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1910B1 -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910B1
KR100341910B1 KR1020000016142A KR20000016142A KR100341910B1 KR 100341910 B1 KR100341910 B1 KR 100341910B1 KR 1020000016142 A KR1020000016142 A KR 1020000016142A KR 20000016142 A KR20000016142 A KR 20000016142A KR 100341910 B1 KR100341910 B1 KR 100341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engine
brake
vehic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500A (ko
Inventor
장성환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1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9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9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9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 자동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속센서(1)와,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 엔진제어 유니트(3) 및 파킹 레버(4)와 브레이크 와이어(5) 및 브레이크(6)로 구성된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작동레버(71)가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5)의 중간부에서 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엔진 부압의 공급여부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솔밸브(7)와; 상기 솔밸브(7)와 자동차의 엔진(9)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제어 유니트(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엔진(9)의 부압을 상기 솔밸브(7)로 공급시켜 파킹 브레이크(6)가 상기 솔밸브(7)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거나, 이미 솔밸브(7)로 공급되고 있는 엔진 부압을 차단시켜 주는 솔레노이드밸브(8)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내에는 차속센서(1)와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일시에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부가시켜, 등반로에서 정차후 발진할시 출발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 평탄로에서도 정차후 발진시 주행성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특히 초보 운전자의 경우 등판 발진에 따른 위화감을 완벽히 해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Automatic actuation for parking brake}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 자동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차속과 악셀 개도량을 검출하여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가 0%이면 엔진부압을 이용하여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등반로에서 정차후 출발성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평탄로 정차후 주행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특히 초보 운전자의 등판 발진에 따른 위화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유압 브레이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액체(브레이크 플루이드)를 이용하여 각 바퀴에 평균적인 제동력을 전잘하는 브레이크, 이에 비하여 파킹 브레이크에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나 링키지를 사용하여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트럭 등에 사용되는 공기식 브레이크가 있다.
상기 유압 브레이크는 파스칼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그 작용은, 첫째로 지레를 이용한 브레이크 패달을 밟음으로써 밟는 힘의 3-5배의 힘으로 마스터 실린더를 눌러 유압을 발생시키고, 둘째로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은 강 파이프나 호스를 통하여 각 바퀴에 설치된 캘리퍼나 휠 실린더내에 있는 피스톤을 누르고, 피스톤은 패드나 브레이크 슈를 디스크 또는 드럼에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생하며, 세째로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은 각각의 휠 실린더에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한쪽으로 쏠린다든가 브레이크가 끌리는 법이 없고 또한, 각 휠 실린더의 면적을 달리하므로써 제동력의 배분을 변경하는 것도 용이하다.
한편, 일명 사이드 브레이크라고도 칭하는 파킹 브레이크는 주차 또는 정차시(특히 등반길에서의 정차시) 자동차를 정지시켜 놓기 위해 설치된 브레이크로써, 발로 동작시키는 풋 브레이크와 손으로 당겨 작동시키는 핸드 브레이크가 있다.
이와같은 파킹 브레이크의 경우 승용차에서는 파킹 레버를 통해 와이어를 당기면 그 조작력이 인터미디어트 레버와 이퀼라이저를 통해 뒤바퀴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고, 상용 브레이크와는 별개인 계통으로 작동하며, 상용 브레이크가 고장났을 때의 서포트 시스템 역활도 하므로 비상 브레이크라고도 한다.
