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0435B1 - 광각줌렌즈 - Google Patents

광각줌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435B1
KR100310435B1 KR1019930029033A KR930029033A KR100310435B1 KR 100310435 B1 KR100310435 B1 KR 100310435B1 KR 1019930029033 A KR1019930029033 A KR 1019930029033A KR 930029033 A KR930029033 A KR 930029033A KR 100310435 B1 KR100310435 B1 KR 10031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refractive power
group
w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885A (ko
Inventor
이해진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3002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435B1/ko
Priority to US08/358,751 priority patent/US5526187A/en
Priority to CN94113100A priority patent/CN1116717A/zh
Priority to DE4445775A priority patent/DE4445775A1/de
Publication of KR95001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4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02B15/142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제1렌즈군내에 물체측이 오목면인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전군 렌즈군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렌즈계의 물체쪽 렌즈에서의 수차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렌즈계의 상면쪽에서의 수차 보정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파노라마 기구부의 설치가 용이하고, 컴팩트하면서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는 고배율의 광각 줌 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정(正)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과,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렌즈군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변배를 행하는 줌 렌즈에 있어서, 상기한 제1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상면측의 순(順)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전군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의 후군 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군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첫 번째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성되며, 후군 렌즈군은 적어도 4매 이상의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로 구성되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조건식 1)
4.5<|fF/fw|<13
(조건식 2)
0.005<|K/fF|<0.07
(조건식 3)
20<|(fbwㆍfF)/fw|<100
여기서,
fF: 제1렌즈군의 전군 렌즈군의 초점거리
fw: 광각단에서의 줌 렌즈의 초점거리
K: 제1렌즈군에 있어서, 상면측의 맨 끝 렌즈면에서 상면측 방향을 정의 방향이라 할 때, 제1렌즈군의 상면측의 맨 끝 렌즈면에서 제1렌즈군의 후측 주점(제2주점) 까지의 축상거리
fbw: 광각단에서의 줌 렌즈의 후초점거리

Description

광각 줌 렌즈
본 발명은 렌즈 셔터 카메라에 사용되는 줌 렌즈에 있어서 2개의 군으로 이루어진 광각 줌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제1렌즈군내에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전방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컴팩트하면서도 광각과 긴 후초점거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광각 줌 렌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근자에 이르러 렌즈 셔터용 카메라는 소형화와 함께 고배율이면서 광각인 줌 렌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또한 다 기능화가 이루어지면서 파노라마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파노라마의 장착을 위한 기구부의 부착을 위해 일반적인 컴팩트 줌 렌즈보다 긴 후초점거리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2군 구성의 렌즈 셔터용 카메라에서 큰 변배비와 광각의 화각을 가지는 줌 렌즈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은 광각단에서의 후초점거리가 짧아지는 것과 망원단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1렌즈군의 제1렌즈로서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사용하는 일본국 특개평 5-19166호(명칭: 광각 줌 렌즈, 공개일: 1993. 1. 29)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광각이면서 고배율의 줌렌즈에서 긴 후초점거리와 적당한 군 간격을 얻기 위해 제1렌즈군에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정(正)의 굴절력을 갖고 렌즈의 굴절력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구면수차와 페쯔발 합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고배율로 갈수록 수차보정이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렌즈군 내에 물체측이 오목면인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전군 렌즈군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렌즈계의 물체쪽 렌즈에서의 수차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렌즈계의 상면쪽에서의 수차 보정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파노라마 기구부의 설치가 용이하고, 컴팩트하면서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는 고배율의 광각 줌렌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정(正)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과,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렌즈군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변배를 행하는 줌 렌즈에 있어서,
상기한 제1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상면측의 순(順)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전군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의 후군 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군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첫 번째 렌즈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성되며, 후군 렌즈군은 적어도 4매 이상의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로 구성되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 렌즈를 제공한다.
