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5876B1 -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876B1
KR100375876B1 KR10-2001-0016634A KR20010016634A KR100375876B1 KR 100375876 B1 KR100375876 B1 KR 100375876B1 KR 20010016634 A KR20010016634 A KR 20010016634A KR 100375876 B1 KR100375876 B1 KR 10037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delete delete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828A (ko
Inventor
황광연
Original Assignee
유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피씨(주) filed Critical 유피씨(주)
Priority to KR10-2001-001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8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828A/ko
Priority to CN02108403A priority patent/CN137914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8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with aliphatic 1-olefins containing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53Ethene vinyl acetate co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알파 올레핀은 헥센 및 메탈로센 중 하나로 형성되며, 용융지수가 1.0 내지 20.0이며, 밀도가 0.865 내지 0.935인 0.1 내지 30중량부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 수지; (ii) 용융지수가 1.5 내지 20.0이며, 밀도가 0.900 내지 0.938인 0.1 내지 30중량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iii) 5중량부 이상의 비닐아세테이트를 지니고, 용융수지가 1,0 내지 20.0이며, 밀도가 0.910 내지 0.940인 0.1 내지 39중량부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수지; 및 (iv) 클레이 활석, 탈크, 황산바륨,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하여 형성되며, 0.5 내지 30㎛의 입경을 갖는 0.1 내지 3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다이옥신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는 PVC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인 소재로 개발되었으며, 특히 본 수지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코팅 섬유는 가방류의 원단 및 여러 산업용 코팅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Polyolefin Type Resin Composition Used in Coating Cloth and Coating Film Comprising Such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가방류의 원단으로 사용되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에 봉제 가공용이성, 접착성, 유연성 및 탄성 등의 섬유가공성과 환경오염 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경제적인 코팅용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압출-라미네이션, 압출-코팅 및 기타 코팅방식을 사용하여 섬유에 코팅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과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 되는 필름 그리고 상기한 필름을 섬유에 코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합성섬유 및 천연섬유의 방수 목적 코팅에 피브이씨(PVC)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었다. 특히 PVC수지는 폴리에스터 합성섬유와 압출코팅 또는 나이프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하였을 때 섬유의 질감이 잘 표현되어 적합하고 경제적인 소재로 각광 받았었다. 그러나 가방류의 원단으로 사용하는 합성섬유에 방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던 PVC수지 코팅 제품은 소각시 인체에 매우 유해한 다이옥신이 발생되므로써 환경 공해문제를 유발하게 되어 전 세계적으로 규제 대상 제품이 되었던 바, 이에 착안하여 대체 소재로서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으며, 보다 경제적이고, 화학안정성, 방수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코팅 제품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경제적이고 실용적이긴 하지만, 제품 자체가 너무 뻣뻣하고,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주로 종이코팅, 플라스틱 코팅 등의 용도로 제한되어 왔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화학적인 구조상 약한 극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가방류의 원단으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섬유 또는 금속 등의 기재(substrate)에 코팅할 경우 접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온으로 압출 코팅해야 할 뿐만 아니라, 150g/m2이상의 압력으로 코팅해야 접착되기 때문에 코팅원단 자체의 경도가 높아져 매우 뻣뻣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일환으로 일본의 J.P.Kokai No. 57-200438에서는 할로겐이 치환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한 예가 공지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소화 59-27968, 소화 62-149735 및 평성 4-132783에서는 염소가 치환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과 아크릴 단량체의 공중합체,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인 폴리에스터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예가 공지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소화 59-27968, 소화 62-149734 및 평성 4-132783에서는 염소가 치환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단량체 및 염소가 치환된 폴리디엔의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예가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이 공지된 자료에서는 염소계 원자가 35중량% 정도가 포함되어 있어 혼합물의 상분리가 발생하여 균일한 혼합이 어렵게 되고, 접착력, 내약품성, 내수성 및 내후성 등이 저하되고 또한 상분리에 의한 코팅성이 떨어지고, 염소계 원소나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유해한 환경오염 물질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을 섬유원단에 코팅하여 사용할 경우, 봉제시 코팅된 원단을 접어야 하는데 너무 뻣뻣해서 잘 접히지 않기 때문에 봉제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특히 코팅된 섬유 자체의 특성 즉, 유연성, 부드러움 및 탄성 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원활한 봉제 가공성을 위하여 유연성, 부드러움 및 탄성을 높이고자,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알파-올레핀공중합수지 및 엘라스토머를 혼합하여 경제적이고 일반 섬유의 질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봉제 가공성이 우수한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게 되었다.
