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5914B1 - 점도가감소된안약조성물 - Google Patents

점도가감소된안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914B1
KR100365914B1 KR1019960705391A KR19960705391A KR100365914B1 KR 100365914 B1 KR100365914 B1 KR 100365914B1 KR 1019960705391 A KR1019960705391 A KR 1019960705391A KR 19960705391 A KR19960705391 A KR 19960705391A KR 100365914 B1 KR100365914 B1 KR 100365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timolol
viscosity
amou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024A (ko
Inventor
티모 레우나마키
카리 레흐무사아리
에이야 바르티아이넨
올리 옥살라
사카리 알라란타
에스코 포흐알라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9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안약 성분, 이온 민감성 및 친수성 고분자 0.004∼1.5 중량%, 완충제 및 무기염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염 총량 0.01∼2.0 중량%,습윤제 0∼3.0 중량%, 방부제 0∼0.02 중량%, 물, 및 조성물의 pH가 4.0∼8.0이 되기에 충분한 양의 임의의 pH 조절제를 함유하고, 상기 염과 고분자 성분 사이의 비율을 생성되는 안약 조성물 용액의 점도가 1OOO mPas 미만이 되도록 조정한, 국소용 수용액 형태의 안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물이 눈에 조절적으로 흡수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고분자를 함유하며, 그의 점도는 춰급이 용이하도록 감소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점도가 감소된 안약 조성물
예컨대, 미국특허 제 5,075,104 호와 제 5,209,927 호는 각각 겔상의 안약조성물과 액상의 안약 조성물에 관한것이다. 첫 번째 상기 조성물은 카르복시 비닐 고분자(카르보머(carbomer) 유형의 고분자)를 0.25∼8 중량% 함유하고 후자는 0.05∼0.25 중량% 함유해서, 각각 조성물의 점도 범위가 15000∼300000 또는 10∼ 20000이 된다.
PCT 공고 제 WO93/17664 호에는 카르보머 유형의 카르복시 비닐 고분자들과섬유 고분자들(cellulosic polimers)이 배합 함유된 고점도의 고분자 함유 안약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 내용에 따르면, 소망되는 고점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고분자 농도를 더 낮추어 사용해도 무방한 것으로 되어 있다. 광범위한 고분자 농도가 개시되어 있는데, 가장 넓게는 카르보머 0.05∼3 중량%와 섬유소 고분자 0.05∼5.0 중량%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2 성분계-고분자 시스템이 PCT 공고 제 W091/19481 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시스템은 안구 표면의 pH와 온도 조건에 노출될 때 이상과 같은 겔상이 된다. 상기 공보에서는, 점도 조정을 위해 염을 0.9%까지 포함시기는 것이 기획되었다.
또한, 다양한 고분자들, 즉 카르복시 비닐 고분자들을 다양한 농도로 함유한 약학적 활성을 갖는 안약 조성물에 관한 공개 문헌들이 다수 있다. 강건성 (tonicity) 조절제로서는, 겔 구조를 방해하지 않도록 대체로 비이온성 폴리올 (polyol)이 제안되었다(W0 제 93/00887 호, W0 제 90/13284 호).Int. J. Pharm. 81 (1992) 59∼65에서는 강건성 조절제로서 마니톨을 함유하며 티몰롤 말레산염과 0.6%의 폴리아크릴산(MW 250,000), 및 0.6%의 폴리아크릴산과 티몰롤(timolol)과의 염을 함유한 수용성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낮은 전단 속도에서 측정한 점도는 45 mPas인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독일특허 명세서 제 28 39 752 호에서는 카르복시 비닐 고분자를 0.05∼5.0 중량%로 함유하고 점도가 1OOO∼1OO,OOO mPas를 나타내는 안약 겔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이 개시 내용에 따르면, 겔이 안구 표면상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량의 염화나트륨 0.001∼0.5 중량%가 첨가되어 있다(참조, 컬럼 4, 41 ff행).
본 발명은 인체 및 수의용, 국소용 수용액 형태의 안약 조성물, 및 특히 상기 조성물의 녹내장과 고안압증(ocular hypertension) 치료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고분자와 조합해서 안약 및 인공 눈물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고분자를 포함시키는 것은 눈의 각막과의 접촉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안약에 있어서 눈에 약의 투입이 지속될 수 있도록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전단 속도에 대한 조성물의 점도 곡선을 나타낸다.
