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7965B1 -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965B1
KR102677965B1 KR1020230088955A KR20230088955A KR102677965B1 KR 102677965 B1 KR102677965 B1 KR 102677965B1 KR 1020230088955 A KR1020230088955 A KR 1020230088955A KR 20230088955 A KR20230088955 A KR 20230088955A KR 102677965 B1 KR102677965 B1 KR 102677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switch
plunger
lever
hinge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이크로스위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이크로스위치 filed Critical (주)대성마이크로스위치
Priority to KR102023008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9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는,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1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2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2); 및 외부의 액추에이터가 접촉되는 액추에이터 접촉부(15)와, 상기 제 1 플런저를 누르는 제 1 플런저 누름부(11)와, 상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제 2 플런저 누름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10);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10)는, 타발 및 절곡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공된 단일의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Set of Micro-Switch}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병렬구성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스위치는 미소접점과 스냅 동작기구를 가진 소형의 스위치로서, 특허문헌 1은 그 한 예이다. 특허문헌 1의 발명은, 높은 직류 차단 성능을 갖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고정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하는 폐로(閉路) 위치와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하는 개로(開路) 위치를 갖는 가동접점과, 가동접점을 지지하는 가동접점대와, 눌려졌을 때 가동접점대를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와, 눌려졌을 때 상기 가동접점대에 접점개폐의 위치를 전환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다.
한편, 특허문헌 2의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의 개폐를 단속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플런저의 유동에 의해 제1 터미널에 접촉된 컨택터가 접점판에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스위치 회로가 구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플런저가 상향 돌출되게 장착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누름대가 상기 플런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액츄에이터의 결합으로 이루어 진다.
그런데, 특허문헌 2와 같이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구성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는 그 수요가 많지 않은데 비하여, 이러한 마이크로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계, 생산 및 품질특성관리가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생산비용과 판매 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16212, 2011. 2. 14. 등록, "마이크로 스위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9856, 2017. 11. 15. 등록,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는,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1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2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및 외부의 액추에이터가 접촉되는 액추에이터 접촉부와, 상기 제 1 플런저를 누르는 제 1 플런저 누름부와, 상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제 2 플런저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타발 및 절곡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공된 단일의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단독레버가 결합되어 단독 사용될 때 상기 단독레버의 두 힌지돌기부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제 1-1 힌지홈 및 제 1-2 힌지홈이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다른 단독레버가 결합되어 단독 사용될 때 상기 다른 단독레버의 두 힌지돌기부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제 2-1 힌지홈 및 제 2-2 힌지홈이 구성된 것이며, 상기 레버는, 상기 제 1-1 힌지홈 및 상기 제 1-2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1 힌지돌기부; 및 상기 제 2-1 힌지홈 및 상기 제 2-2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힌지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서,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돌기부가 연결된 제 1 꺽임부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 1 꺽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 2 힌지돌기부가 연결된 제 2 꺽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접촉부는, 상기 제 1 플런저 누름부 및 상기 제 2 플런저 누름부의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후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스트랩 모양이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런저 누름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후 전방으로 곧게 연장된 스트랩 모양이며, 상기 제 2 플런저 누름부는, 상기 제 1 플런저 누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되 상기 바디부와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형성한 후 전방으로 연장되는 스트랩 모양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는,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1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2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외부의 액추에이터가 접촉되는 롤러; 상기 롤러를 관통하는 롤러축; 상기 롤러축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축지지부 및 제 2 축지지부와, 상기 제 1 플런저 및 상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이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는 