(조건식 1)
4.5<|fF/fw|<13
(조건식 2)
0.005<|K/fF|<0.07
(조건식 3)
20<|(fbwㆍfF)/fw|<100
여기서,
fF: 제1렌즈군의 전군 렌즈군의 초점거리
fw: 광각단에서의 줌 렌즈의 초점거리
K: 제1렌즈군에 있어서, 상면측의 맨 끝 렌즈면에서 상면측 방향을 정의 방향이라 할 때, 제1렌즈군의 상면측의 맨 끝 렌즈면에서 제1렌즈군의 후측 주점(제2주점) 까지의 축상거리
fbw: 광각단에서의 줌 렌즈의 후초점거리
상기한 후군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정의 렌즈와 물체측이 오목면인 부의 렌즈와 2매의 정의 렌즈를 포함하면서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건식 4)
0.85<M/fw<1.5
(조건식 5)
0.05<dT/fT<0.055
여기서,
M: 제1렌즈군에 있어서 후군 렌즈군의 물체측 첫 번째 렌즈면에서 상면측 맨 끝 렌즈면까지의 축상거리
fT: 망원단에서의 줌 렌즈의 초점거리
dT: 망원단에 있어서, 제1렌즈군의 상면측 맨 끝 렌즈면에서 제2렌즈군의 물체측 첫 번째 렌즈면까지의 축상거리
상기한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이 볼록면인 정의 렌즈와 물체측이 오목면인 부의 렌즈와 상면측이 볼록면인 부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고,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건식 6)
0.35<|f2/fw|<0.55
여기서,
f2: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광각 줌 렌즈이 단면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광각 줌 렌즈의 각종 수차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광각 줌 렌즈의 단면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광각 줌 렌즈의 각종 수차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광각 줌 렌즈의 단면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광각 줌 렌즈의 각종 수차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특히, 제1도,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는 제1 렌즈군(I)과 제2 렌즈군(II)으로 이루어지며, 제1 렌즈군(I)은 전군 렌즈군(L1)과 후군 렌즈군(L2)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군 렌즈군(L1)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 렌즈(1)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이 볼록한 제2 렌즈(2)로 이루어지며, 후군 렌즈군(L2)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제3 렌즈(3),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제4 렌즈(4),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제 5 렌즈(5),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6 렌즈(6),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제7 렌즈(7)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8 렌즈(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3 렌즈(3)와 제4 렌즈(4)는 접합되어 있으며 또한 제5 렌즈(5)와 제6 렌즈(6)는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제7 렌즈(7) 및 제8 렌즈(8)도 서로 접합되어 있다.
후군 렌즈군(L2)는 적어도 4매 이상의 렌즈로 이루어진다는 기본 하에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6개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한, 제3 렌즈(3) 내지 제7 렌즈(7)만을 포함하는 5개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렌즈군(II)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면 상측면이 볼록한 제9 렌즈(9),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오목한 제10 렌즈(10),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인 제11 렌즈(1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줌 렌즈에서, 조건식 1은 제1렌즈군 내의 전군 렌즈군의 최적한 초점거리의 범위를 규정한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약해져서 전체 광학계의 레트로포커스(retrofocus)형의 성격이 약해져서 후초점거리의 확보가 힘들어진다.
반면에 하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강하게 되어 광각단에서의 코마수차의 보정이 힘들어지게 된다.
조건식2는 제1렌즈군의 상측 맨 끝 렌즈에서 제1렌즈군의 후주점까지의 축상거리를 규정하는 것으로, 그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1렌즈군의 후주점이 제1렌즈군과 분리되고, 레트로포커스형이 너무 강해져서 코마수차와 비점수차가 커지게 된다.
반면에 하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광각단에서의 후초점거리의 확보와 망원단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의 간격 확보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조건식3은 전군 렌즈군의 초점거리와 광각단에서의 후초점거리의 최적한 관계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작아져서 전체 줌 렌즈의 레트로포커스형의 구성이 깨어지는데, 광각단에서의 후초점거리를 무리하게 확보할려는 경우로서 이 경우 망원단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간격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그 하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극단적으로 커져서 망원단에서의 코마수차가 커지게 된다.
조건식4는 후군 렌즈군의 물체측 첫 번째면에서 상면측 맨 끝 렌즈까지의 최적한 축상거리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후군의 두께가 두꺼워져 전체 렌즈계가 대형화되며, 반면에 그 하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전체 렌즈계는 작아지지만 왜곡수차 및 코마수차가 커지게 된다.
조건식5는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최적한 간격을 규정하는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하면 망원단에서의 코마수차가 커지게 되며, 그 하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차보정은 용이하나 간격이 좁아지므로 기구설계가 힘들어져 실용성이 저하되게 된다.
