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2950B1 - 구동휠의 트랙션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동휠의 트랙션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950B1
KR100362950B1 KR1019950031737A KR19950031737A KR100362950B1 KR 100362950 B1 KR100362950 B1 KR 100362950B1 KR 1019950031737 A KR1019950031737 A KR 1019950031737A KR 19950031737 A KR19950031737 A KR 19950031737A KR 100362950 B1 KR100362950 B1 KR 10036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rive
pressure
brake
drive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425A (ko
Inventor
요하네스슈미트
안드레아스버그
랄프도나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01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9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5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responsive to speed and another condition or to plural spee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pin during vehicle acceleration, e.g. for trac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4Electronic locking-different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20ASR control systems
    • B60T2270/206Monitoring, e.g. parameter monitoring, plausibility ch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구동휠에서 스핀하려는 경향이 있을 때 상기 구동휠이 제동되는 트랙션 제어 시스템이 제안되고, 제 1 휠에서 브레이킹 개재가 종료될 때까지는 이후 불안정하게 되는 휠인 제 2 구동휠에서는 브레이킹 개재가 발생치 않는다.

Description

구동휠의 트랙션 제어 시스템
종래 기술
본 발명은 트랙션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구동휠을 제동시켜 로킹 차동 효과 (locking differential effect)를 발생시키는 트랙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트랙션 제어 시스템은 독일 특허 공개 제 39 16 046 호 공보(미국 특허 제 5,193,889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트랙션 제어시스템은 각자의 구동휠에서의 과도한 슬립(slip)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구동휠의 브레이크에서 개재한다. 휠 진동은 이러한 브레이킹 개재의 결과 또는 열악한 표면을 가진 도로 등의 외부 영향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종류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피하는 것으로서, 검출되는 휠 진동과 시작되는 상기 휠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제한하는 대책을 위한 공지의 트랙션 제어 시스템이 있다. 여기서 휠 진동을 검출하려면 특히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문제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션을 향상시켜 로킹 차등 효과를 발생하는 트랙션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진동을 검출하여 제한시키는 트랙션 제어 시스템에 대한 복잡한 측정이 배제되었으나 진동이 배제되진 않았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독립항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독일 특허 공개 제 41 23 783 호 공보에는 각각의 휠 브레이크히 압력의 감소 또는 압력의 증가가 일련의 펄스에 의해서 발생되는 트렉션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으며, 압력의 동일 변화가 각각의 펄스에서 발생되고 휠 브레이크에서의 압력 측정은 압력 증가와 압력 감소 펄스간의 차이로부터 계산된다.
발명의 이점
본 발명에 따른 절차에 의해 트랙션을 향상시켜 차량의 로킹 차동 효과를 발생하는 트랙션 제어 시스템에서 휠 진동이 방지하게 된다.
그 결과, 복잡한 진동 검출 및 제한 측정이 유리하게 배제된다. 특히, 진동을 검출하는 측정이 유리하게 배제된다.
구동휠의 브레이크에 대한 브레이킹 개재에 의해 트랙션 제어 시스템이 실행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차의 적용은 트랙션 제어 시스템의 범위내에서 전자 로킹차동 효과를 실현하는 것으로, 실제 트랙션 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될 때 로킹 차동효과는 동작 상해로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이 실시예들 및 종속항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확실해질 것이다.
