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3973B1 - 역률보상 제어기 - Google Patents

역률보상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973B1
KR100333973B1 KR1019990022049A KR19990022049A KR100333973B1 KR 100333973 B1 KR100333973 B1 KR 100333973B1 KR 1019990022049 A KR1019990022049 A KR 1019990022049A KR 19990022049 A KR19990022049 A KR 19990022049A KR 100333973 B1 KR100333973 B1 KR 100333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reference voltage
boost converter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302A (ko
Inventor
이상우
장경희
Original Assignee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9002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973B1/ko
Priority to US09/565,088 priority patent/US6191565B1/en
Publication of KR2001000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9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70Regulating power factor; Regulating reactive current or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역률 보상 제어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고정 주파수 방식을 사용하여 출력 부하의 조건에 따라 연속 전류 모드로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를 제어하는 역률 보상 제어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입력 전압의 상위 기준 전압과 입력 전압의 하위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고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라 2 차측 부하로 제 1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는 부스트 컨버터와, 부스트 컨버터의 제 1 출력 전압을 입력 받아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한 값을 증폭함으로써 제 1 출력 전압의 레귤레이션을 수행하는 오차 증폭기와,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인덕터 전류를 제어하는 멀티플라이어와, 입력 전압의 상위 기준 전압과 입력 전압의 하위 기준 전압을 사용하여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률보상 제어기{Power Factor Compensation Controller}
본 발명은 역률 보상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스트 컨버터(BoostConverter)를 이용한 피크 전류 모드 제어(Peak Current Mode Control) 방식의 역률 보상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스트 컨버터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제어 방식으로는, 인덕터(Inductor)에 흐르는 전류 파형에 따라, 경계 전류 모드 (Boundary Conduction Mode: BCM), 불연속 전류 모드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 및 연속 전류 모드 (Continuous Conduction Mode: CCM) 등이 있다.
상기 세 가지 제어 방식 중, 경계 전류 모드(BCM)와 불연속 전류 모드(DCM)인 경우에는 회로의 동작 기간 중에 피크 전류 (peak current)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출력되는 부하가 큰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비교적 출력 부하가 작은 경우에 사용된다. 반면, 연속 전류 모드(CCM)인 경우에는 경계 전류 모드 또는 불연속 전류 모드에서와 같은 피크 전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 파워가 약 300 와트 이상 되는 시스템의 제어기로서 사용된다.
부스트 컨버터를 상기 연속 전류 모드(CCM)로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 평균 전류 모드 제어 (Average Current Mode Control), 전하 제어 (Charge Control), 피크 전류 모드 제어 (Peak Current Mode Control), 히스테리시스 제어 (Hysteresis Control)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평균 전류 모드 제어 방식은 단위 역률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 방식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히스테리시스 제어 방식은 인덕터 전류 감지에 따른 가변 주파수 방식으로서 입력되는 전압이 낮아지는 경우 인덕터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파수가 무한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주파수를 제어하는 데에 한계가 따른다.
종래의 피크 전류 모드 제어 방식에 따른 역률 보상 제어기는 기울기 보상 회로 등의 채용으로 인하여 회로 설계에 있어서 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주파수 (Fixed Frequency) 방식을 사용하여, 출력 부하의 조건에 따라 연속 전류 모드(CCM)로 부스트 컨버터를 제어하는 역률 보상 제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피크 전류 모드 제어 방식의 역률 보상 제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크 전류 모드 제어 방식의 역률 보상 제어기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pice 시뮬레이션 상의 입력 전압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pice 시뮬레이션 상의 부스트 컨버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pice 시뮬레이션 상의 입력 전류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역률 보상 제어기는 부스트 컨버터, 오차 증폭기, 멀티플라이어, 및 스위칭 구동부를 포함한다.
