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7625B1 -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625B1
KR100427625B1 KR10-2000-0063138A KR20000063138A KR100427625B1 KR 100427625 B1 KR100427625 B1 KR 100427625B1 KR 20000063138 A KR20000063138 A KR 20000063138A KR 100427625 B1 KR100427625 B1 KR 10042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easuring
housing part
housing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347A (ko
Inventor
이노우에고키
후쿠다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Publication of KR20010067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61B2560/0468Built-in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는 제 1 통전용 전극(4) 및 제 1 계측용 전극(5)을 갖는 제 1 하우징부(22)가 제 2 통전용 전극(6) 및 제 2 계측용 전극(7)을 갖는 제 2 하우징부(3)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지만, 상기 제 1 하우징부(22) 및 상기 제 2 하우징부(3)는 전선(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제 1 하우징부(22) 및 제 2 하우징부(3)는 임피던스의 계측을 위해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DIVIDABLE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LIVING BODY IMPEDANCE}
본 발명은 인간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를 계측하고 체지방율, 체수분량등과 같은 건강심리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두 하우징부로 나누어 전극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분리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생체 임피던스를 계측하고 성인병에 대한 원인이 될 수 있는 체지방율과 같은 비만정보를 추정하는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의 일종으로 알려진 여러 유형의 체지방 계측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그 중에, 현재 이용할만한 전형적인 장치가 소형 체지방 계측장치이다. 이 소형 체지방 계측장치는 하우징내에 위치된 계측수단, 연산수단,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과 하우징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몇 개의 통전용 및 계측용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소형장치 이전에는 체중계를 포함하고 양발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체지방 계측장치가 알려지고 상품화 되어왔다. 또한 상기 소형장치 이전에 양손으로 핸들을 움켜쥐고 있는 동안 양손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체지방 계측장치가 알려져 왔다. 그러나, 상기 소형장치 이전에 알려져 온 체지방 계측장치들은 인간의 신체의 일정부분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것에만 효력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기 소형 체지방 계측장치는 한손과 신체의 임의의 부위와의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개평 11-19059호 공개참조)
그러나, 상기 소형 체지방 계측장치는 피계측자가 또한 계측자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병상에 누워있는 환자와 같은 신체 부자유자는 계측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상인의 경우라 하더라도 예를들면 한손과 한발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몸을 구부리는 것과같은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해야하고 신체에 부담을 주게된다. 이것은 신체의 근육 및 지방의 불안정한 상태를 만들고 잘못된 계측값을 만들 수 있다.
더욱이, 한손이 기준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구조 때문에 상기 소형 계측장치는 체지방율을 산정하기 위해 복부의 임의의 두부위 사이를 계측해야 할 경우에는 취급될 수 없다.
상기 소형 계측장치는 또한 한손과 복부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동안에는 표시수단이 피계측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계측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더욱이, 양손 및 양발과 같은 특정된 부위사이에 한하지 않고 한손과 신체의 임의의 한부위 사이의 계측이기 때문에 피계측자는 상기 계측장치에 의해 신체의 어느 부위가 계측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이것은 피계측자가 계측할 신체부위를 착오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소형 체지방 계측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롭고 개선된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을 갖는 제 1 하우징부가 제 2 통전용 전극 및 제 2 계측용 전극을 갖는 제 2 하우징부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상기 제 2 하우징부가 전선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생체 임피던스 계측용 분리가능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계측을 위해 제 1 하우징부 및 제 2 하우징부에 장착된 전극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놓을 수 있다. 이것은 피계측자가 병상에 누워있는 신체 부자유자인 경우에도 병간인이나 보조자가 계측을 위해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를 분리하여 피계측자의 신체부위에 배치할 수 있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부의 같은 면에 제 2 통전용 전극 및 제 2 계측용 전극이 설치된다. 