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9105B1 -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방화구획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방화구획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105B1
KR100399105B1 KR10-2001-0007355A KR20010007355A KR100399105B1 KR 100399105 B1 KR100399105 B1 KR 100399105B1 KR 20010007355 A KR20010007355 A KR 20010007355A KR 100399105 B1 KR100399105 B1 KR 100399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window
wall
fir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898A (ko
Inventor
상 권 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센에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센에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센에스코
Priority to KR10-2001-000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1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0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고정틀들과 외벽판재들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는 화원을 차단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외벽판부의 통기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자유로이 유통되도록 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여서 원래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외벽판부의 통기공간 내에 화원이 침입하여 상층부로 전이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서 내화성능을 극대화하여 주는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는 슬라브(1)에 고정 설치되며 그 내측에 열저항형단열층(120)이 감싸진 고정틀(110)들로서 각각 통기공간(A)이 확보되도록 외벽판재(130)들을 메달아서 설치되는 외벽판부(100)와, 상기 외벽판부(100)의 외벽판재(130)들 사이에 기밀하게 연결 설치되는 창틀(210)들을 가지는 창호부(200)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 주변에 인접한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의 개방된 틈새마다 화원차단판(140)들을 각각 구획 설치하여서, 상기 외벽판부 (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화원이나 화염이 통기공간(A) 내에 침입함을 차단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Fire Proof Structure for Certain Wall}
본발명은 고층건축물의 골조부 외측에 시공되는 통기성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기성 커튼월을 통하여 화원이나 화염이 상층부로 확산됨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주는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고층건축물의 커튼월의 단열성능을 증대시켜서 고층건축물의 외벽을 통한 에너지의 낭비를 통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그 결과 국내 발명특허 제133262호, 제186966호 및 제186967호의 발명을 하여 출원인 삼성물산 주식회사의 명의로 특허를 허여받은 사실이 있다.
본 출원인이 발명자로 되어 있는 국내 발명특허 제133262호에는 "콘크리트슬라브의 외측단부에 고정되는 메탈트러스와, 상기 메탈트러스의 외측에 고정되는 외벽판재와, 상기 슬라브의 하단부에 그 일측이 고정되며 그 타측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벽판재에 맞닿게 설치되는 층간방화구획용강판과, 상기 층간방화구획용강판의 내부에 층간방화구획용으로 적합한 별도의 불연성재질로 채워지는 충전물과, 상기 메탈트러스의 내부쪽에 열전도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도록 배치되는 열저항형단열층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형단열층은 그 외변 전체에 열복사선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메탈트러스에 지지되게 배치되는 금속막체의 열복사반사막체와, 상기 열복사반사막체의 내면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도포되며 현장에서 발포되는 발포우레탄수지층으로 이루어짐을" 기술요지로 하는 건축물의 외부커튼월이 등록공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건축물의 외부커튼월은 메탈트러스의 내측에 열복사반사막체와 발포우레탄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열저항형단열층을 갖추어서,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열복사선을 반사시키고 차단하여 주므로, 인위적으로 조성된 실내온도가 상승됨을 방지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한편, 본 출원인이 발명자로 되어 있는 국내 발명특허 제186967호는 상기 국내 발명특허 제133262호를 더욱 개선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골조부의 외측으로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외부에 고정되는 외벽판재와, 상기 고정틀의 내부에 고정되는 차단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벽의 외면에는 열복사반사막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벽판재와 상기 차단벽 사이에 형성되는 외벽공간부의 하부에는 통기입구를, 상부에는 통기출구를 형성하여서, 상기 외벽공간부의 외벽공기가 상기 통기입구와 통기출구를 통하여 상하로 외부와 통기되도록 함을" 기술요지로 하는 통기구조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외벽단열구조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기구조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외벽단열구조는 외벽판재와 차단벽 사이의 통기공간에서 공기가 자유로이 통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벽으로는 열복사선을 차단하여 주는 동시에, 통기공간 내에서 공기의 온도가 상승됨을 억제하여서, 인위적으로 조성된 실내온도가 상승됨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기구조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외벽단열구조는 공기가 자유로이 통기되도록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고층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면 높은 온도의 화원이나 화염이 외벽판재와 차단벽 사이의 통기공간 내에 쉽게 침입하여서 대형화재로 발전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층건축물의 통기성 커튼월에 있어 외벽판재와 차단벽 사이에 통기공간을 가지는 외벽판부의 주변에는 기밀재로서 밀실하게 창틀을 연결시켜서 설치되는 창호부를 갖추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고층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어서 높은 온도의 화원이 통기성 커튼월을 향하여 접근하면, 외벽판부와 창호부 사이에서 비교적 내화성능이 기밀재가 먼저 녹아서 훼손됨에 따라, 창호부 주변에 인접한 외벽판부의 외벽판재와 고정틀 사이에 들어난 틈새를 통하여 외벽판부의 통기공간 내에 높은 온도의 화원 및 화염이 침입하게 되었다. 이때, 외벽판부의 통기공간은 침입한 높은 온도의 화원이나 화염을 상층부로 급속히 확산시키는 굴뚝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통기성 커튼월은 고층건축물에서 화재발생시 대형화재로 발전시켜서 인명이나 재산피해가 증가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케 되었다.
