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1459B1 -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459B1
KR100431459B1 KR10-2002-0001802A KR20020001802A KR100431459B1 KR 100431459 B1 KR100431459 B1 KR 100431459B1 KR 20020001802 A KR20020001802 A KR 20020001802A KR 100431459 B1 KR100431459 B1 KR 100431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omposition
butadi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239A (ko
Inventor
김석구
박영선
안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2-000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4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4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 활물질, 도전제,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 증점분산제로 아크릴계 고분자, 및 용매로 물을 포함하는 음극 조성물을 음극으로 포함하여 전지의 파열위험성이 없고, 도포막 접착 강도가 우수하며, 용매로 물을 사용함으로서 환경친화적이고, 전지의 성능 및 용량이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 {NEGATIVE ACTIVE PLAT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 및 증점분산제로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하여 전지의 파열위험성이 없고, 도포막 박리 강도가 우수하며, 생산단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전지의 성능 및 용량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수계 전해액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는 음극, 양극, 비수전해질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극의 경우, 양극 활물질로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을 사용하고, 결착제로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을 사용하며, 유기용매로 N-메틸2-피롤리돈(NMP)을 사용하여 슬러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슬러리를 금속박으로 된 집전체에 도포, 및 건조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양극을 제조한다. 또한 음극의 경우, 리튬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카본 또는 카본 복합체로 된 음극 활물질과 결착제로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유기용매로 N-메틸2-피롤리돈(NMP)을 사용하여 양극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그러나, 결착제로 폴리불화비닐리덴을 일정량 이하로 사용할 경우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과의 계면접착성 및 전극 활물질 간의 낮은 밀착성으로 코팅된 전극을 제품폭에 맞게 재단공정(슬리팅 등)할 경우, 집전체에 프레싱되어 붙어있는 전극 활물질이 집전체로부터 박리, 탈락하고, 이로 인해 공칭 전압의 저하나 전지용량의 불규칙성을 일으키게 된다.
또 전지가 충·방전 사이클을 반복함에 따라 전극의 수축, 팽창에 의한 전극 활물질의 박리, 탈락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박리, 탈락의 결과 충·방전을 거듭할수록 집전체로부터 전극 활물질의 탈락이 가속화되고, 그로 인해 전지의 용량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과충전과 같은 고전압화나 이로 인한 온도상승의 결과 폴리불화비닐리덴의 분해로 불화수소의 발생을 야기하며, 이러한 불화수소의 발생은 집전체 표면에서의 활물질이나 미량의 석출 금속 리튬과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폴리불화비닐리덴은 결정화도가 크기 때문에 음극 활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6 중량% 이상 첨가하여야 제단이나 펀칭과 같은 공정시 활물질의 탈리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음극 활물질 총 중량당 바인더 비율은 활물질 비율의 감소를 가져오며, 전체 전지의 용량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음극내 결착제의 함량을 줄이면서 전지의 성능, 및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계 결착제 및 아크릴계 고분자 증점분산제를 사용하여 음극내 결착제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전지의 성능, 및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음극 조성물을 음극으로 포함하여 전지의 파열위험성이 없고, 도포막 박리 강도가 우수하며,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전지의 성능 및 용량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에 있어서,
a) 음극 활물질;
b) 도전제
c)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
d) 증점분산제로 아크릴계 고분자; 및
e) 용매로 물
을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극 조성물을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에 있어서, 음극내 결착제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전지의 성능, 및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결착제로 폴리불화비닐리덴을 대신하여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고, 증점분산제로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한 결과, 전지의 용량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친화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에 있어서, 음극 활물질, 도전제,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 증점분산제로 아크릴계 고분자, 및 용매로 물을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의 음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카본 또는 카본 복합체로 된 인조흑연, 천연흑연, 섬유(fiber)상 흑연, 결정질 카본, 또는 비정질 카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음극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0 내지 9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내지 9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b)의 도전제는 아세틸렌블랙, 또는 흑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c)의 결착제인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2∼10의 시안기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변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클로로프론, 폴리이소부틸렌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메틸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부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는 음극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d)의 증점분산제인 아크릴계 고분자는 검화된 아크릴계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검화된 폴리(아크릴-아크릴산) 공중합체인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의 검화제로는 NaOH(소디움 히드록사이드), KOH(포타슘 히드록사이드), 또는 LiOH(리튬 히드록사이드) 등의 무기 히드록사이드(inorganic hydroxide), 또는 무기 음이온(inorganic anion), 트리에탄올아민(TEA), 다이이소프로판올아민(DIPA), 아미노메틸프로판올(AMP-952), 트로메타아민,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과 같은 아민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분산제인 아크릴계 고분자는 음극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증점분산제의 pH는 4∼1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음극 활물질,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 및 증점분산제로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양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 도전제, 및 결착제를 혼합한 슬러리를 집전체 위에 도포,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을 가역적으로 충·방전할 수 있는 물질인 금속산화물, 금속황화물, 또는 특정 고분자 재료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는 LiNiO2, LiNiCoO2, LiCoO2, LiMn2O4, TiS2, 또는 MoS2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다공성 막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유기용매에 리튬염을 용해한 액체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보네이트계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NMP, N-methylpyrrolidone),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감마-뷰틸로락톤(GBL),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또는 에틸메틸 카르보네이트(EMC, ethylmethyl carbonate) 등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리튬염은 LiClO4, LiAsF6, LiPF6, LiBF4, 또는 CF3SO3L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는 우수한 전극의 유연성 및 결착성으로 전극 활물질 제조시 셀룰로우즈계 증점제에 비해 결착제의 함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전지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증점분산제는 종래의 셀룰로우즈계 증점제를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전극 슬러리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상의 조절이 용이하며,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도포막 박리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음극 제조)
아크릴계 고분자로 검화되지 않은 폴리(아크릴-아크릴산) 공중합체 0.5 중량%를 증류수에 분산시키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교반하였다. 여기에 검화제로 리튬 히드록사이드(10% LiOH) 용액 0.2 중량%를 넣고 계속 교반하였다. 이때 pH는 7.5 정도였다.
