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0728B1 - 일체형 방충망 창호 - Google Patents

일체형 방충망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728B1
KR101930728B1 KR1020180008280A KR20180008280A KR101930728B1 KR 101930728 B1 KR101930728 B1 KR 101930728B1 KR 1020180008280 A KR1020180008280 A KR 1020180008280A KR 20180008280 A KR20180008280 A KR 20180008280A KR 101930728 B1 KR101930728 B1 KR 101930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indoor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용
서인대
Original Assignee
문수용
서인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용, 서인대 filed Critical 문수용
Priority to KR102018000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7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측에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의 일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창틀의 내부에 롤 형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창문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는 방충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방충망 창호{One Body Type Mosquito Net Window}
본 발명은 일체형 방충망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충망을 창호의 창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창호를 설치시 별도로 방충망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충망이 창틀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방충망의 양측단이 창틀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외관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방충망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는 실내의 환기 및 채광과 풍광을 위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창호가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때, 상기의 창호 중 실내,외의 경계에 설치되는 창호는 외부로부터 각종 날벌레나 해충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의 방충망은 창틀프레임에 직접 결합되어 슬라이딩 개폐되거나 별도의 안내레일을 창틀프레임의 외면에 고정 설치하여서 별도의 방충망이 상기의 안내레일을 따라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의 방충망은 통상적으로 두 개의 창틀로 이루어진 미닫이 창문 중 하나의 창틀프레임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망체 결합물로서,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 내에 망체를 고정 형성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방충망은 대부분 자주 개폐되는 창틀의 실외 측에 설치되어 창틀의 개방시에도 방충망에 의해 외부로부터 날벌레나 해충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의 방충망을 개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창틀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노출 상태의 방충망을 일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실내 및 실외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방충망을 갖는 창호는 항상 창틀프레임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창문의 개방 후 방충망에 대한 별도의 개방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개방 상태인 방충망은 역시 손으로 잡아당겨 닫아 주어야 함은 물론 방충망을 부정확하게 닫을 경우에는 창틀프레임과 방충망의 틈새로 각종 해충이나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방충망은 항상 실외로부터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건물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것이고, 햇빛이나 공기 및 각종 공해와 이물질에 노출되어 있어 사용 수명이 매우 짧아 비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방충망은 항상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어 각종 먼지와 공해물질 등에 오염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손으로 만지거나 다른 물건과 접촉하는 경우 다량의 분진 및 이물질이 떨어져나오면서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고, 이불이나 의복 등을 털어내기 위한 과정에서 이들이 방충망과 간섭되는 경우에는 지저분한 오염물질이 이불이나 의복에 묻어 더럽혀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충망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틀체 내에 망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연질 고무재인 끼움구를 통해 이들을 서로 고정하는 형태로 제작하게 되는데 상기의 고무재로 된 끼움구는 실외 환경에서 장기간 노출되면 경화되거나 변형되면서 망체에 대한 고정력의 약화 및 상실을 초래함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면서 틀체와 망체 간의 틈새가 발생하여 방충에 대한 효과가 약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8802호(2012. 11. 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충망을 창호의 실내측 창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창호를 설치시 별도로 방충망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 형태의 방충망이 삽입된 케이스가 창틀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방충망의 양측단이 창틀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외관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 형태의 방충망의 단부가 창문에 결합되어 창문의 개폐에 따라 방충망이 케이스 내부에서 권취되거나 풀릴 수 있는 것으로 곤충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측에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의 일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창틀의 내부에 롤 형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창문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는 방충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문은 