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1429B1 - 대화제어에기초하여의외성넘치는장면전개를실현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대화제어에기초하여의외성넘치는장면전개를실현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429B1
KR100371429B1 KR1019970702563A KR19970702563A KR100371429B1 KR 100371429 B1 KR100371429 B1 KR 100371429B1 KR 1019970702563 A KR1019970702563 A KR 1019970702563A KR 19970702563 A KR19970702563 A KR 19970702563A KR 100371429 B1 KR100371429 B1 KR 10037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lete
video
vob
i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무라세
마사유키 고즈카
가즈히로 쓰가
요시히사 후쿠시마
가즈히코 야마우치
가쓰히코 미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252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714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4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mixed data, i.e.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 제어에 기초하여 의외성 넘치는 장면 전개를 실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를 제공한다. 이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는 오브젝트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열이 기록되는 영역에 체인 재생에 관한 항법 제어를 재생장치에 대하여 지시하는 체인 제어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대응시킨다. 또 오브젝트는 소정 시간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음성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로 되고 데이터 영역 내의 소영역 중 하나(제 1 서브영역)에 기록되지만, 다른 소영역(제 2 서브영역)에는 같은 소영역 내의 데이터를 재생할 때 유효한 것으로서, 오브젝트 재생에 관한 항법 제어를 재생장치에 대하여 지시하는 정보인 서브 제어정보가 기록된다.

Description

대화 제어에 기초하여 의외성 넘치는 장면 전개를 실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 장치와 재생방법{MULTIMEDIA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HIEVING VARIABLE SCENE DEVELOPMENT BASED ON INTERACTIVE CONTROL}
종래의 광디스크의 대표격은 CD(Compact Disc) 및 이것을 동화상용으로 발전시킨 비디오 CD이다. CD는 1시간 정도의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그 애플리케이션은 주로 음악 소프트웨어이다. 이에 반하여 비디오 CD는 1시간 정도의 음성을 포함하는 동화상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그 애플리케이션은 주로 영화 소프트웨어이다. CD 및 비디오 CD는 크기도 적당하고, 또 음질·화질도 양호하기 때문에 음악이나 영화의 애호가에게 광범위하게 친숙해 있었다.
최근의 영상 소프트웨어의 동향을 살펴보면, 후자의 비디오 CD에 있어서 대화식 소프트웨어라는 분류의 애플리케이션이 대두중이다. 대화식 소프트웨어란 광디스크에 저장된 복수의 동화상 정보를 사용자 지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생하거나, 또는 재생 순서를 재생 중에 동적으로 변경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대화식 소프트웨어의 구체예로서는 사용자의 선택 결과에 의해 스토리 진행이 변화되는 멀티 스토리 드라마 등이 있다.
비디오 CD를 예로,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실현하는 광디스크 및 그 재생 장치를 도 1A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비디오 CD인 광디스크의 설명도이다. 도 1A의 비디오 CD에는 멀티 스토리인 추리 드라마(멀티 스토리란 스토리 전개가 다양하다는 의미이다.)인 대화식 소프트웨어가 저장된다.
도 1B는 비디오 CD에 저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도시한다. 본 예의 비디오 CD에는 동화상 1, 동화상 2, 동화상 3, 동화상 4, 동화상 5의 5개의 동화상 디지털 데이터와, 복수의 동화상 재생 순서를 제한하는 복수의 재생 경로 데이터가 저장된다. 동화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열은 디스크의 연속 영역에 저장되지만, 모든 동화상의 디지털 데이터열이 연속 영역에 저장될 필요는 없고, 광디스크의 저장 영역에 각각 이산적으로 저장된다.
도 1A는 각 동화상의 내용과 그 재생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동화상 1은 탐정이 방으로 들어오는 동화상이다. 동화상 2는 방 안의 책상이 클로즈업되어 펜과 안경이 표시된 동화상이다. 동화상 3은 메뉴 영상이고, "「1」안경", "「2」펜"의 라벨 정보를 갖는 메뉴 항목을 2가지 포함하고 있다. 동화상 4는 메뉴 항목 "「1」안경"이 선택된 경우 재생되는 동화상으로서 안경이 클로즈업된다. 동화상 5는 메뉴 항목 "「2」펜"이 선택된 경우 재생되는 동화상으로서 「펜」이 클로즈업된다.
도 1C는 비디오 CD에 저장되는 복수의 재생 경로 데이터를 도시한다. 재생 경로 데이터에는 복수개의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한 개의 재생 순서를 부여하는 타입과, 재생 진행의 분기장소를 전환하는 타입이 있다.
전자의 타입을 플레이 리스트라 하고, 연속 재생하는 복수의 동화상을 지정하며, 그 재생 순서를 지정한다. 또 플레이 리스트는 자신의 재생 종료 후 어느 재생 경로로 분기할지의 재생 경로간의 링크 정보도 포함한다.
후자의 타입은 선택 리스트라 하고, 복수의 재생 경로를 분기장소의 후보로서 포함하며, 메뉴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메뉴 어드레스란 분기장소가 복수로 있다는 의미를 안내하는 메뉴 영상의 기록 어드레스이다. 메뉴 영상은 복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고, 그들의 메뉴 항목의 식별 번호에 분기장소 재생 경로의 식별자를 대응시킨다.
도 1C의 예에서 말하자면, 재생 경로 데이터 1, 재생 경로 데이터 3, 재생 경로 데이터 4는 플레이 리스트이고, 재생 경로 데이터 2는 선택 리스트이다. 또, 각 메뉴 항목의 식별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 패널 상의 수치키에 대응하고, 이 수치키를 누름으로써 대응하는 분기장소로 재생 진행이 전환된다.
다음에, 도 1B에 도시된 비디오 CD가 그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재생 개시가 지시되면 재생 장치는 미리 정해져 있는 연산법에 의해 재생 개시용 재생 경로 데이터의 광디스크 상의 기록 어드레스를 산출한다. 재생 경로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가 산출되면 당해 어드레스로 픽업을 이동시켜 재생 경로 데이터를 광디스크로부터 내부의 메모리로 판독한다. 또, 본 예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플레이 리스트인 재생 경로 데이터(1)가 메모리 상으로 인출되었다고 한다. 재생 경로 데이터(1)가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면, 재생 장치는 재생 경로 데이터(1)에 의해 나타내는 동화상의 재생순서에 따라 재생할 동화상을 결정한다. 결정 후, 그 동화상의 기록 어드레스에 픽업을 이동시켜 동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광디스크로부터 판독한다. 판독한 디지털 데이터에 소정의 신호처리를 시행하여 영상 출력신호와 음성 출력신호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스피커 측으로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를 거쳐 동화상 1이 재생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정이 책상이 있는 방으로 들어오는 장면의 동화상이 수초간 재생된다. 동화상 1의 재생이 완료되면 동화상 2의 재생이 행해지고, 화면에서는 책상이 클로즈업된다. 이 클로즈업에 의해 화면 상에는 펜과 안경이 수초간 나타난다. 재생 경로 데이터에 재생 순서가 기재된 동화상이 모두 재생되면, 저장하고 있는 재생 경로 데이터 1의 링크 정보를 참조하여 광 픽업을 통해 다음의 재생 경로 데이터를 기억하여 판독한다. 판독 후, 재생 경로 1을 폐기하고, 광학적인 판독을 통하여 다음의 재생 경로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로 판독한다. 본 예에서라면, 재생 경로 데이터 1 대신에 재생 경로 데이터 2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예의 경우, 새롭게 저장된 재생 경로 데이터 2가 선택 리스트이기 때문에, 복수의 분기장소를 제시하는 메뉴 영상이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동화상 3이 메뉴로서 표시되고, "「1」안경", "「2」펜"의 메뉴 항목이 사용자에게 나타난다.
사용자가 메뉴 영상을 보고 리모콘 상의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식별번호의수치를 누르면, 재생 장치는 수식에 대응하는 분기 진행장소의 재생 경로 데이터를 결정한다. 계속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선택 리스트인 재생 경로 데이터 2를 파기하고, 결정한 분기장소의 재생경로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로 픽업을 이동시켜 이 분기장소의 재생 경로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로 판독한다. 본 예에서라면, 사용자가 "「1」안경"을 선택하면 재생 경로 데이터 3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2」펜"을 선택하면, 재생 경로 데이터 4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새로운 재생 경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마찬가지로 이에 따른 재생 진행 제어를 계속한다. 본 예에서라면, 재생 경로 데이터 3이 메모리에 저장되면, 이에 따라 동화상 4가 재생되고 화면에서는 안경이 클로즈업된다.
재생 경로 데이터 4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동화상 5가 재생되고, 화면에서는 펜이 클로즈업된다. 상술한 광디스크에 대하여 재생 장치가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면 메뉴 항목의 선택에 의해 영상의 재생 진행을 전환할 수 있다. 이 전환에 의해, 대화식 소프트웨어는 스토리 전개가 다양하게 변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영상 내에 등장하는 탐정이 된 기분으로 멀티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재생 경로 데이터 등, 재생 장치가 디스크의 재생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는 항법용 제어 데이터라고 총칭된다. 그리고, 이 항법용 제어 데이터를 어떠한 포맷으로 광디스크에 저장할 것인지, 혹은 재생 장치가 어떻게 이것을 이용할 것인지가 최근 매우 중요한 기술과제로 되고 있다. 이것은 포맷에 의해 재생 장치에 요구되는 탑재 메모리량이 증감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큰 탑재 메모리량이 필요한 포맷이라면, 메모리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재생 장치의 가격이 고가로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민생용 AV 기기인 CD나 비디오 CD는 민생용의 가격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탑재 메모리량은 수10KByte 이하가 일반적이다. 상술한 비디오 CD에 의한 대화식 소프트웨어의 경우, 1회당 동화상 재생으로 메모리에 상주시킨 재생 경로 데이터는 1개뿐이다. 메모리 상에서 재생 경로 데이터가 차지한 크기는 수100Byte이므로, 수10KByte의 탑재 메모리밖에 갖지 못하는 재생 장치로도 여유를 갖고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애플리케이션 제작자 및 사용자의 대화식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능 요구는 해마다 높아지고, 상술한 비디오 CD에서의 한계가 느껴진다. 비디오 CD에 있어서 실현 곤란한 기능이란 어떠한 것인가, 이것을 무리하게 실현하고자 하면 어떠한 문제점에 닥치는지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 1 문제점은, 특정한 물체가 화면 상에 나타난 불과 2.0초∼3.0초 기간에 재생 진행의 분기를 조작자에게 바라는, 영상내용과 치밀하게 동기한 분기장소의 제시가 불가능한 점이다. 예를 들면, 전차의 차창에 차례로 변하는 풍경이 표시되고, 풍경 내에 특정한 건축물, 예를 들면, 「성」이나 「다리」가 재생되는 기간만 이들 건축물의 소개 영상으로 재생 진행을 분기시키는 재생 제어를 고려한다. 비디오 CD의 선택 리스트는 동화상 전체에 대한 지정이므로, 상술한 예와 같이 동화상의 부분 영상 구간에 대한 지정은 하지 않는다. 무리해서라도 이것을 실현하고자 하면 동화상을 다시 소단위로 분할하고, 개별적으로 선택 리스트를 설정하는 고육책을 채용하면 된다. 다만 이 고육책을 채용하게 되면 응답 저하가 발생한다. 즉, 동화상 및 재생 경로 데이터 전환을 위한 디스크 탐색에 의해 동화상의 재생이일시 중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응답 저하라는 막대한 변상을 수반하기 때문에, 비디오 CD에서는 동화상의 영상 내용에 동기시켜 차례로 메뉴 항목을 전환하는 재생 제어는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탐정에게 분기한 사용자가 의심스러운 인물로 나타난 경우, 그 인물의 표정 변화에 맞추어 메뉴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묻는 등, 영상 내용과 재생 제어를 밀접하게 대응시키기는 불가능하다.
제 2 문제점은, 이전의 사용자 선택 결과와 현재의 선택 결과를 조합시킨 것에 의해 재생 진행을 제어할 수 없는 점이다. 예를 들면, 교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질문을 차례로 표시하고, 개개의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해답 결과의 올바른 것과 잘못된 것을 득점하고, 모든 문제의 재생을 마치면 사용자의 득점에 따라 어느 점수 이상이면 합격, 또는 어느 점수 이하이면 불합격인 동화상을 재생하는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생각할 수 있다. 비디오 CD의 경우, 이전 메뉴의 사용자 선택 결과를 반영하여 분기 장소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복수의 해답 결과의 합계 득점에 의해 분기 장소를 변경시키는 대화식 소프트웨어는 실현할 수 없다.
더 보충하자면, 상술한 멀티 스토리 추리 드라마인 경우도 사용자를 매료하기 위해서는 의외성있는 스토리 전개를 행할 것, 다른 스토리로 반복하여 즐길 수 있을 것이 필요하지만,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항목과 그 분기 진행장소의 관계가 1대 1인 경우, 대화식 소프트웨어로 놀고 있는 중에 저절로 분기 장소를 기억하게 된다. 즉, 처음에는 스토리 전개에 의외성을 느끼지만, 이것을 몇 차례 반복하는 경우, 어떤 선택을 하면 어떻게 스토리가 전개되는지를 생각하게 되고, 바로 흥겨워진다. 추리 드라마의 예에서는 메뉴 항목 "안경"을 선택한 경우, 항상 재생 경로 데이터 3으로 분기한다. 이상적으로 말하면, 이전 탐정의 행동 내용의 선택 결과도 반영하여 그 때에는 다른 분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메뉴 항목 "안경"을 선택하면 반드시 재생 경로 3으로 분기하는 것이라면 여러 차례 대화식 소프트웨어로 노는 것만으로 그 스토리 전개에 익숙해진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차창으로부터의 풍경의 이동에 따라 표시하는 메뉴 항목을 차례로 전환하는 등, 동화상의 영상 내용과 재생 장치에 대한 지시를 치밀하게 동기시킨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메모리의 탑재량을 억제하여 실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용자의 몇 번의 해답 결과에 따라 분기 장소를 정하는 등, 이전에 행해진 사용자의 지시와 현재의 사용자 지시를 조합시킨 지시를 재생 장치에 대하여 행하고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메모리의 탑재량을 억제하여 실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신호가 기록된 광디스크 및 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가운데에서도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브젝트가 기록된 광디스크 및 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부터 실현되고 있는 대화식 재생에서의 동화상 정보의 기록과 재생 제어정보의 기록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2A는 본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의 외관도.
도 2B는 본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의 단면도.
도 2C는 본 실시예에서의 광 스폿이 조사되는 부분의 확대도.
도 2D는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층(109) 상의 피트열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광디스크 정보층의 트랙 배치의 설명도.
도 3B는 광디스크 정보층의 물리섹터의 설명도.
도 4A는 광디스크의 논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광디스크의 파일 영역의 설명도.
도 5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데이터 구조의 설명도.
도 6은 동화상 소재, 음성 소재, 자막 소재와 비디오 오브젝트(VOB) 내의 각 팩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동화상 팩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오디오 팩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C는 부영상 팩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D는 관리정보 팩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메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DSI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PCI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하이라이트 정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의 설정계 명령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2A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B는 PGC 명령 테이블 및 『VOB 위치 정보 테이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재생 순서에 의해 VOB가 기록되어 있는 구간이 부분적으로 재생되어 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의 분기계(分岐系) 명령을 일람 표시한 도면.
도 15는 『VOB 위치 정보 테이블』에 의한 비디오 오브젝트(VOB)의 재생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6은 경로 레벨의 재생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은 전처리 명령군, 후처리 명령군, 비디오 오브젝트(VOB) 위치정보의 기술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 1 응용예에 있어서 소재로 되는 동화상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 관리정보 팩을 도시한 도면.
도 19A는 제 1 응용예에서의 동화상 팩(201)에 의한 영상과, 부영상 팩 A-101에 의한 영상의 중합 및 관리정보 팩 P101의 상호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9B는 제 1 응용예에서의 동화상 데이터(250), 부영상 데이터 A-125의 중합과 관리정보 팩 P125의 상호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제 1 응용예에서의 동화상 데이터의 변화와 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다중 분기의 일례에서 분기 장소에 위치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리모콘(91)의 키 배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실시예에서의 DVD 플레이어(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5는 신호 분리부(86)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6은 시스템 제어부(93)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7A는 시스템 제어부(93)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 주요 흐름도.
도 27B는 시스템 제어부(93)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 주요 흐름도.
도 28은 PGC 정보에 기초한 시스템 제어부(93)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관리정보 팩의 수신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30은 리모콘 수신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31은 분기 명령에 따른 분기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
도 32는 비디오 매니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볼륨 메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4A는 세계일주 퀴즈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의 기술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34B는 PGC 정보 #A1의 기술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34C는 PGC 정보 #A5의 기술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PGC 정보 #A1, A2와 VOB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세계일주 퀴즈에서의 VOB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PGC 정보 #A5와 그 PGC 정보 #A5로부터 분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상기 제 1, 제 2 문제점은 음성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한쪽과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과,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의 복수의 재생 순서를 기록하는 인덱스 영역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로서, 인덱스 영역은 이하의 제 1 인덱스 영역과 제 2 인덱스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인덱스 영역에는 각각이 오브젝트의 기록 어드레스 열로서, 당해 어드레스 열에 의해 오브젝트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가 복수 기록되어 있고, 제 2 인덱스 영역에는 제 1 인덱스 영역의 각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체인 제어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체인 제어정보는 상기 어드레스열에 지정되는 일련의 오브젝트(일련의 오브젝트를 이하 체인이라 함)를 재생할 때 유효하고, 체인 재생에 관한 항법 제어를 재생 장치에 대하여 지시하는 정보이며, 한쪽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되고,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록되고, 소영역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영역에는 소정 시간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음성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한쪽이 기록되고, 제 2 서브 영역에는 같은 소영역 내의 제 1 서브 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할 때 유효하며, 오브젝트 재생에 관한 항법 제어를 재생 장치에 대하여 지시하는 정보인 서브 제어정보가 기록되는 구성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화상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한 물체가 화면 상에 나타나면 그 동화상 데이터와 같은 소영역 내의 제 1 서브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유효한 서브 제어 정보는 오브젝트 재생에 관한 항법 제어를 재생 장치에 대하여 지시한다. 이 항법 제어에 의해 불과 2.0초∼3.0초의 기간에 재생 진행의 분기를 조작자에게 바라는, 영상내용과 치밀하게 동기한 분기 장소의 지시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전차의 차창에 차례로 변하는 풍경이 표시되고, 풍경 내에 특정한 건축물, 예를 들면 「성」이나 「교량」이 재생되어 있는 기간에만 이들 건축물의 소개 영상으로 재생을 진행시킬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이루어져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 하나의 오브젝트는 기록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분기 장소의 제시에는 동화상 재생의 중단이나 디스크 탐색이 수반되지 않는다.
각 오브젝트는 경로정보에 의하여 재생순서가 부여되고, 이 경로정보와 함께 체인 제어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 체인 제어정보는 상기 어드레스열에 지정되는 일련의 오브젝트를 재생할 때 유효하고, 체인 재생에 관한 항법 제어를 재생 장치에 대하여 지시하므로, 대상에 따라 몇 장의 메뉴가 조작자에게 제시되며, 이들의 메뉴에 대하여 조작자가 선택을 하면 이전의 사용자 선택결과와 현재의 선택결과를 총합하여 재생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교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질문을 차례로 표시하고, 개개의 질문에서의 사용자 해답결과의 바른 것과 잘못된 것을 득점하여 모든 문제의 재생이 끝나면 사용자의 득점에 따라 어느 점수 이상이면 합격, 또는 어느 점수 이하이면 불합격의 동화상을 재생하는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메뉴 내의 아이템과 그 분기 진행장소의 관계가 1대 1은 안되므로, 분기 장소가 느껴지는 확률이 낮아진다. 메뉴 내의 아이템과, 분기 장소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가 느껴지는 확률이 낮아져 계속 조작자를 즐겁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나선 형상의 트랙에 형성된 복수의 섹터를 갖는 상기 인덱스 영역 및 소영역은 각각 연속하는 섹터에 설치되고, 제 1 서브영역의 동화상 데이터, 음성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는 각각 하나 이상의 섹터에 기록되며, 제 2 서브영역의 서브 제어정보는 하나 이상의 섹터에 기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덱스 영역 및 소영역은 각각 연속섹터에 설치되므로, 비디오 오브젝트는 디스크의 연속섹터 영역에 빈틈 없이 저장된다. 연속섹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 시크 등의 대기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재생 장치는 약 0.5초 단위마다 영상정보 재생을 중단시키지 않고 서브 제어정보를 인출하고, 이에 의거하여 제어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덱스 영역에 기록된 경로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체인 제어정보의 각 조는 재생 장치에 상주되는 일단위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서브영역에 기록된 각 서브 제어정보는 재생 장치에 상주되는 일단위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로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체인 제어정보의 각 조는 재생 장치에 상주되는 일단위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서브영역에 기록된 각 서브 제어정보는 재생 장치에 상주되는 일단위이기 때문에, 재생 장치측의 메모리 규모를 소규모로 할 수 있고, 민생용 재생 장치용의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창작할 수 있다. 즉, 광디스크의 대용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대화성이 풍부한 멀티미디어 타이틀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정보의 어느 정도는 재생 장치에 상주하고 있는 다른 서브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서브 제어정보의 어느 정도는 재생 장치에 상주하고 있는 다른 서브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소정 시간 단위로 서브 제어정보를갱신할 수 있는데다가 갱신이 불필요한 경우를 검출할 수 있으며, 번잡한 갱신처리가 VOB 유닛마다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체인 제어정보는 대응하는 체인 재생 다음에 재생할 다른 체인을 나타내는 제 1 분기지시와, 대응하는 체인 재생의 다음에 재생할 체인으로서 재생 장치의 내부 상태에 따라 다른 체인을 나타내는 조건 분기 지시 중 어느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제어정보의 어느 정도는 그것이 속하는 소영역의 데이터 재생으로부터 다른 체인으로의 분기 재생을 지시하는 제 2 분기지시와, 재생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 지시 중 어느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서브 제어정보의 어느 정도는 그것이 속하는 소영역의 데이터 재생으로부터 다른 체인으로의 분기 재생을 지시하는 제 2 분기지시와, 재생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지시 중 어느 것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화적으로 재생 진행을 전환하거나 내부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체인 제어정보는 재생 장치의 내부 상태에 따라 다른 체인으로 분기하는 조건 분기지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서브 제어정보에 의하여 변경된 내부상태에 따라 재생의 진행장소를 전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는 직경 120mm의 광디스크에 한쪽 면이 약 4.7G바이트의 기록 용량을 실현한 디지털·비디오·디스크(이하 DVD라 함)가 적합하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와 같이 항으로 나누어 기재한다. 그 때, 각 항목의 좌측에 분류번호를 붙인다. 분류번호의 자리수는 그 항목의 계층적인 깊이를 의미하고 있다. 분류번호의 최상위는 (1)과 (2)가 있고, (1)은 광디스크에 관한 것, (2)는 재생 장치(디스크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광디스크의 물리 구조
(1.1) 광디스크의 논리 구조
(1.1.1) 논리구조 - 비디오 타이틀 세트
(1.1.1.1) 비디오 타이틀 세트 - 비디오 오브젝트 (VOB)
(1.1.1.1.1) 비디오 오브젝트 (VOB) - 동화상 팩
(1.1.1.1.2) 비디오 오브젝트 (VOB) - 음성 팩
(1.1.1.1.3) 비디오 오브젝트 (VOB) - 부영상 팩
(1.1.1.1.4) 비디오 오브젝트 (VOB) - 관리정보 팩
(1.1.1.1.4.1) 관리정보 팩 - DSI 패킷
(1.1.1.1.4.2) 관리정보 팩 - PCI 패킷
(1.1.1.1.4.2.1) PCI 패킷 - 하이라이트 정보
(1.1.1.1.4.2.1.1) 하이라이트 정보 - 하이라이트 일반 정보
(1.1.1.1.4.2.1.2) 하이라이트 정보 - 아이템 색정보
(1.1.1.1.4.2.1.3) 하이라이트 정보 - 아이템 정보
(1.1.1.2) 비디오 타이틀 세트 -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
(1.1.1.2.1)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 - PGC 정보
(1.1.2) 논리구조 - 비디오 매니저
(2.1) 디스크 재생장치의 개요
(2.2) 디스크 재생장치의 구성 요소
(2.2.1) 디스크 재생장치의 구성 요소 - 신호 분리부(86)의 내부 구성
(2.2.2) 디스크 재생장치의 구성 요소 - 시스템 제어부(93)의 내부 구성
(2.3.1) 시스템 제어부(93)의 통상 동작
(1.) 광디스크의 물리 구조
도 2A는 DVD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그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이다. DVD(107)는 도면의 하측으로부터 제 1 투명기판(108), 정보층(109), 접착층(110), 제 2 투명기판(111) 및 라벨 인쇄용의 인쇄층(112)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제 1 투명기판(108) 및 제 2 투명기판(111)은 동일 재료의 보강용 기판이지만, 그 두께는 모두 약 0.6mm이다. 즉, 양 기판 모두 대략 0.5mm∼0.7mm의 두께이다.
접착층(110)은 정보층(109)과 제 2 투명기판(111)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를접착한다.
정보층(109)은 제 1 투명기판(108)과 접하는 면에 금속 박막 등의 반사막이 부착되어 있다. 이 반사막에는 성형기술에 의해 요철의 피트가 고밀도로 형성된다.
