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7262B1 -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 - Google Patents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262B1
KR100327262B1 KR1020000027519A KR20000027519A KR100327262B1 KR 100327262 B1 KR100327262 B1 KR 100327262B1 KR 1020000027519 A KR1020000027519 A KR 1020000027519A KR 20000027519 A KR20000027519 A KR 20000027519A KR 100327262 B1 KR100327262 B1 KR 10032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hotosensitive belt
cartridge
photosensitive
recogni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667A (ko
Inventor
이범로
김규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2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262B1/ko
Priority to US09/676,816 priority patent/US6623196B1/en
Priority to TW089121519A priority patent/TW504606B/zh
Priority to JP2001028702A priority patent/JP2001337569A/ja
Publication of KR2001010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4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band, e.g. tensio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가 개시된다. 감광벨트 교환장치는 그 안에 인쇄기 본체의 벨트유니트에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 감광벨트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벨트카트리지와, 벨트카트리지상에 설치된 제1안테나와, 인쇄기 본체상에 설치된 제2안테나를 통해 인쇄기를 제어하는 콘츄롤러와 무선통신에 의해 그 내부에 기록된 정보의 송출 및/또는 수신된 정보를 기록 할 수 있도록 벨트카트리지상에 제1안테나와 접속되어 설치된 부품 인식모듈을 구비한다. 이러한 감광벨트 교환장치에 의하면, 장착대상 부품의 교환시에 부품의 장착여부를 감지함과 동시에 부품의 특성정보도 함께 인쇄기의 콘츄롤러가 판독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써 부품교환에 따른 인쇄기의 세팅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Photosensitive belt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and printer}
본 발명은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대상 부품의 이용과 관련된 기록정보를 인쇄기가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쇄기는 감광벨트(11), 제전기(12), 대전기(13), 광주사장치(14), 현상기(15), 건조장치(16), 전사장치(17)를 구비한다.
벨트유니트는 감광벨트(11)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복수의롤러(18)(19)(20)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18은 구동원과 결합되어 감광벨트(11)를 주행시키는 드라이브 롤러이고, 참조부호 20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티어링롤러이다.
이와같은 인쇄기의 인쇄과정을 살펴본다.
순환되는 감광벨트(11)에 대하여 제전기(12)는 광을 투사하여 감광벨트(11)에 잔류하는 정전잠상을 소거시키고, 대전기(13)는 새로운 정전잠상을 기입할 수 있도록 소정전위로 감광벨트(11)를 대전시킨다. 대전된 감광벨트(11)에 대하여 광주사장치(14)가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감광벨트(11)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15)로부터 공급된 현상액에 의해 현상된다. 건조장치(16)는 감광벨트(11)에 현상액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건조시킨다. 건조된 화상은 감광벨트(11)로부터 전사롤러(17a)를 거쳐 용지(22)에 전사된다.
한편, 이러한 인쇄과정에 관여하는 각 장치들중 감광벨트(11)는 사용기간이 장기화 되면 그 특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인쇄품질의 저하를 막기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감광벨트(11)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벨트유니트에 새로운 감광벨트(11)를 수작업에 의해 장착할 수는 있으나, 감광벨트(11)가 유연(flexible)하기 때문에 그 장착작업이 까다롭다. 이러한 작업곤란성을 해소하고자 감광벨트(11)의 교체작업을 보다 원할하게 할 수 있는 감광벨트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국내특허 출원번호 99-30832호)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었다.