제 2 하우징부는 계측을 위해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특히 정상인이 한손과 신체의 임의의 다른 부분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경우에도 신체를 구부리는 것과 같은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정확한 계측 결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부의 같은 면에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부는 계측을 위해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신체의 복부에만 한정된 임피던스의 계측과 같은 경우도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부의 복수의 표면에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이 설치된다. 이로써 제 1 하우징부의 표시수단을 계측자의 시야내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자는 계측상황을 확인하면서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부의 복수의 표면에 제 2 통전용 전극 및 제 2 계측용 전극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계측될 신체의 부위에적합한 표면에 설치된 적당한 전극중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금 신체의 어느 부위가 계측되고 있는지를 그 부분의 이름이나 그림으로 표시하여 표시수단에 안내정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분리된 상태에 있는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한손과 복부 사이가 계측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한손과 한발 사이가 계측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복부를 가로질러 계측하는 경우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는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을 갖는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로 이루어진다. 제 2 하우징부는 상기 제 1 통전용 전극과의 사이에 생체에 전류로를 형성하는 제 2 통전용 전극을 포함한다. 제 2 하우징부는 또한 상기 제 1 계측용 전극과의 사이에 생체에 생긴 전위차를 검출하는 제 2 계측용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부는 물리적으로 상기 제 2 하우징부와 분리될 수 있지만, 전선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부는 상기 제 1 계측용 전극과 제 2 계측용 전극의 사이에 신체에 생긴 전위차에 기초한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계측부와 계측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부는 또한 상기 계측수단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산작동을 하는 연산수단과 입력데이터 및 연산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계측자는 상기 계측장치를 제 1 하우징부 및 제 2 하우징부로 분리할 수 있다.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이 피계측자의 신체의 한 부위에 접촉되도록 피계측자가 제 1 하우징부를 붙잡는다. 동시에 피계측자는 제 2 통전용 전극 및 제 2 계측용 전극이 피계측자의 신체의 다른 부위에 접촉되도록 제 2 하우징부를 붙잡는다. 이 상태에서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2 통전용 전극이 접촉된 신체의부위사이에 전류로가 형성된다. 그러면 제 1 계측용 전극 및 제 2 계측용 전극이 접촉된 신체의 부위사이에 생긴 전위차가 검출되어 계측수단에 의해 임피던스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하우징부 및 제 2 하우징부상에 설치된 전극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놓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전극들은 계측을 위해 신체의 어느 부위에도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침상에 누워있는 신체부자유자라 하더라도 병간인이나 보조자의 도움으로 계측할 수 있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같은 면에 제 2 통전용 전극 및 제 2 계측용 전극이 설치된다. 제 2 하우징부가 제 1 하우징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제 2 하우징부가 계측을 위해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피계측자는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이 한손에 접촉되도록 제 1 하우징부를 붙잡는다. 동시에 피계측자는 제 2 통전용 전극 및 제 2 계측용 전극이 신체의 다른 부위에 접촉하도록 제 2 하우징부를 잡는다. 이 상태에서 피계측자는 신체에 부담을 주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계측값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부의 같은 면에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부는 상술된 것처럼 제 2 하우징부의 경우와 같이 손대신에 계측을 위한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부 및 제 2 하우징부는 신체의 임의의 부위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하기 위해 신체의 어디라도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부의 복수의 표면에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부는 제 1 통전용 전극 및 제 1 계측용 전극이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쉽게 접촉하도록 그 방향이 변한다. 이로써 계측자는 제 1 하우징부의 표시수단이 자신의 시야내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자는 계측상황을 확인하면서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부의 복수의 표면에 제 2 통전용 전극 및 제 2 계측용 전극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계측될 신체의 부위에 적합한 표면에 설치된 적당한 전극중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지금 신체의 어느 부위가 계측되고 있는지를 그 부분의 이름이나 그림으로 표시하여 표시수단에 안내정보를 제공한다. 계측자는 미리 신체의 어느 부위를 계측할지를 분명히 할 수 있으므로 계측부위를 잘못 계측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더구나 제 1 하우징부 및 제 2 하우징부를 서로 접속한 채로 양손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측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제 1 하우징부 및 제 2 하우징부를 서로 결합시켜 놓는 것이 콤팩트하기 때문에 휴대하기 편리하다.