피트 형상을 도 2D에 도시한다. 도 2D에서의 각 피트의 길이는 0.4㎛∼2.13㎛이고, 반지름 방향으로 0.74㎛의 간격을 두고 나선 형상으로 설치되며, 한 개의 나선형 트랙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피트열에 광빔(113)이 조사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스폿(114)의 반사율 변화로서 정보가 인출된다.
DVD에서의 광스폿(114)은 대물렌즈의 개구수 NA가 크고, 광빔의 파장 λ이 작기 때문에, CD에서의 광스폿에 비하여 직경이 약 1/1.6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리 구조를 갖는 DVD는 한쪽 면에 약 4.7G 바이트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약 4.7G 바이트의 기록 용량은 지금까지의 CD에 비하여 8배 가까운 크기이다. 그 때문에, DVD에서는 동화상의 화질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재생 시간에 대해서도 비디오 CD의 74분에 비하여 2시간 이상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용량화를 실현시킨 기반 기술은, 광빔의 스폿 지름 D의 소형화이다. 스폿 지름 D는 스폿 지름 D=레이저의 파장 λ/대물렌즈의 개구수 NA의 계산식으로 부여되므로, 레이저의 파장(λ)을 보다 작게 하고, 개구수(NA)를 보다 크게 함으로써 스폿 지름 D를 작게 조일 수 있다. 유의할 점은 대물렌즈의개구수(NA)를 크게 하면, 틸트(tilt)라 불리우는 디스크 면과 광빔의 광축의 상대적인 경사에 의해 코마 수차(coma aberration)가 발생되는 점이다. 이것의 축소를 도모하기 위해, DVD에서는 투명기판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다. 투명기판을 얇게 하면, 기계적 강도가 약해진다는 다른 문제점이 부상하지만, DVD는 다른 기판을 접합시킴으로써 이것을 보강하고 있고, 강도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있다.
DVD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에는 파장이 짧은 650nm의 적색 반도체 레이저와 대물렌즈의 NA(개구수)를 0.6mm 전후까지 크게 한 광학계가 이용된다. 이것과 투명기판의 두께를 0.6mm 전후로 얇게 한 것이 어울려서 직경 120mm의 광디스크의 한쪽 면에 기록할 수 있는 정보용량이 약 4.7Gbyte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대용량에 의하여 영화 회사가 제작하는 하나의 영화를 한 장의 공통 디스크에 수록하고, 다수의 다른 언어권에 대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들 기반 기술에 의하여 실현된 4.7Gbyte라는 기록 용량은 동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 기록하여도 여유가 있다.
도 3A에 나선형 트랙이 정보층의 내주로부터 외주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나선형 트랙에 대한 데이터 판독은 섹터로 일컬어지는 단위마다 행해진다. 섹터의 내부 구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 헤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에러정정 코드 저장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섹터 헤더영역의 섹터 어드레스는 각각의 섹터를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디스크 재생장치는 다수의 섹터 중 판독할 것은 어느 것인지를 이 섹터 어드레스를 단서로 하여 찾아낸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는 2KByte 길이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에러정정 코드 저장 영역은 같은 섹터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대한 에러정정 코드를 저장한다. 디스크 재생장치는 같은 섹터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판독할 때 에러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 검출을 행하고, 에러정정까지도 행함으로써 데이터 판독의 신뢰성을 보증한다.
(1.1) 광디스크의 논리 구조
도 4A는 디스크의 논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있어서는, 물리 섹터는 섹터 어드레스에 의해 오름차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섹터 어드레스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의해 상부로부터 차례대로 리드 인 영역과 리드 인 영역에 연속한 볼륨영역 및 볼륨영역에 연속한 리드 아웃 영역으로 대별된다.
『리드 인 영역』에는 디스크 재생장치를 판독 개시할 때 동작 안정용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이에 대하여, 『리드 아웃 영역』은 재생장치에 재생 종료를 고지하는 영역이고, 의미 있는 데이터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볼륨 영역』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고, 소속되는 물리 섹터를 논리 블록으로서 관리한다. 논리 블록은 데이터 기록영역 선두의 물리 섹터를 0번으로 하여, 연속하는 물리 섹터에 연속 번호를 부여한 단위로 식별된다. 도 4A의 원(b301)에 볼륨 영역에서의 논리 블록군을 도시한다. 원 내의 많은 논리 블록에 붙여진 #m, #m+1, #m+2, #m+3 ····이라는 수치가 논리 블록 번호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영역은 다시 볼륨 관리영역과 파일 영역으로 분할된다.
볼륨 관리영역에는 ISO 13346에 따라 복수의 논리 블록을 파일로서 관리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 관리정보가 저장된다. 파일 시스템 관리정보란, 복수의 파일각각의 파일명과 각 파일이 차지하고 있는 논리 블록군의 어드레스의 대응관계를 명시한 정보이고, 디스크 재생장치는 이 파일 시스템 관리정보를 단서로 하여 파일 단위의 디스크 액세스를 실현한다. 즉, 파일명이 부여되면 모든 시스템 관리정보를 참조하여 그 파일이 차지하고 있는 모든 논리 블록군을 산출하고, 이들 논리 블록군을 액세스하여 원하는 디지털 데이터만을 인출한다.
도 4B는 파일 영역의 설명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영역에는 비디오 매니저(Video Manager)와 복수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ideo Title Set)가 저장된다. 이들은 복수의 연속 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 시스템 관리정보에 의해 기록 장소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연속 파일인 이유는, 동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는 팽대하고, 이것을 한 개의 파일로 하면 그 파일 크기가 1GB를 초과하기 때문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는 타이틀이라 불리우는 하나 이상의 DVD 애플리케이션을 그룹화하여 저장한다. 영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그룹화되는 복수의 타이틀이란, 동일 영화의 극장 공개판이나 노커트(no-cut)판이 있는 경우가 이에 상당한다. 왜냐하면 극장 공개판이나 노커트 판이란 타이틀은 공유하는 영상 데이터가 많기 때문에,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쪽이 효율적으로 영상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B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중, 비디오 타이틀 세트(V1), 비디오 타이틀 세트(V2)는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수록하고 있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V1)는 대화식 소프트웨어 『추리 게임』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V2)는 대화식 소프트웨어 『세계일주 퀴즈』이다. 이들 대화식 소프트웨어는 본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의 특징적인 데이터 구조에 의하여 실현된 것이다. 『추리 게임』에서는 게임이면서도 영화같은 배역과 대규모적인 야외 촬영에 의해 촬영된 실제 영상을 항상 도입하고 있다. 이 실제 영상은 몇 사람의 등장인물이 불가피한 사건에 말려든다는 내용이고, 이 실제 영상에서 주인공으로 되는 탐정은 여러 가지 궁지에 놓인다. 조작자는 본편에 등장하는 탐정의 행동 내용을 선택할 수 있고, 자신의 추리나 재치에 의해 스토리 전개를 적절하게 바꾸어 갈 수 있다.
또, 『추리 게임』은 3개의 타이틀로 이루어진 타이틀 세트이고, 개개의 타이틀은 "상급 코스", "중급 코스", "초급 코스"라 부른다. 이들의 차이는 수수께끼 풀이의 난이도가 다른 점이다. 이들 난이도별 타이틀은 거의 영상을 공유하지만, 코스마다 일부 재생되지 않는 영상 장면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상급 코스는 난해한 수수께끼 풀이를 몇 번이라도 행하지 않으면 다음 영상 장면을 진행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초급 코스에는 이 수수께끼 풀이의 영상 장면은 사건 트릭의 힌트를 제시하는 영상으로 바꾸어 끼우고 있다.
또, 퀴즈 『세계 일주』는 세계 각지의 지리나 예술에 관한 퀴즈가 출제되고, 사용자의 해답 결과가 득점되며, 득점 결과에 따라 합격 또는 불합격의 영상이 재생되는 것으로 한다. 퀴즈 『세계 일주』는 3개의 타이틀로 된 타이틀 세트이고, 개개의 타이틀은 "유럽편", "아메리카편", "세계편"인 것으로 한다. 또, 타이틀 "세계편"과 다른 타이틀은 영상을 공유하게 된다. 또, "유럽편", "아메리카편"에 대해서는 매회 같은 퀴즈군이 같은 재생 순서로 재생되지만, "세계편"은 재생하는 것마다 다른 조합의 퀴즈군이 재생되게 된다.
비디오 매니저에는 복수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로 저장되는 모든 타이틀로부터 사용자가 재생할 타이틀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하, 비디오 타이틀 세트 및 비디오 매니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1.1) 논리 구조 - 비디오 타이틀 세트
도 5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데이터 구조의 설명도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는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VOB: Video Object)와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 순서를 관리하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를 저장한다.
(1.1.1.1) 비디오 타이틀 세트 - 비디오 오브젝트(VOB)
『비디오 오브젝트(VOB)』는 디지털 동화상, 디지털 음성, 이미지 데이터, 이들의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멀티미디어화된 데이터이다. 또, 본 예는 대화식 소프트웨어 『추리 게임』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되는 개개의 VOB#1, 2, 3, 4 ····는 조작자의 조작지시에 의하여 관계자에게 질문하는 장면, 사건 장소를 수색하는 장면, 용의자를 미행하는 장면 등, 각각이 영상의 한 장면 등에 상당한다.
『비디오 오브젝트(VOB)』의 데이터 구조는, 복수의 VOB 유닛(VOBU)이 선두로부터 시계열(時系列) 순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VOB 유닛(VOBU)이 약 0.5초∼약 1.0초 정도의 재생 데이터이고, 도 5의 화살표 장소에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정보 팩, 동화상 팩, 오디오 팩 A∼C, 부영상 팩 A∼B라는 복수 종류별의 팩 데이터로 구성된다. 팩 데이터는 각각 2KByte의 데이터 크기이고, 종류별 팩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통합함으로써, 각각, 동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 제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열이 된다. 또, 이들 종류별로 재통합된 디지털 데이터열을 엘리멘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이라 칭하고, VOB를 복수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스트림, 또는 시스템 스트림이라 칭하는 것도 있다.
또, 설명을 간략하고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에서는 모든 VOB 유닛의 각 팩 데이터는 규칙성을 갖고 배치되었으나, 관리정보 팩이 선두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재생장치에 의해 버퍼링되어 인출되기 때문에 종별마다 인접되어 배치될 필요는 없고, 실제는 혼재하여 배치된다. 또, VOB 유닛에 속하는 팩 총수 및 종류마다의 팩 수도 동화상이나 음성, 부영상은 가변길이의 압축 데이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같을 필요는 없고, 실제로는 VOB 유닛마다 팩 수가 다르다. 또, VOB 유닛 내의 동화상 팩은 2개로 되어 있으나, 동화상에 할당되어 있는 재생장치로의 전송률은 약 4.5Mbit이고, 실제로는 정지 화면이 아닌 통상의 동화상이라면 수백 개의 동화상 팩이 포함되게 된다.
비디오 오브젝트(VOB)에 저장되는 동화상 팩은 1 VOB 유닛에 속하는 동화상 팩의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GOP(Group Of Picture)라 칭하는 디지털동화상 데이터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GOP(Group Of Picture)란, 압축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를 신장할 때의 1단위이고, 약 12∼15 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이다. 또, GOP에 대해서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 Group, ISO 11172, ISO 13818)에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다.
비디오 오브젝트(VOB) 내의 각 팩과 동화상의 한 장면의 관계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동화상 한 장면의 영상소재를 횡길이의 사각형으로 도시하고, VOB 상측에 배치하고 있다. 또, 3채널의 음성소재를 3개의 횡길이의 사각형으로 도시하고 VOB 하측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2채널의 부영상 소재를 2개의 횡길이의 사각형으로 도시하고 음성소재의 하측에 배치하고 있다. 동화상 소재로부터 연장된 아래 방향의 화살표는 동화상의 영상소재가 어떻게 각 팩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아래 방향의 화살표를 따라가면, 한 장면의 선두로부터 0.5초까지의 동화상은 MPEG에 준거한 I 픽쳐(Intra-Picture), P 픽쳐(Predictive-Picture), B 픽쳐(Bidirectionally predictive Picture)로 부호화된 후에 VOB 유닛 1개의 비디오 팩 1, 2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는 것을 알았다(또, 상술하였으나, 실제로는 수백 개의 팩에 저장되지만, 설명의 편의상 2개의 팩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하 설명을 계속한다.). 0.5초에서 1.0초까지의 동화상도 I 픽쳐, P 픽쳐, B 픽쳐로 부호화된 후에 VOB 유닛 2 내의 비디오 팩 3, 4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1.0초에서 1.5초 정도까지의 동화상도 부호화된 후에, 다음의 VOB유닛 내의 비디오 팩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다. 스턴트맨의 박진감있는 연기나 유명 배우의 화려한 연기를 촬영한 실제 영상은 수천장, 수만장의 I 픽쳐, B 픽쳐, P 픽쳐로 부호화되어 각 VOB 유닛 내의 복수 동화상 팩의 데이터 필드에 분산하여 기록된다. 이와 같은 분산 기록에 의해 『추리 게임』에서는 상기한 스턴트맨의 박진감있는 연기나 유명 배우의 화려한 연기를 한 장면에 도입하고 있다. 이와 같이, VOB 내의 동화상 팩의 데이터 필드에 분산 기록된 데이터를 동화상 데이터라 한다.
VOB 유닛을 구성하는 팩에 대하여 도 7A∼도 7D를 참조하여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1.1.1.1.1) 비디오 오브젝트(VOB) - 동화상 팩
도 7A는 동화상 팩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7A에서의 동화상 팩(도면에는 비디오 팩이라 기재하고 있음.)의 데이터 구조는 MPEG에 규정된 「팩 헤더」 「패킷 헤더」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고, 1팩당 2Kbyte 길이의 데이터 크기를 갖는다. 「팩 헤더」에는 팩 스타트 코드, SCR(System Clock Reference)이란 MPEG 준거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고, 「패킷 헤더」에는 스트림 ID, 패킷 길이, STD(System Target Decoder) 버퍼 스케일 크기, PTS(Presentation Time Stamp), DTS(Decoding Time Stamp)라는 MPEG 준거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패킷 헤더」내의 스트림 ID는 도면중, 패킷 헤더의 아래쪽으로 인출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1110 000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이 팩이 형성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동화상 스트림인 것을 나타낸다.
동화상 팩의 SCR 및 PTS는 음성 팩의 복호처리, 부영상 팩의 복호처리의 동기 조정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재생장치측의 비디오 디코더는 SCR에 의거하여 기준 클록의 시각을 맞추고, 데이터 필드 내의 동화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기준 클록이 PTS에 기재하고 있는 시각을 계산하기를 기다린다. 당해 시각을 계산하면 당해 복호결과를 디스플레이 측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PTS의 기재 내용에 의거한 출력 대기에 의해 비디오 디코더는 부영상 출력, 음성출력의 동기 오차를 해소한다.
(1.1.1.1.2) 비디오 오브젝트(VOB) - 음성 팩
도 7B는 음성 팩 A∼C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7A와 도 7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 팩의 데이터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동화상 팩의 데이터 구조와 같고, 「팩 헤더」, 「패킷 헤더」,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진다. 다른 점은 「패킷 헤더」의 스트림 ID가 『1011 1101』로 설정되어 있는 점과, 데이터 필드의 선두 8비트에 서브 스트림 ID가 설정되어 있는 점의 2 가지이다(도면 중 사선부 참조). 스트림 ID는 『1011 1101』, 이 팩이 형성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프라이비트 스트림 1인 것을 나타낸다. 프라이비트 스트림이란 MPEG에서는 동화상 스트림, MPEG 음성 스트림 이외에 이용되는 스트림이다. 본 예에서는, MPEG 음성 이외의 음성이 사용되기 때문에 프라이비트 스트림이 이용되고 있다.
음성 팩의 「팩 헤더」는 동화상 팩과 같고, 팩 스타트 코드, SCR이란 MPEG 준거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고, 「패킷 헤더」에는 스트림 ID, 패킷 길이, STD 버퍼 스케일 크기, PTS, DTS 라는 MPEG 준거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음성 팩의 SCR 및 PTS는 동화상 팩의 복호, 부영상 팩의 복호의 동기조정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재생장치측의 오디오 디코더는 SCR에 의거하여 기준 클록의 시각을 맞추고, 데이터 필드 내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기준 클록이 PTS에 기재하고 있는 시각을 계산하기를 기다린다. 오디오 데이터의 복호 처리는 동화상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의 그것과 비교하여 가벼운 부하이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대기 시간은 동화상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의 그것과 비교하여 많이 길어진다. 당해 시각을 계시하면 당해 복호결과를 스피커측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PTS의 기재 내용에 의거한 출력 대기에 의해 오디오 디코더는 동화상 출력, 부영상 출력의 동기 오차를 해소한다.
음성 팩 A∼C의 각각은 데이터 필드 내의 서브 스트림 ID의 설정이 다르다. 도면중 『서브 스트림 ID』의 해설 장소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팩 A, B는 서브 스트림 ID의 상위 5비트 길이가 『1010 0』으로 설정되어 있고, 음성 팩 C는 서브 스트림 ID의 상위 5비트 길이가 『1000 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오디오 팩 A, B,가 리니어 PCM 방식이고, 음성 팩 C는 돌비 AC-3 방식인 것을 식별하기 위해서이다. 리니어 PCM 방식과 돌비 AC-3 방식의 큰 차이는 리니어 PCM 방식이 LR 성분을 갖는 것에 대하여 돌비 AC-3 방식이 LR 성분, 서라운드 성분을 갖는 점이다.
서브 스트림 ID의 하위 3비트는 리니어 PCM 방식, 돌비 AC-3방식의 각각에 채널 번호를 부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음성(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채널별 음성 데이터 성분을 특별히 음성 서브 스트림이라 부른다. 즉, 본 예에서라면, 3개의 음성 서브 스트림을 갖는 음성(엘리멘터리) 스트림이라는 것으로 된다. 비디오 오브젝트(VOB)에는 최대 8개의 음성 서브 스트림을 가지게 할 수 있고, 서브 스트림 ID에는 각 음성 서브 스트림의 식별 코드로서의 0∼7의 식별 코드가 부여되게 된다. 도 5의 일례에서는, 리니어 PCM 방식으로 2채널을 사용하고, 돌비 AC-3 방식에서 1채널을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 필드」에는 리니어 PCM 방식 또는 돌비 AC-3 방식의 디지털 음성이 기록된다.
영화 한 장면의 3채널의 자국어 녹음음성과, 오디오 팩의 데이터 필드의 관계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화상 팩과 같이, 도 6의 음성 소재로부터 VOB의 오디오 팩으로 연장된 화살표는 3채널의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2가지 방식으로 부호화되고, 0.5초 단위로 각 오디오 팩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한 장면의 선두로부터 0.5초까지의 A 채널의 자국어 녹음음성은 VOB 유닛 1 내의 오디오 팩 A-1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고, 0.5초에서 1.0초까지의 자국어 녹음음성은 VOB 유닛 2 내의 오디오 팩 A-2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두로부터 1.0초에서 1.5초까지의 음성은 다음의 VOB 유닛 내의 오디오 팩 A-3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의 동화상에 대한 동기 타이밍은 PTS에 의해 취할 수 있기 때문에, VOB 유닛에 포함되는 동화상 데이터에 완전하게 일치된 음성 데이터가 같은 VOB 유닛에 포함될 필요는 없고, 실제로는 앞의 VOB 유닛에 저장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한 장면의 선두로부터 0.5초까지의 B 채널의 자국어 녹음음성은오디오 팩 B-1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고, 0.5초에서 1.0초까지의 자국어 녹음 음성은 오디오 팩 B-2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두로부터 1.5초에서 2.0초분까지의 음성은 오디오 팩 B-3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다.
한 장면의 선두로부터 0.5초까지의 C 채널의 자국어 녹음음성은 오디오 팩 C-1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고, 0.5초에서 1.0초까지의 자국어 녹음음성은 오디오 팩 C-2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1.5초에서 2.0초까지의 음성은 오디오 팩 C-3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다.
오디오 팩 A∼C 각각의 데이터 필드에 분산 기록되는 3채널의 데이터는 이하 오디오 데이터 A, 오디오 데이터 B, 오디오 데이터 C라 부른다.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A에 영어의 녹음 음성을 설정하고, 오디오 데이터 B에 프랑스어의 녹음 음성을 설정하며, 오디오 데이터 C에 일본어 녹음 음성을 설정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이들을 전환시킬 수도 있다.
(1.1.1.1.3) 비디오 오브젝트(VOB) - 부영상 팩
도 7C는 부영상 팩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와 도 7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영상 팩의 데이터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오디오 팩의 데이터 구조와 같다. 즉, 「팩 헤더」, 「패킷 헤더」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필드의 선두 8비트 길이에 서브 스트림 ID가 설정되어 있다.
「팩 헤더」는 오디오 팩과 같이 팩 스타트 코드, SCR이라는 MPEG 준거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고, 「패킷 헤더」에는 스트림 ID, 패킷 길이, STD 버퍼 스케일크기, PTS, DTS라는 MPEG 준거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부영상 팩의 SCR 및 PTS는 동화상 팩의 복호, 오디오 팩의 복호의 동기 조정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재생장치측의 부영상 디코더는 SCR에 의거하여 기준 클록의 시각을 맞추고, 데이터 필드 내의 부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기준 클록이 PTS에 기재하고 있는 시각을 계시하기를 기다린다. 이와 같은 시간 대기를 행하는 것은 실행길이 복호와 프레임내 복호·필드내 복호의 다른 움직임 보상 예측도 수반하는 동화상 데이터의 복호 처리와, 음성 데이터의 복호에서는 그 처리 부하가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더욱이, 동화상 데이터의 복호가 각 GOP에서 필수인 것에 대하여 그 자막의 복호는 수초 간격이라도 되기 때문이다. SCR의 시각을 계시하면 부영상 디코더는 당해 복호결과를 디스플레이측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PTS의 기재 내용에 의거하여 출력 대기에 의해 부영상 데이터 디코더는 동화상 출력, 오디오 데이터 출력의 동기 오차를 해소한다.
부영상 팩의 「패킷 헤더」의 스트림 ID는 오디오 팩과 마찬가지로 프라이비트 스트림을 나타내는 『1011 1101』로 설정되어 있으나, 데이터 필드 내의 서브 스트림 ID의 설정이 다르다. 즉, 부영상 팩 A, B는 서브 스트림 ID의 상위 3비트가 『001』로 설정되어 있다(도면중 해칭 장소 참조).
서브 스트림 ID의 하위 5비트는 부영상 팩에 채널 번호를 부여하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라면, 2개의 부영상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식별되게 된다. 또, 동화상용 엘리멘터리 스트림 이외의 음성이나 부영상 엘리멘터리 스트림은 서브 스트림으로 총칭된다. 비디오 오브젝트(VOB)에는 최대 32개의 부영상 서브 스트림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서브 스트림 ID에는 각 부영상 서브 스트림의 식별 코드로서 0∼31의 식별 코드가 부여된다.
「데이터 필드」에는 실행길이 부호에 의해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와 이것을 그림으로 묘사하기 위한 표시 제어정보가 기록된다. 여기에 기록된 이미지 데이터에 의해 부영상이 화면 상에 그림으로 묘사된다. 또, 표시 제어정보에 의해, 그림으로 묘사된 부영상은 스크롤 업/스크롤 다운이나 컬러 팰릿(color pallet) 변환, 콘트라스트 변환이 가능하고, 동일 VOB 유닛 및 그 이후의 VOB 유닛의 동화상 팩에서 그림으로 묘사된 동화상에 슈퍼임포즈(superimpose)된다.
도 6의 예에서는 VOB 유닛에서의 부영상 팩 A, B가 존재하므로, 2채널의 자막 슈퍼를 각 VOB 유닛에서의 부영상 팩 A, B의 데이터 필드로 분산하여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영상 데이터 A에서 영어의 자막을 표시하고, 부영상 데이터 B에서 프랑스어의 자막을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이들을 전환시킬 수도 있다.
또 부영상 데이터는 메뉴를 그림으로 묘사할 때에도 이용된다. 『추리 게임』에서의 메뉴의 예를 도 8에 도시한다. 『①계단』 『②부엌』『③복도』∼『⑧아무데도 찾을 수 없음』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메뉴 항목이고 아이템이라 부른다. 메뉴의 아이템으로서 부영상이 이용되는 경우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1.1.1.4) 비디오 오브젝트(VOB) - 관리정보 팩
관리정보 팩은 VOB 유닛의 선두에 반드시 하나가 배치되고, VOB 유닛의 재생이 행해지는 동안 유효한 관리정보가 저장된다. 도 7D는 관리정보 팩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동화상 팩, 오디오 팩, 부영상 팩이 1패킷으로 구성되는 것에 대하여 관리 팩은 2패킷으로 구성된다. 2패킷 중 하나를 PCI 패킷(Presentation Control Information Packet), 하나를 DSI 패킷(Data Search Information)이라 부른다. 데이터 구조는 동화상 패킷, 오디오 패킷의 데이터 구조와는 약간 다르고, 「팩 헤더」 시스템 헤더」「PCI 패킷의 패킷 헤더」「PCI 패킷의 데이터 필드」「DSI 패킷의 패킷 헤더」「DSI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진다. 「시스템 헤더」는 이 관리정보 팩을 선두에 갖는 VOB 유닛 전체의 관리 정보가 MPEG에 준거하여 저장된다. 전체에 필요하게 되는 전송률이나 동화상 스트림, 음성 스트림, 부영상 스트림마다 필요하게 되는 전송률이나 버퍼 크기의 지정이 저장된다.