누름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레버는, 타발 및 절곡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공된 단일의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롤러레버는, 상기 제 1-1 힌지홈 및 상기 제 1-2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1 힌지돌기부; 및 상기 제 2-1 힌지홈 및 상기 제 2-2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힌지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롤러레버는, 상기 누름바디부의 후방에서, 일단이 상기 누름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돌기부가 연결된 제 1 꺽임부와, 상기 누름바디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 1 꺽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누름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 2 힌지돌기부가 연결된 제 2 꺽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디부는, 상기 1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과 상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 중에서 하나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리세스를 형성한 평판모양이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롤러레버는, 일단이 상기 누름바디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절곡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트랩모양인 절곡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축지지부 및 상기 제 2 축지지부는,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절곡연장부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병렬 구성할 필요가 있는 응용에 있어서, 2개의 액추에이터를 구성하거나 2개의 레버를 구성할 필요없이 하나의 레버 및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점을 다르게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며, 동작점의 간격을 정확하게 설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독사용을 위해 생산되는 기존 마이크로 스위치 2개를 그대로 이용하고 단 한조각의 부품(레버)으로써, 나란히 구성되는 듀얼 마이크로 스위치를 묶어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독사용을 위해 생산되는 기존 마이크로 스위치 2개를 그대로 이용하고 롤러 어셈블리로써, 나란히 구성되는 듀얼 마이크로 스위치를 묶어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독 사용을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그대로 이용하면 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대한 설계, 생산 및 품질특성관리가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생산비용과 판매 단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 또는 롤러레버를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피스나 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하여 듀얼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단일 마이크로 스위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레버와 마이크 스위치로 분리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서 레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롤러 어셈블리와 마이크 스위치로 분리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서 롤러레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단일 마이크로 스위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는 보통 사용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단일 마이크로 스위치)를 그대로 적용하여 병렬구성한 것으로서, 보통의 마이크로 스위치(단일 마이크로 스위치)는 생산자마다 약간씩 형상 및 구조의 상이점이 있을 수 있으나, 그 내부구조 및 원리가 대동소이하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스위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므로, 보통 대량 생산되어 생산비용이 낮고 단가가 저렴하다.
보통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와 레버(도시 안됨)(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레버와 구별하기 위하여 '단독 레버'라고도 한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공장에서 마이크로 스위치가 생산될 때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와 단독 레버가 결합된 상태로 생산되어 판매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에 단독레버를 결합하지 않고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만을 이용한다.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는,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b 및 1c)과,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플런저(Plunger)(1a)와, 터미널들(1d,1e,1f)과, 응용 대상처와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 또는 볼트 등이 관통되는 쓰루홀(t1, t2)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의 내부 구조는 특허문헌 1 등에서의 내부 구조와, 네이버 지식백과 사전 '마이크로스위치'에서 도시된 그림 및 설명(2023년 7월 현재) 등을 통하여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적용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에서 단독 레버가 결합되는 부위의 구조에서는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가 단독 레버와 결합되어 단독 사용될 때에는, 하우징의 제 1 슬릿(a1) 또는 제 2 슬릿(a2)을 통하여 단독 레버의 일단이 힌지홈(e)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은 각종 부품의 위치 및 작동을 제한하고 정해진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서브 하우징(1b)과, 이를 덮는 제 2 서브 하우징(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서브 하우징(1c)의 내측면에는 힌지홈(e)이 형성되고(도 1(c) 참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서브 하우징(1b)의 내측면에도 이러한 힌지홈(e)과 마주보는 위치에도 힌지홈이 형성된다.
제 2 서브 하우징(1c)에서는 제 2 상부표면(S2)에 근접하여 그 내측면에 2개의 힌지홈(e)이 형성되는데, 제 1 슬릿(a1)을 통하여 삽입된 단독레버의 힌지돌기부가 안착할 수 있는 힌지홈과, 제 2 슬릿(a2)을 통하여 삽입된 단독레버의 힌지돌기부가 안착할 수 있는 힌지홈이 각각 구성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개의 슬릿 및 힌지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단독레버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단독레버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플런저(1a) 사이의 거리가 선택될 수 있다. 제 1 서브 하우징(1b)에서도 제 1 상부표면(S1)에 근접하고 이격된 2개의 힌지홈이 구성된다.