도 2 는 토끼 눈에서의 티몰롤 농도를 본 발멍에 의한 조성물과 대조 생성물로 비교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점도 증가제들을 함유한 상기 유형의 안약 조성물들이 그들의 점도에 의해서보다는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고분자의 농도에 의해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눈의 각막상에 고분자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고농도 고분자를 함유하면서도 눈에 국소적으로 적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을 정도의 유동성을 여전히 갖는 안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환자의 사용상 번거로움이 개선된, 사용이 용이한 안약 점적(點滴)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약 조성물로부터, 정상적으로 액상보다는 겔이 되는 값 이상으로 고분자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그의 점도를 낮춤으로써, 겔상으로 조성물을 투여할 때와 비교해서, 눈에서 원하는 정도로 활성제가 갖는 유익한 효과를 얻으면서도 환자의 눈에서의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구상에 형성된 분해되지 않는 균일한 고분자 필름은 안구 표면상에서 수분의 결합과 함유를 지속시키기에 용이하게 하며, 좀더 향상된 접촉을 가능하게 하여 눈에 활성제의 투여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습윤 효과를 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분자를 총분한 양으로 함유하여 눈으로의 활성제 흡수를 증가 및 연장시기는 두 가지 효과를 모두 달성하는, 사용이 용이한 액상의 안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활성 안약 성분을 투여하는 데 1일 1회만으로 또는, 그보다 적은 빈도의 요법으로서 사용하여, 예컨대, 녹내장 및 고안압증을 치료하는 한편, 투약시의 투여량을 현재 사용되는 양보다 현저히 적은 양으로낮출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자들은 눈으로의 약의 흡수를 좋게 얻는 측면에서 중요한 것이, 그의조성물 자체로서의 점도보다는 조성물내의 고분자의 양이 된다는 것을 전술하였다. 이는 특히, 하기의 테스트로부터 분명해진다. 예컨대, 도 2로부터 점도가 다른 조성물들에서도 동량의 고분자를 사용하면, 조성물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율로 흡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점도가 보다 큰 조성물이 더 잘 흡수되었을 것으로 예측되어졌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목적은,
- 활성 안약 성분,
- 이온 민감성, 친수성 고분자 0.004∼1.5 중량%,
- 완충제 및 무기염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염, 총량 0.01∼2.0 중량%,
- 습윤제 0∼3.0 중량%,
- 방부제 0∼0.02 중량%,
- 물, 및
- 생성되는 약학 조성물의 pH를 4.0∼8.0으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의, 임의의 pH 조절제를 함유하고, 상기 고분자 성분들과 염 사이의 비율을 생성되는 안약 조성물 용액의 점도가 1OOO mPas 미만이 되도록 조정한, 국소용 수용성 용액 형태의 안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온 민감성, 친수성 고분자는 산성 작용기를 함유하며, 전형적으론 카르복시 비닐 고분자, 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이다. 카르복시 비닐 고분자들 중에서 전형적인 대표물은 카르보머로 알려져 있는 폴리아크릴산 고분자이다. 카르보머는 여러가지의 분자량, 예컨대, 450,000∼4,000,000의 전형적인 분자량 범위를 가지며 카르보폴이라는 상표명, 예컨대, 카르보폴 907, 910, 934, 934P, 940, 941, 971, 971P, 974, 974P, 980 및 981, 바람직하게는 카르보폴 941과 981로 시판되고 있다.
고분자는 가급적이면 0.01∼0.8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4 중량, 좀더 유리하게는 0.04∼0.4 중량%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의 점도를 Brookfield LVDV-III 형 점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25 ℃에서 전단 속도 D를 1.1 s-1로 해서 측정할 때·100O mPas 미만의 수준으로, 좀더 바람직하게는 500 mPas 미만으로 낮추는 것이 표적 부위에서 생성물의 효능과 응용의 용이성 양자의 관점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물에 염 및/ 또는 완충제를 소량으로, 바람직하게는 0.01∼1.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이같은 목적을 달성하였다. 점도 감소성 염과 완충제로서는 다음과 같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나트륨(1가 및 2가), 붕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및, 그의 등가물 또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염을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서는, 허용되지 못할 정도로 높은 점도를 갖는 배합물이 얻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염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안구 표면에 적용시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여전히 유리한 비뉴우톤성 성질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주목되어진다.