이후,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설명
1 도는 2 개 이상의 구동결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도록 출력선(12, 14)을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들(solenoid valves)(16, 18)을 작동시키는 제어부(10)를 도시하고 있다. 출력선(20)을 통해 제어부 (10)는 연료를 계측하고, 점화 시간을 설정하고,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구동부의 파워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제어부(10)는 정보 램프 또는 경보 램프를 작동시키는 출력선(22)을 가지고 있다. 차량 휠의 회전 속도들을 검출하기 위해 제어부(10)를 측정 장치(34,36,38,40)에 연결된 입력선 (26, 28, 30, 32)이 제어부 (10)에 인입된다. 또한, 구동기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44)에 제어부(10)를 연결시키고 상기 선(46)을 통해 제어부를 전압원(48)에 연결시키는 입력선(42)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 또는 차량의 부가 동작변수를 검출하도록 측정 장치(54 내지 56)에 제어부(10)를 연결시키는 입력선(50내지 52)이 설치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차량을 안정화시키고 트랙션을 규정값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의 휠 브레이크와 구동 회전력(torque)에 영향을 줌으로써 구동휠에서 슬립을 제어하는 트랙션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랙션 제어기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위치(44)를 작동시킴으로써 구동기예 의해 스위치오프된다. 트랙션 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될 때, 트랙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로킹차동 효과가 유지된다. 즉, 차량의 차동 로킹 회전력의 제어가 유지하게 된다. 트랙션 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되어도 트랙션 감시는 계속된다. 휠 브레이크 의해 로킹 회전력을 제어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이후 불안정하게 되는 휠 에서의 브레이크 압력의 증가로 인해 불안정하게 되는 제 1 휠의 브레이크에서 브레이크 압력이 최저 규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이 경우, 서두에 인용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압력 계측 브레이크 회전력이 휠 브레이크 밸브를 작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로킹 회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에 대해서 2 도 내지 4 도의 타이밍 챠트에 의해 구동 상태와 관련시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사이드(사이드 x)상의 구동휠이 과도한 슬립을 갖는 구동 상황이 2도에 도시되어 있다. 2a 도는 사이드 x 상의 구동휠에서 휠 속도 Vx 의 시간에 따른 변동을, 2b 도는 다른 사이드, 즉 y사이드 상의 휠 속도 Vy 의 시간에 따른 변동을, 2c 도는 사이드 x 상의 구동휠의 휠 브레이크에 가해진 브레이크 압력 Px 을, 2d 도는 다른 사이드 상의 구동휠의 휠 브레이크에 가해진 브레이크 압력 Py 을 도시한다. 본질적으로 차량 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속도 Vref 가 2a 도와 2b 도에 도시되고 있다. 상기 기준 속도 Vref 가 현재 구동 상태에서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기준 속도와 휠 속도와의 허용 편차가 파선으로 도시되고 있다. 상기 파선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브레이크 회전력 제어인 브레이킹에 의한 소망값을 나타낸다. 소망값 슬립 람다(lambda)를 고려하여 차량의 속도와 휠 속도를 비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휠의 스핀하는 경향이 계산된다. x 사이드에서 구동휠의 휠 속도 Vx 가 시점 To 에서 브레이킹에 대한 소망값을 초과한다고 가정한다. 구동휠이 스핀하려는 경향이 검출되고 브레이크 압력의 제어가 2c 도에 따른 시점 To 에서 시작하도록 초기화된다. 속도 Vx 는 브레이크가 시점 T1에서 시작하도록 해제되는, 즉 압력 Px 가 2c 도에 따른 감소 되는 시점 T1에서 소망값 이하로 떨어진다고 추측된다. 스핀하려는 경향은 상기 시점에서 y 사이드 상의 구동휠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시점은 휠 속도 Vy 가 기준 속도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파선으로 도시한 임계치 이하로 유지함을 2b 도에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휠 브레이크에서의 브레이크 양력 Py 은 이때 제로(0)로 유지된다. 스핀하려는 경향이 y사이드 상의 구동휠에서 발생할 때 대응하는 절차가 적용된다.
