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2367B1 -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광섬유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광섬유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367B1
KR100392367B1 KR10-2000-0065644A KR20000065644A KR100392367B1 KR 100392367 B1 KR100392367 B1 KR 100392367B1 KR 20000065644 A KR20000065644 A KR 20000065644A KR 100392367 B1 KR100392367 B1 KR 10039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electrode line
electrode
polarization
cladding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387A (ko
Inventor
최용규
김종배
조두희
김경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6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367B1/ko
Priority to US09/961,259 priority patent/US6654520B2/en
Publication of KR2002003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35Non-linear optics
    • G02F1/37Non-linear optics for second-harmonic generation
    • G02F1/377Non-linear optics for second-harmonic generation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02F1/383Non-linear optics for second-harmonic generation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of the optical fibr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35Non-linear optics
    • G02F1/355Non-linear opt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G02F1/3558Poled materials, e.g. with periodic poling; Fabrication of domain inverted structures, e.g. for quasi-phase-matching [QP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비선형 광학 현상에 따른 3광자 혼합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주기 분극 광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 광파들 사이의 의사 위상 정합 조건(quasi phase matching condition)을 만족시킬 수 있는 주기를 가지는 구멍이나 홈이 새겨진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전극선을 이용하여 주기 분극 광섬유를 형성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전극선을 이용하여 광섬유가 주기적인 분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코어 주위에 광섬유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표면에 한 개 이상의 홈이 새겨져 전극선과 코어를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는 주기분극 광섬유를 형성하는데 그 다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Electrode for forming periodically poled optical fibers and fabrication method of periodically poled optical fibe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소자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기분극 광섬유(periodically poled optical fiber) 제조를 위한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에 2차 비선형 광학 특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분극 공정을 거친다. 일반적인 분극 공정은, D자형 광섬유의 한 쪽 혹은 양 쪽에 전극을 형성하고, 고온에서 일정시간 전압을 인가하고,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서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광섬유가 큰 2차 비선형 계수를 갖게 되어도, 실질적인 2차 비선형성 광학 현상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각 파동들간의 위상 정합 조건이 맞아야 한다. 광섬유 역시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지는 분산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빛들 사이에서 위상 정합 조건이 맞지 않는다.이를 위하여 특정 파장 대역에서 흡수를 나타내는 흡수체(absorber)를 첨가함으로써 공명 흡수 파장 근처에서 굴절률이 파장에 대하여 반대로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위상 정합을 맞출 수도 있으며, 광섬유의 복굴절 현상을 이용하여 위상 정합을 맞출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까다로우며 또한 위상 정합을 만족하는 파장 범위가 극히 제한된다. 따라서 요구하는 파장에서 2차 비선형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위상 정합 조건의 능동적인 제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의사 위상 정합 방법(quasi phase matching condition)이 도입되었다.
일반적인 2차 비선형 단결정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분극의 방향을 이웃한 도메인(domain)에 대하여 180 °회전시킨다. 따라서 광섬유의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분극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극의 방향이 바로 이웃한 영역과 반대 방향인 것이 좋다.
