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0092B1 - 라디오수신기 - Google Patents

라디오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092B1
KR100420092B1 KR10-1998-0010779A KR19980010779A KR100420092B1 KR 100420092 B1 KR100420092 B1 KR 100420092B1 KR 19980010779 A KR19980010779 A KR 19980010779A KR 100420092 B1 KR100420092 B1 KR 10042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frequency
tuning
dam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801A (ko
Inventor
게이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0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03J5/246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ing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 H03J3/02Details
    • H03J3/06Arrangements for obtaining constant bandwidth or gain throughout tuning range or ranges
    • H03J3/08Arrangements for obtaining constant bandwidth or gain throughout tuning range or ranges by varying a second parameter simultaneously with the tuning, e.g. coupling bandpass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댐핑 회로의 동작에 기인하는 상호 변조 방해를 저감시킨다.
RF 신호는 안테나 동조 회로(1)로 동조되어 RF 증폭 회로(2)에서 증폭된 후, RF 동조 회로(3)로 동조된다. 희망국에 맞춰서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설정되므로, 혼합 회로(4)에 있어서 희망국의 RF 신호가 소정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IF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가 동조 제어 신호에 따라서 희망국의 주파수로 된다. 희망국 외에 전계 강도가 강한 방해국을 수신할 때, 수신 전계 강도는 소정 레벨보다 높아진다. 이에 따라, 댐핑 제어 회로(9)의 댐핑 신호가 발생되고, 댐핑 회로(10)가 온하여 안테나 동조 회로(1)의 출력 신호가 감쇠된다. 또한, 동조 제어 신호가 보정되고, 댐핑 회로(10)의 온에 의해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가 희망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라디오 수신기{A RADIO RECEIVER}
본 발명은,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를 개선한 라디오 수신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디오 수신기에 있어서, 희망 방송국 외에, 도 3의 (a)와 같이 주파수 간격이 같고 전계 강도가 강한 방해국 fud1 및 fud2가 수신되면, 예를 들면, RF 증폭 회로의 증폭 소자로서 이용되는 트랜지스터 등의 비직선성 소자의 특성으로부터, 희망국과 방해국의 주파수의 합, 차 등 여러가지 고조파 신호가 발생된다. 이 고조파의 주파수가 희망국의 주파수나 중간 주파수와 동일하게 되는 경우, 이 신호는 희망국에 상호 변조 방해라 불리우는 방해를 주고 있었다. 도 5는 이 상호 변조방해를 저감시킨 종래의 라디오 수신기이다.
도 5에 있어서, 수신 RF 신호는 안테나 동조 회로(1)로 동조되어 RF 증폭 회로(2)에서 증폭된 후, RF 동조 회로(3)에서 동조된다. RF 동조 회로(3)의 출력 신호는, 혼합 회로(4)에 있어서, 국부 발진 회로(5)의 국부 발진 신호에 의해 IF(중간 주파) 신호로 주파수 변환된다. IF 신호는, IF 증폭 회로(6)에서 증폭된 후 FM 검파 회로(7)에서 FM 검파된다. 또한, 혼합 회로(4)의 출력 신호는 전계 강도 검출 회로(8)로 피크 레벨을 검출하고, 그 결과,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가 검출된다. 전계 강도 검출 회로(8)의 출력 신호는 댐핑·제어 회로(9)에서 소정 레벨인지의여부가 검출된다. 그리고, 댐핑·제어 회로(9)의 출력 신호 a에 따라서, 댐핑·회로(10)가 온·오프한다.
여기서, 희망국 외에, 전계 강도가 강한 방해국 fud1 및 fud2가 수신되면, 전계 강도 검출 회로(8)의 출력 신호가 소정 레벨보다 높아져서 댐핑 제어 회로(9)의 출력 신호에 의해, 댐핑 회로(10) 중 PlN 다이오드(10a, 10b)에 전류가 흘러, 댐핑 회로(10)가 온한다. PIN 다이오드(10a, 10b)에 전류가 흐르면, PIN 다이오드(10a, 10b)의 저항치가 작아져서 수신 라인이 PIN 다이오드(10a)를 통해 교류적으로 접지된다. 댐핑 회로(10)의 온에 의해, RF 신호의 일부가 어스에 흐르기 때문에, 안테나 동조 회로(1)의 출력 신호가 감쇠된다. RF 증폭 회로(2)의 입력 신호 레벨이 낮아지면, 비직선성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희망국과 방해국의 주파수에 따른 고조파 레벨이 저감되어 상호 변조 방해가 억제된다.