부스트 컨버터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입력 전압의 상위 기준 전압과 입력 전압의 하위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고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라 2 차측 부하로 제 1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는데, 필터와, 교류 전원을 1차로 정류하는 정류기와, 정류된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하위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저항 소자부와, 정류된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상위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저항 소자부와, 2 차 측에 전류를 유기시키는 인덕터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스위칭 소자와 접지 사이에 삽입된 제 3 저항 소자부와, 인덕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부하로 공급하는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차 증폭기는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제 1 출력 전압을 입력 받아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한 값을 증폭함으로써 제 1 출력 전압의 레귤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상기 제 1 출력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제 3 저항 소자부와, 제 1 기준 전압을 입력 받고 분배 상기 제 3 저항 소자부의 전압을 입력 받아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시키는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멀티플라이어는 상기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인덕터 전류를 제어하는데, 제 2 기준 전압 값과 상기 오차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입력 받아 두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한 값을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에서 발생한 제 1 출력 전압과 곱하는 곱셈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칭 구동부는 상기 입력 전압의 상위 기준 전압과 상기 입력 전압의 하위 기준 전압을 사용하여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의 제 1 저항 소자부에 의하여 발생하는 하위 기준 전압과 상기 멀티플라이어부의 제 2 출력 전압을 더하여 제 3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덧셈기와,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의 제 2 저항 소자부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위 기준 전압과 상기 덧셈기의 제 3 출력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리셋 신호로 입력 받고 브이 펄스(V pulse) 신호를 세트 신호로 입력 받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 신호와 상기 브이 펄스 신호를 부정 논리합(NOR)으로 연산하는 노어(NOR) 게이트와, 상기 노어 게이트의 출력을 받아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저항 소자부는, 두 개의 저항 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 소자는 정류기와 병렬로 연결되며, 두 개의 저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연결점에서 발생한 하위 기준 전압은 상기 스위칭 구동부의 덧셈기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저항 소자부는, 두 개의 저항 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 소자는 정류기와 병렬로 연결되며, 두 개의 저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연결점에서 발생한 상위 기준 전압은 상기 스위칭 구동부에 있는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덧셈기는, 상기 제 1 저항 소자부에서 출력되는 하위 기준 전압에 따라 항상 입력 전압의 변화를 포함하며, 출력 전압의 범위가 상위 기준 전압과 하위 기준 전압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덧셈기의 출력 전압과 상기 상위 기준 전압 값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순간에 오프 되고, 오프 된 스위칭 소자는 상기 덧셈기의 출력 전압이 상기 하위 기준 전압과 동일한 값을 가지면 발진기 클럭 신호에 의하여 온 상태로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상위 기준 전압과 하위 기준 전압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결정되고,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상승할 경우, 오차 증폭기의 출력은 감소하고 멀티플라이어부의 출력이 증가하며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칭 구동부의 덧셈기의 출력 전압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소자는 빠르게 오프 상태로바뀌고,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하강할 경우, 오차 증폭기의 출력은 증가하고 멀티플라이어부의 출력이 감소하며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칭 구동부의 덧셈기의 출력 전압이 감소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 상태가 길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피크 전류 모드 제어 방식의 역률 보상 제어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역률 보상 제어기는 부스트 컨버터부(110), 오차 증폭부(120), 멀티플라이어부(130), 스위칭 구동부(140)로 이루어진다.
부스트 컨버터부(110)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평활화한 후, 스위칭 게이트의 동작에 따라 2차측 부하로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필터(100)와, 교류 전원을 1차로 정류하는 정류기(101)와, 정류된 전압(Vin)을 분배하여 Vl 전압을 발생하는 R1 및 R2 저항 소자와, 정류된 전압을 분배하여 Vu 전압을 발생하는 R3 및 R4 저항 소자와, 입력 전류에 의하여 코일에 에너지를 저장하여 2차측에 전류를 유기시키는 인덕터(L1)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S1)와, 스위칭 소자의 소스 단자와 접지 사이에 삽입된 저항(R8)과, 인덕터의 출력 전압(Vout)을 정류하여 부하(R5)로 공급하는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로 이루어진다.
오차 증폭부(120)는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소정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값을 증폭함으로써 출력 전압의 레귤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출력 전압 Vout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저항 R6 및 R7과, 제 1 기준 전압 Vref1을 비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 받고 분배 저항 사이의 전압 Vbr을 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 받아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시키는 오차 증폭기(102)로 이루어진다.
멀티플라이어부(130)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인덕터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기준 전압 값 Vref2로부터 상기 오차 증폭기(102)의 출력 전압 Verr을 감산하는 감산기(103)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값을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의 삽입 저항 R8에 의하여 발생한 출력 전압 Vcs와 곱하는 멀티플라이어(104)로 이루어진다.
