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4301B1 - Btl증폭회로 - Google Patents

Btl증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301B1
KR100394301B1 KR10-1998-0046348A KR19980046348A KR100394301B1 KR 100394301 B1 KR100394301 B1 KR 100394301B1 KR 19980046348 A KR19980046348 A KR 19980046348A KR 100394301 B1 KR100394301 B1 KR 10039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s
output
transistor
connection point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538A (ko
Inventor
게니찌 고꾸보
고지 다따니
다까유끼 다이라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3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30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81Duplicated single-ended push-pull arrangements, i.e. bridg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BTL 증폭 회로의 고출력화를 꾀한다.
제1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8)가 온되는 경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19 및 20)의 접속점의 전압이 저하하고, 제2 및 제3 출력 트랜지스터(16 및 17)가 온되는 경우,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21 및 22)의 접속점의 전압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제1 및 제2 입력 트랜지스터(2 및 3)와, 제1 및 제2 전류원 트랜지스터(13 및 14)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의 전압차가 확대되고, 제1 및 제2 전류원 트랜지스터(13 및 14)가 포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하의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과, 이와 역상 관계에 있는 상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 사이에 저항을 접속함으로써, 전류가 제한되어,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BTL 증폭 회로 {BTL AMPLIFIER CIRCUIT}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의 포화를 방지하여 고출력화를 꾀하는 BTL 증폭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력 증폭 회로로서,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호 역상의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신호에 의해 부하를 BTL 구동하는 BTL 증폭 회로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BTL 증폭 회로는 도 3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에서, 우선 구동 트랜지스터(4 및 5)의 접속점 a와 출력 트랜지스터(6 및 7)의 접속점 b가 공통 접속되고, 구동 트랜지스터(8 및 9)의 접속점 c와 출력 트랜지스터(10 및 11)의 접속점 d가 공통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의 도 3에서는, 입력단 증폭기(1)에 마이너스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제1 입력 트랜지스터(2)에 마이너스의 신호가 인가되고, 제2 입력 트랜지스터(3)에 플러스의 신호가 인가된다. 제1 입력 트랜지스터(2)가 마이너스의 신호에 따라 오프되면, 구동 트랜지스터(4)는 온되고, 구동 트랜지스터(5)는 오프된다. 그로 인해, 출력 트랜지스터(6)가 온되고, 출력 트랜지스터(7)가 오프된다. 또한, 제2 입력 트랜지스터(3)가 온되면, 구동 트랜지스터(8)는 오프되고, 구동 트랜지스터(9)는 온된다. 그 때문에, 출력 트랜지스터(10)는 오프되고, 출력 트랜지스터(11)는 온된다. 따라서, 출력 전류가 출력 트랜지스터(6), 부하(12) 및출력 트랜지스터(11)의 순으로 흐른다.
또한, 입력단 증폭기(1)에 플러스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제1 입력 트랜지스터(2)에 플러스의 신호가 인가되고, 제2 입력 트랜지스터(3)에 마이너스의 신호가 인가된다. 제1 입력 트랜지스터(2)가 플러스의 신호에 따라 온되면, 구동 트랜지스터(4 및 5)가 각각 오프, 온된다. 그 때문에, 출력 트랜지스터(6 및 7)가 각각 오프, 온된다. 또한, 제2 입력 트랜지스터(3)가 마이너스의 신호에 따라 오프되면, 구동 트랜지스터(8 및 9)가 각각 온, 오프된다. 그 때문에, 출력 트랜지스터(10 및 11)는 각각 온, 오프된다. 따라서, 출력 전류가 출력 트랜지스터(10), 부하(12) 및 출력 트랜지스터(7)의 순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출력 전류가 출력 트랜지스터(6), 부하(12) 및 출력 트랜지스터(11)의 순서로, 또는 출력 트랜지스터(10), 부하(12) 및 출력 트랜지스터(7)의 순서로 흐르게함으로써, 부하(12)를 BTL 구동하고 있다.
