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2500B1 - 2단형 스위치조립체 - Google Patents

2단형 스위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500B1
KR100322500B1 KR1020000000167A KR20000000167A KR100322500B1 KR 100322500 B1 KR100322500 B1 KR 100322500B1 KR 1020000000167 A KR1020000000167 A KR 1020000000167A KR 20000000167 A KR20000000167 A KR 20000000167A KR 100322500 B1 KR100322500 B1 KR 10032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lider
sliders
hous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313A (ko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0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5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형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접속단자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를 도통시키는 누름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된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각 마이크로스위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누름위치와 가압해제하는 해제위치간을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각 슬라이더를 상기 누름위치에 유지시키는 로킹수단과; 상기 양 슬라이더가 상호 교호적으로 누름위치 및 해제위치에 있도록 어느 하나의 슬라이더가 누름위치로 이동될 때 나머지 슬라이더를 해제시키는 연동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는 2단형 스위치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2단형 스위치조립체{2STEP TYPE SWITCH ASSAY}
본 발명은 2단형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2단형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2단형 스위치조립체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하우징(51)내에 단일의 마이크로스위치(60)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60)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는 제1 및 제2가압노브(65,68)를 가진다. 마이크로스위치(60)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속단자(61)가 하우징(51)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51)에 관통장착되며, 하우징(51)내에 수용된 마이크로스위치(60)의 일측에는 각 접속단자(61)를 도통시키기 위한 누름버튼(6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가압노브(65,68)는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가 하우징(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1가압노브(65)의 일 영역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누름버튼(62)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가압부(66)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압노브(65,68)는 각 가압노브(65,68)의 배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작동편(7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편(70)의 양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장공(67)이 형성되어 각 가압노브(65,68)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작동편(70)의 길이방향의 중앙영역에는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며 일측이 개구된 고리상의 고정링(71)이 형성되어 마이크로스위치(60)가 관통배치된 하우징(51)의 일측면에 작동편(70)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하며, 고정링(71)의 대항방향에는 작동편(7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봉(73)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봉(73)의 말단부는 하우징(51)에 형성된 작동편(7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슬롯(81)에 수용되어 있으며, 작동편(70)의 회동에 따라 안내슬롯(81)내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봉(73)에는 안내슬롯(81)과 작동편(70) 사이에 스프링(72)이 삽입되어 있으며, 스프링(72)과 안내슬롯(81) 사이에는 호형상의 습동판(75)이 삽입되어 있다. 한편, 안내슬롯(81)이 중앙영역에는 하우징(51)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노브(65)의 가압부(66)가 마이크로스위치(60)의 누름버튼(62)을 가압하고 있는 경우, 즉 마이크로스위치(60)가 온된 상태에서 제2가압노브(68)를 가압하면, 작동편(70)이 고정링(7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가이드봉(73)이 안내슬롯(81)을 따라 이동하여 돌출부(80)를 탄성적으로 통과하면서 제1가압노브(65)의 가압부(66)가 마이크로스위치(60)의 누름버튼(62)으로부터 이격되어 마이크로스위치(60)가 오프된다.
마이크로스위치(60)를 오프시킬 때와는 반대로, 마이크로스위치(60)를 온시킬 경우에는, 마이크로스위치(6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가압노브(65)를 가압하면, 작동편(70)이 회동하여 가이드봉(73)이 돌출부(80)를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제1가압노브(65)측으로 이동하며, 이 때, 제1가압노브(65)의 가압부(66)가 마이크로스위치(60)의 누름버튼(62)을 가압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2단형 스위치조립체는, 마이크로스위치(60)를 온시키기 위해서는 제1가압노브(65)를 가압해야 하고, 오프시키기 위해서는 제2가압노브(68)를 가압해야 하므로, 마이크로스위치(6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가압노브(65,68)를 구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일의 가압노브로 마이크로스위치(60)를 온오프시키는 것보다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한 쌍의 가압노브(65,68)를 설치함에 따라 스위치조립체의 크기가 커지므로, 전체적으로 2단형 스위치조립체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2단형 스위치조립체를 개선하여 각 가압노브(65,68)에 의해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60)를 설치함으로써,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60)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스위치조립체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수 있도록 한 2단형 스위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시 하우징본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제1슬라이더가 누름위치에 위치할 때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제2슬라이더가 누름위치로 전환될 때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스위치조립체의 마이크로스위치 온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마이크로스위치 오프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하우징본체
