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3597B1 -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597B1
KR100373597B1 KR10-2000-0058833A KR20000058833A KR100373597B1 KR 100373597 B1 KR100373597 B1 KR 100373597B1 KR 20000058833 A KR20000058833 A KR 20000058833A KR 100373597 B1 KR100373597 B1 KR 10037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onnector
contact
hous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019A (ko
Inventor
오사무 하시구찌
간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549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58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060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56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99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5934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5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12)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편(13)으로 박판형 물체(11)를 가압 접촉시키는 회전식 엑추에이터(14)를 가지는 커넥터에서, 회전식 액추에이터는 박판형 물체에 평행하고 회전식 액추에이터의 샤프트부(22)의 중심축에 직각인 예정된 방향으로 접촉편을 결합한다. 샤프트부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접촉편은 박판형 물체의 한쪽 표면과 마주보고 있는 접촉부(15)와 박판형 물체의 다른쪽 표면과 마주보고 있는 지지부(16)를 가진다. 액추에이터는 샤프트부에 완전히 접속되어 있고 지지부와 박판형 물체 사이에 위치한 캠부(21)를 가진다. 지지부는 예정된 방향으로 캠부를 지지부에 결합하기 위하여 캠부를 수용하는 리세스(17)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 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본 발명은 가요성 평판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및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와 같은 박판형 물체를 접촉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 형태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번호 H09-35828 및 H09-92411에 의해 공지되었다. 상기 일반적인 커넥터는 FFC 또는 FPC와 같은 박판형 물체의 한쪽 면과 마주보고 있는 접촉부와 한쪽 면에 반대 쪽인 박판형 물체의 표면과 마주 보고 있는 지지부를 가지는 다수의 접촉편과, 접촉부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 그리고 접촉편의 접촉부를 가지면서 박판형 물체를 가압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부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는 전단부로 부터 하우징내로 삽입되어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캠부를 가진다.
박판형 물체를 접속하기 위하여, 먼저 박판형 물체는 전단부로 부터 접촉편의 접촉부와 액추에이터의 캠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 되어진다. 이때, 접촉편의 접촉부를 가지는 액추에이터의 캠부는 박판형 물체를 가압 접촉하기 위해 회전한다. 따라서, 박판형 물체는 이와 같은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커넥터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를 이하에서는 회전-엑추에이션 커넥터(rotary-actuation connector)라 부른다.
상기 언급된 일반적인 회전-엑추에이션 커넥터에서,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와 하우징의 양 끝단 사이의 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하우징과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액추에이터는 종종 하우징으로 부터 이완 또는 해제 된다.보기로, 접촉편의 접촉부에 의해 접촉된 박판형의 물체에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액추에이터의 캠부는 박판형 물체와 캠부 사이의 마찰에 의해 이 역시 잡아 댕겨 진다. 이 결과,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하우징으로 부터 이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에 접속된 박판형 물체에 인력이 작용하더라도 액추에이터의 해제 위험을 억제할 수 있는 회전-엑추에이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 신뢰성을 가지고 커넥터의 높이 증가가 없으면서 액추에이터의 해제를 방지 할 수 있는 회전-엑추에이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고 신뢰성을 가지면서 쉽게 결합 가능하고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회전-엑추에이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에 의해 더욱 명확해 진다.
