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0322B1 -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322B1
KR100360322B1 KR1019960005917A KR19960005917A KR100360322B1 KR 100360322 B1 KR100360322 B1 KR 100360322B1 KR 1019960005917 A KR1019960005917 A KR 1019960005917A KR 19960005917 A KR19960005917 A KR 19960005917A KR 100360322 B1 KR100360322 B1 KR 10036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irror
cover
camera device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428A (ko
Inventor
다케시 후쿠다
히로유키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935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98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935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9889B2/ja
Application filed by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3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26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optical details, e.g. lenses, mirrors or multipl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7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intrusion detection in or around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joined images, e.g. multiple 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촬영한 영상 중에 환영(幻影)이 비치지 않도록 개량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여러 개의 반사면(31,32)을 가진 미러(3)를 렌즈(4) 앞면에 배치하고, 미러(3)에서 반사한 여러 개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선을 렌즈(4)에서 수광하여 촬영소자(7)에 결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미러(3)의 능선(33)과 렌즈(4)와의 사이에 간막이판(81)을 설치하고, 이 간막이판(81)이 여러개의 반사면(31,32)사이를 광학적으로 차단시켜 환영(幻影)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전기적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촬영한 여러 개의 영상사이에 명료한 경계선을 형성하도록 개량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미러(3)의 주위는 불투광성을 가진 커버(2)로 포위하고, 각 반사면(31,32)과 대향한 장소에 투명한 창(21,22)을 각각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창(21,22)틀의 일부에 차폐부(23,24)를 설치하되, 이때 차폐부(23,24)를 설치한 위치는, 렌즈(4)에 의해서 비춰 들어가는 위치이이며, 렌즈(4)로부터 떨어진 위치가 된다.

Description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 밖의 좌우방향 등의 다방향을 촬영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개의 카메라에 의해서 다방향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교차점 등에 자동차를 진입시키는 경우, 신호기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차량의 존재를 인식하여 안전확인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그 곳이 전망이 나쁜 장소인 경우, 예를 들면 좌우의 도로상황을 보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종래 이와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1 - 10944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의 도로상황을 자동차 전방에 설치한 카메라로 촬영하여 안전확인을 할 수 있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가 제안되었다.
제 6 도∼제 10 도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6 도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A)를 탑재한 자동차(B)의 상면도로, 각도(θ 1,θ2)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A)에 의한 좌우의 촬영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A)에대하여 구조를 설명하면, 그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A)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C), 커버(D), 미러(mirror)(E), 렌즈(F), 렌즈 마운트(G), 기판(H) 및 창(I,J)를 구비하고 있으며, 미러(E)의 능선(K)을 경계로 한 좌우방향으로부터의 광선(L1)을 미러(E)에서 반사하고, 그 반사광선을 렌즈(F)에서 수광하여 기판(H)상의 CCD(Charge Coupled Device)소자(M)에 결상(結像)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A)는, 자동차(B)의 좌우각도(θ 1,θ 2)로 나타낸 범위를 촬영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는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제 1 문제점은,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A)내부에서의 각종 반사에 기인하여, 촬영한 영상중에 환영(幻影)이 비치는 문제이다.
이 환영(幻影)이 발생하는 구조를 제 7 도 및 제 8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야간에 있어서, 좌측방향에 있는 다른 차량의 헤드라이트 등의 광선(N)으로부터 광선(L1)이 좌측창(I)을 통해서 입사하면, 그 광선(N)은 미러(E)에서 반사하여 그 반사광선을 렌즈(F)에서 수광하여 CCD소자(M)에 결상(結像)한다. 그 결과,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영상(a)중에 광선(N)의 상이 비친다. 이 때 우측방향에는 광원이 존재 하지 않는다고 하면, 제 8 도에 나타낸 우측영상(b)에는 본래 아무것도 비치지 않는다. 그러나, 좌측창(I)를 통해서 입사한 광선(L2)은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창(J)에 반사하고, 또한 미러(E)에서 반사하며, 렌즈(F)에서 수광하여 CCD소자(M)에 결상(結像)한다. 그 결과, 제 8 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우측영상(b)중에 광원(N)의 환영(幻影)이 비친다.
