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3122B1 - 기록매체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122B1
KR100323122B1 KR1019980048153A KR19980048153A KR100323122B1 KR 100323122 B1 KR100323122 B1 KR 100323122B1 KR 1019980048153 A KR1019980048153 A KR 1019980048153A KR 19980048153 A KR19980048153 A KR 19980048153A KR 100323122 B1 KR100323122 B1 KR 100323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recording medium
recording
reproducing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190A (ko
Inventor
히데또시 가바사와
Original Assignee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236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277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236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44412A/ja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1999004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1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2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indexed part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1/02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indexed part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2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out of operative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는 기록매체상에 정보가 기록될 때 기록매체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록매체 이송기구는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기록매체를 이송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삽입/방출위치에 삽입 또는 방출되며 상기 장착 위치에서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위해 장착된다. 헤드는 기록매체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 헤드 이동기구는 헤드가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수행하는 기록 및 재생위치로 헤드를 이동시킨다. 상기 헤드는 기록매체 이송기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과 함께 이동된다. 상기 헤드 이송기구는 기록매체가 장착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기록매체 이송기구를 로크한다. 또한,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헤드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특히 기록매체 이동기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동과 관련하여 기록매체에 근접 이동하는 헤드 이동기구를 갖춘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또는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전자장치에는 정보를 기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기 디스크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가 부착될 때 상기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자기 디스크는 자기 디스크와 접촉하게 될 자기 헤드에 의한 자기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수행하도록 회전된다.
또한, 전술한 자기 디스크장치에는 내측으로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디스크 홀더와 카트리지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장착위치로 상기 디스크 홀더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작동에 의해 미끄럼하는 슬라이더를 갖춘 기록매체 이동기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일 방향으로 압박된다.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면, 래치레버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래치레버에 의한 슬라이더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는 압박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디스크 홀더는 카트리지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장착위치로 하향이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내의 디스크가 턴테이블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방출되면 정면 홈상에 제공된 방출버튼이 눌러져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카트리지 방출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삽입/방출위치로 상향이동되게 하는 방출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에 의한 래치레버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래치레버는 방출방향으로 디스크 카트리지를 가압하면서 회전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자기 디스크 장치내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는 방출버튼이 눌려질 때 기계적으로 방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방출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는 자기 디스크 장치의 작동모드마다 방출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자기 기록 또는 재생작동이 자기 헤드에 의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방출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슬라이더가 방출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디스크헤드가 카트리지 장착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삽입/방출위치로 상향이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정보가 자기 디스크상에 자기기록되는 동안에 디스크 카트리지가 강제적으로 방출되어, 기록될 전체정보가 자기 디스크상에 완전히 기록하기 이전에 기록동작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상기 자기 디스크장치의 동력이 차단되면, 자기 디스크상에 기록될 정보가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압박하는 스프링은 디스크 홀더의 장착작동을 양호하게 수행하기 위해 강력한 힘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는 카트리지의 삽입초기로부터 카트리지의 장착시까지 강력한 스프링 힘에 의해 가속된다. 따라서, 상기 자기 디스크의 속도는 슬라이더의 속도가 일정하게 가속되어 슬라이더가 이동말기에 도달하게 되면 과도하게 증가된다. 그러므로, 자기 디스크와의 접촉시 자기 헤드의 충격이 너무 강해 상기 자기헤드가 자기 디스크상의 자기막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슬라이더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종류의 댐퍼로서는 오일 댐퍼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댐퍼는 슬라이더에 제공된 래크와 결합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내부에 그리스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가 수납된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댐퍼의 케이스내에 제공된 회전부재가 상기 케이스내에 제공된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케이스내에 충진된 그리스에 의해 감쇄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속도는 감소된다.
그러나, 전술한 자기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오일댐퍼내에 충진된 그리스의 점도는 온도에 의존하므로, 그리스의 점성저항은 저온시에 과도하게 증가될 수 있고 자기 디스크는 신뢰성있게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론, 그리스의 점성저항이 고온에서 낮아지므로 장착 작동력이 증대되어 자기 디스크의 자기막을 손상시킨다.
또한, 최근의 자기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기록밀도는 자기 디스크의 기억용량을 증가시키도록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된다. 기억용량의 대용량화를 달성한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자기 디스크의 고속회전과 관련하여 발생된 기류로 인한 부력이 가해짐으로써, 자기헤드는 자기 디스크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조금 부상된 상태로 자기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한다.
전술한 장치에 있어서, 자기 디스크의 회전속도가 낮을 때 자기 헤드를 자기 디스크에 근접시키면, 부력은 자기헤드에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자기 헤드가 자기 디스크와 접촉하고 상기 자기 디스크상에 형성된 자기막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신규하고 유용한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가 기록매체상에 기록될 때 기록매체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기 헤드가 자기 기록매체와의 접촉에 의한 자기 기록매체의 자기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기 디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자기 디스크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디스크 홀더 및 슬라이더 조립체의 측면도.