본발명의 목적은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고정틀들과 외벽판재들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는 화원을 차단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외벽판부의 통기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자유로이 유통되도록 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여서 원래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외벽판부의 통기공간 내에 화원이 침입하여 상층부로 전이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서 내화성능을 극대화하여 주는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발명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도1의 A-A선 확대단면도
도3은 도1의 B-B선 확대단면도
도4는 본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외벽판부 A: 통기공간
110: 고정틀 111: 내측브라켓
112: 외측브라켓 120: 열저항형단열층
130: 외벽판재 140: 화원차단판
141: 꺽임절곡부 150: 내화성 충진물
200: 창호부 210: 창틀
본발명도 슬라브(1)에 고정 설치되며 그 내측에 열저항형단열층(120)이 감싸진 고정틀(110)들로서 각각 통기공간(A)이 확보되도록 외벽판재(130)들을 메달아서 설치되는 외벽판부(100)와, 상기 외벽판부(100)의 외벽판재(130)들 사이에 기밀하게 연결 설치되는 창틀(210)들을 가지는 창호부(200)로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 주변에 인접한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의 개방된 틈새마다 화원차단판(140)들을 각각 구획 설치하여서, 상기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화원이나 화염이 통기공간(A) 내에 침입함을 차단하여 주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은 창호부(200)와 인접한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에 들어난 틈새로 침입하려는 화원이나 화염을 화원차단판 (140)으로서 차단하여 주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외벽판부(100)의 통기공간 (A)을 통하여 공기가 자유로이 통기되도록 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여서, 통기공간(A)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됨을 억제하여 주므로 인위적으로 조성된실내온도가 상승됨을 방지하여 주며, 화재발생시에는 외벽판부(100)의 통기공간(A) 내에 화원이 침입하여서 상층부로 전이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서, 대형화재로 발전됨을 억제하여 주므로 귀중한 인명이나 재산피해를 극소화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벽판부(100)는 4각틀체로 만들어져서 내,외측에 각각 돌출되는 내측 및 외측브라켓(111)(112)들을 가지며 그 내측브라켓(111)들로서 슬라브(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틀(110)들과, 상기 고정틀(110)들의 내측에 감싸지도록 설치되는 열저항형단열층(120)들과, 상기 고정틀(110)들의 외측에 외측브라켓(112)들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메달아지도록 설치되는 외벽판재(130)들로 이루어져서, 상기 열저항형단열층(12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에 통기공간(A)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외벽판부(100)에는 도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 주변에 인접한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의 틈새마다 화원차단판(140)을 구획 설치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고층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높은 온도의 화원에 의하여 외벽판부(100)와 창호부(200) 사이의 기밀재가 녹아서, 창호부(200) 주변에 인접한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에 틈새가 노출되더라도, 그 틈새를 통하여 외벽판부(100)의 통기공간(A) 내에 높은 온도의 화원이나 화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주기 위함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 주변에 인접한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 끝부분 외면에 부등산변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화원차단판 (140)을 각각 고정시켜서 그 화원차단판의 일측 끝단부가 외벽판재(130)들의 내면에 맞닿아져서 구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화원차단판(140)의 외측에 상기 창호부 (200)의 창틀(210)과 맞닿도록 내화성 충진물(150)을 충진시켜서 밀봉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2 및 도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창호부(200) 주변에 인접한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 (130)들 사이의 틈새를 화원차단판(140)과 함께 내화성 충진물(150)로서 더욱 효율적으로 막아주어서, 높은 온도의 화원으로부터 장시간 동안 견디면서 통기공간(A) 내에 화원이나 화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주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창호부(200)는 상기 외벽판부(100)의 외벽판재(130)들 사이에 기밀하게 연결 설치되는 창틀(210)들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들은 인접하는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에 각각 고정철물(211)로서 지지되도록 고정시키고, 인접하는 외벽판부 (100)의 외벽판재(130) 사이에 기밀재(212)를 충진시켜서 견고하고 기밀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도4는 본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외벽판부(100)0의 외벽판재(130) 내면에 맞닿아지는 화원차단판(140)의 일측 끝단부에 꺽임절곡부(141)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화원차단판(140)의 꺽임절곡부(141)에는 내화성 퍼티(160)를 충진하되 그 내화퍼티를 경계로하여 상기 화원차단판(140)의 외측에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과 맞닿도록 내화성 몰탈(170)을 충진시켜서 밀봉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원차단판(140)의 꺽임절곡부 (141)에 충진되는 내화성 퍼티(160)는 외벽판부(100)의 외벽판재(130)와 기밀성을 유지하여서 화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주며, 상기 내화성 퍼티(160)를 경계로하여 상기 화원차단판(140)의 