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4198B1 -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198B1
KR100374198B1 KR10-2000-0080486A KR20000080486A KR100374198B1 KR 100374198 B1 KR100374198 B1 KR 100374198B1 KR 20000080486 A KR20000080486 A KR 20000080486A KR 100374198 B1 KR100374198 B1 KR 10037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emory
target device
coin
processing device
targ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343A (ko
Inventor
후쿠다이치로
히사이토시카즈
마치다신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6516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848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517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437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6516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8454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ublication of KR2001007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1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02External programming circuits, e.g. EPROM programmers; In-circuit programming or reprogramming; EPROM e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꿔쓰기의 대상이 되는 플래시메모리에 대응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PC카드 등의 기록매체로부터독출하고, 이 독출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한다.

Description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multi ROM writ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페이스가다른 각종 플래시메모리로 정보 등을 기입할 수 있는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가지 장치에 들어 가는 마이콘은 장치의 제조시에 함께 들어간 롬 (ROM: Read Only Memory)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 동작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마이콘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변경할 때에는 롬(ROM)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용이하게 프로그램의 번경이 이루어진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플래시메모리 등의 바꿔쓰기가 가능한 롬(ROM)을 사용하므로써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용이하게 바꿔쓰고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플래시메모리 등의 바꿔쓰기가 가능한 롬(ROM)을 사용한 장치의 한 예로는 자동판매기에 내장되는 자동판매기본체의 제어장치나 경화처리장치, 지폐식별장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각 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적절히 바꿔쓰기, 갱신하고 있던 것을 행하고 있다.
또 자동판매기내의 각 장치는 시리얼통신 등에 의해 장치내부의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을 이용하여 내부정보의 취득이나 코인평가레벨의 조정 등을 행하고 있다. 코인평가레벨의 조정이라 함은 코인의 특징을 검출하는 각 센서의 출력이 환경에 의해 변화한 것에 대한 조정이고, 정화를 복수회 투입하므로써 각 센서의 출력의 보정 또는 트레숄드값의 변경 등을 행하는 처리이고, 이 조정결과도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플래시메모리에 기억된다.
그러나 플래시메모리는 규격이 통일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기억내용을 바꿔쓰기할 때에 인가하는 전압 등이 제품마다 다르다.
또 플래시메모리를 넣은 장치는 플래시메모리를 바꿔쓰기위한 인터페이스가 그 장치마다 다른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장치에 들어간 플래시메모리의 기억내용을 바꿔쓰기할 때에는 이 장치에 대응한 전용의 롬라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플래시메모리를 넣은 장치에는 대응하는 전용의 롬라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플래시메모리를 넣은 장치는 동종의 것이라도 모델이 다른 경우에는 반드시 동일한 플래시메모리가 들어가 있는 것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롬라이터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어 불편한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와 같이 한 업자가 복수의 장치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 이들 자동판매기의 프로그램을 교체할 때에는 각 자동판매기에 대응한 복수의 롬라이터를 휴대하여 각 자동판매기의 설치장소를 순회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프로그램 등의 교체가 번잡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복수 종류의 플래시롬의 기억내용의 바꿔쓰기를 행할 수 있는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멀티롬의 외관을 나타낸 도이다.
