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1636B1 -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636B1
KR100321636B1 KR1020000001758A KR20000001758A KR100321636B1 KR 100321636 B1 KR100321636 B1 KR 100321636B1 KR 1020000001758 A KR1020000001758 A KR 1020000001758A KR 20000001758 A KR20000001758 A KR 20000001758A KR 100321636 B1 KR100321636 B1 KR 10032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assembly
guide rai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398A (ko
Inventor
권기팔
Original Assignee
권기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팔 filed Critical 권기팔
Priority to KR102000000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636B1/ko
Priority to KR2020000008581U priority patent/KR200196439Y1/ko
Publication of KR2001007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6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12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two or more sealing-lines or -planes between the wing and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풍 및 방음 효과가 크고 창문을 보다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조립창틀과, 상기 조립창틀을 구성하는 상,하부 창틀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 레일에 창문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창틀의 일부를 구성하며 방충문 레일의 반대측에 평면상으로 형성된 조립면이 있는 고정틀과; 상기 조립면의 끝단으로서 상기 방충문 레일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고정틀과는 분리된 상태로 제조되며,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전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을 향해 진입되면서 조립면에 밀착된 후 체결못으로 고정틀에 고정되는 조립틀로 구성되는 것과, 상부 창틀의 내측에 하향을 향해 개방된 스프링 수납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레일과; 상기 스프링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레일 각각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돌편과; 상기 스프링 수납부를 수용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한쌍의 걸림돌편의 상측에 걸림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되어 스프링 수납부와 가이드 레일을 탄력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Structure of window and window frame}
본 발명은 방풍 및 방음 효과가 크고 창문을 보다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식 창문에 있어 방풍 및 방음작용을 하는 융털패킹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창틀 및 창문의 문틀은 알루미늄 재질과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며, 또한 미닫이식 창문은 벽면에 미리 고정상태로 설치된 창틀에 후조립하는 작업으로 설치하는데, 그 설치구조는 창틀 밖에서 창문을 기울린 다음 상부 문틀을 상부 창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에 끼워 맞추고 이어서 창문을 똑바르게 세우면서 하부 문틀을 하부 창틀의 가이드 레일에 끼워주는 구조로서 창문을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에 창문(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창틀밖에서창문(100)의 상부 문틀(101) 부분이 상부 창틀(200)을 향하도록 기울린 상태에서 상기 창문(100)의 상부 문틀(101)을 상부 창틀(200)의 칸막이(201)들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202)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부 문틀(101)의 상단이 상기 안내홈(202)의 내상면에 닿을 정도 창문(100)을 들어올려 창문(100)의 하부 문틀(102) 하단이 하부 창틀(210)에 형성된 칸막이(211)들에 걸리지 않고 레일홈(212)으로 진입시킨 다음 창문(100)을 천천히 내려 놓아 하부 문틀(102)의 롤러(103)가 가이드 레일(213)에 안착되게 하는 수단으로 창문(100)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창틀에 설치된 창문(100)은 그 상,하부 문틀(101)(102)이 상,하부 창틀(200)(210) 각각에 형성된 칸막이(201)(211)에 약간씩만 걸려있는 상태가 되므로 창문(100)이 쉽게 창틀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창문(100)의 상부 문틀(101)을 상부 창틀(200)의 안내홈(201) 속으로 깊숙히 삽입시켜야만 창문(100)의 하부 문틀(102)을 하부 창틀(210)의 칸막이(211)에 걸리지 않고 하부 창틀(210)의 레일홈(212)으로 진입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창문의 하부 문틀(102)을 레일홈(212)에 진입시킨 상태에서는 롤러(103)가 가이드 레일(213) 상방에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롤러(103)를 가이드 레일(213)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창문(100) 자체를 하부 틀체(210)쪽으로 내려 놓아야 하기 때문에 창문(100) 설치시 상부 틀체(200)의 안내홈(202)에 깊숙히 삽입되었던 상부 문틀(101)도 그만큼 하강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상부 문틀(101)의 상단부분 일부가 상부 창틀(200)의 칸막이(201) 하단부분 일부에만 수용된 상태가 되며, 또한 창문(100)의 하부 문틀(102)의 하단부분 일부가 하부 창틀(210)의 칸막이(211) 상단부분 일부에만 수용되는 상태가 되는 한편, 창문(100)의 상부 문틀(101)과 상부 틀체(200)의 안내홈(202) 사이에는 창문(100) 자체를 이탈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100)을 상방으로 약간만 들어올리게 되더라도 창문이 쉽게 이탈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창문의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창문(100)은 