종래 기술에 따른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을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리콘 등의 기판(11) 상에 제1 전극(12)을 형성하고, 제1 전극(12)과 광섬유를 접착시키기 위해 전체 구조 상에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으로 접착층(13)을 형성하고, D자형 광섬유(10)를 접착시킨다.이어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구조 상에 제1 절연막(14)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절연막(14)은 폴리이미드 등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연막(14)과 광섬유(10)를 연마하여 평탄화시키고, 광섬유 상에 제2 전극(15)을 형성한 다음, 제2 절연막(16) 및 금속층(17)을 증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은, 광섬유의 단면을 D자 형으로 가공한 후 이를 기판에 고정시키고, 감광제(photoresist)의 도포 및 제거, 마스킹(masking), 전극 물질의 증착 등의 복잡한 공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광섬유의 단면에 미세 전극 패턴을 증착하는 복잡한 공정을 진행해야할 뿐만 아니라, 전극은 하나의 광섬유 분극의 형성에 사용된 후 재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광섬유(20)의 코어(C) 주위로 뚫린 두 개의 구멍(22)에 반대방향으로 전극선을 삽입하고, 고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하고, 자외선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기도 하면서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서냉하여 광섬유의 코어에 유도된 분극 상태를 광섬유에 고착시킴으로써 분극 광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종래 방법은 전극을 통해 전압이 인가되는 광섬유의 전부분에 걸쳐서 동일한 방향으로 분극을 형성할 수 있으나 주기적으로 분극 영역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즉, 전술한 종래의 D자형 주기분극 광섬유 형성 방법은 분극 영역의 이웃한 부분은 분극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게 되고, 더욱이 이미 분극된 영역과 이웃한 영역에 반대 방향으로 분극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기분극 광섬유를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이며 더 나아가 주기적으로 반전된 분극 영역을 형성할 수 있어 광섬유의 2차 비선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공정 단면도,
도 2는 종래 전극선 삽입영역을 구비하는 광섬유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극선을 보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전극선과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광섬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전극선과 광섬유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웃한 영역이 서로 반대의 분극 방향을 갖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공정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이웃한 영역이 서로 반대의 분극 방향을 갖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공정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주기분극된 광섬유를 구비하는 광소자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50: 광섬유 51: 하부 클래드층
52: 상부 클래드층 53: 제1 전극선
54: 제2 전극선 C: 코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를 위한 전극선에 있어서, 적어도 그 일면에 주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골짜기와 봉우리의 간격이 적어도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를 위한 전극선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극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1 전극선을 이용한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부 클래드층, 코어층 및 상부 클래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클래드층 및 상기 상부클래드층 각각에 전극 정렬 영역을 구비하는 광섬유를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하부 클래드층 또는 상부 클래드층 중 일층에 상기 제1 전극선을 정렬하고, 상기 하부 클래드층 또는 상부 클래드층 중 타층에 제2 전극선을 정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2 전극 선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수의 제1 분극영역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통하여 분극이 되지 않은 부분이 분극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2 전극선을 재정렬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2 전극선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분극영역 사이 사이에 제2 분극영역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2차 비선형 광학 현상(second order nonlinear optical phenomena)에 따른 3광자 혼합(three wave