3 : 하우징커버 6 : 스위치장착공
8 : 지지리브 15 : 마이크로스위치
20a : 제1슬라이더 20b : 제2슬라이더
21 : 가압편 22 : 조작부
23 : 지지부 24 : 로킹돌기
25 : 로킹바아 26 : 걸림턱
27 : 경사면 28 : 스프링고정암
30 : 연동해제부재 31 : 가압면
32 : 안내경사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접속단자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를 도통시키는 누름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된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각 마이크로스위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누름위치와 가압해제하는 해제위치간을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각 슬라이더를 상기 누름위치에 유지시키는 로킹수단과; 상기 양 슬라이더가 상호 교호적으로 누름위치 및 해제위치에 있도록 어느 하나의 슬라이더가 누름위치로 이동될 때 나머지 슬라이더를 해제시키는 연동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형 스위치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슬라이더는, 상호 평행하게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와, 상기 각 슬라이더의 판면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가압편과, 상기 각 슬라이더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 슬라이더를 탄성부세하는 슬라이더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각 슬라이더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로킹돌기와; 상기 로킹돌기의 승강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절취형성되어 상기 로킹돌기가 걸리는 한 쌍의 걸림턱과, 상기 로킹돌기의 승강경로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돌기를 상기 각 걸림턱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로킹바아와; 상기 걸림턱의 배치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킹바아를 탄성부세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바아의 각 걸림턱과 각 경사면은 동일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슬라이더의 로킹돌기를 로킹바아에 걸림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동해제부재는, 상기 각 걸림턱 사이에 상기 로킹바아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인접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타측의 슬라이더의 로킹돌기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면과,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킹돌기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을 가짐으로써, 각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걸림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스위치조립체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하우징(1)과, 하우징(1)내에 설치된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15)와, 각 마이크로스위치(15)를 연동하여 온오프시키는 로킹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일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하우징본체(2)와, 하우징본체(2)의 개구를 차단하는 하우징커버(3)를 포함하며, 하우징본체(2)의 대각선으로 배치된 한 쌍의 모서리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보스(5)가 형성되어 있고, 각 고정보스(5)와 이웃하는 각 모서리에는 원통상의 보스에 의해 삽입홈(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커버(3)에는 고정보스(5)에 대향하는 각 모서리에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체결공(5a)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4)에 대향되는 각 모서리에는 삽입홈(4)에 수용되는 폴(4a)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5)는, 사각통상의 스위치본체(16)와, 하우징(1)에 장착시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접속단자(17)와, 접속단자(17)가 형성된 면에 이웃하는 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여부에 따라 각 접속단자(17)를 상호 도통시키는 누름버튼(18)을 가진다. 이러한 마이크로스위치(15)의 장착을 위해, 하우징본체(2)의 개구에 대향되는 면에는 각 마이크로스위치(15)가 장착되는 한 쌍의 스위치장착홈(6)이 양측부에 대향형성되어 있으며, 스위치장착홈(6)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본체(2)의 내측으로는 마이크로스위치(15)를 지지하는 수용리브(7)가 돌출형성되어 마이크로스위치(15)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각 마이크로스위치(15)는 각 누름버튼(18)이 상호 하우징(1)의 내측을 향하도록 스위치장착홈(6)에 장착되어 있으며, 수용리브(7)의 상호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누름버튼(18)이 통과되도록 절취되어 있다.
이러한 각 마이크로스위치(15)를 연동하여 온오프시키기 위한 로킹장치는, 마이크로스위치(15)의 장착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누름버튼(18)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제1 및 제2슬라이더(20a,20b)와, 각 슬라이더(20a,20b)가 누름버튼(18)을 가압하는 누름위치와 해제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로킹바아(25)와, 각 슬라이더(20a,20b)가 로킹바아(25)로부터 이탈되도록 가압하는 연동해제부재(30)를 포함한다.