3 도에는 2개의 구동휠이 스핀하려는 경향을 성공적으로 경험한 구동 상황이 도시되고 있다. 휠 속도 Vy가 시점 To에서 소망값을 초과한다. 이에 따른 휠 브레이크 실런더에서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3d 도에 따른 브레이크 압력 Py 의 단계형 프로파일로 도시되고 있다. 휠 속도 Vx 가 y 사이드에서 브레이크 회전력제어간 시점 T1에서 임계값을 초과한다. 즉 스핀하려는 경향이 x 사이드의 구동휠에서 발생한다(제 3a 도 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시점 T1에서 시작하는 x 사이드 상의 휠 브레이크에서는 압력이 증가되지 않는다. 대신에 시점 T3에서 브레이크 압력 Py 이 규정값, 즉 제로(0)로 떨어질때까지 x 측상에서 증가되지 않는다. 휠 속도 Vy 가 브레이크 회전력 제어 범위내에서 소망값 아래로 떨어진 후 브레이크 압력 Py 는 시점 T2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시점 T3에서 브레이크 압력은 제로(0)에 도달하는데, 예증 실시예에 따르면, x 사이드 상에서 스핀하려는 경향이 계속해서 존재하면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을 이후 불안정하게 만드는 브레이크 압력의 증가는 최초 불안정하게 만드는 제 1 휠에서의 브레이크 압력은 조정 가능한 최소의 압력 이하로 떨어질 때 까지는 허용되지 않는다.
최초 휠 속도 Vx, 다음 휠 속도 Vy 가 소망값을 초과하면 대응 수단이 취해 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4 도는 양 구동휠이 동시에 스핀할 때의 구동 상황이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 휠 속도 Vy 는 고려되는 시간 주기 동안 소망값 이상으로 계속된다(4b도 참조). 관련 휠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압력은 휠 속도 Vy 의 감소없이 상기 동작 상태에서 값 P1이 된다. 또한, 스핀하려는 경향은 시점 To 에서 x 사이드 상의 구동휠에서 발생한다. 휠 속도 Vx 는 소망값을 초과한다. 본 발명애 따르면, 상기 상황의 발생으로 y 사이드 상에서 브레이크 압력의 점진적인 감소를 시점 To 에서 시작하는 제로(0)값으로 만든다. x 사이드에서 브레이크 압력이 발생되지 않는다(4c 도, 4d 도). 휠 속도의 감소는 대응적으로 구동 파워를 감소시키는 구동기에 의해서 실행되는데 2 도와 3 도에서 설명된 절차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의 경우로서 x 사이드에서 스핀하려는 경향의 발생 과, y 사이드에서 스핀하려는 경향의 발생이 주어지면 대응 절차가 실행된다.
양호한 실시예애서 기술된 절차는 트랙션 제어기가 스위치 오프, 즉 스위치(44)가 작동되어 트랙션 제어되어 행해진다.
한 사이드에서 휠 속도가 다른 사이드의 휠 속도 보다 높으면, 다른 사이드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유지하는 동한 한 사이드의 트랙션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가 발생하며, 다른 사이드에서 스핀하려는 경향은 검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브레이크 압력이 증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사이드에서 브레이크 압력의 감소가 발생하는 동안 다른 사이드에서 휠 속도가 제 1 사이드의 휠 속도보다 빠르면, 다른 사이드에서는 제로(0)의 브레이크 압력이 유지되며 제 1 사이드에서의 스핀하려는 경향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브레이크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압력의 감소는 제 1 사이드에서의 휠 속도가 차량의 다른 사이드에서 보다 빠르고 휠의 스핀하려는 경향이 차량의 양 사이드에서 발생하면 차량의 한 사이드에 발생한다.
스위치(44)가 세트되면 브레이크 회전력 제어는 로킹 회전력을 발생하는데 만 사용된다. 이 경우,하나의 휠만이 브레이킹에 의해 제동된다. 양 사이드에서 스핀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압력이 감소되고 로킹 회전력이 더 이상 실현되지 않는다.
로킹 회전력을 발생하는 절차는 80km/h 의 속도 임계치 이하에서만 동작한다. 로킹 회전력은 상기 임계치 이상에서는 더 이상 실현되지 않으며, 브레이크 간섭 시작시 차량의 속도가 이 경우에서 결정적이다.