또한, 무기 충전제를 다량 사용하여 제품 단가를 절감하고, 뻣뻣함을 해결하여 유연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불에 의한 소각시 함유된 무기충전제의 함량만큼 열량 소모가 줄어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섬유와 압출코팅 및 압출 드라이 라미네이션방법으로 코팅하는 경우, 섬유의 질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경제적이고, 봉제 작업성이 유리하다. 그리고 방수기능과 대전방지기능을 부여하여 완제품 작업시 먼지나 이물질이 묻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난연기능을 부여하여 화재로 인한 손상을 예방 및 방지가 가능하고, 브로킹 방지기능을 부여하여 완제품 작업시 롤(roll)에 감겨져 있는 원단을 풀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할 수 있는 브로킹현상으로 인하여 원단끼리 달라붙어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슬립기능을 부여하여 코팅된 원단의 표면에 매끄러운 감촉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섬유에 방수기능, 대전방지기능, 난연기능, 브록킹 방지기능, 슬립기능, 접착성, 유연성 및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용융혼합하여 제조되는 코팅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섬유에 코팅하는 2겹압출 라미네이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섬유에 코팅한 모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섬유에 코팅하는 3겹압출 라미네이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폴리에스터 섬유 공급롤러(Unwinder) 2: 접착제 사라 및 나이프코터
3: 드라이 챔버
4: (압출된 수지 조성물) 필름 공급장치(Unwinder) 및 압착장치
5: 코팅된 폴리에스터 섬유 압착장치(케린더롤) 6: 완제품 권취롤러(Rewinder)
7: 폴리에스터섬유 8: 접착제
9: 폴리올레핀 필름 10.압출 라미네이터.
11: 티다이(T-die) 12: 무광처리된 엠보씽 롤러
13: 나일론 다후다 섬유 공급롤러(Unwinder) 14: 접착제 도포장치
15: 탄성고무롤러
16: 3겹으로 라미네이션한 제품 권치롤(Rewinder)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i) 0.1 내지 30중량부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 수지; (ii) 0.1 내지 30중량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iii) 0.1 내지 39중량부의 범용수지; 및 (iv) 0.1 내지 3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합하여 성형된 섬유 코팅용 필름과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합하여 필름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필름과 섬유원단을 코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는 밀도가 0.865∼0.93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0.865보다 낮으면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섬유와 코팅시 적합하지만, 압출 가공성이 떨어지므로 적당하지 못하고, 밀도가 0.935보다 높은 경우에는 필름이 뻣뻣해져 좋지 못한 감촉을 유발시킨다. 그리고 용융지수는 1.0∼2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지수가 20.0이상이 되면 압출가공성은 우수하나, 상용성이 떨어져서 다른 수지와의 균일한 분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특히 유연성 및 탄성등의 물성이 약해질 우려가 크나, 접착력은 매우 탁월한 양면성이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0.1 내지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의 알파-올레핀으로는 부텐, 헥센, 옥텐 또는 메탈로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 및 압출코팅 후 유연성 및 탄성, 접착력을 고려하여 밀도는 0.900 내지는 0.938이고, 용융지수는 1.5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특히 압출코팅시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지수가 높을수록 접착력이 향상되고, 압출가공성이 좋아지므로 필수적인 소재로 사용되지만,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의 배합량이 많아지면 필름의 가공성이 증가하고 각각의 수지 조성물과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섬유와의 접착력은 증가되나, 인장강도나 실율 그리고 인열강도 등의 저하 및 섬유 원단이 뻣뻣해져 섬유로써 사용할 수 없는 치명적인 결함을 일으킬 수 있고, 너무 적으면 압출가공성과 접착력이 저하되므로, 0.1 내지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범용수지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수지, 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 및 엘라스토머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5이상이고, 밀도는 0.910 내지 0.940이며, 용융지수는 1.0 내지는 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코팅성, 접착력, 유연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는 밀도가 0.890 내지는 0.930이고, 용융지수는 0.9 내지는 4.