어떤 목적들을 위해, 예컨대, 외관상 및 저장성의 목적면에서, 점도 감소제 로서는, 염화 나트륨이나 염화칼륨보다 완충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제가 아민기와 같은 염기성 작용기를 함유한 경우에 있어서, 카르복시기와 같은 산기를 함유한 고분자를 사용하면 산성 고분자와 염기성 활성제 사이의 이온 교환 반응 또는 염 생성 반응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유익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므로, 고분자와 활성제 사이의 증가된 이온 세기의 유지는 활성제의 전달을 개선시켜 준다. 염기성 약이 고분자에 의해 잘 유지되기 때문에, 원한다면 투여량의 감소 및/또는 약의 일일 투여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부작용들도 마찬가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조성물의 pH는 5.0∼8이 알맞으며, 바람직하게는 6.5∼8.0이 된다. 활성제로서 염기를 사용할 경우, 조성물의 pH는 산성의 고분자와 염기성의 활성제 각각의 사용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렇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조성물의 pH를, 가능 하다면, 특히,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암모늄의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예컨대 염산 등의 산 또는 염기를 추가로 첨가하여서도 조정할 수 있다.
활성 안약 성분은 교감신경차단제, 교감신경흥분제, 항녹내장제, 예컨대 β-블로커, 탄산탈수효소억제인자, 항생제, 소염제, 항알레르기제 또는 그들의 조합물인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고안압증의 치료에 효과적이거나 녹내장에 대해 활성이 있는 활성 성분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히 아민기를 함유하는 약학적 활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숙고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목적하는 안약은 사슬이나 고리에 결합된 아미딘기, 또는 유기 암모늄기,1차,2차 또는 3차의 아미노기를 함유하거나, 이미다졸, 이미다졸린, 피리딘, 피페리딘 또는 피페라진과 같이질소 원자가 다양한 염기성 헤테로 고리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안압증의 치료에 효과적이거나 녹내장에 대해 활성이 있는 활성 성분이 사용된다. 상기 화합물들 중에서 특히 선호되는 군으로는 베탁솔롤(betaxo1o1), 카테올롤(carteolo1), 레보부놀롤(levobunolol), 메티프라놀롤(metipranolo1), 핀돌롤(pindolol), 프로프라놀롤(propranolo1) 및 티몰롤(timolol)과 같이 2 차 아민 함유 β-차단 작용제 자체 또는 그의 산부가 염을 들 수 있다. 특히 유익한 본 발명의 유형은 티몰롤의 결정화가 용이한 S-티몰롤 말레산염 또는 반수화물로서 티몰롤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유익한 유형 중에서 눈의 치료에 유용한 염기성 의약 분자의 다른 전형적인 예로는 토브라마이신(tobramycine),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e, 살균성,항균성의) , 시클로펜톨레이트(cyclopentolate), 트로픽아미드(tropicamide),아트로핀(atropine), 페닐레프린(phenylephrine), 메타옥세드린(metaoxedrine, 콜린 작동 억제성, 산동중(散瞳症)성의), 필로카르핀(pilocarpine), 카르바콜(carbacol), 에코티오페이트(ecothiopate, 클린 작동성의), 아드레날린, 디피베프린(dipivefr in), 도파민(dopamine, 아드레날린성의), 나파졸린(naphazoline), 테트리졸린(tetryzoline, 혈관 수축제), 베라파밀(verapamil), 니페디핀(nifedipine, 혈관 확장제), 아프라크로니딘(apraclonidine), 클로니딘(clonidine), 메데토미딘(medetomidine, α2-주동근군(主動筋群), 세졸라미드(sezolamine,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세티리진(cetirizine, 항히스타민), 그자체 또는 그들의 산부가물, 에스테르 및 전구약물(prodrug) 형태들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오직 약으로서 S-티몰롤 또는, 예컨대, 필로카르핀 염기 형태와의 배합물과 같은 β-차단 작용제를 사용하고자 한다.