관리정보 팩 2개의 「패킷 헤더」의 스트림 ID는 도면중 사선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11 1111』로, 프라이비트 스트림 2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가 설정되어 있다.
(1.1.1.1.4.1) 관리정보 팩 - DSI 패킷
DSI 패킷의 구조를 도 9에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I는 『트릭 플레이 정보』로 구성된다.
『트릭 플레이 정보』는 빨리 감기 재생이나 되감기 재생 등 점프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한다.
(1.1.1.1.4.2) 관리 정보 팩 - PCI 패킷
PCI의 내부 구조를 도 10A에 도시한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I 패킷은 『PCI 일반 정보』, 『하이라이트 정보』로 구성된다.
『PCI 일반 정보』는 소속하는 VOB 유닛의 재생 개시 시간이나 종료 시간이 지정된다.
(1.1.1.1.4.2.1) PCI 패킷 - 하이라이트 정보
『하이라이트 정보』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메뉴에서의 메뉴 항목을 위한 제어정보이다. 참조부호 h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정보는, 하이라이트 일반 정보, 아이템 색정보, 아이템 정보 #1, #2, #3, #4, #5 ·····#36으로 이루어진다. 아이템 정보 #1, #2, #3, #4, #5 ·····#36은 그 관리정보 팩이 판독된 타이밍으로 표시된 각각의 아이템에 대하여 부여된다. 예를 들면, 도 8의 예에서라면, "(1)계단", "(2)부엌", ∼, "(8)아무데도 조사하지 않음"의 8가지 메뉴 항목이 각각 아이템이고, 이 경우, 아이템 정보 #1로부터 아이템 정보 #8까지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 영역은 고정 길이이고, 사용되지 않는 아이템을 위한 아이템 정보에는 유효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는다. 아이템 정보는 최대 36개까지 설정할 수 있다. 즉, 최대 36개의 메뉴 항목을 1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하이라이트 구성 정보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기 전에, 설명의 편의상, 이 재생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메뉴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메뉴 항목인 아이템에는 표준 상태와 선택 상태 및 확정 상태가 있고, 이것은 사용자의 메뉴 항목의 선택이나 확정 동작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도 8을 예로 보충하자면, 이 메뉴가 표시되었을 때, 디폴트(default) 동작으로서, 디스크재생장치는 아이템 #1을 선택상태로 표시하고, 나머지는 통상상태로 표시한다. 모든 아이템의 표준상태가 백색, 선택상태가 청색, 확정상태가 적색이라면, 아이템 #1에 상당하는 메뉴 항목만이 청색으로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어느 메뉴 항목이 선택 상태에 있고(이 메뉴 항목을 커서(cursor)로 지시되어 있는 메뉴항목이라고도 함), 실행 대기 중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상태에 있는 메뉴 항목을 변경하려면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모콘의 상하 좌우 키 중 어느 하나를 눌러 선택 항목의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후술하지만, 디스크 재생장치는 상하 좌우 키를 눌렀을 때 변경할 아이템 번호를 각 아이템마다 관리하고 있고, 이에 따라 아이템 #1을 통상 상태의 색, 즉, 백색으로 복귀하고, 변경 장소의 아이템을 선택 상태의 청색으로 변경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 항목이 선택 상태에 있을 때는 리모콘의 확정키를 누름으로써, 선택상태에 있는 아이템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상태에서 확정상태로 이행된 아이템은 청색에서 적색으로 변화하여 확정되고, 확정상태로 정해진 명령을 실행하게 된다. 도 8의 예에서라면 메뉴 항목에 따라 재생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것으로 메뉴의 개요 설명을 마치고, 하이라이트 정보의 설명을 계속한다.
(1.1.1.1.4.2.1.1) 하이라이트 정보 - 하이라이트 일반 정보
하이라이트 일반 정보는 도 10A의 참조부호 h4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전(前 )VOB 유닛으로부터의 변경 있음 플래그』, 『하이라이트 정보 유효구간 개시위치』 및 『하이라이트 정보 유효구간 종료위치』로 구성된다.
『전 VOB 유닛으로부터의 변경 있음 플래그』는 2비트 길이의 필드를 갖는다. 본 필드에 『00』이 기술되어 있으면, 이 『전 VOB 유닛으로부터의 변경 있음 플래그』를 포함하고 있는 하이라이트 정보에는 유효한 아이템 색정보, 아이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필드에 『01』이 기술되어 있으면, 이 『전 VOB 유닛으로부터의 변경 있음 플래그』를 포함하고 있는 하이라이트 정보는 이 팩으로부터 유효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유효로 된 하이라이트 정보는 디스크 재생장치 내의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하이라이트 정보는 저장하는 버퍼인 것으로 후술한다.)에 기록되게 된다. 『10』이 기술되어 있으면, 전 VOB 유닛의 하이라이트 정보가 이 VOB 유닛에서도 계속하여 유효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의 덧쓰기는 행해지지 않는다. 『11』이 기술되어 있으면, 이전의 VOB 유닛으로부터 하이라이트 정보 내의 하이라이트 명령만이 변경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디스크 재생장치에 하이라이트 명령만을 버퍼에 기록한다는 의미를 지시한다.
즉, 『전 VOB 유닛으로부터의 변경 있음 플래그』에 의해 디스크 재생장치는 메뉴 항목의 설정정보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VOB 유닛 단위로 하이라이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음과 더불어,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를 검출할 수 있고, 번잡한 갱신처리가 VOB 유닛마다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하이라이트 정보 유효구간 개시위치』 『하이라이트 정보 유효구간 종료위치』는 하이라이트 정보의 유효구간을 나타낸다.
(1.1.1.1.4.2.1.2) 하이라이트 정보 - 아이템 색정보
『아이템 색정보』는 도 10B의 참조부호 b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을위한 선택색 - 확정색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선택색이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되는 색이고, 확정색이란, 사용자에 의하여 확정 조작된 아이템에 부여되는 색을 말한다. 선택색 - 확정색 개개의 조합은 3개의 패턴이 있고, 각 색의 지정은 색지정 및 배경색에 대한 혼합비로 이루어진다.
(1.1.1.1.4.2.1.3) 하이라이트 정보 - 아이템 정보
『아이템 정보 #1, #2, #3, #4, #5 ······#36』은 참조부호 b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색패턴 번호』, 『개시좌표 X1』, 『개시좌표 Y1』, 『종료좌표 X2』, 『종료좌표 Y2』, 『주변 위치정보』,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로 구성된다.
『색패턴 번호』는 『아이템 색정보』에 포함되는 선택색 - 확정색의 색패턴의 어느 하나를 지정한다. 『개시좌표 X1』, 『개시좌표 Y1』, 『종료좌표 X2』, 『종료좌표 Y2』는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택 또는 확정한 경우, 어느 범위를 『색패턴 번호』로 지시된 색 및 혼합비로 변환하는지를 나타낸다.
『주변 위치정보』는 『상단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하단 키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오른쪽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 『왼쪽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로 이루어지고, 재생장치로의 지시장치, 예를 들면 리모콘의 상하 좌우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②③④⑤⑥⑦⑧의 아이템이 화면 상에 상하 2단에 걸쳐 표시되는 경우({예1}참조), ② 아이템의 『주변 위치정보』 및 ③ 아이템의 『주변 위치정보』는 이하의 {케이스 1} (케이스 2}와 같이 기술한다.
{예 1}
① 계단 ② 부엌 ③ 복도 ④ 응접실
⑤ 세면장 ⑥ 서재 ⑦ 침실 ⑧ 아무데도 조사하지 않음
{케이스 1} ②의 아이템의 『주변 위치정보』
상단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⑥
하단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⑥
오른쪽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③
왼쪽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①
{케이스 2} ③의 아이템의 『주변 위치정보』
상단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⑦
하단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⑦
오른쪽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④
왼쪽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②
{케이스 1}에 대하여 설명한다. ②의 아이템이 선택 상태에 있는 경우 조작자가 오른쪽 키를 누르게 되면, 선택 상태를 ③의 아이템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오른쪽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에 『③』의 아이템 정보의 식별번호를 기술하고 있다.
반대로 왼쪽 키를 누를 때에는 커서를 ①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왼쪽 키를 누를 때 커서 이동 장소』에 『①』의 아이템 정보의 식별번호를 기술하고 있다.
상하단 키를 누를 때에는 커서를 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 때문에 『하단 키를 누를 때의 이동장소 아이템』에 『⑥』의 아이템 정보의 식별번호를 기술한다.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는 각 아이템 정보에 대응되는 명령 필드이고, 본 필드에 기술된 명령은 그 아이템이 확정 조작되어 비로소 디스크 재생장치에 의하여 실행된다. 본 하이라이트 명령에 기술되는 명령은, 기능적으로 설정계 명령(1)과, 분기계(分岐系) 명령(2)으로 크게 분류된다. 여기에서는 설정계 명령(1)에 대하여 설명하고, 분기계 명령(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설정계 명령이란, 디스크 재생장치 내의 범용 레지스터에 값을 대입하고, 범용 레지스터에 대입된 값과 즉치(immediate value)를 이용하여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이다.
범용 레지스터란, 장면에 대해 조작자의 행동 및 조작자의 해답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말하고, 『추리 게임』인 경우, 관계자 질문의 장면, 가택 수색의 장면 등에 있어서 조작자가 행한 행동을 일시적으로 기억할 때 범용 레지스터가 사용된다. 『세계일주 게임』인 경우는 어느 장면에서 조작자의 해답을 일시적으로 기억할 때 범용 레지스터가 사용된다.
설정계 명령의 종류를 도 11에 도시한다. 설정계 명령에는 『SetReg 』, 『Random 』이라는 종류가 존재한다.
1행째의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는 레지스터 번호 필드, 조작내용 필드, 증분(즉치) 필드가 부여되어 있다. 레지스터 번호 필드에는 본 실시예에서의 범용 레지스터 R1∼R3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 조작 내용 필드에는 대입/가산/승산/감산/승제산/AND연산/OR연산/XOR연산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 조작 내용 필드에 『대입』을 지정하여 증분 필드에 수치를 설정하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 내용이 그 수치로 덧쓰기된다. 조작 내용 필드에 『가산』을 지정하여 증분 필드에 수치를 설정하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 내용이 그 수치만큼 가산된다. 조작 내용 필드에 『감산』을 지정하여 증분 필드에 수치를 설정하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 내용이 그 수치만큼 감산된다.
2행째의 난수 발생 명령 『Random 』은 레지스터 번호 필드, 즉치 필드가 부여되고, 정수값 1로부터 즉치 필드에서 지정된 수치까지의 정수 난수를 발생하고, 이것을 레지스터 번호 필드에 지정된 범용 레지스터에 대입한다.
도 8의 메뉴에서의 『①계단』『②부엌』『③복도』『④응접실』∼『⑧아무데도 조사하지 않음』이라는 8개 아이템의 아이템 정보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이하의 {케이스 3}과 같이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를 기술한 것으로 한다.
{케이스 3}
① 계단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
② 부엌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2』
③ 복도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3』
④ 응접실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4』
⑤ 세면장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5』
⑥ 서재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6』
⑦ 침실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7』
⑧ 아무데도 조사하지 않음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8』
이와 같은 8개 아이템 정보의 각각에 하이라이트 명령에 범용 레지스터와 서로 다른 수치를 대입하는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를 기술하여 두면 도 8의 메뉴에 대해 조작자가 어떠한 행동을 취했는지를 디스크 재생장치가 일시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 동화상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에 부가하여, 관리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오브젝트(VOB)는 관리정보 데이터의 하이라이트 정보에 의해 조작자의 확정 조작에 따라서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을 가감산할 수 있다.
또 VOB 유닛마다 관리정보 데이터를 설정함으로써, 디스크 재생장치는 약 0.5초 단위의 시간 정밀도로 조작자의 지시를 입력하여 실행할 내용을 전환할 수 있다.
그 이유를 보충하여 서술하면, 비디오 오브젝트(VOB)를 구성하는 각 팩은 모두 2KB이고, 디스크의 섹터 크기와 합치되기 때문에, 비디오 오브젝트는 디스크의 연속 섹터영역에 빈틈없이 저장되게 된다. 연속 섹터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디스크 재생장치에 의해 장면 등의 대기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재생장치는 약 0.5초 단위마다 영상정보 재생이 도중에 끊어지지 않게 관리 정보를 인출하고, 이에 의거하여 제어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상, 관리정보 팩에 저장된 항법용 제어데이터에 의한 약 0.5초 단위의 시간 정밀도로 행해지는 디스크의 재생 진행에 대한 제어를 GOP 레벨의 재생 제어라고 한다. 이상에서 도 5에서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비디오 오브젝트(VOB)의 설명을 마치고, 다음에 같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의 구성에 대하여설명한다.
(1.1.1.2) 비디오 타이틀 세트 -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는 상술한 비디오 오브젝트군의 복수의 재생순서를 관리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DVD에서는 비디오 오브젝트군의 재생 순서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체인(PGC)이라 한다. 즉, 본 예의 『추리 게임』을 저장하는 비디오 오브젝트라면 비디오 오브젝트 세트 관리정보는 초급, 중급, 상급의 각 코스가 선택된 경우 어떤 식으로 장면을 전개할지를 규정하는 프로그램 체인(PGC)이 복수 저장되게 된다.
도 12A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2A의 참조부호 a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테이블, 비디오 타이틀 세트부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 PGC 관리정보 테이블로 구성된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테이블』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의 헤더 정보로서, 비디오 타이틀 세트부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 PGC 관리정보 테이블의 저장 위치로의 포인터가 저장되어 있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부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은 PGC 관리정보 테이블에 저장되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군의 인덱스로서, 타이틀마다 제일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 체인의 저장 위치로의 포인터를 지정한다. 본 예에서라면, 『추리 게임』에서의 초급, 중급, 상급의 각 코스와, 엔트리로 되는 PGC 정보를 대응지어 저장하고 있다.
『PGC 관리정보 테이블』은 참조부호 a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 저장되는 모든 비디오 오브젝트에 대한 복수의 PGC 정보 1, #2, #3, #4, ·····#n이 저장되어 있다. 각 PGC 정보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 순서를 기술하고 있고, 다른 PGC 정보에 의해 동일한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을 기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비디오 오브젝트에 대하여 복수의 재생 순서를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PGC 정보에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 순서가 VOB#1, VOB#2, VOB#3, VOB#4의 순서로 기술되어 있으면, 비디오 오브젝트는 VOB#1, VOB#2, VOB#3, VOB#4의 순서로 재생된다. 또 다른 PGC 정보에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 순서가 VOB#3, VOB#2, VOB#1, VOB#4의 순서로 기술되어 있으면, 비디오 오브젝트는 VOB#3, VOB#2, VOB#1, VOB#4의 순서로 재생된다. 본 예의 『추리 게임』에서는 다른 PGC를 준비함으로써 비디오 오브젝트에 복수의 재생 순서를 지정할 수 있는 특징을 이용하고, 다른 스토리 전개를 스토리마다 다른 PGC를 준비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다음에 PGC 정보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1.1.1.2.1)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 - PGC 정보
참조부호 a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PGC 정보는 참조부호 a9로 도시된 『PGC 연결정보』와 참조부호 a7로 도시된 『VOB 위치정보 테이블』과, 참조부호 a8로 도시된 『PGC 명령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PGC 연결정보』에는 자신의 PGC 정보와 연결하는 전후의 PGC정보의 지정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디스크 재생장치는 하나의 PGC 정보에 의한 재생이 완료되면『PGC 연결정보』에 따라 다음의 PGC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PGC 정보로 전환하여 재생 제어를 계속하게 된다.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는 장면 전개에서 판독할 비디오 오브젝트(VOB)를 광디스크 상의 어디에 기록하고 있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PGC 명령 테이블』에는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 부수된 항법 제어용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다. 디스크 재생장치는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 의거하는 VOB의 판독 전 및 판독 후에 여기에 기술된 명령을 실행한다.
이하 『저장 비디오 오브젝트 위치정보 테이블』과 『PGC 명령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1.1.2.1.1) PGC 정보 - VOB 위치정보 테이블
도 12B는 『VOB 위치정보 테이블』 및 PGC 명령 테이블의 상세한 내부 구성도이다. 참조부호 a7로 도시된 바와 같이,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는 재생할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각 VOB의 위치정보는 참조부호 a9가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으로 하는 VOB의 재생시간, 비디오 타이틀 세트 내의 저장위치로의 오프세트, VOB를 구성하는 논리블록 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디스크 재생장치는 비디오 오브젝트(VOB)의 판독 시에 비디오 오브젝트(VOB)가 저장되어 있는 모든 논리블록의 논리블록 번호를 산출할 수 있다.
또 VOB 위치정보의 테이블 내의 엔트리 순위는 재생순서를 나타낸다. 도 12B의 경우, VOB#2 위치정보, VOB#4 위치정보, VOB#6 위치정보, VOB#8 위치정보가 차례로 저장되고, 이것은 이 저장순서로 연속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B를 예로 한 『VOB 위치정보 테이블』과 비디오 오브젝트의 기록 장소의 관계를 도 13, 도 15를 이용하여 보충 설명한다.
도 13은 『VOB 위치정보 테이블』과 비디오 오브젝트의 광디스크 상의 기록장소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 도 15는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 의한 비디오 오브젝트(VOB)의 재생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VOB#2, VOB#4, VOB#6, VOB#8은 해칭으로 도시된 기록구간 y101, y102, y103, y104에 저장된다. 이들의 기록구간의 개시위치 『개시』, 종료위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가 『VOB 위치정보』이다. 디스크 재생장치의 광픽업은 『VOB 위치정보』에 기재된 범위 내의 데이터만을 판독하고, 범위 외의 데이터 판독을 스킵(skip)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판독에 의해 기록구간 y101, 기록구간 y102, 기록구간 y103, 기록구간 y104의 순서로 비디오 오브젝트(VOB)는 차례로 재생된다. 또, 도 15에는 도 12A에 도시된 재생장치의 거동에 의해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 수록된 비디오 오브젝트(VOB) 중, 『VOB#2, VOB#4, VOB#6, VOB#8』이 차례대로 재생되어 가는 설명도를 도시한다.
(1.1.1.2.1.2) PGC 정보 - PGC 명령 테이블
도 12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PGC 명령 테이블』은 복수의 명령군과, 이들의 명령군을 『전처리 명령』, 『후처리 명령』의 2 종류로 분류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로 구성된다. 명령은 종류별로 연속하여 저장되고, 인덱스 정보는 각각 전처리 명령군(a11)의 선두로의 포인터, 후처리 명령군(a12)의 선두로의 포인터이다.
명령의 분류는 재생장치에 의한 그 실행 타이밍에 의해 행해진다. 『전처리 명령』은 PGC에 속하는 모든 비디오 오브젝트군의 재생이 행해지기 전에 연속 실행되는 명령군이고, 『후처리 명령』은 PGC에 속하는 모든 비디오 오브젝트군의 재생이 완료되었을 때 연속 실행되는 명령군이다. 또, 구체적인 예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가 도시한 PGC 정보에 의한 비디오 오브젝트의 연속 재생이 행해질 때 전처리 명령군(a11)과 후처리 명령군(a12)의 실행 타이밍도이다.
전처리 명령과 후처리 명령에는 하이라이트 명령을 설명할 때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설정계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처리 명령군(a11)으로서, 즉치 『1』『2』『3』과, 레지스터(R1, R2, R3)를 오퍼랜드에 기재한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2,2』,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3,3』을 전처리 명령 필드에 기술하면 PGC에 의한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이 행해지기 전의 타이밍으로, 범용 레지스터(R1, R2, R3)에 각각 상이한 초기값 『1』『2』『3』을 설정하는 것을 디스크 재생장치에 지시할 수 있다.
또 전처리 명령으로서, 즉치 4 및 범용 레지스터(R1)를 오퍼랜드에 기재한 난수발생 명령 『Random R1,4』를 기술하면 마찬가지로 PGC에 의한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이 행해지기 전의 타이밍으로 1에서 4까지 범위의 정수 난수를 발생시켜 범용 레지스터(R1)에 대입시키는 것을 디스크 재생장치에 지시할 수 있다.
이상, 설정계 명령이 전처리 명령으로서 이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후처리 명령으로서의 설정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PGC 정보에 의한 모든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이 완료된 시점에서 실행되는 점이 다르다.
또 설정계 명령의 본 예의 『추리 게임』에서의 구체적인 이용예로서는, 사용자가 어느 영상 장면을 미리 보았는지를 관리하기 위한 플래그로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스토리의 전개상, 반드시 찾아갈 필요가 있는 장면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이 장면을 재생하는 PGC의 전처리 명령에 플래그 때문에 할당된 레지스터에 값을 세트하는 설정계 명령을 저장하여 둔다. 이로써, 그 장면을 재생하면 반드시 플래그용으로 할당한 레지스터에 값이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장면을 재생할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후처리 명령에는 상술한 설정계 명령에 부가하여 다른 PGC에 대한 분기를 지정하는 분기계 명령이 저장될 경우가 많다. 이것은 후처리 명령에 분기계 명령을 저장함으로써, PGC 연결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디폴트의 다음 PGC 이외로 분기를 행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하, 분기계 명령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1행째의 『Link』명령은 오퍼랜드에 지정된 PGC 번호의 프로그램 체인에 재생 진행을 분기시키는 명령이다. 즉, 이 『Link』명령이 실행되면 디스크 재생장치는 현재 유지하고 있는 PGC 정보에 의한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을 강제 종료하고, PGC정보를 『Link』명령에 의해 지정되는 PGC 정보로 변경하며, 변경한 PGC 정보에 따라 재생 진행을 계속하게 된다. 이 명령은 주로 상술한 하이라이트 명령에서 이용되고, 사용자가 메뉴의 메뉴 항목의 선택 확정에 의해 재생 진행의 분기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아이템 정보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설정된 "링크 명령"을 분기제어정보라고 하고, 하이라이트 명령으로서 이 링크 명령이 설정된 경우의 디스크 재생장치의 재생동작을 유효한 분기제어라고 한다.
또, 하이라이트 명령 등에서 분기계 명령이 실행되고, 재생에 이용되는 PGC 정보가 전환될 경우, 결정된 것으로서, 상술한 후처리 명령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것은 PGC 정보에 의한 재생을 완료하지 않고 모든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을 완료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도 14의 2행째의 『SetRegLink 』명령은 분기 명령 『Link 』,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를 조합시킨 명령이다. 즉,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와 같이, 레지스터의 내용에 대하여 대입/가산/감산 등의 조작을 행하고, 분기 명령 『Link #n 』과 같이 지정된 프로그램 체인으로 분기한다.
이 명령도 주로 하이라이트 명령으로서 이용되고, 예를 들면, 『추리 게임』이라면 탐정에게 안경을 손에 들게 할 것인지, 펜을 손에 쥐게 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메뉴 항목이 표시되고, 선택한 메뉴 항목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행동을 플래그로서 관리하는 레지스터에 값을 설정하고, 다시, 선택한 메뉴 항목이 대응하는 영상 장면으로 분기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3행째의 『CmpRegLink 』명령은, 『Link 』명령에 조건을 가한 분기 명령으로서 레지스터 번호 필드, 즉치 필드(정수값 필드), 분기조건 필드, 분기 장소 필드라는 3가지의 오퍼랜드를 갖는다. 여기에서 레지스터 번호 필드에 있어서 범용 레지스터를 지정할 수 있고, 즉치 필드에 있어서 레지스터 번호 필드에서 지시된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과 비교할 값을 지정할 수 있다. 분기조건 필드에는 『=』(같음) 『≠』(같지 않음) 『<』(∼보다 작음) 『>』(보∼다 큼) 『??』(∼보다 작거나 같음) 『??』(∼보다 크거나 같음) 라는 6가지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레지스터 번호 필드에 기술된 범용 레지스터를 유지하는 값과, 즉치 필드의 값이 이들의 조건에 합치하는지를 디스크 재생장치로 판정시킨다. 분기 조건에 합치되면, 지정된 PGC 정보로 전환하고, 전환한 PGC 정보에 의해 재생 진행을 계속한다.
이 명령은 후처리 명령으로서 이용함으로써, PGC 연결정보에 의해 정해진 디폴트의 다음 PGC 정보 이외의 PGC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본 예의 『추리 게임』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어느 장면을 보았는지의 여부의 판별 플래그가 어느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플래그에 의해 보지 않았다면 디폴트의 진행장소의 PGC#A, 보고 있다면 PGC#B로 분기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플래그의 조합에 의해 스토리 전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도 14의 4행째인 『Play Title』명령은 타이틀 번호 필드를 갖는다. 타이틀 번호는 모든 타이틀의 식별번호이다. 즉, 『Play Title』명령은 타이틀 번호에 의해 특정된 타이틀의 재생 개시를 디스크 재생장치에 지시하는 명령이다. 주로 사용자가 복수의 타이틀로부터 재생하는 타이틀을 선택하기 위한 타이틀 메뉴로 이용되는 명령이다.
이상, 디스크 재생장치가 PGC 정보의 전처리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프로그램 체인이 전처리를 행한다.』로 표현하고, 디스크 재생장치가 후처리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프로그램 체인이 후처리를 행한다.』로 표현한다. 또, PGC 정보에의한 후처리 명령, 전처리 명령을 포함하는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 제어는 경로 레벨의 재생 제어라 한다.
