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0418B1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18B1
KR0140418B1 KR1019950015209A KR19950015209A KR0140418B1 KR 0140418 B1 KR0140418 B1 KR 0140418B1 KR 1019950015209 A KR1019950015209 A KR 1019950015209A KR 19950015209 A KR19950015209 A KR 19950015209A KR 0140418 B1 KR0140418 B1 KR 014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ensitivity
generating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385A (ko
Inventor
황은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418B1/ko
Publication of KR97000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04B2001/1072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by tuning the receiver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용 무선전화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주파수 편차를 미세하게 조정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주파수를 보상하는 방법이, 채널 선택시 대응되는 채널주파수를 제1기준주파수로 발생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무선신호와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중간주파수와 제2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2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2중간주파수에서 수신감도세기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감도세기와 기준감도세기를 배ㅣ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클 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제1중간주파수 발생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작을 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감소시킨 후 상기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주파수 편차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최적의 레벨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함.

Description

휴대용 무선전화기의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주파수 편차를 보상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전화기의주파수를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를 측정하어 최적의 상태로 주파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일정 지역 단위(cell)로 할당되는 고정국(cell site)과 무선 통신한다. 이런 시스템을 셀룰라 시스템(cellular system)이라 한다. 상기와 셀룰라 시스템에는 ETACS 시스템과 EAMPS 시스템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의 주파수 합성은 기준주파수를 사용하여 셀룰라 시스템의 필요한 개수(ETACS 시스템=1320개, EAMPS 시스템=832개)를 합성한다.
종래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십부는 2단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슈퍼해테로다인(superheterodyne receiver)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와 같은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는 제1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제1기준주파수발진기는 온도보상형발진기를 사용하고, 제2주파수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제2기준주파수발진기는 일반적인 수정발진기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제1기준주파수변환수단은 상기 채널 선택 정보인 제1기준주파수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중간주파수를 발생하며, 상기 제2주파수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중간주파수를 발생하며, 상기 제2주파수변환수단은 뒷 단에서 수신된 중간주파수를 복조할 수 있도록 변환된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온도보상형발진기의 주파수 편차는 2.5PPPM 규격을 갖고 있어 제1기준주파수는 정확하게 발생할 수 있으나, 제2기준주파수는 15PPM의 주파수 편차를 가지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는 제1기준주파수 및 제2기준주파수가 고정되어 있어 주변 환경에 의한 주파수 현차 발생시 이를 보상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따라 주파수 편차가 서로 다르게 되어 일정한 보상이 어렵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경우 도플러 효과에 따라 주파수 편차는 더욱 커지게 되며 이로인해 잡음이 발생되어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주파수의 편차를 보상하므로서 통화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제1주파수변환수단 및 제2주파수변환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부에서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1주파수변환수단의 제1기준주파수를 보상하므로서 항상 최적의 채널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장치가, 수신되는 무선신호와 제1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중간주파수와 제2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2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2중간주파수에서 수신감도세기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제1분주데이타 및 제2분주데이타를 발생하며, 상기 수신감도세기와 상기 기준감도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클시 상기 제1분주데이타를 증가시키고 기준감도세기가 작을 시 제1분주데이타를 감소시키는 제어수단과, 위상동기루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분주데이타 및 제2분주데이타를 각각 로드하며, 상기 두 분주데이타의 차에 따라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신감도세기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제어하여 수신 주파수의 편차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이, 채널 선택시 대응되는 채널주파수를 제1기준주파수로 발생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무선신호와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중간주파수와 제2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2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2중간주파수에서 수신감도세기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감도세기와 기준감도세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클 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제1중간주파수 발생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작을 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감소시킨 후 상기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수신감도세기라는 용어는 현재의 제1기준주파수에 의해 검출된 수신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나타낸다. 기준감도세기라는 용어는 바로 이전 상태에서 제2중간주파수에 의해 검출된 수신신호의 세기이다. 즉, 이전 상태의 수신감도세기는 다음 상태에서 기준 감도세기가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부 구성도로서, 듀플렉서(duplexer filter)11은 안테나와 연결되어 송신 무선신호 및 수신 무선신호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잡암증폭기(Low Noise Amp)12는 상기 듀플렉서11과 연결되며, 수신되는 미약한 세기의 무선신호(radiofrquency)RF를 저잡음으로 증폭한다. 대역여파기13(band pass filter)13은 상기 저잡음증폭기12와 연결되며 증폭된 무선신호RF를 신호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이 된다. 이때 ETACS 시스템의 경우 수신되는 무선신호RF의 주파수는 917MHz-950MHz이며, 이런 경우 상기 대역여파기13의 대역은 해당하는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때 수신되는 신호는 시스템의 주파수 편차 만큼의 편차를 가진다.