그런데, 종래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파킹 브레이크는 운전자 스스로가 상기한 파킹 레버를 밟거나 당겨야만 뒤바퀴의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초보 운전자 또는 파킹 브레이크 사용법의 인지가 부족한 운전자의 경우는 이를 사용하지 못하여 등반길에서 정차 후 제출발시 자동차를 출발시키지 못하고 후방으로 미끄러지게 됨으로 인한 접촉사고의 발생이 빈번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초보 운전자의 경우 파킹 브레이크를 적절히 작동시키지 못하여 등판 발진시 커다란 위화감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킹 브레이크 작동용 와이어의 중간부에 엔진 부압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솔벨브를 설치하고 상기 솔밸브와 엔진 사이에는 차속과 악셀 개도량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진제어 유니트에 위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에서 판단한 결과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이면 엔진부압을 솔밸부에 공급시켜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등반로에서 정차후 발진시 출발성이 좋고, 또 평탄로에서도 정차후 발진시 주행성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초보 운전자의 등판 발진에 따른 위화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파킹 브레이크 자동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차속센서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악셀 패달의 개도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와; 상기 센서들을 포함하여 각종 센서들로부터 각종 데이타들를 입력받아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전장품들을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엔진제어 유니트와; 운전자에 의해 파킹 레버가 작동되어 그에 부응하여 브레이크 와이어가 당겨지면 상기 와이어의 이동량에 부응하는 힘으로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작동레버가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의 중간부에서 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엔진 부압의 공급여부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솔밸브와; 상기 솔밸브와 엔진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제어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엔진의 부압을 상기 솔밸브로 공급시켜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하거나 이미 공급되고 있는 엔진 부압을 차단시켜 주는 솔레노이드밸브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내에는 차속센서와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일시에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구동신호를 발생토록 하는 프로그램을 부가시켜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진 상태에서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이면 언제든지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등반로에서 정차후 발진할시의 출발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 평탄로에서도 정차후 발진시 주행성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초보 운전자의 경우 등판 발진에 따른 위화감을 완벽히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구성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속센서 2 :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
3 : 엔진제어 유니트 4 : 파킹 레버
5 : 브레이크 와이어 6 : 브레이크
7 : 솔밸브 8 : 솔레노이드밸브
9 : 엔진 71 : 작동레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차속센서(1)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악셀 패달의 개도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와; 상기 센서(1)(2)들을 포함하여 각종 센서들로부터 각종 데이타들를 입력받아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전장품들을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엔진제어 유니트(3)와; 운전자에 의해 파킹 레버(4)가 작동되어 그에 부응하여 브레이크 와이어(5)가 당겨지면 상기 와이어(5)의 이동량에 부응하는 힘으로 뒤바퀴의 브레이크(6)가 작동되는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작동레버(71)가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5)의 중간부에서 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엔진 부압의 공급여부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솔밸브(7)와;
상기 솔밸브(7)와 자동차의 엔진(9)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제어 유니트(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엔진(9)의 부압을 상기 솔밸브(7)로 공급시켜 파킹 브레이크(6)가 상기 솔밸브(7)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거나, 이미 솔밸브(7)로 공급되고 있는 엔진 부압을 차단시켜 주는 솔레노이드밸브(8)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내에는 차속센서(1)와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일시에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부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차속센서(1)와,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 엔진제어 유니트(3) 및 파킹 레버(4)와 브레이크 와이어(5) 및 브레이크(6)를 기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에, 상기 와이어(5)의 중간부를 선택적으로 당겨 브레이크(6)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솔밸브(7)와,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의 제어를 받아 엔진(9)의 부압을 상기 솔밸브(7)에 선택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솔레노이드밸브(8)를 부가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솔밸브(7)는 브레이크 와이어(5)의 중간부에서 상방향에 고정 설치하되 그의 작동레버(71) 단부는 와이어(5)에 고정시켜 주므로써, 차후 상기 솔밸브(7)가 작동되어 그의 작동레버(71)가 솔밸브(7)내로 당겨졌을시 와이어(5)의 중간 일부도 상방향으로 당겨져 브레이크(6)가 작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내에는 차속과 악셀 개도량을 비교 판단하여 솔레노이드밸브(8)에 어떤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부가 설치하였다.
즉,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의 내부에는 차속센서(1)와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로 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를 상호 비교한 결과 차속이 0Km/h이고(즉, 정차상태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일시(즉, 악셀패달을 작동시키지 않는 아이들 상태시)에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부가한 것이다.
한편, 자동차가 주행중이므로 인해 차속이 0Km/h 이상이거나, 주행 중 또는 정차중이라도 운전자가 악셀 패달을 밟음으로 인해 악셀 개도량이 0% 이상일시에는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의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밸브(8)가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솔밸브(7)에는 엔진(9)의 부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그의 작동레버(71)가 최대한 빠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파킹 브레이크 와이어(5)가 솔밸브(7)로 부터 구속을 전혀 받지 않게 되어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종래와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된다.