PGC 정보의 데이터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으나, 이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실현되는 경로 레벨의 재생 제어와 관리정보 팩에 의한 GOP 레벨의 재생 제어를 조합시킴으로써 한 장면에서 부영상에 의하여 그려진 몇 장의 메뉴에 대한 확정 조작에 따라 분기 장소를 적절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2A,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PGC 정보 중 PGC 정보 #3은 이 특징적인 분기 장소 결정을 실현하고자 후처리 명령군(a12) 및 아이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도 17에 PGC 정보 #3의 기술 내용을 도시하고, 이에 의한 재생 제어를 제 1 응용예로서 다음에 설명한다.
도 17에 있어서 PGC 정보 #3의 내부 구조는 도 12B와 동일하지만, 전처리 명령군(a11), 후처리 명령군(a12), VOB 위치정보 테이블의 기술내용이 다르다. 도 17에 있어서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는 VOB #3의 기록 장소가 기술되어 있고, 전처리 명령은 범용 레지스터 R1에 즉치 0』을 대입하는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0"』이 기술되어 있다. 후처리 명령군(a12)에는 도 14에 도시된 분기계 명령을 이용한 프로그램 체인의 다중 분기가 기술되어 있다. 프로그램 체인의 다중 분기란, 복수의 조건에 따라서 각각 상이한 프로그램 체인을 분기 장소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도 17의 후처리 명령군 a12에서의 1행째의 『CmpRegLink R1,2,"=",PGC#5』의 『R1,2,"="』는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 내용이 수치 『2』인지 여부의 판정을 기술한다. 『PGC#5』는 『범용 레지스터 R1=2』인 경우의 분기 장소를 프로그램 체인 #5로 설정한다.
2행째의 『CmpRegLink R1,0,"=",PGC#6』의 『R1,0,"="』은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 내용이 수치 『0』인지 여부의 판정을 기술한다. 『PGC#6』은 『범용 레지스터 R=0』인 경우의 분기 장소를 프로그램 체인 #6으로 설정한다.
3행째의 『Link PGC#7』은 분기 장소를 프로그램 체인 #7로 설정한다.
이들 3행의 명령에 의해 『범용 레지스터(R1)의 값이 『2』인 경우는 프로그램 체인 #5로 분기하고, 범용 레지스터(R1)의 값이 『0』인 경우는 프로그램 체인 #6으로 분기하며, 범용 레지스터(R1) 의 값이 『2』, 『0』이외인 경우는 프로그램 체인 #7로 분기한다.』라는 재생 제어가 실현된다.
도 18은 VOB #3에 포함되는 동화상 소재, 부영상 팩, 관리정보 팩에 의하여 어떠한 화상이 어떠한 타이밍으로 화면 상에 나타나는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된 VOB #3은 도 6에 도시된 VOB와 같은 내부 구조로 표현되며, VOBU197,198, VOBU100, VOBU101, VOBU102의 VOB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VOBU99는 동화상 팩(video 197, 198)을 포함한다. VOBU100은 동화상 팩(video 199), 동화상 팩(video 200)을 포함한다. VOBU101은 동화상 팩(video 201, 202)을 포함한다. 동화상 팩(video 197)으로부터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된 화상이 그 팩의 재현화상(v197)이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팩(video 198, 199, 200····)도 그 재현화상을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한다.
재현화상(v197, v198)은 선두(VOBU1)로부터 99번째의 VOBU에서의 동화상 팩(video 197, 198)의 재현화상을 나타낸다. 재현화상(v199, v200)은 선두(VOBU1)로부터 100번째의 VOBU에서의 동화상 팩(video 199, 200)의 재현화상을 나타낸다.
동화상 팩(video 197)의 재현화상은 동화상 팩(video 197)에 저장되어 있는 I 픽쳐, B 픽쳐, P 픽쳐 중 I 픽쳐를 이용하여 재현한 동화상(정지화면)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팩(video 198)의 재현화상은 동화상 팩(video 198)에 저장된 I 픽쳐, B 픽쳐, P 픽쳐 중 I 픽쳐를 이용하여 재현한 동화상(정지화면)을 나타낸다.
도면 중에서는 하나의 VOBU에 있어서, 재현화상은 2장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실제로는 하나의 VOBU에서의 동화상 팩의 재현화상은 I 픽쳐, P 픽쳐, B 픽쳐를 합성함으로써 0.5초분에 해당하는 10장∼15장 정도가 존재하는 점은 유의해야할 것이다.
101번째의 VOBU의 동화상 팩(video 201)의 재현 화상은 시간축(t11) 상에 위치한다. 또 이 시간축(t11) 상에는 2개의 사각형이 나열되어 있다. 이들의 사각형 중 『SP A-101 부영상 정지화면』과 해설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은 동화상 팩(video 201)과 동일 VOBU에 배치된 부영상 팩(SP A-101)에 의하여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영상을 나타낸다.
『관리정보 팩 P-101』과 해설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은 동화상 팩(video 201)과 동일 VOBU에 배치되어 동화상 팩(video 201)의 복호 시에 디스크 재생장치의 버퍼 상에 전개되는 관리정보 팩 P-101을 나타낸다.
125번째의 VOBU 동화상 팩(video 250)의 재현 화상은 시간축(t12) 상에 위치한다. 또 이 시간축(t12) 상에는 2개의 사각형이 나열되어 있다. 이들의 사각형 중 『SP A-125 부영상 정지화면』과 해설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은 동화상 팩(video 250)과 동일 VOBU에 배치되어 있는 부영상 데이터(SP A-125)에 의해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 영상을 나타낸다.
『관리정보 팩 P-125』와 설명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은 동화상 팩(video 250)과 동일 VOBU에 배치되어 동화상 팩(video 250)의 복호 시에 디스크 재생장치의 버퍼 상에 전개되는 관리정보 팩 P-125를 나타낸다.
이들의 부영상 팩 이외에도 VOB 내에는 많은 부영상 팩이 존재하고, 그것에 의하여 재현화상이 그림으로 묘사되지만, 그들은 자막의 그림으로 묘사를 목적으로 하고, 여기에서 설명할 재생 제어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희박하므로 도시는 생략한다.
도 19A에 10번째의 VOBU 동화상 팩(video 201), 부영상 팩(SP A-101)의 재현 상황과, 이 재현 시에 디스크 재생장치의 버퍼 상에서 전개된 관리정보 팩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면 오른쪽 윗부분에 동화상 팩의 재현화상과 부영상 팩의 재현화상과 중합시킨 표시상태를 도시한다. 도 19A 좌측은 부영상 버퍼, 동화상 버퍼의 복호가 행해지는 동안 디스크 재생장치의 버퍼 상에 전개된 관리정보 팩의 내용 중, 하이라이트 정보의 내용을 계층적으로 도시한다. 재현화상의 Yes 아이템, No 아이템으로부터 점선 화살표가 그려지고, 그 위치에 각각 아이템 정보(m101, m102)가 존재한다. 이것은 부영상 팩(SP A-101)에 의하여 그림으로 묘사된 부영상에서의 Yes 아이템, No 아이템의 아이템 정보가 관리정보 팩 P-101내의 아이템 정보(m101,m102)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의 아이템 정보는 모두 도 10B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아이템 정보(m101)의 『종료좌표 Y2』 아래에 『No 아이템』이라는 설명서가 기술되어 있는 것은 아이템 정보(m101)의 도 10B에 그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주변 위치 정보』의 『왼쪽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오른쪽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의 난에 No 아이템의 식별자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9A의 아이템은 1단뿐이므로 도 10B에 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상단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하단 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는 아직 기술되지 않았다.
아이템 정보(m102)의 『종료좌표 Y4』아래에 『Yes 아이템』이라는 해설서가 기술되어 있는 것은 아이템 정보(m102)의 도 10B에 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주변 위치정보』의 『왼쪽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오른쪽키를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난에 Yes 아이템의 식별자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9A의 아이템은 1단뿐이므로, 『상단 키를 누를 때의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 『하단 키 누를 때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는 아직 기술되지 않았다.
아이템 정보(m101)에 있어서, 『SetRet R1,1,"+"』로 기술되어 있는 것은 아이템 정보(m101)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범용 레지스터(R1)의 값을 "1"만큼 가산한다는 의미의 설정계 명령이 기술된 것을 의미한다.
아이템 정보(m102)에 있어서, 『SetReg R1,-1,"+"』로 기술되어 있는 것은 아이템 정보(m102)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범용 레지스터(R1)의 값을 "1"만큼감산한다는 의미의 설정계 명령이 기술된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아이템 정보(m101)의 『오른쪽키를 누를 때 커서 이동장소』『왼쪽키를 누를 때 커서 이동장소』에는 『No』아이템이 설정되고, 아이템 정보(m102)의 『오른쪽키를 누를 때 커서 이동장소』『왼쪽키를 누를 때 커서 이동장소 』는 『Yes』아이템이 설정된다. 이들의 설정에 의해 커서는 『Yes』『No』아이템 상을 천이한다. 부영상 팩(SP A-101)의 Yes 아이템이 커서로 지시된 상태에서 확정 조작되면 아이템 정보(m101)의 하이라이트 명령에 기술된 명령 『SetReg R1,1,"+"』에 의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이 1 가산된다. 『No』아이템이 지시된 상태에서 확정 조작되면 아이템 정보(m102)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기술된 명령 『SetReg R1,-1』에 의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이 1 감산된다.
도 19B는 125번째의 VOBU 동화상 팩(video 250), 부영상 팩(SP A-125)의 재현 상황과, 이 재현 시에 디스크 재생장치의 버퍼 상에 전개되는 관리정보 팩의 내용을 모식도이다. 도면중 오른쪽 윗부분에 동화상 팩의 재현화상과 부영상 팩의 재현화상을 중합시킨 표시상태를 도시한다. 도 19B 좌측은 동일 VOBU(125)에서의 관리정보 팩(P-125) 중 하이라이트 정보의 내용을 계층적으로 도시한다. 부영상 팩(SP A-125)의 Yes 아이템, No 아이템으로부터 점선 화살표가 연장되고, 그 앞에 각각 아이템 정보(m125), 아이템 정보(m126)가 존재한다. 이것은 부영상에서의 Yes 아이템, No 아이템의 아이템 정보가, 관리정보 팩(P-125) 내의 아이템 정보(m125), 아이템 정보(m126)에 대응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들의 아이템 정보는 모두 도 10A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아이템 정보(m125)의 『오른쪽키를 누를 때커서 이동장소』『왼쪽키를 누를 때 커서 이동장소』에는 『No』아이템이 설정되고, 아이템 정보(m126)의 『오른쪽키를 누를 때 커서 이동장소』『왼쪽키를 누를 때 커서 이동장소』는 『Yes』아이템이 설정된다. 이들의 설정에 의해 커서는 『Yes』『No』아이템 상을 천이한다.
아이템 정보(m125)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는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가 기술되고, 아이템 정보(m126)의 『No』아이템에 대응하는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가 기술된다.
마찬가지로 부영상 팩(SP A-125)의 Yes 아이템이 커서로 지시된 상태에서 확정 조작이 되면 아이템 정보(m125)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기술된 명령 『SetReg R1,1,"+"』에 의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이 1 가산된다. 『No』아이템이 지시된 상태에서 확정 조작되면 아이템 정보(m126)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기술된 명령 『SetReg R1,-1』에 의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이 1 가산된다.
도 20은 화살표 t21, t22, t23, t24 방면으로 5개의 재현화상(V198, V201, V210, V220, V250)을 배열한다. 이들의 재현화상에는 『video 198』『video 201』『video 210』『video 220』『video 250』이라는 해설서가 존재한다. 이것은 이들의 재현화상(V198, V201, V210, V220, V250)이 도 18에 도시된 동화상 팩(video198, 201, 210, 220, 250)이 시계열 순서로 복호됨으로써, 화살표의 순서로 화면 상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화살표 순서로 재현화상의 내용을 따라가면 VOB의 선두로부터 동화상 팩(video 201)까지의 재생에 의하여 등장인물이 슬픈 표정을 짓는 영상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화상 팩(video210)의 선두로부터 동화상 팩(video 250)까지의 재생에 의하여 등장인물이 화난 표정을 짓는 영상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것을 알았다. 이들의 재현화상 중 재현화상(V201) 상부에는 부영상 팩(SP A-101)의 복호에 의하여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 관리정보 팩(P-101)의 기술내용의 해설서가 중합되어 있고, 재현화상 중 재현화상(V250) 상부에는 부영상 데이터(SP A-125)의 복호에 의해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 관리정보 팩(P-125)의 기술내용의 해설서가 중합되어 있다. 이것은 등장인물이 슬픈 표정을 짓는 시점 및 화난 표정을 짓는 시점에 있어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가 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0에 있어서, 부영상 팩(SP A-101, 125)에서의 메뉴에 있어서 『Yes』아이템으로 확정 조작된 경우(총 2회 Yes로 대답한 경우),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가 2회 실행되기 때문에,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은 『2』로 된다. 이들의 범용 레지스터의 대입을 거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련의 동화상의 재생이 종료되고, 재생 제어가 도 19A, B에 도시된 GOP 레벨로부터 도 17의 PGC 정보에서의 경로 레벨로 이행한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값은 『2』가 되어 있으므로 도 17의 후처리 명령군(a12)의 2행째 명령 『CmpRegLink R1,2,"=",PGC#5』에 의하여 범용 레지스터의 값이 『2』인 것이 판정된다.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이 『2』와 합치되었으므로 프로그램 체인 #5로 분기한다.
또 도 20의 설명도에 있어서 부영상 팩(SP A-101)의 메뉴에서 Yes(No), 부영상 팩(SP A-125)의 메뉴에서 No(Yes)로 답한 경우, 관리정보 팩(P-101) 및 관리정보 팩(P-125)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기술된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가 1회 실행되고,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가 1회 실행되기 때문에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은 『0』으로 된다. 이들 범용 레지스터의 대입을 거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련의 동화상 재생이 종료되고, 재생 제어가 도 19A, B에 도시된 GOP 레벨로부터 도 17에 도시된 PGC 정보의 경로레벨의 재생 제어로 이행한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값은 『0』이 되어 있으므로, 1행째의 명령이 『불일치』로 되어 2행째의 명령 『CmpRegLink R1,0,"=",PGC#6』이 실행된다. 2행째의 명령에 의하여 범용 레지스터의 값이 『0』인지가 판정되어 이 조건에 합치하므로 프로그램 체인(#6)으로 분기한다.
또한 도 20의 설명도에 있어서, 부영상 팩(SP A-101)의 메뉴에서 『No』, 부영상 팩(SP A-125)의 메뉴에서 『No』로 답한 경우, 관리정보 팩(P-101) 및 관리정보 팩(P-125)의 하이라이트 명령에 기술된 레지스터 조건 명령 『SetReg R1,-1"+"』가 2회 실행되기 때문에,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은 『-2』로 된다. 범용 레지스터의 값이 『-2』이면 도 17의 후처리 명령군(a12)에 도시된 1행째, 2행째의 명령의 무엇과도 일치하지 않으므로 3행째의 명령으로 이행하고, 3행째의 명령 『Link PGC#7』에 있어서 프로그램 체인(#7)으로 분기한다.
도 20에 있어서, 부영상 팩(SP A-101, A-125)에 의하여 그림으로 묘사된 2장의 메뉴에 대한 해답에 의해 상기의 후처리는 3가지가 다른 프로그램 체인으로 분기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기 장소의 프로그램 체인(#5,6,7)이 각각 3개의 VOB에 대응되고, 3개의 VOB가 도 21의 일례와 같은 3개의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21에서의 3개의 동화상 데이터는 등장인물의 3가지 행동 패턴을 촬영한 실제 영상이다. 이들은 도 17에 도시된 후처리의 분기 장소 프로그램 체인(#5,6,7)에 대응되어 있으므로, 도 21에서의 3개의 동화상 데이터는 도 20에서의 2장의 메뉴에 대한 해답과, 상술한 후처리에서의 다중 분기에 의해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 체인이 선택된다. 이와 같은 선택에 의거하여 재생되는 동화상 데이터는 등장인물의 행동 패턴의 하나이기 때문에, 조작자는 2장의 메뉴에 대한 조작으로 영상 중의 등장인물의 행동이 전환된 것 같이 느낀다.
또, 이들 2장의 메뉴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장인물의 표정 변화에 따라 0.5초 정밀도로 동기하여 필요한 기간만 표시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스토리 전개 중에서 실시간으로 등장인물의 행동 내용을 메뉴 조작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마치 등장인물의 의사결정을 자신이 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가상 현실을 즐길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이 어떠한 스토리 전개를 의미하는지의 설명을 보충한다. 도 20에 있어서 동화상 팩(video 198)의 재현화상∼동화상팩(201)의 재현화상에서의 등장인물의 표정은 등장인물이 사건의 중대한 단서를 알고 있는 것 같은 의미있는 표정이다. 부영상 팩(SP A-101)에서 그림으로 묘사한 메뉴에서 조작자에게 한 장째의 메뉴를 제시하는 것은 그 등장인물에 대하여 사건의 진상 추구를 강요하는지를 묻는 것이다.
갑자기 돌변하여 동화상 팩(video 210∼250)의 재현화상과 등장인물의 표정 및 부영상 팩(SP A-125)에서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의 내용은 등장인물이 감정적이되어 사건의 추구를 방해하는 언동이다. 조작자에게 그 2장째의 메뉴를 지시하는 것은 조건의 진상 추구를 얼마만큼 적극적으로 행하는지 조작자에게 묻는 것이다.
도 20에 있어서 한 장째의 메뉴에서 Yes라고 해답하고, 2장째의 메뉴에서 Yes로 해답하는 것은 주인공으로 분한 조작자가 사건의 해명을 위하여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2장째의 메뉴에 대하여 Yes/Yes라고 해답하면 프로그램 체인(#3)의 후처리에 의해 프로그램 체인(#5)으로 분기하고, 도 21 상단의 동화상 데이터가 화면에 나타나지만, 이것은 등장인물이 주인공의 적극적인 행동에 설득되어 자신이 알고 있는 진상을 말하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도 20에 있어서 한 장째의 메뉴에서 No라고 해답하고, 2장째의 메뉴에서 No라고 해답하는 것은 주인공으로 분한 조작자가 소극적인 행동을 취한 것을 의미한다. 2장째에 대하여 메뉴에서 No, No라고 해답하면 프로그램 체인(#3)의 후처리에 의해 프로그램 체인(#7)으로 분기하고, 도 21 하단의 동화상 데이터가 화면에 나타나지만, 이것은 주인공의 소극적인 행동에 어이가 없어 등장인물이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0에 있어서 한 장째의 메뉴에서 No라고 해답하고, 2장째의 메뉴에서 Yes라고 해답하는 것은 주인공으로 분한 조작자가 적극적도 소극적도 아닌 불확실한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2장째에 대하여 메뉴에서 No, Yes라고 해답하면 프로그램 체인(#3)의 후처리에 의해 프로그램 체인(#6)으로 분기하고, 도 21 중단의 동화상 데이터가 화면에 나타나지만, 이것은 등장인물이 주인공의 불확실한 행동을 보고 있는 중에 주인공에게 불신감을 안겨주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의하여 분기하는 경우와 후처리에 의하여 분기하는 경우의 용도를 비교한다.
상기 응용예 1에서는 관리정보 팩(P101, P125)에 있어서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으로 범용 레지스터의 값을 설정하고, 후처리 명령에 의거하여 분기하지만, VOBU101에서의 부영상 팩(SP A101)에 의하여 그림으로 묘사된 Yes, No 아이템 및 관리정보 팩(P101)의 하이라이트 정보 내의 아이템 정보(m101, m102)의 내용을 다음의 {응용예 2}와 같이 바꾸고, 재현화상(201)이 표시된 타이밍으로부터 도 21에 도시된 PGC정보#5, PGC정보#6, PGC정보#7로 분기하여도 된다.
{응용예 2}
부영상 팩(SP A101)에서의 아이템 ① 질문을 계속함
② 질문을 중지함
③ 알 수 없음 (모름)
관리정보 팩(P101)의 아이템정보#1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 Link PGC#5
아이템정보#2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 Link PGC#6
아이템정보#3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 Link PGC#7
이 경우, 화면 상은 도 20에 도시된 재현화상(V201)으로부터 도 21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동화상 데이터의 재현화상으로 전환된다. 이 전환은 좋게 말하면 스피디하지만, 나쁘게 말하면 갑작스러운 전환이다. 즉, 응용예 1이 동화상 데이터에 의하여 표현되는 등장인물의 몸짓이나 표정의 변화를 중시하여 장면의 재생이 완전히 끝난 타이밍에서 분기 장소를 결정하는 것과 바람직한 대상이다. 이 점을 고려하면, PGC에서의 장면 전개가 그다지 돌연하게 전환되지 않도록 연출하고 싶은 경우는, 응용예 1과 같이 한 장면에 대하여 조작자가 취한 행동을 일시적으로 범용 레지스터에 축적하여 두고, 후처리에서 범용 레지스터의 축적값에 따라 분기하면 된다.
이에 대하여, 장면 전개를 돌연하게 스피디하게 전환하여 조작자의 의표를 찌르게 하고 싶은 경우, 한 장면에서 조작자가 메뉴에 대하여 행동을 취한 타이밍에서 다른 프로그램 체인으로 분기한다. 이로써 조작자의 눈앞에는 지금까지의 장면과는 다른 장면이 나타나게 되고, 완전하게 의사 표시를 할 수 있는 자세로 된다.
다만 유의해야 할 것은 하이라이트 명령으로 분기하는 것은 아이템 조작과 분기가 1:1 관계로 되는 점이다. 즉, 처음에 조작자는 돌연한 장면 전환에 놀랐으나 , 어느 아이템을 선택하면 어느 장면으로 분기하는지에 익숙해진다는 것이다. 하이라이트 명령으로부터의 분기만을 많이 사용하기보다는 하이라이트 명령으로부터의 분기와 후처리에 의한 분기를 혼합하여 하이라이트 명령으로부터의 분기에만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메뉴에 의해 지망코스를 선택시켜 어느 하나의 PGC 정보로 분기시키는 경우 갑자기 속도감이 요구되므로 하이라이트 명령으로부터의 분기가 바람직하다. 반대로, 장면 전개가 드라마틱하고 유희 대상이라고 하기보다 개개의 장면을 조작자에게 숙달시키고 싶은 경우, 응용예 1과 같이 2∼3초라는 얼마 안되는 구간에 아무렇지도 않은 듯 메뉴를 표시하고, 조작자의 행동을 축적하여 장면의 마지막에 이것에 의하여 분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설명을 마치고, 다음에 비디오 매니저에 대해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1.2) 논리구조 - 비디오 매니저
비디오 매니저의 구성은 비디오 오브젝트와 PGC 관리정보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데이터 구조에 준거하여도 된다. 비디오 매니저의 VOB와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VOB의 차이점은 비디오 매니저가 볼륨 메뉴용으로 특화(特化)되어 있는 점이다. 여기에서 볼륨 메뉴란, 광디스크에 수록된 모든 타이틀을 일람 표시시켜 어느 하나의 타이틀을 선택시키기 위한 메뉴로서, 광디스크가 디스크 재생장치에 장전되어 광픽업이 볼륨 관리영역으로부터 파일 영역으로 이동한 직후에 화면 상으로 표시된다.
이 볼륨 메뉴용으로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 매니저와 비디오 타이틀 세트 사이에는 다음의 제 1, 제 2 차이점이 있다. 우선 첫 번째로,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VOB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영상의 동화상 데이터, 부영상 팩, 오디오 팩을 포함하는 것에 대하여 비디오 매니저의 VOB는 메뉴의 배경 영상의 화면 팩, 메뉴용의 부영상 팩 및 관리정보 팩을 포함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둘째로,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PGC 정보 및 하이라이트 정보에 기술된 분기계 명령의 분기 장소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영역을 넘지 않는 것에 대하여, 비디오 매니저에 기술된 분기계 명령은 광디스크에서의 몇 개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타이틀을 분기 장소로 하고, 비디오 타이틀 세트 사이에 걸친다는 점이다. 도 32에 비디오 매니저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매니저』는『메뉴용 비디오 오브젝트』, 『메뉴용 PGC 관리정보 테이블』,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로 구성된다.
『메뉴용 비디오 오브젝트』는 그 명칭대로 볼륨 메뉴용으로 특화된 VOB이다. 즉, 볼륨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부영상 팩과, 당해 메뉴에 대한 커서 조작, 확정 조작에 따른 재생 제어를 행하기 위한 관리정보 팩을 포함한다. 도 33은 볼륨 메뉴용 표시영상의 설명도이다. 메뉴용 비디오 오브젝트는 복수의 아이템(y611, y612, y613····y616)을 갖는다. 이들 아이템은 『추리 게임』<초심자 코스>『추리 게임』<중급자 코스>라는 타이틀 중, 어느 하나를 특정시키기 위한 내용이다. 이와 같은 아이템에 대하여 사용자가 확정 조작함으로써, 이것으로부터 재생되는 타이틀이 지정된다. 볼륨 메뉴용으로 특화된 VOB에 존재하는 관리정보 팩은 도 33에서의 광디스크에서의 6개의 코스의 하이라이트 정보가 엔트리된다. 이들의 하이라이트 정보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는 각 비디오 타이틀 세트 및 각 타이틀을 분기 장소로 한 "TitlePlay" 명령이 저장된다.