다음으로 제 2 문제점은, CCD소자(M)에 결상(結像)한 좌측영상(a)과 우측영상(b)의 경계선(c)이 불명료하다는 문제이다. 예를 들면,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계선(c)을 나타내는 것이 아무것도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좌측영상(a)과 우측영상(b)의 구별이 확실하지 않거나,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계선(c)이 핀트가 맞지 않아 화상이 흐려진 상태에서 비치고 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후자의 상태는, 미러(E)의 능선(K)가 비추고 있는 상태인데, 이 능선(K)이 렌즈(F)에 너무 접근해 있기 때문에 핀트가 맞지 않고, 경계선(C)이 핀트가 맞지 않아 화상이 흐린 상태가 되어 있었다. 또한, 이 제 2 문제점에 대처하는 수단으로서, 수퍼인포즈 회로를 사용하여, 좌측영상(a)과 우측영상(b)사이에 전기적으로 경계선(c)을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키므로 바람직한 대처수단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상기한 제 1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촬영한 영상 중에 환영(幻影)이 비치지 않도록 개량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여러 개의 반사면을 가진 미러를 렌즈 앞면에 배치하고, 이 미러에서 반사한 여러개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선을 렌즈로 수광하여 촬영소자에 결상(結像)시키도록 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반사면을 내포하는 커버를 가지며, 외부의 빛을 인도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 내부의 렌즈나 반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투광성 부재로써 상기 커버에 창을 형성하며, 상기 여러 개의 반사면 사이를 광학적으로 차단하는 간막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 미러의 여러 개의 반사면 사이에 존재하는 능선과 렌즈와의 사이에 상기 간막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 여러개의 반사면의 한 쪽을 자동차 좌측 방향으로, 다른 쪽을 우측방향으로 각각 향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 렌즈를 자동차 앞쪽에 배치하고, 또 그 수광방향을 자동차 뒷쪽으로 향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한 제 2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전기적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촬영한 여러 개의 영상사이에 명확한 경계선을 형성하도록 개량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여러 개의 반사면을 가진 미러를 렌즈 앞면에 배치하고, 이 미러에서 반사한 여러개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선을 렌즈로 수광하여 촬영소자에 결상(結像)시키도록 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에 의해서 그 일부가 비치어 들어간 위치이고, 렌즈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경계선의 역할을 하는 차폐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 미러의 주위를 불투광성을 가진 커버로 포위함과 동시에, 각 반사면에 대향한 장소에 투명한 창을 각각 설치하고, 그 창틀 일부를 차폐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 미러의 주위를 불투광성을 가진 커버로 포위함과 동시에, 각 반사면에 대향한 장소에 투명한 창을 각각 설치하고, 그 창틀의 한 변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부착한 테이프에 의해서 차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 미러의 주위를 불투광성을 가진 커버로 포위함과 동시에, 각 반사면에 대향한 장소에 투명한 창을 각각 설치하고, 커버내부이며, 그 창에 근접한 차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구조에 의해서 환영(幻影)을 방지한 영상의 설명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구조에 의해서 명료한 경계선을 형성한 영상의 설명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 6 도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를 탑재한 자동차의 상면도.
제 7 도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단면도.
제 8 도는, 종래기술에 의해서 환영 (幻影)이 발생한 영상의 설명도.
제 9 도는, 제 7 도에 나타낸 종래기술에서의 경계선을 나타낸 것이 존재하지 않는 영상의 설명도.
제 10 도는, 제 7 도에 나타낸 종래기술에서의 경계선의 불명료한 영상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케이스 2 : 커버
21,22 : 창 23,24,25,26,27,28 : 차폐부(遮蔽部)
3 : 미러 31,32 : 반사면
33 : 능선 4 : 렌즈
7 : 촬영소자 81 : 간막이판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1 실시예를, 제 1 도∼제 4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의 1은 케이스, 2는 커버, 3은 미러, 4는 렌즈, 5는 렌즈 마운트(lens mount), 6은 기판, 7은 촬영소자, 8은 미러홀더(mirror holder), 9는 고정판, 10은 패킹(packing), 11,12는 방진(防振)고무, 13은 필터, 14는 스페이서(spacer) 및 15는 서브기판이다. 이하, 이들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는 불투광성의 부재로 성형한 것으로, 커버(2)와 조합하여서 소정의 수납상자를 형성한다. 그 케이스(1)와 커버(2)와의 접합면에는 패킹(10)을장착하고 있고, 수밀(水密)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커버(2)는, 좌우창(21,22)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 불투광성을 가진 것이다. 예를 들면, 투명아크릴수질 성형한 좌우창(21,22)을 불투광성 부재에 인서트성형하여 형성하거나, 투명아크릴수지로 커버(2)를 성형한 후 좌우창(21,22)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흑색도장을 하여 형성하는 등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또한 커버(2)는 차폐부(23,24)를 가지고 있다. 이 차폐부(23,24)는, 렌즈(4)에 의해서 그 일부가 비치도록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렌즈(4)에 비춘 차폐판(23,24)의 검은 그림자가 좌측영상(a)과 우측영상(b)의 중간에 있는 경계선(c)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미러(3)는, 측면형상이 3각 형상을 이룬 것으로, 합성수지로 성형한 후 2개의 반사면(31,32)에 알루미증착을 하여 거울면을 형성한다. 이 2개의 반사면(31,32)사이에는 능선(33)이 존재해 있다.