도2는 멀티롬라이터(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은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a)는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4)의 사이에서 시리얼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4)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5(b)는 대상장치(4)의 플래시메모리에 대하여 기입을 행하는 경우의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4)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6(a)는 케이블(3)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6(b)는 케이블(3)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7은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8(a), 도8(b), 도8(c), 도8(d), 도8(e), 도8(f)는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중에 표시부(11)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9(a), 도9(b), 도9(c), 도9(d)는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중에 표시부(11)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10은 경화처리장치(7)의 자동판매기 내부에서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11(a)는 경화처리장치(7)의 플래시메모리에 대하여 기입을 행하는 경우의 멀티롬라이터(1)와 경화처리장치(7)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11(b)는 멀티롬라이터(1)와 경화처리장치(7)의 사이에서 시리얼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멀티롬라이터(1)와 경화처리장치(7)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12(a), 도12(b), 도12(c), 도12(d), 도12(e)는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중에 표시부(11)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13(a), 도13(b), 도13(c), 도13(d), 도13(e), 도13(f)는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중에 표시부(11)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14(a), 도14(b), 도14(c)는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중에 표시부(11)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멀티롬라이터 2: PC카드
3: 케이블 4: 대상장치
12: 조작키 14: PC카드슬롯
15: 인젝터버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의 발명에서는 각 종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하는 다종의 대상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이 대상장치가 탑재하는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멀티롬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의 플래시메모리에 대응한 바꿔쓰기프로그램 및 이 플래시메모리에 대하여 기입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매체와,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바꿔쓰기프로그램 및 상기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수단과, 상기 독출수단에 의해 독출된 바궈쓰기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플래시메모리로의 데이터의 송신, 상기 플래시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 복수의 전압으로부터 선택된 전압을 변환출력하는 출력전압변환을 제어하여 상기 독출수단에서 독출한 정보에 따라 이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와의 접속은 복수종류의 케이블로부터 상기 대상장치에 대응하여 선택된 소정의 콘넥터형상 및 핀배치를 가지는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3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는 PC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4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5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조건을 포함한 설정정보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상태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7의 발명은 청구항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이 취득한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상태 및 상기 독출수단에서 독출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8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제어장치, 경화처리장치, 지폐처리장치, 카드처리장치 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9의 발명은 청구항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경화처리장치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식별레벨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식별레벨 및 상기 경화처리장치에 투입된 경화의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레벨을 갱신하고, 이 갱신한 식별레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0의 발명은 청구항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지폐처리장치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식별레벨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식별레벨 및 상기 지폐처리장치에 삽입된 지폐의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레벨을 갱신하고, 이 갱신한 식별레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1의 발명은 각 종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하는 다종의 대상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이 대상장치가 탑재하는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의 플래시메모리에 대응한 바꿔쓰기프로그램 및 이 플래시메모리에 대하여 기입정보를 기억매체로부터 독출하고, 이독출한 바꿔쓰기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플래시메모리로의 데이터의 송신, 상기 플래시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 복수의 전압으로부터 선택된 전압을 변환출력하는 출력전압변환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2의 발명은 청구항1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와의 접속은 복수 종류의 케이블로부터 상기 대상장치에 대응하여 선택된 소정의 컨넥터형상 및 핀배치를 가지는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3의 발명은 청구항1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는 PC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4의 발명은 청구항1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이고, 이 제어프로그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5의 발명은 청구항1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조건을 포함하는 설정정보이고, 이 설정정보를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6의 발명은 청구항1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와의 통신을 행하여 이 통신에 의하여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상태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7의 발명은 청구항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의해 취득한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상태 및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독출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8의 발명은 청구항1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제어장치, 경화처리장치, 지폐처리장치, 카드처리장치 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9의 발명은 청구항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경화처리장치이고,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식별레벨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식별레벨 및 상기 경화처리장치에 투입된 경화의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레벨을 갱신하고, 이 갱신한 식별레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20의 발명은 청구항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지폐처리장치이고,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식별레벨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식별레벨 및 상기 지폐처리장치에 삽입된 지폐의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레벨을 갱신하고, 이 갱신한 식별레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멀티롬라이터의 외관을 나타낸 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롬라이터(1)는 메뉴나 조작지시, 에러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1)와, 조작지시 등을 입력하는 조작키(12), 바꿔쓰기 대상이 되는 플래시ROM을 탑재한 장치와 접속하는 케이블용의 컨넥터(13),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는 PC카드(2)를 삽입하는 PC카드슬롯(14), PC카드(2)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터버튼(1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2는 멀티롬라이터(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멀티롬라이터(1)는 CPU(100)와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 PC카드 인터페이스회로(103), 전원회로(104), 키입력부(105), 표시제어부(106), 명동부(10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멀티롬라이터(1)에서는 PC카드슬롯(14)에 삽입된 PC카드(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CPU(100)가 동작한다. 이 프로그램은 PC카드 인터페이스회로(103)를 거쳐 PC카드(2)로부터 독출된다. 또 PC카드(2)에는 멀티롬라이터(1)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외에 대상장치가 탑재하고 있는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대상장치라 함은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한 장치이고, 예를 들면 점포 등에서 이용하는 레지스터나 휴대단말, 자동판매기내에서 사용하는 주제어장치, 경화처리장치, 지폐처리장치, 카드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각 종 장치 등이다.
대상장치와의 접속은 컨넥터(13)를 거쳐 케이블에서 이루어 지지만 이 케이블을 거쳐 접수되는 신호는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와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에 의해 처리된다. 멀티롬라이터(1)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이나 플래시메모리의 기입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은 전원회로(104)에 의해 공급된다.