상술에 있어서, 계측수단, 데이터 입력수단 및 연산수단이 제 1 하우징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계측수단, 데이터 입력수단 및 연산수단의 일부 또는 모두가 제 2 하우징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및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1)는 제 1 하우징부(2) 및 제 2 하우징부(3)가 접합선(11)을 따라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부(2)는 상부옆면에 배치된 제 1 통전용 전극(4) 및 하부옆면에 배치된 제 1 계측용 전극(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부(2)는 또한 계측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스위치(8)와 입력 데이터 및 연산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9)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하우징부(2)는 내부에 장착된 전자회로 기판상의 소정의 임피던스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수단과 데이터 입력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및 계측수단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작동을 실행하기 위한 연산수단을 포함한다. 제 2 하우징부(3)는 정면에 배치된 제 2 통전용 전극(6) 및 제 2 계측용 전극(7)을 포함한다.
도 2는 분리된 상태에 있는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하우징부(2)는 접합선(11)에서 제 2 하우징부(3)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하우징부(2) 및 제 2 하우징부(3)는 제 1 하우징부(2)의 전극(4,5)과 제 2 하우징부(3)의 전극(6,7)의 사이에서 계측될 수 있도록 전선(1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1)를 이용한 계측작동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실행된다: 체중, 체형, 성별, 연령, 신장 및 계측된 계측부위를 포함한 계측조건이 데이터 입력 스위치(8)에 의해 설정된다. 그러면 제 1 하우징부(2)는 접합선(11)에서 제 2 하우징부(3)와 분리된다. 도 3은 한손과 복부 사이가 계측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한손과 한발 사이가 계측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피계측자는 서 있는 자세로 제 1 통전용 전극(4) 및 제 1 계측용 전극(5)이 그의 손에 접촉되도록 제 1 하우징부(2)를 한손에 붙잡는다. 동시에 피계측자는 제 2 통전용 전극(6) 및 제 2 계측용 전극(7)이 그의 복부 또는 발에 접촉되도록 제 2 하우징부(3)를 붙잡는다. 피계측자가 침상에 누워있는 신체부자유자인 경우에는 병상인 또는 보조자가 제 1 하우징부(2) 및 제 2 하우징부(3)를 피계측자의 임의의 신체부위에 접촉시킴으로써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통전용 전극(4)과 제 2 통전용 전극(5) 사이에 전류가 흘러 한손과 복부 또는 발 사이에 전류로가 형성된다. 그러면 손과 복부 또는 발 사이에 형성된 전류로의 두 지점간의 전위차가 제 1 계측용 전극(5) 및 제 2 계측용 전극(7)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와같이 검출된 전위차를 기초로하여 공지의 계측수단에 의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하우징부(2)는 접합선(11)에서 제 2 하우징부(3)와 분리할 수 있고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것은 계측되는 신체의 부위사이의 계측거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병상에 누워있는 신체부자유자인 경우에도 보조자의 도움으로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부(3)의 같은 면(이 경우 정면(14))에 제 2 통전용 전극(6) 및 제 2 계측용 전극(7)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계측자는 쉽게 신체의 임의의 부위(이 경우 손과 복부 또는 발)에 전극을 붙잡을 수 있다. 따라서 피계측자는 계측을 위해 몸을 구부리는 것과 같은 신체에 부담을 주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훨씬 정확한 계측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21)는 제 1 하우징부(22) 및 제 2 하우징부(3)가 결합선(11)을 따라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부(22)는 정면에 배치된 제 1 통전용 전극(4) 및 제 1 계측용 전극(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부(22)는 또한 계측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스위치(8)와 입력 데이터 및 연산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9)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부(22)는 내부에 장착된 전자회로 기판상의 소정의 임피던스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수단과 데이터 입력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및 계측수단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작동을 실행하기 위한 연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하우징부(3)는 정면에 배치된 제 2 통전용 전극(6) 및 제 2 계측용 전극(7)을 포함한다.
도 6은 도 5에서의 계측장치를 사용하여 복부위의 임의의 두 지점 사이를 계측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피계측자는 제 1 통전용 전극(4) 및 제 1 계측용 전극(5)이 복부와 접촉되도록 제 1 하우징부(22)를 붙잡는다. 동시에 피계측자는 제 2 통전용 전극(6) 및 제 2 계측용 전극(7)이 복부의 다른 위치에 접촉되도록 제 2 하우징부(3)를 붙잡는다.