최종 조성물에서의 활성제의 양은 특히 S-티몰롤의 경우 0.001∼5 중량% 범위 내에서 가변적일 수 있지만, 대개 0.01∼0.5 중량%, 전형적으로는 0.1∼0.5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조성물의 습윤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습윤제로서,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과 같은 다가 알콜을 함유한다. 습윤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0.5∼3.0 중량%에서와 같이 최대 3.0 중량%로 사용한다.
방부제로서는 예컨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벤질알콜, 수은 염들, 티오메르살(thiomersal), 클로헥사딘(chlorhexadine) 등을 그대로 또는 조합물로서 사용한다. 방부제의 양은 대체로 0∼0.02 중량% 범위 내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액 형태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는 총 조성물의 중량%임):
- 유리 염기(free base)로서 산측하여, 0.1∼0.5 중량% 양의 말레산염 또는 반수화물 형태의 티몰롤,
- 폴리아크릴산 0.04∼0.4 중량%,
- 글리세롤 0.5∼2.5 중량%,
- 인산나트륨 0.01∼1.5 중량%,
- 방부제 0∼0.02 중량%,
- 물, 및
- 생성되는 안약 조성물의 pH를 6.5∼8.0으로 맞춰 주는 임의의 pH-조절제를 필수적으로 함유하고, 생성되는 안약 조성물 용액의 점도가 800 mPas 미만이 되게 조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함유하는"이라는 귀절은 조성물이 오직 또는 필수불가결하게 오직, 그 귀절에 이어 나열되어 있는 조성물만을 함유한다는 것을 뜻하는 바이다, 하지만, 조성물들은 안구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과 보조제를 조성물의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유형과 양으로 해서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3 단계로 준비된다. 첫 번째 단계는 고 분자를 멸균 처리된 물에 분산시켜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해(autoclaving) 살균 처리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다른 성분들, 즉 활성 성분, 무기염, 강건성 조절제, 방부제, 및 기타 첨가물들을 멸균 처리된 물에 용해시키고, 여과 장치(예컨대, 포어(pore) 크기가 0.2 μm 정도)로 여과하여 살균 처리한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에서는 두 단계를 통해 제조된 용액을 무균적으로 조합, 배합하여, 낮은 점도의 균일한 용액상을 형성할 때까지 혼합한다. 필요에 따라, 용액의 매를 산 또는 염기를 첨가하여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얻어진 조성물을 다중 또는 단일 투여량 형태로 포장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예시되지만,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다음과 같이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조성물 (g)
S-티몰롤 반수화물 2.56
카르보폴 941 0.95
일가인산나트륨 0.08
이가인산나트륨 1.80
글리세롤 23.0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6
주사용 물 1000 mL까지
카르보폴 941을 실온에서 멸균수 30O mL에 분산시켰다. 용액은 오토클레이브로 살균 처리하었다. 상기 고압가열된 용액을 실온으로 식혔다(용액 1).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글리세롤, 일가 또는 이가 인산나트륨 및 티몰롤 반수화물을 실온에서 멸균수 70O mL에 용해시기고 포어 크기가 0.2 μm인 여과 장치로 여과하여 살균 처리하었다(용액 2). 최종 단계에서는 두 선행 단계에서 제조된 용액들(용액 1 과 용액 2)을 무균적으로 조합하고 그들이 균일한 저점도의 용액을 형성할 때까지 혼합하였다. 제조된 용액의 매는 7.4가 되었고 그의 점도는 440 mPas(D = 1.1 s-l)이 되었다. 그리고나서는 용액을 통상적인 안약 병에 포장하였다.
조성물의 점도 vs. 전단 속도의 곡선을 도 1에 도시했다. 염이 첨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곡선의 모양은 여전히 비뉴우톤성 유동학을 보이는 것이 주목된다.
실시예 2
다음과 같이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조성물 (g)
S-티몰롤 말레산염 3.42
카르보폴 941 2.00
염화나트륨 3.5
글리세롤 15.0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6
수산화나트륨 pH 7.5까지의 충분한 양
주사용 물 1000 mL까지
용액의 pH를 멸균 여과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7.5로 맞추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용액을 제조하였다. 용액의 점도는430mPas(D = 1.1 s-1)가 되었다.
점도 vs. 진단 속도의 곡선을 도 1에 도시했다.