도 5는 기록재생 모드시 헤드 캐리지의 주변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방출 모드시 헤드 캐리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헤드 캐리지의 주변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탐색작동이 기록재생 모드에서 수행될 때의 헤드 캐리지의 주변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각각, 헤드 캐리지에 대한 스톱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헤드 아암에 대한 헤드 캐리지와 리프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1은 제어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디스크 장착작동과 관련된 자기헤드의 높이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자기 디스크장치 12 : 디스크 홀더
13 : 슬라이더 16,17 : 자기 헤드
18 : 헤드 캐리지 20 : 헤드 아암
25 : 리프터 31 : 댐퍼기구
45,73 : 스톱퍼 46 : 커플링 레버
47 : 비틀림 스프링 48 : 솔레노이드
49 : 플런저 61 : 유지부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의 주요 구성소자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가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제공된다. 즉, 상기 장치는,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기록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기구로서, 상기 삽입/방출 위치에서는 삽입 또는 방출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는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위해 장착되는 기록매체 이송기구와,
상기 기록매체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헤드, 및
상기 헤드가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수행하는 기록 및 재생위치로 상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과 관련하여 이동되며,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는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디스크 홀더 및 상기 삽입/방출위치와 장착위치 사이로 상기 디스크 홀더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상기 기록매체가 장착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슬라이더를 로크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상기 기록매체가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이동하여 기록 및 재생작동이 수행되는 장착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를 로크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는 정보가 기록매체상에 기록될 때나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가 판독될 때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는,
상기 헤드가 기록 및 재생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헤드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헤드 이동기구를 로크하고, 상기 디스크 홀더가 장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로크하는 로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기록 또는 재생작동이 수행되는 동안에 기록 매체를 방출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질 때 상기 슬라이더가 방출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방출작동이 억제되어서 정보가 손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헤드가 기록 및 재생위치 이외의 위치, 즉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 이동기구가 로크되므로, 상기 헤드는 대기상태에서의 충돌로인한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로크부재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되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저는 위치에 따라 헤드 이동기구와 기록매체 이송기구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로크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이동기구 또는 기록매체 이송기구가 예정된 하나의 위치로 이동하는 플런저에 의해 로크되므로, 상기 헤드 이동기구와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는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크될 수 있다. 또한, 로크상태는 응답성이 양호하게 전환될수 있으며 로크작동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기록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기구로서, 상기 삽입/방출 위치에서는 삽입 또는 방출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는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위해 장착되는 기록매체 이송기구와,
상기 기록매체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헤드와,
상기 헤드가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수행하는 기록 및 재생위치로 상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기구, 및
상기 헤드가 기록매체 상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가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상기 헤드를 로크하는 로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과 관련하여 이동되며,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상기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헤드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발명에 따라서, 상기 헤드는 상기 기록매체를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중에 단계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헤드는 기록매체에 단계적으로 도달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의 이동속도는 기록매체가 장착될 때 감소되어 상기 헤드는 기록매체와 세게 충돌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기록매체는 헤드와의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디스크일 수 있으며 상기 헤드는 기록 및 재생 작동을 자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기헤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일 수 있고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상기 기록매체가 예정속도로 회전할 때 기록 및 재생위치로 헤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예정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로 상기 헤드가 기록매체에 접근하므로, 상기 헤드는 기록매체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에 의한 부력이 자기헤드에 가해지는 상태로 상기 기록매체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의 작동모드에는 기록매체를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모드와 상기 헤드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대기모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가 상기 방출 및 대기모드중 한 모드로 설정될 때 헤드를 로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헤드는 방출모드 및 대기모드에서 로크된다. 즉, 상기 헤드는 헤드가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수행하는 기록 및 재생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로크된다. 따라서, 상기 방출모드 또는 대기모드에서 외부진동이 상기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에 전달될 때 상기 헤드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헤드는 수송중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이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 진다.
이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디스크장치(1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자기 디스크장치(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기 디스크장치(11)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도면에 도시않음)가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 홀더(12) 및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13)가 프레임(14)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3)는 화살표(A,B)로 표시된 방향으로 프레임(14)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13)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작동에 의해 A방향으로 미끄럼하여 상기 디스크 홀더(12)를 카트리지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장착위치로 하향이동시킨다.
디스크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턴테이블과 자기 헤드(16,17)를 지지하는 헤드 캐리지(18)는 상기 프레임(14)의 평탄면(14a)상에 제공된다. 또한, 제어회로를 갖춘 (도면에 도시않은)회로판이 상기 프레임(14)의 바닥측에 장착된다.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상기 하측 자기헤드(16)가 한 단부상에 지지되어 있는 캐리지 몸체(19)를 가진다. 또한,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상기 캐리지 몸체(1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 자기헤드(17)를 단부상에 지지하는 헤드 아암(20)을 가진다.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길이방향(A,B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샤프트(21,24)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21,24)가 끼워맞춰지는 베어링부(18a,18b)는 헤드 캐리지(18)의 좌우측상에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부(18a,18b)는 주 가이드 샤프트로서의 상기 가이드 샤프트(21)가 관통연장하는 원형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부(18a,18b)는 이동방향 및 좌우측 방향으로 상기 헤드 캐리지(18)의 위치를 규제하고 상기 헤드 캐리지(18)의 높이방향으로 캐리지(18)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주 베어링이다. 상기 베어링부(18b)는 가이드 샤프트(21)가 끼워맞춰지는 채널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이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부(18b)는 이동방향 및 좌우측방향으로의 헤드 캐리지(18)의 위치를 규제하지 않으며 단지, 상기 헤드 캐리지(18)의 높이방향으로의 위치만을 규제한다.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후술하는)보이스 코일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샤프트(21,24)를 따라 A 및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헤드 캐리지(18)상에 지지된 자기헤드(16,17)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수납된 자기 디스크(도면에 도시않음)의 소정의 트랙상에서 미끄럼함으로써 자기 기록 및 재생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댐퍼기구(31)는 슬라이더(13)의 바닥면에 제공된다. 즉, 댐퍼기구(31)의 댐퍼판(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34)와 비틀림 스프링(33)의 단부와 결합하는 결합부(35)가 상기 슬라이더(13)의 바닥면에 제공된다.
상기 댐퍼기구(31)는 슬라이더(13)를 압박하는 기계식 댐퍼기구이므로 상기슬라이더(13)의 미끄럼속도는 오일댐퍼가 아닌 스프링력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댐퍼기구(31)는 슬라이더(13)의 바닥면상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댐퍼판(32)과 상기 댐퍼판(32)을 압박하는 비틀림 스프링(3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기구(31)는 카트리지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장착위치쪽으로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이동 초기단계에서의 이동방향과 반대의 방향(B방향)으로 슬라이더를 압박한다. 그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3)는 댐퍼판(32)이 슬라이더(13)의 미끄럼과정에서의 예정각보다 큰 각도로 회전할 때 이동방향(A방향)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상기 댐퍼기구(31)는 비틀림 스프링(33)의 스프링력에 의해 슬라이더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디스크 홀더(12)의 하향 이동속도, 즉 디스크 장착속도를 감소시킨다.