양호한 응용에 있어서 기술된 절차는 트랙션 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됨에 따라 로킹 차동 효과를 발생한다. 통상, 구동 회전력의 제어는 구동 회전력의 제어동안에 안정성과 트랙션을 향상시키도록 차량 바위에서 슬립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부에 의해 회전력 출력에서 간섭이 행해지면서 실제의 트랙션 제어기의 범위내에서 제공된다. 구동부의 구동 회전력에서 이러한 간섭은 스위치(44)는 폐쇄되고 로킹차동은 작동 상태로 되면서 과열에 대해 브레이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시에 영향을 미칠 구동 회전력의 제어시 간섭하는 역할을 하는 소망값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값이 브레이크 실린더 의 압력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 때 매우 높은 값까지 증대된다. 구동휠의 브레이크 실린더 압력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여 브레이크가 과열될 위험이 있으면, 양호한 실시예에서 로킹 회전력이 발생될 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엔진 회전력에서 간섭이 허용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회전 속도 및 압력으로부터 브레이크의 온도를 결정하는 모델이 제공된다. 이렇게 계산된 브레이크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엔진 회전력 제어의 소망같은 감소되어 휠의 스핀하려는 경향이 있을 때 로킹 회전력의 발생과 관련한 엔진 회전력의 간섭이 가능하게 된다.
큰 마찰 계수를 가진 운반과 관련하여 특별한 주위가 기울여져야 한다. 이경우 브레이크 회전력 제어에 있어서 가능한한 간섭을 보호하기 위해서 브레이킹 간섭에 대한 소망 값이 축소된다(2 도 내지 4 도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값).
이 경우 4 도에 도시한 상황이 발생하며, 이러한 상황애서 구동휠이 감소된 슬립 임계값의 결과 스핀으로 검출되며 코너링(cornering)에서 추가의 역영향을 미치는 브레이킹 간섭이 발생치 않는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또는 다른 양호한 실시예의 범위내에서 코너링이 검출될 때 (스티어링 각도 센서 또는 차량의 상이한 사이드에서 구동되지 않은 휠의 회전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구동휠이 불안정하다고 검출될 때 압력이 발생한다. 압력이 규정 임계치에 이르면, 압력은 다른 구동휠에서도 상태에 무관하게 등기적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코너링간에 과도하게 큰 로킹 영향이 방지되고 차량의 안정성이 증대케 된다.
또한, 스핀하려는 경향이 양 휠에서 검출된 후 다음 압력의 증가에 대한 지면 시간을 도입하는 타이밍 요소가 4도에 따른 동작 상황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또한 제한된 로킹 회전력을 이끄는 수단이 제공된다. 가해진 최대 가능한 브레이크 압력이 휠 속도의 소망값 사이의 제어 편차와 차량 속도의 함수로서 규정되며, 주행 속도로서 현저하게 떨어진 상기 소망값은 80km/h 의 제한 속도에서 제로(0)값에 도달하도록 증대한다. 또한 큰 압력을 제어 편차로서 가능케하는 수단에 의해 현재의 차량 속도의 최대 가능 압력에 이를 때까지 보다 크게 된다.
또한, 구동기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1 도에 도시한 정보 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정보 램프는 스위치(44)가 스위치 온 될 때 켜져 실제의 트랙션 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되고 오직 차동 효과 또는 트랙션 감시가 가능한 정보를 구동기에 전달한다. 하나 이상의 불안정한 구동휠이 검출되면 (슬립 임계치를 초과하는), 트랙션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될 때도 임계적인 구동 상황을 구동기에 지시하도록 정보 램프는 플래쉬된다. 특히 정보 램프는 트랙션 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될 때 어느 자동간섭의 가능성이 없다면 한계 속도 이상으로 플래시된다.
5 도에서, 계산 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절차를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차량의 한 사이드, 즉 사이드 x 를 이용하는 플로우 챠트에 의채 도시된다. 프로그램 부분이 규정 ,시간에서 시작된 후, 스위치(44)가 폐쇠되었는지, 즉 트랙션 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트랙션 시스템이 온되었는지의 여부가 제 1 단계(100)에서 테스트된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면 단계(102)에서 차량 속도 VFZG가 규정 임계치 Vo 와 비교된다. 차량 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프로그램 부분은 종료된다. 반대의 경우 브레이킹을 통해 로킹 차동 효과를 발생하는 수단이 실행된다.