실시예 3
다음과 같이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조성물 (g)
S-티몰롤 반수화물 2.56
카르보폴 981 1.4
일가인산나트륨 0.62
이가인산나트륨 2.85
글리세롤 23.0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6
주사용 물 1000 mL까지
용액을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의 pH는 6.9가 되었고 그 용액의 점도는 70 mPas(D = 1.1 s-1)가 되었다.
점도 vs. 전단 속도의 곡선을 도 1에 도시했다.
실시예 4
다음과 같이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조성물 (g)
S-티몰롤 반수화물 1.02
카르보폴 941 2.28
일가인산나트륨 1.55
이가인산나트륨 7.10
글리세롤 20.0
수산화나트륨 pH 6.8까지의 충분한 양
주사용 물 1000 mL까지
용액을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의 pH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서 pH 6.8로 조정하였다. 용액의 점도는 590 mPas(D = 1.1 s-l)가 되었다.
실시예 5
다음과 같이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조성물 (g)
S-티몰롤 말레산염 6.84
카르보폴 941 3.0
일가인산나트륨 0.59
이가인산나트륨 8.24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1
수산화나트륨 pH 7.2까지의 충분한 양
주사용 물 1000 mL까지
용액을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의 pH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서 pH 7.2로 조정하였고, 용액의 점도는 270 mPas(D = 1.1 s-1)가 되었다.
실시예 6
다음과 같이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조성물 (g)
클로니딘(염기) 1.25
카르보폴 981 0.70
일가인산나트륨 0.04
이가인산나트륨 0.6
글리세롤 23.0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6
주사용 물 1000 mL까지
용액을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의 pH는 7.0이 되었고 그 용액의 점도는 540 mPas(D = 1.1 s-1)이 되었다.
실시예 7
다음과 같이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조성물 (g)
필로카르핀(염기) 20.0
카르보폴 981 3.0
일가인산나트륨 10.6
이가인산나트륨 0.53
글리세롤 5.0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10
주사용 물 1000 mL까지
용액을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의 pH는 6.8이 되었고 그 용액의 점도는 90O mPas(D = 1.1 s-1)가 되었다.
배합물(실시예 1∼3, 5∼7)로부터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를 생략함으로써, 해당 단위 투여량 배합물을 얻었다.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6 mg/mL를 배합물(실시예 4)에 첨가함으로써, 해당 다중 투여량 배합물을 얻었다.
토끼 눈에서의 티몰롤의 흡수 (연구 1)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의 안약 배합물(실시예 1)을 토끼 눈에 점적(點滴)하였다(n = 6). 안방수(眼房水, aqueous humor)내의 티몰롤 농도를 HPLC를 사용하여 30 분 경과 후와 1 시간 경과 후에 측정하였다. 대조 생성물은 동량의 카르보폴, 티몰롤 및 방부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하였지만, 어떤 무기염도 함유하지는 않았다. 대조 생성물의 점도는 매우 큰 편이었다(730O mPas, D = 1.1 S-1).
토끼 눈에서의 안방수내의 티몰롤 농도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끼 눈에서의 티몰롤의 흡수는 점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등하게 나타났다.

