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8747B1 -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747B1
KR100428747B1 KR10-2001-0070369A KR20010070369A KR100428747B1 KR 100428747 B1 KR100428747 B1 KR 100428747B1 KR 20010070369 A KR20010070369 A KR 20010070369A KR 100428747 B1 KR100428747 B1 KR 100428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casting tape
fa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529A (ko
Inventor
편도기
윤형순
고동준
최윤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to KR10-2001-007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7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7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 성분으로 폴리에테르글리콜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및 아미노폴리올을 전체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일정량 함유시켜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윤활성, 몰딩성 및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에 사용시 상기 수지가 편재화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화속도가 빨라 시술시 편리한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Fast-setting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for casting tape}
본 발명은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 성분으로 폴리에테르글리콜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및 아미노폴리올을 전체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일정량 함유시켜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윤활성, 몰딩성 및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에 사용시 상기 수지가 편재화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화속도가 빨라 시술시 편리한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골절부위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석고 붕대를 사용하여 왔으나, 시술이 불편하고 중량이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공기투과성이 좋지 않아 착용시 쾌적함이 부족하고 엑스선(X-ray) 투과성이 나쁘기 때문에 치료의 진행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석고붕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기재와 같은 유연성이 있는 지지체에 폴리우레탄 수지를도포시켜 제조한 정형용 부목재로 대체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 3,241,501호, 제 3,881,473호, 제 4,667,611호, 제 4,774,937호에서는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외선 경화방식은 자외선 램프를 필요로 하며 경화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서 상업화에는 큰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 4,131,114호, 제 4,502,479호, 제 4,376,438호 및 제 4,411,262호에서는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유리섬유 기재에 코팅시킨 캐스팅 테이프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4,433,680호에서는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의 경화반응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촉매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지기술에서는 합성 캐스팅 테이프에 사용되는 섬유상 지지체로 주로 유리섬유 편직물을 사용하였다. 유리섬유 편직물은 일반 석고붕대에 비해 우수한 파쇄 및 충격강도를 보유하여 캐스팅 테이프용 지지체로서 적합한 소재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유리섬유 편직물은 섬유자체의 신장율이 낮아 신체 골절부위에 대한 일치성이 부족할 뿐 아니라 캐스트 후 또는 제품 제조시 절단되는 부분에서 루프(Ruff)가 풀어져 경화후 이 부분에서 의류 및 피부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지닌다.
한편, 미국특허 제 4,667,661호에서는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내에 다수의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폴리올류나 폴리실록산을 도입하여 윤활성을 개선시킨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가공시 수지가 물에 녹음으로써 수질오염을 일으킬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 4,655,208호에서는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내에 친수성 폴리올을 도입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킨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캐스팅 테이프는 유리섬유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후에 완전히 소각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절단시 유리섬유 분진이 환자의 피부에 침투하여 가려움증이나 급성경피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4,937,146호에서는 점착성과 윤활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네랄 오일 및 천연 오일류를 사용하고 있으나, 장기 보관시 오일이 기재로부터 빠져나와 외관이 나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5-34111호에서는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에 디메틸올프로피온산을 첨가하여 윤활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언급되어 있으나, 장기 보관시 코팅된 수지의 편재화로 인해 시술시 잘 풀리지 않고, 색상이 있는 캐스팅 테이프는 색상의 불균일성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올 성분으로 폴리에테르글리콜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및 아미노폴리올을 전체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일정량 함유시켜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윤활성, 몰딩성 및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 보관시 수지 흐름성으로 인한 수지의 편재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분 침투시빨리 경화되는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올 성분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 폴리에테르글리콜 10 ∼ 25 중량%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6 ∼ 13 중량% 및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폴리올 0.2 ∼ 7 중량%가 함유된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 + b는 5 ∼ 42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올 성분으로 폴리에테르글리콜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및 아미노폴리올을 전체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일정량 함유시켜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윤활성, 몰딩성 및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에 사용시 상기 수지가 편재화되는 현상을 감소시킬수 있으며 경화속도가 빠른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 성분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서 가장 큰 특징인 폴리올 성분으로 폴리에테르글리콜 10 ∼ 25 중량%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6 ∼ 13 중량%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폴리올 0.2 ∼ 7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폴리에테르글리콜의 함유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저장안정성이 나쁜 문제가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 가공상에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테르글리콜은 중량평균 분자량 2,000 ∼ 3,000인 고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트리올과 200 ∼ 1,000인 저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트리올을 1:1 ∼ 7: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고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트리올과 저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트리올을 혼합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압축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글리콜의 함유량이 6 중량% 미만이면 기재간 접착력 부족으로 압축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고, 13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 가공성 및 저장안정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글리콜은 분자내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산기를 가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 2,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폴리에스테르글리콜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가공상에 