본 발명의 관점은, 박판형 물체의 접속에 사용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커넥터는 박판형 물체의 한쪽 면과 마주 보고 있는 접촉부를 가지는 접촉편과, 상기 한쪽 면과 반대쪽 면인 박판형 물체의 다른 쪽면과 마주보고 있는 지지부, 접촉을 유지하는 하우징, 그리고 접촉부를 가지면서 박판형의 물체를 가압 접촉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는 지지부와 박판형 물체 사이에 위치한 캠부 및 캠부에 완전히 접속되고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에 결합된 지지부로 구성된다. 지지부는 캠부와 지지부를 박판형 물체에 평행하고 샤프트부에 중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결합시키게 만들게 하기 위해 캠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를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관점은, 박판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커넥터는 박판형의 물체의 한쪽면과 마주보고 있는 제 1 접촉부와 한쪽면과 반대쪽인 박판형 물체의 다른 쪽면에 마주보고 있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는 제 1 접촉편과, 박판형 물체의 한쪽면과 마주보고 있는 제 2 접촉부와 박판형 물체의 다른 쪽면에 마주보고 있는 제 2 지지부를 가지는 제 2 접촉편, 정해진 피치에서 제 1 제 2 접촉편을 유지하는 하우징, 그리고 제 1 제 2 접촉부를 가지면서 박판형 물체를 가압 접촉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는 제 1 지지부와 박판형 물체 사이에서 위치하는 제 1 켐부와, 제 2 지지부와 박판형 물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캠부, 그리고 제 1 제 2 캠부와 완전히 접속되고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부로 구성된다. 제 1 지지부는 제 1 캠부와 제 1 지지부를 박판형 물체에 평행하고 샤프트부에 중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결합시키게 만들게 하기 위해 제 1 캠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특징적인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액추에이터가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된 경우에 도 1에서 도시된 커넥터의 특징적인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액추에이터의 결합 상태 동안의 도 1에서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경우에 도 1에서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박판형 물체가 접속된 경우에 도 1에서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제 1 위치에서 도 5에 의해 도시된 커넥터의 절단에 의해 얻어지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액추에이터가 밀폐된 경우에 도 6a와 유사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 2 위치에서 도 5에 의해 도시된 커넥터의 절단에 의해 얻어지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b는 액추에이터가 밀폐된 경우에 도 7a와 유사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방향에서 본 도 6a와 유사한 도이다.
도 9는 도 6a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a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최초 위치에서 커넥터의 절단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경우에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1b는 액추에이터가 밀폐된 경우에 도 11a에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 2 위치에서 얻을 수 있는 도 11a에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12b는 액추에이터가 밀폐상태인 경우에 도 12a에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방향에서 본 도 12a에 유사한 도이다.
도 14a는 도 11a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1b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c는 박판형 물체가 커넥터에 접속된 경우 도 14b에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2a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2b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5c는 박판형 물체가 커넥터에 접속된 경우 도 15b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에 상응하는 저면도이다.
도 17a는 도 16a에서 선 A-A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6a에서 선 B-B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b에 상응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1 : 박판형 물체 12 : 하우징
12b : 측면 장착 플레이트 12c : 상부 플레이트
12d : 제 1 격벽부 13 : 전도성 탄성 접촉편
14 : 액추에이터 15 : 접촉부
16 : 지지부 17 : 리세스
19 : 관통홀 21 : 캠부
22 : 샤프트부 35 : 제 1 접촉부
36 : 제 1 지지부 37 : 제 1 외부 연결 터미널
61 : 제 1 유지부 61a : 제 1 압입부
62 : 플레이트부 63 : 돌출부
64 : 제 2 유지부 64a : 제 2 압입부
65 : 제 1 리셉터클 홀 66 : 제 2 리셉터클 홀
67 : 스토퍼부 71 : 수용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connector) 장치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커넥터는 절연체에 연결되도록 고안된 박판형(sheet-like)의 물체 중의 하나인 FPC(11)를 수용하기 위한 절연체 하우징(insulator housing;12)과, 횡단 방향으로 예정된 피치(pitch)로 하우징(12) 내부에 배열되어 있고 하우징(12)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전도성 탄성 접촉편(conductive elastic contacts;13), 그리고FFC(11)를 접촉편(13)으로 가압하기 위한 절연체 액추에이터(actuator;14)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접촉편(13)은 FPC(11)의 한쪽 면에 향해 있는 두개의 접촉부(15)와 FFC의 한쪽면과 마주 보고 있는 다른쪽 면에 향해있는 접촉부(15)에 완전하게 연결된 지지부(16)을 가진다. 접촉부(15)와 지지부(16)는 상호간에 유지되는 예정된 공간을 가지면서 제 1 방향으로서 수직 하게 서로 향해 있다. 상기 지지부(16)은 접촉부(15)에 향해 있는 위치에서 형성된 리세스(recess;17)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2)은 예정된 공간과 일치하는 FPC 삽입부(18)을 가진다. FPC(11)는 제 2 방향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또는 제 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FPC 삽입부(18)에 삽입 되어진다. 접촉부(15)와 지지부(16)사이의 공간이 FPC(11)의 두께 보다 충분하게 클수록, FPC(11)는 쉽게 삽입되어 진다.