또한 렌즈(4)는, 상기 미러(3)의 각 반사면(31,32)에서 반사한 광선을 모으는 것으로, 그 촛점을 후술하는 촬영소자(7)의 표면에 설정하고 있다. 그 렌즈(4)는, 촬영소자(7)를 얹어놓은 기판(6)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5)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또한, 렌즈 마운트(5)내부에는 가시광선이외의 파장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13)와, 스페이서(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6)은, 상기 렌즈(4)를 지지한 렌즈마운트(5)외에 서브기판(15) 및 터미널(61)을 장착하고 있고, 케이스(1) 구멍 (1a)에 삽입한 터미널(61)에 의해서 차 실내의 AV(Audio Visual)장치 (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 기판(6)과 커버(2)와의 사이에는 방진고무(11,12)를 장착하고 있고, 기판(6)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촬영소자(7)는, 그 소자의 표면에 결상(結像)한 빛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자로, 이 실시예에서는 CCD소자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미러홀더(8)는, 불투광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간막이판(81)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미러(3)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판(9)을 이용하여 케이스(1)에 고정하고 있다. 간막이판(81)은, 2개의 반사면(31,32)사이를 광학적으로 차단하여 광선이 회전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고, 환영(幻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미러(3)의 능선(33)과 렌즈(4)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좌측창(21)으로부터 입사한 광선은 좌측 반사면(31)에서만 반사하고, 우측 반사면(32)애는 회전해 들어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우측창(22)으로부터 입사한 광선은 우측 반사면(32)에서만 반사하고, 좌측 반사면(31)에 회전해 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는, 자동차 앞쪽에 예를 들면 범퍼부 부근에 부착함과 동시에, 렌즈의 수광방향을 자동차 후방을 향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좌측 반사면(31)을 자동차 좌측방향으로, 우측 반사면(32)을 우측방향으로 각각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렌즈의 수광방향을 자동차 후방을 향하도록 설정한 경우, 촬영소자(7)의 표면에 결상(結像)하는 영상 및 AV장치에 표시하는 영상은, 좌우 반전하지 않는 영상, 즉 눈으로 본 상태의 영상이 되어서, 시인성(視認性)이 뛰어나다.
다음으로, 그 제 1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야간에 있어서,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방향에 있는 다른 차량의 헤드라이트 등의 광원(N)으로부터 광선(L1)이 좌측창(21)을 통하여 입사하면, 그 광선(L1)은 미러(3) 좌측 반사면(31)에서 반사하고 그 반사광선을 렌즈(4)에서 수광하여 촬영소자(7)에 결상(結像)한다. 그 결과,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영상(a)중에 광선(N)의 상이 비친다. 이 때 우측방향에는 광선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 3 도에 나타낸 우측영상(b)에는 아무것도 비치지 않는다.
또한, 렌즈(4)는 좌측각도(θ 1) 및 우측각도(θ 2)에서 나타낸 범위로부터의 광선을 미러(3)의 각 반사면(31,32)을 통해서 수광하고 있고, 촬영소자(7)의 표면에는 제 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각도(θ 1)로부터의 좌측영상(a)과, 우측각도(θ 2)로부터의 우측영상(b)이 결상(結像)한다. 또한 렌즈(4)에 비친 차폐부(23,24)의 검은 그림자가 좌측영상(a)과 우측영상(b)중간에 결상(結像)하고, 이것이 경계선(c)의 역할을 한다. 이 때 차폐부(23,24)는 렌즈(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차폐부(23,24)에 대하여 핀트가 맞고, 명료한 경계선(c)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제 2 실시예의 구조는, 차폐부(25,26,27,28)가 제 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에서는 차폐부(25,26,27,28)만 설명한다. 차폐부(25,26)와, 차폐부(27,28)는 다른 타입의 것인데, 제 5 도에서는 편의상 동일도면 중에 나타내고 있다.
