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0025B1 - 무선통신에있어서의요금부과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에있어서의요금부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025B1
KR100310025B1 KR1019930023018A KR930023018A KR100310025B1 KR 100310025 B1 KR100310025 B1 KR 100310025B1 KR 1019930023018 A KR1019930023018 A KR 1019930023018A KR 930023018 A KR930023018 A KR 930023018A KR 100310025 B1 KR100310025 B1 KR 10031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eiving
host
information
char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574A (ko
Inventor
쭈무라미호지
Original Assignee
츠무라 미호지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593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98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2615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98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1671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692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02061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622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082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31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529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3755B2/ja
Application filed by 츠무라 미호지,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스 filed Critical 츠무라 미호지
Publication of KR94001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0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성통신을 주로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 유로정보를 수신장치가 이용했을 때에 확실하게 징수하는 것을 기초로 되는 시스템이다. 각종의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7)에 격납한 호스트컴퓨터(6)와 송신기로 된 송신측의 주장치(2)와, 무선통신에 의하여 전송되는 상기한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장치(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주장치에서 송신되는 각종 데이타의 신호프레임에는 각각 데이타의 종류에 따른 식별코드가 부가된다. 상기한 수신장치에서는 수신된 데이타의 종류에 따라서 처리를 실시하는 신호처리회로(14)와, 이 처리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이용상황기억기(18)를 보유한다. 이용상황은 축적되고, 합계이용요금을 산출하기 위하여 주장치 측에서 제공하는 환산데이타에 의거하여 이용요금이 연산되고 호스트국인 주장치 측으로 각 수신장치의 이용요금이 귀환(feed back)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요금부과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 시스템의 전체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주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수신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또 실시예의 전체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5도는 더욱 다른 실시예의 전체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 이용하는 수신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7도는 제5도에서 이용하는 수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8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전체의 블록도.
제9도는 그것에 이용하는 수신장치의 블록도.
제10도는 수신장치의 암호화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11도는 수신장치의 요금 미불에 의한 동작정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12도는 제11도에 대응하는 호스트국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위성 (2) : (송신측의)주장치
(3) : 수신장치 (4) : 요금부과회선
(5) : 공중회선망 (5a) : 전화국
(6) : 호스트컴퓨터 (7) : 데이타베이스
(8) : 송신기 (9), (10) : 안테나
(11) : 튜너 (12) : 수신데이타처리부
(13) : 제어용 CPU (14) : 신호처리회로
(14a) : 비디오신호처리회로 (14b) : 카라오케신호처리회로
(14c) : 게임신호처리회로 (15a), (15b), (15c) : 출력단말
(16) : 조작패널 (17) : 표시패널
(18) : 이용상황기억기 (19) : 데이타통신모뎀
본 발명은 무선통신, 특히, 위성통신을 이용한 음악정보, 영상정보 혹은 뉴스등의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서비스에 있어서, 개별적인 정보마다 또, 정보의 단위마다 효율좋게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에 관한 것이다. 또, 무선통신으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수신자측이 무단으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명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정보 사용료를 징수하는 것이다. 또, 수신자측이 결정된 기간 내에 요금지불을 태만히 했을 경우에, 호스트국인 송신자측의 제어에 의하여 수신단말장치의 이용을 정지하는 시스템도 명시하여 정보 제공자가 건전한 운영을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라디오방송이나 텔레비젼방송, 혹은 위성을 이용한 위성통신이 보급되고 있다. 무선통신에서는 전화회선과 같이 쉐이크핸드(shake hand)로 교신을 실시하고, 이것을 전화국이 관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할 수 없으므로, 정보사용료를 어떤 방법으로 요금을 부과하고 징수하는가가 큰 과제이다.
텔레비젼 방송에 있어서, 현재 광범위하게 실시하고 있는 방법으로는, 텔레비젼 장치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반드시 그 채널을 선택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최근의 위성통신에서는, 송신시 신호에 스크램블(scramble)을 부가하여 수신자측에서는 이것을 해제하기 위한 복호기를 별도로 설치하며, 이 복호기를 설치한 경우에 결정된 월별요금을 징수하는 시스템도 보급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 사용료의 지불은 오로지 단말장치의 이용자가 자주적으로 납부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요금 징수의 효율은 대단히 나쁘다. 또, 복호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수신자측이 전파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지만, 수신자측에 복호기를 설치해야 하는 부대비용을 요구하게 되므로, 가입 수신자 수가 증가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요금 체계는 월액으로 고정 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요금을 수시로 징수할 수는 없다. 따라서, 송신자측에서는 고액의 정보만을 방송할 수는 없으며, 그 반면, 인기있는 정보를 충실히 송신하지 않으면 수신 가입자수가 증가하지 않는 상반되는 문제도 있다.
그런데, 종래부터 쌍방향 통신으로서 전화회선을 사용한 경우의 정보 이용에 대한 요금부과에서는, 부당한 정보의 이용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써, 수신 단말로부터 호스트국으로 송출하는 "이용신청정보"로서, 64비트 정도로 "이용자번호, 정보번호"를 업로드하고, 이것에 따라 호스트국에서는 "이용허가" 신호가 송출된다. 이 이용허가 신호에는 통신상의 안전 때문에 96비트 정도로 "이용허가, 이용자번호, 단말번호, 정보번호"가 비트스트림(bit stream)에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요금부과 때문에 데이타가 짧으므로 통신시간이 짧게 끝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데이타의 해석이 대단히 쉬워서 제3자가 번호를 쉽게 도용할 수 있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이것은 요금부과의 확인을 위한 수신단말과 호스트국과의 신호의 주고받음이 정당한 수속에 따른 것이라면 문제는 없지만, 다른 루트로 실시된 경우에는 정보가 부당하게 이용된다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수신단말 내부에 있어서 확인처리를 부정하게 실시하거나, 호스트국 이외의 곳에서 요금부과의 확인 신호를 발신한 경우에는 호스트국이 요금부과의 관리를 할 수 없고, 요금징수할 수 없는 채로 여러가지의 정보가 이용된다.
또 이 장치에서는 요금이 확실하게 지불되고 있는 것의 확인은 정보를 이용할 때 마다 실시되므로 대단히 번잡함과 동시에 호스트국 및 단말장치측의 부담도 크다. 또, 1개의 정보마다 이와 같은 수속이 필요하다고 하면, 연속하여 정보이용을 요구할 경우라도 1회마다 확인 순서를 밟지 않으면 안되고, 회선의 접속시간도 그 부분만큼 여분으로 작용하게 되고, 호스트국으로서는 통신량의 악화에 의한 효율 저하를 어쩔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점은 수신측으로부터 반드시 월액의 요금을 징수하지 않고도 수신측이 이용한 정보의 단가 및 빈도에 따라서 적정하게 요금부과를 징수할 수 있는 장치를 명시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송신자측인 호스트국과 수신자측인 수신단말 사이에서 공통된 암호를 이용하고, 이것에 의하여 타인이 용이하게 정보를 도용할 수 없는 장치를 명시하고, 보다 확실한 요금 징수를 실시하는 것이다.