액추에이터(14)는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plate-like)의 부재로 구성되며 접촉편(13)의 지지부(16)에 1대1로 일치하는 관통 홀(through hole;19)를 가진다. 지지부(16)가 홀(19)속으로 삽입 되어지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14)와 하우징(12)은 연결된다. 각 관통 홀(19)는 약간의 간격을 가지면서 지지부(16)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액추에이터(14)와 하우징(12)이 연결되는 경우에, 액추에이터(14)는 지지부(16)의 리세스(17)내에 위치한 수개의 캠부(cam portion;21)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캠부(21)는 두개의 직선에 의해 연결된 두개의 반원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을 가진다. 그러나, 캠 부(21)의 형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4)는 캠 부(21)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부(16)을 결합한다.
나아가, 액추에이터(14)는 양 횡단 끝단에 형성된 샤프트부(shaft portion;22)의 짝을 가진다. 반면, 하우징(12)은 전-후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안내 홈(guide groove;23)의 짝과 안내 홈(23)의 후미 끝단에 연결되어 위쪽으로 뻗어 있는 결합홈(engaging groove;24)의 짝을 가진다. 액추에이터(14)가 결합하는 경우에, 안내 홈(23)은 접촉부(15)와 지지부(16)간의 면적에 캠부(21)를 끼워넣기 위한 샤프트부(22)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각 결합홈(24)은 안내 홈(23)의 상부 벽과 경계가 구분된 벽부(12a)내의 노치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캠부(21)를 지지부(16)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샤프트부(22)를 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샤프트부(22)에 결합된 결합홈(24)과 캠부(21)에 결합된 지지부(16)는 액추에이터(1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3a및 도 3b를 참조하여, 하우징(12)에 대한 엑추에이터(14)의 결합 작동에 관하여 기술한다. 먼저, 액추에이터(14)는 도 3b에서 일점쇄선(dash-and-dot line)에 의해 도시된 하우징(12)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이경우, 액추에이터(14)는 안내 홈(23)에 의해 안내되는 샤프트부(22)와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캠부(21)는 도 3b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접촉편(13)의 접촉부(15)와 지지부(16) 사이의 영역내로 삽입되어 진다. 샤프트부(22)가 안내 홈(23)의 후미 끝단에에 도달 할때, 액추에이터(14)는 샤프트부(22)가 결합홈(24)속으로 삽입되도록 위쪽으로 이동한다. 연속적으로, 캠부(21)는 지지부(16)의 리세스(17)내에 장착되며, 따라서 캠부(21)의 결합 캠 표면(21a)은 제 2 방향의 상부 방향과 전후 방향에서의 지지 부재(16)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가 달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언급된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에 언급된 커넥터의 사용에의한 FPC의 연결에 관하여 기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가 제 1 상태인 개방되는 경우, 캠부(21)는 리세스(17)의 내부에서 눕힌 자세(laid position)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FPC(11)의 두께 보다 더 큰 공간이 접촉편(13)의 접촉부(15)와 캠부(21)사이에서 유지된다. 그리므로, 액추에이터가 제 1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FPC(11)는 하우징(12)의 FPC 삽입부(18)내로 쉽게 삽입된다.
FPC(11)가 FPC 삽입부(18)내로 삽입되어 지는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4)는 도 4a의 제 1 상태로 부터 도 4b의 제 2 상태 까지 회전한다. 이와 같은 결과로, FPC(11)는 눕힌 상태로 부터 직립 상태로 회전된 캠부(21)의 가압상태의 캠 표면(21b)에 의해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FPC(11)는 전기적 접속을 얻기 위하여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부(15)를 가지는 압축 접촉상태에 이르게 된다. 액추에이터(14)가 제 2 상태로서 닫히는 경우, 캠부(21)는 액추에이터(1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힘이 작용될 수 있도록, FFC(11)에 의해 지지부(16)와 접촉부(15) 사이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제 2 상태(닫힌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4)는 이완 방향 다시 말해 제 1 상태로 쉽게 이동하지 못한다.