멀티롬라이터(1)의 조작은 이용자에 의한 조작키(12)의 조작을 키입력부 (105)가 접수하고 메뉴나 키조작에 대한 응답 등의 정보를 표시제어부(106)를 거쳐표시부(11)에 표시한다. 또 명동부(107)는 키조작시의 응답음이나 오조작시의 경고음을 발한다.
이하에서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는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의 사이에서 시리얼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고, 이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에 의해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의 접수를 행할 수 있다.
도3은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는 장치A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1)와, 장치A송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2), 장치A동기신호 인터페이스회로(113), 장치B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4), 장치B송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5), 장치B동기신호 인터페이스회로(116), 장치C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7), 장치C송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는 장치A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1)와 장치A송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2)와 장티A동기신호 인터페이스회로(113)에 의해 장치A(대상장치의 1종)와의 시리얼통신을 행하고, 장치B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4)와 장치B송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5)와 장치B동기신호 인터페이스회로(116)에 의해 장치B(장치A와는 별도의 대상장치)와의 시리얼통신을 행한다.
또 장치C(장치A, 장치B와는 별도의 대상장치이고, 시리얼통신에 동기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종류)와의 시리얼통신에서는 동기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C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7)와 장치C송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18)에서 시리얼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는 컨넥터(13)를 거쳐 케이블에 의해 대상장치와 접속되지만, 이 접속에 필요한 케이블은 대상장치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에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는 대상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플래시메모리에 대하여 기입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4는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는 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21)와 송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22), 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 (123), 동기신호 인터페이스회로(124), 12V전원회로(125), 5V/12V기입전압변환회로 (126), 10V전원회로(127), 5V/10V기입전압변환회로(12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21)와 송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22)는 송신데이터와 수신데이터를 다른 신호선에서 접수하는 타입의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한 대상장치를 위한 회로이고, 송수신데이터 인터페이스회로(123)는 송신데이터와 수신데이터를 동일한 신호선에서 접수하는 타입의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한 대상장치를 위한 회로이다. 동기신호 인터페이스회로(124)는 신호를 접수할 때에 동기신호를 필요로 하는 타입의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한 대상장치를 위한 회로이다.
또 12V전원회로(125)는 12V의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이고, 5V/12V기입전압변환회로(126)는 12V전원회로(125)가 동작하여 12V의 전압을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그 12V의 전압을 출력하고, 12V전원회로(125)가 동작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회로(104)로부터 공급되는 5V의 전원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마찬가지로 10V전원회로(127)는 10V의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이고, 5V/10V기입전압변환회로(128)는 10V전원회로(128)가 동작하여 10V의 전압을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10V의 전압을 출력하고, 10V전원회로(127)이 동작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회로(104)로부터 공급되는 5V의 전원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도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와 마찬가지로 컨넥터(13)를 거쳐 케이블에 의해 대상장치와 접속되지만, 이 접속에 필요한 케이블은 대상장치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에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와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a) 및 도5(b)는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와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장치(4)는 시리얼통신용의 컨넥터(41)와 플래시메모리 기입용의 컨넥터(42)를 구비하고 있고,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를 접속하는 케이블(3)의 컨넥터(31)와 컨넥터(13)를 접속하고 컨넥터(32)와 컨넥터 (41) 또는 컨넥터(33)와 컨넥터(42)를 접속하므로써 양자를 접속한다.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4)의 사이에서 시리얼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넥터(32)와 컨넥터(41)를 접속하고, 컨넥터(33)와 컨넥터(42)를 비접속한다. 컨넥터(32)와 컨넥터(41)를 접속한 경우에는 멀티롬라이터 (1)의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2)와 대상장치(4)의 도시하지 않은 시리얼통신인터페이스회로가 접속되게 된다.
또 대상장치(4)의 플래시메모리에 대하여 기입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넥터(33)와 컨넥터(42)를 접속하고, 컨넥터(32)와 컨넥터(41)를 비접속한다. 컨넥터(33)와 컨넥터(42)를 접속한 경우에는 멀티롬라이터(1)의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와 대상장치(4)의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가 접속되게 된다.
이하에서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4)를 접속하는 케이블(3)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상장치(4)에는 여러가지의 종별이 있으며 그 컨넥터(41, 42)의 형상이 반드시 동일한 것이 아니다. 또 컨넥터형상이 동일하더라도 핀배치는 동일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대상장치(4)의 종별마다 전용의 케이블(3)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3)에는 단지 멀티롬라이터(1)와 대상장치(4)를 접속하는 것만이 아니고 컨넥터형상의 차이나 핀배치의 상위 등을 흡수하는 작용이 있다.