마이크로 스위치가 단독 사용될 때, 제 1 서브 하우징(1b)의 내측면과 제 2 서브 하우징(1c)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힌지홈에 단독 레버의 두 힌지돌기부가 안착되며, 힌지홈 및 힌지돌기부가 힌지를 구성하여 단독 레버가 이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서 이러한 힌지홈이 사용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레버와 마이크 스위치로 분리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서 레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는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2개를 병렬구성하며, 이들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버(10)를 결합시켜 사용한다. 병렬구성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2)의 각각은 도 1에서 설명된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와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2)는 그 구조, 형상 및 내부 구성등이 완전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단독 사용을 위하여 생산된 것을 전용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구성한다.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2)에서 하우징은, 각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단독레버가 결합되어 단독 사용될 때 단독레버의 두 힌지돌기부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두 힌지홈이 구성된 것이다.
레버(10)는 제 1 플런저 누름부(11), 제 2 플런저 누름부(12), 제 1 힌지돌기부(13), 제 2 힌지돌기부(14), 액추에이터 접촉부(15), 바디부(16), 제 1 꺽임부(17) 및 제 2 꺽임부(18)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플런저 누름부(11), 제 2 플런저 누름부(12), 제 1 힌지돌기부(13), 제 2 힌지돌기부(14), 액추에이터 접촉부(15), 바디부(16), 제 1 꺽임부(17) 및 제 2 꺽임부(18)을 포함하는 전체는 단일의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레버는 단일 부품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타발 및 절곡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공된 단일의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대형의 금속 원판(스테인리스 원판)에 대하여 펀칭 또는 블랭킹과 같은 타발을 수행한 후 도 4에 도시된 형상이 되도록 절곡함으로써 레버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레버는 자동화된 공정에 의한 대량 생산이 매우 용이하다.
제 1 플런저 누름부(11)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의 제 1 플런저(1a)를 누르는 부분이며, 제 2 플런저 누름부(12)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2)의 제 2 플런저(2a)를 누르는 부분이다. 제 1 플런저 누름부(11)는, 일단이 바디부(16)에 연결된 후 바디부(16)와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서 전방으로 곧게 연장된 스트랩 모양이며, 제 2 플런저 누름부(12)는, 제 1 플런저 누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바디부(16)에 연결되되 바디부와의 사이에 단차(d)를 형성하며, 단차(d)를 형성한 후 바디부의 가상 평면과 평행한 가상 평면상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스트랩 모양이다. 단차를 제외하고 보면, 제 1 플런저 누름부(11)와 제 2 플런저 누름부(12)는 서로 이격되고 평행한 두 일자형 스트랩으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 접촉부(15)는 외부의 액추에이터(도시 안됨)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제 1 플런저 누름부(11) 및 제 2 플런저 누름부(12)의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바디부(16)에 연결된 후 연장되되 도면상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며 타단은 자유단인 스트랩 모양이다.
레버의 제조과정에서 레버가 타발된 후 절곡되기 전에도 제 1 플런저 누름부와 액추에이터 접촉부의 사이, 그리고 액추에이터 접촉부와 제 2 플런저 누름부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은 단차의 형성, 그리고 액추에이터 접촉부의 곡률부분 형성 등을 위해 절곡 공정을 수행할 때 보다 용이하게 공정이 진행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바디부(16)는 레버의 몸체 및 중심이 되는 영역으로서, 전방으로 제 1 누름부, 제 2 누름부 및 액추에이터 접촉부가 연결되고, 후방으로 제 1 꺽임부(17) 및 제 2 꺽임부(18)가 연결된다.
제 1 꺽임부(17)는 바디부의 후방에서, 일단이 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제 1 힌지돌기부(13)가 연결된다. 제 2 꺽임부(18)는 바디부의 후방에서, 제 1 꺽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제 2 힌지돌기부(14)가 연결된다. 제 1 꺽임부 및 제 2 꺽임부는 상호 이격된 채로, 일단이 바디부에 연결되고 90도 정도 하방으로 꺽여있는 대략 스트랩 모양이다. 제 1 꺽임부 및 제 2 꺽임부의 각각에서 그 폭은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제 1 슬릿 및 제 2 슬릿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제 1 힌지돌기부(13)는 제 1 꺽임부의 자유단에서 바깥쪽(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의 외측)으로 연장된 탭으로서,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의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된다.