상기 커넥터에서, 충분한 접촉 힘은 레버lever)의 원리를 응용하여 작은 작동힘으로 부터 보장된다. 그러므로, 적당한 작동성(operability)은 수개의 접촉부가 증가하여도 유지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4)의 캠부(21)는 접촉편(13)의 지지부(16)과 하우징(12)의 결합홈(24)에 의해 위쪽 방향, 왼쪽 방향, 오른쪽 방향의 세 방향의 운동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접촉부가 증가하더라도, 캠부(21)은 FPC(11)와 캠부(21)간의 마찰에 의해 휩쓸리는(swept out)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접촉부의 모든 부분은 신뢰할 수 있게 연결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접촉부가 증가하더라도, 액추에이터(14)는 작은 작동 힘과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작동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조는 크기를 감소시키는 관점에서는 유리하다.
샤프트부(22)가 결합홈(24)에 결합되고 캠부(21)가 접촉편(13)의 지지부(16)의 리세스(17)에 결합됨으로, 액추에이터(14)가 이완 될 수 있는 전방(frontward)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된 FPC(11)에 인력(pull force)이 작용하더라도, 하우징(12)로 부터 액추에이터(14)의 이완(disengagement)의 위험은 감소한다.
도 5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하여 기술한다. 유사 부분은 같은 도면 번호로 지정하여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두번째 실시예의 커넥터에서, 상기 언급된 접촉편(13)은 다수의 제 1 전도성 탄성 접촉편(31)과 제 2 전도성 탄성 접촉편(32)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 1 제 2 탄성 접촉편 (31, 32)은 하우징(12) 내에 고정되며 횡단 방향의 지정된피치(pitch)에서 선택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제 1 제 2 탄성 접촉편 (31, 32)는 지정된 피치에서 횡단 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다.
각각의 제 1 접촉편(31)은 FPC(11)의 한면과 마주보고 있는 제 1 접촉부(35)와 FPC(11)의 상기 한면의 반대편인 다른 면과 마주보고 있는 제 1 지지부(36), 그리고 제 1 지지부(36) 아래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외부 접속 터미널(terminal;37)을 가진다. 제 1 접촉부(35), 제 1 지지부(26), 그리고 제 1 외부 접촉 터미널(37)은 필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촉부(35)와 제 1 지지부(36)는 수직 방향으로 그들 상호간에 의해 유지되는 공간을 가지고 실제적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1 지지부(36)는 제 1 접촉부(35)에 마주 보고 있는 위치에서 형성된 리세스(recess; 38)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제 2 접촉편(32)은 FPC(11)의 한쪽면에 마주보고 있는 제 2 접촉부(45), FPC(11)의 한쪽면과 반대쪽의 면과 마주보고 있는 제 2 지지부, 그리고 후미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외부 접속 터미널(47)을 가진다. 제 2 접촉부(45), 제 2 지지부(46), 그리고 제 2 외부 접속 터미널(47)은 필수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속부(45)는 제 2 지지부(46)로 부터 전방에 위치한다. 각각의 제 1 제 2 외부 접속 터미널 (37, 47)은 커넥터가 회로판(circuit board 도시되지 않았음)위로 장착되는 때 회로판의 회로 패턴(circuit pattern)에 대해 납땜 또는 이에 부합되는 것에 의해 접속되어진다.
액추에이터(14)는 제 1 지지부(36)와 제 2 지지부(46)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캠부(51)와 제 2 캠부(52)를 가진다. 각각의 제 1 캠부(51)는FPC(11)의 다른 면을 가압하기 위한 제 1 가압 캠 표면과 제 1 접촉편(31)의 제 1 지지부분(36)의 리세스(38)에 결합되는 결합 캠 표면을 가지고 있다. 제 1 가압 캠 표면과 결합 캠 표면은 제 1 캠부(51)의 각 원형 방향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배치된다. 액추에이터(14)는 결합 캠 표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through holes;19)을 가지고 있다. 제 1 접촉편(31)의 제 1 지지부(36)는 관통홀(19) 내로 삽입되어 진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4)는 제 1 접촉편(31)의 제 1 지지부(3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된다.