도6(a) 및 도6(b)는 케이블(3)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는 컨넥터(13)의 핀배치를 p1에서부터 차례로 GND, +34V, +24V, 장치A-동기신호, 장치B-동기신호, 장치A,B-송신신호, 장치C-송신신호, 장치A,B-수신신호, 장치C-수신신호로 한다.
이 경우 장치A(대상장치(4)의 일종)용의 케이블(3-A)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측의 컨넥터(32-A)의 핀배치가 p'1에서부터 차례로 GND, +34V, 장치A-동기신호, 장치A,B-송신신호, 장치A,B-수신신호로 되도록 컨넥터(31-A)와의 사이의배선이 구성되어 있다.
또 장치B용의 케이블(3-B)는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측의 컨넥터 (32-B)의 핀배치가 p"1에서부터 차례로 GND, +24V, 장치B-동기신호, 장치A,B-송신신호, 장치A,B-수신신호로 되도록 컨넥터(31-B)와의 사이의 배선이 구성되어 있다.
도6(a) 및 도6(b)에서는 케이블(3) 중 시리얼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전송하는 부분만을 나타냈지만, 플래시메모리의 기입에 필요한 부분도 같은 구성으로 된다. 단, 이 경우의 배선은 컨넥터(31)와 컨넥터(33)의 사이에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은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8 및 도9는 멀티롬라이터(1)의 동작중에 표시부(11)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멀티롬라이터(1)는 전원의 투입에 의해 동작을 개시하고, 먼저 표시부(11)에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체정보를 표시한다(스텝501). 이어서 PC카드슬롯(14)에 삽입되어 있는 PC카드(2)의 인증을 행한다(스텝502). 이 때 표시부(11)에는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PC카드(2)의 인증중인 뜻을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PC카드슬롯(14)에 PC카드(2)가 삽입되어 있지 않거나 삽입되어 있더라도 멀티롬라이터(1)에 적응하지 않는 부정한 것인 경우에는 인증은 NG로 되고(스텝503에서 NO), 표시부(11)에 도8(c)에 나타낸 바와 같은 NG표시를 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PC카드슬롯(14)에 삽입되어 있는 PC카드(2)가 정당한 것인 경우에는 인증은 OK로 되고(스텝503에서 YES), 표시부(11)에 도8(d)에 나타낸 바와 같은 OK표시를 행하고 이어서 표시부(11)에 도8(e)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스워드입력표시를 표시하고, 패스워드의 입력을 촉구한다. 또한 조작키(12)에 의해 패스워드가 입력된 때에는 표시부(11)에는 도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된 패스워드를 「*」로 표시한다.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멀티롬라이터(1)는 당해 패스워드의 인증을 행한다(스텝504). 인증의 결과 입력된 패스워드가 부정한 것인 경우에는(스텝505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표시부(11)의 표시는 도8(f)에 나타낸 상태인 그대로이므로 패스워드의 재입력에는 한 번 멀티롬라이터(1)의 전원을 차단한 후에 재투입하여 스텝501로부터 처리를 재개한다.
또 인증의 결과 입력된 패스워드가 정당한 것인 경우에는 CPU(100)가 PC카드(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독출하여(스텝506) 표시부(11)에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뉴를 표시한다(스텝507). 메뉴의 표시는 PC카드(2)에 기억되어 있는 메뉴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표시부(11)에 메뉴를 표시하면 조작키(12)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지시를 기다리고(스텝508에서 NO), 프로그램의 실행이 지시되면(스텝508에서 YES), 지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스텝509), 이 후 멀티롬라이터(1)는 실행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한다.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예를 들면 표시부(11)에 도9(a)에 나타내는 메뉴가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시메모리의 기입이 지시되면 멀티롬라이터(1)는 대상장치(4)에 탑재되어 있는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을 개시한다. 플래시메모리의 기입이 개시되면 표시부(11)에는 도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입이 정상으로 종료하였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고,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이 실패하면 표시부(11)에 도9(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입이 실패하였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대상장치의 구체적인 예로 자동판매기에 베설되는 경화처리장치를 들고 멀티롬라이터(1)에 의한 경화처리장치에 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경화처리장치를 대상장치로 설명하지만, 자동판매기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외에 지폐처리장치나 전자화폐 등을 취급하는 카드처리장치, 자동판매기 자체의 주제어부 등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하고 있는 장치는 전부 대상장치로 한다.