제 2 힌지돌기부(14)는 제 2 꺽임부의 자유단에서 바깥쪽(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의 외측)으로 연장된 탭으로서,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2)의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된다.
물론 레버(10)의 제 1 힌지돌기부(13)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있는 2개의 슬릿중에서 하나를 통하여 그 내부에 있는 바깥쪽 힌지홈에 안착된다. 제 2 힌지돌기부(14)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있는 2개의 슬릿중, 제 1 힌지돌기부(13)가 통과한 슬릿에 대응하는 위치의 슬릿을 통하여 그 내부에 있는 바깥쪽 힌지홈에 안착된다.
공장에서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와 레버가 상호 조립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이러한 조립을 수행하는 것도 용이하다.
슬릿의 길이(g1, g2)는 꺽임부의 폭 및 힌지돌기부의 폭을 합한 길이(j1, j2)와 같거나 이보다 약간 크게 설계된다. 조립시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와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를 평행하게 병렬로 놓되, 일단 약간의 이격거리를 두고 놓고 나서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슬릿을 통해 제 1 꺽임부 및 제 1 힌지돌기부가 통과되도록 하고,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슬릿을 통해 제 2 꺽임부 및 제 2 힌지돌기부가 통과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와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사이를 밀착시키면, 제 1 힌지돌기부(13)가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외측 힌지홈에 안착되며, 제 2 힌지돌기부(14)가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외측 힌지홈에 안착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제 1 힌지돌기부(13)를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외측 힌지홈에 먼저 안착시킨 다음, 제 2 힌지돌기부(14)를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외측 힌지홈에 안착시킬 때에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를 비스듬히 접근시키면(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하단부와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하단부가 벌어진 상태로 접근시키면),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외측 힌지홈에 제 2 힌지돌기부(14)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두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겹쳐서 병렬배치되고 레버와 결합되는 것과 함께 두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대응하는 쓰루홀(t1,t2)의 위치가 일치되며, 이를 통하여 스크류 또는 볼트가 관통되고 스크류 또는 볼트의 하단이 응용 대상처에 구성된 너트 구멍이나 너트 등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응용 대상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응용대상처에 있는 캠, 버턴, 작동부, 도어, LM 가이드 등의 액추에이터가 액추에이터 접촉부에 접촉되도록 하거나, 작동중 이러한 액추에이터가 액추에이터 접촉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경로상에 장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의 동작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5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제 2 플런저 누름부(12)는 제 2 플런저(2a)에 접촉하고 있으나, 제 2 플런저 누름부(12)에 구성된 단차(d)로 인해서 단차만큼 제 1 플런저 누름부(11)는 제 1 플런저(1a)와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액추에이터 접촉부(15)를 누르게 되면, 레버(10)는 제 1 힌지돌기부(13) 및 제 2 힌지돌기부(14)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는 바,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를 누르게 된다.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각각은 가동점이 NC(Normal Close) 접점으로부터 NO(Normal Open) 접점으로 절환되는 동작점(Operating Position)을 구비한다. 액추에이터 접촉부의 하강에 따라 먼저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동작점에 도달하고 나서, 그 이후에 간격을 두고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동작점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의 각각은 가동점이 NO(Normal Open) 접점으로부터 NC(Normal Close) 접점으로 절환되는 복귀점(Reverse Position)을 구비한다. 복귀할 때, 액추에이터 접촉부의 상승에 따라 먼저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복귀점에 도달하고 나서, 그 이후에 간격을 두고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복귀점에 도달하게 된다.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와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사이에 동작점에 도달하는 간격과 복귀점에 도달하는 간격은 단차(d)에 의존하며, 단차를 조절함으로써 상기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밸브를 개폐하는 개폐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데, 감속기 샤프트의 일단에 원주를 따라 반경이 가변되는 캠을 장착한 후, 캠이 액추에이터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한다. 캠이 회전됨에 따라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먼저 동작점에 도달하여 밸브를 부분적으로 열도록 하고 나서 캠의 추가적 회전에 따라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동작점에 도달함으로써 밸브를 완전히 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병렬 구성할 필요가 있는 응용에 있어서, 2개의 캠(액추에이터)을 구성하거나 2개의 레버를 구성할 필요없이 하나의 레버 및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점을 다르게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며, 동작점의 간격을 정확하게 설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롤러 어셈블리와 마이크 스위치로 분리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서 롤러레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와 비교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공통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2) 및 롤러 어셈블리(20,3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 포함된 것과 동일하다.