Claims (20)

  1. - 활성 안약 성분,
    - 이온 민감성, 친수성 고분자 0.004 ∼ 1.5
    - 완충제 및 무기염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이상의 염, 총량 0.01 ∼ 2.0 중량%,
    - 습윤제 0 ∼ 3.0 중량%,
    - 방부제 0 ∼ 0.02 중량%,
    - 물, 및
    - 생성되는 안약 조성물의 pH를 4.0 ∼ 8.0으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의 pH 조절제를 임의로 함유하고, 상기 염과 고분자 성분의 비울을 생성되는 안약 조성물 용액의 점도가 1OOO mPas 미만으로 나타나도록 조정한, 국소용 수용액 형태의 안약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이서, 상기 고분자가 0.01 ∼ 0.8 중량%의양으로 존재하고, 카르보폴 907, 910, 934, 934P, 940, 971, 971P, 974, 974P, 980 및 981로 이루어진 균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
  3.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가 글리세롤인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의 양이 0.5 ∼ 2.5 중량%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나트륨, 붕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그의 등가물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균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도가 800 mPas 미만인 조성물.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5.0 ∼ 8.0인 조성물.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안약 성분이 교감신경차단제, 교감신경흥분제, 항녹내장제, 항생제, 소염제, 항알레르기제 및 그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활성 성분이 베탁솔롤, 카테올롤, 례보부놀롤, 메티프라놀롤, 핀돌롤, 프로프라놀롤, 티몰롤, 필로카르핀과 티몰롤의 혼합물, 및 티몰롤의 말레산염 및 티몰롤의 반수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 유리 염기로서 산측하여, 0.1 ∼ 0.5 중량% 양의 말레산염 또는 반수화물 형태의 티몰롤,
    - 폴리아크릴산 0.04 ∼ 0.4 중량%,
    - 글리세롤 0.5 ∼ 2.5 중량%,
    - 인산나트륨 0.01 ∼ 1.5 중량%,
    - 방부제 0 ∼ 0.02 중량%,
    - 물, 및
    - 생성되는 안약 조성물의 pH를 6.5 ∼ 8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의 pH 조절제를 임의로 함유하고, 생성되는 안약 조성물 용액의 점도가 800 mPas 미만인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유기 염기, 무기 염기, 유기산 및 무기산 중에서 선택된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조정한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가 수산화나트륨인 조성물.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가 0.01 ∼ 0.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가 0.04 ∼ 0.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의 양이 0.01 ∼ 1.5 중량%인 조성물.
  16. 제 7 항에 있어서, pH가 6.5 ∼ 8.0인 조성물.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안약 성분이 β-블로커 또는 탈산탈수효소 억제 인자인 조성물.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티몰롤이 S-티몰롤인 조성물.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티몰롤이 S-티몰롤인 조성물.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H를 6.5 ∼ 8.0으로 조정한 조성물.
KR1019960705391A 1994-03-31 1995-03-29 점도가감소된안약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365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401108-7 1994-03-31
SE9401108A SE9401108D0 (sv) 1994-03-31 1994-03-31 Ophthalmic composition 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024A KR970702024A (ko) 1997-05-13
KR100365914B1 true KR100365914B1 (ko) 2003-04-16

Family

ID=2039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3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5914B1 (ko) 1994-03-31 1995-03-29 점도가감소된안약조성물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5710182A (ko)
EP (1) EP0752847B1 (ko)
JP (1) JPH10503470A (ko)
KR (1) KR100365914B1 (ko)
CN (1) CN1112918C (ko)
AT (1) ATE202921T1 (ko)
AU (1) AU694497B2 (ko)
BG (1) BG63145B1 (ko)
BR (1) BR9507438A (ko)
CA (1) CA2186734A1 (ko)
CZ (1) CZ290987B6 (ko)
DE (2) DE752847T1 (ko)
DK (1) DK0752847T3 (ko)
EE (1) EE03661B1 (ko)
ES (1) ES2161874T3 (ko)
GR (1) GR3036763T3 (ko)
HU (1) HU223071B1 (ko)
MX (1) MX9603918A (ko)
NO (1) NO314434B1 (ko)
PL (1) PL179433B1 (ko)
PT (1) PT752847E (ko)
RO (1) RO115409B1 (ko)
RU (1) RU2139016C1 (ko)
SE (1) SE9401108D0 (ko)
SK (1) SK280492B6 (ko)
WO (1) WO1995026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18568D0 (en) 1997-09-03 1997-11-05 Chauvin Pharmaceuticals Limite Compositions
WO2000064528A1 (en) 1999-04-28 2000-11-02 Situs Corporation Drug delivery system
KR100366439B1 (ko) * 2000-02-21 2003-01-09 주식회사 대웅 상피세포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안정한 약제학적조성물
US6852688B2 (en) 2000-03-10 2005-02-08 University Of Florida Compositions for treating diabetic retinopathy and methods of using same