그런데,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는, 코일(1a) 및 컨덴서(1b)와, 가변 간극 다이오드(1c)의 용량에 의해 도 3의 (a)의 실선과 같이 희망국을 동조하도록 설정된다. 또, 희망국의 주파수에 기초를 둔 제어 회로(11)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가변 간극 다이오드(1c)의 용량이 조정되고, 그 결과, 희망국 근방의 주파수를 동조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댐핑 회로(10)가 온하면, 직류 저지용의 컨덴서(10c)가 컨덴서(1b)나 가변 간극 다이오드(1c)에 병렬 접속되므로, 컨덴서(10c)의 용량의 분만큼,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가 도 3의 (a)의 점선과 같이 저주파측으로 어긋나고 있었다. 특히, 도 3의 (a)와 같이 희망국이 낮은 주파수측에 방해국 fud1 및 fud2가 존재하는 경우, 댐핑 회로(10)를 온하면,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로 어긋남으로써, 희망국의 신호 레벨이 방해국 fud1 및 fud2보다 저하한다. 그 때문에, 방해국 fud1 및 fud2에 의한 고조파가 상대적으로 커져서 상호 변조 방해가 악화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RF 신호를 동조하는 안테나 동조 회로와, 상기 RF 신호 또는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감쇠하는 댐핑 회로와,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 회로와, 상기 RF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일 때 상기 댐핑 회로를 동작시키는 댐핑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라디오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댐핑 회로가 온할 때,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가 희망 방송국의 주파수가 되도록 보정하는 보정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의 보정량을 고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의 보정량을, 희망 방송국의 주파수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RF 신호가 소정 레벨 이상으로 되고, 댐핑 회로를 동작시킬 때,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를 보정함으로써,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가 희망국의 수신 주파수에 일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회로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4는 도 1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5는 종래 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동조 회로
2 : RF 증폭 회로
3 : RF 동조 회로
4 : 혼합 회로
5 : 국부 발진 회로
6 : IF 증폭 회로
7 : FM 검파 회로
8 : 전계 강도 검출 회로
9 : 댐핑 제어 회로
10 : 댐핑 회로
11 : 제어 회로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종래 예와 다른점은 댐핑 제어 회로(9)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지시 신호 b가 제어 회로(11)에 인가되는 점이다.
희망국과, 도 3의 (b)와 같은 방해국 fud 및 fud2를 수신할 때의 도 1의 회로 동작을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라디오 수신기는 희망국의 수신을 행한다. 즉, 제어 회로(11)는 희망국의 수신 주파수에 대응한 국부 발진 제어 신호 c를 국부 발진 회로(5)에 인가하고, 국부 발진 신호는 희망국의 수신 주파수가 예를 들면 10.7㎒의 IF 신호로 주파수 변환되는 주파수로 설정된다. 따라서, 희망국의 RF 신호만이 10.7 ㎒의 IF 신호로 주파수 변환되고, 후단의 FM 검파 회로(7)로 FM 검파된다(S1). 또한, 국부 발진 제어 신호 c에 기초하여 희망국의 수신 주파수가 산출되고, 산출된 수신 주파수에 따라서 동조 제어 신호 d가 발생한다. 동조 제어 신호 d에 의해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는 도 3의 (a)의 실선과 같이 희망국의 주파수에 동조된다(S2).