상기 수단은 초기에 단계(104)에 따라 차량의 두 사이드 의 구동휠의 휠 브레이크에서 판독되는 현재의 브레이크 압력 Px 및 Py 와 판독되는 차량의 양 사이드의 구동휠의 현재의 휠 속도 VANx 및 VANy 로 이루어진다, 규정의 소망값과 현재의 휠 속도와의 편차, 즉 제어 편차 BRAy 가 판독된다. 이는 사이드 y 에 대한 대응 계산 프로그램에서 결정된다. 단계(106)에서, x 사이드의 제어 편차 BRAx 는 휠 속도 VANx, 차량의 현재 속도 VFZG, 및 슬립 임계치 람다에 의거하여 계산된다. 다음의 심문 단계(108)에서 휠 속도 VANx 가 휠 속도 VANy보다 빠른지가 테스트된다.휠 속도. VANx 가 휠 속도 VANy보다 빠르다면, 단계(110)에서 스핀 경향을 나타내는 포지티브 제어 편차의 발생이 y사이드에서 심문된다. 제어 편차가 BRAy > o 이면, 즉 차량의 다른측의 구동휠이 스핀 경향을 보이면 양 휠이 스핀된다고 추측된다. 그 이유는 단계(108)에 따른 휠 속도 VANx 가 VANy 보다 크기 때문이며, y 사이드 상의 스핀 경향이 있을 때, x 사이드 상에서의 스핀 경향이 자동적으로 따르게 된다. 단계(112)에 따르면, 차량 사이드 x 상의 구동휠의 휠 브레이크 의 압력은 감소되거나 4 도에 따른 제로(0)값으로 유지되고 정보 램프는 펄스 신호로 작동되며 프로그램 부분은 종료케 된다. 이는 y 사이드에도 대응하여 적용된다. 단계(110)의 결과가 y 사이드에서 존재하는 포지티브 제어 편차가 없다면, 단계 (114)에서 y 사이드 상의 휠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압력 Py 이 규정의 최소 압력 POy, 즉 제로(0)보다 큰지가 테스트된다. 최소 압력 POy 가 제로(0)보다 크면, 단계(112)에 따르면, 사이드 x 상의 휠 브레이크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즉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상술된 것은 3 도에서의 시점 T1 과 T3 사이의 상황에 해당한다. 단계(112)에 따라, 프로그램 부분은 종료된다. 이러한 경우 정보 램프는 또한 클록 형태로 작동된다. 단계(114)에서 질의의 결과 최소 압력이거나 최소 압력과 같으면, 단계(118)에서 브레이크 압력은 단계(106)에서 계산된 제어 편차의 함수로서 사이드 x 상의 구동휠의 브레이크에 인가된다. 포지티브 제어 편차의 경우, 정보 램프는 클록 형태로 작동된다. 단계(118)에 따라, 프로그램 부분은 종료된다.
단계(108)에 따라 사이드 y상의 휠 속도가 사이드 x 상의 휠 속도 보다 빠르거나 같으면, 단계(120)에서 제어 편차 BRAx>0 가 사이드 x 에서 존재하는지 즉, 구동휠이 스핀 경향을 보이는 지가 테스트된다. 스핀 경향을 보이면, 단계(110)의 긍정 응답과 유사한 방식으로 양 구동휠이 스핀된다. 때문에 단계 (122)에서 사이드 x 상의 휠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압력이 감소되거나 제로(0)값으로 유지된다(y사이드에도동일 현상이 일어난다). 이후, 프로그램 부분은 종료된다. 정보 램프는 또한 상기 동작 상태에서 클록 형태로 작동된다. 단계(120) 다음에 차량 사이드 상의 구동휠에서 스핀하려는 경향이 없으면, 질의 단계 (124)에서 관련 휠 브레이크 Px 의 브레이크 압력이 최소 압력 POx 보다 큰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테스트된다. 브레이크 양력이 최소 압력 보다 크다면 차량 사이드 x 에서 제어가 종료되어 단계(122)에 따라 브레이크 압력이 감소되거나 제로(0)값으로 유지된다. 이후, 프로그램 부분은 종료된다. 단계(124)에 따라 브레이크 압력 Px 가 최소 압력 POx 이하이거나, 같으면, 단계 (128)에 따라 사이드 x 상의 브레이크 압력이 유지되어 단계 (104)에서 판독된 제어 편차의 함수로서 사이드 y 에 가해진다.