이후, 전술한 대로 구성된 주요 부분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디스크 홀더(12)는 상부판(12a) 및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판의 대향측상에 구부러져 있는 카트리지 가이드부(12b,12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판(12a)과 카트리지 가이드부(12b,12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카트리지 수납부와 일치한다.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상부판(12a)에는 상기 판을 관통 이동하는 헤드 캐리지(18)를 위한 개구(12d)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헤드아암(20)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리프터 돌출부(20a)는 상기 개구(12d)의 우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아암(20)은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상하이동과 관련하여 상기 자기헤드를 상하로 간헐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디스크 홀더(12), 헤드 아암(20) 및 리프터(25)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리프터(25) 몸체(25a)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25b)는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상부판(12a)에 직립되게 제공된 지지부(12h)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25)는 카트리지 이동방향(A 및 B 방향)에 수직한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슬라이더(13)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핀(12e)이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대향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가이드부(12f,12g)가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각각의 대향측의 중간지점으로 돌출한다. 상기 가이드부(12f,12g)는 프레임(14)의 측벽(14b,14c)에 제공된 가이드 홈(14d,14e)내에 각각 끼워맞춰져서,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상하향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리프터(25)는 디스크 홀더의 상부판(12a)에 제공된다. 상기 리프터(25)의 결합부(25c)는 헤드 아암(20)의 돌출부(20a)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헤드아암(20)을 하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상기 결합부(25c)는 디스크의 최내측 트랙과 최외측 트랙 사이의 거리, 즉 상기 헤드 캐리지(18)의 행정에 일치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슬라이더(13)는 상기 디스크 홀더(12)위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13)는 J형상의 평판(13a)과, 상기 평판(13a)의 대향측상에 하향으로 구부러진 측면(13b,13c)과, 상기 각각의 측면(13b,13c)에 제공되고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결합핀(12e)이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경사 홈(13d), 및 상기 프레임(14)의 대향측면 각각의 중간지점으로 돌출하는 돌기(14f)와 결합하는 결합개구(13e)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3)는 슬라이더(13)의 우측 정면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3g)를 가진다. 방출버튼(40)은 상기 돌출부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더(13)는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A방향으로 압박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 삽입개구(26)를 갖는 정면 베젤(27)은 프레임(14)의 정면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방출버튼(40)이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오목부(27a)는 상기 정면 베젤(27) 상단부의 우측에 제공된다. 플랩(28)은 상기 정면베젤(27)의 후면상에 있는 개구내에 폐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플랩(28)은 상기 장치의 내측으로부터 삽입개구(26)를 폐쇄한다.
도 4는 상기 디스크 홀더(12)와 슬라이더(13)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결합핀(12e)은 상기 슬라이더(13)의 경사홈(13d)내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3)가 이동하면, 상기 결합핀(12e)은 경사홈(13d)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13)가 B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크 홀더(12)는 상기 카트리지 삽입/방출위치로 상향 이동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3)가 A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크 홀더(13)는 카트리지 장착위치로 하향이동한다. 따라서, 기록매체 이송기구는 상기 디스크 홀더(12)와 슬라이더(13)로 구성된다.
이후, 도 1를 다시 참조하면 계속 설명한다.
래치기구(36)는 디스크 홀더(12)의 상면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래치레버(38)와 상기 래치레버(38)를 반시계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41)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41)은 상기 슬라이더(13)를 A방향으로 압박하는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및 상기 래치레버(38)를 압박하는 래치레버 복귀 스프링으로 보통 사용된다.
상기 래치레버(38)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도시않음)를 개폐하는 레버부(38a) 및 상기 슬라이더(13)의 결합부(13h)와 결합하는 아아크형 결합부(38b)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상기 디스크 홀더(12)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래치레버(38)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정면 엣지에 의해 눌려져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후, 상기 아아크형 결합부(38b)가 슬라이더(13)의 결합부(13h)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압박된 슬라이더는 A방향으로 미끄럼한다.
전술한 래치레버(38)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레버부(38a)의 단부(38c)는 개방방향으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가압하여, 상기 자기 헤드(16,17)가 자기 디스크와 미끄럼가능하게 접촉한다. 또한, 상기 방출버튼(40)이 B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슬라이더(13)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13)의 결합부(13h)의 측면과 접촉된 결합부(38b)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래치레버(38)는 코일 스프링(41)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카트리지 스톱퍼(45)는 방출작동이 후술하는 바와같이 수행될 때 상기 헤드 캐리지와 결합하여 상기 자기 헤드(16,17)가 자기 디스크(도시않음)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45)는 구동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헤드 캐리지(18)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록 단부용 스톱퍼(도시않음)와의 충돌로 인한 헤드 캐리지(18)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A 및 B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장착되어 몸체부(45a)가 상기 가이드 샤프트(24)의 우측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상기 프레임(14)상에 형성된 베어링부(도시않음)에 의해 전술한 리프터(25)와 유사하게 E 및 F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헤드 캐리지(18)와의 결합을 위한 래크(45b) 및 상기 리프터(25)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결합핀(25d)과 결합되는 V형 오목부(45c)를 가진다.