스위칭 구동부(140)는 스위칭 소자(S1)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110)의 R1 및 R2 저항 소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출력 전압 Vl과 상기 멀티플라이어부(130)의 출력 전압 Vmo를 더하여 출력 전압 Va를 출력하는 덧셈기(105)와,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110)의 R3 및 R4 저항 소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출력 전압 Vu와 상기 덧셈기의 출력 전압 Va를 비교하는 비교기(106)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리셋(R) 신호로 입력 받고 브이 펄스(V-pulse) 신호를 세트(S) 신호로 입력 받는 플립플롭(107)과, 상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 신호(Qb)와 상기 브이 펄스 신호를 부정 논리합(NOR)으로 연산하는 NOR 게이트(108)와, 상기 NOR 게이트의 출력을 받아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 소자 R1과 R2를 배치함으로써 양 저항 소자 사이에서 입력 전압(Vin)의 하위 기준 전압 (Lower Voltage Reference) Vl을 생성하고, 저항 소자 R3와 R4를 배치함으로써 양 저항 소자 사이에서 입력 전압(Vin)의 상위 기준 전압 (Upper Voltage Reference) Vu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셈기(105)에서 상기 생성된 하위 기준 전압 Vl과 멀티플라이어의 출력 전압 Vmo를 더하게(add) 함으로써, 덧셈기의 출력은 항상 입력 전압(Vin)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 전압(Vin)이 변동될 경우, 상기 덧셈기(105)의 출력 전압 Va는 항상 입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변하게 된다. 도시한 것과 같이 덧셈기의 출력 전압 Va는 입력 전압에 따라 변동하게 되며, 상기 비교기(106)에서는 변동하는 덧셈기의 출력 Va와 상기 상위 기준 전압 Vu를 비교하게 된다.
상기 덧셈기의 출력 전압 Va와 상위 기준 전압 Vu가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되면, 도 3 에서는 이것이 전압 Va 와 전압 Vu가 만나는 시점이 된다. 두 값이 만나는 순간에 스위칭 소자는 오프(Off) 상태가 되며, 전압 Va는 하위 기준 전압 Vl 상태에까지 떨어지게 되며, 상기 Va가 Vl과 동일한 값을 갖게 되면 내부 발진기(Oscillator)의 클럭 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는 온(On) 상태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하위 기준 전압 Vl과 멀티플라이어부의 출력 전압 Vmo를 더한 덧셈기(105)의 최종 출력값 Va는 항상 상위 기준 전압 Vu를 초과할 수 없고 또한 하위기준 전압 Vl에 미달할 수 없다. 즉, 덧셈기의 출력 값 Va는 항상 상위 기준 전압과 하위 기준 전압 사이를 움직이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하위 기준 전압 Vl과 상위 기준 전압 Vu는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변동하는 입력 전압 값에 따라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시키는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입력 전류의 피크(peak) 값은 상위 기준 전압을 어떤 값에 설정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므로, 부하의 조건에 따라 부스트 컨버터의 인덕터 값 또는 상위 기준 전압의 설정 값을 변경하게 되면,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시키는 신호를 불연속 전류 모드(DCM) 또는 연속 전류 모드(CCM) 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부하의 변동에 따르는 출력 전압(Vo)의 오차의 양을 검출하기 위하여, 저항 소자 R6, R7을 사용하여 오차 증폭기의 반전(-) 입력부에 해당 전압을 피드백 시킴으로써, 스위칭 소자의 스위치가 오프 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오차 증폭기는, 두 개의 저항 소자 R6, R7에 의하여 분압되어 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부스트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과 제 1 기준 전압 Vref1의 차를 증폭하여 감산기(103)로 출력한다.
즉, 출력 부하(R5)가 감소하여 출력 전압(Vo)이 상승하게 되면, 오차 증폭기의 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보다 커지게 되어 오차 증폭기의 출력 전압 Verr이 감소하게 된다. 감산기는, 오차 증폭기로부터 감소한 출력 전압이 입력되면 제 2 기준 전압과의 감산에 의하여 증가된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이에 멀티플라이어는 증가한 Vsum 값을 입력 받아 증가한 Vmo 전압을 출력하므로, 최종 멀티플라이어부(130)의 출력은 상위(High) 상태가 되어 스위칭 소자를 빠르게 오프 시킨다.