mixing)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주기 분극 광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 광파들 사이의 의사 위상 정합 조건(quasi phase matching condition)을 만족시킬 수 있는 주기를 가지는 구멍이나 홈이 새겨진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전극선을 이용하여 주기 분극 광섬유를 형성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전극선을 이용하여 광섬유가 주기적인 분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코어 주위에 광섬유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표면에 한 개 이상의 홈이 새겨져 전극선과 코어를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는 주기분극 광섬유를 형성하는데 그 다른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기분극 광섬유는, 노광 공정을 통한 미세 전극 패턴의 형성이 불필요하다. 즉, 광섬유에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기계적 혹은 화학적 가공으로 전극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전극선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한 방향에 대하여 분극 영역을 형성하고 분극되지 않은 영역들에 대하여 기존 분극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분극을 유도함으로써 상이한 두 분극 방향으로 주기 분극되는 즉, 주기적으로 반전된 분극 영역들을 형성하여 광섬유의 2차 비선형 특성과 의사 위상 정합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기분극 광섬유는, 파장 변환기(wavelength converter), 분산 보상(dispersion compensation)용 위상 공액파(phase-conjugated wave) 생성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섬유의 코어에 유도되는 비선형 광학 계수의 크기는 코어와 전극 사이의 거리에 지수적으로 반비례한다. 일례로, 코어와 전극의 사이가 10 ㎛에서 5 ㎛로 감소하면 코어에 유도되는 비선형 전기광학 계수는 10배 이상 증가한다. 단, 코어와 전극간 거리를 너무 가깝게 하는 경우는 분극 광섬유에서 코어를 통하여 진행하는 빛의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투과 손실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가깝도록 코어 주위에 구멍이나 홈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도 3의 (a) 내지 (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극선의 단면을 나타낸다. 홈이 형성되기 전 전극선의 단면의 형태에는 특정한 제약이 없다. 즉, 단면이 원형이거나 타원형이거나 사각형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전극선을 기계적으로 혹은 화학적으로 가공하여 일정한 모양의 홈을 규칙적으로 형성한다. 홈의 최소 주기(Λ)는 원하는 파장 및 그 파장들에서의 광섬유의 유효 굴절률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최소 주기의 정수배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의사 위상 정합 조건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위 수학식1에서 p는 펌프광, s는 신호광, i는 생성광을 의미하며, c는 진공에서의 광속이다. 한편, n은 각주파수(angular frequency) ω에서 진행하는 모드의 유효 굴절률(effective refractive index)이고, Λ는 분극 방향이 동일한 영역이 나타나는 주기이며, m은 의사 위상 정합에 필요한 비선형 격자의 차수를 의미하며 정수이다. 위 식으로부터, 광섬유에 형성되는 분극의 주기(Λ)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주기는 m이 1일 때로 결정되는 최소 주기의 정수배도 될 수 있음을 위 수학식1로부터 알 수 있다.한편, 형성되는 홈의 모양은 직사각형이거나, 삼각형이거나, 특정 함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홈의 골짜기와 봉우리의 간격(Λ)은 최소한 2 ㎛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홈의 골짜기와 봉우리의 간격(Λ)을 5 ㎛ 이상으로 한다. 또한, 도 3의 (a) 내지 (c)에 보이는 바와 같이 홈은 광섬유 코어와 가깝게 위치하는 전극선의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d) 내지 (h)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3의 (g)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극선의 중앙 부분에 일정 간격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전극선이 삽입 또는 부착되는 다양한 형태의 광섬유 단면도로서,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클래드층 내에 최소한 한 개 이상의 구멍이 존재하거나 그 표면에 최소한 한 개의 홈이 존재하는 광섬유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코어(C) 주위로 전극선이 삽입될 두 개의 구멍(42)이 있는 광섬유(40)를 보이고, 도 4의 (b)는 코어(C) 주위에 전극선이 삽입될 한 개의 구멍(42)을 클래드층에 구비하고, 그 표면에 코어(C)를 사이에 두고 구멍(42)과 마주보는 홈(43)을 보이며, 도 4의 (c)는 그 표면에 코어(C)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두개의 홈(43)을 구비하는 광섬유를 보이고 있다. 표면에 홈을 내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전극선을 사용하는데 있어 유리하다. 광섬유의 형태는 도 4에 보이는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선이 광섬유의 코어에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끔 광섬유가 가공되면 된다.