상기 제조된 증점분산제 용액에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수용액 5 중량%(40% SBR 용액)을 첨가한 후, 여기에 도전제로 아세틸블랙 1.1 중량%와 천연 흑연 96.2 중량%를 조금씩 넣으면서 교반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구리 포일(Cu foil)에 코팅하고, 120∼140 ℃에서 열풍건조하여 음극코팅 전극을 제조하였다. 이를 다시 50 ℃에서 진공으로 12 시간 이상 건조하고, 프레스하여 전극을 제조한 후, 일정 크기로 제단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양극 제조)
양극 활물질로 LiCoO2(C5H), 결착제로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수지(Solef사), 도전제로 슈퍼-플러스 카본(super-plus carbon)을 95 : 2.5 : 2.5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N-메틸 2-피롤리돈을 용매로 사용하여 용해시켜 음극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 후, 알루미늄 포일(Al foil)에 코팅하고, 프레스하여 전극을 제조한 후, 일정크기로 제단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전지 제조)
상기와 같이 일정 크기로 제단된 음극 및 양극을 분리막(PP/EP/PP)과 함께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제작하고, 외경 18 ㎜, 높이 65 ㎜인 전지 캔 속에 적절하게 내장되도록 길이와 폭을 조절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젤리 롤을 전지 캔에 수납하고 전극소자의 상하 양면에 절연판을 배치하고 집전체로부터 니켈로 된 음극 리드를 도출하고 전지 캔에 용접하였으며 양극 집전체로부터 알루미늄으로 된 양극 리드를 도출하여 전지 덮개에 장착된 알루미늄 압력개방밸브에 용접하여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전지에 전해액(EC/EMC=1:2, LiPF61M)을 주입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음극 활물질 슬러리의 증점분산제로 폴리(아크릴-아크릴산) 공중합체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음극 활물질 슬러리의 증점분산제로 폴리(아크릴-아크릴산) 공중합체 1.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음극제조에서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대신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2.5 중량%를 N-메틸 2-피롤리돈을 용매로 하여 용해시킨 후, 흑연 96.5 중량%와 아세틸렌블렉 1 중량%를 상기 용액에 조금씩 넣어가면서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음극제조에서 결착제로 폴리불화비닐리덴 5 중량%를 사용하고, 흑연 96.5 중량%, 아세틸렌블렉 1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증점분산제로 폴리(아크릴-아크릴산) 공중합체를 대신하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CMC) 0.5 중량%를 사용하고, 활물질로 흑연 98.5 중량%와 도전제로 아세틸렌블렉 1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증점분산제로 폴리(아크릴-아크릴산) 공중합체를 대신하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CMC) 1.5 중량%를 사용하고, 활물질로 흑연 97.5 중량%와 도전제로 아세틸렌블렉 1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음극 슬러리의 점착강도, 침전특성, 및 점도를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전지의 충·방전시 용량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점착강도 - 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온도(10∼60 ℃)에 따른 점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ㄴ) 침전특성 - 250 mL 메스실린더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에 의해 제조된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200 mL씩 넣고 12 시간 경과 후
침강되는 높이를 측정하였다.