만일 출력 부하(R5)가 증가하여 출력 전압(Vo)이 하강하게 되면, 오차 증폭기의 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보다 작아지게 되어 오차 증폭기의 출력 전압 Verr이 증가하게 된다. 감산기는, 오차 증폭기로부터 증가한 출력 전압이 입력되면 제 2 기준 전압과의 감산에 의하여 감소된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이에 멀티플라이어는 감소한 Vsum 값을 입력 받아 감소한 Vmo 전압을 출력하므로, 오차 증폭기의 전압이 상위 상태가 되어 결과적으로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로 있게 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출력 전압이 레귤레이션 된다.
이 때, 상기 가감기의 출력 전압은 항상 양(+)의 값을 가지며, 제 2 기준 전압은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 전압의 변화에 비례하는 전압을 비교기에 입력하기 위한 기준 전압 레벨이다.
상기 일련의 실시예 과정을 수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칭 소자가 오프 상태로 되는 경우는 상위 기준 전압 Vu와 덧셈기의 출력 전압 Va가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되는 때이므로, 수학식 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V}_{a } ~=~ { V}_{u }
여기에서, 덧셈기의 출력 값 Va는 하위 기준 전압 Vl과 멀티플라이어부의 출력 값 Vmo의 합이며, 상기 전압 Vmo는 가감기의 출력 전압 Verr과 부스트 컨버터부의 출력 전압 Vcs를 곱한 값이 된다. 하위 기준 전압 Vl을 Vo라 두면 Va를 다음의수학식 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를 수학식 1 에 대입하면 다음의 수학식 3 과 같이 된다.
Vo와 Vu는 각각의 입력 전압에 비례하므로 다음의 수학식 4 와 수학식 5 와 같이 둘 수 있다.
수학식 3 에서 Vcs는 다음의 수학식 6 과 같이 둘 수 있으므로,
따라서 수학식 3 에 수학식 4, 5, 6을 대입하여 수학식 7 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수학식 7 을 부스트 컨버터의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iL(t)에 대하여 정리하면, 수학식 8 과 같이 되고,
이 때,는 상수 값이므로 K 라 두면, 수학식 9 를 얻게 된다.
상기 수학식 9 에 따라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인덕터 전류 값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입력 전류는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평균치가 되므로, 결국 입력 전류는 항상 입력 전압에 비례한 값으로 얻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어기가 최적의 상태로 동작하기 위한 멀티플라이어(104)의 이득(Gain)은 멀티플라이어부의 출력 값이 상위 기준 전압 Vu와 하위 기준 전압 Vl 사이에 있을 때 주어진다.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의 수학식 10 과 같이 주어진다.
이 때, KM은 상기 멀티플라이어의 이득을 나타낸다. 따라서, 수학식 10을 멀티플라이어의 이득에 따라 정리하면, 수학식 11 을 얻게 된다.
따라서, 멀티플라이어의 이득 KM이 상기 수학식 11 에 의하여 얻어진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되면 높은 입력 전압 영역에서 출력 전압의 레귤레리션이 실행되지 않으며, 이에 이득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도 4 ~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역률 보상 제어기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PSpice를 사용하였다. 도 4 는 입력 필터 뒷단의 입력 전압 파형을 나타내고, 도 5 는 부스트 컨버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며, 도 6 은 입력 필터 뒷단의 입력 전류에 대한 파형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 에 도시한 입력 전압에 따라 도 6 에 도시한 입력 전류가 동위상으로 비례하여 따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역률 보상 제어 회로는 하위 기준 전압과 상위 기준 전압을 사용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만으로 출력 부하의 조건에 따라 연속 전류 모드 방식으로 부스트 컨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4)

  1. (정정) 스위칭 소자가 구비된 스위칭 전원 장치용 역률 보상 제어기에 있어서,
    교류 전원이 정류된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상위 기준 전압 및 하위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라 2차측 부하로 제1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제1 출력 전압을 입력받아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한 값을 증폭함으로써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레귤레이션(regulation)을 수행하는 오차 증폭부;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에 관련된 전압과 상기 오차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압을 입력받아서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기초가 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멀티플라이어부; 및
    상기 부스트 컨버터에서 발생되는 상위 기준 전압 및 하위 기준 전압과 상기 멀티플라이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구동부
    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제어기.