희망국의 수신 중, 도 3의 (b)와 같이, 희망국의 근방에 전계 강도가 강한 방해국이 존재하면, 방해국이 희망국의 근방에 있기 때문에 방해국도 혼합 회로(4)까지 전송된다. 그 때문에, 혼합 회로(4)의 출력 신호 레벨이 높아져서, 전계 강도 검출 회로(8)의 출력 신호도 높아진다. 댐핑 제어 회로(9)에 있어서, 전계 강도 검출 회로(8)의 출력 신호가 소정 레벨 이상으로 되어 댐핑 신호 a가 발생한다. 댐핑 신호 a에 의해, 댐핑·회로(10)가 온하고, 안테나 동조 회로(1)의 출력 신호가 감쇠된다. 이것에 의해 RF 증폭 회로(2) 등에 포함되는 비직선성 소자로부터의 희망국과 방해국에 따른 고조파가 저감된다(S3).
그와 동시에, 댐핑이 행해진 것을 나타낸 지시 신호 b가 발생하고, 제어 회로(11)에 인가된다(S4). 제어 회로(11)는 지시 신호 b의 인가에 따라서, 동조 제어 신호 d를 소정의 레벨만큼 높게 하도록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조 제어 신호 d는, 제어 회로(11) 내에서 예를 들면 5비트의 디지탈 신호로 생성되고, 그 후 제어 회로(11) 내에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므로, 그 디지탈 신호일 때에「00100」의 데이타를 가산함으로써 보정된다(S5).
동조 제어 신호 d가 보정됨으로써, 가변 간극 다이오드(1c)의 용량은 감소하고, 코일(1a), 다이오드(1b) 및 가변 간극 다이오드(1c)와, 또한 댐핑 회로(10)의 온에 의해 이들에 병렬 접속된 컨덴서(10c)에 의해 설정되는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가 높아진다. 즉, 컨덴서(10c)의 병렬 접속에 의한 용량의 증가분이 가변 간극 다이오드(1c)의 용량의 감소에 의해 상쇄되고,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가 희망국의 주파수에 일치하도록 보정된다. 그 때문에, 안테나 동조 회로(1) 및 댐핑 회로(10)를 포함시킨 출력 특성은, 댐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의 도 3의 (c)의 실선과 같은 특성으로부터, 도 3의 (c)의 점선과 같이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를 어긋나지 않게 댐핑 회로(10)에 의한 감쇠량만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c)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댐핑 회로(10)의 동작 시, 희망국을 감쇠시키지 않고, 방해국만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전계 강도가 강한 희망국만을 수신할 때에도, 전계 강도 검출 회로(8)의 출력 신호에 의해 댐핑 제어 회로(9)로부터 댐핑 신호 a 및 지시 신호 b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댐핑 회로(10)가 동작하고, 수신 RF 신호가 감쇠되고, RF 증폭회로의 포화가 방지된다. 또한, 제어 회로(11)는 동조 제어 신호 d를 보정하고,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가 보정되고, 희망국의 수신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로 설정된다. 따라서, 댐핑 회로(10)가 동작할 때에는 안테나 동조 회로(1) 및 댐핑 회로(10)를 맞춘 출력 특성은 도 3의 (c)의 점선과 같이, 희망국에 동조하여 감쇠율은 커진다.
그런데, 동조 제어 신호 d의 보정시, 보정량을 고정으로 하였지만, 수신 주파수에 따라서 보정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즉, 가변 간극 다이오드 1c의 용량은 도 3의 (d)와 같이 용량을 제어하는 동조 제어 신호 d가 높아짐에 따라 반비례적으로 작아져서 비직선성의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주파수에 따라서 용량의 변화율이 변한다. 그래서, 수신 주파수에 맞춰 보정량을 바꿈으로써, 안테나 동조 회로(1)의 동조 주파수를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도 4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의 (e)와 같이 수신 밴드 내의 주파수 대역을 예를 들면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우선, 제어 회로(10)에 있어서 희망국의 수신 주파수에 따라 어떤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1).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 대응한 보정량으로 동조 제어 신호 b를 보정한다. 예를 들면, A영역의 경우에서는「00010」의 데이타로 디지탈 상태의 동조 제어 신호 d를 보정하고(S2), B영역에 있으면「00100」의 데이타로 보정하고(S3), C영역에서는「01000」의 데이타로 보정한다(S4). 이와 같이 하여, 보정량을 바꿔 동조 제어 신호 d가 보정된다.