이후, 프로그램 부분이 종료된다.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제어 시스템(traction control system)의 블랙 회로도.
2 도 내지 4 도는 여러 구동 상황과 관련한 본 발명에 따른 절차의 타이밍도.
5 도는 컴퓨팅 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절차의 실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6 : 솔레노이드 밸브
20 : 출력선 44 : 스위치
50 : 입력선 56 : 측정 장치

Claims (3)

  1. 엔진, 제 1 및 제 2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들의 브레이크들을 구비한 차량의 구동휠들의 구동 슬립페이지(slippage)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휠이 구동 슬립페이지의 임계치를 초과한 슬립페이지를 가질 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구동휠이 상기 구동 슬립페이지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제 1 구동휠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구동휠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구동휠이 상기 구동 슬립페이지의 임계치를 초과한 슬립페이지를 가질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구동휠에서 상기 브레이크 압력이 소정의 최소 압력으로 감소되기 전에 상기 제 2 구동휠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증가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 동휠의 구동 슬립페이지 제어 방법.
  2. 엔진, 제 1 및 제 2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들의 브레이크들을 구비한 차량의 구동휠들의 구동 슬립페이지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휠이 구동 슬립페이지의 임계치를 초과한 슬립페이지를 가질 때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구동휠이 상기 구동 슬립페이지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제 1구동휠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증가시키는 수단,
    상기 제 1 구동휠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감소시키는 수단,
    상기 제 2 구동휠이 상기 구동 슬립페이지의 임계치를 초과한 슬립페이지를 가질 때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구동휠에서 상기 브레이크 압력이 소정의 최소 압릭으로 감소될 때까지 상기 제 2 구동휠에서 압력 증가를 배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휠의 구동 슬립페이지 제어 장치.
  3. 엔진, 제 1 및 제 2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들의 브레이크들을 구비한 차량의 구동휠들의 구동 슬립페이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휠이 구동 슬립페이지의 임계치를 초과한 슬립페이지를 가질 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구동휠이 구동 슬립페이지의 상기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제 1 구동휠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이 코너링할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코너링할 때 상기 제 1 구동휠에서의 증가와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휠에서의 브레이크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휠의 구동 슬립페이지 제어 장치.
KR1019950031737A 1994-09-20 1995-09-20 구동휠의 트랙션제어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362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33459A DE4433459C2 (de) 1994-09-20 1994-09-20 Antriebsschlupfregelsystem
DEP4433459.1 1994-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25A KR960010425A (ko) 1996-04-20
KR100362950B1 true KR100362950B1 (ko) 2003-02-11

Family

ID=652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7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2950B1 (ko) 1994-09-20 1995-09-20 구동휠의 트랙션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44949A (ko)
JP (1) JPH0891198A (ko)
KR (1) KR100362950B1 (ko)
CH (1) CH690994A5 (ko)
DE (1) DE443345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3460C2 (de) * 1994-09-20 2000-05-31 Bosch Gmbh Robert Antriebsschlupfregelsystem
DE19641429A1 (de) * 1996-10-08 1998-04-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triebs-Schlupfregelsystem mit Bremseingriff
DE19644231A1 (de) * 1996-10-24 1998-04-30 Teves Gmbh Alfred Antriebsschlupfbegrenzereinrichtung
DE19723324A1 (de) * 1997-06-04 1998-12-10 Wabco Gmbh Verfahren zur Synchronisation zweier sich drehender Teile
DE19837523B4 (de) * 1998-08-19 2010-08-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triebsschlupfregelung bei Kraftfahrzeugen
DE10203422A1 (de) * 2002-01-28 2003-08-0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Traktionsregelung schlupfbehafteter Räder wenigstens einer Antriebsachse