문제가 있고, 2,000을 초과하면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폴리에테르글리콜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은 1:1 ∼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폴리에테르글리콜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저장안정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폴리올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폴리올을 함유시켜 폴리우레탄 수지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수지가 물과 접촉시 물의 침투속도르 향상시키고 그 자체로 촉매역할을 함으로써 속경화성을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아미노폴리올의 함유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속경화성을 유도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고, 7 중량%를 초과하면 저장안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올성분 중 고분자량(Mw 2,000 ∼ 3,000)의 폴리프로필렌트리올은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내에서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 역할을 함으로써 수지에 탄성을 부여하며, 저분자량(Mw 200 ∼ 1,000)의 폴리프로필렌트리올은 수지 내에서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 역할을 함으로써 압축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글리콜은 수지내에서 소프트 세그먼트 역할을 하며, 기재간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아미노폴리올은 폴리우레탄 수지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수지가 물과 접촉시 물의 침투속도를 향상시키고 그 자체로 촉매역할을 함으로써 속경화성을 유도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폴리올 성분으로 일정범위의 폴리프로필렌트리올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및 아미노폴리올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에 윤활성, 몰딩성 및 강도를 우수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에 사용시 상기 수지가 편재화되는 현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로 사용할 경우 물의 침투속도를 향상시켜 속경화성을 유도한다.
그리고,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전체 수지 조성물에 50 ∼ 6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고점도가 되고, 65 중량%를 초과하면 저점도가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Chemistry and Technology II, p453-607, p 609-659, Interscience Publishers]에 알려져 있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액상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L-MDI) 또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슬연장제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 0.5 ∼ 3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압축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고, 3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 가공상에 문제가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로는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레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솔보스(sorbose), 솔비톨(sorbitol)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수지내에서 하드세그먼트 역할을 함으로써 압축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캐스팅 테이프를 보관하는 동안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의 조기 경화 반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안정제를 전체 수지 조성물에 0.01 ∼ 1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보관하는 동안 수지의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와 물의 반응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안정제로는 벤조일클로라이드와 트리에틸포스페이트(triethylphospate) 또는 트리부틸포스페이트(tributhyl phosph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강하고 악취가 나는 벤조일클로라이드보다는 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트리에틸포스페이트(triethylphospate) 또는 트리부틸포스페이트(tributhyl phosphat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폴리우레탄 수지와 물과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속경화 촉매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 0.7 ∼ 2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0.7 중량% 미만이면 경화시간이 느리고, 2 중량%를 초과하면 너무 빠르게 경화되어 작업상의 문제가 있으며, 장기간의 저장안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속경화 촉매로는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테트라메틸-1,3-부탄디아민,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민계 화합물, 스테노스옥토에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아세테이트 등의 금속계 화합물, N-메틸모포린, N-에틸모포린, 디모포르노디에틸에테르, 디모포르노디에톡시에탄, 비스(2,6-디메틸몰포리노)에틸에테르, 몰포리노에틸-(2,6-디메틸몰포리노에틸)에테르, 1-(2-몰포리노에톡시)-2-2-(2,6-디메틸몰포리노에톡시)에탄 등의 모폴린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몰포리노디에틸에테르(DMDE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윤활제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 2 ∼ 1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윤활성이 나쁘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윤활성이 좋기는 하나 장기 보관시 오일이 바깥으로 빠져나와 기재간 접착력을 낮게 하여 압축강도를 나쁘게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윤활제로는 천연물로서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액상 저점도 미네랄 오일(mineral oil)과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부틸렌 에틸렌 스타일렌 코폴리머(hydrogenated butylene ethylene stylene copolymer),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에틸렌 프로필렌 스타일렌 코폴리머(hydrogenated ethylene propylene stylene copolymer)가 함유된 고점도 미네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윤활제는 25 ℃에서 점도 100 ∼ 200 cps인 저점도 미네랄 오일과 점도 18,000 ∼ 22,000 cps인 고점도 미네랄 오일을 1:9 ∼ 9:1의 중량비로 혼합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저점도 미네랄 오일과 고점도 미네랄 오일을 상기 범위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수지내 윤활성을 부여하여 캐스팅 테이프에 적용시 환자에게 편리함과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여 신체 적합성을 향상시키고, 기재로부터 수지의 탈리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40,000 ∼ 60,000 cps/30 ℃를 가지므로 수지의 흐름성이 양호한 특징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성분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질에 통상의 방법으로 피복시켜 성형된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를 포함한다. 이때, 기질에 도포되는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캐스팅 테이프에 대하여 35 ∼ 6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55 중량%가 좋다. 상기 첨가되는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35 중량% 미만이면 경화후 파쇄강도가 낮아지며, 60 중량%를 초과하면 과다한 수지량으로 인해 보관시 수지가 편재화하여 표면에 버블이 발생하는 등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기질은 신율이 20 ∼ 50%인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유해성이 없으므로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시키면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투입하고 반응온도를 55 ∼ 60 ℃로 유지시킨 다음 폴리올 성분을 적하하였다. 반응은 NCO%가 14%로 되면 완료된 것으로 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온도를 상온으로 내리고, 안정제를 투입한 후 30분간 교반시키고나서, 촉매를 투입하고 다시 10분간 교반시켰다. 그 후 윤활제를 투입하여 최종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6 및 비교예 5 ∼ 10. 캐스팅 테이프 제조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4에 의해 제조된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기재에 다음 표 2에 나타낸 함량으로 도포하여 캐스팅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캐스팅 테이프 제조는 원 롤(One-roll) 형태의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기재에 과다한 장력에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한 후 알루미늄 포장지로 포장하였다.