또, 호스트국이 지정한 시간에 수신단말에서 이용상황을 업로드하고, 호스트국에서 수신단말의 이용상황을 파악하는 수단을 명시하며, 호스트국에 있어서 전체 수신단말을 집중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최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종 데이타를 격납한 호스트컴퓨터 및 송신기로 된 송신측의 주장치와, 상기한 각종 데이타에 따라서 처리실행하는 수신장치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한 주장치에서 송신되는 데이타의 신호프레임에는 상기한 데이타의 종류에 따른 식별데이타가 기입된다. 상기한 수신장치에서는 수신된 데이타 중에서 실행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식별데이타를 장치내에 설치된 이용상황기억기에 기억한다. 그리고, 상기한 주장치에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환산데이타에 따라서, 기억한 식별데이타를 연산하여 정기적으로 이용요금을 계산하는 수단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수단에 있어서, 주장치와 수신장치는 위성통신에 대표되는 무선통신에 의하여 연락되어 카라오케(karaoke) 데이타, 게임데이타 혹은 비디오신호를 디지탈화한 데이타 등을 송수신한다. 수신장치에서는 주장치에서 송신되는 각종 데이타 중에서, 처리 및 실행을 실시한 데이타에 부수(付隨)하는 식별데이타를 이용상황 기억기에 기억시켜 요금 계산의 기초로 한다. 주장치에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환산데이타는 각 식별데이타 마다 요금부과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것이고, 이 환산데이타와 기억되어 있는 식별데이타를 비교하여 연산함으로서 정기의 요금이 산출된다.
또, 최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수신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타 중 실행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식별부호를 상기한 수신장치 내에 설치된 이용상황기억기에 축적하지만, 각 식별부호 마다 실행빈도를 구해서 이것을 빈도데이타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수신장치를 상기한 주장치와 병렬로 설치하여, 식별부호 마다 사용요금을 데이타테이블로서 보유하는 요금부과장치와 전화회선에 의하여 접속한다. 이어서, 상기한 이용상황기억기에 축적된 빈도데이타를 일정기간 마다 요금부과장치에 업로드하고, 상기한 데이타테이블을 참조하면서 일정기간의 사용요금을 계산하는 수단을 사용하였다.
이 수단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기술로서는 요금부과장치를 송신측의 주장치와 병렬로 설치한 것이고, 이 요금부과장치에 의하여 각 수신장치의 일정기간마다 사용 요금을 계산하는 기능을 실시한다. 수신장치에서는 주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 중 처리 및 실행을 실시한 데이타에 부수하는 식별부호의 사용빈도(출현빈도)를 이용상황기억기에 기억시켜 요금계산의 기초로 한다. 요금부과장치의 데이타테이블은 사용요금을 계산할 때의 대조표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요금부과장치에 업로드된 빈도데이타를 데이타테이블을 참조하면서 연산하며, 일정기간의 데이타 사용요금을 계산하는 것이다.
또한 최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의 특징은 주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타의 신호프레임에는 각종 데이타별의 식별부호가 기입되는 한편, 수신장치 내에는 IC카드의 읽고쓰기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수신장치에서는 실행된 데이타의 식별부호를 축적하고, 이 축적된 요금부과 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한 읽고쓰기장치에 끼워진 IC카드에 정보를 기입하여, IC카드에 미리 기입된 금액으로부터 이용금액을 감산하거나, IC카드 정보로서 이용 금액을 그대로 기입하는 수단을 사용하였다.
IC카드의 읽고쓰기장치는 수신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고, IC카드에 내장되어 있는 RAM에 기입된 내용을 읽어내거나 새로운 데이타를 기입하는 기능을 실시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는 IC카드는 정보이용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데이타 이용이력 혹은 소위 선납(pre-paid)카드로서 잔액요금데이타가 기입되어 있고, 데이타이용이력이 기입되는 구성에서는 주장치에 그 데이타를 송신하고, 주장치 내의 요금부과장치에 의하여 요금연산이 실시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선납카드로서 기능시키는 경우에는 수신장치가 보유하는 데이타테이블에 의거하여 부과요금이 연산되고 IC카드에 기입되어 있는 이용한도액을 고쳐쓰고 갱신하게 된다.
또 다른 수단으로서, 수신장치 내에는 수신된 데이타 중 실행된 데이타의 식별부호를 기억하는 이용상황 카운터를 설치하고, 송신측에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요금환산 데이타와 이용상황 카운터에 기억된 식별부호를 대조함으로서 요금데이타를 연산하는 기술을 채용한다. 그리고, 요금데이타는 단말장치 내의 CATV어댑터 제어회로에서 CATV이용요금에 의거한 횟수데이타로 변환되고, 수신장치로부터 횟수데이타를 CATV국으로 업로드하며, CATV국에서는 그 수신장치에 대하여 상기한 횟수데이타에 걸맞은 무엇인가의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이 다운로드에 의하여 CATV정보 사용료에 대체하는 수단을 사용하였다.
CATV어댑터 제어회로는 요금데이타를 CATV에 있어서의 정보이용요금에 의거한 횟수데이타로 변환하고 CATV어댑터를 통하여 CATV국에 업로드한다. 이 횟수데이타는 수신장치가 CATV국에 대하여 횟수에 따른 요금부과를 보고하는 작용을 실시하는 것이다. 또, CATV국 측에서는 이 횟수데이타를 보통의 유료정보의 요금부과와는 달리 처리하는 한편, 횟수데이타에 걸맞은 정보를 수신장치에 대하여 다운로드함으로서 위성통신에 있어서의 정보이용요금에 대하여 대체적(代替的)으로 요금 부과처리한다.
또, 정보의 무단이용을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국에서 수신단말 측으로 무선으로 각종 데이타를 통신함과 동시에 양자를 전화회선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수신단말은 특정한 데이타의 처리에 앞서서 상기한 호스트국에 데이타의 식별번호를 함유한 이용신청정보를 전화회선으로 업로드하고, 상기한 호스트국에서는 암호순서를 수신단말에 송출한다. 수신단말에서는 이 암호순서에 따라 재차 업로드된 이용신청정보를 이전의 이용신청정보와 대조하여 동일한 경우에 호스트국에서 수신단말 측으로 전화회선으로 이용허가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사용하였다.
호스트국과 수신단말과는 무선 및 유선의 양자로 연락되어 있고, 무선통신은 호스트국에서 정보통신용으로 일방통행의 통신기능을 실시하고, 전화회선은 정보의 무단이용의 방지, 더 나아가서는 적정한 정보사용료에 대한 요금부과를 실시하기 위한 쌍방행 통신을 실시한다. 또, 암호순서는 제3자의 정보의 무단이용을 방지하는 작용을 보유하는 것으로서, 수신단말이 적정한 순서에 따라서 암호화됐을 때만 호스트국이 이용허가를 부여하는 일련의 동작을 보증한다. 한편, 수신단말의 수신 유닛은 무선통신에 의하여 전송된 데이타를 검파 및 복조하고, 더욱 패킷(packet)화된 데이타 등을 복호하고, CPU가 처리될 수 있는 데이타열로 처리하는 기능을 보유한다. 정보재생 유닛에서는 각종의 정보에 따른 데이타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서, 수신유닛에서 송출되는 데이타열을 CPU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작성된 데이타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또, 프로그램을 꺼내어 읽는 것은 호스트국에서 이용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처음 가능하게 함으로서 정보의 무단이용을 방지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정보사용료의 미불인 수신장치에 대해서, 호스트국에는 다수의 정보를 격납한 데이타베이스와 복수의 수신장치의 고유의 ID 및 정보이용회수나 요금지불에 관한 고객의 데이타베이스를 보유하는 것으로 하여, 상기한 수신장치에서의 요청(request)에 따라서 상기한 고유의 ID와 함께 요청된 정보를 호스트국이 무선송신한다. 그리고, 호스트국이 지정한 액세스 일시(日時)에 상기한 수신장치가 호스트국을 액세스하고 고유의 ID에 의거하여 호스트국에서는 상기한 고객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한다. 그리고, 요금이 지불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한 수신장치에 대하여 다음의 이용가능기간의 갱신 및 다음회의 액세스 일시를 송출한다. 한편, 요금지불을 확인할 수 없을 때에는 단기간의 이용가능기간의 갱신 및 단기간 후의 액세스 일시를 지정하고 이 단기간 후의 액세스 일시까지 요금지불을 확인하지 않을 때 및 액세스를 확인하지 않을 때에는 호스트국에서 단말장치에 대하여 이용정지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사용하였다.