상기 래크(45b)와 대향하는 가동 래크(56)가 상기 헤드 캐리지(18)의 우측에 제공된다. 상기 래크(45b)는 디스크의 최내측 트랙과 최외측 트랙 사이의 거리를갖도록, 즉 상기 헤드 캐리지(18)의 행정과 일치하는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크(45b)은 가동 래크(56)와 결합하여 E방향으로 회전하는 캐리지 스톱퍼(45)에 의해 캐리지(18)를 로크한다.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프레임(14)에 제공된 샤프트(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A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부(46a) 및 A방향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측면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결합부(56b)를 가진다. 상기 아암부(46a)의 기저부에는 상기 캐리지 스톱퍼(45)의 몸체부(45a)의 상면 후미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핀(45d)에 결합된 경사진 결합 구멍(46c)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의 스프링 결합부(46b)는 비틀림 스프링(47)의단부(47a)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47)의 타단부(47b)는 프레임(14)의 후벽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 레버(46)는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 즉 캐리지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솔레노이드(48)는 제어회로(도시않음)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활성화되어 플런저(49)를 D방향으로 흡인한다. 또한, 플런저(49)의 단부는 스톱퍼 커플링 레버(46)의 아암부(46a)의 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48)가 활성화되고 상기 플런저(49)가 D방향으로 흡인되면,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반시계 방향, 즉 캐리지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플런저(49)의 우측단부는 상기 장치가 후술하는 바와같이 기록 및 재생모드에 있을 때 슬라이더(13)와 결합하는 로크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솔레노이드가 정전 등의 이유로 활성화되지 않으면, 플런저(49)가 C방향으로 복귀하므로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시계방향, 즉 캐리지 결합방향으로 회전한다.
유지부재(50)는 프레임(14)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24), 스톱퍼 커플링 레버(46), 솔레노이드(48) 및 비틀림 스프링(47)을 상방향으로부터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샤프트 가압부재(51)는 가이드 샤프트 가압부재(51)가 가이드 샤프트(21)의 축방향에 수직한 D방향으로 가이드 샤프트(21)의 단부를 가압하는 상태로 프레임(14)에 고정된다.
보이스 코일 모터(52;voice coil motor)는 헤드 캐리지(18)의 좌측면에 제공된다. 상기 보이스 모터(52)는 가이드 샤프트(21)의 중력중심 근처에 위치된 가이드 샤프트의 좌측면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단일 보이스 코일모터(52)에 의해 A 및 B 방향으로 이동되어 자기 헤드(16,17)가 탐색작동을 수행할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한 쌍의 보이스 코일 모터가 헤드 캐리지(18)의 대향측에 제공되는 구성에 비해 최소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캐리지(18)를 이동시키는 공간이 감소되고 자기 디스크 장치(11)도 최소화된다.
이후, 헤드 캐리지(18)의 주변부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기록재생 모드시의 헤드 캐리지(18)의 주변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헤드 아암(20)은 판 스프링(58)을 경유하여 상기 헤드 캐리지(18)의 지지 테이블(57)상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헤드 아암(20)은 비틀림 스프링(60)으로부터 하향으로 A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압부(60a)에 의해 압박된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60)은 지지테이블(57)의 후미에 제공된 샤프트(59)에 감긴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측면방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헤드 아암(20)의 돌출부(20a)는 비틀림 스프링(6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리프터(25)의 결합부(25c) 상면에 대해 가압된다. 상기 리프터(25)는 결합핀(25d)이 캐리지 스톱퍼(45)의 단부에 제공된 V형 오목부(45c)와 결합되므로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캐리지 스톱퍼(45)의 회전과 관련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솔레노이드(48)에 의해 흡인된 플런저(49)는 스톱퍼 커플링 레버(46)의 아암부(46a) 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의 스프링 결합부(46b)는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스톱퍼 커플링 레버(46)의 결합구멍(46c)과 결합하는 돌출 핀(45d)을 갖는 스톱퍼(45)는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캐리지 결합방향(E)으로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캐리지 스톱퍼(45)의 래크(45b)는 헤드 캐리지(18)의 가동 래크(56)와 결합되고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로크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4)의 후미부에는 방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검출하는 방출 검출스위치(5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방출 검출 스위치(54)는 방출버튼(40)이 B방향으로 가압될 때 B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단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폐쇄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전술한 구성을 갖는 자기 디스크장치(11)의 디스크 장착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 카트리지(도시않음)가 정면 베젤(27)의 디스크 삽입개구(26)를 통해 디스크 홀더(12)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래치레버(38)는 가압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래서, 상기 래치레버(38)의 결합부(38b)는 슬라이더(13)의 결합부(13h)로부터 분리되며,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압박되는 슬라이더(13)는 A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래치레버(38)가 A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슬라이더(13)는 해제되고 상기 레버부(38a)의 단부(38c)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도시않음)를 개방한다.
상기 디스크 홀더(12)는 프레임(14)의 좌우측에 대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3)가 A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디스크 홀더(12)는 디스크 홀더(12)의 결합 핀(12e)이 경사 홈(13d)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카트리지 삽입/방출 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장착위치로 하향이동한다.
도 6은 방출모드시의 헤드 캐리지(18)의 주변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출모드시 B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더의 단부는 방출 검출스위치(54)를 폐쇄하도록 상기 방출 검출스위치(54)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방출 검출스위치(54)는 방출 검출 신호를 제어회로(도시않음)로 출력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48)는 플런저(49)를 C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48)가 방출모드시에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Fa)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헤드 캐리지(18)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래크(45b)는 헤드 캐리지(18)의 가동 래크(56)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Fa)은 C방향으로 돌출 핀(45d)을 가압하는 가압력(Fb)으로서 기능을 하며, 상기 돌출 핀(45d)은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의 결합구멍(46c)과 결합된다.