각 슬라이더(20a,20b)는, 중앙영역에 'ㄷ'자 형상으로 절취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판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15)의 누름버튼(18)을 가압하는 가압편(21)을 가지며, 슬라이더(20a,20b)의 일측면에는 판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단차를 두고 폭이좁아지는 조작부(22)를 가진다. 조작부(22)는 하우징커버(3)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가압을 받으며, 하우징커버(3)에는 각 슬라이더(20a,20b)의 조작부(22)가 관통하도록 한 쌍의 관통슬릿(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22)와 대향되는 슬라이더(20a,20b)의 타측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판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더(20a,20b)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하여 슬라이더(20a,20b)를 누름위치 및 해제위치에 유지시키는 로킹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슬라이더(20a,20b)의 로킹돌기(24)는 상호 대항방향으로 형성되어 각 슬라이더(20a,20b)의 장착시에는 각 로킹돌기(24)가 모두 로킹바아(25)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지지부(23)는 하우징본체(2)에 판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하우징본체(2)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우징본체(2)에는 판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23)가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슬릿(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용슬릿(9) 사이에는 슬라이더스프링(19)이 장착되는 스프링장착홈(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스프링(19)은 각 지지부(23) 사이의 슬라이더(20a,20b)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더(20a,20b)의 슬라이딩시 슬라이더(20a,20b)를 탄성부세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본체(2)의 내측면에는 각 슬라이더(20a,20b)의 지지부(23)와 조작부(22)에 이웃하는 측연부가 수용되는 슬라이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리브(11)가 형성되어 슬라이더(20a,20b)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20a,20b)를 누름위치 및 해제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로킹바아(25)는, 각 마이크로스위치(15)의 측부영역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하우징본체(2)에는 로킹바아(2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며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상의 지지리브(8)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바아(25)의 길이방향의 일측단부에는 로킹바아(25)를 탄성부세하는 스프링(31)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암(28)이 로킹바아(2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고정암(28)에는 지지리브(8)와의 사이에 스프링(31)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로킹바아(25)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ㄴ'자 형상으로 절취되어 제1 및 제2슬라이더(20a,20b)의 로킹돌기(24)가 걸림유지되는 한 쌍의 걸림턱(26)이 형성되어 있고, 각 걸림턱(26)은 스프링고정암(28)을 향해 동일방향으로 절취형성되어 있으며, 각 걸림턱(26)의 입구측에는 로킹돌기(24)의 안내를 위한 경사면(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킹바아(25)의 하우징본체(2)를 향한 하측 연부에는 각 걸림턱(26)이 형성된 영역에서 판면으로부터 절곡된 안착판(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판(29)에는 연동해제부재(30)가 안착된다.
연동해제부재(30)는, 로킹바아(25)의 각 걸림턱(26) 사이에 로킹바아(25)의 판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연동해제부재(3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로킹돌기(24)를 걸림턱(2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면(31)을 형성하고 있고, 가압면(31)의 상부에는 걸림턱(26)으로부터 이탈된 로킹돌기(24)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양 단부의 안내경사면(32)은 상호 대항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동해제부재(30)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양측 연부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안내돌기(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안내돌기(33)는 각각 하우징본체(2)에 형성된 안내그루브(12)와, 하우징커버(3)에 형성된 안내슬롯(14)에 수용되어 연동해제부재(3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더(20b)가 누름위치에 위치하고 제1슬라이더(20a)가 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즉, 제2슬라이더(20b)는 걸림턱(26)에 걸림유지되어 마이크로스위치(15)가 온되도록 누름버튼(18)을 가압하고, 제1슬라이더(20a)는 걸림턱(26)으로부터 이탈되어 마이크로스위치(15)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슬라이더(20a)의 조작부(22)를 가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더(20a)의 로킹돌기(24)가 경사면(27)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스프링에 의해 로킹돌기(24)가 탄성적으로 걸림턱(26)에 걸려서 유지된다. 이 때, 제1슬라이더(20a)의 로킹돌기(24)가 경사면(27)의 단부로부터 걸림턱(26)에 수용되면서 제1슬라이더(20a)의 로킹돌기(24)가 연동해제부재(30)의 가압면(31)을 가압하게 되며, 연동해제부재(30)의 제2슬라이더(20b)를 향한 가압면(31)은 제2슬라이더(20b)의 로킹돌기(24)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슬라이더(20a)의 로킹돌기(24)가 걸림턱(26)에 수용되어 마이크로스위치(15)의 누름버튼(18)을 가압하는 누름위치에 위치되는 동시에, 제2슬라이더(20b)의 로킹돌기(24)는 걸림턱(26)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제1슬라이더(20a)가 누름위치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슬라이더(20b)의 조작부(22)를 가압하면, 제2슬라이더(20b)의 로킹돌기(24)는 경사면(27)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경사면(27)의 말단부에 이르면 로킹바아(25)는 스프링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며, 이 때, 제1슬라이더(20a)의 로킹돌기(24)는 걸림턱(26)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리고, 제2슬라이더(20b)의 로킹돌기(24)가 걸림턱(26)에 걸리는 동시에 제1슬라이더(20a)의 로킹돌기(24)는 상승하여 경사면(27)에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슬라이더(20a,20b)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승강시, 로킹바아(25)와 연동해제부재(30)가 제1 및 제2슬라이더(20a,20b)를 누름위치 또는 해제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각 마이크로스위치(15)가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일의 마이크로스위치(15)의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단일의 작동부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15)를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각 마이크로스위치(15)로부터의 전원공급에 의해 각각 작동하는 한 쌍의 작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는 2단형 스위치조립체가 제공된다.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접속단자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를 도통시키는 누름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된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각 마이크로스위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누름위치와 가압해제하는 해제위치간을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각 슬라이더를 상기 누름위치에 유지시키는 로킹수단과;
    상기 양 슬라이더가 상호 교호적으로 누름위치 및 해제위치에 있도록 어느 하나의 슬라이더가 누름위치로 이동될 때 나머지 슬라이더를 해제시키는 연동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형 스위치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더는, 상호 평행하게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와, 상기 각 슬라이더의 판면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가압편과, 상기 각 슬라이더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 슬라이더를 탄성부세하는 슬라이더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형 스위치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각 슬라이더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로킹돌기와;
    상기 로킹돌기의 승강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절취형성되어 상기 로킹돌기가 걸리는 한 쌍의 걸림턱과, 상기 로킹돌기의 승강경로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돌기를 상기 각 걸림턱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로킹바아와;
    상기 걸림턱의 배치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킹바아를 탄성부세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형 스위치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바아의 각 걸림턱과 각 경사면은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형 스위치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해제부재는, 상기 각 걸림턱 사이에 상기 로킹바아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인접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타측의 슬라이더의 로킹돌기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면과,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킹돌기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형 스위치조립체.