한편, 감광벨트(11)는 제조회사별 및 그 기술적인 발전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조건들이 바뀔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로서는, 예컨대, 감광벨트(11)에 정전잠상을 기입할 수 있도록 감광벨트(11)에 유지시켜야할 전위레벨, 감광벨트(11)에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조사되야 할 광의 강도등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감광벨트(11)를 인쇄기에 장착한 다음에는 장착된 감광벨트(11)의 이용조건에 맞게 각 장치 예컨대, 제전기(12), 대전기(13), 광주사장치(14)등의 작동조건을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새로운 감광벨트(11)를 인쇄기에 장착한 다음, 장착된 감광벨트(11)의 이용조건에 맞게 인쇄기의 각 장치의 작동조건을 조정하는 작업을 서비스맨이 직접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감광벨트를 인쇄기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감광벨트를 적절하게 이용하기 위한 정보도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인쇄기의 콘츄롤러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교환장치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무벌 카드리지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감광벨트 교환장치가 적용되는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부품인식모듈과 콘츄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류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인식모듈의 외부장치와의 교신과정을 나타내보인 플로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감광벨트 12, 112: 제전기
13, 113: 대전기 14, 114: 광주사장치
15: 현상기 16: 건조장치
17: 전사장치 18, 118: 드라이브롤러
20, 120: 스티어링롤러 30: 벨트 카트리지
31: 메인카트리지 32: 리무벌 카트리지
33: 자석부재 34: 플레이트부재
35: 가이드레일 40: 제1안테나
50: 부품인식모듈 51: 정류회로
52, 131: RF블럭 53, 132: 처리부
54: 메모리 100: 본체
101: 진입용레일 110: 벨트유니트
121: 모터 122: 캠부재
123: 링크부재 130: 콘츄롤러
140: 제2안테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교환장치는 그 안에 인쇄기 본체의 벨트유니트에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 감광벨트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벨트카트리지와;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설치된 제1안테나와;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상기 제1안테나와 접속되어 상기 인쇄기 본체상에 설치된 제2안테나를 통해 인쇄기를 제어하는 콘츄롤러와 무선통신에 의해 그 내부에 기록된 정보의 송출 및/또는 수신된 정보를 기록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부품 인식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내에 장착된 부품명, 감광벨트의 제조회사 및 제조일자, 사용 유효기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품인식모듈에는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정전잠상을 소거하기 위해 상기 감광벨트에 대하여 조사할 광의 강도, 새로운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상기 감광벨트에 인가하여야할 대전전위값, 대전된 상기 감광벨트에 대하여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광주사장치로부터 투사하여야할 광의 강도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품인식모듈에는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정류하여 그 구동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정류회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안에 감광벨트가 수납되는 벨트카트리지와, 인쇄기 본체상에 상기 감광벨트를 순환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벨트 유니트와, 상기 벨트유니트상에 설치되며 장착 위치로 진입된 상기 벨트카트리지내에 수납된 감광벨트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벨트카트리지를 인쇄기로부터 빼낼 때 상기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상에 장착된 상태로 남을 수 있도록 상기 벨트유니트상에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벨트분리수단을 구비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설치된 제1안테나와;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상기 제1안테나와 접속되어 그 내부에 기록된 정보의 송출 및 수신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된 부품인식모듈과; 상기 제1안테나와 비접촉에 의해 신호를 교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인쇄기 본체상에 마련된 제2 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를 통해 상기 부품인식모듈에 기록된 정보의 판독 및 상기 부품인식모듈로의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도록 상기 인쇄기 본체상에 상기 제2안테나와 결선되어 있는 콘츄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벨트분리수단은 상기 벨트유니트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감광벨트의 주행을 지지하는 스티어링롤러와; 상기 스티어링롤러의 이동을 조정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선택적으로 장력을 가하는 슬라이딩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교환장치의 외부장치와의 교신방법에 따르면, 가. 상기 부품인식모듈은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정보내에 외부장치와의 교신허용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설정해 놓은 코드신호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내에 상기 코드신호가 있으면, 외부장치와의 교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다, 상기 가 단계에서 상기 코드신호가 없으면, 상기 부품인식모듈은 기록된 정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장치와의 교신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교환장치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감광벨트 교환장치가 적용되는 인쇄기의 일부를 나타내보인 분리사시도이다.