상기 헤드 캐리지(18)가 보이스 코일 모터(52)에 의해 A 및 B 방향으로 구동되므로, 구동력이 정전 등의 몇몇 이유로 보이스 모터에 의해 제공되지 않으면 헤드 캐리지(18)를 구속하지 못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방출모드시 상기 캐리지 스톱퍼(45)의 래크(45b)가 헤드 캐리지(18)를 로크하도록 헤드 캐리지(18)의 가동 래크(56)와 결합되므로 상기 헤드 캐리지는 자유로운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다른 작동시에 정전이 발생하면,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52)의 구동력은 전술한 상태와 유사하게 제공되지 않으며 솔레노이드(48)도 작동되지 않는다. 그것에 의해, 상기 헤드 캐리지는 로크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억제된다.
도 7은 기록재생 모드시의 헤드 캐리지(18)의 주변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장치가 기록재생모드 및 준비상태 또는 휴면상태와 같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상기 헤드 캐리지는 탐색작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런 경우에, 솔레노이드(48)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것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전술한 방출모드와 유사하게,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Fa)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헤드 캐리지(18)를 향해 회전된다. 따라서, 캐리지 스톱퍼(45)의 래크(45b)는 캐리지(18)의 가동래크(56)와 결합된다.
상기 작동에 의해, 장치가 기록재생 모드시의 대기상태에 있을 때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헤드 캐리지(18)가 A 및 B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로크된다.
상기 장치가 기록재생모드시의 대기상태에 있을 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8)가 비작동상태에 있을 때라도, 전술한 방출모드와 유사하게 상기 플런저(49)는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Fa)에 의해 C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49)의 우측 단부(49b)는 슬라이더(13)의 결합부(72)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방출모드시의 슬라이더는 로크해제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캐리지 스톱퍼(45), 스톱퍼 커플링 레버(46), 비틀림 스프링(47) 및 솔레노이드(48)의 작동과 관련된 헤드 아암(2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기록재생모드시의 탐색작동이 수행될 때 헤드 캐리지의 주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디스크 홀더(12)내측으로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기록재생 모드시의 기록재생 위치로 이동하면, 디스크 센서(도시않음)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그후, 디스크 모터(도시않음)의 회전속도가 특정 회전속도에 도달한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48)가 작동한다.
따라서, 기록재생 모드시 솔레노이드(48)가 작동되어 플런저(49)를 D방향으로 흡인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플런저(49)에 연결된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캐리지 스톱퍼(45)의 래크(45b)는 헤드 캐리지(18)의 가동 래크(45b)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캐리지 스톱퍼(45)에 의한 헤드 캐리지(18)의 로크는 해제된다.
따라서, 헤드 캐리지(18)는 보이스 코일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의 탐색작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자기 헤드(16,17)는 소정 트랙에 대향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런저(49)는 솔레노이드(48)의 작동에 의해 D방향으로흡인된다. 상기 플런저(49)가 스톱퍼 커플링 레버(46)의 아암부(46a)의 단부와 결합되므로, 상기 흡인력(Fd)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증가되고 돌출핀(45d)과 비틀림 스프링(47)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Fd,Ff)으로 전환된다. 상기 돌출 핀(45d)은 아암부(46a)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제공된 결합구멍과 결합된다. 또한, 솔레노이드(48)의 흡인력(Fd)은 캐리지 스톱퍼(45)의 V형 오목부(45c)로부터 리프터(25)의 결합 핀(25d)으로 D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압력(Fg)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48)의 흡인력(Fd)이 작더라도 증가된 흡인력(Fd)이 캐리지 스톱퍼(45) 및 리프터(25)로 전달됨으로써, 솔레노이드(48)가 작더라도 충분히 큰 구동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솔레노이드(48)의 동력소모가 작고 솔레노이드(48)용 공간이 작아져 장치의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기록재생 모드시 상기 플런저(49)가 전술한 대로 솔레노이드(48)에 의해 D방향으로 흡인되므로, 상기 플런저(49)의 우측단부(49b)는 상기 우측단부(49b)가 슬라이더(13)의 결합부(72)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록재생 모드시 B방향으로의 슬라이더(13)의 결합부(72) 단부는 B방향으로 플런저(49)의 우측단부(49b)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더(13)는 B방향으로의 슬라이더(13)의 이동이 억제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플런저(49)의 우측단부(49b)의 후미측에는 프레임(14)으로부터 돌출한 장방형 스톱퍼(73)가 제공된다. 상기 스톱퍼(73)는 B방향으로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우측단부(49b)를 규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플런저(49)의 우측단부(49b)가 슬라이더(13)의 결합부(7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B방향으로 변형되면,상기 우측단부(49b)는 스톱퍼(73)와 접촉하여 더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방출 버튼(40)이 기록재생 모드시에 가압되면, 상기 슬라이더(13)의 결합부(72)는 플런저(49)의 우측 단부와 접촉하여 방출(B)방향으로 더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는 자기 헤드(16,17)에 의해 자기 디스크상에 정보가 기록되거나 자기 디스크상에 기록된 정보가 자기 헤드(16,17)에 의해 판독될 때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상에 기록된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헤드 캐리지(18) 또는 슬라이더(13)는 자기 디스크 장치(11)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솔레노이드(48)를 온.오프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로크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 장치(11)에 있어서 솔레노이드(48)만이 헤드 이동기구로서의 헤드 캐리지(18)또는 기록매체 이송기구로서의 슬라이더(13)를 선택적으로 로크할 수 있다. 또한, 로크상태는 응답성이 양호하게 전환될 수 있으며, 로크 작동상태에서의 지연도 방지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헤드 캐리지(18)에 대한 캐리지 스톱퍼(45)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도 9a는 스톱퍼 커플링 레버(46)가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C방향으로 가압되는 방출모드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E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래크(45b)는 헤드 캐리지(18)의 가동 래크(56)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캐리지(18)는 캐리지 스톱퍼(45)에 의해 로크된다.
도 9b는 대기모드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다. 대기모드에서, 방출모드와 유사하게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C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E방향으로 회전되며, 래크(45b)는 헤드 캐리지(18)를 로크하도록 헤드 캐리지(18)의 가동래크(56)와 결합된다.