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코팅성, 접착성, 유연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는 쇼와경도(Shore Hardness 'A')가 95이하, 비중이 0.890 내지는 0.98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코팅성, 접착성, 유연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서술한 범용수지의 배합에 있어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수지의 배합량이 증가하게 되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부드러운 질감의 제품을 얻을 수는 있으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수지의 함량이 필요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원재료의 비용이 높아지고, 다른 수지와의 분산에 문제가 발생하여 압출 가공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0.1 내지 39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수지와 엘라스토머는 압출 코팅, 압출 라미네이션 및 기타 코팅방법에 의하여 코팅할 때 보다 접착력을 향상시켜주고,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섬유의 질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량이 많게 될 경우, 탄성과 유연성은 높아지고 섬유의 질감을 살릴 수 있는 효과적인 재료이기는 하나,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특히 폴리 올레핀계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한 엘라스토머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틸렌계 엘라스토머 및 EPR 또는 EPDM 등의 고무계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엘라스토머는 탄성과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매우 효과적을 사용된다.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수지와 엘라스토머는 각각 1 내지 4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클레이 활석, 탈크, 황산바륨,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탄산칼슘, 황산바륨 및 탈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제는 공지의 방법으로 스테아린산 등으로 표면처리되어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평균입경이 0.5 내지는 30㎛, 바람직하게는 0.7 내지는 5.0㎛인 것이 좋다. 무기 충전제는 0.1 내지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0.1중량부 이하로 떨어지면 휨강도, 탄성 및 유연성이 떨어지고, 30중량부 이상이면 접착력, 인장강도, 신율 및 인열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술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그리고, 범용수지 및 무기충전제 이외에 공지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1 내지 10중량부의 지방산 에스테르계의 대전방지제; 0.1 내지 5중량부의 실리카계 브로킹방지제; 0.1 내지 10중량부의 브롬계 난연제; 0.1 내지 5중량부의 슬립방지제; 0.1 내지 10중량부의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등의 스테아린산 금속염 등의 활제; 0.01 내지 0.05중량부의 페놀계, 인계 및 티오계의 산화방지제; 0.01 내지 0.03중량부의 중합체의 UV안정제 및 가공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각각의 수지조성물을 자동 공급시킬 수 있는 호퍼와 호퍼로더, 그리고 자동 무게 측정장치, 믹서기 등의 과정을 거쳐 압출기의 호퍼로 이송되어 압출하게 된다. 또는 각각의 조성물을 텀블러, 헨셀믹서에 넣고 혼합한 후에 2축 압출기 또는 니더, 벤버리 믹서를 이용하여 용융, 가공하여 펠렛상의 컴파운드로 말들 수가 있다. 이때의 가공온도는 180 내지는 250℃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며, 아울러 각각의 수지 및 무기 충전제 그리고 가공조제와 첨가물을 미리 용융, 혼합하여 마스터 벳치화 한 다음에 무기충전제를 배합하여 상기 전술한 방법으로 용융 혼합하면 특히 분산상태가 우수하고 압출라미네이션, 압출코팅 및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사용하기가 매우 효과적이다. 