상기 창틀의 실외측에 고정 및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실외창과, 상기 실외창의 실내측에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실내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내창은 상기 창틀이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상기 창틀에 수용되는 돌출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실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바는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창틀은 상기 실내창의 측면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방충망이 고정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 1창틀과, 상기 실외창의 측면이 결합되는 제 2창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창틀은 상기 창문의 상단 실내 및 실외에 상기 방충망이 고정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 3창틀과, 상기 제 3창틀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하부로 하강하는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접하는 제 4창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충망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실내창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방충망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창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실내창에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실내창에 걸리는 걸림체와, 상기 결합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체를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에 의하면, 방충망이 롤 형식으로 권취된 케이스가 창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별도의 방충망을 설치하지 않고 미관을 해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방충망의 단부가 실내창에 결합되어 실내창의 개폐에 따라 방충망이 케이스 내부에서 권취되거나 풀리는 것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차 없는 미서기창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는 창틀(1000)과, 상기 창틀(1000)의 내측에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창문(2000)과, 상기 창문(2000)의 일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창틀(1000)의 내부에 롤 형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창문(2000)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는 방충망(30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의 창틀(1000)은 커튼월 또는 미서기창의 프레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커튼월에서 미서기창을 설치할 때 커튼월의 프레임 외에 미서기창의 창틀(1000)이 커튼월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가 커튼월에 설치될 때에는 커튼월의 프레임이 창틀(1000) 역할을 하도록하여, 창문(2000)이 개방되었을 때 개방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방충망(3000)은 커튼월 및 미서기창의 프레임에 별도의 레일이 설치되거나 실내 및 실외측에 방충망(3000)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방충망(3000)은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건물의 디자인적 요소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문(2000)이 개방되었을 때 개방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효과를 가지기 위한 일체형 방충망 창호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창틀(1000)은 창문(2000)의 양측면이 접하는 수직창틀(1000)과, 창문(20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창틀(1000)의 상부와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창틀(1000)이 구비된다.
이 때, 수직창틀(1000)은 상기 실내창(2200)의 측면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방충망(3000)이 고정되는 수용공간(1500)을 구비하는 제 1창틀(1100)과, 상기 실외창(2100)의 측면이 결합되는 제 2창틀(1200)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 1창틀(1100)과 제 2창틀(1200) 사이에는 창문(2000)의 중심을 지지하는 중심창틀(16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1창틀(1100) 및 제 2창틀(1200)은 실내측에 구비되어 중공부를 구비하는 실내프레임(1110)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실외측에 창문(2000)을 고정하는 커버(1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실내프레임(1110)과 커버(1120) 사이에 열교차단재(1140)가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중심창틀(1600)은 창문(2000)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실외측으로 모헤어(20)가 구비된다.
제 1창틀(1100)의 실내프레임(1110)은 내부에 수용공간(1500)이 구비되어 방충망(300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500)의 실외측에 아존 등의 단열재(30)와 구획됨에 따라 구비되는 실외프레임(11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실외프레임(1130)과 실내프레임(1110)이 접하는 위치에는 수용홈(1700)이 형성되어 수용홈(1700)에는 모헤어(20)가 각각 돌출됨에 따라 창문(2000)의 일 측면이 삽입되어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실외프레임(1130)의 실외측에는 창문(2000) 방면으로 돌출되어 창문(2000)의 실외측이 접하는 단열판이 구비된다.
또한, 제 1창틀(1100)의 실내프레임(1110)과 커버(1120) 사이에는 밀착판(11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밀착판(1150)은 양단부에 걸림돌기(1160)가 구비되어 실내프레임(1110)과 커버(1120)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창틀(1000)은 제 1창틀(1100)과 제 2창틀(1200)의 상부를 연결하며, 제 1창틀(1100)과 제 2창틀(1200)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 3창틀(1300)과, 제 3창틀(1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 1창틀(1100)과 제 2창틀(1200)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 4창틀(1400)이 구비된다.