롤러 어셈블리는 롤러레버(20), 롤러(31) 및 롤러축(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31)는 외부의 액추에이터가 접촉되는 부품으로서 두꺼운 원통형 모양이며, 롤러축(32)은 롤러를 관통하는 축으로서, 제 1 축지지부(25)에 구성된 관통공(25a)과 제 2 축지지부(26)에 구성된 관통공(26a)을 관통하고, 제 1 축지지부 및 제 2 축지지부에 의해서 양단이 지지된다.
롤러레버(20)는 누름바디부(21), 제 1 축지지부(25), 제 2 축지지부(26), 절곡연장부(29), 제 1 꺽임부(27), 제 2 꺽임부(28), 제 1 힌지돌기부(23), 제 2 힌지돌기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에서 제 1 꺽임부(27), 제 2 꺽임부(28), 제 1 힌지돌기부(23) 및 제 2 힌지돌기부(24)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버(10)의 제 1 꺽임부(17), 제 2 꺽임부(18), 제 1 힌지돌기부(13), 제 2 힌지돌기부(14)와 동일하며, 다만, 제 1 꺽임부(27) 및 제 2 꺽임부(28)가 누름바디부(21)의 후방으로 연결된 점이 상이하다.
롤러레버(20)는 레버(10)와 마찬가지로 단일 부품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타발 및 절곡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공된 단일의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대형의 금속 원판(스테인리스 원판)에 대하여 펀칭 또는 블랭킹과 같은 타발을 수행한 후 도 8에 도시된 형상이 되도록 절곡함으로써 롤러레버를 생산할 수 있다.
절곡연장부(29)는 일단이 누름바디부(21)의 전방에 연결되며 거의 직각으로 절곡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트랩모양이다. 롤러축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축지지부(25) 및 제 2 축지지부(26)는 상방으로 연장된 절곡연장부(29)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데, 절곡연장부(29)와 90도 각도로 꺽여서 후방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축지지부(25) 및 제 2 축지지부(26)의 사이에 롤러(31)가 들어가는 공간을 허용한다.
누름바디부(21)는 롤러레버(20)의 바디가 되는 동시에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부분이 된다. 누름바디부(21)는 제 1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21b)과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21a) 중의 하나(도면에서는 21a)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리세스를 형성한 평판모양이다.
누름바디부(21)는 리세스를 제외하고 평탄한 평면의 조각이며, 리세스는 금속원판(금속판재)에 대한 코이닝 등의 공정에 의해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과정에서 제 2 플런저와의 접촉지점이 조금씩 이동되더라도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넓이를 가진다. 누름바디부에서 제 1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21b)과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21b)은 서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리세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도시와 달리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은 평탄하고 제 1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롤러레버에서 제 1 힌지돌기부(23)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구성된 마주하는 두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제 2 힌지 돌기부(24)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구성된 마주하는 두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된다. 제 1 꺽임부(27)는 누름바디부의 후방에서, 일단이 누름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제 1 힌지돌기부(23)가 연결된다. 제 2 꺽임부(28)는 누름바디부의 후방에서, 제 1 꺽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누름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제 2 힌지돌기부(24)가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의 동작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초기상태에서 리세스(21a)는 제 2 플런저(2a)에 접촉하고 있으나, 하방 돌출된 리세스(21a)로 인해서 그만큼 제 1 플런저(1a)와 누름바디부(21)(구체적으로는 21b의 영역) 사이는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롤러(31)를 누르게 되면, 롤러레버(20)는 제 1 힌지돌기부(23) 및 제 2 힌지돌기부(24)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는 바,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를 누르게 된다.