『메뉴용 PGC 관리정보 테이블』은 볼륨 메뉴용으로 특화된 PGC 정보로서, 디스크 재생장치로의 장전 시에 메뉴용 VOB가 판독되도록 당해 메뉴용 VOB의 기록 장소가 기술되어 있다. 이 PGC 정보는 광디스크가 디스크 재생장치에 장전되어 광 픽업이 볼륨 관리 영역으로부터 파일영역으로 이동한 직후에 디스크 재생장치에 의하여 판독된다. 이로써, 볼륨 메뉴가 화면 상에 나타나게 된다.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은 각 타이틀이 소속하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및 비디오 타이틀 세트 내에서 각 타이틀에 붙여진 타이틀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인덱스이다.
이상으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인 DVD의 설명을 마치고, 다음에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2.1) 디스크 재생장치의 개요
광디스크의 DVD 플레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DVD 플레이어(1), 텔레비전 모니터(2) 및 리모콘(91)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DVD 플레이어(1)는 틀체 정면에 개구를 갖고, 개구의 안쪽 방향에는 광디스크를 세트하는 드라이브 기구가 설치된다.
DVD 플레이어의 정면에는 리모콘이 발신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를 갖거나 리모콘 수신부(92)가 설치되고, 조작자가 파지한 리모콘에 대해 조작이 있으면 리모콘 수신부(92)는 키 신호를 수신했다는 의미의 삽입신호를 발신한다.
DVD 플레이어의 배면에는 비디오 출력단자, 오디오 출력단자가 구비되고, 여기에 AV 코드를 접속하는 것으로 DVD로부터 재생된 영상신호를 가정용의 대형 텔레비전 모니터(2)로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자는 33인치, 35인치 등 가정용 대형 텔레비전에 의하여 DVD 재생영상을 즐길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DVD 플레이어(1)는 퍼스널 컴퓨터 등과 접속하여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가정용 전화기기로서 텔레비전 모니터(2)와 함께 이용되는 것이다.
리모콘(91)은 그 틀체 표면에 스프링력의 키패드가 설치되고, 누른 키에 대응하는 코드를 적외선으로 출력한다. 도 23에 조작 리모콘(91)의 조작 패널을 도시한다. 본 패널에 있어서 『POWER』키는 DVD 플레이어 전원의 ON/OFF를 행한다. 『MENU』키는 프로그램 체인의 재생 도중에 광디스크의 볼륨 메뉴를 불러낼 목적으로 사용된다. 텐키는 영화에서의 장면 점프, 음악에서의 곡 선택 등에서 사용된다. 상하 좌우의 커서 키는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ENTER』키는 커서로 선택한 항목을 확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하 좌우의 커서 키에 의하여 아이템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면 커서가 존재하는 아이템은 관리정보 팩의 아이템 색정보의 선택색으로 표시되고, 『ENTER』키로 확정하면 확정색으로 표시된다. 그 이외에 『재생』, 『정지』, 『포즈』, 『빨리 감기』, 『되감기』키 등 다른 AV 기기와 공통적인 키가 준비된다.
(2.2) 디스크 재생장치의 구성요소
도 24는 본 실시예에서의 DVD 플레이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DVD 플레이어는 드라이브 기구(16), 광픽업(82), 기구 제어부(83), 신호 처리부(84), AV 디코더부(85), 리모콘 수신부(92), 시스템 제어부(93)로 구성된다. 또 AV 디코더부(85)는 신호 분리부(86), 비디오 디코더(87), 부영상 디코더(88), 오디오 디코더(89) 및 영상 합성부(90)로 구성된다.
드라이브 기구(16)는 광디스크를 세트하는 기초대와, 세트된 광디스크를 클램프하여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81)를 포함한다. 또 광디스크를 세트하는 기초대는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기구에 의하여 틀체 내외로 전후 이동한다. 기초대가 틀체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조작자는 광디스크를 탑재한다. 광디스크가 기초대에 탑재되어 기초대가 DVD 플레이어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광디스크는 DVD 플레이어에 장전된다.
기구 제어부(83)는 디스크를 구동하는 모터(81) 및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는 광픽업(82)을 포함하는 기구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구 제어부(83)는 시스템 제어부(93)로부터 지시된 트랙 위치에 따라 모터 속도를 조정한다. 그와 함께 광픽업(82)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픽업 위치를 이동하고, 서보 제어에 의해 정확한 트랙을 검출하면 원하는 물리섹터가 기록된 곳까지 회전 대기하고 원하는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신호를 판독한다.
신호 처리부(84)는 광픽업(82)으로부터 판독된 신호에 증폭, 파형 정형, 2치화, 복조, 에러정정 등의 처리를 시행하여 디지털 데이터열로 변환하고, 시스템 제어부(93) 내의 버퍼 메모리(후술한다.)에 논리 블록 단위로 저장한다.
AV 디코더부(85)는 입력되는 VOB인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분리부(86)는 버퍼 메모리로부터 논리 블록(패킷)단위로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열을 받아들이고, 각 패킷의 헤더 내의 스트림 ID, 서브 스트림 ID를 판별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관리정보 팩을 배분한다. 이 배분에 있어서, 동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87)로 출력된다.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89)로, 부영상 데이터는 부영상 디코더(88)로 각각 출력된다. 관리정보 팩은 시스템 제어부(93)로 출력된다. 이 때 신호분리부(86)는 시스템 제어부(93)로부터 번호가 지시된다. 이 번호는 도 6의 설명도에 도시된 오디오 데이터(A,B,C), 부영상 데이터(A,B)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고, 해당 번호가부여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당해 번호를 오디오 디코더(89), 부영상 디코더(88)로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번호 이외의 데이터를 파기한다.
(2.2.1) 디스크 재생장치의 구성 요소 - 신호 분리부(86)의 내부 구성
도 25는 도 24에서의 신호 분리부(86)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와 같이 신호 분리부(86)는 MPEG 디코더(120),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 부영상 선택부(122), 오디오 선택부(123)로 구성된다.
MPEG 디코더(120)는 버퍼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각 데이터 팩에 대하여 팩 헤더 중의 스트림 ID를 참조하여 팩의 종류를 판별하고, 「1110 0000」이라면 비디오 디코더(87)로 출력한다. 「1011 1101」이라면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로 출력하고, 「1011 1111」이라면 시스템 제어부(93)로 출력한다.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는 MPEG 디코더(120)로부터 입력되는 패킷에 대하여 패킷 헤더 중의 서브 스트림 ID가 「001* ****」이라면 부영상 선택부(122)로 출력한다. 서브 스트림 ID가 「10100***」「10000***」이라면 오디오 선택부(123)로 그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 결과, 모든 번호의 부영상 데이터가 부영상 선택부(122)로, 모든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선택부(123)로 각각 출력된다.
부영상 선택부(122)는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로부터의 부영상 데이터 중 시스템 제어부(93)에 지시된 번호의 부영상 데이터만을 부영상 데이터(88)로 출력한다. 지시된 번호 이외의 부영상 데이터는 파기된다. 도 5의 설명도에 도시된 부영상 데이터(A,B)가 각각 영어, 프랑스어의 자막이고,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하여 부영상 데이터(A)가 지시되면 부영상 선택부(122)는 부영상 패킷(A)만을 부영상디코더(88)로 출력하고, 부영상 패킷(B,C)을 폐기한다. 이로써 영어 자막만이 부영상 디코더(88)에 의하여 복호된다.
오디오 선택부(123)는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중, 시스템 제어부(93)에 지시된 번호의 오디오 데이터만을 오디오 디코더(89)로 출력한다. 지시된 번호 이외의 오디오 데이터는 파기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설명도에 도시된 오디오 데이터(A,B,C)가 각각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이고,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하여 오디오 데이터(A)가 지시되면 오디오 선택부(123)는 오디오 패킷(A)만을 오디오 디코더(89)로 출력하고, 오디오 패킷(B,C)을 폐기한다. 이로써 영어 음성만이 오디오 디코더(89)에 의하여 복호된다.
비디오 데이터(87)는 신호 분리부(86)로부터 입력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해독, 신장하여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서 영상 합성부(90)로 출력한다.
부영상 데이터(88)는 신호 분리부(86)로부터 입력되는 부영상 데이터가 실행길이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에는 그것을 해독·신장하여 비디오 신호와 같은 형식으로 영상 합성부(90)로 출력한다. 이미지 데이터가 복수개의 아이템이고 이들의 아이템에 대하여 조작자가 커서를 이동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이미지 데이터의 색지정의 변환지시(색변환 지시라고도 함)를 부영상 디코더(88)에 부여한다. 이 색변환 지시는 하이라이트 정보 내의 아이템 색번호에 의거하여 행해지므로, 이 색변환 지시에 의해 아이템이 선택색 혹은 확정색으로 전환된다. 이 선택색-확정색의 전환에 의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가 아이템 사이를 천이한다.
도 24를 재차 참조하여 DVD 디코더(1)의 내부 구성의 설명을 계속한다. 오디오 디코더(89)는 신호 분리부(86)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해독, 신장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한다.
영상 합성부(90)는 비디오 디코더(87)의 출력과 부영상 디코더(88)의 출력을 시스템 제어부(93)에 지시된 비율로 혼합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 혼합비는 하이라이트 정보의 『아이템 색정보』에 기술된 콘트라스트에 의거하는 것이고, GOP마다 이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신호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텔레비전 모니터(2)에 입력된다.
(2.2.2) 디스크 재생장치의 구성요소 - 시스템 제어부(93)의 내부 구성
시스템 제어부(93)는 DVD 플레이어 전체를 제어하는 도 26의 내부 구성을 갖는다. 도 26에 의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버퍼 메모리(94), 관리정보 팩 버퍼(95), 내장 프로세서(96), 범용 레지스터 세트(97), PGC정보 버퍼(31),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와 커서 위치메모리(33)를 내장한다.
내장 프로세서(96)는 DVD 플레이어(1) 전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과, 작업용 메모리와, CPU를 일체화하여 구성된다. CPU는 설정계 명령, 분기계 명령을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로부터 차례로 인출하는 인출부와, 인출된 설정계 명령, 분기계 명령을 축적하는 명령과, 명령 버퍼 내의 오퍼레이션 코드 및 오퍼랜드를 해독하는 해독부와,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 내용과 명령 버퍼에 저장된 즉치로 오퍼레이션 코드로 지시된 연산 내용의 연산을 행하는 연산기와, 연산기의 연산 결과 및 오퍼랜드에 기술된 즉치를 범용 레지스터에 전송하기 위한 버스를 포함한다. 버퍼 메모리(94)에는 증폭, 파형 정형, 2치화, 복조, 에러정정 등의 처리를 거친데이터가 기록된다. 기록된 데이터가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라면 도시하지 않은 버퍼에 이것을 내장한다. 한편 VOB라면 시스템 제어부(93)는 1팩씩 신호 분리부(86)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전송되면 AV 디코더부(85)로부터 관리정보 팩이 반송된다.
관리정보 팩 버퍼(95)는 신호 분리부(86)로부터 반송되는 관리정보 팩을 저장하는 버퍼이다. 내장 프로세서(96)는 저장된 관리정보 팩 내의 하이라이트 일반 정보가 포함된 『전 VOB로부터의 변경있음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에 기억된 하이라이트 정보의 덧쓰기 지시, 혹은 하이라이트 명령만의 덧쓰기 지시를 관리정보 팩 버퍼(95)에 부여한다. 이 지시에 의해 관리정보 팩 버퍼(95)는 자신이 저장한 관리정보 팩의 하이라이트 정보로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의 저장 내용을 덧쓰기한다.
범용 레지스터 세트(97)는 DVD 플레이어의 시스템 제어부(93)가 타이틀 제작자에게 해방하고 있는 범용 레지스터, 범용 타이머로 된다.
PGC 정보 버퍼(31)는 현재 선택된 PGC정보를 저장한다.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는 내부 영역이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된 버퍼이다. 개개의 소영역에는 도 10B에 도시된 포맷과 같이 하이라이트 정보가 저장된다. 내장 프로세서(96)는 이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로부터 커서의 이동장소, 선택색·확정색, 하이라이트 명령을 적절하게 인출한다.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에 저장된 하이라이트 정보는 내장 프로세서(96)의 지시에 따라 관리정보 팩 버퍼(95)에 기억된 새로운 것으로 덧쓰기된다. 즉, VOB에 인터리브된 막대한양의 관리정보 버퍼 중 VOB가 현재 재생된 장소에 필요한 하이라이트 정보만이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에 저장된다.
커서위치 메모리(33)는 현재 커서가 있는 아이템의 아이템 번호를 저장한다.
또, 보충하면 커서위치 메모리(33)는 본 발명과의 관계가 희박하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시스템 레지스터군의 하나로서 실현된다. 커서위치 번호 유지용 이외의 시스템 레지스터로서는 현재, 유효한 타이틀 번호나 PGC 번호나 음성채널(음성 서브스트림 번호)나, 부영상 채널(부영상 서브스트림 번호)을 유지하는 레지스터가 각각 존재한다.
(2.3.1) 시스템 제어부(93)의 동작(통상 동작)
이하, 도 27을 참조하여 시스템 제어부(9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사용자 대화가 없는 경우 통상의 재생 제어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하이라이트 명령이나 PGC의 전처리 명령, 후처리 명령 등이 실행되는 경우 특정한 재생 제어동작에 대해서는 다음항 이후에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7A, B는 시스템 제어부(93)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 전체 흐름이다. 도 27A, B를 참조하여 DVD 플레이어(1)의 동작을 설명한다.
DVD 플레이어(1)의 이젝트 보턴을 누르면 베이스가 틀체 바깥측으로 이동한다. 베이스가 바깥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조작자는 광디스크를 탑재한다. 베이스에 탑재되어 베이스가 DVD 플레이어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광디스크는 DVD 플레이어에 장전된다. 시스템 제어부(93)는 단계 121에서, 광디스크의 누름 대기 상태가 된다. 광학센서 등으로부터 광디스크의 장전이 통지되면 기구 제어부(83) 및 신호처리부(84)를 제어함으로써, 광픽업(82)을 리드인 영역에 배치한 채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한다. 리드인 영역에 배치한 채 디스크 회전을 회전 동작이 안정될 때까지 계속한다. 회전동작이 안정되면 광픽업을 리드인 영역으로부터 외주로 이동시켜 볼륨 관리영역을 판독한다. 볼륨 관리영역의 정보에 의거하여 비디오 매니저를 판독한다(단계 122). 또 시스템 제어부(93)는 비디오 매니저의 메뉴용 PGC 관리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볼륨 메뉴용의 프로그램 체인의 기록 어드레스를 산출하고, 이것을 재생하여 PGC 정보 버퍼(31)에 유지한다. 볼륨 메뉴용의 프로그램 체인이 내부에 유지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유지된 PGC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을 행하는 비디오 오브젝트(VOB) 및 그 광디스크 상의 기록 어드레스를 산출한다. 재생할 비디오 오브젝트가 결정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기구 제어부(83) 및 신호 처리부(8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결정한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디스크로부터 인출하여 재생한다. 이로써, 도 33에 도시된 볼륨 메뉴가 텔레비전 모니터(2)에 영상 표시된다(단계 123).
이 타이틀의 일람표를 보고 조작자가 흥미있는 메뉴 항목을 선택 확정했다고 하자(메뉴에서의 메뉴항목의 선택을 확정할 때 시스템 제어부(93)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 항에서 서술한다.). 메뉴항목의 하이라이트 명령으로서 "PlayTitle" 명령 및 그 파라미터로서 타이틀 번호가 저장되고, 이 하이라이트 명령이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해 실행된다(단계 125).
"PlayTitle " 명령에 의한 실행 동작으로서, 시스템 제어부(93)는 비디오 매니저의 일부인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을 참조하고, 소속되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 및 VTS 내 타이틀 번호를 결정한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가 확정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기구 제어부(83) 및 신호 처리부(8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확정된 타이틀 세트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를 재생하여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의 일부인 비디오 타이틀 세트부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을 내부로 인출한다(단계 126). 비디오 타이틀 세트부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을 인출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이것을 참조하여 재생할 타이틀의 재생 개시용의 프로그램 체인의 PGC 정보를 결정한다. PGC 정보가 결정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기구 제어부(83) 및 신호 처리부(8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결정된 PGC 정보를 재생하여 이것을 내부의 PGC 정보 버퍼(31)에 유지한다. 또, 이 때, 유지된 볼륨 메뉴용의 PGC 정보는 덧쓰기된다. 타이틀의 재생 개시용 PGC 정보가 유지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유지된 PGC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할 비디오 오브젝트 및 그 기록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을 기구 제어부(83) 및 신호 처리부(84)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시스템 제어부(93)는 유지된 PGC 정보에 따라 차례대로 재생할 비디오 오브젝트를 결정하여 재생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93)는 PGC 정보에 의해 도시되는 최종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을 완료하면 PGC 정보의 일부인 PGC 연결정보를 참조하여 다음 PGC 정보를 결정한다. 다음 PGC정보를 결정한 시스템 제어부(93)는 현재의 PGC 정보를 폐기하여 다음 PGC 정보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재생 진행을 계속한다(단계 128).
또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을 보충하면 DVD 플레이어(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음성 채널과 부영상 채널의 전환키가 부수된다. 그리고, 이 전환키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채널, 부영상 채널은 시스템 제어부(93)의 시스템 레지스터(도시 생략)에 유지된다. 비디오 오브젝트가 재생될 때 시스템 제어부(93)는 내부의 시스템 레지스터를 참조하여 유효한 채널의 지정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AV 디코더부(85)에 행한다. 이로써, 유효한 음성 채널 및 부영상 채널의 정보만이 동화상 정보와 함께 외부로 출력되는 것이다.
다음에, 구체예를 들어 각 프로그램 체인마다 행해지는 경로 레벨 및 GOP 레벨의 재생 제어동작, 즉, 항법 제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동작예로서, 『추리 게임』의 <초급> 타이틀이 재생되는 것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2.3.2.1) 제 1 동작예··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경로레벨의 재생 제어
『추리 게임』의 엔트리 프로그램 체인은 도 17에 도시된 PGC 정보#3에 대응한다. 그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는 도 18에 도시된 VOB#3이 기술된다. 도 17, 도 18에 의한 재생 제어 내용은 이미 상술하였으나, 이 재생 제어 내용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부(93)가 어떠한 소프트웨어 제어를 하는지 도 28의 프로그램 체인 재생처리의 흐름도 및 도 28∼도 3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후 제 1 동작예로서 설명한다.
프로그램 체인#3이 선택되었으므로 경로레벨의 재생 제어로서 시스템 제어부(93)는 우선 전처리에 의거한 처리를 행한다. 도 28의 흐름도에서의 전처리는 PGC 명령 테이블에서의 모든 전처리 명령의 모두에 대하여 단계 131의 처리를반복하는 루프 구조가 된다. 단계 131에서는 전처리 명령 개시 어드레스 포인터를 참조하여 내장 프로세서(96)가 전처리 명령을 인출한 것을 해독한다. 도 17에 있어서 전처리 명령 필드에 기술된 전처리 명령은 범용 레지스터에 초기값을 설정하는 설정계 명령이므로,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0』의 레지스터 식별자 필드에서 지시된 범용 레지스터(R1)에 『즉치』 오퍼랜드로 지시된 『0』을 전송한다.
프로그램 체인#3에서의 전처리가 종료되었으므로 재생 제어는 경로레벨로부터 GOP 레벨로 이행한다.
(2.3.2.2) 제 1 동작예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VOB 판독·복호
VOB 판독·복호는 단계 132∼단계 139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 중, 단계 133∼단계 139의 처리는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 VOB 위치정보가 기재된 모든 VOB에 대하여 반복된다.
단계 133에 있어서, VOB#3의 『VOB 위치정보』를 판독한다. PGC 정보 버퍼(31)로부터 이것이 판독된다. VOB 위치정보의 판독후 단계 134로 이행한다.
단계 134에서는 『VOB 위치정보』에 기재된 VOB 오프세트에 의거하여 다음에 판독할 논리블록이 디스크 상의 어느 트랙에 상당하는지를 계산한다. 그리고 트랙 위치를 기구 제어부(83)에 지시하고, 기록 개시위치까지 광픽업을 이동시킨다. 그 후에 기구 제어부(83)에 블록 판독제어를 지시한다(여기에서 판독장소 논리블록을 논리블록#k라고 한다.).
예를 들어 광픽업이 비디오 매니저의 위치에 있고 VOB의 기록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도 본 단계의 실행에 의해 광픽업이 VOB의 기록장소의 선두위치로 이동한다. 도 13의 예로 말하자면 참조부호 y401에서 지시하는 상태가 된다. 계속하여 단계 136으로 이행하여 논리블록#k에 기록된 데이터를 광픽업, 신호 처리부(84)를 통하여 판독시킨다.
기구 제어부(83)의 제어에 의해 VOB를 구성하는 동화상 팩, 오디오 팩, 부영상 팩이 차례로 판독된다. 신호 처리부(84)는 광픽업(82)으로부터 판독된 신호에 증폭, 파형 정형, 2치화, 복조, 에러정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시스템 제어부(93) 내의 버퍼 메모리에 논리 블록단위로 저장한다. 신호 분리부(86)는 버퍼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팩을 받아 각 팩의 헤더 내의 스트림 ID, 서브 스트림 ID를 판별한다. 도 7A에서의 비디오 팩은 스트림 ID가 『1110 000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디오 디코더(87)로 출력된다. 비디오 디코더(87)는 동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I 픽쳐, P 픽쳐, B 픽쳐에 대한 프레임내 복호, 필드내 복호를 행하고, 움직임 보상을 행하여 영상신호로 복호한다. 복호후, SCR 및 PTS에 의거하는 시간 대기를 행한 후에 당해 영상신호를 영상 합성부(90)로 출력한다.
부영상 팩은 도 7C에서의 스트림 ID가 『1011 1101』로 설정되어 서브 스트림 ID의 선두 3비트가 001로 설정되므로, 부영상 디코더(88)로 출력된다. 부영상 디코더(88)는 이 부영상 데이터를 실행길이 복호한다. 복호후, SCR 및 PTS에 의거하는 시간 대기를 행하고 나서 복호결과를 영상 합성부(90)로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87)의 출력과 부영상 디코더(88)의 출력은 영상 합성부(90)에 의하여 시스템 제어부(93)에 지시된 비율로 혼합된다. 혼합된 영상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텔레비전 모니터(2)에 입력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텔레비전 동화상에는 도 18의 재생화상(197), 재현화상(19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장인물의 표정이 변해간다. 도 19A에서의 재현화상(201)이 나타난 타이밍에서 부영상(101)으로 그려진 메뉴가 표시된다.
(2.3.2.3) 제 1 동작예 ··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하이라이트 정보의 갱신처리(GOP 레벨)
도 19A에 도시된 관리정보 팩(101)은 AV 디코더부(85)에 의하여 분리된다. 이 관리정보 팩(101)을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93)의 처리에 대하여 도 2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의 흐름도는 도 10A의 설명도에 도시된 『전 VOBU로부터의 변경있음 플래그 』 2비트 내용에 따라 단계 145, 146, 단계 148, 146의 순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도 28의 흐름에 있어서 단계 137로 이행하면 시스템 제어부(93)는 도 29의 단계 142의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142에서는 PCI 일반 정보, 트릭 플레이 정보를 디코드하고, 그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그 후, 단계 143으로 이행하여 관리정보 팩(101)의 하이라이트 일반 정보로부터 『전 VOB로부터의 변경있음 플래그』를 판독한다. 『전 VOBU로부터의 변경있음 플래그』를 판독한 후 단계 144로 이행한다. 단계 144에서는 전 GOP로부터의 변경있음 플래그가 『11』인지를 판정한다. 관리정보 팩(101)에는 부영상 데이터(101)용의 하이라이트 정보가 포함되고, 본 플래그가 『01』로 설정되므로 『No 』로 되어 단계 147로 이행한다.
단계 147에서는 전 GOP로부터의 변경있음 플래그가 『01』인지를 판정한다.관리정보 팩(125)의 『01』과 합치되기 때문에 단계 148로 이행한다. 단계 148에서는 이 하이라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를 덧쓰기한다.
단계 148의 실행후 단계 146에 있어서, 커서위치 메모리(33)에 아이템 번호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도 19A에 있어서, 『Yes』, 『No』에 대응하는 아이템 정보(m101, m102) 각각에는 아이템 번호(#1,#2)가 할당된다. 이 중 아이템 번호(#1)를 커서위치 메모리(33)로 설정한 후 단계 149로 이행한다. 단계 149에서는 커서위치 메모리(33)로부터 현재 커서가 있는 아이템 번호를 판독하여 단계 150에 있어서 아이템 번호(#1)가 할당된 아이템 정보(m101)의 『개시-종료좌표(X1, Y1)(X2, Y2)』를 판독한다. 계속하여 이것에 기술된 범위를 선택색으로 변환되도록 부영상 디코더(88)에 지시한다. 이로써 『Yes 』 아이템이 화면 상을 차지하는 범위가 선택색으로 착색된다.