이와같이 제 1 하우징부(22) 및 제 2 하우징부(3)의 각 전극은 분리하여 신체의 임의의 선택된 부위에 접촉함으로써 계측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부와 복부사이 뿐만아니라 신체의 어느 부위 사이라도 임피던스를 계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 상기 계측장치는 상기 제 1 하우징부(22)의 하부옆면(13)에 배치된 제 1 통전용 전극(4) 및 제 1 계측용 전극(5)을 포함하고, 그 전극들은 도 5에서의 계측장치에 추가로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면(14)의 제 1 통전용 전극(4)은 제 1 하우징부(22)내의 하부옆면(13)의 제 1 통전용 전극(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정면(14)의 제 1 계측용 전극(5)은 하부옆면(13)의 제 1 계측용 전극(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계측장치의 이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부(22)는 하부옆면(13)의 제 1 통전용 전극(4) 및 제 1 계측용 전극(5)이 계측을 위해 신체의 특정부위와 쉽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방향이 변화된다. 동시에 제 1 하우징부(22)의 표시수단(9)은 계측자의 시야내로 향해있기 때문에 계측자는 표시수단을 확인하면서 계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5 및 도 7에서의 계측장치의 전극에 더하여, 도 8에서의 계측장치는 제 2 하우징부(3)의 단측면(15)에 배치된 제 2 통전용 전극(6) 및 제 2 계측용 전극(7)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면(14)의 제 2 통전용 전극(6)은 제 2 하우징부(3)내의 단측면(15)의 제 2 통전용 전극(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정면(14)의 제 2 계측용 전극(7)은 단측면(15)의 제 2 계측용 전극(7)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손과 발 사이가 계측되는 경우에, 제 1 하우징부(2)는 손으로 붙잡고 제 2 하우징부(3)는 발로 붙잡는다. 이 경우 제 2 하우징부(3)의 정면(14)은 밟아서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쉽기 때문에 발측의 접촉면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복부위를 가로질러 계측되는 경우에는 제 2 하우징부(3)의 단측면(15)은 손으로 제 2 하우징부를 쉽게 잡을 수 있기때문에 복부측의 접촉면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계측될 신체의 부위에 알맞는 제 2 하우징부(3)의 전극이 장착된 적당한 어느 한면이 선택된다.
더욱이, 계측장치의 전원투입이나 계측개시전에 계측될 신체의 모든 부위를 나타내는 이름이나 그림이 표시수단(9)에 표시되고 스위치(8)를 사용하여 신체의 특정부위가 선택된다. 그 후에, 계측자는 표시수단(9)에 표시된 정보에 따라서 신체의 부위에 제 1 하우징(22) 및 제 2 하우징(3)을 접촉시켜 계측한다. 이렇게 하면 신체의 잘못된 부위를 계측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분리가능형 체지방 계측장치를 참조로 본 발명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한 계측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체수분 계측장치, 맥박계, 신체조성 계측장치, 신체피로도 판정장치, 환부회복도 판정장치 및 붓기 계측장치와 같은 생체 임피던스의 계측을 위한 전극을 갖는 임의의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분리가능형 하우징이기 때문에 피계측자 이외의 간병인 또는 보조자에 의해 계측될 수 있다. 그리고 피계측자가 계측을 위해 신체에 부담을 주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신체의 근육이나 지방을 안정한 상태로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임피던스의 계측치를 얻을 수 있다.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의 같은 면에 전극이 설치된다. 상기 전극은 계측을 위해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복수의 표면에 전극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하우징부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기때문에 계측자가 붙잡기 쉽고 표시수단을 확인하면서 계측할 수 있다.