반면, 각각의 제 2 캠부(52)는 FPC(11)의 다른 면을 가압하기 위한 제 2 가압 캠 표면(52a)과 제 2 접촉편(32)의 제 2 지지부(46)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 캠 홈(53)을 가진다. 도 7a와 7b에 도시된 바에 의햐면, 제 2 캠부(52)는 a<b관계를 만족하는 크기 a및 b를 가진다.
상기 언급된 커넥터에서, FPC(11)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접촉부를 가지더라도 FFC(11)의 삽입에 대한 작동성은 우수하다. 나아가, 샤프트부(22)는 결합홈(24)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 1 캠부(51)는 제 1 지지부(36)의 리세스(38)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액추에이터(14)가 이완가능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된 FPC(11)에 인력이 작용하더라도, 하우징(12)로 부터 액추에이터(14)의 이완 위험은 감소한다.
도 11a에서 도 1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와 관련하여 커넥터에 대하여 기술한다. 유사 부분은 같은 도면번호에 의해 지정되며 더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세번째 실시예의 커넥터에서, 액추에이터(14)는 약 100°와 동등하게 선택되어진 오프닝(opening) 각도를 가진다. 각각의 제 1 캠부(51)는 두개의 직선에 의해 연결되는 두개의 반원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을 가진다. 제 1 접촉편(31)의 제 1 지지부(36)는 상기 언급된 형상의 제 1 캠부(51)에 결합되기 쉬운 형상을 가진다. 제 2 접촉부(32)의 제 2 지지부(46)는 본래상태에서 약간 변형된다.
반면, 각각의 제 2 캠부(52)는 제 1 가압 캠부(52a)와 일반적으로 제 2 캠부(52)의 엣지(edge)를 절단하여 형성되며 양방향으로 개방된 L형상의 노치(notch;52b)를 가진다. 노치(52b)가 형성됨으로, 제 2 가압 캠부(52a)의 감소 가압부(reduced pressing portion)의 역할을 하게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가 개방되는 경우, 제 2 지지부(46)는 노치(52b)의 바닥부(52c)에 의해 잠금된다. 도 15b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가 밀폐되는 경우, 제 2 지지부(46)는 제 2 가압 캠부(52a)의 인접부(내부 엣지)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접촉편(32)은 액추에이터(14)를 잠그게 된다.
각각의 제 1 캠부(51)와 제 2 캠부(52)는 접촉편(31)의 제 1 접촉부(35)가 가압되는 곳의 위치에서 FPC(11)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안정하고 신뢰성이 있는 접촉 상태는 FPC(11)와 접촉편 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커넥터에서, FPC(11)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접촉편을 가지더라도 FPC(11)의 삽입에 대한 작동성은 우수하다. 더욱이, 샤프트부(22)는 결합홈(24)에 결합되며 제 1 캠부(51)는 제 1 지지부(36)의 리세스(38)에 결합된다.그러므로, 액추에이터(14)가 이완될 수 있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접속된 FPC(11)에 인력이 작용하더라도, 하우징(12)로 부터 액추에이터(14)의 이완 위험성은 감소한다.
도 16a부터 도 18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기술한다. 유사 부분은 같은 도면 번호에 의해 지정되며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네번째 실시예의 커넥터에서, 각각의 제 1 접촉편(31)은 후미에 형성되고 압입(press fitting;61)에 의해 하우징(12)내에 유지되고 있는 제 1 유지부(holding portion)를 가진다. 제 1 유지부(61)는 하우징(12)에 의해 잠금되어 지도록 유지부로 부터 돌출된 제 1 압입부(61a)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촉편(31)은 제 1 외부 접속 터미널(37)의 부근에서 형성된 플레이트부(62)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부(62)는 납작한 평면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절단하고 휨(bending)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63)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제 2 접촉편(32)는 후미에서 형성되고 압입에 의해 하우징(12)내에 유지되는 제 2 유지부(64)를 가지고 있다. 제 2 유지부(64)는 하우징(12)에 의해 잠금되어 지도록 유지부로 부터 돌출된 제 2 압입부(64a)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2)은 일반적으로 한방향으로 연장된 박스(box)형 이다. 하우징(12)은 측면 장착 플레이트부(12b)와, 상부 플레이트부(12c), 그리고 제 1 격벽부(12d)과 제 2 격벽부(12e)을 가진다. 측면 장착 플레이트부(12b), 상부 플레이트부(12c), 그리고 제 1 격벽부(12d)과 제 2 격벽부(12e)는 제 1 접촉편(31)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제 1 리셉터클 홀(receptacle holes;65)과 제 2 접촉편(32)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제 2 리셉터클 홀(66)을 규정한다. 각각의 제 1 리셉터클 홀(65)와 제 2 리셉터클 홀(66)은 전-후 방향(제 2 방향)으로 하우징(12)내를 관통한다. 각각의 제 1 격벽부(12d)는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부(stoppper portion;67)을 가진다. 스토퍼부(67)는 제 1 접촉편(31)의 상부 방향으로의 운동을 금지시키기 위한 제 1 접촉부의 돌출부(63)에 결합되어 있다.