그리고, 비교예로서 종래 캐스팅 테이프인 스카치캐스트 플러스(미국 3M사, 비교예 9)와 신토-캐스트(Kirschner Medical사, 비교예 10)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4 ∼ 6 및 비교예 5 ∼ 10의 캐스팅 테이프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상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기재의 신율 측정
캐스팅 테이프를 개봉하고 약 10 cm 정도로 절단한 후 보통의 힘으로 당겨 다음 수학식 1과 2에 의해 기재의 신율을 계산하였다.
길이 신율(%) = (늘어났을 때의 길이-초기 길이)/초기 길이×100
폭 신율(%)= (늘어났을 때의 길이-초기 길이)/초기 길이×100
2. 수지흐름성 측정
캐스팅 테이프를 개봉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건조된 유리병에 넣은 후 건조질소를 충진시켜 밀봉하였다. 밀봉된 유리병을 70 ℃의 건조오븐에 넣고 5일 경과후 캐스팅 테이프만 꺼내어 유리병 무게를 측정하고 다음 수학식 3에 의해 수지흐름성을 계산한다.
3. 압축강도 측정
캐스팅 테이프를 개봉하여 실온의 물에 5 ∼ 10초간 침지한 후 2 ∼ 3번 짜내어 과량의 물을 제거한 후 직경 5 cm 원통에 6번 감아 실린더(cylinder)형태로 만들었다. 5분 경과후 원통으로부터 경화된 캐스팅 테이프를 제거하여 상대습도 55±5%인 대기중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인장시험기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인장시험기의 크로스헤드 하강속도는 5 cm/min으로 하였고 캐스팅 테이프가 1cm 눌렸을 때의 받는 하중값을 계산하였으며 단위는 kg/cm로 하였다.
4. 수지용해도 측정
캐스팅 테이프를 개봉하여 23 ℃의 물속에 침지한 후 3회 짜내어 과량의 물을 제거하고, 80 ℃ 오븐에 4시간 건조시킨 후 다음 수학식 4에 의해 계산하였다.
5. 수지의 코팅량 측정
캐스팅 테이프를 개봉하여 10 cm 길이로 절단한 후, 아세톤 500 ㎖가 담긴 PE병에 넣어 10회 정도 짜내어 표면에 코팅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용해시키고 다시 아세톤으로 4 ∼ 5회 수세하여 건조한 기재의 무게를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5에 의해 계산하였다.