SE0203716L (sv) * 2002-12-17 2003-09-16 Scania Cv Abp System och förfarande för differentialspärrmanövrering
JP2005014692A (ja) * 2003-06-25 2005-01-20 Fuji Heavy Ind Ltd ブレーキ制御装置
DE102005014801B4 (de) * 2005-03-31 2022-04-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msanlage eines Kraftfahrzeuges
EP2138367B1 (en) 2008-06-26 2015-05-13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Slip suppress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EP2138366B1 (en) 2008-06-26 2013-03-20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Slip suppress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EP2138368B1 (en) * 2008-06-26 2013-03-20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Slip suppress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EP2138365B1 (en) 2008-06-26 2015-05-06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Slip suppress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CN101643064B (zh) * 2008-08-04 2011-04-27 江苏华信达特钢科技有限公司 防溜车装置及设置该装置的汽车
DE102010026794A1 (de) 2010-07-10 2012-01-12 Diehl Ako Stiftung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leichspannungswandler-Schaltungsanordnung
DE102011118687A1 (de) * 2011-11-16 2013-05-16 Audi Ag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6366C2 (de) * 1982-10-01 1985-03-07 FAG Kugelfischer Georg Schäfer KGaA, 8720 Schweinfurt Vortriebsregeleinrichtung für zwei über ein Achsausgleichgetriebe angetriebene Räder eines Fahrzeugs
US5172318A (en) * 1987-09-16 1992-12-15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the detection of curves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vehicle
DE3916046A1 (de) * 1989-05-17 1990-11-22 Bosch Gmbh Robert Antiblockierregler oder antriebsschlupfregler
DE4022471A1 (de) * 1990-07-14 1992-01-16 Teves Gmbh Alfred Verfahren zum erhoehen der fahrstabilitaet eines strassenfahrzeugs
DE4123783A1 (de) * 1991-07-18 1993-01-21 Bosch Gmbh Robert Antriebsschlupfregelsystem
DE4418769C1 (de) * 1994-05-28 1995-08-24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Dämpfung von Regelschwingungen eines mittels Lowrad-Bremseneingriffen traktionsregelnden Systems in einem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33459C2 (de) 2003-11-27
JPH0891198A (ja) 1996-04-09
DE4433459A1 (de) 1996-03-21
CH690994A5 (de) 2001-03-30
KR960010425A (ko) 1996-04-20
US5544949A (en) 1996-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950B1 (ko) 구동휠의 트랙션제어시스템
US6315373B1 (en) Roll control device of vehicle manageable of sudden failure of rolling condition detection means
US5922038A (en) Vehicle-behavior control system with wheel speed failure detection
JPH0553671B2 (ko)
US64569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lippage of a vehicle wheel
JPH044175B2 (ko)
JPH0471738B2 (ko)
JPH05507895A (ja) 自動車の操縦安定性を増大する方法
KR100462973B1 (ko) 부하변화에대한차량의반응을완화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5593217A (en) Traction control system
JP3905587B2 (ja) 動力車のためのabs及び(あるいは)asc制御システム
KR100377668B1 (ko) 트랙션제어시스템
KR20190063932A (ko) 주행 방식의 분석을 이용한 abs 제어모드의 변경 방법
KR100352951B1 (ko) 브레이크 액압 제어장치
JPH0476821B2 (ko)
JPH1120652A (ja) 車両を制動する方法
JPH06199221A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の故障検出方法
KR100534866B1 (ko) 전자제어파워스티어링의 페일 세이프 제어방법
KR100828946B1 (ko) 브레이크 신호를 이용한 차량의 제동 제어방법
US664475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lippage at at least one vehicle wheel in closed loop
KR100326699B1 (ko) 에이비에스제어시노면판정방법
JPH08133054A (ja) 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293676B1 (ko) 트랙션제어시스템의목표속도설정방법
KR100372238B1 (ko)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54227B1 (ko) 슬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9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9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