  2. 제 1 항에서, 상기 부스트 컨버터는,
    필터와, 교류 전원을 1차로 정류하는 정류기와, 정류된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하위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저항 소자부와, 정류된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상위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저항 소자부와, 2 차 측에 전류를 유기시키는 인덕터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스위칭 소자와 접지 사이에 삽입된 제 3 저항 소자부와, 인덕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부하로 공급하는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제어기.
  3. 제 1 항에서, 상기 오차 증폭기는,
    상기 제 1 출력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제 3 저항 소자부와, 제 1 기준 전압을 입력 받고 분배 상기 제 3 저항 소자부의 전압을 입력 받아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시키는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제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라이어는,
    제 2 기준 전압 값과 상기 오차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입력 받아 두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한 값을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에서 발생한 제 1 출력 전압과 곱하는 곱셈기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제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구동부는,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의 제 1 저항 소자부에 의하여 발생하는 하위 기준 전압과 상기 멀티플라이어부의 제 2 출력 전압을 더하여 제 3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덧셈기와, 상기 부스트 컨버터부의 제 2 저항 소자부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위 기준 전압과 상기 덧셈기의 제 3 출력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리셋 신호로 입력 받고 브이 펄스(V pulse) 신호를 세트 신호로 입력 받는 플립플롭(flipflop)과, 상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 신호와 상기 브이 펄스 신호를 부정 논리합(NOR)으로 연산하는 노어(NOR) 게이트와, 상기 노어(NOR) 게이트의 출력을받아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제어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 소자부는,
    두 개의 저항 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 소자는 정류기와 병렬로 연결되며, 두 개의 저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연결점에서 발생한 하위 기준 전압은 상기 스위칭 구동부의 덧셈기로 출력되는, 역률 보상 제어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항 소자부는,
    두 개의 저항 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 소자는 정류기와 병렬로 연결되며, 두 개의 저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연결점에서 발생한 상위 기준 전압은 상기 스위칭 구동부에 있는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역률 보상 제어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덧셈기는,
    상기 제 1 저항 소자부에서 출력되는 하위 기준 전압에 따라 항상 입력 전압의 변화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제어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덧셈기의 출력 전압과 상기 상위 기준 전압 값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순간에 오프되는, 역률 보상 제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된 스위칭 소자는,
    상기 덧셈기의 출력 전압이 상기 하위 기준 전압과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되면, 발진기 클럭 신호에 의하여 온 상태로 바뀌는, 역률 보상 제어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덧셈기는,
    출력 전압의 범위가 상위 기준 전압과 하위 기준 전압로 되는, 역률 보상 제어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상위 기준 전압과 하위 기준 전압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결정되는, 역률 보상 제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상승할 경우, 오차 증폭기의 출력은 감소하고 멀티플라이어부의 출력이 증가하며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칭 구동부의 덧셈기의 출력 전압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소자는 빠르게 오프 상태로 바뀌는, 역률 보상 제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하강할 경우, 오차 증폭기의 출력은 증가하고 멀티플라이어부의 출력이 감소하며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칭 구동부의 덧셈기의 출력 전압이 감소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 상태가 길게 유지되는, 역률 보상 제어기.