제 3창틀(1300) 및 제 4창틀(1400)은 도 4를 참조하면, 실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실내프레임(1110)이 구비되며 실외측으로 커버(1120)와 열교차단재(1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실내프레임(1110)에는 방충망(3000)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80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1800)은 방충망(3000)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방충망(3000)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가이드홈(1800)의 외측에는 방충망(3000)을 감싸는 형태로 모헤어(20)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800)은 방충망(3000)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모헤어(20) 사이에 구획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창문(2000)은 이중 및 3중으로 형성되는 유리벽체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창틀(1000)의 실외측에 고정되는 실외창(2100)과, 상기 실외창(2100)의 실내측에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실내창(22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외창(2100)은 제 2창틀(1200)의 실내프레임(1110)과 커버(1120) 사이에 단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중심창틀(1600)과 실외창(2100) 사이로 실내창(2200)이 수평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실외창(2100)은 다른 실시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되지 않고 슬라이딩될 수 있고, 제 2창틀(1200)에 일 단부가 삽입되어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실내창(2200)은 유리벽체의 일측 단부를 감싸는 결합프레임(2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프레임(2210)은 유리벽체를 감싸는 제 1결합프레임(2211)과 제 2결합프레임(2212)이 아존 등의 단열재(3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2210)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프레임(2210)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결합커버(221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창틀(1100) 및 제 3창틀(1300)과 제 4창틀(1400)과 같이 창틀(1000)과 접하는 실내창(2200)의 측단부에 결합되는 위치에는 고정프레임(2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2220)은 결합프레임(2210)과 동일하게 아존 등의 단열재(3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며, 고정프레임(2220)에서 창틀(1000) 방면으로 연장되는 돌출바(2221)와, 고정프레임(2220)의 실내측에 결합되어 방충망(3000)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2223)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바(2221)는 실내측의 고정프레임(2220)에서 창틀(1000) 방면으로 사선의 형태로 연장되는 제 1돌출바(2221a)와, 상기 제 1돌출바(2221a)에서 창틀(1000)에 형성되는 수용홈(1700)으로 삽입되는 제 2돌출바(2221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2223)는 고정프레임(2220)의 실내측에 결합되며 제 1창틀(1100) 방면에서 실내로 절곡되고, 고정바(2223)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홈(2224)에 방충망(3000)의 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걸림돌기(11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2223)의 고정홈(2224)과 타 단부에는 실내창(2200)이 중심창틀(1600)에 걸리도록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방충망(3000)은 제 1창틀(110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5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실내창(2200)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3200)과, 방충망(30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실내창(2200)에 고정되는 고정체(33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충망(3000)은 수용공간(1500)에 수용되기 위하여 케이스(3100)가 더 구비되며, 케이스(3100)는 수용공간(1500)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축(3200)에 방충망(3000)이 롤 형식으로 감겨 형성되고, 케이스(3100)의 외측으로 방충망(3000)의 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충망(3000)은 실내창(2200)의 돌출바(2221)가 결합되는 수용홈(1700)의 실내측에 형성되어 실내창(2200)이 제 1창틀(1100)과 접하게 되면 케이스(3100) 외측에 돌출되는 방충망(3000)의 일 단부가 실내창(2200)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바(2223)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방충망(3000)이 실내창(2200)의 고정바(2223)에 걸려 실내창(2200)이 개방되면 방충망(3000)이 회전하며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200)은 실내창(2200)이 개방되면 실내창(220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방충망(3000)의 단부가 창틀(1000)의 개구부로 개방되며, 실내창(2200)에서 이탈되거나 실내창(2200)이 닫히면 탄성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방충망(3000)을 케이스(3100) 내부에서 감기도록 한다.
이러한 방충망(3000)이 실내창(2200)에 고정됨에 따라 실내창(2200)의 개방에 따른 이물질 및 벌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충망(3000)의 회전축(3200)이 제 1창틀(1100)에 삽입되어 방충망(3000)에 의하여 미관이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3300)는 고정바(2223)의 고정홈(2224)에 삽입된 후 걸림돌기(1160)에 걸리도록 걸림체(3320)가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체(3300)는 다른 실시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창(2200)에 결합되는 결합체(3310)와, 상기 결합체(33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실내창(2200)에 걸리는 걸림체(3320)와, 상기 결합체(33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체(3320)를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체(33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3310)는 방충망(3000)의 일 단부가 결합되며 실내창(2200)의 고정홈(2224)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체(3310)는 일측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측면에 걸림체(332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체(3320)는 결합체(3310)의 일 측면에 걸리는 걸림판(3321)과, 걸림판(33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33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걸림체(3320)와 결합체(3310) 사이의 공간에 탄성체(3323)가 구비됨에 따라 걸림체(3320)가 탄성체(3323)에 의하여 결합체(3310) 내부로 이동한다.