상,하부 창틀(200)(210)과의 접촉 폭이 좁기 때문에 융털패킹을 1단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어 방풍 및 방음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상부 창틀을 고정틀과 조립틀로 분리하여 제조한 다음 창문 설치시 상기 조립틀을 고정틀에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고정틀과 조립틀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창문 자체가 이탈될 수 없도록 함과 동시 상기 창문의 상,하부 문틀이 상,하부 창틀의 가이드 레일에 깊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는 수단과, 또는 상부 창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게 하는 구조로서 창문의 상,하부 문틀이 상,하부 창틀의 가이드 레일에 깊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는 수단으로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특별하게 정해진 분리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창문을 보다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하부 창틀 및 좌,우측 창틀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창문의 상,하부 문틀 및 좌,우측 문틀 각각의 레일홈에 깊이 삽입되게 하므로서 상기한 각 문틀의 레일홈에 융털패킹을 복수단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방풍 및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각형으로 조립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조립창틀과, 상기 조립창틀을 구성하는 상,하부 창틀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 레일에 창문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체의 일부를 구성하며,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저면에 형성된 방충문 레일의 반대측에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조립면과;
상기 조립면의 양단에 형성되는 전,후측 걸림턱과; 및
상기 고정틀과는 분리된 상태로 제조되며,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전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의 조립면에 밀착되면서 전,후측 결합부가 상기한 전,후측 걸림턱에 결착된 상태에서 체결못으로 고정틀에 겹합되는 조립틀;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상부 창틀의 내측에 하향을 향해 돌출되며, 하단에는 하향을 향해 개방된 스프링 수납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레일과;
상기 스프링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레일 각각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돌편과;
상기 고정레일 각각의 하단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부를 수용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한쌍의 걸림돌편의 상측에 걸림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되어 스프링 수납부와 가이드 레일을 탄력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창문의 상,하부 문틀의 레일홈 양측에는 복수의 융털패킹을 부착시킬 수 있는 패킹홈을 상,하로 연속해서 복수단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상,하부 창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상기 레일홈에 깊이 삽입되어 복수단의 패킹홈에 부착된 복수의 융털패킹이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 양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창틀의 조립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창틀과 창문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일실시예의 상부 창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상부 창틀과 창문을 설치하는데 따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창틀과 창문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6은 상기 다른 일실시예의 상부 창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상기 다른 일실시예의 창틀과 창문을 설치하는데 따른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창문 설치상태 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종래 기술의 창틀과 창문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창틀 2 : 상부 창틀
2a : 고정틀 2b : 조립틀
3a : 하부 창틀 3b,3c : 좌,우측 창틀
4 : 창문 4a,4b : 상,하부 문틀
4c,4d : 좌,우측 문틀 5 : 스프링
26,32,6 : 가이드 레일 21 : 조립면
22,33 : 방충문 레일 23,34 : 이탈방지편
24 : 걸림턱 25,31 : 전면부
27 : 고정레일 28 : 스프링 수납부
29 : 걸림돌편 41 : 레일홈
42 : 융털패킹 43 : 패킹홈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창틀의 조립상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창틀과 창문의 설치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일실시예의 상부 창틀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상부 창틀과 창문을 설치하는데 따른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창틀과 창문 설치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다른 일실시예의 상부 창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다른 일실시예의 창틀과 창문을 설치하는데 따른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창문 설치상태 횡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은 사각형으로 조립된 조립창틀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조립창틀(1)은 상부 틀체(2)는 도 2 내지 도 4 또는 도 5 내지 도 8의 도시예와 같이 각기 다른 구성의 실시예로 구분되는 한편, 하부 틀체(3a) 및 좌,우측 틀체(3b)(3c)는 각 실시예에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한다.
