 주기 위한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수단; 및 상기 동기검출수단으로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제3 광학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는 단일의 출사경로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직 또는 소정각도록 경사지게 일렬로 배열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광학부의 복수의 광학부재 각각은 입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반사 및 투과영역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는, 각각 다이크로익미러 또는 다이크로익 코팅된 투명유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제1 또는 제2 광학부에서 각 다이크로익미러는 반사 및 투과파장 영역이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로는 밴드패스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광주사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이 단일의 출사경로로 스캐닝수단에 전달되는 한편, 각 컬러신호에 대응하는 광이 스캐닝수단에서 단일의 경로로 출사되어 각 감광매체에 주사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스캐닝 수단에서도 역시 출사경로가 단일하므로 하나의 동기검출수단만이 요구되어 동기검출조정수단이나 화상데이터에 따른 주사선 휨에 대한 별도의 보정수단이 필요치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광주사장치는, 제1 내지 제4 레이저 다이오드(L1 ~ L4)로 구성된 광원부(101), 제1 내지 제4 콜리메이터렌즈로 구성된 콜리메이터렌즈부(102),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믹미러(M1-1 ~ M1-4)로 구성된 제1 광학부(103), 실린더렌즈(104), 다각형의 형태의 반사미러(106)를 포함하는 스캐닝수단(105), 결상렌즈(107), 제5 내지 제8 다이크로익미러(M2-1 ~ M2-4)로 구성된 제2 광학부(108), 동기검출센서(110) 및 제3 광학부재(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부(101)의 제1 내지 제 4레이저 다이오드(L1 ~ L4)는 서로 평행하게 일렬로 배치한다.
제1 내지 제 4 콜리메이터렌즈(C1 ~ C4)는 각 레이저다이오드(L1 ~ L4)에서 방출되는 레이저광을 평행광 또는 수속광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각 레이저다이오드에 대응하여 일렬로 배치한다.
제1 광학부(103)의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1 ~ M1-4)는 각 콜리메이터렌즈(C1 ~ C4)를 통해 전달되는 광에 대해 각각 일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켜 최종단에서 단일의 출사경로를 형성하도록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 각각은 입사각에 대해 대략 직각의 동일한 출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며,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1 ~ M1-4) 전체는 일렬로 배치한다. 그렇지만 도 2에서처럼 제1 내지 제4 레이저다이오드(L1 ~ L4) 및 제1 내지 제4 콜리메이터렌즈(C1 ~ C4)가 반드시 일렬로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파장의 특성에 따라 거리를 서로 달리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1 ~ M1-4)는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반드시 수직으로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입사되는 광에 대해 각각 동일한 소정의 각도로 광이 반사될 수 있는 상태로 경사지게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1 ~ M1-4)는 모두 다이크로익미러일 필요는 없으며, 제1 다이크로익미러(M1-1)의 경우는 일반 반사미러를 이용할 수 있다.
실린더렌즈(103)는 제1 광학부(104)에서 출사된 광을 스캐닝수단(105)의 다면미러(106)에 집속시킨다.
스캐닝수단(105)은 모터(미도시)와 다면미러(106)를 포함하며, 실린더렌즈(104)를 통해 전달된 광을 소정각도로 반사시킨다.
결상렌즈(107)는 스캐닝수단(105)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제2 광학부(108)에 전달한다.
제2 광학부(108)는 결상렌즈를 통해 전달되는 광을 최선단에서 수광하고, 제5 내지 제8 다이크로익미러(M2-1 ~ M2-4) 각각에서 파장에 따라 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켜 대응하는 감광매체(D1 ~ D4))에 조사한다.
제2 광학부(108)의 배치구조는, 제1 광학부(103)의 최종단에서 광이 출사되는 것에 대해 최선단에서 광이 입사되도록 한 구조가 다를뿐 광의 파장에 따른 반사 및 투과 구조는 동일 또는 유사한 배치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 설명을 생략한다.