호스트국과 수신단말과는 무선 및 유선의 양자로 연락하고 있고, 무선통신은 호스트국에서 정보통신용으로 일방통행의 통신기능을 실시하고, 유선회선은 적정한 정보사용료에 대한 요금부과를 확인하기 위한 쌍방행통신기능을 실시한다. 또, 호스트국에 있어서의 고객의 데이타베이스는 복수의 단말장치 마다 고유의 ID관리 및 요청의 횟수나 결정된 시기까지의 요금지불의 유무 등이 데이타로서 파일되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말의 이용정지수단을 위한 기초데이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 고객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함으로서 요금지불의 유무를 확인하지만, 요금지불이 실시되고 있을 때에는 그 단말장치가 요청을 실시할 수 있는 이용가능 시기를 갱신하는 작용을 보유한다. 또, 다음회 액세스 일시를 지정함으로서 더욱 요금지불의 확인을 진행한다. 한편, 요금지불의 확인이 없었을 때의 단시간의 이용가능 시기의 갱신 및 액세스 일시의 지정은 이용정지에 이르는 최종적인 처리수속으로 기능한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 구성, 이익 등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무선통신에는 위성통신 및 지상파통신의 양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무선방송에는 위성방송 및 지상파방송의 양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복수의 실시예로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위성통신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부호1은 결정된 궤도에 쏘아올려져 있는 통신위성, 부호2는 송신측의 주장치로 호스트국으로서 기능하는 것, 부호3은 수신장치, 부호4는 요금부과회선, 부호5는 공중회선망, 부호5a는 전화국이다. 수신장치(3)는 요금부과회선(4)을 통하여 전화국(5a)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장치(3)는 제1도의 설명에서는 1대만 설치되어 있지만 실제예는 복수의 수신장치가 병렬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주장치(2)는 제2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호스트컴퓨터(6)가 주가 되고, 이 호스트컴퓨터(6)가 제어하는 데이타베이스(7), 송신기(8), 위성통신용의 안테나(9)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위성(1)이 가지고 있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복수의 채널을 설정하여 멀티채널방송이 가능하므로, 이 경우에는 주장치(2)에서 각 채널마다 다른 종류의 정보를 적용해서 복수 채널의 신호가 통신위성(1)으로 향해서 송신된다. 복수의 채널에 적용되는 정보는 여러가지가 있다. 한 예로서 카라오케의 음악 및 가사정보를 독립된 채널로 하고 컴퓨터게임의 데이타나 프로그램을 독립된 채널로 하는 등, 이용자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수신장치(3)의 내부구성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호10은 수신안테나, 부호11은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로서 주장치(2)로부터 송신되어 통신위성(1)에 의하여 증폭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송신의 대상으로 되는 신호는 영상신호라면 비디오신호 혹은 이것을 디지탈신호로 변환한 데이타, 카라오케나 게임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타라면 디지탈신호의 형태로 통신된다. 튜너(11)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채널의 대역에 충분히 적응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병렬처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부호12는 버퍼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을 구비한 수신데이타처리부로서, 튜너(11)에서 복수채널의 신호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에 각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시키거나, 헤더(header)가 후터(footer)등의 통신프로토콜의 실현에 사용되는 데이타열을 처리하고, 필요한 정보만을 꺼내는 등의 기본적인 처리를 실시한다. 부호13은 수신장치(3) 전체를 제어하거나 미리 기입된 처리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수신데이타처리부(12)를 제어하거나 필요한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용 CPU이다. 부호14는 신호처리회로로서 비디오신호처리회로(14a), 카라오케신호처리회로(14b), 게임신호처리회로(14c) 등 송수신신호의 정보종류에 대응하여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는 회로가 병렬로 설치된다. 각 처리회로의 출력은 출력단말(15a), (15b), (15c)에 접속되어 있어서 비디오 단자(15a)면 디스플레이(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게임단자(15c)면 컴퓨터게임기(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원하는 유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부호16은 조작패널, 부호17은 표시패널로서, 표시패널(17)에 표시된 정보리스트 등에 의거하여 조작패널(16)에 설치된 키(key)나 버튼를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한다. 이상으로 수신장치(3)의 수신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필요한 구성을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모드로써 위성통신을 사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지상파통신이라도 구성으로서는 기본적으로 변하는 점은 없다. 단, 통신위성(1)은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에서는 생략되고 안테나의 구조도 이용하는 대역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은 당연하다.
계속하여 정보이용의 요금부과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부호18은 이용상황기억기이고, 신호처리회로(14)에 있어서의 각 정보의 이용 상황을 각 회로(14a~14c)마다 이용회수로서 카운트하여 축적한다. 이 축적된 결과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이용요금을 산출한다. 이용상황을 카운트하기 위한 정보는 송신신호의 비트스트림(bit stream)속에 코드로서 삽입한다. 예를 들면 카라오케, 게임 등의 정보의 종류에 따른 식별데이타를 신호프레임의 헤더부분에 상기한 정보를 기입해 둔다. 튜너(11)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어용CPU(13)에서 처리되고, 조작패널(16)에 의하여 선택된 데이타가 대응하는 처리회로(14a~14c)에 의하여 처리되지만, 여기서 처리를 실시한 부분만큼이 이용상황기억기(18)에 종별을 포함해서 기억된다. 이것에 의해 다음에, 송신측에서 정기적으로 정보종별마다 1회실행하기 위한 단가가 환산데이타로서 송신되므로, 이용상황기억기(18)에 축적된 식별데이타의 빈도와 대조하고 연산하여 정기마다 금액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의 종별마다 단가를 균일하게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개별적인 정보에 대하여 달라진 단가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이용상황기억기(18)에서는 데이타프레임 속에 기입된 식별데이타만을 읽어내어서 데이타테이블의 형태로 기억해 둔다. 그리고 송신측에서 단가를 표시하는 데이타열인 환산데이타를 수신하면 테이블을 조회하여 이용금액을 연산하고 총액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의 단가를 표시하는 데이타를 미리 수신장치(3)에 기억시키지 않고, 정기적으로 송신측에서 송신데이타로서 공여(供與)하는 것은 적당한 단가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장치(3)의 내부에서 연산하여 결정된 금액은 데이타통신 모뎀(19)에서 출력되고, 요금부과회선(4)을 통하여 전화국(5a)으로 전송된다. 이 요금부과회선(4)은 한 예로서 이용하고 있는 시간에 걸맞는 부가가치를 전화국(5a)측이 대행징수하고, 대행요금을 공제한 액수를 정보제공자(이 경우에는 송신측)에서 지불한다고 하는 공지의 시스템을 채용해도 좋고, 이것에 의하여 보통의 전화이용요금에 상승시켜서 전화회사가 징수하게 된다. 여기서는 요금징수를 전화국(5a)에 대한 수신측에서의 통화요금에 포함해서 대행 징수하도록 했지만, 그외의 예로서 예를 들면 수신측에서 송신측의 호스트컴퓨터(6)를 전화회선으로 액세스하여 정기적인 이용요금을 등록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일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요한 것은 수신측이 송신측에서 제공되는 요금데이타인 환산데이타에 의거하여 정보이용금액을 연산하고 정기적으로 이것을 송신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제2실시예의 전체를 표시하는 블록도로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위성통신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면중 부호 31은 통신위성, 부호32는 송신장치이고, 부호32a는 정보를 신호로서 송신하기 위한 주장치, 부호 32b는 이용요금을 계산하기 위한 요금부과 장치, 부호33은 수신장치, 부호34는 전화회선, 부호35는 전화회선망이고, 요금부과장치(32b)와 수신장치(33)는 전화회선(4)에 의하여 통신가능하다. 주장치(32a)는 제1실시예를 설명한 제2도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 수신장치(33)의 구성에 대해서도 제1실시예를 표시한 제3도와 마찬가지이다.