상부 틀체(2)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틀(2a)과 조립틀(2b)로 분리되어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틀(2a)의 저부 일측에는 평면상으로 된 조립면(21)이 타측을 향해 폭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방충문 레일(22)과 이탈방지편(23)이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면(21)은 양단에는 전,후측 걸림턱(24a)(24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틀(2a)과 분리되어 별개로 제조되는 조립틀(2b)에는 전면부(25)와 복수의 가이드 레일(26)이 하향을 향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조립틀(2b)의 상면은 상기 조립면(21)과 평면상으로 밀착되면서 그 상면의 양단에는 상기 조립면(21)의 전,후측 걸림턱(24a)(24b)에 결착되는 전,후측 결착부(24c)(24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틀(2b)은 고정틀(2a)의 조립면(21)에 밀착 조립된 다음 나사못으로 된 체결못(도시 생략)에 의하여 상기 고정틀(2a)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틀체(3a)에도 전면부(31)와 복수의 가이드 레일(32) 및 방충문 레일(33) 그리고 이탈방지편(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틀체(3b)(3c) 각각은 상기한 하부 틀체(3a)와 동일한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우측 틀체(3b)(3c) 각각에 형성된 구성부분들을 하부 문틀(3a)의 구성부분과 같은 용어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다음 상기 조립창틀(1)에 설치되는 창문(4)은 상,하부 문틀(4a)(4b)과 좌,우측 문틀(4c)(4d)이 사각형으로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상,하부 문틀(4a)(4b) 각각에 형성된 레일홈(41)의 양측 벽면 각각에는 융털패킹(42)을 부착시키는 패킹홈(43)을 수직상으로 복수단 형성하므로서 상기 레일홈(41) 양측 벽면에 융털패킹(42)을 복수단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문틀(4b)의 레일홈(41) 깊숙한 곳에는 하부 창틀(3a)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2)에 안착되어 창문(4)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롤러(44)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좌,우측 문틀(4c)(4d) 각각에 형성된 레일홈(41) 양측 벽면에도 융털패킹(42)을 복수단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패킹홈(43)이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상부 창틀(2)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은 같은 용어 같은 부호를 사용하며, 다른 구성부분은 다른 용어 다른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창틀(2)에는 전면부(25)와 복수의 고정레일(27) 및 방충문 레일(22) 그리고 이탈방지편(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정레일(27) 각각의 하단에는 하향을 향해 개방된 스프링 수납부(28)와 상기 스프링 수납부(5) 바로 위 양측에는 한쌍의 걸림돌편(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레일(27)의 하단에는 별도로 제조되는 가이드 레일(6)이 조립되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6)은 속이 빈 함체상의 구조로서 상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걸림돌편(29)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걸침돌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은 상기 고정레일(27)에 수평상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도 5 내지 도 8 실시예의 하부 창틀(3a) 및 좌,우측 창틀(3b)(3c) 각각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각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 실시예의 경우는, 조립창틀(1)을 구성하는 상,하부 창틀(2)(3a) 및 좌,우측 창틀(3b)(3c)을 기존의 창틀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데, 이때 상부 창틀(2)은 고정틀(2a)만 벽면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벽면에 조립창틀(1)을 고정 설치한 후 창문(4)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정틀(2a)에서 분리된 조립틀(2b)을 한쌍의 창문(4)의 상부 문틀(4a) 위에 가조립하는데, 이때 상기 조립틀(2b)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26) 각각은 상부 문틀(4a)의 레일홈(41)에 삽입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 문틀(4b)이 하부 창틀(3a)의 전면부(31)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한쌍의 창문(4)을 들어올린 다음 그 상태에서 창문(4)의 상부 문틀(4a)은 고정틀(2a)의 전방(도면상 좌측으로서 실내측을 말함)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부 문틀(4b)은 하부 창틀(3a)의 위로 진입되도록 한쌍의 창문(4)을 동시에 기울린 상태에서 상기 하부 문틀(4b)의 레일홈(41)에 하부 창틀(3a)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32)이 삽입되도록 한쌍의 창문(4)을 밑으로 내려줌과 동시에 상부 문틀(4a)을 고정틀(2a)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상부 문틀(4b)에 가조립되어 있던 조립틀(2b)는 고정틀(2a)을 향해 진입하게 되며 상기 조립틀(2b)의 상면은 조립면(21)에 밀착되는 상태로 진입하면서 상기 조립틀(2b)의 양단에 형성된 전,후측 결합부(2c)(24d)가 상기 조립면의 양단에 형성된 전,후측 걸림턱(24a)(24b)에 걸리면서 결합되게 되면 상기 조립틀(2b)의 상면은 상기 조립면(21)에 밀착되는 것이다.(도 4의 가상선부분 참조)
상기와 같이 조립틀(2b)이 고정틀(2a)의 조립면(21)에 밀착상태가 완료되면 한쌍의 창문(4)아 똑바르게 세워진 상태가 되며, 이어서 조립틀(2b)에 미리 뚫어져 있는 조립공을 통해 체결못으로 고정틀(2a)에 나사조립하게 되면 상기한 조립틀(2b)은 고정틀(2a)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상부 창틀(2)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조립틀(2b)을 체결시키는 작업은 한쌍의 창문(4)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체결못을 체결하게 되므로 상기 조립틀(2b)을 고정틀(2a)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한쌍의 창문(4)은 상부 창틀(2)의 조립틀(2b)을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절대 이탈시킬 수 없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상부 창틀(2)의 조립틀(2b)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26)과 하부 창틀(3a)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32)들은 한쌍의 창문(4)의 상,하부 문틀(4a)(4b) 각각의 레일홈(41)에 깊이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41) 양측에 복수단으로 형성된 융털패킹(42)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기존의 창문과 같이 융털패킹이 1단으로 구성된 것에 비하여 방풍 및 방음작용을 향상시키는 특징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조립창틀(1)에 설치된 창문(4)을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부 창틀(2)의 조립틀(2b)을 고정시키고 있던 체결못을 해체한 다음 조립의 역순으로 해체하면 된다.