제 1 외부 접속 터미널(37)은 측면 장착 플레이트부(12b)의 끝단의 절단에 의해 형성된 노치(69)로 부터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 되어 있다. 반면, 제 2 외부 접속 터미널(47)은 측면 장착 플레이트부(12b)의 끝단의 절단에 의해 형성된 노치(69)로 부터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 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홀(65)은 수직 방향쪽으로 크기가 감소된 후미부를 가지고 있다. 제 1 리셉터클 홀(65)의 후미부에서 제 1 접촉편(31)의 제 1 유지부(61)가 위치한다. 제 2 리셉터클 홀(66)은 제 2 접촉편(32)의 제 2 유지부(62)가 위치한 후미부를 가진다.
제 1 접촉편(31)은 정면쪽으로 부터 하우징(12)에 연결 되어 있다. 반면, 제 2 접촉편(32)는 후미쪽으로 부터 하우징(12)에 연결되어 있다. 접촉편이 연결된 후에, 각각의 제 1 접촉편(31)의 돌출부(63)는 스토퍼부(67)에 의해 상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제 1 외부 접속 터미널(37)의 위치적인 정확도를 증가시키며, 그리고 외부 힘이 위쪽 방향으로 작용하여 제 1 외부 접속 터미널(37)이 위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 1 압입부(61a)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63)는 간단한 홈 또는 리세스인 수용부(receiving portion;71)내에 수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수용부(71)는 제 1 리셉터클 홀(65)과 제 2 리셉터클 홀(66)이 서로 통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커넥터에서, 샤프트부(22)는 결합홈(24)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 1 캠부(51)은 제 1 지지부(36)의 리세스(38)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액추에이터(14)가 이완되기 위해 전방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외에, 제 1 접촉편(31)의 상향 운동이 확실히 방지되므로 제 1 지지부(36)의 제 1 캠부(51)와 리세스(38)의 상호 해제는 방지된다. 나아가, 제 1 접촉편(31)의 상향 운동은 제 1 접촉편(31)의 얇은 평면으로 부터 돌출된 돌출부(63)와 하우징(12)의 스토퍼부(67) 사이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그러므로, 수직방향의 커넥터 크기는 증가될 필요가 없다.

Claims (15)

  1. 박판형 물체의 접속에 사용하는 커넥터로서,
    박판형 물체의 한쪽면과 마주보고 있는 접촉부와 상기 한쪽면과 반대 방향인 상기 박판형 물체의 다른 쪽면과 마주보고 있는 지지부를 가지는 접촉편,
    상기 접촉편을 유지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박판형 물체를 상기 접촉부로 가압 접촉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박판형 물체 사이에 위치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와 일체형으로 접속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캠부와 상기 지지부가 상기 박판형 물체와 평행하고 상기 샤프트부의 중심축에 수직한 예정된 방향으로 상기 캠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호 결합되게 만드는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가지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캠부를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접속되며 상기 캠부의 운동이 상기 지지부쪽으로 허용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결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는 제 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상기 박판형 물체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의 이동하여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부와 결합되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내홈의 한쪽 측면 표면을 형성하는 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결함홈은 상기 벽부내에 노치로 형성되는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 하도록 협력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박판형 물체의 반대쪽 표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캠 표면과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결합 캠 표면을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결합 캠 표면에 인접한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커넥터.