롤러(31) 및 누름바디부(21)의 하강에 따라 먼저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동작점에 도달하고 나서, 그 이후에 간격을 두고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동작점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복귀할 때, 롤러(31) 및 누름바디부(21)의 상승에 따라 먼저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복귀점에 먼저 도달하고 나서, 그 이후에 간격을 두고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가 복귀점에 도달하게 된다. 동작점에 도달하는 간격과 복귀점에 도달하는 간격은 리세스의 높이에 의존하며, 리세스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밸브를 개폐하는 개폐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독사용을 위해 생산되는 기존 마이크로 스위치 2개를 그대로 이용하고 롤러 어셈블리로써, 나란히 구성되는 듀얼 마이크로 스위치를 묶어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병렬 구성할 필요가 있는 응용에 있어서, 2개의 캠(액추에이터)을 구성하거나 2개의 레버를 구성할 필요없이 하나의 레버 및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점을 다르게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며, 동작점의 간격을 정확하게 설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서는 롤러를 사용하므로, 액추에이터에 접촉하여 미끄러질 수 있는 미끄럼 특성이 더 우수하나 장기간 지속적인 작동이 필요한 응용에서는 롤러축과 접촉하는 롤러의 내측면이 마모됨에 따라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는 롤러의 높이가 미세하게 변동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에서는 곡률을 가진 액추에이터 접촉부가 직접 접촉하고 롤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롤러의 마모에 따른 특성 변동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독 사용을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그대로 이용하면 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대한 설계, 생산 및 품질특성관리가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생산비용과 판매 단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 또는 롤러레버를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피스나 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하여 듀얼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한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2 :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1a, 2a : 플런저
10 : 레버 11, 12 : 플런저 누름부
13, 14 : 힌지돌기부 15 : 액추에이터 접촉부
16 : 바디부 17, 18 : 꺽임부
20 : 롤러레버 21 : 누름바디부
23, 24 : 힌지돌기부 25, 26 : 축지지부
27, 28 : 꺽임부 29 : 절곡연장부
31 : 롤러 32 : 롤러축

Claims (10)

  1.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1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2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및
    외부의 액추에이터가 접촉되는 액추에이터 접촉부와, 상기 제 1 플런저를 누르는 제 1 플런저 누름부와, 상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제 2 플런저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타발 및 절곡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공된 단일의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단독레버가 결합되어 단독 사용될 때 상기 단독레버의 두 힌지돌기부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제 1-1 힌지홈 및 제 1-2 힌지홈이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다른 단독레버가 결합되어 단독 사용될 때 상기 다른 단독레버의 두 힌지돌기부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제 2-1 힌지홈 및 제 2-2 힌지홈이 구성된 것이며,
    상기 레버는,
    상기 제 1-1 힌지홈 및 상기 제 1-2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1 힌지돌기부; 및
    상기 제 2-1 힌지홈 및 상기 제 2-2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힌지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서,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돌기부가 연결된 제 1 꺽임부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 1 꺽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 2 힌지돌기부가 연결된 제 2 꺽임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접촉부는,
    상기 제 1 플런저 누름부 및 상기 제 2 플런저 누름부의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후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스트랩 모양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런저 누름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후 전방으로 곧게 연장된 스트랩 모양이며,
    상기 제 2 플런저 누름부는, 상기 제 1 플런저 누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되 상기 바디부와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형성한 후 전방으로 연장되는 스트랩 모양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6.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1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구성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동되는 제 2 플런저를 포함하는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
    외부의 액추에이터가 접촉되는 롤러;
    상기 롤러를 관통하는 롤러축;
    상기 롤러축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축지지부 및 제 2 축지지부와, 상기 제 1 플런저 및 상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이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는 누름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레버는,