다음,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경우는, 조립창틀(1)을 구성하는 상부 창틀(2)은 규격에 맞추어 절단한 다음 전면부(25)와 방충문 레일(22)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레일(27)의 일측에서 상부가 개구된 가이드 레일(5)을 수평상으로 조립하는 것인데, 상기 가이드 레일(6)은 그 내부에 스프링 수납부(28)가 수용되게 하면서 한쌍의 걸림돌편(29)에 얹어지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며, 또한 가이드 레일(6)을 상기 고정레일(27)에 수평상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스프링(5)을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게 삽입하면서 조립하므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6)이 스프링(5)을 압축시키면서 상향으로 탄력이동이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도7 참조)
상기한 스프링(5)은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 등 가이드 레일(6)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만족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레일(27)에 가이드 레일(6)이 조립된 상부 창틀(2)을 가지고 벽면에 조립창틀(1)을 설치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벽면에 설치된 조립창틀(1)에 창문(4)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창문(4)의 상부 문틀(4a)은 상부 창틀(2) 내측으로 진입시키는 한편 하부 문틀(4b)은 하부 창틀(3a)의 이탈방지편(34)에서 이격된 상태(도면상 우측으로서 실외측)로 창문(4)을 기울인 상태에서 상부문틀(4a)의 레일홈(41)을 해당 가이드 레일(6)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창문(4)을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레일홈(41)은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6)을 수용하면서 상승하게 되며, 상기 레일홈(41)의 바닥에 가이드 레일(6)이 닿은 상태에서도 창문(4)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6)은 스프링(5)을 압축시키면서 고정레일(27)을 따라 위쪽으로 상승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레일(6)이 스프링(5)을 압축시키면서 상승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창문(4)의 하부 문틀(4b)이 하부 창틀(3a)의 이탈방지편(23) 및 가이드 레일(32) 상방으로 진입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창문(4)을 똑바르게 세워주면서 하부 문틀(4b)의 레일홈(41)이 하부 창틀(3a)의 가이드 레일(32) 상방에 위치시키면서 창문(4)을 천천히 내려놓게 되면 상기한 가이드 레일(32)은 하부 문틀(4b)의 레일홈(41)에 삽입되면서 롤러(44)를 받쳐주게 되는 한편 앞서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상승했던 상기의 가이드 레일(6)은 스프링(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한쌍의 걸림돌편(29)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레일(27)의 걸림돌편(29)에 걸려있는 가이드 레일(6)은 창문(4)의 상부 문틀(4a)의 레일홈(41)에 깊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창문(4)을 안전하게 설치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또한 상,하부 창틀(2)(3a) 각각의 가이드 레일(26)(32) 양측이 창문(4)의 상,하부 문틀(4a)(4b) 각각의 레일홈(41)에 복수단으로 설치된 융털패킹(42)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종래 융털패킹이 1단으로 형성된 것에 비하여 방풍 및 방음작용이 향상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한 각 실시예의 좌,우측 창틀(3b)(3c)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32) 역시 창문(4)을 닫았을 때 좌,우측 문틀(4c)(4d) 각각에 형성된 레일홈(41)에 깊이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단으로 설치된 융털패킹(42)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도 9 참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조립창틀에 있어 상부 창틀을 고정틀과 조립틀로 분할구성한 다음 상기 조립틀을 창문의 상부 문틀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창문을 하부 창틀에 설치하면서 조립틀을 고정틀에 밀착되게 조립한 후 체결못으로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창문이 사용도중 부주의로 인하여 이탈되는 사례가 발생되지 않도록 창문을 보다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는 조립창틀의 상부 창틀에 형성된 고정레일에 조립되는 가이드 레일을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하는 수단으로 창문이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조립창틀의 각 가이드 레일이 창문의 레일홈에 복수단으로 설치된 융털패킹과 접촉하도록 깊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방풍 및 방음작용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사각형으로 조립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조립창틀과, 상기 조립창틀을 구성하는 상,하부 창틀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 레일에 창문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체의 일부를 구성하며,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저면에 형성된 방충문 레일의 반대측에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조립면과;
    상기 조립면의 양단에 형성되는 전,후측 걸림턱과; 및