제1믹서14는 제1기준주파수(local frequency)LF1과 무선신호RF를 수신하며, 상기 두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믹서14에서 출력하는 신호는 |RF±LF1|가 된다. 대역여파기15는 상기 제1믹서14에서 출력하는 |RF±LF1 |에서 |RF-LF1|신호 대역을 여파하여 제1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IF1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대역여파기15는 상기 제1믹서14의 출력에서 제1중간주파수IF1을 선택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1중간주파수 대역여파기가 된다. 증폭기16은 상기 대역여파기15에서 출력하는 제1중간주파수 대역여파기가 된다. 증폭기16은 상기 대역여파기15에서 출력하는 제1중간주파수IF1을 증폭하는 제1중간주파수증폭기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수신되는 무선신호RF를 제1중간주파수IF1으로 변환하는 제1주파수변환수단이 된다.
제2믹서17은 상기 증폭기16에서 출력되는 제1중간주파수IF1과 제2기준주파수LF2를 혼합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2믹서17에서 출력하는 신호는 |F1±LF2|가 된다. 대역여파기18은 상기 제1믹서17에서 출력하는|IF±LF2|에서 |IF-LF2|신호 대역을 여파하여 제2중간주파수 IF2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대역여파기18은 상기 제2믹서18의 출력에서 제2중간주파수IF2를 선택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2중간주파수대역여파기가 된다. 증폭기19는 상기 대역여파기18에서 출력하는 제2중간주파수 IF2를 증폭하는 제1중간주파수증폭기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1중간주파수IF1을 제2중간주파수 IF2로 변환하는 수단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기준주파수LF2를 발생하는 발진기28은 통상적으로 수정발진기(crystal oscillator)를 사용한다.
FSSI검출기(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detector)20은 상기 증폭기19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2중간주파수IF2의 레벨을 검출하여 수신감도세기RSSI2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감도세기RSSI2는 현재의 주파수에서 검출되는 신호의 감도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파수 편차 보정시 비교 감도신호로 사용된다.
대역여파기21은 상기 RSSI검출기20의 출력을 수신하며 제2중간주파수IF2의 대역으로 여파 출력한다. 복조기23은 상기 대역여파기21에 출력되는 제2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복조하여 원래의 신호로 재생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제1믹서17, 증폭기19, RSSI검출기20, 증폭기22 및 복조기23은 복조집적회로로서, 필립스 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606DK를 사용할 수 있다.
신호처리기24는 상기 복조기23에서 출력되는 복조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원한다. 상기 복조기23에서 신호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신호 또는 음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기24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ssor)를 사용할 수 있다.
A/D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or)25는 상기 수신감도세기RSSI를 디지털 데이타로 변환한다. 제어부27은 일정 주기로 상기 A/D변환기25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감도세기가 가장 큰 채널을 선택하기위한 제1분주데이타N1 및 제2분주데이타N2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2분주데이타N2는 선택된 채널 주파수로서, 상기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생하기 위한 분주데이타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분주데이타N1은 수신시 주변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분주데이타를 분주데이타를 의하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 27은 상기 제2분주데이타N2는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로 설정하며, 제1분주데이타N1은 기준클럭신호에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한다. 메모리26은 상기 제어부27에서 출력하는 이전 상태의 수신감도세기를 기준감도세기로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7은 수신감도세기를 수신한 후 상기 기준감도세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크면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증가시키고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작으면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7은 수신되는 감도의 변화에 따라 클릭의 주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므로서, 수신 주파수의 편차를 보상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7은 현재 수신된 수신된 수신감도세기 RSSI2를 다음 상태의 기준감도세기RSSI1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 26에 저장한다. 이와같은 구성은 로직 커스텀 집적회로(Iogic custom IC)가 된다.