더욱이, 계측될 신체의 모든 부위의 이름이나 그림이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이것이 계측될 신체의 부위를 확인하기 쉽게 한다. 따라서 신체의 잘못된 부위를 계측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Claims (8)

  1.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통전용 전극, 제 1 계측용 전극, 상기 제 1 통전용 전극과의 사이에서 생체에 전류로를 형성하는 제 2 통전용 전극, 및 상기 제 1 계측용 전극과의 사이에서 생체에 생긴 전위차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계측용 전극;
    상기 제 1 계측용 전극과 상기 제 2 계측용 전극의 사이의 생체에 생긴 전위차에 의해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계측수단;
    계측조건을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계측수단으로 얻어진 데이터 및 상기 입력수단에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하는 연산수단; 및
    입력의 상태나 연산의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에 있어서,
    손으로 유지하여 측정가능한 콤팩트 사이즈이고, 상기 제 1 통전용 전극과 상기 제 1 계측용 전극을 구비한 제 1 하우징부,
    손으로 유지하여 측정가능한 콤팩트 사이즈이고, 상기 제 2 통전용 전극과 상기 제 2 계측용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일체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하우징부, 및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상기 제 2 하우징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상기 제 2 하우징부가 일체로 되어 있을 때는 일체의 상태로 있는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를 손으로 유지하여 상기 각각의 전극을 생체에 접촉시켜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사이의 생체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상기 제 2 하우징부가 분리되어 있을 때는 분리의 상태로 있는 상기 제 1 하우징부 및 상기 제 2 하우징부를 각각의 손으로 유지하여 상기 각각의 전극을 생체에 접촉시켜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사이의 생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같은 면에 상기 제 2 통전용 전극과 상기 제 2 계측용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부의 같은 면에 상기 제 1 통전용 전극과 상기 제 1 계측용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부의 복수의 같은 면에 상기 제 1 통전용 전극과 상기 제 1 계측용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복수의 같은 면에 상기 제 2 통전용 전극과 상기 제 2 계측용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생체의 계측 개소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제 1 하우징부 또는 제 2 하우징부 중 어느 한 하우징부의 1면에 있고, 상기 제 1 통전용 전극과 상기 제 1 계측용 전극 또는 상기 제 2 통전용 전극과 상기 제 2 계측용 전극은 상기 1면 이외의 같은 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생체의 계측 개소의 명칭이나 그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KR10-2000-0063138A 1999-10-27 2000-10-26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KR100427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575199 1999-10-27
JP99-305751 1999-10-27
JP2000-256813 2000-08-28
JP2000256813A JP3705576B2 (ja) 1999-10-27 2000-08-28 分離可能型生体インピーダンス計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347A KR20010067347A (ko) 2001-07-12
KR100427625B1 true KR100427625B1 (ko) 2004-04-30

Family

ID=2656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138A KR100427625B1 (ko) 1999-10-27 2000-10-26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73642B1 (ko)
EP (1) EP1095614B1 (ko)
JP (1) JP3705576B2 (ko)
KR (1) KR100427625B1 (ko)
CN (1) CN1172631C (ko)
DE (1) DE60017665T2 (ko)
TW (1) TW4587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38034D1 (de) 2001-02-22 2010-12-02 Kao Corp Körperfettmessgerät
US20040031053A1 (en) * 2002-08-08 2004-02-12 Jong-Hoon Lim Method for providing HDTV-level multimedia ser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JP4116497B2 (ja) * 2003-06-16 2008-07-09 株式会社タニタ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US20040260196A1 (en) * 2003-06-18 2004-12-23 Chih-Cheng Lu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ocal body fat by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technology
JP4740641B2 (ja) * 2005-05-02 2011-08-03 株式会社タニタ 体幹部皮下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体幹部内臓・皮下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4740629B2 (ja) * 2005-04-13 2011-08-03 株式会社タニタ 体幹部内臓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4740638B2 (ja) * 2005-04-27 2011-08-03 株式会社タニタ 体幹内臓脂肪測定方法及び装置
JP4740642B2 (ja) * 2005-05-02 2011-08-03 株式会社タニタ 体幹内臓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体幹骨格筋量測定装置
JP4740636B2 (ja) * 2005-04-27 2011-08-03 株式会社タニタ 体幹内臓脂肪測定方法及び装置
JP4740637B2 (ja) * 2005-04-27 2011-08-03 株式会社タニタ 体幹内臓脂肪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7014663A (ja) * 2005-07-11 2007-01-25 Tanita Corp 体幹部皮下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体幹部内臓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