그로 인해, 고정체(3300)가 고정홈(2224)에 삽입될 때 걸림체(3320)가 탄성체(3323)에 의하여 결합체(3310)의 내부로 이동한 후 걸림돌기(1160)에 걸리지 않고 고정홈(2224)에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체(3320)가 고정홈(2224)에 삽입된 후 탄성체(3323)에 의하여 이동하면 걸림돌기(1160)와 이탈방지돌기(3322)가 서로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방충망(3000)의 고정체(3300)가 실내창(2200)의 돌출바(2221)에 걸리도록 제 1돌출바(2221a)와 제 2돌출바(2221b) 사이에 결합돌기(2222)가 구비된다.
이 때, 제 1창틀(1100)의 수용홈(1700)은 방충망(3000)을 수용하는 케이스(3100)와 실내창(2200) 사이에 구비되고 수용홈(1700)에 모헤어(20)가 구비됨에 따라 수용홈(1700) 사이에 실내창(2200)의 돌출바(2221)가 삽입되면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정체(3300)가 수용홈(1700)에 안착되어 실내창(2200)의 돌출바(2221)가 수용홈(1700)에 수용될 때 고정체(3300)와 돌출바(2221)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커튼월과 동일하게 일반적인 미서기창의 실내창(2200)이 접하는 제 1창틀(1100)의 내부에 방충망(3000)의 일 단부가 실내창(2200)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미서기창은 돌출바(2221)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실외창(2100) 및 실내창(2200)의 단부에 창틀(1000)에 형성되는 레일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내창(2200)의 실내측에 고정바(2223)가 돌출되고 실내창(2200)의 걸림체(3320)가 고정바(2223)에 결합됨에 따라 방충망(3000)이 미서기창의 실내창(2200)의 슬라이딩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이 때, 창틀(1000)은 창문(2000) 방면으로 레일이 돌출되고 중공부를 구비하며, 실외측과 실내측의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열교차단재(1140)이 구비되며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일체형 방충망 창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는 창틀(1000)과, 상기 창틀(1000)의 내측에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창문(2000)과, 상기 창문(2000)의 일 단부와 결합되며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창틀(1000)에 롤 형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창문(2000)이 개방된 후 하강하는 방충망(30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창틀(1000)은 창문(2000)의 양측면이 접하는 제 1창틀(1100)과 제 2창틀(1200)이 형성되며, 창문(2000)의 상부가 접하며 방충망(30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00)을 구비하는 제 3창틀(1300)과 창문(2000)의 하부가 접하는 제 4창틀(1400)을 구비한다.
제 1창틀(1100)과 제 2창틀(1200)은 방충망(30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00)의 위치에 따라 방충망(30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800)이 각각 구비되며, 창문(20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바(2221)를 수용하는 수용홈(1700)이 형성된다.
제 3창틀(1300)은 방충망(3000)이 도 9의 (a)와 같이 창문(2000)의 실외측에 구비되거나 도 9의 (b)와 같이 창문(2000)의 실내측에 구비될 경우 수용공간(1500)이 창문(2000)의 실외측 및 실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창문(2000)의 상부에 호차가 구비되어 창문(20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제 4창틀(1400)은 상기 방충망(3000)의 단부가 제 3창틀(1300)에서 하강된 후 고정되도록 고정바(2223)가 구비되거나 제 4창틀(1400)의 상부에 방충망(3000)의 단부가 접할 수 있다.