조건식6은 후군 렌즈군의 최적한 초점거리를 규정한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하면 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약해져서 변배를 위한 후군 렌즈군의 이동량이 커져서 망원단에서의 전체 렌즈계의 전장이 길어지게 되며, 그 하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강해져서 왜곡수차 및 코마수차의 보정이 힘들게 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광각 줌 렌즈의 측단면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광각 줌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정(正)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I)과,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렌즈군(I, Ⅱ)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서 변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1렌즈군(I)은 물체측에서 상면측 순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전군 렌즈군(L1)와,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군 렌즈군(L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군 렌즈군(L1)는 물체측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군 렌즈군(L2)는 적어도 4매 이상의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제3렌즈(3) 내지 제8렌즈(8))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조건식 1)
4.5<|fF/fw|<13
(조건식 2)
0.005<|K/fF|<0.07
(조건식 3)
20<|(fbwㆍfF)/fw|<100
여기서,
fF: 제1렌즈군의 전군 렌즈군의 초점거리
fw: 광각단에서의 줌 렌즈의 초점거리
K: 제1렌즈군에 있어서, 상면측의 맨 끝 렌즈면에서 상면측 방향을 정의 방향이라 할 때, 제1렌즈군의 상면측의 맨 끝 렌즈면에서 제1렌즈군의 후측 주점(제2주점) 까지의 축상거리
fbw: 광각단에서의 줌 렌즈의 후초점거리
상기한 후군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정의 렌즈와 물체측이 오목면인 부의 렌즈와 2매의 정의 렌즈를 포함하면서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건식 4)
0.85<M/fw<1.5
(조건식 5)
0.05<dT/fT<0.055
여기서,
M: 제1렌즈군에 있어서 후군 렌즈군의 물체측 첫 번째 렌즈면에서 상면측 맨 끝 렌즈면까지의 축상거리
fT: 망원단에서의 줌 렌즈의 초점거리
dT: 망원단에 있어서, 제1렌즈군의 상면측 맨 끝 렌즈면에서 제2렌즈군의 물체측 첫 번째 렌즈면까지의 축상거리
상기한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이 볼록면인 정의 렌즈와 물체측이 오목면인 부의 렌즈(10)와 상면측이 볼록면인 부의 렌즈(11)로 구성되어 있고,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건식 6)
0.35<|f2/fw|<0.55
여기서,
f2: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줌 렌즈에서, 조건식 1은 제1렌즈군 내의 전군 렌즈군의 최적한 초점거리의 범위를 규정한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약해져서 전체 광학계의 레트로포커스(retrofocus)형의 성격이 약해져서 후초점거리의 확보가 힘들어진다.
반면에 하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강하게 되어 광각단에서의 코마수차의 보정이 힘들어지게 된다.
조건식2는 제1렌즈군의 상측 맨 끝 렌즈에서 제1렌즈군의 후주점까지의 축상거리를 규정하는 것으로, 그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1렌즈군의 후주점이 제1렌즈군과 분리되고, 레트로포커스형이 너무 강해져서 코마수차와 비점수차가 커지게 된다.
반면에 하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광각단에서의 후초점거리의 확보와 망원단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의 간격 확보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조건식3은 전군 렌즈군의 초점거리와 광각단에서의 후초점거리의 최적한 관계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작아져서 전체 줌 렌즈의 레트로포커스형의 구성이 깨어지는데, 광각단에서의 후초점거리를 무리하게 확보할려는 경우로서 이 경우 망원단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간격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그 하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극단적으로 커져서 망원단에서의 코마수차가 커지게 된다.
조건식4는 후군 렌즈군의 물체측 첫 번째면에서 상면측 맨 끝 렌즈까지의 최적한 축상거리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후군의 두께가 두꺼워져 전체 렌즈계가 대형화되며, 반면에 그 하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전체 렌즈계는 작아지지만 왜곡수차 및 코마수차가 커지게 된다.
조건식5는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최적한 간격을 규정하는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하면 망원단에서의 코마수차가 커지게 되며, 그 하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차보정은 용이하나 간격이 좁아지므로 기구설계가 힘들어져 실용성이 저하되게 된다.