그런데 경화처리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고, 이 자동판매기를 제어하는 자동판매기제어부와의 사이에서 시리얼통신을 행하여 투입된 경화의 수입이나 거스름돈의 불출 등을 행하고 있다.
도10은 자동판매기내에서의 경화처리장치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내에는 당해 자동판매기의 전체를 제어하는 자동판매기제어부(5)와 경화처리장치(6)가 배설되어 있고, 양자는 컨넥터 (51)와 컨넥터(61)에 의해 접속되고, 그 사이에서 시리얼통신을 행하고 있다. 또 경화처리장치(6)는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하고 있고, 이 플래시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어터 등을 바꿔쓰기할 때 이용하는 컨넥터(62)가 배설되어 있다.
경화처리장치(6)의 플래시메모리에는 이 경화처리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투입된 경화의 종별이나 정위를 식별할 때의 식별레벨 등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경화처리장치(6)의 플래시메모리의 기억내용의 바꿔쓰기는 멀티롬라이터(1)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이 때의 멀티롬라이터(1)와 경화처리장치(6)의 접속예를 도11(a) 및 도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경화처리장치(6)의 플래시메모리의 기억내용 중 프로그램을 바꿔쓰기하는 경우에는 도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7)의 컨넥터(71)와 멀티롬라이터(1)의 컨넥터(13)를 접속하는 동시에 컨넥터(72)와 컨넥터(51), 컨넥터(74)와 컨넥터(62)를 접속한다. 더구나 케이블(7)의 컨넥터(73)는 멀티롬라이터(1)와 경화처리장치 (6)의 사이에서 시리얼통신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컨넥터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컨넥터(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와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의 양자를 케이블(7)과 접속하는 컨넥터이지만, 케이블(7)은 컨넥터(72) 및 컨넥터(73)가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회로(101)와 접속되고, 컨넥터 (74)가 플래시메모리 기입회로(102)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7)의 구성은 상술한 케이블(3)의 구성과 같은 모양이다.
또 경화처리장치(6)의 플래시메모리의 기억내용 중 데이터를 바꿔쓰기하는 경우에는 도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7)의 컨넥터(71)와 멀티롬라이터(1)의 컨넥터(13)를 접속하는 동시에 컨넥터(72)와 컨넥터(51), 컨넥터(73)와 컨넥터 (73)와 컨넥터(61), 컨넥터(74)와 컨넥터(62)를 접속한다.
다음에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멀티롬라이터(1)에 의한 경화처리장치(6)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바꿔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 내지 도14는 프로그램이나 데어터의 바꿔쓰기처리에 대한 멀티롬라이터 (1)의 표시부(11)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경화처리장치(6)의 프로그램이나 데어터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행하려고 하는 처리에 따라 멀티롬라이터(1)와 경화처리장치(6)를 상술한 도11(a) 또는 도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한다. 그리고 멀티롬라이터(1)에 경화처리장치(6)에 대응하는 PC카드(2)를 삽입하고, 멀티롬라이터(1)의 전원을 투입한다. 멀티롬라이터(1)의 전원을 투입하면 상술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요령으로 경화처리장치(6)에 대응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표시부(11)에는 도1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뉴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경화처리장치(6)의 프로그램을 바꿔쓰기위해 플래시메모리의 기입을 지시하면 멀티롬라이터(1)는 플래시메모리의 기입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표시부(11)에 도1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입실행의 지시를 촉구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 경우에는 멀티롬라이터(1)와 경화처리장치(6) 사이의 접속은 도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한다.
이 상태에서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개시가 지시되면 멀티롬라인터(1)는 경화처리장치(6)에 탑재되어 있는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을 개시한다. 플래시메모리의기입이 개시되면 표시부(11)에는 도12(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입중인 뜻을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 후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이 정상으로 종료하면 표시부(11)에 도12(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입이 정상으로 종료하였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고,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이 실패하면 표시부(11)에 도12(e)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입이 실패하였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
또 표시부(11)에 도12(a)에 나타내는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인 (코인평가레벨의 조정)을 선택하면 멀티롬라이터(1)는 코인평가레벨의 조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멀티롬라이터(1)와 경화처리장치(6) 사이의 접속은 도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한다.