이 때, 제 4창틀(1400)에 방충망(3000)의 단부가 고정될 경우 방충망(3000)의 단부에 고정체(3300)가 구비되며, 제 4창틀(1400)에 상부가 접할 경우 방충망(3000)과 제 4창틀(1400) 사이의 열교 현상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스켓(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창틀(1300)에서 방충망(3000)이 하강할 경우 방충망(3000)은 제어장치에 의하여 창문(2000)이 개방되면 상부에서 방충망(3000)의 단부가 자동으로 하부로 하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방충망 창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0: 창틀 1100: 제 1창틀
1200: 제 2창틀 1300: 제 3창틀
1400: 제 4창틀 1500: 수용공간
1600: 중심창틀 1700: 수용홈
1800: 가이드홈 2000: 창문
2100: 실외창 2200: 실내창
2210: 결합프레임 2220: 고정프레임
3000: 방충망 3100: 케이스
3200: 회전축 3300: 고정체

Claims (8)

  1.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측에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의 일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창틀의 내부에 롤 형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창문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는 방충망을 구비하고,
    상기 창문은 상기 창틀의 실외측에 고정 및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실외창과,
    상기 창틀이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실외창의 실내측에 슬라이딩하게 결합되는 실내창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상기 창틀에 수용되는 돌출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실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를 구비하고,
    상기 방충망은 상기 실내창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방충망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창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실내창에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일측면에 걸리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하는 걸림체와,
    상기 결합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체를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바는 실내측의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상기 창틀 방면으로 사선의 형태로 연장되는 제 1돌출바와,
    상기 제 1돌출바에서 창틀에 형성되는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제 2돌출바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실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바가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충망 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은 상기 실내창의 측면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방충망이 고정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 1창틀과,
    상기 실외창의 측면이 결합되는 제 2창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충망 창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은 상기 창문의 상단 실내 및 실외에 상기 방충망이 고정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 3창틀과,
    상기 제 3창틀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하부로 하강하는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접하는 제 4창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충망 창호.


  7. 삭제
  8. 삭제
KR1020180008280A 2018-01-23 2018-01-23 일체형 방충망 창호 Active KR101930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80A KR101930728B1 (ko) 2018-01-23 2018-01-23 일체형 방충망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80A KR101930728B1 (ko) 2018-01-23 2018-01-23 일체형 방충망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728B1 true KR101930728B1 (ko) 2018-12-19

Family

ID=6500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280A Active KR101930728B1 (ko) 2018-01-23 2018-01-23 일체형 방충망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649B1 (ko) * 2019-03-26 2019-11-08 문수용 방충망 일체형 창호
KR20210138903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두진테크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슬라이딩 창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07Y1 (ko) * 2002-05-02 2002-07-27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07Y1 (ko) * 2002-05-02 2002-07-27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649B1 (ko) * 2019-03-26 2019-11-08 문수용 방충망 일체형 창호
KR20210138903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두진테크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슬라이딩 창호
KR102450706B1 (ko) 2020-05-13 2022-10-05 주식회사 두진테크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슬라이딩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256B1 (ko)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US6470947B1 (en) Hidden window screen for sash window
KR200474282Y1 (ko) 환기창용 루버의 슬랫 조립구조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2031649B1 (ko) 방충망 일체형 창호
KR102169716B1 (ko)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20210076568A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20140128127A (ko) 창틀 보조용 덧창
CN109415924B (zh) 左右推拉窗
KR100784982B1 (ko) 고층용 창호
KR20190099873A (ko) 방충창 이탈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576178B1 (ko) 방충망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JP6297422B2 (ja) サッシ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JP5710377B2 (ja) 建具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KR200410662Y1 (ko)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JP6377414B2 (ja) 開口部装置
KR200489546Y1 (ko) 멀티프레임슬라이드 방식으로 창틀간 이격을 최소화한 창문틀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