조건식6은 후군 렌즈군의 최적한 초점거리를 규정한 것으로서, 그 상한치를 초과하면 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약해져서 변배를 위한 후군 렌즈군의 이동량이 커져서 망원단에서의 전체 렌즈계의 전장이 길어지게 되며, 그 하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후군 렌즈군의 굴절력이 강해져서 왜곡수차 및 코마수차의 보정이 힘들게 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했을 때,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로 보정이 가능함에 따라 양호한 광학 성능을 보전하게 됨과 아울러 파노라마 기구부의 설치가 용이하고, 컴팩트하면서 고배율의 광각 줌렌즈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조건식과 수치 실시예에 의한 제수치와의 관계를 표1에 나타낸다.
여기서 FNO는 F수, f는 초점거리, fB는 후초점거리, 2ω는 화각, d는 렌즈의 두께 또는 공기간격, N은 렌즈의 d-line 굴절율,ν는 렌즈의 아베수이다.
[표 1]
이와 같은 조건식 1 내지 조건식 6에 기재된 조건값은 다음과 같다.
(조건식 1)
|fF/fw|;5.001
(조건식 2)
|K/fF|;0.019
(조건식 3)
|(fbwㆍfF/fw)|;42.504
(조건식 4)
M/fw;0.955
(조건식 5)
dT/fT;0.029
(조건식 6)
|f2/fw|;0.487
<실시예 2>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광각 줌 렌즈의 측단면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광각 줌 렌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물체측으로부터 정(正)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I)과,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렌즈군(I, Ⅱ)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서 변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1 렌즈군(I)의 후군 렌즈군(L2)이 5개의 렌즈인 제3 렌즈(3) 내지 제7렌즈(7)로 이루어진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는 제1실시예의 각각의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도 보정이 가능함에 따라 작용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조건식과 수치 실시예에 의한 제수치와의 관계를 표2에 나타낸다.
[표 2]
이와 같은 조건식1 내지 조건식 6에 기재된 조건값은 다음과 같다.
(조건식 1)
|fF/fw|;5.002
(조건식 2)
|K/fF|;0.032
(조건식 3)
|(fbwㆍfF/fw)|;40.004
(조건식 4)
M/fw;0.900
(조건식 5)
dT/fT;0.034
(조건식 6)
|f2/fw|;0.500
<실시예 3>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광각 줌 렌즈의 측단면도로서, (a)는 광각단 상태, (b)는 망원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광각 줌 렌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물체측으로부터 정(正)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I)과,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렌즈군(I, Ⅱ)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서 변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제1 실시예의 각각의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도 보정이 가능함에 따라 작용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조건식과 수치 실시예에 의한 제수치와의 관계를 표3에 나타낸다.
[표 3]
이와 같은 조건식1 내지 조건식 6에 기재된 조건값은 다음과 같다.
(조건식 1)
|fF/fw|;10.011
(조건식 2)
|K/fF|;0.008
(조건식 3)
|(fbwㆍfF/fw)|;79.925
(조건식 4)
M/fw;1.001
(조건식 5)
dT/fT;0.033
(조건식 6)
|f2/fw|;0.45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각 줌 렌즈는, 제1렌즈군내에 물체측으로부터 첫 번째 렌즈면이 오목이면서 부의 렌즈를 포함하는 전군 렌즈군을 사용함으로써, 긴 후초점거리를 가지고 광각단에서의 화각이 70도 이상이면서 양호한 결상 성능을 갖는 고배율의 렌즈를 구현함과 아울러 컴팩트한 줌 렌즈를 얻을 수 있으며, 수차 보정이 용이하면서도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게 되며, 특히 파노라마 기구부의 설치가 용이하여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물체측으로부터 정(正)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과,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렌즈군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변배를 행하는 줌 렌즈에 있어서,
    상기한 제1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차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전군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의 후군 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군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첫 번째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를 포함하고, 후군 렌즈군은 적어도 4매 이상의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을 포함하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 렌즈.
    (조건식 1)
    4.5<|fF/fw|<13
    (조건식 2)
    0.005<|K/fF|<0.07
    (조건식 3)
    20<|(fbwㆍfF)/fw|<100
    여기서,
    fF: 제1렌즈군의 전군 렌즈군의 초점거리
    fw: 광각단에서의 줌 렌즈의 초점거리
    K: 제1렌즈군에 있어서, 상면측의 맨 끝 렌즈면에서 상면측 방향을 정의 방향이라 할 때, 제1렌즈군의 상면측의 맨 끝 렌즈면에서 제1렌즈군의 후측 주점(제2주점) 까지의 축상거리
    fbw: 광각단에서의 줌 렌즈의 후초점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군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정의 렌즈와 물체측이 오목면인 부의 렌즈와 2매의 정의 렌즈를 포함하면서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 렌즈.