감광벨트 교환장치는 감광벨트(21)를 수납하는 벨트 카트리지(30)와, 벨트카트리지(30)상에 설치된 제1안테나(40) 및 부품인식모듈(50)을 구비한다.
벨트카트리지(30)는 통형의 메인카트리지(31)와, 메인카트리지(3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리무벌 카트리지(32)를 구비한다.
감광벨트(21)는 인쇄기본체(100)에 장착될 때와 같은 형상으로 메인카트리지(30)상에 간헐적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자석부재(33)와 플레이트부재(34) 사이에 지지되어 수납되어 있다.
리무벌 카트리지(32)는 감광벨트(21)가 인쇄기의 벨트유니트(110)에 장착될 때 함께 인쇄기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조되어 있다. 리무벌 카트리지(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실린더(32a)와, 실린더(32a)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볼버(32b)를 구비한다. 실린더(32a)에 형성된 제1슬롯(32c)과, 리볼버(32b)에 형성된 제2슬롯(32d)을 통해 감광벨트(21)가 간섭없이 주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리무벌 카드리지(32)는 일측에서 폭방향으로 잘려진 감광벨트를 리볼버(32b)의 회전에 의해 그 내부에 감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수명이 다한 감광벨트를 교환하고자 할 때, 먼저 벨트커팅수단(미도시)에 의해 감광벨트를 자르고, 이후, 리볼버(32b)를 회전시켜 감광벨트가 리무벌 카트리지(32)내에 감기게 한 다음, 리무벌 카트리지(32)를 인쇄기로부터 분리하면된다.
참조부호 35는 가이들레일이고, 인쇄기 본체(1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5)의 진입을 가이드하면서 지지하기위한 진입용레일(101)이 마련되어 있다.
인쇄기 본체(100)상에 마련된 벨트유니트(110)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받아 감광벨트(21)를 주행시키는 드라이브롤러(118)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티어링롤러(120)를 구비한다. 스티어링롤러(120)는 슬라이딩기구에 의해 그 진퇴가 조정된다. 슬라이딩기구는 모터(121)에 의해 회전되는 캠부재(122)와, 캠부재(122)의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롤러(120)의 진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롤러(120)와 결합된 링크부재(123)를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벨트카트리지(30)와 인쇄기와의 결합구조 및 벨트유니트(110)의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인쇄기의 감광벨트 교환장치(국내특허 출원번호 99-30832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고, 그 상세한 작동 및 구조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인쇄기의 감광벨트 장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벨트카트리지(30)의 가이드레일(35)을 인쇄기의 진입용 레일(101)에 끼워 맞춘 다음 벨트 카트리지(30)를 장착위치까지 인쇄기에 진입시킨다.
이후, 스티어링롤러(120)가 A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도록 모터(12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티어링롤러(120)의 이동에 의해 벨트 카트리지(30)내에 있는 감광벨트(21)는 벨트유니트(110)의 롤러(118)(119)(120)들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감광벨트 장착과정은 완료된다. 벨트카트리지(30)를 인쇄기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후술하는 부품인식모듈(50)과 인쇄기의 콘츄롤러(130)와의 정보교환작업 완료 이후에 하면된다.
벨트카트리지(30)상에는 제1안테나(40)와 부품인식모듈(50)이 상호 결선되어 설치되어 있다. 인쇄기의 장착위치로 장착된 벨트카트리지(30)상의 제1안테나(40)와 대향되는 위치의 인쇄기 본체에는 제2안테나(1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안테나(140)는 콘츄롤러(130)와 결선되어 있다.
부품인식모듈(50)에는 감광벨트(21)를 적절하게 이용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제1안테나(40)를 통해 외부장치인 콘츄롤러(130)와 무선으로 정보를 교환한다.