6. 세팅 타임(setting time) 측정
캐스팅 테이프를 개봉하여 실온의 물에 5 ∼ 10 초간 침지한 후 2 ∼ 3번 짜내어 과량의 물을 제거한 후 직경 5 cm 원통에 6번 감아 실린더(cylinder) 형태로 만들었다. 2분 이내에 원통으로부터 경화된 캐스팅 테이프를 제거한 후 손가락으로 눌러 더 이상 들어가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 6의 캐스팅 테이프는 폴리올 성분으로 폴리프로필렌트리올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및 아미노폴리올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강한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수지 흐름성이 8 % 미만으로 기재로부터 수지의 탈리현상을 개선시키며, 윤활제로서 저점도 미네랄 오일과 고점도 미네랄 오일을 적절히 혼합 사용하여 캐스팅 테이프에 윤활성을 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올 성분으로 아미노폴리올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물의 침투속도를 향상시키며 물과의 반응을 촉진시켜 세팅 타임이 짧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폴리올 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한 캐스팅 테이프인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은 압축강도가 낮고 세팅 타임이 느린 문제가 있고, 비교예 8은 세팅 타임은 빠르나 압축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캐스팅 테이프인 비교예 9와 10은 유리섬유를 기재를 사용하여 절단시 유리섬유 분진의 발생으로 인체 유해성이 있었으며, 소각시 수지성분은 완전히 소각되었으나 유리섬유 기재가 잔유물로 남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4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스핀들(spindle)이 #4인 브룩필드 알브이티(Brookfield RVT) 점도계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온도는 30 ℃이고, 용기에 담긴 수지의 전체적인 온도가균일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30 ℃ 오븐에서 밀봉하여 30분 보관한 후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3의 폴리우레탄 수지는 점도가 40,000 ∼ 60,000 cps로 수지의 흐름성이 양호하여 기재에서 흘러내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는 점도가 낮아서 기재로부터 수지가 탈리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성분으로 특정 분자량 범위의 폴리에테르글리콜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및 아미노폴리올을 일정비율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강도가 강화되고, 장기 보관시 수지 흐름성으로 인한 수지의 편재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윤활성과 수질오염의 문제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굴곡진 부위에도 몰딩성이 우수하고, 경화속도가 빨라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폴리올 성분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 폴리에테르글리콜 10 ∼ 25 중량%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 6 ∼ 13 중량% 및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폴리올 0.2 ∼ 7 중량%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 a + b는 5 ∼ 42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글리콜은 중량평균 분자량 2,000 ∼ 3,000인 것과 200 ∼ 1,000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1:1 ∼ 7: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글리콜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 2,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글리콜과 폴리에스테르글리콜은 1:1 ∼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따른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질에 피복시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은 신율이 20 ∼ 50%인 폴리에스테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
KR10-2001-0070369A 2001-11-13 2001-11-13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428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369A KR100428747B1 (ko) 2001-11-13 2001-11-13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369A KR100428747B1 (ko) 2001-11-13 2001-11-13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529A KR20030046529A (ko) 2003-06-18
KR100428747B1 true KR100428747B1 (ko) 2004-04-29

Family

ID=2956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369A Expired - Lifetime KR100428747B1 (ko) 2001-11-13 2001-11-13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7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673A (en) * 1989-10-12 1991-05-21 Basf Corporation Nonionically stabilized polyester urethane resin for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s
US5185383A (en) * 1990-12-18 1993-02-09 Urethane Technology, Co., Inc. Hydroxyl containing component for use in creating polyurethane foams
KR930010069A (ko) * 1991-11-05 1993-06-22 이한배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673A (en) * 1989-10-12 1991-05-21 Basf Corporation Nonionically stabilized polyester urethane resin for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s
US5185383A (en) * 1990-12-18 1993-02-09 Urethane Technology, Co., Inc. Hydroxyl containing component for use in creating polyurethane foams
KR930010069A (ko) * 1991-11-05 1993-06-22 이한배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529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1801B2 (en) Fluid wound dressing comprising partially cured polyurethane
EP0693944B1 (en) Novel casting tapes and resins and processes therefor
CA2632493C (en) Foam control for synthetic adhesive/sealant
JP2001514933A (ja) 強化システムを有する軟質整形外科用キャスティング物品
EP0223380B1 (en) Reinforced casting material
JP2606864B2 (ja) 補強したギプス材料
KR100428747B1 (ko) 캐스팅 테이프용 속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0428748B1 (ko) 캐스팅 테이프용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0654425B1 (ko)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반경질캐스팅 테이프
KR100249674B1 (ko)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CN100540064C (zh) 一种高分子绷带及其制备方法
KR100448098B1 (ko)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정형외과용 캐스트
KR0167828B1 (ko)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JP2552883B2 (ja) ポリウレタン流延テープ
CN113512174A (zh) 一种双组分聚氨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290143B1 (ko) 수분경화성폴리우레탄캐스트조성물
JPH03503611A (ja) 硬化性材料
WO2004037307A1 (en) Fluid wound dressing comprising partially cured polyurethane
AU2021103268A4 (en) Two-component polyurethane composition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0981440B1 (ko)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캐스팅 시트
KR100519433B1 (ko) 정형용 소프트 캐스팅 테이프
CN116063971A (zh) 一种湿固化聚氨酯胶黏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2492A (zh) 新型水固化聚氨酯矫形绷带
KR19980031089A (ko) 내황변성 캐스팅 테이프의 제조방법
JPH01175854A (ja) ギブス包帯用水硬化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