발진기31은 온도보상형 발진기로서,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생하기 위한 기준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발진기31은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에 안정된 주파수를 발생하며, 2.5PPM의 주파수 편차를 갖는다. 제1분주기32는 상기 제어부27에서 출력하는 제1분주데이타N1을 로드하며, 상기 발진기31의 출력을 카운트하여 제1분주신호를 출력한다. 제2분주기33은 상기 제어부27에서 출력하는 제2분주데이타N2를 로드하며,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카운트하여 제2분주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34는 상기 제1분주기32 및 제2분주기33의 출력을 비교하여 두 분주신호의 차 신호를 발생한다. 증폭기35는 상기비교기35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저역여파기36은 상기 증폭기35의 출력을 수신하여 직류 전압을 발생한다. 전압제어발진기37은 상기 저역여파기36에서 출력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발진되어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생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행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 세기에 따라 상기 제1분주데이타N1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이런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기준주파수 LF1이 가변되어 적응적으로 주파수 편차를 보상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제1분주기32, 제2분주기33, 비교기34 및 증폭기35는 PLL 집적회로로서, 후지쯔 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MB15BO1을 사용할 수 있다.
ETACS 시스템의 경우 상기 듀플렉서11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RF는 상기한 바와 같이 917MHz-950MHz의 대역을 갖는 신호이다.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의 수신기를 사용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제1주파수변환수단 및 제2주파수변환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주파수변환수단의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생하는 수단을 PLL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이때 상기 PLL은 채널주파수를 설정하는 제2분주데이타N2 및 수신감도에 대응되는 값으로 기준클럭을 제어하기 위한 제1분주데이타N1을 입력하여,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주파수의 편차를 적응적으로 보상한다. 즉, 수신감도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제1분주데이타N1과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를 의미하는 제2분주데치타N2를 비교하며, 두 분주데이타의 차에 따라 전압제어발진기37이 제어되어 상기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전압제어발진기37에서 출력하는 제1기준주파수LF1은 1009MHz-1042MHz가 된다.
또한 상기 제1믹서14는 상기 수신신호RF와 제1기준주파수 LF1을 혼합하며, 대역여파기15는 상기 혼합신호에서 낮은 주파수를 여파하여(down conversion) 제1중간주파수IF1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발진기28이 발생하는 제2기준주파수LF2는 91.5325MHz이다. 그러면 상기 제2믹서17은 상기 제1중간주파수IF1과 제2기준주파수LF2를 혼합하며, 대역여파기18은 상기 혼합신호에서 낮은 주파수를 여파하여 제2중간주파수IF2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2ㅈㅇ간주파수IF2는 455KHz의 대역을 갖는다.
이때 상기 RSSI검출기20은 상기 제2중간주파수 IF2레벨의 크기에 따라 DC레벨을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수신감도세기RSSI2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A/D변환기25는 상기 수신감도세기RSSI2를 디지털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부27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7은 수신감도세기RSSI2와 기준감도세기RSSI1을 비교하여 상기 제1기준주파수LF1의 발생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기준감도세기RSSI1이 상기 수신감도세기 RSSI2보다 크면 상기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증가시키고, 상기 기준감도세기RSSI1이 상기 수신감도세기RSSI2보다 작으면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의 증감량은 100Hz로 하여 상기 제1기준주파수LF1의 편차 보상을 미세하게 조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편차 보상 과정을 제2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조 상기 제어부27은 상기 제2분주데이타N2를 변경하면서 임의 채널들을 선택하며, 선택된 채널에서 수신되는 수신감도세기RSSI2를 분석하여 선택한 채널에서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제2도와 같은 흐름도의 시작은 임의의 수신채널이 설정된 상태에서 선택된 채널의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주파수의 편차를 보상하는 동작의 수순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임의 채널에서 수신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27은 211단계에서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생하는 수단의 초기 분주비를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211은 상기 211단계에서 제1분주데이타N1을 제1분주기32에 로드하고 제2분주데이타N2를 상기 제2분주기33에 로드한다. 여기서 상기 발진기31은 12.8MHz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온도보상형 발진기라고 가정하고,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는 1009MHz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초기 채널 선택시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128,000으로 세트하고 제2분주데이타N2는 10,090,000으로 세트하면된다.