계속하여 수신장치(33)가 수신한 정보를 이용했을 때의 요금부과를 실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략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과 동일하다. 기술적으로 다른 점은 처리를 실시한 정보에 대하여 이용상황기억기(18)에 종별마다 빈도로서 기억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정기간 내에 카라오케를 N회 실행하고 게임을 M회 실행하였다고 하면, 카라오케의 코드에 계속해서 N, 게임의 코드에 계속해서 M이라고 하는 상태에서 이용상황기억기(18)에 빈도데이타로서 축적되게 된다. 또한 정보의 종류뿐만 아니라, 동일 종류라도 내용에 따라서 다른 요금을 설정하려고 하면, 개별적인 정보에 다른 식별코드를 부여해 두고, 이 식별코드 마다 빈도를 기억하게 하면, 정보의 중요도나 인기도에 따른 것보다 섬세한 요금부과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위성을 이용했지만,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FM통신 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한 무선통신이라도 기본적인 구성은 하등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장치(33)의 내부 블록인 이용상황기억기(18)(제3도)에 기억된 이용빈도는 데이터 통신 모뎀(19)에서 출력되고, 전화회선(34)을 통하여 송신장치(32)가 관리하는 요금부과장치(32b)로 전송된다. 이때에, 빈도데이타를 요금부과장치(32b)가 거두어 들이는 경우로서는 2가지의 수단이 있다. 한가지는 수신장치(33) 측에서 요금부과장치(32b)를 액세스하여 빈도데이타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다른 또 하나는 요금부과장치(32b)의 측에서 수신장치(33)를 액세스하고, 수신장치(33)가 그 시점에서 기억하고 있는 빈도데이타를 업로드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떤 구성을 채용해도 좋지만, 수신장치(33)가 보유하고 있는 제어용CPU(13)의 내부 클럭에 의거하여 시간계산을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요금부과장치(32b)를 액세스하는 구성 쪽이 간단하다. 그러나 수신장치(33)의 가입접속대수가 대단히 많은 경우에는 수신장치(33)가 독자적으로 액세스타이밍을 결정하면 액세스타이밍이 집중하여 회선의 통화량이 극단적으로 악화될 우려가 있다. 한편, 요금부과장치(32b)가 수신장치(33)를 액세스하는 구성이면 복잡하게는 될 망정 요금부과장치(32b)에 있어서 액세스타이밍을 관리할 수 있고 통화량의 문제는 쉽게 해소할 수 있다. 어떤 수단을 채용하는 가에 대해서는 가입접속대수에 따라서 선택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빈도데이타를 요금부과장치(32b)에 업로드한 후는 개별적인 수신장치(33) 마다 사용요금이 계산된다. 요귿부과장치(32b)의 내부에는 식별코드 마다 단위당의 금액이 데이타테이블로서 설정되어 있고, 빈도데이타가 입력하게 되면 데이타테이블을 조회하여 합계금액을 연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요금이 계산된 후는 예를 들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각 이용자에 대하여 청구가 실시된다.
다음에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도는 구성전체를 표시하는 것이고 위성통신을 이용한 경우이다. 도면중에서 부호41은 통신위성, 부호42는 정보를 신호로서 송신하기 위한 주장치, 부호43은 수신장치이며, 주장치(42)로 제1실시예와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다. 수신장치(43)의 내부구성이 제6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의 수신장치와 동일하고 부호51이 수신안테나, 부호52가 튜너, 부호53이 수신데이타처리부, 부호54가 제어용CPU, 부호55가 신호처리회로이고, 비디오신호처리회로(55a), 카라오케신호처리회로(55b), 게임신호처리회로(55c) 등 송수신신호의 정보 종류에 대응하여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는 회로가 병렬로 설치된다. 부호56a, 56b, 56c는 출력단말, 부호57은 조작패널, 부호58은 표시패널이다. 또한, 제어용CPU(54)가 제어하는 메모리영역에는 각 정보마다의 이용요금이 데이타테이블로서 격납되어 있고, 요금계산은 이 데이타테이블을 참조하여 실시된다. 부호59a는 IC카드의 읽고쓰기장치, 부호59b는 IC카드의 읽고쓰기장치(59a)에 삽입 가능한 IC카드이다. IC카드(59b)에는 미리 이용자의 성명, 주소, 생년월일 등의 정보와, 선납카드와 마찬가지로 이용한도액이 기입된다. 또, 정보를 수신할 때에는 IC카드(59b)를 IC카드 읽고쓰기 장치(59a)에 삽입하지 않으면 수신데이타처리부(53)는 안테나(51)에서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지 않고서 읽고 버리게 된다.
계속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장치 이용자가 정보를 이용했을 때의 요금징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C카드(59b)에는 미리 이용한도액이 기억되어 있고 소위 선납카드로서의 기능을 보유하지만, 이용자가 IC카드를 구입한 시점에서 지불한 현금과 같은 이용한도액이 기입되므로 요금부과처리는 실제로는 그 시점에서 끝나고 있다. 그래서, IC카드의 이용한도액을 IC카드의 읽고 쓰기장치(59a)로 해독하고 잔고를 착인한 뒤에 수신데이타처리부(53)는 대기의 상태로 된다. 이때에, 이용상황을 카운트하기 위한 정보는 주장치(42)에서의 송신신호의 비트스트림속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카라오케, 게임 등 정보의 종류에 따른 식별코드를 신호프레임에 기입해 둔다. 그리고, 튜너(52)에서 수신된 정보 중에서 실행하고 싶은 정보를 대응하는 처리회로(55a~55c)에 의해서 처리한다. 그리고, 필요한 정보의 수신이 끝나면, 그후에 이용요금의 데이타테이블을 참조하여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금액분을 제어용CPU(54)가 산출한다. 그리고, IC카드(59b)에 미리 기입되어 있는 이용한도액에서 상기한 이용요금을 공제한 잔고를 다음회의 이용한도액으로서 IC카드의 읽고쓰기장치(59a)를 통하여 새롭게 기입한다. 즉, 전회(前回)의 이용한도액에서 금회(今回)의 이용액을 감산하고 새로운 이용한도액으로서 수치를 갱신한다.
제3실시예는 변형예로서 다음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통신위성과 주장치 및 수신장치의 시스템으로서 제4도의 시스템을 채용하여 수신장치에 제7도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제7도에 있어서, 제6도와 동일한 번호를 붙인 블록은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7도에 있어서 다른점은 데이타통신모뎀(60)을 추가한 것이다. IC카드의 읽고쓰기장치(59a)에서는 신호처리회로(55)에 있어서의 이용상황을 각 회로마다 카운트하여 IC카드(59b)에 축적한다. 기술적 수단으로서는 이전의 제3실시예와는 다르고, IC카드(59b)의 이용한도액을 갱신하는 것은 아니고 이용한 정보의 식별코드의 빈도데이타를 더하여 기입한다. 이 축적된 결과를 근본으로 정기적으로 송신측에서 이용요금을 산출한다. 예를들면 일정 기간내에 카라오케를 N회 처리를 실시하고 게임을 M회 처리하였다고 하면, 카라오케N, 게입M이라고 하는 상태에서 IC카드(59b)에 빈도데이타로서 축적된다. 더우기, 정보의 종류만이 아니라 동일한 종류라도 내용에 따라서 요금을 다르게 하려고 하면, 개별적인 정보에 다른 식별코드를 부여해 두고 이 식별코드마다 빈도를 기억하도록 하면 보다 섬세하게 요금부과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IC카드(59b)에 기억된 각종 식별코드마다 빈도데이타는 IC카드(59b)를 일단 쁩아내어도 백업밧데리로 보호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에, IC카드(59b)를 찔러넣었을 때에 전회에서 기억했던 데이타가 데이타통신모뎀(60)에서 출력되고, 제4도의 전화회선(34)을 통하여 송신측에 있어서 관리하는 요금부과장치(32b)로 전송된다. 이때에, 빈도데이타를 요금부과장치(32b)가 거두어 들이는 경우, 2가지 수단이 있는 것은 제4도에 있어서의 설명과 같으며 어떤 것을 채용하는 지에 대해서도 임의이다.