즉, 자동차가 주행중이거나 악셀패달이 운전자에 의해 밟혀진 상태에서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파킹 레버(4)의 작동 여부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종래의 시스템과 동일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등반길이나 평지 또는 주차장 등지에서 자동차의 엔진 시동은 걸려져 있되 자동차를 정차시키고 악셀 패달로 부터 발이 떨어지므로 인해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에서 차속센서(1)와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를 통해 검출한 결과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아이들 상태에 있는 엔진(9)에서 발생되는 부압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를 통해 솔밸브(7)에 인가되어 그의 작동레버(71)가 상방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와이어(5)의 중간 일부가 상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뒤바퀴에 설치된 브레이크(6)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자동차가 도로의 형태에 부응하여 굴러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출발을 위해 다시 악셀패달을 밟게 되면 그 순간 상기한 조건이 깨지게 되므로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에서 솔레노이드밸브(8)의 구동을 차단시키게 되어 솔밸브(7)의 작동레버(71) 및 브레이크 와이어(5)가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는 자동 해지된다.
따라서, 등반로나 평지에서 정차후 재 발진시 출발성 및 주행성이 용이하게 되어 등판 발진시 초보자가 갖는 위화감을 완벽히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과 엔진 및 엔진제어 유니트 사이에 엔진부압 공급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와 브레이크 와이어 작동용 솔밸브를 부가 설치하여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진 상태에서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이면 언제든지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등반로에서 정차후 발진할시 출발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 평탄로에서도 정차후 발진시 주행성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초보 운전자의 경우 등판 발진에 따른 위화감을 완벽히 해소시킬 수 있어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차속센서(1)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악셀 패달의 개도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와; 상기 센서(1)(2)들을 포함하여 각종 센서들로부터 각종 데이타들를 입력받아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전장품들을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엔진제어 유니트(3)와; 운전자에 의해 파킹 레버(4)가 작동되어 그에 부응하여 브레이크 와이어(5)가 당겨지면 상기 와이어(5)의 이동량에 부응하는 힘으로 뒤바퀴의 브레이크(6)가 작동되는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작동레버(71)가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5)의 중간부에서 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엔진 부압의 공급여부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솔밸브(7)와;
    상기 솔밸브(7)와 자동차의 엔진(9)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제어 유니트(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엔진(9)의 부압을 상기 솔밸브(7)로 공급시켜 파킹 브레이크(6)가 상기 솔밸브(7)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거나, 이미 솔밸브(7)로 공급되고 있는 엔진 부압을 차단시켜 주는 솔레노이드밸브(8)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엔진제어 유니트(3)내에는 차속센서(1)와 악셀 개도량 검출센서(2)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차속이 0Km/h이고 악셀 개도량이 0%일시에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부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KR1020000016142A 2000-03-29 2000-03-29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41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142A KR100341910B1 (ko) 2000-03-29 2000-03-29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142A KR100341910B1 (ko) 2000-03-29 2000-03-29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500A KR20010093500A (ko) 2001-10-29
KR100341910B1 true KR100341910B1 (ko) 2002-06-26

Family

ID=1965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1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41910B1 (ko) 2000-03-29 2000-03-29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9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0343A (ja) * 1981-12-22 1983-06-30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自動パ−キングロツク装置
JPS60203559A (ja) * 1984-03-28 1985-10-15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自動パ−キングブレ−キシステム
KR19980048048A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공압을 이용한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9980061301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브레이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0343A (ja) * 1981-12-22 1983-06-30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自動パ−キングロツク装置
JPS60203559A (ja) * 1984-03-28 1985-10-15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自動パ−キングブレ−キシステム
KR19980048048A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공압을 이용한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9980061301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브레이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500A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675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braking system
JP3195761B2 (ja) 自動ブレーキ作用を実施する方法
KR100785338B1 (ko) 자동차의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41910B1 (ko)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JPH0217967Y2 (ko)
US6244673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traction control in a motor vehicle
JPH10175523A (ja) 自動車用の非常制動装置
JPS61196851A (ja) パ−キングブレ−キ制御装置
KR0144996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20020015472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203170B1 (ko) 등판로 주행시 페달조작에 의한 파킹브레이크 자동 온/오프 시스템
KR100369165B1 (ko) 에이비에스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방법
JPS59143745A (ja) 電動駐車ブレ−キ装置
KR19990052018A (ko)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KR10021243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보조장치
KR0144995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200148856Y1 (ko) 자동차 브레이크의 제동지속장치
KR100254223B1 (ko) 자동차 브레이크의 압력 확보 방법
KR0184842B1 (ko) 자동차의 주차보조장치
KR013124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20030018594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20251Y1 (ko) 자동 파킹 브레이크 겸용 브레이크 장치
KR19990005800U (ko) 자동차의 클러치 제어 장치
JPH11189132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0124987Y1 (ko) 자동 브레이크 제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