그런데, 도 3의 BTL 증폭 회로의 전원 전압측의 포화 전압은, Vce6(sat), Vce4(sat)+Vbe6, 또는 Vbe4+Vce13(sat)중 최대의 것으로 결정된다. 단, Vce6(sat), Vce4(sat) 및 Vce13(sat)은 출력 트랜지스터(6), 구동 트랜지스터(4) 및 전류원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이고, Vbe6 및 Vbe4는 출력 트랜지스터(6) 및 구동 트랜지스터(4)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이다. 여기서, 출력 트랜지스터(6)는 부하를 구동하기 때문에, 전류 공급 능력을 크게 설정하고, 출력 트랜지스터(6) 사이즈는 커지고 있다. 트랜지스터의 사이즈가 커지면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 Vce(sat)는 작아지므로, 출력 트랜지스터(6)의 Vce6(sat) 및 Vbe6은 작아지고, 그 결과 Vbe4+Vce13(sat)이 가장 커진다. 따라서, BTL 증폭 회로의 전원 전압측의 포화 전압은, Vbe4+Vce13(sat)으로 결정된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0 및 11)의 전원 전압측의 포화 전압은, 구동 트랜지스터(8)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 Vbe8과 전류원 트랜지스터(14)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 Vce14(sat)에 의해 결정된다.
BTL 증폭 회로의 포화 전압이 상기된 바와 같이 결정되면, 출력 신호의 스윙의 상한은 전원 전압 Vcc로부터 Vbe4+Vce13(sat)만큼 하강한 값이 되고, 하한은 접지 레벨로부터 Vbe8+Vce14(sat)만큼 상승한 값이 된다. Vbe+Vce(sat)는 전원 전압 Vcc에 비교하여 무시할 수 없으므로, BTL 증폭 회로의 출력 신호의 풀스윙 레벨이 크게 제한되고, BTL 증폭 회로의 고출력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호 역상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제1 및 제2 입력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입력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류원 트랜지스터와, SEPP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입력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2 전류원 트랜지스터와, SEPP 접속됨과 동시에,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부하를 BTL 구동하는 BTL 증폭 회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과, 상기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이 제1 저항을 통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과,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이 제2 저항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고, 접속점이 상기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제3 및 제4 저항과, 상기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제5 및 제6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가 온되는 경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의 전압이 저하하고, 제2 및 제3 출력 트랜지스터가 온되는 경우,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의 전압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제1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 및 제2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저항을 접속했으므로,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과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 사이를 흐르는 전류, 및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와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제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종래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 입력 트랜지스터
3 : 제2 입력 트랜지스터
13 : 제1 전류원 트랜지스터
14 : 제2 전류원 트랜지스터
15 : 제1 출력 트랜지스터
16 : 제2 출력 트랜지스터
17 : 제3 출력 트랜지스터
18 : 제4 출력 트랜지스터
19 : 제1 구동 트랜지스터
20 : 제2 구동 트랜지스터
21 : 제3 구동 트랜지스터
22 : 제4 구동 트랜지스터
23 ∼ 28 : 저항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여기서 15 및 16은SEPP(Single Ended Push Pull) 접속되는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 17 및 18은 SEPP 접속된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 19 및 20은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동함과 동시에 그 접속점 a가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7 및 18)의 접속점 d에 접속된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 21 및 22는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동함과 동시에 그 접속점 c가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6)의 접속점 b에 접속된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 23은 접속점 a 및 d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 24는 접속점 b 및 c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이다. 또한, 도 1에서, 도 3과 동일한 소자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에서, 마이너스의 입력 신호가 입력단 증폭기(1)에 인가되면, 입력단 증폭기(1)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1 입력 트랜지스터(2)가 오프되고, 제2 입력 트랜지스터(3)는 온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함으로써, 제1 및 제4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8)가 온된다.