또한 계속하여, CATV회로망을 이용하여 위성방송 혹은 위성통신의 이용요금을 징수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 있어서, 부호71은 통신위성, 부호72는 각종 매체(media)에 따른 정보를 신호로서 송신하기 위한 송신장치, 부호73은 수신장치이다. 또, 수신장치(73)는 CATV국(74)과 연결되어 있어 양자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실시한다. 송신장치(72)의 기본적 구성은 제2도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수신장치(73)의 내부구성을 제9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동일한 도면 중에서 제3도와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는 블록은 제3도의 설명과 동일한 구성이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부호81은 이용상황카운터이고 신호처리회로(14)에 있어서의 이용상황을 각 회로(14a~14c) 마다 즉 정보의 종류에 따른 이용횟수로서 카운트하여 축적한다. 그리고, 이 축적한 결과를 이용하여 송신장치(72)에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요금환산데이타에 의거한 요금데이타를 산출한다. 이때에, 이용 상황을 카운트하기 위한 정보, 즉 각 회로의 이용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식별코드는 송신장치(72)에서의 송신신호중에 삽입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카라오케, 게임 등 정보의 종류에 따른 식별코드를 신호프레임에 기입해 둔다. 튜너(11)에서 수신한 신호는 제어용 CPU(13)에서 처리되고, 조작패널(16)을 조작함으로서 원하는 데이타를 선택하면, 그 데이타가 대응하는 처리회로(14a~14c)에 의하여 처리된다. 여기서 처리를 실시한 부분만큼 이용상황카운터(81)에 종별마다 이용회수, 즉 식별코드의 축적수로서 기억된다. 예를 들면 일정기간에 카라오케를 N회 처리하고 게임을 M회 처리하였다고 하면, 카라오케N, 게임M이라고 하는 상태에서 이용상황카운터(81)에 빈도데이타로서 축적된다. 또한, 축적된 식별코드와 송신장치(72) 측에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요금환산데이타를 데이타테이블 위에서 조회 및 연산하여 정보의 일정기간 마다 이용요금으로서 요금데이타를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산출된 요금데이타는 결정된 시점에서 CATV어댑터 제어회로(82)에 송출된다. CATV어댑터 제어회로(82)에서는 이 요금데이타를 가입하고 있는 CATV의 정보이용요금에 의거하여 횟수를 파라미터로 한 데이타변환을 실시한다. 예를들면 1횟수를 금액(x)으로 정의하고 위성통신에 의한 정보이용요금의 총액이 금액 100x인 경우, CATV어댑터 제어회로(82)는 이 이용요금을 100횟수로서 횟수데이타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횟수데이타에 단말장치(73)로 미리 고유하게 부여된 ID를 부가하여 CATV 어댑터(83)를 통하여 제8도의 CATV국(74)으로 업로드한다.
한편, CATV국(74)에서는 보통의 유료정보채널과는 별도로 요금부과전용의 채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요금부과전용채널은 단말 이용자에게 적극적으로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단말장치(73)가 위성통신을 통하여 수신하고, 처리한 데이타에 대한 정보사용료의 징수를 목적으로 하는 채널이다. 수신장치(73)에서 횟수데이타를 CATV국(74)에 업로드한 경우,CATV국(74) 측은 요금부과전용채널에서 횟수데이타 양에 걸맞는 정보를 CATV통신망을 통하여 수신장치(73)에 다운로드한다. 예를들면 요금부과전용의 채널로 흐르게 하는 정보로서 1횟수, 10횟수, 100횟수라고 하는 상태로, 횟수단위에서 다른 내용의 정보로서 구성하고, 수신장치(73)에서 ID와 함께 120횟수라고 하는 횟수데이타가 업로드된 경우에는 CATV국(74)은 요금부과전용채널에서 100횟수에 해당하는 정보1회와 10횟수에 해당하는 정보파일 2회분을 선택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수신장치(73)로 송출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위성통신에 의한 정보이용요금은 CATV통신망의 정보이용요금으로 대체된다. 또한 요금부과전용채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극적으로 어떠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있으므로, 미리 CATV국과 수신장치의 이용자 사이에서 결정된 특정의 화상을 송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수신장치의 이용자가 요금징수의 처리가 확실하게 실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면, 정보의 종류나 시간 등은 본 발명의 요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그런데, 보통 CATV국(74)의 요금징수시스템은 가입자가 이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요금 혹은 이용시간에 대한 요금을 징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즉, CATV통신망으로의 가입자의 정보이용 빈도에 따른 요금부과가 실시되고 있다. 그래서, 본실시예에서는 CATV통신망을 그대로 이용한 것으로 하고 횟수데이타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정보를 수신장치에 송출하고, 외관상 CATV의 정보를 이용한 부분만큼 요금부과를 실시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수신장치가 CATV국(74)에 액세스하는 것은 CATV정보를 이용하는 목적은 아니고, 수신장치측이 CATV국(74)에 대하여 이용횟수를 신고하고 CATV국(74)이 위성통신요금의 대체 징수를 실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ATV국(74)은 횟수데이타를 근거로 이용요금을 계산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즉, 수신장치(73)에서 횟수데이타의 업로드가 있었던 경우, 이것을 수신한 CATV국(74)은 횟수의 대소에 불구하고 수신장치(73)에 대하여 적어도 요금 부과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간단하고 획일적인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만으로 양호하다. 이 경우, CATV국(74)은 횟수데이타에 의거하여 수신장치 각각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요금부과를 실시한다. 재차 이용요금의 흐름을 한 예로서 설명하면, 수신장치(73)내에서 산출된 요금데이타는 횟수데이타로서 CATV통신망의 이용요금으로 변환되어 보통의 CATV정보이용요금도 함유된 합계액을 최종적으로 CATV를 운영하는 단체가 대행징수한다. 그리고, 징수액에서 실제의 이용요금과 대행수수료를 공제한 액을 송신장치(72)의 운영단체, 소위 정보제공자에게 지불하는 공지의 지불수단을 채용한다.
