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3926B1 - 고분자량 폴리아닐린의 신속 합성 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량 폴리아닐린의 신속 합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926B1
KR100373926B1 KR10-2000-0055318A KR20000055318A KR100373926B1 KR 100373926 B1 KR100373926 B1 KR 100373926B1 KR 20000055318 A KR20000055318 A KR 20000055318A KR 100373926 B1 KR100373926 B1 KR 10037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niline
filtered
stirred
hydrochloric acid
so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509A (ko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스마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9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9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06Polyalkylene(poly)amines
    • C08G73/0213Preparatory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6Wholly aromatic polyamines
    • C08G73/0266Polyanilin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폴리아닐린의 합성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닐린의 합성에 있어서 염화리튬 등의 빙점강하제를 사용하지 않고 인산을 사용하여 고분자량의 폴리아닐린(Mw=200,000 이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아닐린의 합성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하던 강산인 염산과 황산 대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약산인 인산을 사용하였고 반응시간 단축을 위하여 촉매제로 염화리튬, 염화철(Ⅲ) 등의 염을 소량 사용하였고, 합성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5시간 이내 단축하여 고분자량의 폴리아닐린을 합성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고분자량 폴리아닐린의 신속 합성 방법{Rapid Synthesis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aniline}
본 발명은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아닐린의 신속합성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닐린의 합성에 있어서 염화리튬 등의 빙점강하제를 사용하지 않고 인산을 사용하여 고분자량의 폴리아닐린(Mw=200,000 이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초의 폴리아닐린의 합성에 관한 보고는 1826년 Unverdorber에 의해 인디고(indigo)를 건식 증류한 것이다. 그후 여러 가지 합성법이 보고되어져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합성법은 염산과 황산 등의 강산성 수용액에서 산화제를 사용하여 아닐린 단량체(monomer)를 중합하여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0℃에서 합성한 폴리아닐린의 경우 분자량(Mw=53,000)이 낮아 기계적 성질이 매우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0℃이하의 온도에서 합성하고자 할 때에는 산 용액이 얼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Mattoso 등의 연구(Synth. Metal 1994, 68, 1)에는 고분자량(Mw=440,000)의 폴리아닐린의 합성의 경우 1M염산 용액에 빙점강하제로 염화리튬을 가하여 5.8M염/염산수용액이 되게 하고, -40℃에서 산화제인 (NH4)2S2O8을 가하여 48시간동안 반응시키는 것으로 반응시간이 매우 길고 고가의 염화리튬을 사용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기존의 폴리아닐린의 합성법은 Mw=200,000 이상 가지는 고분자량의 경우 매우 낮은 온도에서 장시간 반응시켜야하고, 0℃ 근처의 낮은 온도에서 합성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합성은 가능하지만 분자량이 적어 가공 후 폴리아닐린의 기계적 성질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폴리아닐린의 합성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하던 강산인 염산과 황산 대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약산인 인산을 사용하였다. 이산은 수분함량에 따라 -80℃이하에서도 얼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빙점강하제를 첨가하지 않고 -80℃이하의 온도에서도 폴리아닐린의 합성이 가능하게된다. 또한 합성시 폴리아닐린의 분자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산화제를 한방울씩 서서히 가하면서 분자량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며, 또한 반응시간 단축을 위하여 촉매제로 염화리튬, 염화철(Ⅲ) 등의 염을 소량 사용하였고, 합성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5시간 이내 단축하여 고분자량의 폴리아닐린을 합성하는 특징이 있다.
도1은 인산수용액에서 합성한 시료의 X-선 회절도이다. 기존의 폴리아닐린 시료와 비교하여 결정도가 매우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도2는 인산수용액의 상평형도이다. 인산의 조성이 약 63%에서 빙점이 최저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빙점강하제를 사용하지 않고 인산의 수분 함량에 따라 합성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산은 아닐린의 질소자리에 결합하여 반응속도를 서서히 조절하여줌으로서 보다 고분자량의 폴리아닐린을 합성할 수 있고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때 얻어진 폴리아닐린은 1M염산 수용액에서 합성한 시료보다도 더 큰 결정성을 가지는 특질이 있다. 도2는 인산의 상평형도 이다. 인산의 양이 증가하고 수분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빙점은 급격히 떨어지고 약 63w%에서는 빙점이 -80℃이하를 나타냄으로 인산을 사용하여서는 -80℃까지 폴리아닐린의 합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비교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합성법에 의한 폴리아닐린의 분자량은 표1에서 보는 봐와 같다. 표1에 수록된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분석 결과에서 인산을 이용하면 손쉽게 고분자량의 폴리아닐린을 합성 할 수 있다.
실시 예1.상온에서 1M 염산수용액을 이용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염산 600ml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 염산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합성시간 6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Buchner funnel)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1-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염산 600ml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 염산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간 산화제를 넣어준다. 산화제를 전부 가한 후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간 6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1-2)을 합성하였다.
실시 예2.0℃에서 1M 염산수용액을 이용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염산 600ml에 녹여 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 염산에 녹여 0℃을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합성시간 9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2-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염산 600ml에 녹여 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 염산에 녹여 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간 산화제를 넣어준다. 산화제를 전부 가한 후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간 9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2-2)을 합성하였다.