위와 같은 광주사장치는 인쇄화상에 따라 광원부(101)의 제1 내지 제4 레이저다이오드로(L1 ~ L4)부터 방출된 광이 대응하는 콜리메이터렌즈(C1 ~ C4)를 통해 평행광 또는 수속광으로 변환되어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1 ~M1-4)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광원부(101)의 각 레이저다이오드(L1 ~ L4)에서 출사되는 광은 각각 서로 다른 파장을 갖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저다이오드(L1)에서는 650㎚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방출하며, 제2(L2), 제3(L3), 제4 레이저다이오드(L4)는 각각 780㎚, 850㎚, 950㎚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방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이 제1 광학부(103)에 입사되면,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1 ~ M1-4) 각각은 입사된 레이저 광에 대해 양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최종단에서 단일의 출사경로로 스캐닝수단에 레이저광을 출사하게 된다. 즉, 제4 다이크로믹미러(M1-4)는 제4 콜리메이터렌즈(C4)를 통해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지만, 제1 내지 제3 다이크로익미러(M1-1 ~ M1-3)는 대응하는 각 콜리메이터렌즈(C1 ~ C3)를 통해 일면에 입사된 레이저광에 대해 수직으로 광을 반사시킨다. 그리고, 제2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2 ~ M1-4)는 각 콜리메이터렌즈(C2 ~ C4)를 통해 광이 입사되는 면의 타면을 통해 제1 내지 제3 다이크로익미러(M1-1 ~ M1-3)에서 반사된 광에 대해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최종단의 다이크로익미러(M1-4)에서 스캐닝수단(105)으로 반사된다. 도 4는 제2((M1-2), 제3(M1-3) 및 제4 다이크로익미러(M1-4)의 광파장에 대한 투과율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광학부재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 및 투과에 대한 개념을 부연 설명하면, 투과 및 반사파장의 경계는 'λ'이며, 입사파장이 반사영역 파장(λ1)보다 적으면 입사광은 광학부재의 표면에서 반사하게 되고, 입사파장이 투과영역 파장(λ2)보다 크면, 광학부재를 통과하게 된다.
위와 같은 광학부재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 및 투과 개념을 토대로 제1 내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1 ~ M1-4)의 반사 또는 투과특성을 살펴보면, 제1 다이크로익미러(M1-1)는 일반 반사미러로서, 제1 내지 제4 레이저다이오드(L1 ~ L4)로부터 방출된 광을 모두 반사시킨다. 제2 다이크로익미러(M1-2)는 제1 레이저다이오드(L1)로부터 방출된 광은 투과시키고, 제2 내지 제4 레이저다이오드(L2 ~ L3)로부터 방출된 광은 반사시킨다. 제3 다이크로익미러(M1-3)는 제1 및 제2 레이저다이오드(L1, L2)로부터 방출된 광은 투과시키고, 제3 및 제4 레이저다이오드(L3, L4)로부터 방출된 광은 반사시킨다. 그리고 제4 다이크로익미러(M1-4)는 제1 내지 제3 레이저다이오드(L1 ~ L3)로부터 방출된 광은 반사시키고, 제4 레이저다이오드(L4)로부터 방출된 광은 투과시킨다.
위와 같은 특성에 의해 제1 레이저다이오드(L1)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1 다이크로익미러(M1-1)의 일면에서 반사되고, 제2 및 제3 다이크로익미러(M1-2, M2-3)를 투과하여 제4 다이크로익미러(M1-4)에서 다시 반사되어 실린더렌즈(104)로 입사된다. 제2 레이저다이오드(L2)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2 다이크로익미러(M1-2)의 일면에서 반사되고, 제3 다이크로익미러(M1-3)를 투과한 후, 제4 다이크로익미러(M1-4)에서 반사되어 실린더렌즈(104)로 입사된다. 제3 레이저다이오드(L3)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3 다이크로익미러(M1-3)에서 반사되고, 제4 다이크로익미러(M1-4)에서 다시 반사되어 실린더렌즈(104)로 입사된다. 제4 레이저다이오드(L4)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4 다이크로익미러(M1-4)를 투과하여 실린더렌즈(104)로 입사된다. 즉, 실린더 렌즈(104)로 입사되는 레이저광은 광파장에 관계없이 동일한 출사경로를 가지므로, 실린더렌즈(104)로부터 결상렌즈(107)까지는 단일의 레이저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모노 레이저 빔 프린터의 광주사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결상렌즈(107)를 통과한 복수의 파장이 섞여있는 레이저광은 제2 광학부(108)의 제5 내지 제8 다이크로익미러(M2-1 ~ M2-4)에 의해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되어 대응하는 감광매체(D1 ~ D4)에 조사된다. 여기서 제2 광학부(108)의 각 다이크로익미러(M2-1 ~ M2-4) 배치구조는 제1 광학부(103)의 각 다이크로익미러(M1-1 ~ M1-4)와 동등하게 적용된다. 즉, 제4 레이저다이오드(L4)에서 방출된 레이저광은 제5 다이크로익미러(M2-4)를 투과하여 제4 감광매체(D4)에 조사되며, 제3 레이저다이오드(L3)에서 방출된 광은 제5 다이크로익미러(M2-4)에서 반사된 후, 제6 다이크로익미러(M2-3)에서 다시 반사되어 제3 감광매체(D3)에 조사된다. 그리고 제2 레이저다이오드(L2)에서 방출된 광은 제5 다이크로익미러(M2-4)에서 반사되고, 제6 다이크로익미러(M2-3)를 투과한 후, 제7 다이크로익미러(M2-2)에서 다시 반사되어 제2 감광매체(D2)에 조사된다. 제1 레이저다이오드(L1)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5 다이크로익미러(M2-4)에서 반사되고, 제6 및 제7 다이크로익미러(M2-3, M2-2)를 순차적으로 투과한 후, 제8 다이크로익미러(M2-1)에서 다시 반사되어 제1 감광매체(D1)에 조사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감광매체(D1 ~ D4)에 레이저광이 소정의 크기로 결상되도록 하기 위해 제2 광학부(108)의 각 다이크로익미러(M2-1 ~ M2-4)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소정각도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한다.