이와 같이 벨트카트리지(30)상에 장착된 부품인식모듈(50)이 무선으로 콘츄롤러(13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음으로써, 벨트카트리지(30)의 착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부품인식모듈(50)과 이에 대응되는 콘츄롤러(130)의 일 예를 나타내보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품인식모듈(50)은 정류회로(51), RF블럭(52), 처리부(53) 및 메모리(54)를 구비한다.
정류회로(51)는 제1안테나(40)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정류하여 그 구동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류회로(51)의 일 예가 도시된 도 6을 참조하면, 제1안테나(40)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다이오드(51a)와 정류기(51c)를 통해 정류하여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51b는 로우패스 필터이다. RF블럭(52)은 제1안테나(4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검파하고, 송출할 데이터에 대응한 반송파의 변조를 수행한다. 처리부(53)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다.
메모리(54)는 기록의 갱신이 가능한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54)에는 벨트카트리지(30)내에 장착된 부품에 대한 부품명 정보, 제조회사 및 제조일자, 사용 유효기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54)에는 벨트카트리지(30)내에 장착된 감광벨트(21)를 인쇄작업시 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적용되야할 제전기(112), 대전기(113) 및 광주사장치(114)의 셋팅값이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모리(54)에는 벨트카트리지(30)내에 장착된 감광벨트(21)가 벨트유니트(110)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정전잠상을 소거하기 위해 제전기(112)에 의해 감광벨트(21)에 대하여 조사할 광의 강도에 대한 정보와, 새로운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대전기(113)에 의해 감광벨트(21)에 인가하여야할 대전전위값 및 대전된 감광벨트(21)에 대하여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광주사장치(114)로부터 투사하여야할 광의 강도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츄롤러(130)는 인쇄기 전반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콘츄롤러(130)는 부품인식모듈과의 정보교신을 위한 RF블럭(131)과, 처리부(132)를 포함한다.
콘츄롤러(130)의 RF블럭(131)은 처리부(132)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반송파의 변조 및 변조된 신호의 송출과, 제2안테나(14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복조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부품인식모듈과 콘츄롤러와의 정보교환과정을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벨트카트리지(30)가 인쇄기에 장착되면 콘츄롤러(130)는 설정된 교신허용 코드신호 및 질문내용을 제2안테나(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콘츄롤러(130)의 RF블럭(131)은 처리부(132)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RF신호를 설정된 저주파신호에 실리도록 변조하여 제2안테나(140)를 통해 송신한다.
제1안테나(40)에 수신된 신호중 저주파신호는 부품인식모듈(50)의 정류회로(51)에 의해 정류되어 부품인식모듈의 구동전력으로 이용된다. 부품인식모듈(50)의 RF블럭(52)은 수신되어 검파된 RF신호를 복조하여 처리부(53)에 출력한다. 처리부(53)는 수신된 신호를 판독하고, 수신된 신호내에 설정된 교신허용 코드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0). 판단단계에서 교신허용 코드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장치와의 교신을 차단한다(단계 210). 반대의 경우로, 판단단계에서 교신허용 코드신호가 있으면, 외부장치와의 교신을 진행한다(단계 220). 이와같이 교신허용 코드신호가 수신될 때만 부품인식모듈(50)의 외부장치와의 정보교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은 부품인식모듈(50)내에 기록된 기록정보를 악의로 복제하여 이용할려고 할 때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부품인식모듈(50)과 콘츄롤러(130)와의 교신이 개시되어 콘츄롤러(130)로부터 부품명 정보 및 부품의 이용과 관련되어 기록된 정보의 송출을 요구하는 리드신호(read signal)가 수신되면, 부품인식모듈(50)은 수신된 요구사항에 대응되는 기록정보를 송출한다.
따라서, 부품인식모듈(50)의 메모리(54)에 기록된 부품명 즉, 감광벨트(21) 임을 알리는 정보와, 감광벨트의 제조회사 및 제조일자, 감광벨트의 사용 유효기간 정보, 정전잠상을 소거하기 위해 감광벨트에 대하여 조사할 광의 강도, 새로운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상기 감광벨트에 인가하여야할 대전전위값 및 대전된 상기 감광벨트에 대하여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광주사장치(114)로부터 투사하여야할광의 강도정보가 콘츄롤러(130)에 전송된다.