또, 희망국 및 방해국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기 위해, 혼합 회로(4)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을 RF 동조 회로(3)의 출력 신호 또는 혼합 회로(4)의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전계 강도를 검출하는 회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댐핑 회로가 동작하면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가 희망국의 주파수에 일치하도록 보정되므로, 희망국 외에 전계 강도가 강한 방해국을 수신한 경우, 댐핑에 의해 방해국을 감쇠하여 상호 변조 방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희망국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안테나 동조 회로를 구성하는 동조 소자의 특성에 합쳐서,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의 보정량을 바꿈으로써,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가 희망국의 주파수에 동조하도록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다.

Claims (3)

  1. RF 신호를 동조하는 안테나 동조 회로와, 상기 RF 신호 또는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감쇠하는 댐핑 회로와,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 회로와, 상기 RF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일 때 상기 댐핑 회로를 동작시키는 댐핑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라디오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댐핑 회로가 온할 때,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가 희망 방송국의 주파수가 되도록 보정하는 보정 신호를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에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의 보정량을 고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의 보정량을, 희망 방송국의 주파수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
KR10-1998-0010779A 1997-03-28 1998-03-27 라디오수신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420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78314A JPH10276112A (ja) 1997-03-28 1997-03-28 ラジオ受信機
JP97-078314 199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801A KR19980080801A (ko) 1998-11-25
KR100420092B1 true KR100420092B1 (ko) 2004-04-17

Family

ID=1365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7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0092B1 (ko) 1997-03-28 1998-03-27 라디오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36842B1 (ko)
EP (1) EP0868025B1 (ko)
JP (1) JPH10276112A (ko)
KR (1) KR100420092B1 (ko)
DE (1) DE698187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0251B2 (en) * 2001-04-11 2004-02-10 Kyocera Wireless Corporation Tunable ferro-electric filter
US6907234B2 (en) * 2001-10-26 2005-06-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uning an antenna
JP3906792B2 (ja) * 2002-01-22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信号受信装置とその製造方法
DE102004037637A1 (de) * 2004-08-02 2006-03-1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Empfängerschaltung und Steuerverfahren
US8290452B2 (en) 2009-11-04 2012-10-16 Kmw Inc. Radio frequency transmitter and signal amplification method therefor
JP6198179B2 (ja) * 2014-06-13 2017-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受信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043A (ja) * 1992-04-22 1993-11-12 Pioneer Electron Corp アッテネータ回路
US5369792A (en) * 1990-07-03 1994-11-29 Kabushiki Kaisha Toshiba AGC circuit of FM front-end portion for controlling bandwidth detection sensitivity
JPH0884089A (ja) * 1994-09-09 1996-03-26 Fujitsu Ten Ltd 受信機
US5603114A (en) * 1993-12-03 1997-02-11 Nec Corporation Distortionless receiving circuit
US5649320A (en) * 1992-03-09 1997-07-15 Nokia Mobile Phones Ltd. Automatic frequency control loop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a receiver
US5745844A (en) * 1996-10-04 1998-04-28 Motorola, Inc. Receiv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device by antenna de-tuning in strong signal conditions, and method therefor
KR0140418B1 (ko) * 1995-06-09 1998-07-01 김광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KR0138972B1 (ko) * 1990-11-05 1998-07-01 토마스 지.베리 자동 주파수 제어를 사용한 페이징 수신기
KR0168790B1 (ko) * 1995-07-06 1999-02-01 김광호 수신신호세기의 동적범위를 확장시키는 셀룰라 통신시스템의 수신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1719A (en) * 1968-12-13 1971-03-23 Motorola Inc Overload compensation circuit for antenna tuning system