한편, 각 감광매체(D1 ~ D4)에 주사되는 주사선의 수평동기를 맞추어 주기 위하여 동기검출수단(110)은 스캐닝수단(105)의 소정위치에서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검출하여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전달한다. 이때, 동기검출수단(110)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경로에는 레이저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광학부재(111)를 설치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동김검출수단(110)에서는 단일의 입사경로로 각 감광매체(D1 ~ D4)에 주사되는 레이저광을 검출하게 되므로 각 감광매체(D1 ~ D4)에 대응하여 동기검출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동기검출수단(110)만으로 탠덤을 형성하는 4개 주사라인의 동기를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탠덤방식 광주사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원과 이에 대응하는 광의 반사 및 투과 영역이 서로 다른 광학부재의 적절한 배치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이 단일의 출사경로로 스캐닝수단에 전달되는 한편, 각 컬러신호에 대응하는 광이 스캐닝수단에서 단일의 경로로 출사되고 마찬가지로 광의 반사 및 투과영역이 다른 광학부재를 통해 각 컬러신호에 대응하여 각 감광매체에 주사가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동기검출수단만으로 각 감광매체에 주사되는 광에 대해 수평동기를 맞추어줄 수 있어 동기검출조정수단이나 화상데이터에 따른 주사선 휨에 대한 별도의 보정수단이 필요치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1)

  1.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시는 복수의 콜리메이터렌즈;
    상기 복수의 콜리메이터 렌즈 각각에서 출사된 광을 파장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 시키는 제1 광학부;
    상기 제1 광학부에서 출사된 광을 편향시키는 스캐닝수단;
    상기 스캐닝수단에서 편향된 광을 감광매체에 결상시키는 결상렌즈; 및
    상기 스캐닝수단과 상기 감광매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캐닝수단에서 편향된 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제2 광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부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스캐닝수단의 반사면에 집속시키는 실린더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수단에서 반사되는 광으로부터 화상의 수평동기를 맞추어 주기위한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검출수단으로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제3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학부의 복수의 광학부재 각각은 입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반사 및 투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는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는 광의 입사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는, 다이크로익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는, 각각 다이크로익 코팅이 된 투명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는, 밴드패스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KR10-2002-0057243A 2002-09-19 2002-09-19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3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243A KR100433432B1 (ko) 2002-09-19 2002-09-19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
US10/436,998 US20040056185A1 (en) 2002-09-19 2003-05-14 Light scanning device of laser printer
CNA03147103XA CN1484109A (zh) 2002-09-19 2003-07-01 激光打印机的光扫描装置
EP03254708A EP1400361B1 (en) 2002-09-19 2003-07-28 Multi-colour image-forming apparatus
DE60304295T DE60304295T2 (de) 2002-09-19 2003-07-28 Mehrfarben-Bilderzeugungsgerä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243A KR100433432B1 (ko) 2002-09-19 2002-09-19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320A KR20040025320A (ko) 2004-03-24
KR100433432B1 true KR100433432B1 (ko) 2004-05-31

Family

ID=3627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2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3432B1 (ko) 2002-09-19 2002-09-19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56185A1 (ko)
EP (1) EP1400361B1 (ko)
KR (1) KR100433432B1 (ko)