더욱이 계속하여, 상술한 각 실시에에 있어서 위성통신 혹은 위성방송에 의하여 전송되는 정보(데이타)를 무단으로 이용되지 않게 하기 위한 암호화처리에 관한 구체적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이것을 달성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부호91은 장치전체를 제어함과 동시에 송수신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CPU이고, 안테나(92)에 의하여 수신한 전파를 수신유닛(93)에서 복조 및 검파하여 디지탈화된 데이타열이 입력된다. 한편, 모뎀(94)을 제어하고 호스트국에 적용하여 전화회선(95)을 통하여 요금부가신호를 업로드하는 일련의 출력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의 정보는 데이타열로서 호스트국에서 위성통신 등의 무선통신 수단에 의하여 공급되고, 호스트국과의 요금부과정보의 주고받음은 모뎀(94)을 통하여 전화회선(95)에 의하여 실시된다. 부호96은 정보재생유닛이고, 데이타열의 종별, 예를 들면 게임데이타, 카라오케데이타, 영상데이타, 문자데이타 등에 따라서 재생 및 표시처리를 실시하는 블록이고, 데이타처리를 실시한 후는 출력단자(97)를 통하여 적당한 출력장치(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신호가 송출된다. 데이타열은 수신유닛(93)에서 송출되는 디지탈코드인 채로는 정보재생유닛(96)에서는 처리할 수 없다. CPL(91)가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필요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서 최초로 유효한 데이타로 된다. 다음에 부호98은 제어프로그램 기억장치이고 수신유닛(93)에서 송출되는 데이타열을 CPU(91)가 종류에 따라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CPU(91)가 제어프로그램 기억장치(98)에서 프로그램을 읽어내기 위해서는 전화회선(95)을 통하여 호스트국으로 어떤 정보를 처리하려고 하는 것을 보고하며, 계속하여 호스트국에서 허가신호를 수신하여 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암호순서가 기입된 암호순서 기억장치(99), 암호프로그램이 격납된 암호프로그램 기억장치(100)의 내용에 의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호스트국에는 수신장치가 데이타처리를 실시하는 데 우선하여 이용하려고 하는 정보가 보고되므로, 호스트국에서는 적정한 요금부과가 가능하게 된다. 암호순서 기억장치(99)에 기입된 순서는 수신단말만이 아니고 호스트국에서도 동일한 순서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암호순서 기억장치(99)에 기입되어야 할 프로토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데이타열을 암호화하는 순서의 한 예는
1 : 짝수바이트째의 데이타에 1을 가산, 홀수바이트째의 데이타는 1비트 오른쪽으로 이동(shift)
2 : 짝수바이트째의 데이타에서 2를 감산, 홀수바이트째의 데이타는 1비트 왼쪽으로 이동(shift)
.............
.............
100 : 암호프로그램
.............
.............
.............
499 : 상위4비트의 데이타를 2배, 하위 4비트에 1을 가산
500 : 상위4비트의 데이타를 오른쪽으로 이동, 하위4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암호프로그램"은 100번째로 설정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암호프로그램 자체를 송수신의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암호프로그램 기억장치(100)의 설치는 필요하지 않다. 한편, 전송시간을 단축하고 싶은 경우에는 암호프로그램 기억장치(100)를 설치하여 암호프로그램을 격납한다.
요컨데, 전화회선(95)의 통화량을 생각하여 전송시간 손실을 피하려면 암호프로그램은 암호프로그램 기억장치(100)에 격납하고, 그렇지 않으면 암호프로그램마다 전송의 대상으로 한다. 이것은 실제로 채용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수신단말이 수신한 정보를 이용할 경우에는 전화회선(95)을 통하여 호스트국을 액세스하여 "이용허가, 이용자번호, 단말번호, 정보번호"의 정보로 구성된 비트열인 "이용신청정보"를 송출한다. 이것을 수신한 호스트국에서는 그 수신장치가 요금미불이나 이용자번호틀림 등이 아닌 것을 검색하여 적정한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상기한 암호순서를 내림순으로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출한다. 이 암호 순서번호는 끊임없이 내림순으로 순열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불규칙(random)으로 순열되고 또한 호스트국 독자로 설치된 타이머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갱신된다. 갱신된 주기는 호스트국 측에서 임의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종래와 같이 번호를 그대로 송출하는 것보다도 데이타양이 많아지므로 전송시간을 요하지만 기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호스트국에서는 현재의 통화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일정 상태이상으로 혼잡한 경우에는 갱신된 암호순서를 송출하지 않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암호화에 따르는 통화량의 악화를 약간이라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신장치는 호스트국에서 송출된 암호순서에 따라서 재차 암호화된 이용신청정보를 호스트국으로 송출한다. 호스트국에서는 이 수신한 암호화이용신청정보를 지시한 암호번호와는 반대의 순서에 의하여 복원처리를 실시하고, 먼저 수신된 내용과 비교하여 일치하여 있으면 수신장치가 적정한 암호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최초로 정보사용의 허가신호를 송출한다. 이 허가신호도 이전의 순서에 따라서 암호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처음으로 수신장치의 CPU(91)는 제어프로그램 기억장치(98)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낼 수 있고, 이 프르그램에 의거하여 수신유닛(93)에서 송출되는 데이타열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암호화의 기술에 의하여, 수신장치가 유료정보를 무상으로 이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정보제공자 측은 안전하게 유효한 정보를 무선통신이나 무선방송의 매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보안(security)으로서 정보사용료를 적정하게 지불하지 않는 수신장치에 대하여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그 이용을 정지하는 수단을 검토해야 한다. 이 기술을 계속해서 설명한다. 제11도는 이것을 달성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블록도로서, 부호111은 장치전체를 제어함과 동시에 송수신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CPU를 중심으로 하는 단말제어기이고, 이 수신장치 전체의 주요한 회로를 제어한다. 안테나(112)에 의하여 수신된 전파는 변환기(converter)(113)에서 주파수변환 및 증폭을 실시하고, 신호식별회로(114)에서 검파 및 채널선택이 실시되고, 부가하여 본래 신호데이타 신호와 같은 디지탈신호의 경우에는 디지탈변환된다. 그리고 수신신호에 스크램블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크램블 해제장치(115)에서 복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크램블 해제장치(115)를 그대로 통과하여 직접 데이타처리가 실시된다. 신호가 비디오신호나 음성(audio)신호 등의 아날로그신호의 경우에는 비디오변환장치(116) 혹은 음성변환장치(117)에 대하여 신호식별회로(114)에서 직접 신호가 입력되어, 그대로 디스플레이나 앰프 등에 출력된다. 한편, 본래의 신호가 디지탈신호의 경우에는 영상데이터와 같은 경우는 단말제어기(111)에서 데이타 처리하여 비디오데이타로서 비디오변환장치(116)에 출력시켜 비디오변환장치(116)에서 비디오신호로 변환된다. 또, MIDI신호나 PCM신호의 경우에는 단말제어기(111)에서 동일하게 데이타처리된 후에 음성처리장치(117)에 출력되고 여기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로 변환되어서 디스플레이이나 앰프로 출력된다. 또, 신호가 다른 형태의 디지탈신호인 경우에는 외부의 인터페이스(118)를 통하여 데이타에 적합한 장치에 입력된다. 이때에 수신신호의 종별이 아날로그인지 디지탈인지를 식별하는 것은 신호식별회로(114)가 실시하게 된다. 부호119는 기억장치로서 수신장치 고유의 데이타나 처리순서를 기억하는 R0M영역과 전송된 데이타를 보존하거나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버퍼메모리 등의 RAM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전에 상술한 암호화프로그램 등은 이 중 ROM영역에 기입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요금부과의 수단은 모뎀(120)을 통하여 전화 등의 유선인 공중회선(121)에 의하여 실시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제12도는 실시예의 대상인 호스트국의 구성이다. 도면중 부호122는 각종의 정보가 격납된 데이타베이스이고, 호스트컴퓨터(123)의 제어에 의하여 다수의 수신장치에서의 요청(request)을 도착순에 의거하여 결정된 순서 혹은 요청순을 무시하여 불규칙하게 데이타베이스(122)에서 개별적인 데이타를 읽어내어, 전용회선(124)을 통하여 지상국(125)으로 전송한다. 지상국(125)에서는 위성신호나 FM신호 등과 같이 전파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변조, 변환을 실시하고, 안테나(126)를 통하여 송신신호로서 송출한다. 데이타베이스(122)는 고객 정보에 관한 데이타베이스를 보유하고 있고, 각 수신장치의 ID나 각 수신장치가 정보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는지의 여부등을 적당히 갱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부호127은 망제어장치로서, 수신장치와 전용회선 혹은 공중회선의 어느것인가에 접속하고 있다. 회선을 사용하는 데 따라서 송수신 프로토콜은 임의이고, 신호의 형태는 아날로그라도 디지탈이라도 본질적인 기술에는 영향을 부여하지 않는다.