먼저 한 쪽 차폐부(25,26)는, 불투광성의 테이프를 부착하는 등에 의해서 차폐부(25,26)를 형성한 것으로, 기존제품을 개량하는 경우 등에 적합한 실시예이다.
또한 다른 차폐부(27,28)는, 흑색의 플레이트를 커버(2)내에 설치함으로써, 차폐부(27,28)을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차폐부(27,28)에 의해서 외래광선이 반사하면 기능이 저하하기 때문에, 차폐부(27,28)의 표면은 예를 들면 거친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반사면을 가진 미러를 렌즈 앞면에 배치하고, 이 미러에서 반사한 여러 개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선을 렌즈로 수광하여 촬영 소자에 결상(結像)시키도록 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여러 개의 반사면 간에 존재하는 능선과 렌즈와의 사이에 상기 여러 개의 반사면 사이를 광학적으로 차단하는 간막이판을 설치 하였으므로, 촬영한 영상 중에 환영(幻影)이 비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렌즈의 수광방향을 자동차 후방을 향하도록 설정한 경우, 촬영소자의 표면에 결상(結像)하는 영상 등은, 좌우반전하지 않는 영상, 즉 눈으로 본 상태의 영상이 되어, 시인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영상을 반전하는 처리도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여러 개의 반사면(31,32)을 가진 미러(3)를 렌즈(4) 앞면에 배치하고, 이 미러(3)에서 반사한 여러 개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선을 렌즈(4)에서 수광하여 촬영소자(7)에 결상시키도록 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반사면을 내포하는 커버를 가지며,
    외부의 빛을 인도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 내부의 렌즈나 반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투광성 부재로써 상기 커버에 창을 형성하며,
    상기 여러 개의 반사면(31, 32) 사이를 광학적으로 차단하는 간막이판(8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3)의 여러 개의 반사면(31,32)사이에 존재하는 능선(33)과 렌즈(4)와의 사이에 상기 간막이판(8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반사면(31,32)의 한 쪽(31)을 자동차 좌측방향으로, 다른 쪽(32)을 우측방향으로 각각 향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4)를 자동차 앞쪽에 배치하고, 또한 그 수광방향을 자동차 후방을 향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5. 여러 개의 반사면(31,32)을 가진 미러(3)를 렌즈(4) 앞면에 배치하고, 이미러(3)에서 반사한 여러 개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선을 렌즈(4)에서 수광하여 촬영소자(7)에 결상시키도록 한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4)에 의해서 그 일부가 비춰 들어가는 위치이고, 렌즈(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경계선(c)의 역할을 하는 차폐부(23,2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3)의 주위를 불투광성을 가진 커버(2)로 포위함과 동시에, 각 반사면(31,32)에 대향한 장소에 투명한 창(21,22)을 각각 설치하고, 그 창(21,22)틀 일부를 차폐부(23,24)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3)의 주위를 불투광성을 가진 커버(2)로 포위함과 동시에, 각 반사면(31,32)에 대향한 장소에 투명한 창(21,22)을 각각 설치하고, 그 창(21,22)틀의 한 변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부착한 테이프에 의해서 차폐부(23,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3)의 주위를 불투광성을 가진 커버(2)로 포위함과 동시에, 각 반사면(31,32)에 대향한 장소에 투명한 창(21,22)을 각각 설치하고, 커버(2)내부이며, 그 창(21,22)에 근접한 위치에 차폐부(23,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KR1019960005917A 1995-06-22 1996-03-07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60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79351 1995-06-22
JP95-179352 1995-06-22
JP17935295A JP3259890B2 (ja) 1995-06-22 1995-06-22 多方向撮像カメラ装置
JP17935195A JP3259889B2 (ja) 1995-06-22 1995-06-22 多方向撮像カメ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428A KR970002428A (ko) 1997-01-24
KR100360322B1 true KR100360322B1 (ko) 2003-03-28

Family

ID=2649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9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0322B1 (ko) 1995-06-22 1996-03-07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65063A (ko)
EP (1) EP0750219B1 (ko)
KR (1) KR100360322B1 (ko)
CA (2) CA2171986C (ko)
DE (1) DE6962775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02B1 (ko) * 2007-04-30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 이탈 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52206U (en) * 1997-12-30 1999-02-01 First Int Computer Inc Structure for hidden type image picking apparatus of notebook computer
US6731778B1 (en) * 1999-03-31 2004-05-0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US6657176B2 (en) 2000-04-12 2003-12-0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On-vehicle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image pick-up direction