KR1019990022049A 1999-06-14 1999-06-14 역률보상 제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333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49A KR100333973B1 (ko) 1999-06-14 1999-06-14 역률보상 제어기
US09/565,088 US6191565B1 (en) 1999-06-14 2000-05-05 Power factor compensation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49A KR100333973B1 (ko) 1999-06-14 1999-06-14 역률보상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302A KR20010002302A (ko) 2001-01-15
KR100333973B1 true KR100333973B1 (ko) 2002-04-24

Family

ID=1959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0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3973B1 (ko) 1999-06-14 1999-06-14 역률보상 제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91565B1 (ko)
KR (1) KR1003339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0446B2 (en) 2005-02-10 2011-02-01 Vishay-Siliconix Adaptive frequency compensation for DC-to-DC converter
WO2011010818A3 (ko) * 2009-07-20 2011-05-19 Lee Dong-Won 정전력 공급 장치
KR101045724B1 (ko) * 2009-07-20 2011-06-30 이동원 정전력 공급 장치
KR101058936B1 (ko) 2004-09-21 2011-08-23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출력 전압 제어 방법
KR101598475B1 (ko) 2015-05-22 2016-03-02 (주)에스엔 다중 역률 제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535B1 (en) * 2001-03-29 2002-06-25 Emc Corporatio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with integral bridge function
US6414865B1 (en) * 2001-07-06 2002-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 to DC converting apparatus
JP4810775B2 (ja) * 2001-08-03 2011-11-09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KR100755396B1 (ko) * 2002-01-10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역률 보상 회로
DE10225406B4 (de) * 2002-06-07 2005-07-1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Schalters in einem Schaltwandler und Ansteuerschaltung zur Ansteuerung eines Schalters
US20040130304A1 (en) * 2003-01-03 2004-07-08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Voltage regulator having a voltage doubler device
US9153960B2 (en) 2004-01-15 2015-10-06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Power supply equipment utilizing interchangeable tips to provide power and a data signal to electronic devices
US7289341B2 (en) * 2004-12-14 2007-10-30 Advanced Energy Industries, Inc. Power supply adaptive feedforward control circuit
TWI297978B (en) * 2005-04-29 2008-06-11 Ablerex Electronics Co Ltd Harmonic suppressible ac/dc converter
JP4774987B2 (ja) * 2005-12-28 2011-09-2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576527B1 (en) * 2006-07-20 2009-08-18 Marvell International Ltd. Low power DC-DC converter with improved load regulation
TWI324287B (en) * 2006-09-26 2010-05-01 Advanced Analog Technology Inc Current mode pwm boost circuit and feedback signal sensing method thereof
MY158596A (en) * 2007-01-15 2016-10-31 Oyl Res And Dev Ct Sdn Bhd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N101299574B (zh) * 2007-03-04 2011-05-25 蜜蜂工房半导体有限公司 不需检测线电压的有源功率因子校正的方法和装置
CN101299573B (zh) * 2007-03-04 2012-06-27 蜜蜂工房半导体有限公司 有源功率因子校正的方法和装置
US7825642B1 (en) 2007-05-09 2010-11-02 Zilker Labs, Inc. Control system optimization via independent parameter adjustment
KR100806774B1 (ko) * 2007-05-16 2008-02-22 주식회사 펠릭스정보통신 Ac/dc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ac/dc 변환 방법
US8222874B2 (en) 2007-06-26 2012-07-17 Vishay-Siliconix Current mode boost converter using slope compensation
TWI390378B (zh) * 2008-05-14 2013-03-21 Richtek Technology Corp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Chi - back power converter
KR101532423B1 (ko) * 2008-10-31 2015-07-0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역률 보상 회로 및 역률 보상 회로의 구동 방법
EP2360824B1 (en) 2009-12-31 2015-08-26 Nxp B.V. Controller for a power conversion circuit
US8098503B2 (en) 2010-02-09 2012-01-17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a power converter having a low loop bandwidth
US10439508B2 (en) 2010-07-27 2019-10-08 Stmicroelectronics S.R.L. Control device of a switching power supply
US20130057229A1 (en) * 2011-09-02 2013-03-07 Intersil Americas Inc. Power factor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3178704B (zh) * 2011-12-20 2015-10-21 英飞特电子(杭州)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峰值电流控制的功率因数补偿电路
ITMI20120089A1 (it) 2012-01-26 2013-07-27 Dora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un alimentatore a commutazione.
ITMI20120088A1 (it) * 2012-01-26 2013-07-27 Dora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un alimentatore a commutazione.