상기와 같이 제1분주데이타N1 및 제2분주데이타N2가 출력되면, 상기 제1분주기32는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로드한 후 상기 발진기31에서 출력하는 클럭을 카운트하기 시작하며, 제2분주기33은 상기 제2분주데이타N2를 로드하며 상기 전압제어발진기37에서 출력하는 제1기준주파수LF1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비교기34는 상기 두 분주기기32 및 33에서 출력하는 분주신호를 비교하여 출력하며, 저역여파기36은 상기 두 분주신호의 차에 따른 전압값을 발생하고, 이로인해 상기 전압제어발진기37은 상기 제1기준주파수LF1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초기 구동상태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제1믹서14는 상기 제1기준주파수LF1과 수신신호 RF를 혼합하며, 대역여파기15는 상기 혼합신호에서 낮은 대역의 중간주파수 대역을 여파하여 제1중간주파수IF1으로 선택 출력한다. 또한 제2믹서17은 상기 제1중간주파수IF1과 제2중간주파수LF2를 혼합하며, 대역여파기18은 상기 혼합신호에서 낮은 대역의 중간 주파수 대역을 여파하여 제2중간주파수IF2를 선택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RSSI검출기20은 상기 제2중간주파수의 레벨을 검출하여 수신감도세기 RSSI2를 발생한다. 그리고 A/D변환기25는 상기 수신감도세기RSSI2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 27은 213단계를 수행하여 일정주기로 상기 A/D변환기 25로부터 상기 수신감도세기RSSI2를 수신하며, 215단계에서 수신된 수신감도세기RSSI2를 기준감도세기RSSI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217단계에서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증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감도세기RSSI2의 수신을 일정 주기 간격으로 수행되며, 이전 상태에서 수신된 RSSI2는 다음 상태에서 기준감도세기RSSI1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중간주파수 LF1은 91.9875MHz이고 제2중간주파수는 455KHz로 복조되나 주파수 편차를 가지는 최대 레벨로 복조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수신감도세기RSSI2값도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7은 상기 상기 RSSI2가 수신되면 221단계에서 현재 수신된 RSSI2와 이전에 수신되어 저장 중인 RSSI1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비교결과 상기 RSSI1의 값이 상기 RSSI2이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215단계에서 RSSI2를 상기 메모리26에 RSSI1로 저장하며, 217단계에서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하나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분주데이타 N1을 1 증가시킨다은 의미는 제1기준주파수LF1을 100Hz 증가시킨다은 의미이다. 즉, 현재 발생된 제1기준 주파수LF1이 1009MHz인 경우,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1 증가시키면 PLL에 의해 제1기준주파수LF1이 1009.0001MHz로 변경된다. 그리고 이로인해 상기 제1중간주파수IF1 및 제2중간주파수 IF2도 100Hz증가된다.
또한 상기 221단계에서 현재 수신된 RSSI2와 이전에 수신되어 저장 중인 RSSI1을 비교한 결과, 상기 RSSI1의 값이 상기 RSSI2의 값 보다 작으면, 223단계에서 역시 수신된 RSSI2를 상기 메모리26에 RSSI1로 저장하며, 225단계에서 상기 제1문주데이타N1을 2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2 증가시킨다은 의미는 제1기준주파수LF1을 200MHz감소시킨다은 의미이다. 즉, 현재 발생된 제1기준주파수LF1이 1009MHz인 rddn, 상기 제1분주데이타N1을 1 증가시키면 PLL에 의해 제1기준주파수 LF1이 1009.9998MHz로 변경된다. 그리고 이로인해 상기 제1중간주파수IF1 및 제2중간주파수 IF2도 200Hz 감소된다. 그러므로 임의의 채널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27은 일정 주기로 수신감도세기RSSI2를 수신한 후, 상기 RSSI2를 이전 상태의 RSSI1과 비교하여 상기 제1분주데이타 N1을 미세하게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분주데이타 N1은 결과적으로 상기 발진기31의 분주비를 미세하게 증감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신감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기준주파수 LF1이 편차를 미세학 보상하므로서, 선택된 채널에서 최적의 레벨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기준주파수 LF1을 조정하므로서, 편차 조정이 같은 기준주파수를 사용하는 송신의 경우에도 정확한 주파수를 송신하므로 송신주파수의 보상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무선신호와 제1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중간주파수와 제2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2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2중간주파수에서 수신감도세기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제1분주데이타 및 제2분주데이타를 발생하며, 상기 수신감도세기와 상기 기준감도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클시 상기 제1분주데이타를 증가시키고 기준감도 세기가 작을 시 제1분주 데이터를 감소시키는 제어수단과, 이상동기루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분주데이타 및 제 2분주데이타를 각각 로드하며, 상기 두 분주데이타의 차에 따라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신감도세기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제어하여 수신 주파수의 편차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수신감도세기를 디지털 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와, 기준클럭에 대응되는 상기 제1분주데이타 및 선택된 채널주파수에 대응되는 제2분주데이타를 발생하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수신감도세기를 검출하여 기준감도세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클 시 상기 제1분주데이타를 증가시키고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작을 시 상기 제1분주데이타를 감소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수신감도세기를 기준감도세기로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기준주파수를 발생하는 수단과,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발진기와, 상기 제1분주데이타를 로드하여 상기 발진기의 출력을 분주하여 제1분주신호를 발생하는 제12분주기와, 상기 제2분주데이타를 로드하며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분주하여 제2분주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주기와, 상기 제1분주신호와 상기 제2분주신호를 비교하여 두 분주신호의 차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저역 여파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저역여파기와, 상기 전압에 의해 제어발진되어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제어발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장치.