외측에 충진되는 내화성 몰탈(170)은 높은 온도의 화원으로부터 장시간 견디면서 화원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주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고정틀들과 외벽판재들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는 화원이나 화염을 적극적으로 차단하여 줌으로써, 외벽판부의 통기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자유로이 통기되도록 하여서 인위적으로 조성된 실내온도가 상승됨을 억제하여 줄 뿐만 아니라, 고층건축물의 화재발생시에 외벽판부의 통기공간 내에 화원이나 화염이 침입함을 방지하여서 대형화재로 발전됨을 억제하여 주므로 귀중한 인명이나 재산피해를 극소화하여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슬라브(1)에 고정 설치되며 그 내측에 열저항형단열층(120)이 감싸진 고정틀 (110)들로서 각각 통기공간(A)이 확보되도록 외벽판재(130)들을 메달아서 설치되는 외벽판부(100)와, 상기 외벽판부(100)의 외벽판재(130)들 사이에 기밀하게 연결 설치되는 창틀(210)들을 가지는 창호부(200)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 주변에 인접한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의 개방된 틈새마다 화원차단판(140)들을 각각 구획 설치하여서, 상기 외벽판부(100)의 고정틀(110)들과 외벽판재(130)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화원이나 화염이 통기공간(A) 내에 침입함을 차단하여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 주변에 인접한 외벽판부 (100)의 고정틀(110)들 끝부분 외면에 부등산변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화원차단판 (140)을 각각 고정시켜서 그 화원차단판의 일측 끝단부가 외벽판재(130)들의 내면에 맞닿아져서 구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화원차단판(140)의 외측에 상기 창호부 (200)의 창틀(210)과 맞닿도록 내화성 충진물(150)을 충진시켜서 밀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판부(100)의 외벽판재(130) 내면에 맞닿아지는 화원차단판(140)의 일측 끝단부에 꺽임절곡부(141)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화원차단판(140)의 꺽임절곡부(141)에는 내화성 퍼티(160)를 충진하되 그 내화퍼티를 경계로하여 상기 화원차단판(140)의 외측에 상기 창호부(200)의 창틀(210)과 맞닿도록 내화성 몰탈(170)을 충진시켜서 밀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 방화구획설치구조.
KR10-2001-0007355A 2001-02-14 2001-02-14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방화구획설치구조 KR10039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355A KR100399105B1 (ko) 2001-02-14 2001-02-14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방화구획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355A KR100399105B1 (ko) 2001-02-14 2001-02-14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방화구획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98A KR20020066898A (ko) 2002-08-21
KR100399105B1 true KR100399105B1 (ko) 2003-09-26

Family

ID=2769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355A KR100399105B1 (ko) 2001-02-14 2001-02-14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방화구획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34A (ko) 2020-08-24 2022-03-03 이윤경 층간 슬래브와 커튼월 사이의 간극 보강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723A (ko) * 2001-07-19 2003-01-29 문석주 철골구조 건축물용 석재 외벽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043021B1 (ko) * 2010-10-27 2011-06-21 주식회사 동호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를 보호하기 위한 소파블럭 구축방법
CN110965679B (zh) * 2019-12-31 2022-03-25 深圳机械院建筑设计有限公司 应用于高层或超高层建筑分格槽式单元通风幕墙系统
CN113931358B (zh) * 2021-12-16 2022-04-01 中国铁建电气化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通风系统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34A (ko) 2020-08-24 2022-03-03 이윤경 층간 슬래브와 커튼월 사이의 간극 보강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98A (ko)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1008B2 (ja)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US4332111A (en) Fireproof windowpane and mounting frame therefor
KR101900052B1 (ko) 방화문을 이용한 단열장치
KR100399105B1 (ko)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방화구획설치구조
CZ299987B6 (cs) Šírení požáru zabranující plošný prvek s alespon dvema prusvitnými protipožárními sklenenými deskami
KR100726627B1 (ko) 방화난간의 구조
JP2015190298A (ja) サッシ窓
JP2005351008A (ja) 合成樹脂製引違い窓
JP5209956B2 (ja) 換気装置
US20130160383A1 (en) Shutter
JPH09184373A (ja) 断熱建具の装着構造
KR20200060814A (ko) 외단열 보강 시스템 및 시공방법
GB2296263A (en) Firebreak for building overcladding
KR101910505B1 (ko) 건축물 외벽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재와 이를 이용한 화재 확산 방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437375B1 (ko) 통기구조를 가지는 고층건축물 커튼월의 차단벽용 단열·내화 유니트패널
KR102497646B1 (ko)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JPH09184372A (ja) 複層ガラスの装着構造
JP2000297489A (ja) 建物の防火構造
JPS5849356Y2 (ja) 防火窓ガラス構造体
KR0133262B1 (ko) 건축물의 외부커튼월 및 그것의 시공방법
US20230142841A1 (en) Meltable Fuse
KR102573473B1 (ko) 단열 방화 미서기 이중창호
JPH0827941A (ja) 天井の換気構造
KR102332695B1 (ko) 히터 설치형 결로방지 방화문
GB2609079A (en) Building aper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