또 『전 VOBU로부터의 변경있음 플래그』가 『11』이라면 단계 145에 있어서, 수신된 하이라이트 명령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32)의 내용을 덧쓰기시킨다. 덧쓰기후 단계 146에 있어서 커서위치 메모리(33)에 아이템 번호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선택색으로 아이템이 빈틈없이 모두 칠해진 후에도 잇달아 논리블록의 판독은 계속되고, 화면 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2.3.2.4) 제 1 동작예 ‥ 메뉴에 대한 커서 제어
화면 상에 돌연 나타난 설문에 다소 당황해도 여기에서 조작자가 오른손으로 단단히 쥐고 있는 리모콘의 오른쪽 키를 엄지손가락으로 눌렀다고 하자. 이 리모콘 조작에 의거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150의 실행 후, 단계 138에 있어서 리모콘 수신 처리를 행한다. 리모콘 수신 처리로 이행하면 도 30의 흐름도의 단계 166으로 이행한다. 단계 166에서는 리모콘 수신부(92)가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신호의 수신판정을 행한다. 상기의 리모콘 조작에 의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단계 166으로부터 단계 151로 이행한다.
단계 151에서는 입력신호가 상하 좌우 키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오른쪽 키가 눌려졌기 때문에 단계 152로 이행하고, 커서위치 메모리(33)에 설정된 아이템번호(#1)를 판독한다. 단계 153에서는 판독된 아이템번호(#1)가 할당된 아이템정보(m101)의 『개시-종료좌표(X1, Y1)(X2, Y2)』를 판독하고, 이 범위를 원래의 색으로 변경되도록 부영상 디코더(88)에 색번호를 지시한다. 이로써 도 20의 『Yes』아이템의 색은 당초의 색으로 복귀된다. 단계 153의 실행 후, 단계 154로 이행한다. 단계 154에서는 『Yes』아이템 오른쪽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를 하이라이트 정보(m101)로부터 판독하고,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를 커서위치 메모리(33)에 저장한다. 이 저장에 의해, 『No 』아이템에 할당된 아이템 번호(#2)가 커서위치 메모리(33)에 저장된다.
저장 후 단계 155로 이행하고, 판독된 이동장소 아이템 번호(#2)에 대응하는 아이템 정보(m102)의 『개시-종료좌표(X1, Y1)(X2, Y2)』를 판독하고, 이 범위를 선택색으로 변경하도록 부영상 디코더(88)에 색번호를 지시한다. 이로써 『No 』아이템은 선택색으로 착색되고, 『Yes 』아이템으로부터 아이템 『No 』로 커서는 천이된다.
(2.3.2.5) ·· 메뉴에 대한 확정 조작
조작자가 여기까지의 장면 전개를 생각하면서 리모콘 키를 이것저것 움직여 『Yes 』아이템에 있어서 확정 조작을 실행하였다고 하자. 확정 조작을 실행하면 단계 151에서 No로 되어 단계 156으로 이행한다. 단계 156에서는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ENTER』키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누른 것이 검출되어 단계 157로 이행한다. 단계 157에 있어서 커서위치 메모리(33)로부터 현재 커서가 있는 아이템 번호를 판독하고, 단계 158에서는 아이템 색정보로부터 확정색을 판독한다. 확정색을 판독한 후 단계 159로 이행한다. 단계 159에서는 현재 커서가 있는 아이템의 『개시-종료좌표(X1, Y1)(X2, Y2)』를 확정색으로 변경되도록 부영상 디코더(88)에 색번호를 지시한다. 단계 160에서는,『Yes』아이템에 대응하는 하이라이트 정보(#101)로부터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기술된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가 판독된다. 시스템 제어부(93)는 『SetReg R1,1"+"』명령으로 지정된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 내용을 "1"만큼 가산한다.
이상의 처리가 2장째의 메뉴에 대해서도 행해지고, 조작자는 그들 2장째에 대하여 2회 『Yes 』를 답하였다고 하자. 이 해답에 의하여 범용 레지스터의 값은 2회 가산되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은 『2』가 된다.
또 이상의 동작설명에서는 커서 조작과 확정 조작을 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리모콘(91)의 수치키를 누른 경우는 아이템 정보(#1,#2,#3,#4 ···) 중 그 수치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판독되고, 그 아이템의 하이라이트 명령에 기술된 명령이 즉각 실행된다.
2장째 메뉴의 표시를 마친 후 도 28에서의 단계 133∼단계 138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로써 프로그램 체인에 재생순서가 기술된 VOB가 차례로 재생된다. 이 반복이 마지막의 VOB 저장위치 정보까지 계속된다.
(2.3.2.6) 제 1 동작예 ··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후처리
프로그램 체인(#3)에서의 VOB 재생이 종료되었으므로 재생 제어는 GOP 레벨로부터 경로레벨로 이행한다. 여기에서의 경로레벨은 후처리이고, 도 28의 흐름도의 단계 140∼단계 141에서 실현된다. 단계 140은 PGC 명령 테이블에서의 후처리 명령의 모두에 대하여 이후의 단계 141의 처리를 반복한다.
내장 프로세서(96)는 후처리 명령 개시 어드레스 포인터로 지시된 장소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된 후처리 명령 필드의 1행째에 기술된 조건부 분기 명령 『CmpRegLink R1,2"=",PGC#5』를 인출한다. 인출한 후, 『CmpRegLink』를 해독함으로써 본 명령이 조건부의 분기 명령임을 알게되고, 그 오퍼랜드 『R1』,『2』,『"="』을 인출한다. 이 분기 조건 필드의 "="를 해독하여 내장 프로세서(96)는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 내용이 2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GOP 레벨에서의 재생 제어로 3회의 옳은 답을 계수하고 있으므로, 프로그램 체인(#5)으로 분기한다.
다음에 도 31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프로그램 체인으로의 분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의 흐름도는 실행할 명령이 분기계 명령이었던 경우에만 실행되는 분기계 명령 특유의 처리 내용을 도시한다. 단계 162에서는 명령의 분기 장소 필드에 기재된 프로그램 체인번호를 판독한다. 단계 163에서는 비디오 매니저 내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에 기재된 PGC 관리정보 테이블의 선두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PGC 관리정보 테이블에서의 PGC 정보(#5)의 기록 장소의 선두 위치의 논리블록을 계산한다. 단계 164에서는 기구 제어부(83)를 제어하여 산출한 논리블록에 광픽업을 이동한다. 단계 165에서는 광픽업(82), 기구 제어부(83)를 통하여 판독된 논리블록 데이터 내의 PGC 정보(#5)를 PGC 정보버퍼(31)에 저장한다. 저장된 PGC 정보에 대하여 도 28의 흐름도의 재귀적 호출을 행하고, 새롭게 저장된 프로그램 체인에 대하여 프로그램 체인 재생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분기계 명령의 분기 장소에 대응하는 PGC 정보가 선택적으로 PGC 정보 버퍼(31)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후처리에서의 다중 분기의 분기 장소인 프로그램 체인(#5)이 지시하는 VOB는 도 21에서의 3개의 동화상 데이터 중, 하나의 행동 패턴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 20에서의 2장의 메뉴에 대한 해답과, 상술한 후처리에서의 다중 분기에 의해 등장인물의 행동패턴의 하나가 선택적으로 화면에 나타난다. 조작자는 2장의 메뉴에 대한 조작으로 영상 중의 등장인물의 행동이 전환된 것 같이 느낀다.
제 1 동작예와의 관계는 희박하지만, 도 28의 흐름도에서 후처리에 의한 분기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의 PGC 연결정보에 의한 분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B의 흐름도는 PGC 연결정보에 의한 분기처리의 내용을 도시한다. 도 28의 흐름도의 단계 140∼단계 141에 있어서 모든 후처리의 실행을 마치면 도 28의 흐름도로부터 도 27B의 흐름도의 단계 172로 이행한다. 단계 17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93)는 PGC 연결정보에 기술된 프로그램 체인번호를 판독하고, 단계 173에서는 비디오 매니저 내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정보에 기재된 PGC 관리정보 테이블의 선두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PGC 관리정보 테이블에서의 연결장소 PGC 정보의 기록장소의 선두위치의 논리블록을 계산한다. 단계 174에서는 기구 제어부(83)를 제어하여 산술한 논리블록에 광픽업을 이동한다. 단계 175에서는 광픽업, 기구 제어부(83)를 통하여 판독되는 논리블록 데이터 내의 연결장소 PGC 정보를 PGC 정보 버퍼(31)에 저장한다. 저장된 PGC 정보에 대하여 도 28의 흐름도를 호출하고, 새롭게 저장된 프로그램 체인에 대하여 프로그램 체인 재생처리를 행한다.
(2.3.3) 제 2 동작예
도 33에 도시된 볼륨 메뉴에 있어서 『세계일주 퀴즈 <유럽편>』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예를 제 2 동작예로서 설명한다.
도 34A는 타이틀 세트 『세계일주 퀴즈』의 데이터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34A의 참조부호(c134)로 도시된 바와 같이, VOB#A1∼VOB#A20까지 총 20개의 비디오 오브젝트가 타이틀 세트에 포함된다. 또 참조부호(c136)로 도시된 바와 같이, VOB#A1∼VOB#A20의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순서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체인이 PGC정보 #A1∼PGC정보 #A8까지의 총 8개가 저장된다. 프로그램 체인 내의 PGC정보 #A1은 타이틀 『세계일주 퀴즈 <유럽편>』의 제일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 체인이다.
도 34B의 PGC정보#A1의 재생 제어내용을 도시한다. 또, 도 34C에 PGC정보#A5의 재생 제어내용의 설명도를 도시한다.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GC정보#A1은 VOB 위치정보 테이블의 엔트리로서 VOB#A1, VOB#A2, VOB#A5, VOB#A6의 VOB 위치정보를 갖는다. 즉, 디스크 재생장치는 제일 먼저 VOB#A1을 재생하고, 이후, VOB#A2, VOB#A5, VOB#A6의 순서로 재생된다. 또,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명령으로서 『SetReg R1,0』이 저장된다. 이 때문에, 디스크 재생장치는 PGC정보#A1에 의한 재생에 앞서 R1레지스터를 즉치 0으로 초기화하게 된다. 또,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 명령으로서, 『CmpRegLink R1,10,">",PGC#A3』이 저장된다. 즉, 디스크 재생장치는 PGC정보#A1에 의한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을 완전히 완료하면 R1레지스터의 값을 평가하고, 즉치 10 이상이면 다음에 실행할 프로그램 체인을 PGC정보 #A3으로 하여 재생 진행을 계속한다. 또,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GC 연결정보로서, 디폴트의 재생 진행상 다음의 프로그램 체인으로서 PGC정보#A4가 저장된다. 즉, 디스크 재생장치는 후처리 명령으로 다음의 PGC 정보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 이 PGC 연결정보의 값에 따라 다음에 실행할 프로그램 체인을 PGC정보#A4로 하여 재생 진행을 계속한다. 또, PGC정보#A3, PGC정보#A4는 퀴즈의 득점 결과에 의해 배타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체인이고, PGC정보#A3은 "불합격"을 의미하는 영상을 재생하고, PGC정보#A4는 "합격"을 의미하는 영상을 재생한다.
다음에, PGC정보#A1에 의해 재생되는 비디오 오브젝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VOB#A1, VOB#A2, VOB#A5, VOB#A6은 모두 유럽 관련 퀴즈를 4∼5개 포함한다. VOB#A1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35는 PGC정보#A1 및 PGC정보#A2의 VOB 위치정보가 각각 어느 VOB를 지정하는지, 혹은 그들의 후처리의 분기 장소가 어느 PGC 정보인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5에서는 PGC정보#A1을 4개의 눈금으로 된 횡길이의 사각형으로 도시하고, 그 VOB 위치정보를 검은 원으로 도시한다. PGC정보#A1의 검은 원으로부터 화살표가 연장되어 있고 그 앞에 VOB#A1, VOB#A2, VOB#A5, VOB#A6이란 VOB가 있으나, 이것은 PGC정보#A1의 『VOB 위치정보 테이블』이 이들 VOB를 재생하도록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PGC정보#A2의 검은 원으로부터 실선 화살표가 연장되고, 그 앞에 VOB#A3, VOB#A4, VOB#A7, VOB#A8이란 VOB가 있으나, 이것은 PGC정보#A2의 『VOB 위치정보 테이블』이 이들의 VOB를 재생하도록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PGC정보#A1의 후처리 명령으로부터 점선 화살표가 연장되고, 그 앞에 PGC정보#A3 및 PGC정보#A4가 존재하지만, 이것은 PGC정보#A1은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에 따라 이들의 2가지 분기 장소 중 어느 한쪽으로 분기하도록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6은 VOB#A1의 데이터 내용의 설명도이다. 도 36의 당해 비디오 오브젝트(VOB)에 있어서, 선두로부터 VOB 유닛(20)까지는 약 20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첫 번째 물음의 퀴즈이고, 유럽연안의 광경을 항공기로부터 촬영한 실제 영상이다. 그 중 해칭을 가한 VOB 유닛(7)을 선두로 하는 6개의 VOB 유닛군은 5∼6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퀴즈의 출제와 사용자에 의한 해답이 행해지는 메뉴 영상이다. VOB 유닛(7)에서 그림으로 묘사되는 재현화상 및 메뉴를 인출선의 앞에 도시한다. VOB 유닛(VOBU 7)에는 동화상 팩(Video 7), 부영상 팩(SPA-7), 관리정보 팩(관리 7)이 존재한다. 관리정보 팩(관리 7)에는 #1로부터 #3까지의 아이템 정보가 기술된다. 이들의 아이템 정보 #1∼#3은 도 36의 부영상 팩(SPA-7)에서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 내의 ①∼③의 아이템에 대응된다. 첫 번째 물음의 퀴즈인 경우, 아이템 정보#1이 옳은 답이기 때문에, 아이템 정보 #1에는 사용자의 득점을 집계하는 레지스터(R1)에 즉치 1을 가산하는 명령 『SetReg R1,1,"+"』이 저장되고, 그 이외는 틀린 답이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명령 『NOP』가 저장된다. 또, 동일한 메뉴를 구성하는 VOB 유닛(VOBU7)에 계속 5개의 VOB 유닛은 VOB 유닛(VOBU7)과 같은 하이라이트 정보가 저장된다.
VOB 유닛(VOBU21)으로부터 VOB 유닛(VOBU40)까지는 약 20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두 번째 물음의 퀴즈이고, 유럽 광경을 열차의 차창으로부터 촬영한 영상이다. 그 중 해칭을 가한 VOB 유닛(VOBU25)을 선두로 하는 6개의 VOB 유닛군은 5∼6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퀴즈의 출제와 사용자에 의한 해답이 행해지는 메뉴 영상이다. VOB 유닛(VOBU25)에서 그림으로 묘사되는 재현화상 및 메뉴를 인출선의 앞에 도시한다. VOB 유닛(VOBU25)에는 동화상 팩(Video25), 부영상 팩(SPA-25), 관리정보 팩(관리25)이 존재한다. 관리정보 팩(관리25)에는 #1로부터 #3까지의 아이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들의 아이템 정보 #1∼#3은 도 36의 부영상 팩(도면중에는 "SPA-25"로 표기하고 있음.)에서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 내의 ①∼③의 아이템에 대응된다. 두 번째 물음의 퀴즈인 경우, 아이템 정보 #3이 옳은 답이기 때문에, 아이템 정보 #3에는 사용자의 득점을 집계하는 레지스터(R1)에 즉치 1을 가산하는 명령 『SetReg R1,1,"+"』이 저장되고, 그 이외는 틀린 답이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명령 『NOP』가 저장된다. 또, 동일한 메뉴를 구성하는 VOB 유닛(VOBU25)에 계속되는 5개의 VOB 유닛은 VOB 유닛(VOBU25)과 같은 하이라이트 정보가 저장된다.
VOB 유닛(VOBU41)으로부터 VOB 유닛(VOBU61)까지는 약 20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세 번째 물음의 퀴즈로서, 니체의 수많은 저작을 소개한 실제 영상이다. 그 중 해칭을 가한 VOB 유닛(VOBU48)을 선두로 하는 6개의 VOB 유닛군은 5∼6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퀴즈 출제와 사용자에 의한 해답이 행해지는 메뉴 영상이다. VOB 유닛(VOBU48)에서 그림으로 묘사되는 재생화상 및 메뉴를 인출선 앞에 도시한다. VOB 유닛(VOBU48)에는 동화상 팩(Video48), 부영상 팩(SPA-48), 관리정보 팩(관리48)이 존재한다. 관리정보 팩(관리48)에는 #1로부터 #3까지의 아이템 정보가 기술된다. 이들의 아이템 정보 #1∼#3은 도 36의 부영상 팩(SPA-48)에서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 내의 ①∼③의 아이템에 대응된다. 세 번째 물음의 퀴즈인 경우, 아이템 정보 #3이 옳은 답이기 때문에, 아이템 정보 #3에는 사용자의 득점을 집계하는 레지스터(R1)에 즉치 1을 합산하는 명령 『SetReg R1,1,"+"』이 저장되고, 그 이외는 틀린 답이므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명령 『NOP』가 저장된다. 또, 동일한 메뉴를 구성하는 VOB 유닛(VOBU48)에 계속되는 5개의 VOB 유닛은 VOB 유닛(VOBU48)과 같은 하이라이트 정보가 저장된다.
VOB 유닛(VOBU61)으로부터 VOB 유닛(VOBU80) 까지는 약 20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네 번째 물음의 퀴즈이고, 셰익스피어 연극의 다이제스트판 영상이다. 그 중 해칭을 가한 VOB 유닛(VOBU61)을 선두로 하는 6개의 VOB 유닛군은 5∼6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퀴즈의 출제와 사용자에 의한 해답이 행해지는 메뉴 영상이다. VOB 유닛(VOBU61)에서 그림으로 묘사되는 재현화상 및 메뉴를 인출선 앞에 도시한다. VOB 유닛(VOBU61)에는 동화상 팩(Video65), 부영상 팩(SPA-65), 관리정보팩(관리65)이 존재한다. 관리정보 팩(관리65)에는 #1로부터 #3까지의 아이템 정보가 기술된다. 이들의 아이템 정보 #1∼#3은 도 36의 부영상 팩(SPA-65)에서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 내의 ①∼③의 아이템에 대응된다. 네 번째 물음의 퀴즈인 경우, 아이템 정보 #3이 정확한 답이므로, 아이템 정보 #3에는 사용자의 득점을 집계하는 레지스터(R1)에 즉치 1을 합산하는 명령 『SetReg R1,1,"+"』이 저장되고, 그 이외는 틀린 답이므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명령 『NOP』가 저장된다. 또, 동일한 메뉴를 구성하는 VOB 유닛(VOBU61)에 계속되는 5개의 VOB 유닛은 VOB 유닛(VOBU61)과 같은 하이라이트 정보가 저장된다.
이상 설명한 타이틀 『세계여행 퀴즈<유럽편>』이 재생될 때의 시스템 제어부(93)의 동작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또, 이 타이틀의 재생 개시용의 PGC 정보가 이미 시스템 제어부(93)의 PGC 정보 팩(31)에 유지된 것으로 설명한다.
(2.3.3.1) 제 2 동작예 ··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전처리
『세계일주 퀴즈<유럽편>』의 엔트리 프로그램 체인이 내부에 유지되면 경로레벨의 재생 제어로서 시스템 제어부(93)는 우선 전처리를 행한다. 프로그램 체인의 전처리 명령 필드에는 『추리 게임』<초급편>과 같은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0』이 기술된다. 내장 프로세서(96)가 이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0』을 인출한 것을 해독한다.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0』의 레지스터 식별필드에서 지시된 범용 레지스터(R1)에 『즉치』오퍼랜드로 지시된 『0』을 전송한다. 엔트리 프로그램 체인에서의 전처리가 종료되었으므로 재생 제어는 경로레벨로부터 GOP 레벨로 이행한다.
(2.3.3.2) 제 2 동작예 ··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비디오 오브젝트 (VOB) 판독·복호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 VOB 위치정보가 기재된 모든 비디오 오브젝트(VOB)와, 그 비디오 오브젝트(VOB)가 기록된 모든 논리블록에 대하여 단계 136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VOB#A1의 VOB 유닛 0∼VOB 유닛 20에서의 연안 광경의 실제 영상이 차례로 텔레비전 모니터(2) 상에 나타난다. 도 36에 도시된 동화상 팩(Video7)에 의한 재현화상이 텔레비전 모니터(2) 상에 나타난 타이밍에서 부영상 팩(SPA-7)에서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가 이것과 중합된다.
조작자가 세계지도를 생각하면서 리모콘 키를 이것저것 움직여 부영상 팩(SPA-7)에서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의 ①의 아이템에서 확정 조작을 실행하였다고 하자. 확정 조작을 실행하면 도 30의 흐름도에 도시한 단계 151에서 No로 되고, 단계 156으로 이행한다. 단계 156에서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ENTER』키인 것이 판정되어 단계 157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커서 위치 메모리(33)에 ①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템 번호 #1이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단계 157에 있어서 이 아이템 번호 #1이 판독되고, 단계 158에서는 내부에 유지하는 VOB 유닛(VOBU7) 내의 관리정보 팩 내의 아이템 색정보로부터 확정색이 판독된다. 계속해서 단계 159에 있어서 현재 커서가 있는 아이템의 『개시-종료좌표(X1,Y1)(X2,Y2)』를 확정색으로 변경되도록 부영상 디코더(88)에 색번호를 지시한다. 단계 160에서는 아이템 번호 #1의 하이라이트 정보 #1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기술된 레지스터 조작 명령 『SetReg R1,1,"+"』가 판독된다. 내장 프로세서(96)는 『SetRegR1,1,"+"』명령을 실행하고, 오퍼랜드로 지정된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 내용을 "1"만큼 가산한다.
여기에서 다른 아이템에 있어서, 확정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는 NOP 명령이므로 내장 프로세서(96)는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이라이트 명령의 실행에 의하여 정확한 답에 따라 범용 레지스터 내에 있어서 득점이 가산된다.
한 장째의 메뉴가 표시된 후 단계 136∼단계 138의 처리를 단계 135에서 반복함으로써, VOB 유닛(VOBU21∼40)의 동화상팩이 비디오 디코더(87)에 의하여 영상신호로 복호되어 화면 상에는 열차의 이동과 함께 광경이 차례로 변한다. 여기에서 VOB 유닛(VOBU25) 내의 동화상 팩 및 부영상 팩이 복호되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 모니터(2) 상에 피레네 산맥의 정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VOB 유닛(VOBU25) 내의 부영상 팩에 의하여 그림으로 묘사되는 메뉴는 『피레네 산맥의 전체 길이는?』라는 설문을 조작자에게 묻는다.
VOB 유닛(VOBU25)에 의하여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를 보고 조작자가 리모콘의 상하 좌우 키를 이것저것 움직이면 단계 151∼단계 155에 있어서 ①의 아이템으로부터 ③의 아이템으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단계 156∼단계 161에 있어서 『ENTER』키가 눌러지면 그 ③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템 정보#3을 판독하고,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기술된 『SetReg R1,1,"+"』를 실행한다. ③의 아이템 이외의 명령으로 확정 조작되었다면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처리를 마친다. 이와 같이 도 36의 일례에서는 영상 중의 광경의 변화에 치밀하게 동기하여 메뉴에 의하여설문이 제시되고, 이에 대한 해답으로 득점이 가산된다.
(2.3.3.3) 제 2 동작예 ·· 3장째의 메뉴에 대해서의 재생 제어
단계 136∼단계 138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VOB 유닛(VOBU41)∼VOB 유닛(VOBU61)이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되고, 비디오 디코더(87), 부영상 디코더(88)에 의하여 이들 내부의 동화상 팩 및 부영상 팩이 영상신호로 복호된다. 이로써 앞에서 설명한 니체의 수많은 저작을 소개한 영상이 화면 상에 표시된다. 도 36에 도시된 동화상 팩(48)에 의한 재현화상에 있어서 니체의 웃는 얼굴이 화면 상에 나타난 타이밍에서 부영상 팩(48)에 의하여 그림으로 묘사된 메뉴가 조작자에게 제시된다.
이 메뉴에 대한 재생 제어는 1, 2장째에 대한 재생 제어와 동일하다. 상하 좌우 키에 따라 커서를 아이템 사이로 천이시키고, 『Enter』키를 누르면 그 아이템 정보 #1∼#4 중, 현재 커서가 있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내의 명령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정답으로 되는 ③ 아이템이 커서로 지시된 상태에서 확정조건이 실행되면 아이템 정보 #3에서의 하이라이트 명령 필드에 기술된 명령 『SetReg R1,1,"+"』를 실행한다. 정답 이외의 아이템으로 확정 조작되었다면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처리를 마친다.
(2.3.3.4) 제 2 동작예 ‥ 4장째의 메뉴에 대해서의 재생 제어
단계 136∼단계 138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VOB 유닛(VOBU61)∼VOB 유닛(VOBU80)이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되고, 비디오 디코더(87), 부영상 디코더(88)에 의하여 동화상 팩 및 부영상 팩이 영상 신호로 복호되어 간다. 이로써 앞에서설명한 셰익스피어 연극의 다이제스트 영상이 화면 상에 나타난다. 도 36에 도시된 VOB유닛(65)에 의한 재현 화상이 화면 상에 나타난 타이밍으로 부영상 팩(65)에 의한 메뉴에 의한 설문이 조작자에게 제시된다.