  4. 제1기준주파수와 수신신호를 혼합하여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제1주파수변환수단과, 상기 제2기준주파수와 제1중간주파수를 혼합하여 제2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제2주파수변환수단과, 상기 제2중간주파수에서 수신감도세기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방법에 있어서, 초기 채널 선택시 설정된 채널 주파수를 상기 제1기준주파수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세기를 기준감도세기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클 시  기 제1기준주파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과정들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작을 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감소시킨 후 상기 과정들을 반복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선택된 채널에서 최적의 수신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준주파수의 편차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 방법.
  5. 제1분주신호 및 제2분주신호의 차를 검출한 후 두신호의 차에 따른 제1기준주파수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기준주파수와 수신신호를 혼합하여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제1주파수변환수단과, 상기 제2기준주파수와 제1중간주파수를 혼합하여 제2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제2주라수 변환수단과, 상기 제2중간주파수에서 수신감도세기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분주신호를 선택 채널의 주파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1분주신호를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위상동기루프의 분주비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 수행 후 수신감도세기와 기준감도세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수신감도세기 보다 클 시 상기 제1분주신호를 증가시키고 상기 수신감도세기를 기준감도세기로 저장한 후 다음 수신감도세기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기준감도세기가 수신감도세기 보다 작을 시 상기 제1분주신호를 감소시키고 상기 수신감도세기를 기준감도세기로 저장한 후 다음 수신감도세기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 수행 후 상기 수신감도세기와 기준감도세기를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6.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에 있어서, 채널 선택시 대응되는 채널주파수를 제1기준주파수로 발생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무선신호와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1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중간주파수와 제2기준주파수를 합성하여 제2중간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2중간주파수에서 수신감도세기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감도세기와 기준감도세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클 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제1중간주파수 발생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기준감도세기가 작을 시 상기 제1기준주파수를 감소시킨 후 상기 제1중간 주파수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 방법.
KR1019950015209A 1995-06-09 1995-06-09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KR014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209A KR0140418B1 (ko) 1995-06-09 1995-06-09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209A KR0140418B1 (ko) 1995-06-09 1995-06-09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385A KR970004385A (ko) 1997-01-29
KR0140418B1 true KR0140418B1 (ko) 1998-07-01

Family

ID=1941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209A KR0140418B1 (ko) 1995-06-09 1995-06-09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92B1 (ko) * 1997-03-28 2004-04-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라디오수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9309B2 (en) * 2000-03-10 2002-10-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requency converter enabling a non-integer division ratio to be programmed by means of a unique control wo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92B1 (ko) * 1997-03-28 2004-04-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라디오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385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619B2 (en) Oscillator having controllable bias modes and power consumption
US5428824A (en) Radio transceiver capable of avoid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US5878087A (en) Signal communication device operable in a CDMA mode and an FM mode
EP0619656B1 (en) Time division multiplex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6389273B1 (en)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eduction in a FM receiver
JP2003289259A (ja) 高周波信号受信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3291058B2 (ja) 受信機
US6219534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60293010A1 (en) Composition purpos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IC chip, GPS receiver, and cellular phone
US6980610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US7509106B2 (en) Test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reception circuit
KR0140418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KR0138175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 주파수 보상 방법 및 장치
JPH06350475A (ja) 受信機
JP2004064505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無線lanシステム、および自動ゲイン制御システム
EP17861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US20020102957A1 (en) Radio signal receiving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471307B1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중간주파수 자동제어장치
US7447483B2 (en) Radio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radio apparatus
JP3282682B2 (ja) 移動電話機
KR100539867B1 (ko) 무선단말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자동 조정장치
US20040029539A1 (en) Receiver
KR100353441B1 (ko) 무선단말기의라디오수신장치및방법
JP3162941B2 (ja) 携帯電話機
JP2002111527A (ja) 受信機およびそのトラッキング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