    타발 및 절곡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공된 단일의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단독레버가 결합되어 단독 사용될 때 상기 단독레버의 두 힌지돌기부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제 1-1 힌지홈 및 제 1-2 힌지홈이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다른 단독레버가 결합되어 단독 사용될 때 상기 다른 단독레버의 두 힌지돌기부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제 2-1 힌지홈 및 제 2-2 힌지홈이 구성된 것이며,
    상기 롤러레버는,
    상기 제 1-1 힌지홈 및 상기 제 1-2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1 힌지돌기부; 및
    상기 제 2-1 힌지홈 및 상기 제 2-2 힌지홈 중에서 바깥쪽의 것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힌지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롤러레버는,
    상기 누름바디부의 후방에서, 일단이 상기 누름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돌기부가 연결된 제 1 꺽임부와,
    상기 누름바디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 1 꺽임부가 연결된 지점과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누름바디부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꺽여져 연장되며, 타단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 2 힌지돌기부가 연결된 제 2 꺽임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디부는,
    상기 1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과 상기 제 2 플런저를 누르는 영역 중에서 하나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리세스를 형성한 평판모양인,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롤러레버는,
    일단이 상기 누름바디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절곡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트랩모양인 절곡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축지지부 및 상기 제 2 축지지부는,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절곡연장부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KR1020230088955A 2023-07-10 2023-07-10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Active KR10267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955A KR102677965B1 (ko) 2023-07-10 2023-07-10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955A KR102677965B1 (ko) 2023-07-10 2023-07-10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7965B1 true KR102677965B1 (ko) 2024-06-24

Family

ID=9171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955A Active KR102677965B1 (ko) 2023-07-10 2023-07-10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79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0659A2 (en) * 1986-09-16 1988-03-23 OMRON Corporation Micro switch
US5066856A (en) * 1990-03-23 1991-11-19 Optoswitch, Inc. Optical micro-switch apparatus
KR20010068313A (ko) * 2000-01-04 2001-07-23 윤종용 2단형 스위치조립체
KR20080022495A (ko) * 2006-09-06 2008-03-1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및 접점 모듈
KR20100045317A (ko) * 2008-10-23 2010-05-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CN102386002A (zh) * 2010-08-31 2012-03-21 西门子公司 辅助开关及其切换装置
KR101799856B1 (ko) 2016-09-21 2017-11-22 덕일산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JP2018101616A (ja) * 2016-11-22 2018-06-28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0659A2 (en) * 1986-09-16 1988-03-23 OMRON Corporation Micro switch
US5066856A (en) * 1990-03-23 1991-11-19 Optoswitch, Inc. Optical micro-switch apparatus
KR20010068313A (ko) * 2000-01-04 2001-07-23 윤종용 2단형 스위치조립체
KR20080022495A (ko) * 2006-09-06 2008-03-1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및 접점 모듈
KR20100045317A (ko) * 2008-10-23 2010-05-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KR101016212B1 (ko) 2008-10-23 2011-02-25 거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CN102386002A (zh) * 2010-08-31 2012-03-21 西门子公司 辅助开关及其切换装置
KR101799856B1 (ko) 2016-09-21 2017-11-22 덕일산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JP2018101616A (ja) * 2016-11-22 2018-06-28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スイッ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416A (en) Keyboard switch
KR100458332B1 (ko) 가구용 힌지
US7731313B2 (en) Locating structure for slide rail
JP3701548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EP2804194B1 (en) Limit switch
EP1898435A2 (en) Switch and contact modules therefor
KR20040098536A (ko) 스프링을 구비한 가구용 힌지
US20060219532A1 (en) Electrical switch
KR102051153B1 (ko) 푸시 스위치
US20090008230A1 (en) Switch
KR102677965B1 (ko) 마이크로 스위치 세트
JP2001523381A (ja) 接点ばねを備えた継電器
US4447681A (en) Switch key assembly having improved switch actuation
JPH0451393Y2 (ko)
TWM565390U (zh) 開關裝置改良結構
JP4696707B2 (ja) 車両用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5163965A (ja) ヒンジ装置
KR20010106091A (ko) 키보드 스위치
JP3182838U (ja) 蝶番
JP2011153432A (ja) 建物型操作盤用ヒンジ機構
EP2991090A1 (en) Switch
JP4030735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8297737A (ja) 車両用ドアチェック機構における接触部材の支持構造
JP2758933B2 (ja) ドアクローザ
JPH09134644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