반면에 컴파운드 과정을 거치면서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도 야기될 수 있으므로, 무기충전제만 마스터-비치화하고 나머지 수지들은 드라이 블렌딩을 통하여 압출 용융하여 필름으로 성형할 수도 잇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필름 또는 쉬트로 합출 성형할 때 사용된 캐스팅 압출 코팅기는 스크류 직경이 115mm이고, L/D는 32:1, 압축비는 3.6:1이고, 다이스의 폭은 1800mm, 압출기의 모터용량은 150마력의 캐스팅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압출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수지조성물을 1축압출기로 압출하여 티 다이(2)를 통하여 케스팅롤에서 캐스팅할 때 코팅하고자 하는 폴리에스터(1) 또는 나일론 다후다 섬유(4)를 압출되는 수지 조성물과 같이 캐스팅을 하면서 합지하여 냉각시켜서 완제품을 완성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다이는 티다이(T-DIE), 피쉬테일 다이(FISH-TAIL DIE) 또는 코트 행거 다이(COAT-HANGER DIE)가 사용된다. 그리고 압출되는 수지 조성물과 코팅하고자 하는 섬유의 접착면 양면에 코로나 처리 또는 프라즈마 처리의 표면처리를 할 경우 더욱 우수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코팅하고자 하는 섬유의 코팅 전 우레탄계 또는 폴리에스터계의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서 더욱 접착력을 상승시킬 수가 있다. 코팅할 때 사용하는 케스팅 롤의 표면을 부식처리 하는 내용에 따라서 코팅된 필름면에 무광효과 및 섬유의 조직과 같은 엠보씽효과를 줌으로써 코팅된 섬유로서의 기능을 완성시킬 수가 있고, 부가적으로 폴리에스터 섬유와 접착제, 그리고 유연성을 갖는 필름을 1차적으로 코팅한 후, 보다 견고한 접착력과 폴리에스터 코팅 섬유에 유연성을 주기 위하여 탄성 고무롤과 스틸롤로 구성된 카렌더롤로 프레싱을 함으로써 접착력이 증가되고, 섬유 탄성, 유연성, 봉제의 용이성 및 봉제 후 완제품에서 기본 틀이 매우 매끄럽고 균형이 잡힌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밀도가 0.918이고 용융지수가 2.0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SK주:LE350V); 밀도가 0.910이고 용융지수가 12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비닐 아세테이트 VA함량이 15%이고 용융지수가 10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공중합수지;밀도가 0.89이고 용융지수가 3.6인 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 비중이 0.90이고 쇼와경도가 85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평균입경이 3.0㎛이고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된 탄산칼슘; 폐놀계의 산화방지제인 이가녹스1010(송원산업 제품; 한국); 인계의 산화방지제인 이가포스 168(송원산업 제품: 한국);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아연; 글리세린 모노 스테아레이트계의 대전방지제; 및 실리카계 브록킹방지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1: 5중량부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 15중량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5중량부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수지와 25중량부의 무기충전제인 탄산칼슘과 0.03중량부의 폐놀계의 산화방지제인 이가녹스1010(송원산업 제품; 한국), 0.03중량부의 인계의 산화방지제인 이가포스 168(송원산업 제품: 한국)과 0.03중량부의 스테아린산 칼슘과 0.03중량부의 스테아린산 아연과 0.1중량부의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계의 대전방지제 및 0.03중량부의 실리카 브록킹방지제를 헨셀믹서에 넣고 60℃에서 30분간 혼합한 다음, 2축압출기로 210℃에서 용융압출 가공하여 펠렛상으로 제조 하였다.
앞서 제조한 펠렛상의 수지 조성물을 스크류 직경이 115mm인 1축 압출기와 티 다이(T-Die)(11) 폭이 2,000mm인 캐스팅 코팅 설비를 이용하여 필름으로 성형하면서 접착제가 1차적으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섬유에 코팅시켰다. 이때의 압출기의 시린더 온도는 300℃이고, 티다이의 온도는 310∼320℃의 조건에서 압출을 하였고, 캐스팅 롤의 무광 엠보씽롤(12)과 백업롤(Back Up Roll)인 무광 엠보씽롤(12)의 온도는 30℃로 하여 폴리에스터 섬유를 코팅하였다. 그리고 2차적으로 탄성 플라스틱롤과 스틸롤로 구성된 캐린더 롤(15)에서 가열 및 가압을 함으로써 제품을 완성하였다.
실시예2: 5중량부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 15중량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및 15중량부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 방법 및 코팅 조건을 사용하였다.