도 1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19 및 20)의 접속점 a와,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7 및 18)의 접속점 d가 접속되어 있다. 제4 출력 트랜지스터(18)가 온됨으로써, 그 콜렉터 전압은 접지 레벨에 가까운 값이 된다. 그 때문에,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 전압도 접지 레벨에 가까운 값이 된다.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 전압이 접지 레벨에 가까운 값이 됨에 따라, 그 베이스 전압은 접지에 가까운 값으로부터 Vbe19만큼 높은 값이 된다. 단, Vbe19는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이다. 따라서, 제1 전류원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가 확대되고, 제1 전류원트랜지스터(13)는 포화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21 및 22)의 접속점 c와,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6)의 접속점 b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1 출력 트랜지스터(15)가 온됨으로써, 제4 구동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 전압이 전원 전압 Vcc에 가까운 값이 된다. 그 때문에, 제4 구동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을 Vbe22로 하면, 제2 입력 트랜지스터(3)의 콜렉터 전압은 전원 전압 Vcc에 가까운 전압으로부터 Vbe22만큼 낮은 전압이 된다. 따라서, 제2 입력 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와 에미터간의 전압차가 확대되고, 제2 입력 트랜지스터(3)도 포화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마이너스의 입력 신호가 대입력이 될수록, 제4 출력 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 전압은 더욱 접지 레벨에 근접하고, 또한 제1 출력 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 전압은 더욱 전원 전압 Vcc에 근접하고, 제1 전류원 트랜지스터(13) 및 제2 입력 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와 에미터간의 전압차가 넓어진다. 그 때문에, 제1 전류원 트랜지스터(13) 및 제2 입력 트랜지스터(3)는 보다 포화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대입력에 따라 부하(12)에 대출력 전류가 흐르므로, 부하(12)의 전압 강하에 따라 제1 출력 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 전압은 상승하고, 제4 출력 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 전압은 저하하고, 제1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8)의 콜렉터와 에미터와의 전압차가 작아진다. 이 전압차가, 각각 제1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8)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보다 작아지면, 제1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8)가 포화한다. 따라서, 마이너스의 입력 신호인 경우, 도 1의BTL 증폭 회로의 포화 전압은 제1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8)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에서 결정된다.
반대로, 플러스의 입력 신호가 입력단 증폭기(1)에 인가되면, 입력단 증폭기(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1 입력 트랜지스터(2)가 온되고, 제2 입력 트랜지스터(3)는 오프된다. 그 때문에, 제2 및 제3 출력 트랜지스터(16 및 17)가 온된다.
여기서,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21 및 22)의 접속점 c와,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6)의 접속점 d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출력 트랜지스터(16)가 온됨으로써, 그 콜렉터 전압은 접지 레벨에 가까운 값이 된다. 그 때문에, 제3 구동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 전압도 접지 레벨에 가까운 값이 된다. 제3 구동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 전압이 접지 레벨에 가까운 값이 됨에 따라, 그 베이스 전압은 접지에 가까운 값으로부터 Vbe21만큼 높은 값이 된다. 단, Vbe21은 제3 구동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이다. 따라서, 제2 전류원 트랜지스터(14)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가 넓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19 및 20)의 접속점 a와,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7 및 18)의 접속점 d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3 출력 트랜지스터(17)가 온됨으로써, 제2 구동 트랜지스터(20)의 에미터 전압이 전원 전압 Vcc에 가까운 값이 된다. 그 때문에, 제2 구동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을 Vbe22로 하면, 제1 입력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 전압은 전원 전압 Vcc에 가까운 전압으로부터 Vbe20만큼 낮은 전압이 된다. 따라서, 제1 입력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가 넓어지고, 제1 입력 트랜지스터(2)도 포화되기 어려워 진다.
그리고, 플러스의 입력 신호가 대입력이 될수록, 제2 출력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 전압은 더욱 접지 레벨에 근접하고, 제3 출력 트랜지스터(17)의 콜렉터 전압은 전원 전압 Vcc에 근접한다. 이에 따라, 제2 전류원 트랜지스터(14) 및 제1 입력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가 더욱 넓어지므로, 제2 구동 트랜지스터(14) 및 제1 입력 트랜지스터(2)는 포화하지 않은 방향이 된다.
또한, 대입력에 따라 부하(12)에 대출력 전류가 흐르므로, 부하(12)의 전압 강하에 따라, 제3 출력 트랜지스터(17)의 콜렉터 전압은 상승하고, 제2 출력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 전압이 저하하고, 제2 및 제3 출력 트랜지스터(16 및 17)의 콜렉터와 에미터와의 전압차가 작아진다. 이 전압차가, 각각 제2 및 제3 출력 트랜지스터(16 및 17)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보다 작아지면, 제2 및 제3 출력 트랜지스터(16 및 17)가 포화한다. 따라서, 플러스의 입력 신호의 경우, 도 1의 BTL 증폭 회로의 포화 전압은 제2 및 제3 출력 트랜지스터(16 및 17)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만으로 결정된다.