이러한 단면을 가지는 광섬유의 가공은 비교적 용이하다. 즉, 광섬유 모재를 기계적으로 가공하고 이렇게 가공된 모재를 광섬유로 인선(drawing)하면 되는 것이다. 인선된 광섬유는 모재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전극선과 광섬유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하부 클래드층(51), 코어(C) 및 상부 클래드층(52)으로 이루어지는 광섬유(50)의 하부 클래드층(51) 내에 주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갖는 전극선(53)이 결합되고,상부클래드층(52) 내에 홈을 구비하지 않는 전극선(54)이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 일면에 홈을 갖는 전극선(53)은 홈이 광섬유 코어(C)에 향하도록 정렬시킨다. 즉, 코어(C)와 홈 사이의 간격이 가능한 작도록 한다. 그리고, 두 개의 전극선(53, 54)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을 갖는 전극선(53)은 음극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대편 전극선(54) 역시 주기적인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전극선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기 양극과 음극으로 사용되는 전극선의 홈과 봉우리 부분이 서로 반주기만큼 차이가 나게끔 정렬되어야 한다. 즉, 전극선 사이의 거리가 광섬유의 반지름 방향에서 볼 때 변화해야 하며 이 때, 전극선 사이의 거리 변화는 클수록 좋다.서로 반대의 분극방향을 갖는 주기분극 광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전극선 배열 상태에서 1차 분극을 수행한 후에, 1차 분극시 분극이 인가되지 않은 영역에 전극선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전극선을 옆으로 이동한 후 극을 바꾸어 전압을 인가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선과 광섬유가 결합된 상태에서 주기분극을 유도하는 과정은 기존 분극유도 과정과 동일하다. 즉, 일정 온도로 유지된 진공 또는 특정 기체 분위기에서 일정시간 전압을 전극선에 인가하고,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서냉한다. 이러한, 분극 유도 과정에서 자외선 레이저를 조사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이웃한 영역이 서로 반대의 분극 방향을 갖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공정 단면도로서, 도 6a는 하부 클래드층(61), 코어(C) 및 상부 클래드층(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클래드층(61) 및 상부 클래드층(62) 각 내부에 전극선 삽입 영역이 마련된 광섬유(60)를 준비하고, 그 각각이 동일한 주기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갖는 제1 전극선(63) 및 제2 전극선(64)을 하부 클래드층(61) 및 상부 클래드층(62) 내에 삽입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선(63)의 골과 제2 전극선(64)의 골이 서로 마주 보아야 한다. 즉, 제1 전극선(63)의 봉우리와 제2 전극선의(64)의 봉우리가 마주보도록 한다. 도 3의 (g)와 같이 주기적인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극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개구부끼리 대향하도록 한다.이어서, 제1 전극(63)에 (-), 제2 전극(64)에 (+) 전원을 각각 연결하여 1차분극이 일어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b에 보이는 바와 같이 1차 분극과정에서 분극되지 않은 영역을 반대 방향으로 분극시키기 위하여 두 전극을 1/2 주기만큼 평행 이동하여 1차 분극과정에서 분극되지 않은 영역에서 전극선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게 정렬하고 극을 바꾸어 2차분극을 수행한다.제1 전극(63) 및 제2 전극(64)을 바꿔 삽입한다. 즉, 하부 클래드층(61)에는 제2 전극(64)을 삽입하고, 상부 클래드층(62)에는 제1 전극(63)을 삽입한다. 이때에도 제1 전극(63)과 제2 전극(64) 각각의 골이 서로 마주 보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제1 전극(63)에는 (-) 전원, 제2 전극(64)에는 (+) 전원을 연결하여 1차 분극에서 분극되지 않은 이웃 영역이 반대 방향으로 분극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를 위한 광섬유및 전극의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하부 클래드층(71) 및 상부 클래드층(72)에 각각 2개의 홈(73) 총 4개의 홈(73)을 형성하고, 각각의 홈에 전극선(74)을 삽입하고 각각에 (+),(-) 전원을 인가하여 이웃하는 분극영역이 상이한 분극 방향을 갖는 주기분극 광섬유를 형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이웃하는 분극영역이 다른 분극 방향을 갖도록 전극을 정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주기 분극된 광섬유는, 분산 보상에 사용하거나 레이저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주기 분극된 광섬유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으로, 신호광(81)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단일모드 광섬유(82), 단일모드 광섬유(82)를 통과한 광과 펌프광(83)을 입력받는 주기분극 광섬유(84), 주기분극 광섬유(84)를 통과한 광을 여과시키는 필터(85), 여과된 광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단일모드 광섬유(86)로 이루어지는 광소자(80)를 보이고 있다. 도 8과 같이 광 전송로의 중간 부분에 주기분극 광섬유(84)를 삽입하고, 그 파장이 신호광(81)의 1/2이 되는 대역이거나 신호광(81)과 유사한 펌프광(83)을 인가하면, 펌프광(83)과 신호광(81) 사이의 차 주파수 생성 현상으로 인하여 신호광(81)과 가까운 파장 대역에서 위상 반전된 새로운 빛이 생성되며 이를 통하여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분산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펌프광(83)이 이차 고조파 발생(second harmonic generation)으로 파장이 1/2인 빛을 형성하고 이 빛과 신호광(81)의 차 주파수 생성 현상으로 위상 반전된 빛을 이용할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광섬유 상에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를 위한 전극을 형성할 필요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전극선을 이용하여 2차 비선형 광학현상을 이용하는 각각의 광섬유를 주기분극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선을 이용함으로써 이웃한 분극 영역의 분극 방향이 서로 다른 광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를 위한 전극선에 있어서,
    적어도 그 일면에 주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골짜기와 봉우리의 간격이 적어도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선.