RU2191013C2 (ru) * 2000-10-04 2002-10-20 Федераль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Московский эндокринный завод" Антиглаукоматозное средство
WO2003070219A1 (fr) * 2002-02-22 2003-08-28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Systeme d'administration de medicament destine a administrer de facon subconjonctivale des grains fins
US7128928B2 (en) * 2002-02-22 2006-10-31 Pharmacia Corporation Ophthalmic formulation with novel gum composition
KR20050085367A (ko) * 2002-12-04 2005-08-29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결막하 데포에 의한 약물 송달 시스템
JP2004196787A (ja) * 2002-12-04 2004-07-15 Santen Pharmaceut Co Ltd 結膜下デポによるドラッグデリバリーシステム
KR101131056B1 (ko) * 2003-06-13 2012-04-23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시너지성의 2개의 폴리머 배합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US7947295B2 (en) * 2003-06-13 2011-05-24 Alcon, Inc.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two polymers
KR101160702B1 (ko) * 2003-08-20 2012-06-28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미립자 테논낭하 투여 약물 전달 시스템
RU2278656C1 (ru) * 2004-11-29 2006-06-27 Уфим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глазных болезней Вискоэластик для защиты внутриглазных тканей глаза
TWI367098B (en) * 2004-12-23 2012-07-01 Kowa Co Treating agent for glaucoma
US7862552B2 (en) 2005-05-09 2011-01-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for treating urological and uterine conditions
DE102005035986B4 (de) * 2005-07-28 2009-10-15 Bausch & Lomb Incorporated Steriles tropfbares mehrphasiges emulgatorfreies ophthalmisches Präparat
RU2340327C1 (ru) * 2007-05-03 2008-12-10 Лев Давидович Раснецов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й гель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WO2010024930A2 (en) 2008-08-28 2010-03-0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rtistatin analogues and syntheses therof
EP2383286A1 (en) 2010-04-30 2011-11-02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retinal degenerative diseases
WO2012108489A1 (ja) * 2011-02-10 2012-08-16 参天製薬株式会社 親水性薬物の薬物移行性を改善した水性組成物
US20150038557A1 (en) 2012-02-24 2015-02-05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retinal degenerative diseases
JP6494631B2 (ja) 2013-12-24 2019-04-03 プレジデント アンド フェローズ オブ ハーバード カレッジ コルチスタチン類縁体並びにその合成及び使用
WO2016182932A1 (en) 2015-05-08 2016-11-1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rtistatin analogues, syntheses, and uses thereof
CN107847432A (zh) 2015-05-29 2018-03-27 西德奈克西斯公司 D2o稳定化的药物制剂
WO2017004411A1 (en) 2015-07-01 2017-01-05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rtistatin analogues and syntheses and uses thereof
WO2017035408A1 (en) 2015-08-26 2017-03-02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for treatment of immune and inflammatory disorders
AR106018A1 (es) 2015-08-26 2017-12-06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Compuestos de arilo, heteroarilo y heterocíclicos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médicos
AU2017221441A1 (en) 2016-02-17 2018-10-04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FFA1 (GPR40) as a therapeutic target for neural angiogenesis diseases or disorders
WO2017197051A1 (en) 2016-05-10 2017-11-16 C4 Therapeutics, Inc. Amine-linked c3-glutarimide degronimers for target protein degradation
MX2018016046A (es) 2016-06-27 2019-05-02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Quinazolina y compuestos indol para tratar trastornos medicos.
WO2018033854A1 (en) 2016-08-15 2018-02-22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treating ocular hypertension and glaucoma
JP7297308B2 (ja) 2016-08-19 2023-06-26 オラシ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リミティド 眼科用医薬組成物及びそれに関する使用
EP3985002B1 (en) 2017-03-01 2025-05-07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Aryl, heteroaryl, and heterocyclic pharmaceutical compounds for treatment of medical disorders
MX392558B (es) * 2017-05-11 2025-03-24 Vyluma Inc Composición oftálmica líquida estable, que comprende una solución acuosa con un tampón, un agente de tonicidad, un quelante, un modificador de la viscosidad y atropina; y el uso de la misma para el tratamiento de la miopía.