ㄷ) 점도 - 전극을 일정한 면적으로 자르고 이를 ASTM D4541의 방법으로 제
작한 점착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ㄹ) 용량 -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전지를
정전류 0.4 ㎃/㎠으로 4.2 V까지 충전하고, 4.2 V에서 3 V까지 정전류로
500 ㎃/h의 속도로 방전하여 용량 및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폴리(아크릴-아크릴산) 0.5 1 1.5 - - - -
SBR 2 2 2 - - 2 2
PVdF - - - 2.5 6 - -
CMCF - - - - - 0.5 1.5
점착강도 (g) 980 1190 1050 180 1050 690 850
침전특성 (㎜) 180 175 180 140 190 120 140
점도 (cps, 20 rpm) 20 ℃ 2300 6050 4000 2650 4500 1900 2600
30 ℃ 2170 2990 3970 2505 4350 1760 2150
40 ℃ 2100 2950 3950 2350 4100 1530 1780
50 ℃ 2100 2900 3940 2260 4050 1120 1505
60 ℃ 2080 2890 3940 2200 3850 980 1410
용량 (㎃h) 1150 1050 950 960 995 1050 1105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음극 조성물을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는 비교예 1 내지 4의 전지에 비하여 점착강도, 침전특성, 점도, 및 충·방전시 용량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음극 활물질,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 및 증점분산제로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음극 조성물을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는 도포막 접착 강도가 우수하며, 종래의 셀룰로우즈계 증점제를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전극 슬러리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작아 공정제어가 쉽고,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전극 활물질 제조시 결착제 및 증점분산제의 함량을 줄일 수 있어 전지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에 있어서,
    a) 음극 활물질;
    b) 도전제;
    c)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
    d) 증점분산제로 NaOH(소디움 히드록사이드), KOH(포타슘 히드록사이드), LiOH(리튬 히드록사이드), 무기 음이온(inorganic anion), 트리에탄올아민(TEA), 다이이소프로판올아민(DIPA), 아미노메틸프로판올(AMP-952), 트로메타아민 또는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에 의해 검화된 아크릴계 고분자; 및
    e) 용매로 물
    을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2∼10의 시안기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변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클로로프론, 폴리이소부틸렌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메틸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부틸아크릴레이트, 및 혹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1 종 이상 선택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가 음극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의 아크릴계 고분자가 음극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6. 음극 활물질, 결착제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분자 수지 및 증점분산제로 NaOH(소디움 히드록사이드), KOH(포타슘 히드록사이드), LiOH(리튬 히드록사이드), 무기 음이온(inorganic anion), 트리에탄올아민(TEA), 다이이소프로판올아민(DIPA), 아미노메틸프로판올(AMP-952), 트로메타아민 또는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에 의해 검화된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을 음극에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
KR10-2002-0001802A 2002-01-11 2002-01-11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Expired - Lifetime KR100431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802A KR100431459B1 (ko) 2002-01-11 2002-01-11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802A KR100431459B1 (ko) 2002-01-11 2002-01-11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239A KR20030061239A (ko) 2003-07-18
KR100431459B1 true KR100431459B1 (ko) 2004-05-12

Family

ID=3221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802A Expired - Lifetime KR100431459B1 (ko) 2002-01-11 2002-01-11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641B1 (ko) 2012-05-30 2015-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511822B1 (ko) * 2012-05-30 2015-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230786A1 (zh) * 2022-05-30 2023-12-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粘结剂、制备方法、二次电池、电池模块、电池包及用电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97A (ja) * 1995-06-22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11354126A (ja) * 1998-06-09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KR20000014672A (ko) * 1998-08-24 2000-03-15 손욱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JP2000251880A (ja) * 1999-03-04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極板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97A (ja) * 1995-06-22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11354126A (ja) * 1998-06-09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KR20000014672A (ko) * 1998-08-24 2000-03-15 손욱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JP2000251880A (ja) * 1999-03-04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極板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239A (ko) 200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417B1 (ko) 리튬이온 전지
CN101682031B (zh) 用于电化学体系的电极的粘合剂、包含该粘合剂的电极,和包含该电极的电化学体系
CN100472855C (zh) 用于锂二次电池的阳极和使用该阳极的锂二次电池
CN101911370B (zh) 袋状锂二次电池
KR10056054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1978905B2 (en) Secondary battery, apparatus containing the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binder composition
CN110062973A (zh) 二次电池用硅氧化物负极的预锂化方法
CN102237527B (zh) 一种锂离子电池电极材料及浆料和电极、电池
KR101289974B1 (ko) 비수 전해액 2차 전지
CN102292852A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负极及非水电解质二次电池
KR20170050561A (ko) 반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CN102769149B (zh) 聚合物锂离子电池的制造方法及聚合物锂离子电池
JP2003282148A (ja) 薄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0249473A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
KR20140017845A (ko) 이차전지 전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KR20100001173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588624B1 (ko) 전극 전도도가 향상된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08990A1 (zh) 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和共聚物和装置
KR101623637B1 (ko)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KR20030026814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이를포함하는 전극 및 전지
KR101616721B1 (ko) 접착력이 향상된 바인더 및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2709602B (zh) 一种高能量密度锂离子二次电池的制造方法
CN112216875A (zh) 锂离子电池重复单元、锂离子电池及其使用方法、电池模组和汽车
WO2023133798A1 (zh) 一种用于锂离子二次电池的正极复合材料、正极和电池
CN113328203A (zh) 一种凝胶电解质隔膜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71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