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9586B1 -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세정제 및 표백제 - Google Patents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세정제 및 표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586B1
KR100309586B1 KR1019960700217A KR19960700217A KR100309586B1 KR 100309586 B1 KR100309586 B1 KR 100309586B1 KR 1019960700217 A KR1019960700217 A KR 1019960700217A KR 19960700217 A KR19960700217 A KR 19960700217A KR 100309586 B1 KR100309586 B1 KR 10030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percarbonate
coating
coated
sodium
magnes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3802A (ko
Inventor
베르트슈-프랑크 비르기트
베베르스도르프 마르틴
클라젠 클라스-위르겐
리저 토마스
뮐러 클라우스
롤만 위르겐
Original Assignee
볼커 버그달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커 버그달,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볼커 버그달
Publication of KR96070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58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01B15/106Stabilisation of the solid compounds, subsequent to the preparation or to the crystallisation, by additives or by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39Coated compositions or coated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s, (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Glanulat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저장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과탄산나트륨을 안정화 성분으로 피복시키는 방법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개선된 붕소 비함유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피막내에 임의로는 부분 수화된 형태로 탄산나트륨 및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황산마그네슘을 피막내 단일층 또는 개별층으로 함유한다. 바람직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2개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입자는 물을 증발시키면서 도료 성분 함유수용액을 유동층내의 과탄산나트륨 위에 분무하여 제조한다.
우수한 저장 안정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는 입자는 세제, 표백제 및 세정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 세정제 및 표백제
기술
본 발명은 과탄산나트륨 코어와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며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1 내지 25%를 구성하는 피막으로 이루어진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에 관한 것이다. 피막 성분으로서 마그네슘 화합물을 또한 함유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습하고 온난한 환경에서 세척 분말 존재하에 높은 저장 안정성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단층 또는 다층 피막을 유동층 속에서 도포함으로써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세제, 세정제 및 표백제 조성물의 표백성분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과탄산나트륨(2Na2CO3·3H2O2)은 세제, 표백제 및 세정제의 활성 산소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온난하고 습한 환경에서 그리고 표백제 및 세정제의 다양한 성분의 존재하에서의 과탄산나트륨의 불충분한 저장 안정성으로 인해, 과탄산나트륨은 활성 산소(0a) 손실에 대해 안정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안정화의 필수적인 원리는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안정화 성분의 피막으로 둘러싸는 것이다.
GB 제174 891호에는 이미 나트륨 물유리 용액을 활성 산소 함유 화합물에 분무함으로써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기술된 바 있다. 과탄산나트륨은 또한 DE-OS 제26 52 776호에 기술된 공정으로 결정화에 의해 수득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에 규산염을 적당량 도포하여 안정화시킨다. 특히 세제 및 세정제 존재하에서의 충분한 안정화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서는 수득되지 않았다.
과탄산나트륨 미립자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DE-OS 제24 17 572호 및 DE-PS제26 22 610호에 공지되어 있는데, 이 문헌에서는 탄산나트륨을 기타 무기 염(예:중탄산나트륨 및/또는 황산나트륨)으로 결정화시켜 형성시킨 혼합 화합물 또는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규산나트륨의 혼합물을 피막 물질로서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피막 물질의 구성 성분인 수용액을 과탄산나트륨 입자에 유동층속에서 분무하면서 유동층의 온도를 30 내지 80℃로 유지시키는데, 이때 도입된 물이 증발됨으로써 고체 피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안정성을 상당히 증진시킴에도 불구하고 활성 산소 함량은 여전히 세척 분말 존재하에 장기간 보관하는 동안 너무도 신속하게 감소된다.
붕소 화합물[예: 붕산(DE-PS 제28 00 916호), 붕산염(DE-OS 제22 21 082호)및 과붕산염(DE-PS 제26 51 442호 및 DE-PS 제28 10 379호)]을 사용하여 과탄산나트륨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다수의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때때로 아주 양호한 안정화 효과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붕소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또 다른 유형의 피막 성분은 미국 특허 제4,325,933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안정화는 과탄산나트륨을 알칼리 토금속 염, 황산마그네슘 또는 염화마그네슘의 수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성취된다.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처리할 때,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으로 제조된 층을 입자 표면 위에 형성시켜 과탄산나트륨의 흡습성을 감소시키고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안정화된 생성물은 충분한 저장 안정성을 보유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P-A 제0 405 797호에는 보다 믿을만한 과탄산나트륨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한 양태에 따르면, 당해 조성물은 알칼리 금속 탄산염 이외에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한다. 과립화할 수 있는 물질의 혼합물이외에, 언급된 조성물은 과탄산나트륨 코어에 견고하게 부착된 균일한 피막을 갖는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언급된 문헌의 주어진 공정에 있어서, 마무리 작업 동안 온난하고 습한 환경하의 세척 분말의 존재하에서의 이러한 유형의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서 규정되어 있다[참조: 비교예 VB 2 내지 VB 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 분말의 존재하에서의 저장 안정성이 높은 신규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여기서, 피막은 붕소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를 제공하는 것이다. 신규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저장 안정성은 바람직하게는 지금까지 공지된 붕소 부재의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저장 안정성보다 우세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저장 안정성이 있는 붕소 부재의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탄산나트륨 코어 및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0.5 내지 25중량%(수화물 부재상태로 계산)를 구성하는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피막을 포함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에 있어서, 피막이 황산 마그네슘 염, 염산 마그네슘 염 및 탄소수가 1 내지 4인 카복실산 마그네슘 염인 그룹 또는 언급된 염과 탄산나트륨 또는 존재하는 기타 피막 성분과의 반응 생성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함유하며 피막 성분이 부분 수화될 수 있고 탄산나트륨과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이 1개의 피막층에 또는 개별적인 다수의 피막층에 존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과탄산나트륨 코어와 수화물 부재 및/또는 부분 수화된 형태의 안정화 성분을 함유하는 단층 또는 다층피막으로 이루어진다. 과탄산나트륨 코어는 견고하게 부착된 피막에 의해 완전히 둘러 싸여지고 피막층의 두께는 입자 전체에 있어서 거의 일정하다.