실시예3: 5중량부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 15중량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및 15중량부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 방법 및 코팅 조건을 사용하였다.
실시예4: 5중량부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 및 20중량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 방법 및 코팅 조건을 사용하였다.
비교예1: 5중량부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수지와 저밀도 15중량부의 폴리에틸렌수지만을 사용한 것과 이외의 어떠한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코팅조건을 사용하였다.
비교예2: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만을 사용한 것과 무기충진제인 탄산칼슘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코팅조건을 사용하였다.
비교예3: 에틸렌-알파-올례핀 공중합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코팅조건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1내지 4와 비교예 1내지 3의 조성물 첨가량을 하기의 표1에 나타내었다.
상기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터 코팅섬유에 대한 인장강도, 신장율, 구멍이 잘 뚫리지 않는 강도, 인열강도, 파열강도, 정전기 소실, 정수두 및 가연성 등의 기계적인 물성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인장강도(Tensile Stength, 측정단위:lbs)는 ASTM5034방법의 Grip-Method로 측정하였다.
(2) 신장율(Elongation, 측정단위:%)은 ASTM D5034로 측정하였다.
이때 (1)의 인장강도와 (2)항의 신장율은 Test Machine을 C.R.E Type를 사용하였고, Test Speed는 300mm/min, 온도는 20±2℃, 습도는 65±2%이었다.
(3) 구멍이 잘 뚫리지 않는 강도(Puncture Resistance, 측정단위:lbs)는 ASTM D4833으로 측정하였다.
(4) 인열강도(Tear Strength, 측정단위:lbs)는 ASTM D5733중 Traperzoid-Method로 측정하였다.
(5) 파열강도(Bursting Strength, 측정단위:lbs)는 ASTM D3787의 BallBursting Metho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6) 정전기 소실(Electrostatic Decay, 측정단위:sec)은 KSK0555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7) 정수두(Hydrostatic Head, 측정단위:cm)는 AATCC 127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8) 가연성(Flammability)은 16CFR1610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무기충전제인 탄산칼슘이 배합된 폴리올레핀계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을 폴리에스터 섬유에 코팅하였을 경우, 폴리에스터 섬유의 인장강도, 신장율, 구멍이 잘 뚫리지 않는 강도, 인열강도, 파열강도, 정전기 소실, 정수두 및 가연성 등의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하고, 특히 유연성, 탄성 및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코팅된 제품의 질감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섬유에 코팅하는 2겹압출 라미네이션 장치를 나타낸 그림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섬유에 코팅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3도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섬유에 코팅하는 3겹압출 라미네이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섬유에 코팅하게 되면 섬유의 유연성, 탄성, 봉제시의 용이한 가공성 및 섬유 본래의 질감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다이옥신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는 PVC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인 소재로 개발되었으며, 특히 본 수지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코팅 섬유는 가방류의 원단 및 여러 산업용 코팅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i) 알파 올레핀은 헥센 및 메탈로센 중 하나로 형성되며, 용융지수가 1.0 내지 20.0이며, 밀도가 0.865 내지 0.935인 0.1 내지 30중량부의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 수지;
    (ii) 용융지수가 1.5 내지 20.0이며, 밀도가 0.900 내지 0.938인 0.1 내지 30중량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iii) 5중량부 이상의 비닐아세테이트를 지니고, 용융수지가 1,0 내지 20.0이며, 밀도가 0.910 내지 0.940인 0.1 내지 39중량부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수지; 및
    (iv) 클레이 활석, 탈크, 황산바륨,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하여 형성되며, 0.5 내지 30㎛의 입경을 갖는 0.1 내지 3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0.1 내지 10중량부의 지방산 에스테르계 대전방지제; 0.1 내지 5중량부의 실리카계 블로킹방지제; 0.1 내지 10중량부의 브롬계 난연제; 0.1 내지 5중량부의 슬립방지제; 0.1 내지 10중량부의 활제; 0.01 내지 0.05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0.01 내지 0.03중량부의 중합체 UV안정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그룹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11항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합 및 압출하여 성형된 섬유 코팅용 필름.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1-0016634A 2001-03-29 2001-03-29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Expired - Lifetime KR10037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634A KR100375876B1 (ko) 2001-03-29 2001-03-29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CN02108403A CN1379148A (zh) 2001-03-29 2002-03-29 涂纤维用聚烯烃系树脂组合物,用其制的膜及用其涂纤维的制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634A KR100375876B1 (ko) 2001-03-29 2001-03-29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544A Division KR100444297B1 (ko) 2002-02-18 2002-02-18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828A KR20010044828A (ko) 2001-06-05