KR1020000000167A 2000-01-04 2000-01-04 2단형 스위치조립체 KR10032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167A KR100322500B1 (ko) 2000-01-04 2000-01-04 2단형 스위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167A KR100322500B1 (ko) 2000-01-04 2000-01-04 2단형 스위치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313A KR20010068313A (ko) 2001-07-23
KR100322500B1 true KR100322500B1 (ko) 2002-02-07

Family

ID=1963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167A KR100322500B1 (ko) 2000-01-04 2000-01-04 2단형 스위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45092B (zh) * 2007-07-11 2010-06-09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机壳
CN110057023B (zh) * 2019-04-22 2024-05-1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微动开关的连接结构及空调器
KR102677965B1 (ko) * 2023-07-10 2024-06-24 (주)대성마이크로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141A (en) * 1987-07-31 1988-09-13 Zanxx, Inc. Push-push electrical switch
JPH0729452A (ja) * 1993-07-14 1995-01-31 Omron Corp マイクロスイッチ
JPH07262873A (ja) * 1994-03-17 1995-10-13 Mitsumi Electric Co Ltd 二段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H1092262A (ja) * 1997-08-22 1998-04-10 Shinko Denki Kk 押釦スイッチ装置
JPH113631A (ja) * 1997-04-14 1999-01-06 Shinko Denki Kk 押釦スイッチ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11162285A (ja) * 1997-11-28 1999-06-18 Sator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141A (en) * 1987-07-31 1988-09-13 Zanxx, Inc. Push-push electrical switch
JPH0729452A (ja) * 1993-07-14 1995-01-31 Omron Corp マイクロスイッチ
JPH07262873A (ja) * 1994-03-17 1995-10-13 Mitsumi Electric Co Ltd 二段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H113631A (ja) * 1997-04-14 1999-01-06 Shinko Denki Kk 押釦スイッチ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1092262A (ja) * 1997-08-22 1998-04-10 Shinko Denki Kk 押釦スイッチ装置
JPH11162285A (ja) * 1997-11-28 1999-06-18 Sator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313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3829A (en) Pushbutton switch assembly
US7157650B2 (en) Electrical switch device with lateral activation
US5950812A (en) Rocker switch using a star spring
US7122756B2 (en) Push switch
US6222144B1 (en) Pushbutton switch
KR100322500B1 (ko) 2단형 스위치조립체
KR100301878B1 (ko) 소형푸쉬버튼스위치
US6150624A (en) Keyswitch device
KR100344045B1 (ko) 핀 격자 배열 패키지용 소켓
US6689967B2 (en) Slide switch
JP4508957B2 (ja) 押釦スイッチ
KR101800731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US5516991A (en)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JP2006019131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S5924522B2 (ja) スイツチ付きスライド形可変抵抗器
JP4319885B2 (ja) 押釦スイッチ
TW420812B (en) Pushbutton switch
JP4023884B2 (ja) スイッチ装置の接点開閉機構
JP2007157644A (ja) スイッチ装置
EP0314925B1 (en) Microswitch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385182B1 (ko) 전자렌지용 조작패널 조립체
JP3797872B2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H0319155Y2 (ko)
KR200236456Y1 (ko) 누름버튼식 스위치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