CN102611296B (zh) * 2012-03-13 2014-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开关关断触发电路和功率因数校正电路
CN103580467B (zh) * 2012-07-18 2017-08-25 欧司朗股份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电路及其控制方法、驱动装置和照明单元
KR20140062997A (ko) * 2012-11-15 2014-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역률 보정 장치,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모터 구동 장치
CN103151912B (zh) * 2013-03-21 2015-05-06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一种功率因数校正电路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US9800139B2 (en) * 2014-07-15 2017-10-24 Nidec Motor Corporation Mo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put current protection
US9774248B2 (en) * 2014-11-10 2017-09-26 Power Integrations, Inc. Introducing jitter to a switching frequency by way of modulating current limit
US9705412B2 (en) 2015-02-26 2017-07-11 Stmicroelectronics S.R.L. Pulsed feedback switching converter
US20200343811A1 (en) * 2017-12-29 2020-10-29 Vertiv Corporatio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ontrol method and device
US10734885B2 (en) * 2018-06-19 2020-08-04 Cirrus Logic, Inc. Removal of near DC errors in a peak-controlled boost converter using a low-bandwidth secondary control loop
US11201540B2 (en) * 2019-02-07 2021-12-14 F'real! Foods, Llc Motor control circuit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CN110719020B (zh) * 2019-09-23 2020-12-29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控制电路及控制方法
TWI717233B (zh) 2020-03-13 2021-01-2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低功率消耗之保護電路
CN115425836A (zh) * 2022-09-22 2022-12-02 中国人民解放军空军预警学院雷达士官学校 一种功率因数校正整流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1725A (en) * 1986-08-01 1988-08-02 Unisys Corporation Digitally controlled A.C. to D.C. power conditioner
US5006975A (en) * 1989-11-03 1991-04-09 Cherry Semiconductor Corporatio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JP3164838B2 (ja) * 1991-06-19 2001-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イッチング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変換装置、力率改善電源装置
US5359274A (en) * 1992-08-20 1994-10-2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Active offset for power factor controller
KR960013948B1 (ko) * 1993-11-16 1996-10-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역률 보정회로
JPH07245955A (ja) * 1994-03-02 1995-09-19 Yutaka Denki Seisakusho:Kk 力率改善型安定化電源回路および無停電電源回路
US5867379A (en) * 1995-01-12 1999-02-02 University Of Colorado Non-linear carrier controllers for high power factor rectification
US5691889A (en) * 1995-12-13 1997-11-25 Unitrode Corporation Controller having feed-forward and synchronization features
US5742151A (en) * 1996-06-20 1998-04-21 Micro Linear Corporation Input current shaping technique and low pin count for pfc-pwm boost converter
DE19725842C2 (de) * 1997-06-18 1999-04-22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r lastunabhängigen Gleichspannu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36B1 (ko) 2004-09-21 2011-08-23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역률 보상 회로 및 그 출력 전압 제어 방법
US7880446B2 (en) 2005-02-10 2011-02-01 Vishay-Siliconix Adaptive frequency compensation for DC-to-DC converter
US7960947B2 (en) 2005-02-10 2011-06-14 Vishay-Siliconix Adaptive frequency compensation for DC-to-DC converter
WO2011010818A3 (ko) * 2009-07-20 2011-05-19 Lee Dong-Won 정전력 공급 장치
KR101045724B1 (ko) * 2009-07-20 2011-06-30 이동원 정전력 공급 장치
KR101598475B1 (ko) 2015-05-22 2016-03-02 (주)에스엔 다중 역률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91565B1 (en) 2001-02-20
KR20010002302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3973B1 (ko) 역률보상 제어기
JP3535902B2 (ja) 力率補正回路
KR100206143B1 (ko) 고역률 보상회로
US8829875B2 (en) Controller compensation for frequency jitter
US7560917B2 (en) Current feed-through adaptive voltage position control for a voltage regulator
US63073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input impedance of PWM converters
KR100286047B1 (ko)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JP510494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8599581B2 (en) Primary-side regulated modulation controller with improved transient response and audile noise
US6646426B2 (en) Current mode DC/DC regulator having function for detecting input and output of current and voltage
US9621041B2 (en) Buck-boost converter control circuits and techniques
US9899921B1 (en) Adaptive slope compensation for current mode switching power supply
US9048751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ripple compensation
US20050018458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20150137695A1 (en) Method for Driving LED
US7719243B1 (en) Soft-start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verter
JP2005528875A (ja) Dc−dcコンバータ
US6011382A (en) Circuit and method for directly regulating the output voltage of an electroluminescent lamp driver
WO2008004009A2 (en) Switch mode power supply systems
TWI320990B (en) Loading variation compensation circuit for a switching-mode power converter, and switching-mode power converter and conversion using the same
US7723967B2 (en) Step-up converter having an improved dynamic response
US6160385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producing a load-independent output voltage
JP2007037297A (ja) 力率改善回路
CN108288916A (zh) 用于单级功率变换器的脉冲频率调制模式转换
CN115149823A (zh) 控制电路、对应的电子转换器设备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