실시 예3.-10℃, 염산수용액 하에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염산 600ml에 녹이고 빙점 강하제로 LiCl 5.8M을 가하여 녹인 후 -10℃를 유지하였다.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 염산에 녹이고 빙점강하제 LiCl 5.8M을 녹여 -1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10℃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 교반하여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계속해서 -10℃를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한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3-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염산 600ml에 녹이고 빙점 강하제로 LiCl 5.8M을 가하여 녹인 후 -10℃를 유지하였다.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 염산에 녹이고 빙점강하제 LiCl 5.8M을 녹여 -1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10℃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 교반하여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계속해서 -10℃를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한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3-2)을 합성 하였다.
실시 예4.상온에서 황산수용액을 이용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황산 600ml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의 황산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합성시간 6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4-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황산 600ml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의 황산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간 산화제를 넣어준다. 산화제를 전부 가한 후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간 6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4-2)을 합성하였다.
실시 예5.0℃에서 황산수용액을 이용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황산 600ml에 녹여 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의 황산에 녹여 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합성시간 9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5-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황산 600ml에 녹여 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의 황산에 녹여 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간 산화제를 넣어준다. 산화제를 전부 가한 후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간 9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5-2)을 합성하였다.
실시 예6.-10℃, 황산수용액 하에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황산 600ml에 녹이고 빙점강하제 LiCl 5.8M을 가하여 녹인 후 -10℃를 유지하였다.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 황산에 녹이고 빙점 강하제 LiCl 5.8M을 녹여 -1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10℃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 교반하여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계속해서 -10℃를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한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6-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M의 황산 600ml에 녹이고 빙점강하제 LiCl 5.8M을 가하여 녹인 후 -10℃를 유지하였다.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1M 황산에 녹이고 빙점 강하제 LiCl 5.8M을 녹여 -1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10℃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 교반하여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계속해서 -10℃를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한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6-2)을 합성하였다.
실시 예7.상온에서 인산수용액을 이용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62.7%의 인산 600ml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62.7%의 인산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합성시간 9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7-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62.7%의 인산 600ml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62.7%의 인산에 녹여 실온을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간 산화제를 넣어준다. 산화제를 전부 가한 후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간 9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 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7-2)을 합성하였다.
실시 예8.0℃에서 인산수용액을 이용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62.7%의 인산 600ml에 녹여 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62.7%의 인산에 녹여 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합성시간 18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8-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62.7%의 인산 600ml에 녹여 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62.7%의 인산에 녹여 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젓개로 저어주며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간 산화제를 넣어준다. 산화제를 전부 가한 후 반응물을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간 18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8-2)을 합성하였다.
실시 예9.-10℃, 인산수용액 하에서 폴리아닐린 합성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62.7%의 인산 600ml에 녹여 -1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62.7%의 인산에 녹여 -1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10℃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 교반하여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계속해서 -10℃를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한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9-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62.7%의 인산 600ml에 녹여 -1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400ml의 62.7%의 인산에 녹여 -10℃를 유지하였다. 두 용액의 온도가 -10℃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 교반하여 한방울씩 가하여 100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계속해서 -10℃를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한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9-2)을 합성하였다.
실시 예10.-10℃, 인산수용액 하에서 폴리아닐린 합성
(촉매제로 소량의 염화리튬 첨가)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의 염화리튬을 첨가한 62.7%의 인산 600ml에 녹여 -1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1%의 염화리튬을 첨가한 400ml의 62.7%의 인산에 녹여 -10℃를 유지한다. 용액의 온도가 -10℃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 교반하여 2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계속해서 교반하며 -10℃를 유지하면서 5시간 반응하여 합성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한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10-1)을 합성하였다.
40ml(0.22mol)의 정제한 아닐린을 1%의 염화리튬을 첨가한 62.7%의 인산 600ml에 녹여 -10℃를 유지하고 23g의 산화제 (NH4)2S2O8을 1%의 염화리튬을 첨가한 400ml의 62.7%의 인산에 녹여 -10℃를 유지한다. 용액의 온도가 -10℃에 도달하면 산화제가 포함된 용액을 아닐린이 포함된 용액에 자석 교반하여 한방울씩 100분에 걸쳐 산화제를 넣어준다. 반응물을 계속해서 교반하며 -10℃를 유지하면서 5시간 교반하여 합성한다.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침전물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거름종이를 사용하여 1M의 염산 용액으로 여과액이 맑아질 때까지 여과하였다. 걸러진 여과물을 다시 1ℓ의 1M 염산 용액에 넣어 15시간 교반한 후 다시 여과한다. 0.05M의 NH4OH 용액을 넣고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폴리아닐린(시료10-2)을 합성하였다.실시 예11.GPC 분석합성된 폴리아닐린을 0.5% LiCl/NMP (wt/vol) 용액에 녹여서 GPC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이 때 이동상의 유속은 0.8ml/min이고 Styragel HT3, Styragel HT4, Styragel HT6E 컬럼을 사용했으며 컬럼의 온도는 100℃, 검출기의 온도는 50℃이고 기준물질로 Polystyrene을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인산수용액을 사용하여 손쉽게 고분자량의 폴리아닐린을 합성함으로서 빠른 시간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폴리아닐린을 합성할 수 있다.