도 9c는 기록재생모드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다. 기록재생 모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48)는 전술한 대로 작동되며,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D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솔레노이드(48)의 구동력에 의해 F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래크(45b)는 해드 캐리지를 로크해제하는 헤드 캐리지(18)의 가동래크(56)로부터 분리된다. 그것에 의해, 헤드 캐리지(18)는 AB방향으로의 탐색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헤드 아암(20)에 대한 캐리지 스톱퍼(45)와 리프터(25)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도 10a는 캐리지 스톱퍼(45)가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E방향으로 회전되고 래크(45b)가 헤드 캐리지(18)의 가동래크(56)와 결합되는 방출모드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크 홀더(12)가 디스크 삽입/방출위치로 상승되므로, 리프터(25)도 상승된다.
또한, 리프터(2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볼트(74)는 유지부재(61)내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조절 볼트(74)의 바닥단부는 리프터(25)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접촉부(75)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볼트(74)는 유지부재(61)내측으로조절볼트(74)가 나사결합되는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리프터(25)의 리프트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홀더(12)가 디스크 삽입/방출위치로 리프트되는 과정에서, 상기 리프터(25)상에 일체로 제공된 접촉부(75)는 조절볼트(74)의 하단부와 접촉한다. 상기 리프터(25)는 선회 중심으로서의 샤프트(25b)에 대해 E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디스크 홀더(12)의 상면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25)는 디스크 홀더(12)의 하향이동과 관련하여 조절볼트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75)에 의해 F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접촉부(75)는 리프터(25)의 우측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리프터(25)의 좌측상에 제공된 결합부(25c)는 헤드 아암(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0a)와 결합된다. 따라서, 리프터(25)는 헤드 아암(20)의 돌출부(20a)를 들어올리도록 디스크 홀더(12)의 상향이동과 관련하여 F방향으로 회전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헤드아암(20)은 상부 자기헤드(17)가 하부 자기헤드(16)로부터 분리된 상부위치에서 만난다.
또한, 리프터(25)의 결합핀(25d)은 캐리지 스톱퍼(45)의 V형 오목부(45c)로부터 분리된다.
도 10b는 기록모드시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기록모드시, 상기 헤드아암(20)은 상기 디스크 삽입/방출 위치와 디스크 장착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즉, 디스크 홀더(12)의 하강운동과 동시에, 리프터(25)의 단부로부터 B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핀(25d)이 캐리지 스톱퍼(45)의 V형오목부(45c)로 진입한다. 따라서, 리프터(25)의 결합 핀(25d)은 캐리지 스톱퍼(45)의 V형 오목부(45c)에 수납되고 상기 V형 오목부(45c)의 경사부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리프터(25)는 디스크 삽입/방출위치와 디스크 장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리프터(25)와 결합된 상기 헤드 아암의 회전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대기모드에 있어서, 헤드아암(20)이 디스크 장착위치 전의 중간위치에서 정지되므로, 상기 헤드 아암(20)의 단부상에 지지된 자기헤드(17)는 헤드 캐리지 몸체(19)의 단부상에 지지된 자기 헤드(16)와 소정의 간격(S)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자기헤드(17)는 자기 디스크(도시않음) 위에 위치된다.
하부 자기헤드(16)는 디스크 홀더(12)가 디스크 장전위치로 하향이동할 때까지 자기 디스크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디스크 홀더(12)의 하향이동과 동시에 상기 헤드 아암이 하향이동하면, 상부 자기 헤드(17)에 의해 가압된 자기 디스크는 하부 자기헤드(16)와 순간적으로 접촉한다.
도 10c는 기록재생모드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다. 기록재생 모드시, 상기 솔레노이드(48)는 전술한대로 작동하고 상기 스톱퍼 커플링 레버(46)는 D방향으로 구동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솔레노이드(48)의 구동력에 의해 F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래크(45b)는 헤드 캐리지(18)의 가동래크(56)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상기 헤드캐리지(18)는 로크가 해제된다.
캐리지 스톱퍼(45)가 F방향으로 회전하면, 캐리지 스톱퍼(45)의 V형 오목부는 E방향으로 결합핀(25d)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25)는 F방향으로의 캐리지 스톱퍼(45)의 회전과 함께 E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리프터(25)의 결합부(25c)는 하향이동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헤드아암(20)도 하향이동한다. 따라서, 헤드아암(20)에 의해 지지된 자기헤드(17)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자기 디스크에 근접한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한 후 자기 디스크가 자기 헤드(16,17) 사이에 끼워지도록 자기 디스크와 접촉한다.
전술한 대로, 자기 헤드(17)가 자기 디스크상에서 미끄럼하는 기록재생위치로 상기 자기 헤드가 단계적으로 이동하므로, 고속에서 회전하는 자기 디스크에 부여되는 충격이 감소되며 상기 자기 디스크상에 형성된 자기막의 손상도 방지된다.
방출작동은 전술한 장착작동의 역작동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의 S1단계(이후, "단계"라는 용어는 생략함)에서는 방출검출 스위치(54)를 작동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더(13)는 A방향으로 이동하고 단부(71)는 방출검출 스위치(54)의 가동접점(54a)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방출검출 스위치(54)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장착작동과 함께 오프상태로 변경된다.