그러면, 콘츄롤러(130)는 부품인식모듈(50)로부터 전송받은 부품특성정보에 맞게, 제전기(112), 대전기(113) 및 광주사장치(114)의 구동 전압 또는 전류를 세팅한다. 새로 장착된 감광벨트에 맞게 대응되는 장치들의 셋팅작업이 완료되면, 인쇄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에 의하면, 장착대상 부품의 교환시에 부품의 특성정보도 함께 인쇄기의 콘츄롤러가 판독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써 부품교환에 따른 인쇄기의 세팅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인식모듈이 설정된 교신허용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외부장치와는 그 교신을 허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품인식모듈에 기록된 정보의 억세스를 제한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그 안에 인쇄기 본체의 벨트유니트에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 감광벨트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벨트카트리지와;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설치된 제1안테나와;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상기 제1안테나와 접속되어 상기 인쇄기 본체상에 설치된 제2안테나를 통해 인쇄기를 제어하는 콘츄롤러와 무선통신에 의해 그 내부에 기록된 정보의 송출 및/또는 수신된 정보를 기록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부품 인식모듈;을 구비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내에 장착된 부품명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의 제조회사 및 제조일자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의 사용 유효기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정전잠상을 소거하기 위해 상기 감광벨트에 대하여 조사할 광의 강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새로운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상기 감광벨트에 인가하여야할 대전전위값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벨트에 대하여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광주사장치로부터 투사하여야할 광의 강도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인식모듈에는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정류하여 그 구동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정류회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9. 그 안에 감광벨트가 수납되는 벨트카트리지와, 인쇄기 본체상에 상기 감광벨트를 순환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벨트 유니트와, 상기 벨트유니트상에 설치되며 장착 위치로 진입된 상기 벨트카트리지내에 수납된 감광벨트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벨트카트리지를 인쇄기로부터 빼낼 때 상기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상에 장착된 상태로 남을 수 있도록 상기 벨트유니트상에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벨트분리수단을 구비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설치된 제1안테나와;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상기 제1안테나와 접속되어 그 내부에 기록된 정보의 송출 및 수신된 정보를 기록 할 수 있도록 된 부품인식모듈과;
    상기 제1안테나와 비접촉에 의해 신호를 교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인쇄기 본체상에 마련된 제2 안테나부와;
    상기 제2안테나를 통해 상기 부품인식모듈에 기록된 정보의 판독 및 상기 부품인식모듈로의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도록 상기 인쇄기 본체상에 상기 제2안테나와 결선되어 있는 콘츄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분리수단은
    상기 벨트유니트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감광벨트의 주행을 지지하는 스티어링롤러와;
    상기 스티어링롤러의 이동을 조정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선택적으로 장력을가하는 슬라이딩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내에 장착된 부품명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의 제조회사 및 제조일자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의 사용 유효기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정전잠상을 소거하기 위해 상기 감광벨트에 대하여 조사할 광의 강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새로운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상기 감광벨트에 인가하여야할 대전전위값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모듈에는 상기 콘츄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장착된 감광벨트가 상기 벨트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벨트에 대하여 정전잠상을 기입하기 위해 광주사장치로부터 투사하여야할 광의 강도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인식모듈에는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정류하여 그 구동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정류회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18. 그 안에 인쇄기 본체의 벨트유니트에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 감광벨트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벨트카트리지와,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설치된 제1안테나와, 상기 벨트카트리지상에 상기 제1안테나와 접속되어 상기 인쇄기 본체상에 설치된 제2안테나를 통해 인쇄기를 제어하는 콘츄롤러와 교신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부품 인식모듈을 구비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의 교신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부품인식모듈은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정보내에 외부장치와의 교신허용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설정해 놓은 코드신호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내에 상기 코드신호가 있으면, 외부장치와의 교신을 수행하는 단계;
    다. 상기 가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내에 상기 코드신호가 없으면, 상기 부품인식모듈은 기록된 정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장치와의 교신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교환장치의 교신방법.