    상기 고정틀과는 분리된 상태로 제조되며,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전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의 조립면에 밀착되면서 전,후측 결합부가 상기한 전,후측 걸림턱에 결착된 상태에서 체결못으로 고정틀에 겹합되는 조립틀;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2. 사각형으로 조립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조립창틀과, 상기 조립창틀을 구성하는 상,하부 창틀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 레일에 창문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창틀의 내측에 하향을 향해 돌출되며, 하단에는 하향을 향해 개방된 스프링 수납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레일과;
    상기 스프링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레일 각각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돌편과;
    상기 고정레일 각각의 하단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부를 수용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한쌍의 걸림돌편의 상측에 걸림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되어 스프링 수납부와 가이드 레일을 탄력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상,하부 문틀의 레일홈 양측에는 복수의 융털패킹을 부착시킬 수 있는 패킹홈을 상,하로 연속해서 복수단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상,하부 창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상기 레일홈에 깊이 삽입되어 복수단의 패킹홈에 부착된 복수의 융털패킹이 상기 가이드 레일 양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KR1020000001758A 2000-01-14 2000-01-14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321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758A KR100321636B1 (ko) 2000-01-14 2000-01-14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KR2020000008581U KR200196439Y1 (ko) 2000-01-14 2000-03-25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758A KR100321636B1 (ko) 2000-01-14 2000-01-14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581U Division KR200196439Y1 (ko) 2000-01-14 2000-03-25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398A KR20010073398A (ko) 2001-08-01
KR100321636B1 true KR100321636B1 (ko) 2002-03-18

Family

ID=1963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7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1636B1 (ko) 2000-01-14 2000-01-14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249B1 (ko) * 2006-08-02 2006-11-23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승하강식 창문틀 구조
KR101075945B1 (ko) * 2011-03-18 2011-10-21 주철우 에어 시일드 윈도우
KR101659968B1 (ko) * 2014-06-05 2016-09-26 권기팔 창문의 설치가 용이한 창틀 새시
KR102026960B1 (ko) * 2019-01-23 2019-09-30 문여진 방풍가이드와 호차를 이용한 창호용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KR102040441B1 (ko) * 2019-05-17 2019-11-05 주식회사 반석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향상된 창틀
KR102758721B1 (ko) * 2024-05-30 2025-01-22 (주)신창산업 열교 차단 및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미서기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398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6856A (en) Pet door having a security cover
US5735079A (en) Pet door assembly
KR100321636B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US5657592A (en) Pet door having a centrally mounted door flap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KR200474035Y1 (ko) 방충창 이탈방지구
US5782037A (en) Pet door having a security cover
KR200196439Y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ITMI971340A1 (it) Vetrina espositiva a tenuta stagna
KR100718187B1 (ko) 창틀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US5492164A (en) Window safety system for a child or the like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1091703B1 (ko) 단열 및 방음 기능을 지닌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호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JP3815158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597518B1 (ko) 안전창의 상하 승강식 풍지판 장치
KR200410662Y1 (ko)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KR102356833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용 방충캡
KR102643432B1 (ko) 단열 창호 프레임
JP2009114816A (ja) 折畳戸のロック装置
KR200498861Y1 (ko) 창문 이탈 방지장치
KR200321428Y1 (ko) 창틀 레일의 승하강장치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KR101792495B1 (ko)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