    (조건식 4)
    0.85<M/fw<1.5
    (조건식 5)
    0.05<dT/fT<0.055
    여기서,
    M: 제1렌즈군에 있어서 후군 렌즈군의 물체측 첫 번째 렌즈면에서 상면측 맨 끝 렌즈면까지의 축상거리
    fT: 망원단에서의 줌 렌즈의 초점거리
    dT: 망원단에 있어서, 제1렌즈군의 상면측 맨 끝 렌즈면에서 제2렌즈군의 물체측 첫 번째 렌즈면까지의 축상거리
  3. 제1항에 있어서,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이 볼록면인 정의 렌즈와 물체측이 오목면인 부의 렌즈와 상면측이 볼록면인 부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고,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 렌즈.
    (조건식 6)
    0.35<|f2/fw|<0.55
    여기서,
    f2: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
KR1019930029033A 1993-12-22 1993-12-22 광각줌렌즈 Expired - Fee Related KR10031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033A KR100310435B1 (ko) 1993-12-22 1993-12-22 광각줌렌즈
US08/358,751 US5526187A (en) 1993-12-22 1994-12-19 Wide angle zoom lens
CN94113100A CN1116717A (zh) 1993-12-22 1994-12-20 广角变焦镜头
DE4445775A DE4445775A1 (de) 1993-12-22 1994-12-21 Weitwinkel-Zoom-Objekti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033A KR100310435B1 (ko) 1993-12-22 1993-12-22 광각줌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885A KR950019885A (ko) 1995-07-24
KR100310435B1 true KR100310435B1 (ko) 2001-12-28

Family

ID=1937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0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0435B1 (ko) 1993-12-22 1993-12-22 광각줌렌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26187A (ko)
KR (1) KR100310435B1 (ko)
CN (1) CN1116717A (ko)
DE (1) DE4445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038A (ja) * 1994-12-22 1996-09-03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系
JP3409231B2 (ja) * 1995-09-28 2003-05-26 コニカ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KR100354428B1 (ko) * 1995-12-11 2003-01-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광각변배파인더
US5999331A (en) * 1997-02-07 1999-12-07 Minolta Co., Ltd. Zoom lens system
JP3495622B2 (ja) * 1998-12-22 2004-02-0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US7173777B1 (en) * 2006-02-14 2007-0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lens and display device for multimedia and othe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609A (en) * 1987-07-13 1988-07-12 Eastman Kodak Company Four component compact zoom lens
JP3294870B2 (ja) * 1991-07-04 2002-06-2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3063248B2 (ja) * 1991-07-17 2000-07-12 株式会社ニコン 広角ズームレンズ
JP3294911B2 (ja) * 1993-07-27 2002-06-2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717A (zh) 1996-02-14
DE4445775A1 (de) 1995-06-29
US5526187A (en) 1996-06-11
KR950019885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54325B2 (ko)
JP4356040B2 (ja) 防振機能を備えたバックフォーカスの長いズームレンズ
JPH0777656A (ja) ズームレンズ
JPH08248312A (ja) ズームレンズ
JPH08320435A (ja) 広角ズームレンズ
KR0172009B1 (ko) 광각 줌렌즈
JP3849129B2 (ja) ズームレンズ
JPH1020193A (ja) ズームレンズ
JPH11258506A (ja) ズームレンズ
JPH10253885A (ja) 広角ズームレンズ系
JPH0642017B2 (ja) コンパクトなズ−ムレンズ
JP3821330B2 (ja) ズームレンズ
US6421186B2 (en) Zoom lens system
JPH09127415A (ja) 2群ズームレンズ
KR100310435B1 (ko) 광각줌렌즈
JP2546293B2 (ja) 小型のズームレンズ
JPH06175026A (ja) 広角域を含むズームレンズ
KR0124951B1 (ko) 광각 줌 렌즈
JPH0772390A (ja) 小型のズームレンズ
JP3015167B2 (ja) 広角系ズームレンズ
KR100256205B1 (ko) 소형 줌렌즈
JP5137715B2 (ja) テレコンバータ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711717B2 (ja) 有限距離用高変倍ズームレンズ
JP2643215B2 (ja) ズームレンズ
JPH0850238A (ja) 広角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9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91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