방출검출 스위치(54)가 오프상태에 있는 것을 S1에서 결정하면, 상기 루틴은 S2로 진행한다. S2에서, 턴테이블(15)에서 회전하는 디스크 모터(도시않음)가 자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그후, S3에서는 자기 디스크(11)를 기록재생 모드로 설정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S3에서, 자기 디스크 장치(11)가 기록재생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루틴은 S4로 진행하여, 플런저(49)가 D방향으로 흡인되도록 솔레노이드(48)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캐리지 스톱퍼(45)는 헤드 캐리지(18)를 로크해제하는 솔레노이드(48)의 흡인력에 의해 해드 캐리지(18)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기록재생 작동은 자기 헤드(16,17)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플런저(49)의 우측단부(49b)는 상기 우측단부가 B방향으로 슬라이더(13)의 결합부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록재생 모드시 슬라이더(13)의 결합부(72)는 플런저(49)의 우측단부(49b)와 접촉하며, 슬라이더(13)는 B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로크상태로 된다.
따라서, 기록재생 모드시의 방출작동이 금지되며, 기록될 정보가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고 판독될 정보가 판독작동 도중에 판독불능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S3 및 S4단계는 기록재생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또한, 기록재생모드가 종료되고 대기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루틴은 대기모드로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S3로부터 S5로 진행된다. S5에서, 대기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루틴은 솔레노이드(48)를 꺼버리도록(비작동상태가 되도록) S6단계로 진행된다. 그것에 의해, 솔레노이드(48)에 의해 흡인된 플런저(49)는 슬라이더(13)를 로크해제하도록 비틀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C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캐리지 스톱퍼(45)는 헤드 캐리지(18)쪽으로 이동되며 상기래크(45b)는 헤드 캐리지(18)를 로크하도록 가동 래크(56)와 결합된다.
S5단계에서 대기모드로 설정되지 않았다면, 루틴은 작동상태를 재확인하도록 S3로 복귀한다.
그후, S7단계에서는 방출검출 스위치(54)를 켤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방출버튼(40)이 방출위치(B방향)로 가압되면, 상기 단부(71)는 방출검출 스위치(54)의 가동접점(54a)과 접촉하며 방출검출 스위치는 온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S7단계에서 방출검출 스위치가 작동상태에 있다면, 상기 루틴은 턴테이블(15)을 회전시키는 디스크 모터(도시않음)를 즉시 정지시키도록 S8단계로 진입한다. 그래서, S9 단계에서 방출모드로 설정된다.
한편, S7 단계에서 방출검출 스위치(54)가 꺼져 있다면, 상기 루틴은 작동상태를 재확인하도록 S3단계로 복귀한다.
S8 단계에서의 디스크 모터 정지처리는 S6 과 S7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디스크 장착작동과 관련하여 자기 헤드(17)의 높이변화를 나타내는 실험결과치이다. 도 12에서, 곡선 Ⅰ은 댐퍼를 갖지 않는 종래 장치의 특성을 나타낸다. 곡선 Ⅱ는 댐퍼기구를 갖는 종래장치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곡선 Ⅲ은 헤드 아암(20)이 단계적으로 하향이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성을 나타낸다.
곡선 Ⅰ,Ⅱ 및 Ⅲ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곡선 Ⅰ의 경우에, 댐퍼가 제공되어 있지 않으므로, 디스크 홀더와 헤드 아암은 슬라이더의 이동과 함께 하향으로 급속히 이동한다. 따라서, 댐퍼가 없는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헤드 아암 상에 지지된 상부 자기헤드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장착작동에 의해 강력하게 하향 이동하여 자기 디스크를 하부 자기헤드로 가압한다.
그 결과, 상부 자기헤드는 상부 자기헤드가 하부 자기헤드 위의 자기 디스크와 충돌하는 경우에 반발력에 의해 튕겨져 상부 자기헤드와 하부 자기헤드의 충돌을 반복한다. 이는 자기 디스크 상에 형성된 자기막을 손상시킨다.
댐퍼를 갖는 자기 디스크장치의 곡선 Ⅱ의 경우에, 자기헤드의 작동속도가 감소되더라도 댐퍼에 의한 속도의 감소는 디스크 홀더와 헤드 아암이 디스크 방출/삽입위치로부터 디스크 장착위치로의 모든 방향으로 하향이동하므로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장착작동이 늦춰지더라도, 자기 헤드는 자기 헤드가 가속되면서 자기 디스크와 접촉한다. 따라서, 댐퍼를 갖는 자기 디스크장치의 자기 헤드의 하향속도가 댐퍼를 갖지 않는 자기 디스크 장치의 속도보다 작더라도,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의 충돌은 헤드 아암의 속도감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반복된다. 그것에 의해, 자기 디스크상에 형성된 자기막의 손상가능성이 높다.
한편, 슬라이더(13)의 이동속도가 기계식 댐퍼기구(31)에 의해 감소되고 헤드 아암(20)이 본 발명에서처럼 단계적으로 이동되면, 자기 헤드(17)의 이동속도는 도 12의 곡선 Ⅲ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계적으로 변화하고 전술한 종래장치의 속도보다 더 낮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디스크장치(11)의 경우에,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리프터(25)와 헤드 아암(20)의 이동이 대기 모드시 디스크 삽입/방출위치와 디스크 장착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즉, 대기모드시 헤드 아암(20)의 단부에 지지된 자기 헤드(17)는 자기 디스크에 근접한 중간위치에서 정지되나, 하측 자기헤드(16)는 디스크 홀더가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자기 디스크와 접촉한다. 그러나, 자기 디스크가 단지 자체 중량에 의해서만 자기 헤드(16)와 접촉하므로, 자기 디스크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턴테이블(15)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모터의 회전속도가 대기모드시의 특정속도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48)는 헤드 캐리지(18)를 로크해제하도록 작동하는 동시에, 리프터(25)와 헤드 아암(20)의 하향이동이 재개된다.
상기 헤드 아암(20)이 리프터(25)의 하향이동과 함께 하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자기 헤드(17)는 자기헤드(16)에 의해 가압된 자기 디스크와 순간적으로 접촉한다. 그러나, 자기 헤드(17)가 대기모드에서 정지되는 중간위치로부터 자기 헤드(17)가 자기 디스크와 접촉하는 위치로의 이동중에 자기 헤드(17)에서 발생되는 가속이 작으므로, 자기 헤드(17)에 의해 자기 디스크에 가해지는 충격은 감소된다.