DE602006003273D1 (de) * 2005-07-07 2008-12-04 Tanita Seisakusho Kk Viszerales/subkutanes Fettmessverfahren am Rumpf und Gerät dafür
JP4740667B2 (ja) * 2005-07-07 2011-08-03 株式会社タニタ 体幹部内臓・皮下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4679986B2 (ja) * 2005-07-08 2011-05-11 株式会社タニタ 腹囲長測定装置及び腹囲長測定機能を備えた体幹部脂肪測定装置
JP2007014664A (ja) * 2005-07-11 2007-01-25 Tanita Corp 体幹部皮下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体幹部内臓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4529884B2 (ja) * 2005-11-30 2010-08-2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および上肢ユニット
JP2007301093A (ja) * 2006-05-10 2007-11-22 Omron Healthcare Co Ltd 体組成測定装置
JP4706782B2 (ja) * 2009-07-27 2011-06-2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
JP2011177298A (ja) * 2010-02-26 2011-09-15 Tanita Corp 生体指標測定装置
WO2011122208A1 (ja) * 2010-03-29 2011-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生体情報取得方法
JP5309180B2 (ja) * 2011-04-25 2013-10-09 株式会社タニタ 体幹部皮下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5309181B2 (ja) * 2011-04-25 2013-10-09 株式会社タニタ 体幹部皮下脂肪測定方法及び体幹部皮下脂肪測定装置
EP2656785B9 (en) * 2012-04-26 2019-08-28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Electrodes for a bio-impedance measuring device, and devices used during dialysis
KR102420009B1 (ko) * 2015-04-08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장치
CN105147314A (zh) * 2015-08-20 2015-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人体参数检测方法及检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871A (ja) * 1997-10-20 1999-04-27 Omron Corp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17015D0 (en) * 1991-08-07 1991-09-18 Software Solutions Ltd Operation of computer systems
US5333618A (en) * 1993-06-30 1994-08-02 Gregory Lekhtman Portable self-contained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nerve resistance of a patient
US5579782A (en) * 1993-08-12 1996-12-03 Omron Corporation Device to provide data as a guide to health management
JP3787420B2 (ja) 1997-07-04 2006-06-21 大和製衡株式会社 体内脂肪計
JPH11113781A (ja) * 1997-10-09 1999-04-27 Nittei:Kk 耳孔手入れ具
DE29824043U1 (de) * 1997-12-25 2000-04-06 Yamato Scale Co., Ltd., Akashi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s Gehalts an Fett im menschlichen Körper
JP3098735B2 (ja) * 1998-03-05 2000-10-16 株式会社ミサキ 分離型脂肪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871A (ja) * 1997-10-20 1999-04-27 Omron Corp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347A (ko) 2001-07-12
JP2001190513A (ja) 2001-07-17
EP1095614B1 (en) 2005-01-26
DE60017665D1 (de) 2005-03-03
DE60017665T2 (de) 2005-12-29
CN1172631C (zh) 2004-10-27
CN1293945A (zh) 2001-05-09
TW458768B (en) 2001-10-11
EP1095614A1 (en) 2001-05-02
JP3705576B2 (ja) 2005-10-12
US6473642B1 (en) 200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625B1 (ko)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KR100879787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
EP08350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using a new electrode system based on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US6308096B1 (en) Device to provide data as a guide to health management
US6718200B2 (en) Wearable body-fat sensor
EP1027861B1 (en) Body fat meter and body weight scales equipped with body fat meter
KR0123408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인체 성분 분석 장치 및 그 분석 방법
JPH09285455A (ja)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H0549050B2 (ko)
JP2003230547A (ja) 健康管理装置
JP3211117B2 (ja)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2008284354A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の測定装置
KR101206610B1 (ko) 탈착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체성분 측정 장치
EP1092389B1 (en)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with handgrip
KR20010067315A (ko) 체중계가 부착된 인체 조성 측정 장치
JP4422997B2 (ja) 患部回復状態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68852A (ko) 체성분 분석기 및 체성분 측정방법
JP3508633B2 (ja) 体脂肪計
JP2532597Y2 (ja) 電導度測定用電極
JP2007181524A (ja) 体組成計
KR20030042254A (ko)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KR200405084Y1 (ko) 발전극에 요철부를 갖는 분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