  4.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를 위한 전극선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극선.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의 전극선 - 제1 전극선 - 을 이용한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부 클래드층, 코어층 및 상부 클래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클래드층 및 상기 상부클래드층 각각에 전극 정렬 영역을 구비하는 광섬유를 마련하는 제1 단계;상기 하부 클래드층 또는 상부 클래드층 중 일층에 상기 제1 전극선을 정렬하고, 상기 하부 클래드층 또는 상부 클래드층 중 타층에 제2 전극선을 정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2 전극선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수의 제1 분극영역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통하여 분극이 되지 않은 부분이 분극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2 전극선을 재정렬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2 전극선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분극영역 사이 사이에 제2 분극영역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극영역은 상기 제1 분극영역과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선은, 상기 제1 전극선과 동일한 주기의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을 1/2 주기만큼 평행 이동시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 각각에서,
    상기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전극선의 봉우리와 봉우리가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선에는 음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선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선에는 양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선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상기 상부 클래드층 및 상기 하부 클래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2 전극선 삽입용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상기 상부 클래드층 및 상기 하부 클래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2 전극선 부착용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 방법.
KR10-2000-0065644A 2000-11-06 2000-11-06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광섬유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92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44A KR100392367B1 (ko) 2000-11-06 2000-11-06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광섬유 제조 방법
US09/961,259 US6654520B2 (en) 2000-11-06 2001-09-25 Periodically poled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44A KR100392367B1 (ko) 2000-11-06 2000-11-06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광섬유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87A KR20020035387A (ko) 2002-05-11
KR100392367B1 true KR100392367B1 (ko) 2003-07-22

Family

ID=1969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6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2367B1 (ko) 2000-11-06 2000-11-06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광섬유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54520B2 (ko)
KR (1) KR100392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1356B2 (en) * 2000-11-09 2004-10-05 University Of Southampton Optical parametric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0420951B1 (ko) * 2002-04-17 2004-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극 광섬유, 분극 광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분산 보상기
SE527752C2 (sv) * 2004-09-03 2006-05-30 Acreo Ab Polning av optiska fibrer och liknande
CN100434974C (zh) * 2006-09-26 2008-11-19 北京大学 双孔极化光纤调相器的制备方法及产品
JP5594192B2 (ja) * 2011-03-08 2014-09-24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光変調器
EP3751339A4 (en) * 2018-02-08 2021-03-2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WAVELENGTH CONVERT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WAVELENGTH CONVERTER
CN112904480A (zh) * 2021-02-26 2021-06-04 复旦大学 一种具有周期性孔洞结构的管状滤光器及其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374A (en) * 1974-07-22 1975-12-02 Us Navy High speed electro-optic waveguide modulator