  7. 박판형 물체의 접속에 사용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박판형 물체의 한쪽 표면과 마주 보고 있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한쪽 표면에 맞은 편인 상기 박판형 물체의 다른쪽 표면과 마주 보고 있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는 제 1 접촉편,
    상기 박판형 물체의 한쪽 표면과 마주 보고 있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박판형물체의 다른쪽 표면과 마주 보고 있는 제 2 지지부를 가지는 제 2 접촉편,
    예정된 피치로 상기 제 1 제 2 접촉편을 유지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에 의해 상기 박판형 물체를 가압 접촉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박판형 물체 사이에 위치 하는 제 1 캠부,
    상기 제 2 지지부와 상기 박판형 물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캠부,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캠부에 완전히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박판형 물체와 평행하고 상기 샤프트부의 중심축에 수직한 예정된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와 상기 제 1 지지부를 상호 결합되게 만드는 제 1 캠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가지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부는 상기 박판형 물체의 다른쪽 표면을 가압하는 제 1 가압 캠 표면과 상기 제 1 지지부에 결합된 제 1 결합 캠 표면을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결합 캠 표면에 인접한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캠부는 박판형 물체의 다른쪽 표면을 가압하는 제 2 가압 캠 표면과 상기 제 2 지지부를 수용하는 결합 캠 홈을 가지는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는 상기 예정된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변경되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예정된 방향으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 사이에 위치한 중심축을 가지는 커넥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편의 상기 예정된 방향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유지되는 제 1 유지부와 상기 예정된 방향의 또 다른 끝단에 형성된 외부 접속 터미널을 더 가지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터미널이 상기 박판형 물체의 다른쪽 표면의 측면에 위치되는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편이 상기 외부 접속 터미널의 근처에 형성된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박판형 물체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샤프트부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스토퍼부를 가지는 커넥터.
KR10-2000-0058833A 1999-10-06 2000-10-06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Expired - Lifetime KR100373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49599A JP3295808B2 (ja) 1999-10-06 1999-10-06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1999-285495 1999-10-06
JP1999-320609 1999-11-11
JP32060999A JP3435600B2 (ja) 1999-11-11 1999-11-11 板状物用コネクタ
JP2000-119991 2000-04-20
JP2000119991A JP3595934B2 (ja) 2000-04-20 2000-04-20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019A KR20010040019A (ko) 2001-05-15
KR100373597B1 true KR100373597B1 (ko) 2003-02-26

Family

ID=2733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833A Expired - Lifetime KR100373597B1 (ko) 1999-10-06 2000-10-06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31897B1 (ko)
KR (1) KR100373597B1 (ko)
CN (1) CN100472887C (ko)
DE (1) DE10049361A1 (ko)
SG (1) SG96574A1 (ko)
TW (1) TW47709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53B1 (ko) 2003-07-10 2010-12-0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101489492B1 (ko) 2013-08-26 2015-02-0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 케이블 전원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6445B2 (ja)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936596B2 (ja) * 2002-02-04 2007-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2004146271A (ja) * 2002-10-25 2004-05-20 Fci Asia Technology Pte Ltd 複数段式電気コネクタ
KR100514596B1 (ko) * 2003-08-27 2005-09-1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4054741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JP4098287B2 (ja) * 2003-10-03 2008-06-11 山一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KR100832178B1 (ko) 2003-10-16 2008-05-2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평면 회로 커넥터
DE202004011099U1 (de) * 2004-07-13 2005-02-24 Stocko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ergehäuse und Steckverbinder
JP4282014B2 (ja) * 2004-08-03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542525B2 (ja) * 2005-07-07 2010-09-15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672485B2 (ja) * 2005-08-25 2011-04-2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US7134895B1 (en) * 2005-09-03 2006-11-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C board assembly
JP4783096B2 (ja) * 2005-09-08 2011-09-28 山一電機株式会社 可撓性導体用コネクタ
JP4240495B2 (ja) * 2005-09-20 2009-03-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25996B2 (ja) * 2005-09-27 2011-07-13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JP4223525B2 (ja) * 2005-10-27 2009-02-12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US7261589B2 (en) * 2005-11-04 2007-08-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7189104B1 (en) 2005-11-18 2007-03-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2007227302A (ja) * 2006-02-27 2007-09-06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657160B2 (ja) * 2006-06-22 2011-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414961B1 (en) 2006-12-13 2013-04-09 Nanosolar, Inc. Solution deposited transparent conductors