JP2021519337A (ja) 2018-03-26 2021-08-10 シー4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Ikarosの分解のためのセレブロン結合剤
EP3841086B1 (en) 2018-08-20 2025-04-23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complement factor d medical disorders
WO2020051532A2 (en) 2018-09-06 2020-03-12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dical disorders
EP3866773B1 (en) 2018-10-16 2024-08-28 Georgi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Carbon monoxide prodrugs for the treatment of medical disorders
GB201904125D0 (en) 2019-03-26 2019-05-08 Ge Healthcare Bio Sciences Ab Method for sanitization of a chromatography column
WO2021168320A1 (en) 2020-02-20 2021-08-26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Heteroaryl compounds for treatment of complement factor d mediated disorders
WO2021178920A1 (en) 2020-03-05 2021-09-10 C4 Therapeutics, Inc. Compounds for targeted degradation of brd9
WO2022066774A1 (en) 2020-09-23 2022-03-31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complement mediated disorders
WO2022169959A1 (en) * 2021-02-04 2022-08-11 Sydnexis, Inc. Ophthalmic compositions for presbyopia
EP4088713A1 (en) 2021-05-10 2022-11-16 Warszawskie Zaklady Farmaceutyczne Polfa S.A. Ophthalm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tropine
EP4088714A1 (en) 2021-05-10 2022-11-16 Warszawskie Zaklady Farmaceutyczne Polfa S.A. Ophthalm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tropine
CN113786380A (zh) * 2021-09-18 2021-12-14 华北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硝酸毛果芸香碱眼用凝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684B2 (ja) * 1977-11-07 1985-12-11 東興薬品工業株式会社 点眼剤
RU2000790C1 (ru) * 1987-07-15 1993-10-15 Уфим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глазных болезней Глазна мазь
US5252318A (en) * 1990-06-15 1993-10-12 Allergan, Inc. Reversible gel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R2678832B1 (fr) * 1991-07-10 1995-03-17 Europhta Sa Laboratoire Nouvelles compositions ophtalmiques a resorption amelioree et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RU2056821C1 (ru) * 1993-02-26 1996-03-27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Глазные капли "кератони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75666A (en) 1997-05-28
DE69521686D1 (de) 2001-08-16
RU2139016C1 (ru) 1999-10-10
AU694497B2 (en) 1998-07-23
GR3036763T3 (en) 2001-12-31
CZ290987B6 (cs) 2002-11-13
ES2161874T3 (es) 2001-12-16
RO115409B1 (ro) 2000-02-28
HK1013953A1 (en) 1999-09-17
US5710182A (en) 1998-01-20
HU9602691D0 (en) 1996-11-28
AU2138995A (en) 1995-10-23
NO314434B1 (no) 2003-03-24
CN1144477A (zh) 1997-03-05
BR9507438A (pt) 1997-09-16
CN1112918C (zh) 2003-07-02
PT752847E (pt) 2001-12-28
EP0752847B1 (en) 2001-07-11
EP0752847A1 (en) 1997-01-15
WO1995026711A1 (en) 1995-10-12
DE69521686T2 (de) 2002-04-25
SK280492B6 (sk) 2000-03-13
SK123996A3 (en) 1997-06-04
MX9603918A (es) 1997-04-30
EE9600120A (et) 1997-04-15
PL179433B1 (pl) 2000-09-29
CA2186734A1 (en) 1995-10-12
SE9401108D0 (sv) 1994-03-31
EE03661B1 (et) 2002-04-15
JPH10503470A (ja) 1998-03-31
DK0752847T3 (da) 2001-10-22
NO964070L (no) 1996-11-28
KR970702024A (ko) 1997-05-13
HU223071B1 (hu) 2004-03-01
BG100915A (en) 1997-07-31
NO964070D0 (no) 1996-09-27
CZ286596A3 (en) 1997-04-16
PL316584A1 (en) 1997-01-20
BG63145B1 (bg) 2001-05-31
ATE202921T1 (de) 2001-07-15
DE752847T1 (de) 199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914B1 (ko) 점도가감소된안약조성물
EP0755246B1 (en)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an ion sensitive, hydrophilic polymer and an inorganic salt in a ratio which gives low viscosity
CN1046094C (zh) 多糖体用于制备原位胶凝的眼科组合物的用途
US7914803B2 (en)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three polymers
CA2675601C (en)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three polymers
JP2001508035A (ja) 炭酸脱水酵素阻害薬及びキサンタンガムを含有する眼科用組成物
KR20130100273A (ko) 점안용 수성 조성물
EA004050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става местных бета-блокаторов улучшенного действия
FI117921B (fi) Alennetun viskositeetin omaava oftalminen koostumus
HK1013953B (en) Ophthalmic composition with decreased viscosity
KR20070018755A (ko) 무스카린 수용체 작동약을 함유한 안과용 경피흡수형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7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7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Patent event code: PN23012R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