JPH0627504A (ja) * 1992-07-09 1994-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波長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と制御方法
JPH06273816A (ja) * 1993-03-19 1994-09-30 Nippon Steel Corp 光導波路型第二高調波発生素子
JPH07209533A (ja) * 1994-01-20 1995-08-11 Fujitsu Ltd 光機能デバイス
WO1996016344A1 (en) * 1994-11-18 1996-05-30 The University Of Sydney Inducing or enhancing electro-optical properties in optically transmissive material
KR20000029919A (ko) * 1996-08-12 2000-05-25 와다 아끼히로 그레이팅소자,그레이팅소자를이용한광파장선택및광신호전송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181A (en) * 1988-04-25 1991-08-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laddings for single crystal optical fibers and device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uch claddings
JPH05175191A (ja) * 1991-10-22 1993-07-13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導電配線
US5617499A (en) 1995-09-08 1997-04-01 University Of New Mexico Technique for fabrication of a poled electrooptic fiber segment
US5768462A (en) 1996-03-05 1998-06-16 Kvh Industries, Inc. Grooved optical fiber for use with an electrode and a method for making same
WO1999040482A1 (en) * 1998-02-09 1999-08-12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Tunable bragg gratings and devices employing the same
US6259830B1 (en) * 1999-11-30 2001-07-10 Corning, Incorporated Poled electro-optic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374A (en) * 1974-07-22 1975-12-02 Us Navy High speed electro-optic waveguide modulator
JPH0627504A (ja) * 1992-07-09 1994-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波長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と制御方法
JPH06273816A (ja) * 1993-03-19 1994-09-30 Nippon Steel Corp 光導波路型第二高調波発生素子
JPH07209533A (ja) * 1994-01-20 1995-08-11 Fujitsu Ltd 光機能デバイス
WO1996016344A1 (en) * 1994-11-18 1996-05-30 The University Of Sydney Inducing or enhancing electro-optical properties in optically transmissive material
KR20000029919A (ko) * 1996-08-12 2000-05-25 와다 아끼히로 그레이팅소자,그레이팅소자를이용한광파장선택및광신호전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87A (ko) 2002-05-11
US6654520B2 (en) 2003-11-25
US20020076155A1 (en)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4070C (en) Acoustooptical waveguide device for wavelength selection
US4984861A (en) Low-loss proton exchanged waveguides for active integrated optic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679570B2 (ja) 偏光分離素子
EP0798589B1 (en) Acousto-optical filters
JPH10503602A (ja) パターン付分極化誘電構造体と装置の製造
JPS6115108A (ja) 光デバイス
CN102590951A (zh) 光折变长周期波导光栅滤波器及其制作方法
CA2299234A1 (en) Organic crystal compound optical waveguide and methods for its fabrication
KR100392367B1 (ko) 주기분극 광섬유 제조용 전극선 및 그를 이용한 주기분극광섬유 제조 방법
JP2010261999A (ja) 光学素子、偏光フィルタ、光アイソレータ、光学装置
JP3165106B2 (ja) 光可変波長フィルタ
CA227364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diffused optical waveguide structures in a substrate
US5835644A (en) TE-pass optical waveguide polarizer using elecro-optic polymers
KR100420951B1 (ko) 분극 광섬유, 분극 광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분산 보상기
CN1508575A (zh) 介电体超晶格的光学滤波器及其制作方法
KR101129630B1 (ko) 모드 결합 손실 유도형 진행파 광 변조기 및 제작 방법
JP4649511B2 (ja) 光導波路デバイス
Tsukada et al. Polarization-insensitive integrated-optical switches: A new approach
JPH06222403A (ja) 方向性結合形光導波路
KR100248428B1 (ko) 전기 광학 폴리머를 이용한 편광 조절기 제조방법
WO2004027512A1 (ja) 波長変換素子
JP2006251696A (ja) 波長変換素子
JPH03188423A (ja) 光方向性結合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69383B1 (ko) 제 2 고조파 발생장치의 제조방법
JPH0943558A (ja) 導波路型偏光コンペンセータ並びにそれを用いた導波路型リング共振器および導波路型マッハツェンダ干渉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