KR1020000027519A 2000-05-22 2000-05-22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 KR10032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519A KR100327262B1 (ko) 2000-05-22 2000-05-22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
US09/676,816 US6623196B1 (en) 2000-05-22 2000-10-02 Apparatus for replacing photosensitive belt, method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concerning photosensitive belt, and printer employing the same
TW089121519A TW504606B (en) 2000-05-22 2000-10-13 Apparatus for replacing photosensitive belt, method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concerning photosensitive belt, and printer employing the same
JP2001028702A JP2001337569A (ja) 2000-05-22 2001-02-05 感光ベルト交換装置とその交信方法及びこれを採用した印刷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519A KR100327262B1 (ko) 2000-05-22 2000-05-22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667A KR20010106667A (ko) 2001-12-07
KR100327262B1 true KR100327262B1 (ko) 2002-03-06

Family

ID=1966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519A KR100327262B1 (ko) 2000-05-22 2000-05-22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23196B1 (ko)
JP (1) JP2001337569A (ko)
KR (1) KR100327262B1 (ko)
TW (1) TW5046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7832B2 (ja) * 2002-06-17 2008-09-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部品
KR100624688B1 (ko) 2004-08-09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US7062181B2 (en) * 2004-11-02 2006-06-13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ingle wir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a 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DE102006058548B4 (de) * 2006-12-12 2013-12-12 Océ Printing Systems GmbH & Co. KG Verfahren zum Wechseln eines Bandes in einem Maschinenaggregat
US20220223997A1 (en) * 2021-01-13 2022-07-14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User-Installable Wireless Communications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9655U (ko) * 1985-11-25 1987-06-08
JPH02210464A (ja) * 1989-02-10 1990-08-21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4328762A (ja) 1991-04-30 1992-11-1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311249B2 (ja) * 1996-07-26 2002-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137966A (en) * 1998-04-16 2000-10-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305632A (ja) 1998-04-22 1999-11-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1338329A (ja) 1998-05-27 1999-12-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装置ユニット
US6097912A (en) * 1998-12-10 2000-08-01 Imation Corp. Protective cover package for an organic photoreceptor belt
KR100370201B1 (ko) * 1998-12-28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카트리지와 이를 채용한 감광벨트 교환장치 및 감광벨트 교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4606B (en) 2002-10-01
KR20010106667A (ko) 2001-12-07
US6623196B1 (en) 2003-09-23
JP2001337569A (ja)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828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584617B1 (ko)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4702631A (en) Thermal ribbon cassette and housing therefore
US8374526B2 (en)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9022025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Updat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JP4378311B2 (ja) 画像形成装置
US87442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100327262B1 (ko) 감광벨트 교환장치와 그 교신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쇄기
KR20060013990A (ko) 화상 형성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331338B1 (ko) 인쇄기의 교환용 부품의 교신방법
US20090074447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508985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forms image by electrophotography
US67080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emory thereof
JP2006030929A (ja) 画像形成ユニット、該画像形成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該画像形成ユニットのリサイクル方法
JP4689293B2 (ja) 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201990A (ja) モノクロ印刷モードでの現像剤残量表示を切り替え可能にした画像形成装置
EP1550917B1 (en) Image formation device enabling switching between color printing mode and monochrome printing mode
JP4542870B2 (ja) 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12583B2 (ja) 装置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JP200515117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データ読み出し方法
US2008019920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elt cleaning unit thereof
US6374069B1 (en) Photosensitive belt removing device of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and photosensitive belt remov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5140800A (ja) 装置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再生システム
JP460535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49283A (ja) 画像形成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