JP4717852B2 (ja) * 2007-03-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625231B2 (en) * 2007-06-29 2009-12-0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Adaptor for cable connector
US7625240B2 (en) * 2007-10-26 2009-12-01 Cisco Technology, Inc. Receptacle connector
US7829678B2 (en) 2007-11-08 2010-11-09 Neogenix Oncology, Inc. Recombinant monoclonal antibodies and corresponding antigens for colon and pancreatic cancers
JP4386129B2 (ja) * 2007-11-27 2009-12-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93786A (ja) * 2008-02-13 2009-08-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Hdmi規格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8530262B2 (en) * 2008-02-28 2013-09-10 Nanosolar, Inc. Roll-to-roll non-vacuum deposition of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JP5018620B2 (ja) * 2008-04-25 2012-09-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0056066A (ja) * 2008-07-29 2010-03-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859261B1 (ja) * 2010-10-20 2012-0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US8177564B1 (en) 2010-12-03 2012-05-1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JP5764426B2 (ja) * 2011-08-10 2015-08-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813411B2 (ja) * 2011-08-10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83670B1 (ja) 2013-10-22 2015-03-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15042B2 (ja) * 2013-12-24 2017-10-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90341B2 (ja) * 2015-01-09 2017-03-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9586B1 (ja) * 2015-08-31 2016-04-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8475865B (zh) 2015-08-31 2020-04-07 日本压着端子制造株式会社 基板连接构造
JP2018097979A (ja) * 2016-12-09 2018-06-2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10165452A (zh) * 2018-02-13 2019-08-23 瀚荃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具有双层端子的软扁平电缆电连接器
USD950498S1 (en) 2018-11-05 2022-05-03 Samtec, Inc. Connector
USD950500S1 (en) 2018-12-17 2022-05-03 Samtec, Inc. Connector
USD951875S1 (en) 2019-10-15 2022-05-17 Samtec, Inc. Connector
USD951202S1 (en) * 2019-12-06 2022-05-10 Samtec, Inc. Connector
USD949798S1 (en) 2019-12-06 2022-04-26 Samtec, In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392A (en) * 1979-09-07 1981-02-24 Amp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clip
GB2120466A (en) * 1982-05-14 1983-11-30 It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GB8810581D0 (en) * 1988-05-05 1988-06-08 Amp Hollan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wire to board applications
JP3029985B2 (ja) 1995-07-14 2000-04-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023442B2 (ja) 1995-09-20 2000-03-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19725966C1 (de) * 1997-06-19 1998-12-17 Harting Kgaa Steckverbinder für Kartenrandmont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53B1 (ko) 2003-07-10 2010-12-0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101489492B1 (ko) 2013-08-26 2015-02-0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 케이블 전원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2887C (zh) 2009-03-25
KR20010040019A (ko) 2001-05-15
CN1291804A (zh) 2001-04-18
US6431897B1 (en) 2002-08-13
TW477092B (en) 2002-02-21
DE10049361A1 (de) 2001-05-17
SG96574A1 (en) 200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597B1 (ko)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KR100504057B1 (ko)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US864143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83304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233662B2 (ja) 電気コネクタ
US744549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member
KR100957666B1 (ko) 케이블 커넥터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JP4291345B2 (ja) 接続装置
US7179107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551535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9158279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2840660B1 (en) Electric connector
JP2002198112A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87677A (ko) 케이블 커넥터
US20050260885A1 (en) Flexible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20110021052A1 (en) Stacked fpc connector
US772237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lidable locking member
US7074074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20140113462A1 (en) Connector
US7390213B2 (en)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US2006005200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435600B2 (ja) 板状物用コネクタ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JP2005122988A (ja) 平形ケーブル用コンタクト、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付き平形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40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