코인평가레벨의 조정이라 함은 코인의 특징을 검출하는 각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이 환경에 의해 변화한 것에 대한 조정이고, 정화를 복수회 투입하므로써 각 센서의 출력의 보정 또는 트레숄드값의 변경 등을 행하는 처리이다.
코인평가레벨의 조정을 행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멀티롬라이터(1)는 조정처리를 개시하고, 표시부에 도1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정처리의 개시의 지시를 촉구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 상태에서 조정처리의 개시가 지시되면 멀티롬라이터 (1)는 조정처리를 개시한다. 조정처리가 개시되면 표시부(11)에는 도1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정처리중인 뜻을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지고, 경화처리장치(5)에 경화가 투입되면 표시부(11)에는 도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금종과 나머지투입매수(레벨조정에 필요한 투입회수의 나머지)가 표시된다.
그 후 코인의 투입매수(회수)가 소정의 값에 도달하면 멀티롬라이터(1)는 조정결과를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고, 그 때에 표시부(11)에 도13(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를 행한다.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이 정상으로 종료하면 표시부(11)에 도13(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정이 정상으로 종료하였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고,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이 실패하면 표시부(11)에 도13(f)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정이 실패하였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
더구나 멀티롬라이터(1)는 플래시메모리로의 기입을 동반하지 않는 처리, 예를 들면 경화처리장치(6)의 내부전압의 측정, 표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컨넥터(73)와 컨넥터(61)를 접속하고, 컨넥터(74)와 컨넥터(62)를 비접속한다.
경화처리장치(6)의 내부전압의 측정,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1)에 도12(a)에 나타내는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압(내부전압의 표시)를 선택하고, 이것에 의해 멀티롬라이터(1)는 내부전압의 표시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내부전압의 표시를 행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멀티롬라이터(1)는 표시처리를 개시하고, 표시부(11)에 도1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처리의 개시의 지시를 촉구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 상태에서 표시처리의 개시가 지시되면 멀티롬라이터 (1)는 표시처리를 개시한다. 표시처리가 개시되면 표시부(11)에는 도1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처리중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지고, 경화처리장치(6)의 내부전압을 취득하면 그 전압을 도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1)에 표시한다.
더구나 상술한 설명에서는 멀티롬라이터(1)에 접속된 대상장치(경화처리장치 (5) 등)의 종별확인을 행하고 있지 않지만, 프로그램의 실행전에 대상장치의 종별을 확인하는 것 등도 당해 프로그램의 변경 등에 의해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술한 설명에서는 멀티롬라이터(1)를 사용하는 대상장치로 경화처리장치만을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여러가지 장치를 대상장치로 할 수 있다. 특히 자동판매기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지폐처리장치나 전자화폐 등을 취급하는 카드처리장치, 자동판매기 자체의 주제어부 등을 대상장치로 할 수 있고, 지폐의 정위판별레벨의 조정이나 새로운 수입종별의 추가, 카드의 포맷의 변환으로의 대응, 프로모션을 위한 추첨선택기능의 추가 등 다양한 조정이나 기능변경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꿔쓰기의 대상이 되는 플래시메모리에 대응한 프로그램이나 데어터를 PC카드 등의 기억매체로부터 독출하고, 이 독출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종류가 다른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각 종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하는 여러 종류의 대상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이 대상장치가 탑재하는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멀티롬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의 플래시메모리에 대응한 바꿔쓰기프로그램 및 이 플래시메모리에 대하여 기입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매체와,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바꿔쓰기프로그램 및 상기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수단과,
    상기 독출수단에 의해 독출된 바꿔쓰기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플래시메모리로의 데이터의 송신, 상기 플래시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 복수의 전압으로부터 선택된 전압을 변환출력하는 출력전압변환을 제어하여 상기 독출수단에서 독출한 정보에 따라 이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와의 접속은 복수 종류의 케이블로부터 상기 대상장치에 대응하여 선택된 소정의 컨넥터형상 및 핀배치를 가지는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는 PC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조건을 포함하는 설정정보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상태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이 취득한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상태 및 상기독출수단에서 독출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8. 제1항에서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제어장치, 경화처리장치, 지폐처리장치, 카드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경화처리장치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식별레벨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식별레벨 및 상기 경화처리장치에 투입된 경화의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레벨을 갱신하고, 이 갱신한 식별레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지폐처리장치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지폐처리장치의 식별레벨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식별레벨 및 상기 지폐처리장치에 투입된 지폐의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레벨을 갱신하고, 이 갱신한 식별레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