JP3848062B2 (ja) * 2000-06-22 2006-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
JP2002044497A (ja) * 2000-07-31 2002-02-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撮像装置
JP3693898B2 (ja) * 2000-07-31 2005-09-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周辺視認装置
US6788478B2 (en) 2000-07-31 2004-09-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Vehicle periphery visual confirming apparatus
CN1458886A (zh) * 2001-05-18 2003-11-26 白京一 用于汽车上的交通事故照相装置
US7283042B1 (en) * 2005-11-14 2007-10-16 Cawley Fred R System for observing the area laterally behind a vehicle
US20090002797A1 (en) * 2007-06-27 2009-01-01 Wah Yiu Kwong Multi-directional camera for a mobile device
TWI371681B (en) * 2009-09-18 2012-09-01 Primax Electronics Ltd Notebook computer with multi-image capture function
CN102981350B (zh) * 2012-10-11 2015-10-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双向成像装置及电子设备
CN104092981A (zh) * 2014-06-30 2014-10-08 深圳安邦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视频监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8819A (en) * 1979-05-10 1981-09-08 Williams Robert T Multi-field imaging device
US5293243A (en) * 1992-04-21 1994-03-08 Degnan Donald E Image splitter for security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6250A (en) * 1956-02-28 Apparatus for taking stereoscopic pictures
US2299002A (en) * 1939-06-14 1942-10-13 Charles D Austin Photographic apparatus
US4167756A (en) * 1976-09-08 1979-09-11 Lectrolarm Custom Systems, Inc. Split image camera system
GB8601687D0 (en) * 1986-01-24 1986-02-26 Lo A Stereo camera
JP2938453B2 (ja) * 1987-10-22 1999-08-23 富士通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
GB8909757D0 (en) * 1989-04-28 1989-06-14 Lo Anthony T S Stereo camera with a mono override
JP3169483B2 (ja) * 1993-06-25 2001-05-28 富士通株式会社 道路環境認識装置
JP3194024B2 (ja) * 1993-10-04 2001-07-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8819A (en) * 1979-05-10 1981-09-08 Williams Robert T Multi-field imaging device
US5293243A (en) * 1992-04-21 1994-03-08 Degnan Donald E Image splitter for security camer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02B1 (ko) * 2007-04-30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 이탈 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71986C (en) 2001-05-08
EP0750219A1 (en) 1996-12-27
US5765063A (en) 1998-06-09
KR970002428A (ko) 1997-01-24
CA2171986A1 (en) 1996-12-23
DE69627754T2 (de) 2004-04-08
CA2171987A1 (en) 1996-12-23
EP0750219B1 (en) 2003-05-02
DE69627754D1 (de) 2003-06-05
CA2171987C (en) 200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2235A (en) Imaging system for simultaneous viewing of two images
KR100360322B1 (ko) 다방향 촬영카메라장치
US5708857A (en) Multi-direction camera in combination with a car
EP0710039A2 (en) Video camera apparatus
JP3607787B2 (ja) カメ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周辺視認装置
US5701534A (en) Seal apparatus of finder
JPH0983879A (ja) 車載カメラ装置
CN219625794U (zh) 光学成像模块、相机模块与电子装置
JP3453253B2 (ja) 多方向撮像カメラ装置
KR100190939B1 (ko) 차량용 카메라
JP3259889B2 (ja) 多方向撮像カメラ装置
JP3792478B2 (ja) 車両周辺視認装置
JP3259890B2 (ja) 多方向撮像カメラ装置
JP2003207836A (ja) 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JP4687282B2 (ja) 車両用監視カメラ装置
JP2929650B2 (ja) 自動車用撮像装置
US6587285B2 (en) Vehicle periphery visual confirmation apparatus
CN213126152U (zh) 光路改变组件、感光组件、镜头组件、摄像模组及终端
JP3753921B2 (ja) 車両周辺視認装置
CN210246885U (zh) 一种夜视记录装置及夜视执法记录仪
JPH09301069A (ja) 車両の左右前方監視用カメラ装置
JPH1127656A (ja) 車載用多方向撮像カメラ装置
JP2018125743A (ja) 車載撮影装置及び映り込み抑制方法
JPH099114A (ja) 車載用カメラ装置及び車載用カメラ装置のゴースト防止方法
JP2004343379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車両用周辺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3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