그런데, 도 1에서는 전류 제한용의 저항(23 및 24)이 접속된다. 마이너스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저항(23 및 24)에 의해 접속점 b로부터 접속점 c로 흐르는 전류가 제한되고, 접속점 a로부터 접속점 d에 흐르는 전류가 제한된다. 또한, 플러스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저항(23 및 24)에 의해 접속점 c로부터 접속점 b로 흐르는 전류가 제한되고, 접속점 d로부터 접속점a로 흐르는 전류가 제한된다.
여기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접속점간 a-d에 흐르는 전류 및 접속점간 b-c에 흐르는 전류가 동상으로 변화한다. 저항(23 및 24)을 접속하지 않고, 상기된 접속점 사이를 단락시키면, 각각의 접속점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동상으로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출력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베이스 전류가 증대하고, 출력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한다. 그 결과, 도 1의 증폭 회로에 발진이 발생한다.
그래서, 저항(23 및 24)에 의해, 각 접속점 사이의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출력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정상시의 크기로 할 수 있으므로, 발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23 및 24)의 값이 지나치게 작으면 발진을 방지할 수 없고, 지나치게 크면 전압 강하에 의해 BTL 증폭 회로의 포화 전압을 넓힐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저항(23 및 24)의 값을 적어도 발진을 방지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여기서 25 및 26은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19 및 20)의 에미터간에 접속되고, 아이들링 전류(idlling current)를 조정하기 위한 저항, 27 및 28은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21 및 22)의 에미터간에 접속되고, 아이들링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저항이다. 그리고, 저항(23 및 24)의 접속점 a′는 저항(23)을 통해 접속점 d와 접속되고, 저항(27 및 28)의 접속점 c′는 저항 24를 통해 접속점 b와 접속된다.
도 2에서, 제1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8)가 온되고 있는 경우,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 전류가 저항(25)을 통해 제4 출력 트랜지스터(18)로 흐른다.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베이스 전압이 상승하고, 제1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15 및 18)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함에 따라,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 전류가 증대하려고 한다. 이 에미터 전류가 증대하려고 하면,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이 넓어지려고 한다. 그러나,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 전류가 증대하면, 저항(25)의 전압 강하에 따라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 전압이 상승한다.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 전압의 상승하는 비율은, 그 베이스 전압의 상승하는 비율과 대략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베이스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는 변하지 않고, 제1 구동 트랜지스터(19)의 에미터 전류는 증대하지 않는다.
한편, 제1 출력 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 전류의 일부가 저항(28)을 통해 제4구동 트랜지스터(22)에 흐른다. 제4 구동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 전압이 저하하고, 또한 그 에미터 전류가 증대하려고 한다. 저항(28)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하려고 하면, 저항(28)의 전압 강하에 따라 제4 구동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 전압이 저하한다. 따라서, 제4 구동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와 베이스사이의 전압차가 변하지 않고, 제4 구동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 전류는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제2 및 제3 출력 트랜지스터(16 및 17)가 온되는 경우, 제3 구동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 전압이 상승하고, 또한 그 에미터 전류가 증대하려고 한다. 저항(27)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하려고 하면, 저항(27)의 전압 강하에 따라 제3 구동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 전압도 상승하고, 제3 구동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3 구동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 전류는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제2 구동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 전압이 저하하면, 그 에미터 전류가 증대하려고 한다. 저항(26)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하려고 하면, 저항(26)의 전압 강하에 따라 제2 구동 트랜지스터(20)의 에미터 전압은 저하하고, 제2 구동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와 에미터사이의 전압차는 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2 구동 트랜지스터(20)의 에미터 전류는 증대하지 않는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저항(25 내지 28)을 삽입함으로써,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류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링 전류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고, BTL 증폭 회로의 출력 신호의 왜곡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다른 효과도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BTL 증폭 회로의 포화 전압을 출력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BTL 증폭 회로의 출력 신호의 풀스윙 레벨을 크게 할 수 있고, 고출력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집적화하면, 출력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커지므로, 콜렉터 에미터간 전압을 작게 하고, 더욱 고출력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과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을 저항을 통해 접속했으므로,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끼리의 접속 부분에 저항을 삽입했으므로,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아이들링 전류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고, BTL 증폭 회로의 출력 신호의 왜곡율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다른 효과도 발휘한다.