KR100375876B1 true KR100375876B1 (ko) 2003-03-10

Family

ID=1970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634A Expired - Lifetime KR100375876B1 (ko) 2001-03-29 2001-03-29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75876B1 (ko)
CN (1) CN13791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37B1 (ko) * 2008-12-26 2011-03-31 전면근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08B1 (ko) * 2008-08-04 2009-03-13 에코얀주식회사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
CN102504422B (zh) * 2011-11-09 2016-02-10 新乐华宝塑料薄膜有限公司 一种聚乙烯膜及其制备方法
KR101318135B1 (ko) * 2011-12-30 2013-10-15 박희대 코팅 원사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컴파운드의 조성물
KR101293542B1 (ko) * 2012-05-17 2013-09-24 주식회사원림 포대 제작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CN103374820A (zh) * 2013-07-26 2013-10-30 浙江鹏远新材料有限公司 一种防滑编织布及其制备方法
CN103676440B (zh) * 2013-09-12 2015-10-21 浙江宇立新材料有限公司 一种单丝压纹投影布生产工艺
KR101711573B1 (ko) * 2015-07-01 2017-03-02 한국신소재(유) 코팅사용 조성물
CN105128500A (zh) * 2015-08-28 2015-12-09 安徽冠宜箱包有限公司 一种箱包底部使用的面料
CN107904963A (zh) * 2017-11-16 2018-04-13 湖州南浔久辰纺织有限公司 耐撕抗皱布料
KR102468934B1 (ko) * 2017-11-30 2022-11-2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KR102361366B1 (ko) * 2020-01-22 2022-02-14 전면근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용 마킹 필름
CN111560776A (zh) * 2020-04-09 2020-08-21 广州新文塑料有限公司 一种聚烯烃编织淋膜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645A (ko) * 1996-07-26 1998-04-30 구광시 올레핀계 타포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645A (ko) * 1996-07-26 1998-04-30 구광시 올레핀계 타포린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37B1 (ko) * 2008-12-26 2011-03-31 전면근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828A (ko) 2001-06-05
CN1379148A (zh) 200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876B1 (ko)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US4883837A (en) Compatible blends of polyolefins with thermoplastic polyurethanes
CA2384132A1 (en) Conformable multilayer films
KR101677942B1 (ko) 데코타일 표층용 친환경수지 조성물 및 이를 구비한 데코타일
CN113211917A (zh) 聚丙烯基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0773735B1 (ko) 낙진방지용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6875B1 (ko) 폴리프로필렌 친환경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JP6506556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CN105153530A (zh) 一种光学保护膜用粘性树脂及其制备方法和光学保护膜
KR101453367B1 (ko) 무가소제 폴리프로필렌 변성 컴파운드 조성물을 코팅한 산업용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JP4592986B2 (ja) 長尺床材
US20030212211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KR100444297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의 제조방법
KR101471997B1 (ko)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지의 제조방법
US20110223387A1 (en) non-pvc type calendered polyolefin sheet and the process thereof
CN100430438C (zh) 树脂基内部装饰材料
KR100843610B1 (ko) 캘린더 가공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4300279A (ja) 難燃性シート
JPH11172582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レザー
JP4551210B2 (ja) 壁装材表面保護用積層フィルム及び壁装材
JP3821586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を用いた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51461A (ja) カレンダー成形用組成物
TW202018010A (zh) 熱可塑性聚胺基甲酸酯彈性體組成物及積層體
JPH0853615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
KR100961263B1 (ko) 낙진방지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21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92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