따라서, 자기 헤드(17)가 자기 디스크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낮은 속도로 자기 헤드와 접촉하므로, 자기 헤드(17)가 자기 디스크와 접촉할 때 자기 헤드(17)의 튕겨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의 자기막 손상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곡선Ⅲ으로부터 알수 있듯이, 대기모드시의 헤드 아암(20)의 하향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며, 그에 따라 자기 헤드가 자기 디스크와 접촉할 때 자기 헤드(17)의 속도가 충분히 감소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48)가 대기모드시 턴테이블(15)을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크 모터의 속도를 전기적으로 검출한 후에 자기 헤드(17)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므로 상기 자기 헤드는 자기 헤드(17)가 자기 디스크와 접촉할 때 자기 디스크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기류로 인한 부력을 받는다. 그에 의해, 자기 헤드(17)와 자기 디스크 사이의 충격이 감소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로서 자기 디스크가 주어졌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 디스크 장치, 광자기 디스크장치 또는 메모리 카드로서 카드형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와 같은 다른 기록재생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홀더위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어 슬라이더가 디스크 홀더 하부에서 이동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는 변형 및 변경예가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자기 디스크의 회전속도가 낮은 경우에 자기 헤드를 자기 디스크에 근접시킬 때 발생하는, 상기 자기 헤드와 자기 디스크의 접촉에 의한 자기 디스크상의 자기막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정보가 기록매체상에 기록될 때 기록매체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기록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기구로서, 상기 삽입/방출 위치에서는 삽입 또는 방출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는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위해 장착되는 기록매체 이송기구와,
    상기 기록매체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헤드, 및
    상기 헤드가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수행하는 기록 및 재생위치로 상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과 관련하여 이동되며,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는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디스크 홀더 및 상기 삽입/방출위치와 장착위치 사이로 상기 디스크 홀더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상기 기록매체가 장착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슬라이더를 로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는,
    상기 헤드가 기록 및 재생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헤드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헤드 이동기구를 로크하고,상기 디스크 홀더가 장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를 로크하는 로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는 플런저의 미끄럼위치에 따라 헤드 이동기구와 기록매체 이송기구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로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4.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기록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기구로서, 상기 삽입/방출 위치에서는 삽입 또는 방출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는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위해 장착되는 기록매체 이송기구와,
    상기 기록매체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헤드와,
    상기 헤드가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수행하는 기록 및 재생위치로 상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기구, 및
    상기 헤드가 기록매체 상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가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상기 헤드를 로크하는 로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기록매체 이송기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과 관련하여 이동되며,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상기 삽입/방출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헤드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디스크이며 상기 헤드는 기록 또는 재생작동을 자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기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이며,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상기 기록매체가 예정속도로 회전할 때 기록 및 재생위치로 헤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의 작동모드는 기록매체를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모드와 상기 헤드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대기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이동기구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가 상기 방출 및 대기모드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헤드를 로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KR1019980048153A 1997-11-13 1998-11-11 기록매체기록재생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23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312365 1997-11-13
JP31236497A JP3427703B2 (ja) 1997-11-13 1997-11-13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31236597A JPH11144412A (ja) 1997-11-13 1997-11-13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1997-312364 1997-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190A KR19990045190A (ko) 1999-06-25
KR100323122B1 true KR100323122B1 (ko) 2002-03-08

Family

ID=2656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1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3122B1 (ko) 1997-11-13 1998-11-11 기록매체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13968B1 (ko)
KR (1) KR100323122B1 (ko)
TW (1) TW4083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7844B1 (en) * 1999-09-16 2004-06-08 Citizen Watch Company, Ltd. Disk dri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704A (ja) * 1993-09-09 1994-06-10 Canon Electron Inc 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965A (ja) 1984-06-28 1986-01-20 Teac Co 記録媒体デイスク駆動装置
JPS6168769A (ja) * 1984-09-12 1986-04-09 Hitachi Ltd 磁気デイスク記憶装置のヘツドロ−ドロツク機構
JPH0731861B2 (ja) * 1987-05-26 1995-04-10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H01204270A (ja) * 1988-02-08 1989-08-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5237473A (en) * 1989-11-22 1993-08-17 Teac Corporation Magnetic disk drive comprising a disk cartridge and a driving device which magnetic disk drive has an eject mechanism for softly ejecting the disk cartridge from the driving device
US5446606A (en) * 1992-10-08 1995-08-29 Seagate Technology, Inc. Disc drive with separate landing and takeoff zones
JPH10507566A (ja) * 1994-10-18 1998-07-21 アイオメガ 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検出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704A (ja) * 1993-09-09 1994-06-10 Canon Electron Inc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190A (ko) 1999-06-25
TW408316B (en) 2000-10-11
US6313968B1 (en) 2001-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43049A (ja) ディスク装置
KR100323122B1 (ko) 기록매체기록재생장치
KR100309202B1 (ko)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77610B1 (ko) 기록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JP3427703B2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3214418B2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3546684B2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KR100286790B1 (ko) 기록 매체 구동 장치
JP3885635B2 (ja) ディスク装置
JP3427709B2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3351321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3387628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11144412A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2559717Y2 (ja) ディスク装置
JP2000021067A (ja) ディスク装置
JPH11176056A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US5940248A (en) Mechanism in disk drive apparatus for preventing insertion of a disk cartridge when the shutter disk cartridge is closed
KR19990045191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JP200114335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開閉扉機構
JPH11353759A (ja) 記録媒体駆動装置
KR19990072829A (ko) 디스크장치
JPH0619154U (ja) ディスク装置
JPH0630957U (ja) ディスク装置
JP200200832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836821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イジェク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