Claims (2)

  1. 상호 역상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제1 및 제2 입력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입력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류원 트랜지스터와, SEPP(Single Ended Push Pull)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입력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2 전류원 트랜지스터와, SEPP 접속됨과 동시에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부하를 BTL 구동하는 BTL 증폭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과, 상기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이 제1 저항을 통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3 및 제4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과,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이 제2 저항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TL 증폭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고, 접속점이 상기 제3 및제4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제3 및 제4 저항과, 상기 제3 및 제4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제5 및 제6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TL 증폭 회로.
KR10-1998-0046348A 1997-10-31 1998-10-30 Btl증폭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394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00563 1997-10-31
JP30056397A JP3253573B2 (ja) 1997-10-31 1997-10-31 Btl増幅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538A KR19990037538A (ko) 1999-05-25
KR100394301B1 true KR100394301B1 (ko) 2003-09-19

Family

ID=1788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3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4301B1 (ko) 1997-10-31 1998-10-30 Btl증폭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37839A (ko)
EP (1) EP0913930B1 (ko)
JP (1) JP3253573B2 (ko)
KR (1) KR100394301B1 (ko)
DE (1) DE6982083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1448B2 (ja) * 1998-03-31 2007-02-14 株式会社東芝 電力増幅回路
US6755367B2 (en) * 2002-04-02 2004-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nsing position of pin on tape inside cartridge shell
KR101017733B1 (ko) * 2007-08-27 2011-02-28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부하를 구동하는 파워 앰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5287A (en) * 1980-09-30 1982-10-19 Rca Corporation Bridge amplifiers employ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JPS57208711A (en) * 1981-06-19 1982-12-21 Hitachi Ltd Power amplifier having one set inverted output
DE3436247A1 (de) * 1984-10-03 1986-04-03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Leistungsverstaerker
US4910477A (en) * 1989-03-27 1990-03-20 Elantec Bridge-type linear amplifier with wide dynamic range and high efficiency
JP3505325B2 (ja) * 1996-09-20 2004-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Btl増幅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0836D1 (de) 2004-02-05
EP0913930A2 (en) 1999-05-06
KR19990037538A (ko) 1999-05-25
DE69820836T2 (de) 2004-12-09
EP0913930B1 (en) 2004-01-02
EP0913930A3 (en) 2002-03-20
JP3253573B2 (ja) 2002-02-04
US6037839A (en) 2000-03-14
JPH11136048A (ja) 199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2320A (en) Mirror and bias circuit for class AB output stage with large swing and output drive
US4431972A (en) Push-pull amplifier
US6480069B2 (en) Active load circuit, and operational amplifier and comparator having the same
US5939944A (en) NPN push-pull output stage with folded cascode JFETs
US4687984A (en) JFET active load input stage
US6903609B2 (en) Operational amplifier
KR100394301B1 (ko) Btl증폭회로
US5343165A (en) Amplifier having a symmetrical output characteristic
JPH1197774A (ja) 出力回路装置
US5066876A (en) Circuit for converting ecl level signals to mos level signals
US5973564A (en) Operational amplifier push-pull output stage with low quiescent current
US5376900A (en) Push-pull output stage for amplifier in integrated circuit form
US4764688A (en) Output current darlington transistor driver circuit
US5119041A (en) High gain differential current amplifier having a low output voltage
JP3505325B2 (ja) Btl増幅回路
US5877655A (en) Device for limiting the output current of an operational amplifier
JP2902277B2 (ja) エミッタホロワ出力電流制限回路
JPH0786843A (ja) 増幅回路
JP2623954B2 (ja) 利得可変増幅器
JP3063345B2 (ja) 飽和防止回路
JP3423200B2 (ja) 増幅器
JPS6049369B2 (ja) プッシュプル増幅回路
JP3172310B2 (ja) バッファ回路
JPS6119547Y2 (ko)
JPS62189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