상기 메뉴에 대한 재생 제어는 1∼3장째에 대한 재생 제어와 동일하다. 상하 좌우 키에 따라 커서를 아이템 사이로 천이시키고, 어느 하나의 아이템 상에서 『ENTER』키가 눌러지면 그 아이템 정보에 대응하는 하이라이트 명령 내의 명령을 실행한다. 정답에 대응하는 아이템으로 확정 조작이 이루어지면 명령 『SetReg R1,1,"+"』를 실행한다. 정답 이외의 아이템으로 확정 조작이 이루어졌다면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처리를 마친다.
이상 4장의 메뉴에 대하여 조작자는 1, 3, 4장째에 대하여 정답이었다고 하자. 이 정답에 의하여 범용 레지스터의 값은 3회 가산되어 범용 레지스터의 저장값은 『3』이 된다.
4개의 퀴즈를 마치고 비디오 오브젝트 VOB#A1의 재생처리가 완료되면, 도 28에서의 단계 133∼단계 138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로써, 프로그램 체인에 재생 순서가 기술된 VOB#A2, VOB#A5, VOB#A6이 차례로 재생된다. 그리고, 각 비디오 오브젝트 내에는 VOB#A1과 마찬가지로 4∼5 물음의 퀴즈가 행해지고, 레지스터(R1)에 득점이 집계된다. 마지막 비디오 오브젝트 VOB#A6의 재생이 완료되면 단계 140으로 이행한다.
(2.3.3.5) 제 2 동작예 ··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후처리
비디오 오브젝트 VOB#A6의 재생이 완료되었으므로 재생 제어는 GOP 레벨로부터 경로레벨로 이행한다. 여기에서의 경로레벨은 후처리이고, 도 28의 흐름도의 단계 140∼단계 141에서 실현된다. 단계 140은 PGC 명령 테이블에서의 후처리 명령의 모두에 대하여 이후의 단계 141의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에서 엔트리 프로그램 체인의 후처리 명령 필드에는 다음 1행의 분기계 명령이 기술된다.
CmpRegLink R1,10,">",PGC#A3
내장 프로세서(96)는 후처리 명령 개시 어드레스 포인터로 지시된 장소에 있어서, 1행째에 기술된 조건부 분기 명령 『CmpRegLink R1,10,">",PGC#A3』을 인출한다. 인출한 후,『CmpRegLink』를 해독함으로써, 본 명령이 조건부의 분기 명령인 것을 알게 되어 그 오퍼랜드 『R1』,『10』,『">"』를 인출한다. 이 분기 조건 필드의 ">"을 해독하여 내장 프로세서(96)는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 내용이 1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이제까지의 사용자 퀴즈에 대한 정오(正誤)의 득점 결과가 저장된 레지스터(R1)에 10 이상의 값이 저장되면, 합격을 의미하는 영상 표시를 행하는 PGC#A3으로 분기를 행한다. 10 이하라면 후처리 명령의 처리를 종료하여 PGC 연결정보에 저장되는 디폴트의 분기 장소인 PGC#A4로 분기를 행하고 불합격을 의미하는 영상표시를 한다. 즉, 정오의 득점이 10 이상인지로 합격 또는 불합격의 영상을 전환하게 된다.
(2.3.4) 제 3 동작예
도 33의 볼륨 메뉴에 있어서 타이틀 『세계일주 퀴즈<세계편>』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예를 제 3 동작예로서 설명한다.
도 34A의 참조부호(c136)에 도시된 PGC 정보 #A3 및 PGC 정보 #A4는 제 2 동작예와 마찬가지로 퀴즈용의 프로그램 체인이 완료되었을 때 분기하는 분기 장소의 프로그램 체인이고, 합격 혹은 불합격을 의미하는 영상이 저장된다.
PGC 정보 #A6∼PGC 정보 #A8은 모두 퀴즈인 비디오 오브젝트를 3개 재생하는 프로그램 체인이고, VOB#A1∼VOB#A20 중에서 3개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다른 조합으로 픽업하여 재생하는 재생 경로를 각각 정의한다. 또 PGC 정보 #A6∼PGC 정보 #A48은 제 2 동작예에서 설명한 PGC 정보 #A1과, 재생하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제외하고는 같은 PGC 연결정보, 후처리 명령, 전처리 명령을 저장한다.
PGC 정보 #A5는 타이틀 재생 개시 시에 제일 먼저 실행되고, 재생할 퀴즈용의 프로그램 체인을 PGC 정보 #A6∼PGC 정보 #A8 중 어느 하나에서 랜덤하게 하나를 결정한다. PGC 정보 #A5의 데이터 내용을 도 34C에 도시한다. PGC 정보 #A5는 전처리 명령으로서, 『Random R2,3』이 저장된다. 또, 후처리 명령으로서는 『CmpRegLink R2,2,"=",PGC#A7』『 CmpRegLink R2,1,"=",PGC#A8』이 저장되고, PGC 연결정보로서 PGC#A6이 저장된다.
(2.3.4.1) 제 3 동작예 ···· 전처리
내장 프로세서(96)는 도 28의 단계 131에 있어서, PGC 명령 테이블의 전처리 명령 개시 어드레스로 지시된 위치에 기록된 명령을 인출하고, 이것의 오퍼랜드를 해독한다. 오퍼랜드는 『Random』이므로 즉치 필드로부터 즉치 『3』을 인출한다. 즉치를 인출하면 이것을 상한으로 한 정수 난수를 발생한다. 발생후 레지스터 식별자 필드로부터 레지스터 식별자 『R1』을 인출하고, 그 식별자로 지시된 범용 레지스터(R1)에 발생한 난수를 저장하여 도 28의 단계 132∼단계 139로 이행한다.
(2.3.4.2) 제 3 동작예 ···· 후처리
도 28의 단계 140∼단계 141에서의 동작예와 같은 다중 분기로 범용 레지스터(R1)의 저장값에 따라 3개의 분기 장소로부터 하나를 선택한다. 범용 레지스터(R1)에는 『Random』명령에 의하여 발생한 난수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후처리 명령 또는 PGC 연결정보에 의해 3개의 분기 장소로부터 임의의 것이 선택된다. 즉, PGC 정보 #A6, PGC 정보 #A7, PGC 정보 #A8 중 어느 하나에 랜덤하게 분기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의 프로그램 체인에 의해 지정되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차례로 재생하여 퀴즈를 사용자에게 지시하고, 사용자의 해답을 레지스터(R1)에 집계한다. 프로그램 체인의 재생이 완료되면, 레지스터(R1)의 값을 동작예(2)와 마찬가지로 평가하여 합격이면 PGC #A3, 불합격이면 PGC #A4로 분기한다.
(2.3.5) 제 4 동작예
제 4 동작예는 제 3 동작예의 응용으로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디스크 재생장치는 난수에 의해 랜덤하게 다음에 재생할 프로그램 체인이 결정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음에 재생할 프로그램 체인의 결정을 난수 및 메뉴 항목 등의 사용자 선택 결과와의 조합에 의해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이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직전의 퀴즈용 프로그램 체인, 예를 들면, PGC 정보 #A1의 퀴즈에 대한 사용자 해답의 정오에 의한 득점이 레지스터(R1)에 저장된다고 하자. 그리고, 제 3 동작예와 마찬가지로 선택될 가능성 있는 PGC 정보가 난이도별로 PGC 정보 #101∼PGC정보 #110의 10개가 존재한다고 한다(PGC 정보 #101은 쉽고, PGC 정보 #110은 어렵다). 그리고, 이들의 프로그램 체인으로부터 하나의 프로그램 체인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체인으로서 PGC 정보 #B100이 있었다고 하자. 그리고, PGC 정보 #B100의 후처리 명령이 다음과 같은 내용이었다고 하자. 또 레지스터(R1)에 저장되는 득점은 0∼20으로 하자.
후처리 명령
CmpRegLink R1,10,"<",PGC#100
SetReg R1, 10, "-"
Random R2,R1
SetReg R2,100,"+"
Link R2
이 경우 우선 득점이 10점 미만, 즉, 그다지 좋지 않다면 가장 난이도가 쉬운 PGC#101로 분기하게 된다. 또 10점 이상인 경우는 득점으로부터 10을 감산한 결과가 난수 발생의 기저가 된다. 그리고 발생시킨 난수값에 100을 가산함으로써 존재하는 PGC 정보의 식별코드로 변환하고, 이것에 분기한다. 즉, 전회(前回) 퀴즈의 프로그램 체인에서의 득점 결과가 우수하다면 보다 폭 넓은 난이도 중에서 다음 퀴즈를 위한 프로그램 체인이 선택되고, 전회의 득점결과가 우수하지 않는 경우는 난이도가 낮은 프로그램 체인 중에서 선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비디오 오브젝트의 GOP마다 설치된 하이라이트 정보에 의해 0.5∼1.0초 정밀도로 영상 내용에 동기하여 동화상의 재생을 중단하지 않고, 재생 제어에 관한 사용자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비디오 오브젝트에 부가하여,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 순서를 재생 경로로서 관리하는 PGC 정보를 설치함으로써, 수신 종료의 사용자 지시를 평가하고, 다음에 연속 재생하는 하나 이상의 동화상 및 그 재생 순위를 결정하는 재생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영상 내용에 동기한 GOP 레벨의 재생 제어와, 영상내용과는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경로레벨의 재생 제어에 의한 2레벨의 재생 제어에 의해 다채로운 능동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은 GOP 레벨, 경로레벨이란 2레벨의 재생 제어를 행함으로써, 다채로운 능동 재생이 가능한 것에 더하여, 재생 중에 동시에 필요하게 되는 재생 제어를 위한 메모리 소비를 하나의 PGC 정보 및 하나의 하이라이트 정보로 억제할 수 있고, 디스크 재생장치에 요구되는 탑재 메모리를 억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PGC 정보에서의 『VOB 위치정보 테이블』에는 VOB의 기록 장소를 기재한 VOB 위치정보를 나열하고, 디스크 재생장치에 이에 의거한 VOB 판독을 행하게 하였으나, VOB가 차지하는 기록 장소의 부분영역을 VOB 위치정보에 기재함으로써 VOB 일부만을 광픽업으로 판독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이와 같은 부분 판독은 트리밍이라 함.). 이 트리밍된 VOB 일부는 셀이라는 단위로 지시된다. 이와 같이 VOB 위치정보에 부분영역을 지시시킴으로써 VOB 일부만을 정교하게 이용할 수 있고, 영상 소재의 이용 효율이 매우 향상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부영상의 실시예로서 자막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나, 벡터 그래픽스나 3차원적인 컴퓨터 그래픽스(CG)라도 된다. 이들의 채용에 의해 실사의 압축 동화상과 CG 조합에 의한 게임도 실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VOB 유닛을 하나의 GOP로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VOB 유닛을 저장하는 동화상 영상의 재생 시간이 1초 전후이면 하나의 GOP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나 3개의 매우 재생 시간이 짧은 GOP로 구성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 경우, 관리정보 팩은 연속된 복수개의 GOP 선두에 배치되고, 이들 복수의 GOP에 대하여 유효한 재생 제어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또, 도 8의 예에 있어서 아이템을 부영상으로 그림으로 묘사한 것은 상기의 색변환 및 콘트라스트 변환에 의한 커서 천이를 실현하는 것을 의도했기 때문이다. 만약, 이들의 커서 천이를 의도하지 않는다면 동화상 데이터로 아이템을 그림으로 묘사하여도 된다. 혹은 도 8의 기술 내용을 판독하는 나레이션으로 대용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PCM 데이터와 AC-3을 사용하였으나, 시스템 스트림에 인터리브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 PCM, MPEG 오디오 데이터, MIDI 데이터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화상 정보에는 MPEG 2방식의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음성이나 부영상 등과 함께 오브젝트를 형성 가능한 동화상 데이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MPEG 1방식의 디지털 동화상이나 MPEG 방식이 이용되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이외의 변환 알고리즘에 의한 디지털 동화상이라도 물론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정보 팩은 동화상의 복원 단위인 GOP마다 배치되었으나, 디지털 동화상의 압축 방식이 다르다면 그 압축방식의 복원 단위마다 되는 것은 분명하다.
또, 본 실시예의 하이라이트 정보는 그 저장 영역을 빨리 감기 등의 스킵 재생용 제어정보의 저장 영역과 공유한다. 빨리 감기 등의 스킵 재생용 제어 데이터는 영상의 복원 단위마다 배치될 필요가 있으므로 하이라이트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 팩은 상술한 GOP마다 배치된다. 이 때문에, 하이라이트 정보와 스킵 재생용 제어정보의 저장 영역을 공유하지 않으면 하이라이트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 팩의 배치단위는 GOP마다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초∼1.0초 보다 세밀한 영상재생의 동기단위, 예를 들면, 1/30초마다의 영상프레임 단위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DVD 판독 전용 디스크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라도 효과는 마찬가지이다.
또, 메뉴의 개념은 광범위한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구하는 수단이고, 실시예에서 이용한 리모콘(91)의 텐키에 의한 선택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우스 조작이나 음성에 의한 지시라도 된다.
또, 인터리브되는 압축 동화상 데이터의 수는 하나인 것으로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본질적으로 그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관리정보 팩에 포함되는 명령은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라도 그 부분의 재생이 실행 시에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면 보다 짧은 시간마다 재생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PGC 정보에 저장되는 경로레벨에서 실행되는 명령은 전처리 명령과 후처리 명령으로 하였으나, 프로그램 체인을 구성하는 VOB의 재생 전 혹은 재생 후에 실행되는 명령이 있어도 유효하다. 이용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어느 VOB의 재생이 종료되었다면 그 시점에서 레지스터의 값을 클리어하는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경로 레벨의 재생 제어 데이터인 PGC 정보는 비디오 오브젝트와는 다른 디스크 영역에 저장되었으나, PGC 정보의 저장 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디오 오브젝트 자체에 저장하여도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새롭게 제 2 관리정보 팩을 설치하고, 재생 진행이 분기가 발생하는 영상 재생구간에 분기의 가능성이 있는 PGC 정보를 저장한 제 2 관리정보 팩을 인터리브함으로써 실현한다. 이 경우, PGC 정보 자체도 비디오 오브젝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재생장치는 디스크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필요한 PGC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재생 경로 전환시의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실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34를 예로 설명하면 재생 진행의 분기는 PGC #A1에 의한 재생이 완료된 시점에서 발생한다. 즉, 분기는 최종 재생 순위의 비디오 오브젝트인 VOB #A6의 재생이 종료한 시점에서 발생하고, 분기 장소의 재생 경로는 PGC #A3 또는 PGC#A4이다. 이 때문에, VOB #A6의 종단 사이일 때 VOB 유닛에 PGC #A3 및 PGC #A4를 저장하는 제 2 관리정보 팩을 배치한다. 이로써 디스크 재생장치는 재생 진행의 분기점 직전에 분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체인을 디스크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획득하고, 전환할수 있다. 또, 이 경우, 디스크 재생장치에는 하이라이트 정보 버퍼와 같은 목적으로 분기 가능성 있는 PGC 정보군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가 별도 필요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 진행의 분기 장소를 결정하는 동적인 파라미터로서 난수를 사용하였으나, 재생마다 동적인 값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이머 등이어도 된다. 또, 타이머 삽입 시에 다른 PGC 정보에 링크를 발생시키는 명령이 있으면 사용자에게 제한 시간 내에 해답을 요구하고, 시간이 모자라 불합격이 되는 대화식 소프트웨어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교재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특히 유효하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비디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몇 개의 비디오 테이프나, 라이브 녹음된 음악 테이프를 마스터로서 준비하고, 이것에 수록된 동화상, 음성을 디지털화하여 비선형(non-linear) 편집장치로 업로드한다. 편집자는 이 비선형 편집장치 상에 프레임 단위로 영상, 음성을 재생시키면서 그래픽스 편집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하여 메뉴, 아이템을 작성한다. 이와 동시에, GUI 제너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명령을 내장한 관리정보 팩도 작성한다. 작성 후, 이들을 MPEG 규격에 준해 부호화하여 동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 관리정보 팩을 생성한다. 생성하면 비선형 편집장치 상에서 이들로부터 VOB 유닛을 작성한 VOB를 작성한다. VOB를 작성하면, VOB에 VOB 번호를 부여하여 다시 PGC 정보 #1, #2, #3, #4·····#n, 비디오 파일부 타이틀 서치 포인터 테이블, 비디오 파일관리 테이블을 작성하여 워크스테이션의 메모리 상에서 상술한 데이터 구조를 구성한다.
데이터 구조를 구성한 후, 파일 영역에 이들을 기록할 수 있도록 이들의 데이터를 논리 데이터열로 변환한다. 변환된 논리 데이터열은 자기 테이프 등의 전달매체에 기록되고, 다시 물리 데이터열로 변환된다. 이 물리 데이터열은 볼륨 데이터에 대하여 ECC(Error Check Code)나, E-F 변조, 리드인 영역의 데이터, 리드 아웃 영역의 데이터 등이 부가된 것이다. 이 물리 데이터열을 이용하여 원반 커팅은 광디스크의 원반을 작성한다. 또 프레스 장치에 의하여 작성된 원반으로부터 광디스크가 제조된다.
상기한 제조 흐름에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 구조에 관한 논리 데이터열 작성 장치의 일부를 제거하여 기존의 CD용의 제조 설비가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이 점에 관해서는 오옴사 「콤팩트 디스크 독본」중도평태랑(中島平太郞), 소천(小川)박사 공저나, 조창(朝倉)서점 「광디스크 시스템」 응용물리학회 광학담화회에 기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는 민생용 AV 기기용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판매·유통하는데 유용하고, 특히 민생용 AV 기기의 사용자에게 의외성이 풍부한 대화식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데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 재생 방법은 실장 메모리의 규모를 제한함으로써, 저렴한 민생용 AV 기기를 보급시키는데 유용하고, 대화식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시장을 구축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5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정정)
    비디오 오브젝트가 복수 기록된 제 1 영역과,
    복수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재생순서정보가 복수 기록된 제 2 영역을 갖는 광 디스크에 있어서,
    비디오 오브젝트는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이 복수 배치되어 구성되고,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은
    제어 패킷과 비디오 패킷열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패킷열은
    비디오 스트림의 부분구간을 저장한 것이며,
    상기 제어 패킷은
    상기 부분구간이 재생되고 있는 기간에 조작자에 의해 분기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재생장치에 실행시킬 분기제어를 나타내는 분기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제어는
    하나의 재생순서정보로부터 다른 재생순서정보로의 전환을 재생장치에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46. (삭제)
  47. (정정)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제어정보는 분기재생의 지시를 조작자로부터 받기 위한 메뉴를 제시하는 하이라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정보는 상기 메뉴의 메뉴 항목마다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 정보를 가지며,
    상기 아이템 정보는 상기 메뉴 항목의 배치정보와 색정보와, 분기제어에서의 분기장소 재생순서정보를 나타내는 분기용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48. 제 45 항에 기재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복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을 하나씩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비디오 패킷내의 부분구간을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판독된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에 포함되는 제어 패킷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패킷은
    하나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이 새롭게 판독된 경우에, 새로운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에 포함되는 새로운 제어 패킷에 의해 덧쓰기되고,
    상기 재생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 그 조작시점에서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의 제어 패킷내의 분기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분기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9. (삭제)
  50. (정정)
    제어 패킷과, 비디오 스트림의 부분구간을 저장한 비디오 패킷열을 포함하는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이 복수 배치되어 구성되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 디스크에 복수 기록하는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분구간이 재생되고 있는 기간에 조작자에 의해 분기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재생장치에 실행시킬 분기제어를 나타내는 분기제어정보를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에 포함되는 제어 패킷에 저장한 후, 그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을 포함하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광 디스크에서의 제 1 영역에 기록하고,
    복수 비디오 오브젝트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재생순서정보를 상기 제 1 영역과는 다른 제 2 영역에 복수 기록하며,
    하나의 재생순서정보로부터 다른 재생순서정보로의 전환을 재생장치에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기록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순서정보는 광 디스크의 재생장치에 대하여 조작자가 분기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의 복수의 동화상 오브젝트의 재생순서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분기제어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분기제어는
    재생장치에 대하여 조작자가 분기조작을 행한 경우의 재생진행이며, 상기 재생순서정보에 나타나는 재생순서에 관계없이 재생진행을 재생장치에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기록방법.
  52.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제어정보는 분기재생의 지시를 조작자로부터 받기 위한 메뉴를 제시하는 하이라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정보는 상기 메뉴의 메뉴 항목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 정보를 가지며,
    상기 아이템 정보는 상기 메뉴 항목의 배치정보와 색정보와, 분기제어에서의 분기장소를 나타내는 분기용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기록방법.