US4186351A (en) * 1978-11-01 1980-01-29 Gte Sylvania Incorporat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rcuit for a radio receiver employing AGC
JPS59147546A (ja) 1983-02-10 1984-08-23 Pioneer Electronic Corp 受信機
US4630117A (en) * 1985-05-30 1986-12-16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KR930010832B1 (ko) * 1987-01-02 1993-11-12 모토로라 이코포레이티드 소형휴대 통신장치용 안테나 및 그 자동동조 시스템
US5136719A (en) * 1988-12-05 1992-08-04 Seiko Corp. Automatic antenna tubing method and apparatus
JPH0338906A (ja) * 1989-07-05 1991-02-20 Pioneer Electron Corp 受信装置
IT1246235B (it) * 1990-01-17 1994-11-17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Rete di controllo per diminuire i tempi di risposta di un tuner-agc di un ricevitore supereterodina e relativo circuito derivatore di fronti impiegato in detta rete di controllo
JPH03297227A (ja) 1990-04-16 1991-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装置
DE69126373T2 (de) * 1990-06-29 1998-01-15 Sanyo Electric Co Automatische Verstärkungsregelung für einen Radioempfänger
US5222255A (en) 1991-08-05 1993-06-22 Ford Motor Company Intermodulation controller for radio receiver
JP3191120B2 (ja) 1992-03-16 2001-07-23 チューナー株式会社 ラジオ受信機
JPH05335855A (ja) * 1992-05-29 1993-12-17 Sanyo Electric Co Ltd ラジオ受信機
JP3764185B2 (ja) * 1995-05-11 2006-04-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ラジオ受信機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792A (en) * 1990-07-03 1994-11-29 Kabushiki Kaisha Toshiba AGC circuit of FM front-end portion for controlling bandwidth detection sensitivity
KR0138972B1 (ko) * 1990-11-05 1998-07-01 토마스 지.베리 자동 주파수 제어를 사용한 페이징 수신기
US5649320A (en) * 1992-03-09 1997-07-15 Nokia Mobile Phones Ltd. Automatic frequency control loop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a receiver
JPH05300043A (ja) * 1992-04-22 1993-11-12 Pioneer Electron Corp アッテネータ回路
US5603114A (en) * 1993-12-03 1997-02-11 Nec Corporation Distortionless receiving circuit
JPH0884089A (ja) * 1994-09-09 1996-03-26 Fujitsu Ten Ltd 受信機
KR0140418B1 (ko) * 1995-06-09 1998-07-01 김광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KR0168790B1 (ko) * 1995-07-06 1999-02-01 김광호 수신신호세기의 동적범위를 확장시키는 셀룰라 통신시스템의 수신기
US5745844A (en) * 1996-10-04 1998-04-28 Motorola, Inc. Receiv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device by antenna de-tuning in strong signal conditions,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76112A (ja) 1998-10-13
US6236842B1 (en) 2001-05-22
EP0868025B1 (en) 2003-10-08
EP0868025A1 (en) 1998-09-30
DE69818734D1 (de) 2003-11-13
DE69818734T2 (de) 2004-04-29
KR19980080801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6792B2 (ja) 高周波信号受信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3850673B2 (ja) 自動利得制御方法、および、自動利得制御回路
US5390345A (en) Method for preventing desensitization and radio interference of radio receivers
EP0462782B1 (en) Receiver for 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722062A (en) Linear receiver having dual automatic gain control loops
US20040130666A1 (en) High frequency receiver
KR100213301B1 (ko) 휴대전화기의 수신회로용 ic
JP5409979B2 (ja) バンドエッジ振幅低減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4761828A (en) Radio receiver
KR100420092B1 (ko) 라디오수신기
US6393011B1 (en) Receiving circui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eed forward linearizer
US7509106B2 (en) Test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reception circuit
US6937871B2 (en) Anti-demodulator circuit, filtering device and demodulator circuit
US4792992A (en) Radio receiver
JP4135746B2 (ja) 高周波信号受信装置
JP2000324186A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0124826A (ja) 無線受信装置
JP3174230B2 (ja) ラジオ受信機
JPH0746988Y2 (ja) Fm受信機のagc制御回路
KR100539867B1 (ko) 무선단말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자동 조정장치
KR100633481B1 (ko) 아이엠디 특성 개선회로
JPH10313432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ナ
JP2003218672A (ja) 受信機
JPH0227639Y2 (ko)
KR20040009531A (ko) 인접채널 방해 개선회로를 구비한 디지털 튜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