  11. 각종 플래시메모리를 탑재하는 여러 종류의 대상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이 대상장치가 탑재하는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의 플래시메모리에 대응한 바꿔쓰기프로그램 및 이 플래시메모리에 대하여 기입정보를 기억매체로부터 독출하고, 이 독출한 바꿔스기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플래시메모리로의 데이터의 송신, 상기 플래시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 복수의 전압으로부터 선택된 전압을 변환출력하는 출력전압변환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와의 접속은 복수 종류의 케이블로부터 상기 대상장치에 대응하여 선택된 소정의 컨넥터형상 및 핀배치를 가지는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는 PC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재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이고, 이 제어프로그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조건을 포함하는 설정정보이고, 이 설정정보를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이 통신에 의해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상태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의해 취득한 상기 대상장치의 동작상태 및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독출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래시메모리의 바꿔스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서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제어장치, 경화처리장치, 지폐처리장치, 카드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경화처리장치이고,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식별레벨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식별레벨 및 상기 경화처리장치에 투입된 경화의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레벨을 갱신하고, 이 갱신한 식별레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장치는 자동판매기내에 배설되는 지폐처리장치이고, 상기 통신에 의해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식별레벨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식별레벨 및 상기 지폐처리장치에 삽입된 지폐의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레벨을 갱신하고, 이 갱신한 식별레벨을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롬라이터의 제어방법.
KR10-2000-0080486A 1999-12-22 2000-12-22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74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5169/1999 1999-12-22
JP36516899A JP2001184887A (ja) 1999-12-22 1999-12-22 マルチromライ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6517099A JP3943784B2 (ja) 1999-12-22 1999-12-22 自動販売機の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365170/1999 1999-12-22
JP36516999A JP2001184547A (ja) 1999-12-22 1999-12-22 自動販売機のプログラム更新装置および方法
JP365168/1999 1999-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343A KR20010070343A (ko) 2001-07-25
KR100374198B1 true KR100374198B1 (ko) 2003-03-04

Family

ID=2734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4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4198B1 (ko) 1999-12-22 2000-12-22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51877B2 (ko)
KR (1) KR100374198B1 (ko)
DE (1) DE10064060A1 (ko)
GB (1) GB23660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5582B2 (en) * 1999-11-17 2014-02-04 I/O Controls Corporation Network node with plug-in identification module
US6732202B1 (en) * 1999-11-17 2004-05-04 I/O Controls Corporation Network node with plug-in identification module
US8862452B2 (en) * 2001-02-14 2014-10-14 Xio, Inc. Control system simulator and simplified interconnection control system
US7822896B1 (en) 2001-02-14 2010-10-26 Berkeley Process Control, Inc. Electronically configurable connector module
US7216191B2 (en) * 2001-02-14 2007-05-08 Berkeley Process Control, Inc. System for programmed control of signal input and output to and from cable conductors
TW200516395A (en) * 2003-11-12 2005-05-16 Power Data Comm Co Ltd The memory card control chip with multiple control
DE102005017298B4 (de) * 2005-04-14 2010-06-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reiben eines Ablaufsprogramms in eine Speichervorrichtung einer programmgesteuerten Steuervorrichtung
US7954149B2 (en) * 2007-03-20 2011-05-3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the apparat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7099A (ja) * 1985-06-14 1986-12-17 Oki Electric Ind Co Ltd Romカ−トリツジの再書き込み装置
JPS623489A (ja) * 1985-06-28 1987-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Rom全自動書込装置
JPH02302996A (ja) * 1989-05-17 1990-12-14 Nec Eng Ltd Ep―rom書込み装置
KR910001528U (ko) * 1989-06-17 1991-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의 범용 롬 라이터 회로
KR910014647U (ko) * 1990-01-31 1991-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롬 기록장치
JPH03245399A (ja) * 1990-02-23 1991-10-31 Nec Corp Rom書込み装置
KR19990026188A (ko) * 1997-09-23 1999-04-15 윤종용 플래시 롬 라이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618A (en) 1974-11-29 1976-07-13 Xerox Corporation On line PROM handling system