제11도와 제12도의 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호스트국과 수신장치가 일련의 데이타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수신장치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전송에 관해서는 수신장치에서 공중회선(121)을 통하여 요청을 하면, 호스트국에서는 데이타베이스(122)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데이타를 읽어낸다. 그리고 지상국(125)에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장치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ID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경우, ID의 조회가 될 수 없으면 수신데이타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하여 제3자의 무단이용을 방지한다. 이 수단은 전화통신등의 온라인 형식에서는 현재도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기술을 무조건 도입하는 것은 아니고, 요금이 적정하게 지불되고 있다고 하는 확인 수속을 수신장치로부터의 요청과는 무관계로 실시하고 있다. 아래에 그 수속을 상술한다. 우선 수신장치에서의 정보 요청과는 무관계로 수신장치는 정기적으로 호스트국을 액세스하에 기억장치(119)에 기입된 수신장치 고유의 ID를 송출한다. 기억장치(119)로서 사용되는 하드웨어는 플래쉬(flash) R0M이 적당하다. 호스트국에서는 수신된 ID를 검색조건으로서 고객데이타베이스를 검색 및 확인하여 결과를 수신장치에 출력한다. 이 경우, 전송된 ID가 고객데이타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아서 확인 할 수 없었을 때에는 호스트국은 회선을 절단하여 수속을 종료한다. 호스트국에 있어서 ID의 등록을 확인한 경우에는 또한 전회까지의 요금지불이 완료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지불이 확인되었을 때에는 수신장치에 대하여 이용가능 기간의 갱신과 이용허가 신호 및 다음회의 요금지불확인을 위한 액세스 일시를 지정하고, 수신장치에서는 기억장치(119)에 이들의 데이타를 갱신한다. 이것에 의하여 수신장치에서는 갱신된 이용가능 기간에 이르기까지는 호스트국을 액세스하여 필요한 정보의 요청 및 요청된 정보의 입수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수신장치 고유의 ID는 확인되었으나 이용요금의 지불을 확인할 수 없었을 때, 바꿔말하면 요금이 적절한 시기에 지불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을 때에는, 호스트국에서는 극히 단시간의 이용가능 기간의 갱신과 이것에 대응하여 단시간 후에 요금지불확인을 확인하기 위한 액세스 일시를 지정한다. 이와 같이 지정된 액세스 일시에 마찬가지의 확인수속을 실시하고 적정한 요금지불이 고객데이타베이스에 있어서 역시 갱신되어 있지 않으면 호스트국에서 수신장치에 대하여 이용정지신호를 송출한다. 이용정지의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스크램블 해제장치(115)에 기입되어 있는 복호를 위한 프로그램을 고쳐쓰는 수단이 있다. 또, 이용정지중의 수신장치에 해당하는 ID는 호스트국에서 일절 송출하지 않는다고 하는 수단도 채용한다. 또한, 부정한 정보이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크램블 해제순서를 적당히 갱신하여 새로운 순서가 개시되는 일시를 지정함으로서 적정한 요금지불이 실시되어 있는 수신장치만 복호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금지불확인을 위한 액세스 일시가 중요한 요건으로 되지만 액세스할 때 마다 수신장치의 내부시계를 호스트국의 내부시계와 정합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시계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라도 큰 오차로는 되지않고 갱신기간 마다 수정이 실시된다. 이것은 호스트국 독자적으로 수신장치에서의 액세스의 유무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수신장치가 결정된 일시에 호스트국을 액세스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일정한 오차허용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호스트국에서 이용정지신호를 적극적으로 송신함으로서 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집중 관리를 실시하는데 대단히 적합하다.

Claims (7)

  1. 각종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 호스터컴퓨터와 송신기를 구비한 송신측의 주장치 및 무선통신에 의하여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장치에서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의 신호프레임에는 각각의 데이터 종류에 따른 식별코드가 부가되며, 상기 수신장치는 수신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처리를 실시하는 신호처리회로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이용상황기억기를 보유하고, 상기 주장치와 병렬로 각 식별코드 단위의 이용요금 데이터테이블로 된 환산데이터를 격납하는 요금부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주장치와 요금부과장치는 공중회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수신장치는 누적된 식별코드를 상기 요금부과장치에 정기/부정기 기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요금부과장치는 상기 식별코드들을 상기 환산데이터와 대조하여 이용요금을 상기 기간마다 계산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정기적으로 상기 요금분과장치에 액세스하여 수신장치에 축적된 식별코드를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
  2. 각종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 호스터컴퓨터와 송신기를 구비한 송신측의 주장치 및 무선통신에 의하여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장치에서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의 신호프레임에는 각각의 데이터 종류에 따른 식별코드가 부가되며, 상기 수신장치는 수신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처리를 실시하는 신호처리회로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이용상황기억기를 보유하고, 상기 주장치와 병렬로 각 식별코드 단위의 이용요금 데이터테이블로 된 환산데이터를 격납하는 요금부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주장치와 요금부과장치는 공중회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수신장치는 누적된 식별코드를 상기 요금부과장치에 정기/부정기 기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요금부과장치는 상기 식별코드들을 상기 환산데이터와 대조하여 이용요금을 상기 기간마다 계산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요금부과장치는 정기적으로 상기 수신장치에 액세스하여 수신장치에 축적된 식별코드를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
  3. 각종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 호스터컴퓨터와 송신기를 구비한 송신측의 주장치 및 무선통신에 의하여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장치에서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의 신호프레임에는 각각의 데이터 종류에 따른 식별코드가 부가되며, 상기 수신장치는 수신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처리를 실시하는 신호처리회로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이용상황기억기를 보유하고, 상기 주장치와 병렬로 각 식별코드 단위의 이용요금 데이터테이블로 된 환산데이터를 격납하는 요금부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주장치와 요금부과장치는 공중회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수신장치는 누적된 식별코드를 상기 요금부과장치에 정기/부정기 기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요금 부과장치는 상기 식별코드들을 상기 환산데이터와 대조하여 이용요금을 상기 기간마다 계산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에 축적된 식별코드는 다른 종류의 식별코드들 각각과 출현빈도 수치로 이루어진 빈도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
  4. 각종의 유료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하는 한편, 복수의 수신장치의 고유의 ID, 상기 유료데이터의 이용횟수 및 이용요금 지불상황을 고객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보유하는 호스트컴퓨터와 송신기로 된 송신측 호스트국과, 이 호스트국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신호중에서 자신의 고유 ID가 부가된 데이터신호만을 수신처리하는 상기 복수의 수신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트국은 각 수신장치에 대해 호스트국을 액세스하는 일시를 미리 지정하는 한편, 상기 각 수신장치는 지정된 액세스 일시에 자신의 고유 ID를 상기 호스트국으로 통신하고, 상기 호스트국은 상기 통신된 ID를 검색조건으로서 상기 고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며, 이용요금의 지불이 갱신되어 있으면 상기 통신 이전의 수신장치에 대하여 다음의 이용 가능기간의 갱신 및 다음의 액세스 일시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반면, 상기 고객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ID에 해당하는 데이터 이용요금의 지불이 갱신되어 있지 않을 때는 단기간의 이용가능 기간의 갱신 및 단기간 후의 액세스 일시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간 후의 액세스 일시까지 전회의 이용요금의 지불이 갱신되지 않으면, 상기 호스트국은 해당하는 수신장치에 대해 이용정지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간 후의 액세스 일시에 해당하는 수신장치로부터 액세스를 확인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호스트국은 상기 해당하는 수신장치에 대하여 이용정지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국과 상기 각 수신장치와는 전화회선망으로 접속되고, 상기 각 수신장치는 호스트국에 대하여 상기 전화회선망을 통하여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이용요금부과시스템.