KR1019970702563A 1995-08-21 1996-08-19 대화제어에기초하여의외성넘치는장면전개를실현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371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1948 1995-08-21
JP21194895 1995-08-21
JP96-084221 1996-04-05
JP8422196 1996-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429B1 true KR100371429B1 (ko) 2003-03-15

Family

ID=2642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563A Expired - Lifetime KR100371429B1 (ko) 1995-08-21 1996-08-19 대화제어에기초하여의외성넘치는장면전개를실현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5907658A (ko)
EP (2) EP0788094A4 (ko)
KR (1) KR100371429B1 (ko)
CN (2) CN100351911C (ko)
MY (1) MY112664A (ko)
TW (1) TW312786B (ko)
WO (1) WO1997007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1126B2 (en) * 1992-12-14 2013-02-19 Monkeymedia, Inc.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non-salience deemphasis
US20080158261A1 (en) * 1992-12-14 2008-07-03 Eric Justin Gould Computer user interface for audio and/or video auto-summarization
US5623588A (en) * 1992-12-14 1997-04-22 New York University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non-salience deemphasis
EP0788094A4 (en) * 1995-08-21 1998-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MEDIA OPTICAL DISK WHICH CAN COMPLETELY GENERATE UNEXPECTED SCENES THROUGH INTERACTIVE CONTROL, THEIR PLAYBACK DEVICE AND PLAYBACK METHOD
JP3748287B2 (ja) * 1996-02-28 2006-02-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US6567612B2 (en) 1996-04-05 2003-05-2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ame
JPH09282848A (ja) * 1996-04-05 1997-10-31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360548B2 (ja) * 1996-10-25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JPH10134548A (ja) * 1996-10-31 1998-05-22 Sony Corp 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方法
EP0877377A4 (en) * 1996-11-13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AMLESS REPLAY OF A VARIETY OF IMAGE INFORMATION ENABLING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BIT CURRENTS FOR AN INFORMATION RECORDING DISK STORAGE AND RECORDING MEDIUM WITH A BIT GENERATOR PROGRAM
US6208655B1 (en) * 1996-11-27 2001-03-27 Sony Europa, B.V.,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data
SG64486A1 (en) 1997-03-27 1999-04-27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authoring system
US6370323B1 (en) * 1997-04-03 2002-04-09 Lsi Logic Corporation Digital video disc decoder including command buffer and command status pointers
JPH1116250A (ja) * 1997-06-20 1999-01-22 Pioneer Electron Corp 情報再生システム
US6222805B1 (en) 1997-08-07 2001-04-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USRE39745E1 (en) * 1997-08-22 2007-07-24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taining data for menu control, menu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4416846B2 (ja) * 1997-08-22 2010-02-17 ソニー株式会社 メニュー制御用データ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メニュー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20060251391A1 (en) * 1997-09-17 2006-11-09 Shinichi Saeki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D21884A (id) * 1997-09-17 1999-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k optik, alat perekaman, dan medium perekaman komputer-dapat baca
US7130531B2 (en) * 1997-09-17 2006-10-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6507696B1 (en) * 1997-09-23 2003-01-14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DVD data
US6396874B1 (en) * 1997-11-12 2002-05-28 Sony Corporatio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icture data
US6580870B1 (en) * 1997-11-28 2003-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s and methods for reproducing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external information
US20030161614A1 (en) * 1997-11-28 2003-08-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data recorded on a recoding medium
JP3932469B2 (ja) * 1997-11-28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WO1999031657A2 (en) * 1997-12-15 1999-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for facilitating dubbing, storage medium for storing optical disc recording program for facilitating dubbing,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producing method
US6442333B1 (en) * 1997-12-25 2002-08-2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EP2261914A3 (en) 1998-02-23 2011-03-09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formation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3403636B2 (ja) * 1998-04-06 2003-05-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US6697565B2 (en) * 1998-05-15 2004-02-24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JP3383580B2 (ja) * 1998-05-15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と情報記録再生装置と方法
EP0961277A1 (en) * 1998-05-26 1999-12-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 carrier, apparatus and method
EP0961279B1 (en) * 1998-05-26 2004-10-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 carrier, apparatus and method
US6351442B1 (en) 1998-06-03 2002-0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reproduction path flag information
US6643452B1 (en) * 1998-06-09 2003-11-04 Sony Corporation Recorded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thod
JP3473828B2 (ja) * 1998-06-26 2003-12-08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用光ディスク及び情報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US6490405B1 (en) * 1998-06-29 2002-12-03 Microsoft Corporation Timestamp modification for seamless branching
JP3204218B2 (ja) * 1998-07-03 2001-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ビデオディスク装置
JP3383587B2 (ja) * 1998-07-07 2003-03-04 株式会社東芝 静止画像連続情報記録方法と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の情報再生装置と情報再生方法
US6188835B1 (en) * 1998-08-21 2001-02-13 Lsi Logic Corporation Optical disk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data allowing playback of selected portions of recorded presentations
JP4059410B2 (ja) * 1998-10-07 2008-03-12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US6429885B1 (en) * 1998-10-30 2002-08-06 Sony Corporation GUI resource editor for an embedded system
JP3359581B2 (ja) 1998-11-25 2002-12-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US7844167B1 (en) * 1998-12-08 2010-11-30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digital audio/video decoder splitting signal into component data streams for rendering at least two video signals
DE19859923A1 (de) * 1998-12-23 2000-06-29 Thomson Brandt Gmbh Wiedergabegerät für Informationsblöcke enthaltende Aufzeichnungsträger
US7134074B2 (en) 1998-12-25 2006-1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data processing method
JP2008310820A (ja) * 1998-12-25 2008-12-25 Panasonic Corp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221803B2 (ja) * 1999-03-02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記憶再生装置及び記憶再生方法
CN1238857C (zh) * 1999-04-02 2006-01-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的记录方法和再现方法
US6621980B1 (en) * 1999-04-23 2003-09-16 Monkeymed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expansion of media
US10051298B2 (en) 1999-04-23 2018-08-14 Monkeymedia, Inc. Wireless seamless expansion and video advertising player
US6393158B1 (en) * 1999-04-23 2002-05-21 Monkeymedia, Inc. Method and storage device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continuous play media seamlessly
WO2000068946A1 (fr) * 1999-05-07 2000-11-16 Kabushiki Kaisha Toshiba Structure de donnees pour donnees en continu, et procede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e donnees en continu
CN100579193C (zh) * 1999-07-09 2010-0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器、重放器、记录方法和重放方法
US6374041B1 (en) * 2000-07-07 2002-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a recorder, a player, a recording method, and a reproducing method that are all used for the optical disc
FR2796513B1 (fr) * 1999-07-16 2003-09-26 Valentin Lefevre Dispositif permettant de se diriger de facon interactive et fluide dans un film numerique compresse et logiciel gerant ce dispositif
JP2001096068A (ja) * 1999-09-30 2001-04-10 Konami Co Ltd ゲームプログラム作成方法、ゲーム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1137545A (ja) * 1999-11-17 2001-05-22 Square Co Ltd 記録媒体、データアクセス方法、ゲーム進行制御方法およびゲーム装置
JP2001266458A (ja) * 2000-03-22 2001-09-2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ストリーム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448452B1 (ko) 2000-06-09 2004-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 기록매체의 메뉴 지원방법
US8091106B1 (en) * 2000-06-26 2012-01-0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VD subpicture information in a television receiver
US6448485B1 (en) * 2001-03-16 2002-09-1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mbedding audio titles
WO2002077997A1 (fr) * 2001-03-22 2002-10-03 Sony Corporation Systeme de reproduction, appareil electronique et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lecture de disques
KR100598285B1 (ko) * 2001-06-21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KR20020097454A (ko) * 2001-06-21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US7643727B2 (en) * 2001-07-24 2010-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cording a multi-channel stream, and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multi-channel stream recorded by said method
US7668966B2 (en) * 2001-11-02 2010-02-23 Internap Network Services Corporation Data network controller
JP3659498B2 (ja) * 2002-01-18 2005-06-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2003219364A (ja) 2002-01-18 2003-07-31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2003219365A (ja) * 2002-01-18 2003-07-31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KR100457515B1 (ko) * 2002-01-31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 광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040047588A1 (en) * 2002-03-27 2004-03-11 Tomoyuki Okada Package medium,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US8285111B2 (en) * 2002-04-19 2012-10-09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enhanced photo digital video disc
US8000584B1 (en) * 2002-04-26 2011-08-16 Tivo Inc. Approach for storing digital content onto digital versatile discs (DVDs)
JP4299779B2 (ja) * 2002-06-21 2009-07-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ビデオデータの再生を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
BR0305213A (pt) * 2002-06-21 2004-07-27 Lg Electronics Inc Meio de gravação possuindo uma estrutura de dados para o gerenciamento de reprodução de dados de vìdeo gravados no mesmo
KR100550699B1 (ko) * 2002-06-24 2006-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제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와 그에 따른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1350214B (zh) * 2002-06-24 2015-07-01 Lg电子株式会社 记录和再现用于视频数据的再现的数据结构的方法及装置
KR20040000290A (ko) * 2002-06-24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멀티 경로 데이터 스트림 관리방법
WO2004003908A1 (en) * 2002-06-28 2004-01-0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multiple path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
WO2004006252A1 (en) * 2002-07-04 2004-01-15 Lg Electronics Inc. Read-only recording medium containing menu data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refor
CA2462198C (en) * 2002-09-05 2012-11-06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till imag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RU2360302C2 (ru) * 2002-09-06 2009-06-27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 структурой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записанных на нем статических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WO2004023479A1 (en) * 2002-09-07 2004-03-1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till images from a clip file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WO2004025651A1 (ja) * 2002-09-12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記録媒体、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記録方法
EP2239942A3 (en) 2002-09-25 2010-11-10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optical disc, recording medium,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JP3858151B2 (ja) * 2002-10-01 2006-12-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KR100633665B1 (ko) 2002-10-02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갖는 기록 매체, 그에 따른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EP1547080B1 (en) * 2002-10-04 2012-01-2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graphic dat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720356B2 (en) * 2002-11-12 2010-05-1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692426B (zh) * 2002-11-20 2010-05-12 Lg电子有限公司 具有管理数据重现的数据结构的记录介质及记录和重现的方法和装置
KR100540651B1 (ko) * 2002-11-26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취출 방법
CN100353450C (zh) * 2003-01-10 200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的处理方法
WO2004066282A1 (en) * 2003-01-20 2004-08-0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till pictur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DE602004026036D1 (de) * 2003-01-31 2010-04-29 Panasonic Corp AUFZEICHNUNGSMEDIUM, WIEDERGABEVORRICHTUNG, AUFZEICHNUNGSVERFAHREN, PROGRAMM UND WIEDERGABEVERFAHREN für einen Grafikdatenstrom zur Definition von interaktiven Schaltflächen.
KR100574823B1 (ko) 2003-03-07 200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화형 광디스크의 애니메이션 천크 데이터 및 그속성정보 관리방법
AU2003269519A1 (en) * 2003-02-10 2004-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animation chunk data and its attribute information for use in an interactive disc
CN101114503B (zh) * 2003-02-10 2010-09-08 Lg电子株式会社 管理交互式盘中使用的动画组块数据及其属性信息的方法
US7734154B2 (en) * 2003-02-14 2010-06-0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duration of still pictur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20040179610A1 (en) * 2003-02-21 2004-09-16 Jiuhuai Lu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a configurable reference and loop filter for efficient video coding
US7542659B2 (en) * 2003-02-21 2009-06-02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recording method, playback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7606463B2 (en) * 2003-02-24 2009-10-2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control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809775B2 (en) 2003-02-27 2010-10-0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control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EP1876821B1 (en) * 2003-02-28 2010-04-14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WO2004077417A1 (en) * 2003-02-28 2004-09-1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andom/shuffle reproduction of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00543721C (zh) * 2003-03-06 2009-09-23 Lg电子株式会社 交互式媒体和用于管理其中附加数据的方法
CN100520945C (zh) * 2003-03-18 2009-07-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记录信息的设备和方法
KR20040083632A (ko) * 2003-03-24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멀티 타이틀 관리 및 재생방법
EP1465047A1 (en) 2003-04-03 2004-10-0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presenting menu buttons
BRPI0409832A (pt) * 2003-04-29 2006-04-25 Lg Electronics Inc meio de gravação tendo uma estrutura de dados para gerenciar reprodução de dados gráficos e métodos e aparelhos de gravação e reprodução
US7616865B2 (en) * 2003-04-30 2009-11-1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ubtitle data and methods and apparatuses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WO2004107345A1 (en) * 2003-05-28 2004-12-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JP2004357085A (ja) * 2003-05-30 2004-12-16 Hitachi Ltd 記録再生装置、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KR100781507B1 (ko) * 2003-06-07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시 장치 및 전시 방법과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MXPA05013237A (es) * 2003-06-07 2006-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ato y metodo para la organizacion e interpretacion de datos multimedia en un medio de grabacion.
KR100897466B1 (ko) 2003-06-30 2009-05-14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장치, 기록방법, 재생방법
KR20050005074A (ko) * 2003-07-0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그래픽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고밀도 광디스크
CA2530475C (en) * 2003-07-01 2011-11-08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and data structure containing control signal
KR20050004339A (ko) 2003-07-02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그래픽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고밀도 광디스크
GB2403584B (en) * 2003-07-03 2006-08-09 Zoo Digital Group Plc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EP2088779B1 (en) * 2003-07-03 2011-01-05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CN1849821B (zh) * 2003-07-11 2012-06-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方法、再现装置和方法
US7366405B2 (en) * 2003-07-11 2008-04-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US20050031176A1 (en) * 2003-08-08 2005-02-10 Hertel Sarah R. Method and apparatus of multi-modality image fusion
GB2406958A (en) * 2003-10-06 2005-04-13 Id Interactive Ltd Accessing multimedia data
TW200518070A (en) * 2003-10-10 2005-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US8233770B2 (en) 2003-10-10 2012-07-31 Sharp Kabushiki Kaish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content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JP2005122774A (ja) * 2003-10-14 2005-05-12 Nec Corp 記録型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媒体
KR20050036228A (ko) 2003-10-15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재생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8218951B2 (en) * 2003-10-30 2012-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7634739B2 (en) 2003-11-12 2009-12-15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to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N1886791A (zh) * 2003-11-27 2006-12-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光盘重放序列的导航方法
US7519274B2 (en) 2003-12-08 2009-04-14 Divx, Inc. File format for multiple track digital data
US8472792B2 (en) 2003-12-08 2013-06-25 Divx, Llc Multimedia distribution system
KR20050064150A (ko) * 2003-12-23 200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구성방법 및 실행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20050066264A (ko)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구성방법 및 실행방법과기록재생장치
JP2005209322A (ja) 2003-12-26 2005-08-04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KR20050066265A (ko)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구성방법 및 실행방법과기록재생장치
WO2005069615A1 (ja) * 2004-01-13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再生方法
KR100782808B1 (ko) * 2004-01-13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렉티브 그래픽 스트림을 기록한 저장 매체 및 그 재생장치
KR100982517B1 (ko) * 2004-02-02 201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동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 매체 및 재생 장치
KR100561417B1 (ko) 2004-02-09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Av 데이터의 재생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그래픽 스트림을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 재생방법 및 장치
JP4496170B2 (ja) 2004-02-17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方法、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
US7948501B2 (en) * 2004-03-09 2011-05-24 Olympus Corpor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nder plural different color spaces
US8055122B2 (en) * 2004-04-07 2011-11-08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herein stream convertible at high-speed is recorded, and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therefor
CN100518282C (zh) * 2004-04-07 2009-07-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可以高速转换的流的信息记录装置和记录方法
KR101571651B1 (ko) * 2004-04-22 2015-12-04 테크니컬러, 인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를 위한 컨텍스트 의존형 멀티-앵글 내비게이션 기법
ITRM20040201A1 (it) * 2004-04-23 2004-07-23 Link Italia S R L Supporto di memoria, in particolare un dvd, che memorizza filmati interattivi.
CN1993761A (zh) * 2004-05-24 2007-07-04 日本先锋公司 信息再现装置、信息再现方法等
JP4131254B2 (ja) * 2004-06-25 200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4088274B2 (ja) * 2004-06-28 2008-05-21 株式会社東芝 メタデータの構造及びその編集方法
US8233779B2 (en) * 2004-07-09 2012-07-31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JP2006080918A (ja) * 2004-09-09 2006-03-23 Toshiba Corp メタデータのデータ構造及びメタデータの再生装置と方法
KR100605262B1 (ko) * 2004-10-11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재생장치 및 콘텐츠 재생방법
US8000580B2 (en) * 2004-11-12 2011-08-16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EP1696321A1 (en) 2005-02-23 2006-08-3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software applications
RU2007103565A (ru) 2005-02-04 2008-08-10 Мацусита Электрик Индастриал Ко., Лтд. (Jp) Устройство считывания, программа и способ считывания
JP2006227209A (ja) * 2005-02-16 2006-08-31 Yamaha Corp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RU2005105976A (ru) * 2005-03-03 2006-08-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ктивное Видео"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управл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информацией и мультимедийными приложениями
US20060287028A1 (en) * 2005-05-23 2006-12-21 Maciver Peter Remote game device for dvd gaming systems
JP4610422B2 (ja) 2005-06-21 2011-01-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ZnO基板の製造方法
CN101238518B (zh) * 2005-08-09 2013-03-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方法、重放设备及方法
GB2433732A (en) * 2005-12-31 2007-07-04 Michael James Poyzer Shock absorbing pedal assembly
WO2007091426A1 (ja) * 2006-02-09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情報記録媒体および再生制御方法
JP2007235324A (ja) * 2006-02-28 2007-09-13 Toshiba Corp 復号または暗号化を行う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7515710B2 (en) 2006-03-14 2009-04-07 Divx, Inc. Federated digital rights management scheme including trusted systems
TWM304101U (en) * 2006-06-14 2007-01-01 Wei-Jing Yang DVD player capable of showing multi-national captions
US8036074B2 (en) * 2006-07-07 2011-10-11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358874B2 (ja) * 2006-09-05 2013-12-04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729791B2 (en) * 2006-09-11 2010-06-01 Apple Inc. Portable media playback device including user interface event passthrough to non-media-playback processing
US7517100B2 (en) * 2006-11-01 2009-04-14 Rosco Inc. Asymmetric multiple constant RADII of curvature convex mirrors
EP2122482B1 (en) 2007-01-05 2018-11-14 Sonic IP, Inc. Video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progressive playback
CN101803376B (zh) * 2007-09-26 2012-06-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数据处理装置以及方法
JP5513400B2 (ja) 2007-11-16 2014-06-04 ソニック アイピ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のための階層的で簡略なインデックス構造体
US20110187927A1 (en) * 2007-12-19 2011-08-04 Colin Simon Device and method for synchronisation of digital video and audio streams to media presentation devices
DE202008014365U1 (de) 2008-10-29 2009-01-22 Chicovery Co., Ltd., San Chung City DVD-Player mit der Funktion zum gleichzeitigen Anzeigen von mehrsprachigen Untertiteln
JP5609021B2 (ja) * 2009-06-16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CA2782825C (en) 2009-12-04 2016-04-26 Divx, Llc Elementary bitstream cryptographic material transport systems and methods
US9247312B2 (en) 2011-01-05 2016-01-26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source media in matroska container files for adaptive bitrate streaming usin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US8812662B2 (en) 2011-06-29 2014-08-1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vailable bandwidth and performing initial stream selection when streaming content
CN103875248B (zh) 2011-08-30 2018-09-07 帝威视有限公司 用于编码和流处理通过使用多个最大比特率级别编码的视频的系统和方法
US9467708B2 (en) 2011-08-30 2016-10-11 Sonic Ip, Inc. Selection of resolutions for seamless resolution switching of multimedia content
US8787570B2 (en) 2011-08-31 2014-07-22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nrating top level index files
US8799647B2 (en) 2011-08-31 2014-08-05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identification
US8909922B2 (en) 2011-09-01 2014-12-0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back alternative streams of protected content protected using common cryptographic information
US8964977B2 (en) 2011-09-01 2015-02-24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encoded media streamed us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US20130179199A1 (en) 2012-01-06 2013-07-11 Rovi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granting access to digital content using electronic tickets and ticket tokens
US9936267B2 (en) 2012-08-31 2018-04-03 Divx Cf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an initial buffering period of an adaptive streaming system
US20140087356A1 (en) * 2012-09-25 2014-03-27 Jay Fudember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ritical thinking exercise
US9191457B2 (en) 2012-12-31 2015-11-17 Sonic Ip,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ontrolling delivery of content
US9313510B2 (en) 2012-12-31 2016-04-12 Sonic Ip, Inc. Use of objective quality measures of streamed content to reduce streaming bandwidth
US9906785B2 (en) 2013-03-15 2018-02-27 Sonic Ip,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transcoding video data according to encoding parameters indicated by received metadata
US10397292B2 (en) 2013-03-15 2019-08-27 Divx,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elivery of content
US9094737B2 (en) 2013-05-30 2015-07-28 Sonic Ip, Inc. Network video streaming with trick play based on separate trick play files
US9100687B2 (en) 2013-05-31 2015-08-04 Sonic Ip, Inc. Playback synchronization across playback devices
US9380099B2 (en) 2013-05-31 2016-06-28 Sonic Ip, Inc. Synchronizing multiple over the top streaming clients
US20150165310A1 (en) * 2013-12-17 2015-06-1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story driven gameworld creation
US9386067B2 (en) 2013-12-30 2016-07-05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content by multicast
US9866878B2 (en) 2014-04-05 2018-01-0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playing back video at different frame rates using enhancement layers
SG11201609457UA (en) 2014-08-07 2016-12-2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elementary bitstreams incorporating independently encoded tiles
WO2016112112A1 (en) 2015-01-06 2016-07-14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sharing content between devices
EP3262523B1 (en) 2015-02-27 2019-12-04 DivX, LLC System and method for frame duplication and frame extension in live video encoding and streaming
US9933792B2 (en) * 2015-03-23 2018-04-03 Lanc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regulation
US10075292B2 (en) 2016-03-30 2018-09-11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start-up of playback
US10231001B2 (en) 2016-05-24 2019-03-12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content during trick-play playback
US10129574B2 (en) 2016-05-24 2018-11-13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riable speeds in a trick-play mode
US10148989B2 (en) 2016-06-15 2018-12-04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video content
US12244660B2 (en) 2016-09-08 2025-03-04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buffering for digital video streaming
US10498795B2 (en) 2017-02-17 2019-12-03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witching between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dur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TWI643163B (zh) * 2017-08-07 2018-12-01 國防醫學院 S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CN109803107B (zh) * 2019-01-09 2021-06-22 安徽睿极智能科技有限公司 多媒体数据的嵌入式文件系统及其快速读写方法
CA3134561A1 (en) 2019-03-21 2020-09-24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swarms
CN114584414B (zh) * 2020-12-01 2024-05-03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197A1 (fr) * 1993-10-29 1995-05-04 Kabushiki Kaisha Toshiba Support d'enregistrement de plusieurs scenes et appareil de re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5131A (en) * 1979-02-05 1981-12-08 Best Robert M Dialog between TV movies and human viewers
JPS63225926A (ja) * 1987-03-13 1988-09-20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デイスク装置
JPH07118798B2 (ja) * 1988-02-29 1995-12-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US5065252A (en) * 1988-02-29 1991-11-1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picture information enabling the mixing of images of a video format signal and graphic codes recorded on a single recording medium
JP2811445B2 (ja) * 1988-03-22 1998-10-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H01273275A (ja) * 1988-04-25 1989-11-01 Pioneer Electron Corp 画像情報の記録再生方式
US4991011A (en) * 1988-12-23 1991-02-05 Scientific-Atlanta, Inc. Interactive television terminal with programmable background audio or video
JPH03204687A (ja) * 1990-01-08 1991-09-06 Hitachi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装置
US5392263A (en) * 1990-01-31 1995-02-21 Sony Corporation Magneto-optical disk system with specified thickness for protective layer on the disk relative to the numerical aperture of the objective lens
JPH0413287A (ja) * 1990-04-28 1992-01-17 Nec Home Electron Ltd 自動再生方法及び装置
JPH04119444A (ja) * 1990-09-10 1992-04-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マルチメディアディスク装置
JPH04216169A (ja) * 1990-12-17 1992-08-06 Hitachi Ltd 物品情報の検索方法および装置
JP3204687B2 (ja) 1991-06-11 2001-09-0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JP2865906B2 (ja) * 1991-07-22 1999-03-08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シナリオ従属データの記録方法及びシナリオ従属データ再生システム
JPH0594665A (ja) * 1991-09-30 1993-04-16 Sony Corp デイスクプレイヤ
JPH05128815A (ja) * 1991-10-30 1993-05-25 Sony Corp 光デイスク記録装置
GB9124337D0 (en) * 1991-11-15 1992-01-08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Method of storing user information items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ored items
JPH05181904A (ja) * 1991-12-27 1993-07-23 Nec Corp データ処理装置
US5396415A (en) * 1992-01-31 1995-03-07 Honeywell Inc. Neruo-pid controller
JPH05234248A (ja) * 1992-02-18 1993-09-10 Sony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プレーヤシステム
JPH0676479A (ja) * 1992-08-26 1994-03-18 Konica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JP3546432B2 (ja) * 1992-12-04 2004-07-28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
JPH06187667A (ja) * 1992-12-18 1994-07-08 Mitsubishi Kasei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記録再生方法
US5333135A (en) * 1993-02-01 1994-07-26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a data stream transmitted as a sequence of packets
EP0653699B1 (en) * 1993-06-03 2003-03-26 Seg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disc, and disc
JP3752256B2 (ja) * 1993-09-08 2006-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生成方法
JPH0784587A (ja) * 1993-09-13 1995-03-31 Pioneer Electron Corp 表示制御装置
EP0644692B2 (en) * 1993-09-16 2003-10-01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signal compression/decompression device for video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408448A (en) * 1993-10-08 1995-04-18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D shuffle play
US5463565A (en) * 1993-10-29 1995-10-31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Data block format for software carrier and player therefor
JPH07130149A (ja) * 1993-10-29 1995-05-19 Toshiba Corp 時間表示機能付き再生装置
ATE206263T1 (de) * 1993-10-29 2001-10-15 Time Warner Entertainm Co Lp Datenträger mit mehreren versionen vom gleichen kinofilm
DE9317430U1 (de) * 1993-11-15 1994-01-27 Ebert, Horst, 34119 Kassel Ton- und/oder Bildträger und Abspielvorrichtung für Ton- und/oder Bildträger
JPH07147661A (ja) * 1993-11-24 1995-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ビデオ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式
EP0689206B1 (en) * 1993-12-10 2002-07-24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medium and data reproduction apparatus
JP3378345B2 (ja) * 1994-03-28 2003-02-17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記録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2945842B2 (ja) * 1994-04-13 1999-09-06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2677775B2 (ja) * 1994-04-14 1997-11-17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
US5484055A (en) * 1994-04-15 1996-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chine and human readable label for data cartridge
JP3575063B2 (ja) * 1994-07-04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
CA2168327C (en) * 1995-01-30 2000-04-11 Shinichi Kikuchi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is record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ata according to navigationdata,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on a recording medium.
CA2173929C (en) * 1995-04-14 2001-04-03 Kazuhiko Taira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producing information
AU698969B2 (en) * 1995-04-14 1998-11-12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ing medium,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the medium, and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medium
EP0788094A4 (en) * 1995-08-21 1998-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MEDIA OPTICAL DISK WHICH CAN COMPLETELY GENERATE UNEXPECTED SCENES THROUGH INTERACTIVE CONTROL, THEIR PLAYBACK DEVICE AND PLAYBACK METHOD
JP4059355B2 (ja) * 1996-04-04 2008-03-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197A1 (fr) * 1993-10-29 1995-05-04 Kabushiki Kaisha Toshiba Support d'enregistrement de plusieurs scenes et appareil de re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07504A1 (fr) 1997-02-27
US6185365B1 (en) 2001-02-06
CN100351911C (zh) 2007-11-28
EP0788094A1 (en) 1997-08-06
TW312786B (ko) 1997-08-11
US6356707B1 (en) 2002-03-12
CN1516122A (zh) 2004-07-28
EP0788094A4 (en) 1998-06-24
US6366732B1 (en) 2002-04-02
EP0915470A2 (en) 1999-05-12
MY112664A (en) 2001-07-31
CN1118049C (zh) 2003-08-13
EP0915470A3 (en) 2004-03-24
US5907658A (en) 1999-05-25
CN1164916A (zh) 1997-11-12
US6226446B1 (en)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429B1 (ko) 대화제어에기초하여의외성넘치는장면전개를실현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KR100423772B1 (ko) 인터랙티브한재생진행의성능을향상시킨멀티미디어광디스크,재생장치및재생방법
KR100439879B1 (ko) 오디오비디오기능을실행할영상타이틀과,그렇지않은영상타이틀을수록하고,그들의차이를순간에분별할수있는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재생방법
KR100421522B1 (ko) 특수재생을도입한시청형태를제작자가자유롭게코디네이트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KR100302480B1 (ko) 영상내용의신선함을오래유지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KR100449075B1 (ko)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복수 채널의 음성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 재생방법
KR100188294B1 (ko) 멀티 신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00221427B1 (ko) 재생 데이타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데이타를 재생하는 시스템
KR100313839B1 (ko) 기록 매체, 상기 기록 매체로의 데이타 기록 장치 및기록방법과,상기기록매체로부터의데이타재생장치및재생방법
JP3345413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再生進行の性能を向上させた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3210289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3345412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再生進行の性能を向上させた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813245B2 (ja) 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356768B2 (ja) 記録方法、再生装置
JPH11225307A (ja) 映像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映像データ再生装置
JP3505310B2 (ja) 再生装置と再生方法と記録装置と記録方法
JP3356759B2 (ja) 記録方法、再生装置
JP2856722B2 (ja) 記録媒体
JP3356767B2 (ja) 記録方法、再生装置
JP2835317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その再生方法、光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方法及びその記録装置
JP3372036B2 (ja) 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
JP2856721B2 (ja) 再生方法と再生装置
JPH0917161A (ja) 再生装置とその再生方法
JPH10125046A (ja) 記録媒体とこの記録媒体へのデータの記録装置とその記録方法、その記録媒体からのデータの再生装置とその再生方法
JP3372038B2 (ja) 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