US4417450A (en) 1980-10-17 1983-11-29 The Coca-Cola Company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vending machines
JPS60140597A (ja) 1983-12-28 1985-07-25 Giichi Kuze Epromプログラマ−
JPH0193886A (ja) 1987-10-05 1989-04-12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データ設定装置
JPH01292556A (ja) 1988-05-20 1989-11-24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プログラムローディング装置
JPH03248123A (ja) 1990-02-26 1991-11-06 Toshiba Corp 液晶表示器の駆動方法
JPH04291489A (ja) 1991-03-19 1992-10-15 Sharp Corp 自動販売機における主制御装置
JPH05233914A (ja) 1992-02-21 1993-09-10 Sanyo Electric Co Ltd 硬貨選別装置
US5687345A (en) 1992-03-17 1997-11-11 Hitachi, Ltd. Microcomputer having CPU and built-in flash memory that is rewritable under control of the CPU analyzing a command supplied from an external device
JP3745372B2 (ja) 1994-05-13 2006-02-15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分散処理装置
US5781444A (en) 1994-05-13 1998-07-14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Distributed processing unit connectable to external processing means
US5500517A (en) 1994-09-02 1996-03-19 Gemplus Card Internatio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between stand alone integrated circuit smart card terminal and remote computer of system operator
JPH0962910A (ja) 1995-08-30 1997-03-07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携帯用データ入出力装置及びデータ保護用キー情報設定方式
JPH09128605A (ja) 1995-11-02 1997-05-16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メインボックス,携帯端末及びそれらを用いた自動販売機制御プログラム書換方式
GB2352374B (en) 1995-12-29 2001-02-28 Wyse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windowing application programs on a terminal
JP3753779B2 (ja) 1996-03-04 2006-03-08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幣選別機
US6275911B1 (en) * 1996-09-20 2001-08-14 Denso Corporation Memory writing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JP3934714B2 (ja) 1996-10-31 2007-06-20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幣鑑別装置
KR100213102B1 (ko) 1997-04-11 1999-08-02 윤종용 피씨카드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의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JP2001188686A (ja) 1999-10-22 2001-07-10 Sony Corp データ書換装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7099A (ja) * 1985-06-14 1986-12-17 Oki Electric Ind Co Ltd Romカ−トリツジの再書き込み装置
JPS623489A (ja) * 1985-06-28 1987-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Rom全自動書込装置
JPH02302996A (ja) * 1989-05-17 1990-12-14 Nec Eng Ltd Ep―rom書込み装置
KR910001528U (ko) * 1989-06-17 1991-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의 범용 롬 라이터 회로
KR910014647U (ko) * 1990-01-31 1991-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롬 기록장치
JPH03245399A (ja) * 1990-02-23 1991-10-31 Nec Corp Rom書込み装置
KR19990026188A (ko) * 1997-09-23 1999-04-15 윤종용 플래시 롬 라이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66017B (en) 2002-09-25
GB2366017A (en) 2002-02-27
GB0030397D0 (en) 2001-01-24
KR20010070343A (ko) 2001-07-25
US20010007534A1 (en) 2001-07-12
DE10064060A1 (de) 2001-06-28
US6651877B2 (en) 200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8016C (en)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use in configuring a bathing unit controller
EP18926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of software and/or collecting of operational data in a machine unit
KR100374198B1 (ko) 멀티롬라이터 및 그 제어방법
KR920006627A (ko) 차량용 전자제어기를 프로그램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장치 및 프로그래밍 방법
US20080178170A1 (en) Electronic apparatus, printer, program, and consumable
KR20080094007A (ko) 순차 액세스 메모리
US20080109800A1 (en) Intelligent transmitter and software update method for same
CN101794170A (zh) 用于确定设备的真实电特性的系统
JP3943784B2 (ja) 自動販売機の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2001184547A (ja) 自動販売機のプログラム更新装置および方法
AU2005209701B2 (en) Information process device
JP3796837B2 (ja) 電子装置のメモリ書込装置
CN116578324A (zh) 基于ate设备的多板卡fpga升级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0830306B1 (ko) 유기기
JP2001184887A (ja) マルチromライ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496753B1 (en)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5473391B2 (ja) 保護制御装置
CN113721932B (zh) 一种自动售货机软件的在线部署方法
CN115871457A (zh) 车辆外置仪表系统、车辆仪表及其功能扩展器
JP7244082B2 (ja) 遠隔管理システム
US20060075215A1 (en) Configurable BIOS strings
JPH1114937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57703A (ja) 検証データ表示方法
JP332109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周辺装置
JP4943665B2 (ja) 遊技機および遊技用情報の認証取込装置並びに遊技用情報の取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