CN (1) CN1484109A (ko)
DE (1) DE6030429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60B1 (ko) * 2005-05-27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사 광학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4682948B2 (ja) * 2006-07-27 2011-05-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6033B2 (ja) * 2007-10-16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DE102012107040A1 (de) * 2012-08-01 2014-05-28 Jenoptik Optical Systems Gmbh Achromatische Scaneinrichtung mit monochromatischem f-Theta-Objektiv
JP6846238B2 (ja) * 2017-03-07 2021-03-2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液滴吐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65A (ja) * 1982-07-23 1984-01-31 Fuji Xerox Co Ltd 複写機の露光量検出装置
US5012259A (en) * 1988-01-28 1991-04-30 Konica Corporation Color recorder with gas laser beam scanning
JPH0283518A (ja) * 1988-09-20 1990-03-23 Minolta Camera Co Ltd レーザビーム走査装置
US5068677A (en) * 1988-09-20 1991-11-2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Laser scanner with selected plural beam sources
JP2778986B2 (ja) * 1989-05-26 1998-07-2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881923B2 (ja) * 1990-03-08 1999-04-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及びカラープリンタ
JP2995925B2 (ja) * 1991-06-14 1999-12-27 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ーザビーム合成方法
US5341158A (en) * 1992-09-22 1994-08-23 Xerox Corporation Raster output scanner for a xerographic printing system having laser diodes arranged in a line parallel to the fast scan direction
US5668590A (en) * 1993-06-24 1997-09-16 Hitachi, Ltd. Optical beam scanning system with rotating beam compensation
IL107508A (en) * 1993-11-05 1996-12-05 Orbote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n optically-sensitive media
US5666447A (en) * 1994-11-21 1997-09-09 Eastman Kodak Company Using optical fiber multiplexer to combine light beams in a laser printer
JPH10149430A (ja) * 1996-11-20 1998-06-02 Brother Ind Ltd コリメータレンズ、光学走査装置、光学情報読取装置及び光学情報記録装置並びに複写装置
JP3233117B2 (ja) 1998-12-18 2001-1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04295D1 (de) 2006-05-18
EP1400361A2 (en) 2004-03-24
DE60304295T2 (de) 2007-01-25
US20040056185A1 (en) 2004-03-25
CN1484109A (zh) 2004-03-24
KR20040025320A (ko) 2004-03-24
EP1400361A3 (en) 2004-07-14
EP1400361B1 (en)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224B2 (en) Optical path switching device,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46775B1 (ko) 칼라 레이저 프린터
US20050099663A1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94327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179462A (en) Laser beam composite apparatus
JPH09187994A (ja) 異なる偏光状態と異なる波長を有する表面放射レーザーのマルチプルリニアアレイを備えたカラー電子写真式プリンタ
KR100433432B1 (ko) 레이저프린터의 광주사장치
CA1219919A (en) Efficiency color laser printer
JP3778970B2 (ja) 印刷装置用ラスタ出力走査器
JP5746512B2 (ja) 感光性表面に画像を形成する装置
US6873445B2 (en) Optical multi-beam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151624B2 (en) Light scanning unit
JP2005055872A (ja) レーザスキャニング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38233B1 (ko) 광주사장치
US6954312B2 (en) Light scanning unit
JP2009300982A (ja) タンデム型走査光学系
CN101881884A (zh) 光学多光束扫描装置和图像形成装置
KR100664315B1 (ko) 레이저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탠덤형 화상형성장치
JP2003270579A (ja) レーザーパワー検出装置
JP2003270571A (ja) マルチビーム光源装置
JP2002277781A (ja) 複数ビーム式ラスタ出力スキャニングシステム
JP2003270570A (ja) マルチビーム走査光学系
JP2003262809A (ja) マルチビーム光源装置
JPH10186252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54840A (ko) 광주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