Claims (4)

  1. 빙점강하제를 사용하지 않고 -5℃ 이하의 온도에서 인산 함량이 20wt%에서 80wt% 사이의 인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Mw 값이 150,000 이상의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아닐린의 합성방법
  2.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청구항1의 조건에 촉매제로 소량(1wt% 이내)의 염화리튬을 사용하는 방법
  3. 촉매제로 염화리튬 대신에 염화철(Ⅲ) 또는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방법
  4. 삭제
KR10-2000-0055318A 2000-09-20 2000-09-20 고분자량 폴리아닐린의 신속 합성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73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318A KR100373926B1 (ko) 2000-09-20 2000-09-20 고분자량 폴리아닐린의 신속 합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318A KR100373926B1 (ko) 2000-09-20 2000-09-20 고분자량 폴리아닐린의 신속 합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509A KR20020022509A (ko) 2002-03-27
KR100373926B1 true KR100373926B1 (ko) 2003-02-26

Family

ID=1968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3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3926B1 (ko) 2000-09-20 2000-09-20 고분자량 폴리아닐린의 신속 합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84A2 (ko) 2008-01-17 2009-07-23 가용성 전도성 고분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032A (ko) * 1991-10-08 1993-05-20 리챠드 에이지. 쥬브 고유 전도성 중합체 및 열가소성 혼합물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940003986A (ko) * 1992-08-11 1994-03-14 타파니 알호 전도성 플라스틱 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92542A (ja) * 1994-09-27 1996-04-09 Nitto Denko Corp 導電性接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導電性接着テープ
JPH10168329A (ja) * 1993-03-03 1998-06-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水溶性の導電性重合組成物、その生成方法および利用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032A (ko) * 1991-10-08 1993-05-20 리챠드 에이지. 쥬브 고유 전도성 중합체 및 열가소성 혼합물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940003986A (ko) * 1992-08-11 1994-03-14 타파니 알호 전도성 플라스틱 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38809B1 (ko) * 1992-08-11 2000-01-15 티파니 알로 전도성 플라스틱 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JPH10168329A (ja) * 1993-03-03 1998-06-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水溶性の導電性重合組成物、その生成方法および利用方法
JPH0892542A (ja) * 1994-09-27 1996-04-09 Nitto Denko Corp 導電性接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導電性接着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84A2 (ko) 2008-01-17 2009-07-23 가용성 전도성 고분자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509A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ur et al. Synthesis of planar poly (p‐phenylene) derivatives for maximization of extended π‐conjugation
Guiver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xylated polysulfones
Percec et al. Liquid crystal polymers containing macroheterocyclic ligands. 2. Side chain liquid crystal polysiloxanes and polymethacrylates containing 4-(. omega.-alkan-1-yloxy)-4'-(4'-carboxybenzo-15-crown-5) biphenyl side groups
Tsuchida et al. Polymerization of diphenyl disulfide by the SS bond cleavage with a Lewis acid: a novel preparation route to poly (p-phenylene sulfide)
WO2018058816A1 (zh) 一种多噁唑啉基扩链剂的制备方法
CN108484905A (zh) 一种侧链含羧基具有ucst行为的聚类肽及其制备方法
US20150197606A1 (en) Thermosetting resins with enhanced cure characteristics containing organofunctional silane moieties
KR100373926B1 (ko) 고분자량 폴리아닐린의 신속 합성 방법
Yoda Syntheses of polyanhydrides. XII. Crystalline and high melting polyamidepolyanhydride of methylenebis (p‐carboxyphenyl) amide
CN105271887A (zh) 一种保坍型改性萘系减水剂及其制备方法
Oue et al. Synthesis and cation‐binding properties of poly‐and bis (thiacrown ether) s
JPH07304872A (ja) スルホン化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化合物の製造方法
JP7079494B2 (ja) 新規化合物とその合成方法
Itoh et al. Rigid‐rod polymers with polysiloxane side chains. 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rigid‐rod polyimides with polysiloxane side chains and their compatibility with linear polysiloxanes
JPH0215084A (ja) 含フツ素ピロメリット酸無水物及びその製造方法
Bonet et al. Synthesis and crosslinking of polyethers that have mesogenic cores and propargyl groups
Angeloni et al. Chiral liquid‐crystalline side chain polymers by enantioselective modification of prochiral parent polymers
CN106478463A (zh) 一种耐温抗盐单体和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arwade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romatic polyazomethines containing s-triazine rings in the main chain
CN1085660C (zh) 一种烯丙基磺酸钠单体的制备方法
Neuse et al. Carboranylene-bridged poly (benzimidazole)
US5710241A (en) Monoanhydride compounds, method of making same and reaction products thereof
KR100507765B1 (ko) 수팽윤성 양쪽성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금속이온 회수법
Hagen et al. Chemical modification of polystyrene: Introduction of sulfinate and sulfone functionalities
Hongl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lock copolymers having liquid crystalline behavio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