KR1019930023018A 1992-10-30 1993-10-30 무선통신에있어서의요금부과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100310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593892A JP3609842B2 (ja) 1992-10-30 1992-10-30 無線通信の料金課金装置
JP92-315938 1992-10-30
JP32261592A JP3609843B2 (ja) 1992-11-06 1992-11-06 無線通信の料金課金装置
JP92-322615 1992-11-06
JP34167192A JPH06169293A (ja) 1992-11-27 1992-11-27 無線通信の料金課金装置
JP92-341671 1992-11-27
JP02061193A JP3462229B2 (ja) 1993-01-12 1993-01-12 無線通信における情報の無断利用防止装置
JP93-20611 1993-01-12
JP93-82561 1993-03-16
JP5082561A JPH0723134A (ja) 1993-03-16 1993-03-16 料金未納者の端末利用停止システム
JP21529093A JP3503755B2 (ja) 1993-08-06 1993-08-06 無線通信の課金システム
JP93-215290 1993-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574A KR940010574A (ko) 1994-05-26
KR100310025B1 true KR100310025B1 (ko) 2001-12-15

Family

ID=2754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018A Expired - Lifetime KR100310025B1 (ko) 1992-10-30 1993-10-30 무선통신에있어서의요금부과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0895419B1 (ko)
KR (1) KR100310025B1 (ko)
AU (1) AU662251B2 (ko)
CA (1) CA2109490C (ko)
DE (2) DE6933206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833B1 (ko) * 1997-04-15 2006-01-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316A (ja) * 1994-03-14 1995-09-26 Brother Ind Ltd データ伝送装置
JPH088860A (ja) * 1994-06-24 1996-01-12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378725B1 (ko) * 1994-07-26 2003-06-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제공시스템
FR2728131B1 (fr) * 1994-12-13 1997-01-24 Syseca Sa Console interactive de reception de television
DE4444889C1 (de) * 1994-12-16 1996-07-11 Grundig Emv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Realisierung eines Rückübertragungskanals vom Empfänger zum Sender in einem Gleichwellennetz
SE504237C2 (sv) * 1995-04-27 1996-12-16 Cetronic Ab Förfarande för att selektivt utsända information
EP0749253A1 (de) * 1995-06-15 1996-12-18 Firma Erika Köchler Empfangsgerät für Digitalsignale mit Gebührenzähler
US5671276A (en) * 1995-07-21 1997-09-2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impulse purchasing of packaged information services
CA2181761C (en) * 1995-07-25 2002-04-02 Takayuki Nagashima Image transmission system
ATE197367T1 (de) * 1995-08-04 2000-11-15 Tresor Tv Produktions Gmbh Interaktives nachrichtensystem
KR19980015956A (ko) * 1996-08-24 1998-05-25 김광호 전자제품의 사용횟수 확인장치 및 방법
US6289314B1 (en) * 1996-09-18 2001-09-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descrambling information from plural sources and rescrambling the information before sending to a terminal or terminals
US6526575B1 (en) 1997-01-07 2003-02-2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broadcasting multimedia
GB9702537D0 (en) * 1997-02-07 1997-03-26 Two Way Tv Ltd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FR2779856B1 (fr) * 1998-06-10 2000-08-11 Patrick Schiltz Procede de gestion a distance par carte a puce
JP4794707B2 (ja) 1998-11-17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課金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
KR100587505B1 (ko) * 1999-12-08 2006-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을 통한 무선통신 이용요금 납부 방법
EP1764851B1 (en) 2001-07-25 2016-01-06 Sony Corporation Structures of terminals and component-to-be loaded
JP4123516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CN102025712B (zh) * 2009-09-15 2013-08-07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更新方法、装置和系统
CN114582109B (zh) * 2020-11-30 2023-06-06 深圳富联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182A (ja) * 1984-07-06 1986-01-28 Toshiba Corp デ−タ処理システム
US5003384A (en) * 1988-04-01 1991-03-26 Scientific Atlanta, Inc. Set-top interface transactions in an impulse pay per view tele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8555A3 (en) * 1983-06-10 1985-09-11 Tocom, Inc. Prepaid pay-per-view television method and apparatus
JPS60501882A (ja) * 1983-07-22 1985-10-31 インデペンデント・ブロ−ドキヤステイング・オ−ソリテイ スクランブル装置及びデ・スクランブル装置
US4751732A (en) * 1984-07-06 1988-06-14 Kabushiki Kaisha Toshiba Broadcasting system
DE3579785D1 (de) * 1984-10-31 1990-10-25 Sony Corp Dekodiereinrichtungen fuer gebuehrenfernsehsysteme.
US4807286A (en) * 1987-04-22 1989-02-21 Wiedemer John D High security pay television system
US4916737A (en) * 1988-11-14 1990-04-10 Teleglobe Pay-Tv System, Inc. Secure anti-piracy encoded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US5051822A (en) * 1989-10-19 1991-09-24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Inc. Telephone access video game distribution center
IT1241339B (it) * 1990-12-06 1994-01-10 Sisvel Spa Sistema per la trasmissione e ricezione di segnali televisivi codificat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182A (ja) * 1984-07-06 1986-01-28 Toshiba Corp デ−タ処理システム
US5003384A (en) * 1988-04-01 1991-03-26 Scientific Atlanta, Inc. Set-top interface transactions in an impulse pay per view televis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833B1 (ko) * 1997-04-15 2006-01-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4543T2 (de) 1999-08-19
EP0595354A1 (en) 1994-05-04
EP0895419A2 (en) 1999-02-03
AU662251B2 (en) 1995-08-24
EP0895419A3 (en) 1999-02-24
DE69324543D1 (de) 1999-05-27
EP0895419B1 (en) 2002-06-26
AU5038293A (en) 1994-05-12
CA2109490C (en) 2003-09-09
CA2109490A1 (en) 1994-05-01
DE69332068D1 (de) 2002-08-01
KR940010574A (ko) 1994-05-26
EP0595354B1 (en) 1999-04-21
DE69332068T2 (de) 200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025B1 (ko) 무선통신에있어서의요금부과시스템
CA1277764C (en) System for enabling descrambling on a selective- subscription basis in a subscriber communication network
CA1337215C (en) Set-top interface transactions in an impulse pay per view television system
KR100426254B1 (ko) 무선통신에 있어서 요금부과시스템
US8121291B2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tributing service information and digital rights for broadcast data
AU662406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call charge information stored in handset
TWI227984B (en) Method, communication-system and mobile receive-device for the calculation of access-controlled program and/or date of broadcast senders
KR10049086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저작권료 과금처리 시스템및 과금처리방법
RU2316136C2 (ru) Платная телевизи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оплатой
US4796297A (en) Device for calculating a charge for a charged information signal with errors avoided in a report of the charge
US20050013440A1 (en) Reception management apparatus,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distribu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tributing method and reception management program
ES2401108T3 (es) Proceso para distribuir documentos audiovisuales utilizando terminales portátiles
US91438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ecryption codes of freely transmitted, encrypted program contents to clearly identifiable receivers
JP2001103020A (ja) ソースファイルの配信システム及び受信端末並びに携帯電話
JP2003523143A (ja) 復号器,復号方法及びチップカード
JP3334993B2 (ja) 情報通信における課金システム
JP3609843B2 (ja) 無線通信の料金課金装置
JP3804694B2 (ja) 放送受信許可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076918C (zh) 无线电通信的记帐系统
JP4001995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受信装置
JP3609842B2 (ja) 無線通信の料金課金装置
JP3503755B2 (ja) 無線通信の課金システム
JP3295886B2 (ja) 課金システムおよびディジタル端末ならびに課金信号送出装置
JP3394615B2 (ja) 通信における料金課金装置
JPH06177847A (ja) 無線通信の料金課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0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042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