수화물 부재 상태로 계산된 피막의 양은 통상적으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0.5 내지 25중량%를 구성한다. 피막이 0.5중량% 미만이거나 25중량%를 초과하는 입자를 제조할 수도 있지만, 전자의 경우 생성물은 적절한 저장 안정성만을 보유하며, 후자의 경우 피막 물질의 증가량에 상응하여 활성 산소 함량이 감소된다.
바람직한 생성물에 있어서, 피막은 수화물 부재 상태로 계산하여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총 약 1 내지 15중량%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은 피막이 탄산나트륨 및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모두 함유하며, 이들 물질은 무수물 형태 및/또는 부분 수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부분 수화된"은 피막 성분의 가능한 최대의 물 수용 용량이 수화물 형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내에서 소모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화물 형태의 MgSO4및 Na2CO3로 이루어진 피막의 경우, Na2CO3이 1수화물로 존재하고 MgSO4가 7수화물로 존재하는 경우 물 수용 용량은 소모된다.
피막은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카복실산의 마그네슘 염의 그룹부터의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함유한다. 상기 화합물의 수화물도 포함된다. 1개 또는 2개의 카복실 그룹 및 임의로 1개 또는 2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할 수 있는 카복실산의 마그네슘 염 중에서 마그네슘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단층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제조하는 경우, 피막은 탄산나트륨 및/또는 기타 임의로 존재하는 피막 성분(예: 규산나트륨)과 전술한 염과의 반응 생성물을 또한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런 식으로, 예를 들어, 탄산마그네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탄산나트륨과 황산마그네슘의 혼합 염 및, 규산나트륨이 존재하는 경우 규산마그네슘을 또한 피막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단층 또는 다층, 바람직하게는 2층 또는 3층의 피막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위의 피막은 필수적으로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 및 필수적으로 하나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 특히 황산마그네슘 및 이의 수화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피막이 2층 구조 이상으로 제조되는 경우, 피막내 각종 성분간의 반응은 관련된 층의 경계면으로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유형의 2층 또는 3층피막은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저장 안정성에 대해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피막이 2층 구조이면,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층은 다른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화합물을 함유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보조 안정화제는 탄산나트륨의 존재하에 투명 용액을 형성시킬 수 있어야 하며 고체 피막내에서 안정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서는 안된다.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층에서 발견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은 알칼리 금속 규산염, 특히 규산나트륨이며, SiO2:Na2O의 몰 비가 4: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2.5:1 내지 3.5:1이다. 피막이 다층인 경우,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이 다른 성분(이중에는 탄산나트륨도 포함된다)을 함유할 수는 있지만, 이 층에 마그네슘 화합물이 아닌 화합물을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통상적으로 편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이층은 황산마그네슘 및/또는 이의 수화물들로 이루어지거나 염화마그네슘 또는 아세트산마그네슘 및/또는 이들의 수화물들로 이루어진다. 수화물 함량이 MgSO41몰당 H2O가 2 내지 7몰인 황산마그네슘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필수적으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층과 필수적으로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 이외에, 필수적으로 알칼리 금속 규산염, 특히 전술한 조성물의 규산나트륨 층을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안정화 효과와 관련하여, 피막의 층 구조 순서는 적절한 효과만을 갖는다. 그러나, 층 순서는 피복된 입자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동성이 특히우수한 생성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외층이 필수적으로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도록 피막을 제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부분 수화될 수 있는 황산마그네슘, 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을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로 포함하는 피복된 입자는 뛰어난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형의 생성물의 저장 안정성은 층내에 알칼리 금속 규산임이 존재하지 않는, 황산마그네슘 및 탄산나트륨만을 갖는 생성물의 안정성을 능가한다.
바람직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하나 이상의 피막층 내에 안정화 성분으로서 필수적으로 탄산나트륨 및/또는 이의 수화물 0.2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Na2CO3로서 계산),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수화물, 특히, 황산마그네슘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MgSO4로서 계산) 및 SiO2:Na2O 몰 비가 4:1 내지 1:1인 규산나트륨 및/또는 이의 수화물 0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중량%(수화물 부재 상태로 계산)를 함유하며, 주어진 양은 각각 과탄산나트륨에 대한 것이다.
언급한 물질 및 이로부터 생성된 임의의 반응 생성물 이외에, 기타 안정화성분이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소량으로, 즉 약 2중량%이하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피막층내에 함유될 수 있다. 특히 전형적인 활성 산소안정화제[예: 킬레이트 착물을 형성하는 아미노폴리카복실산(예: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및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킬레이트 착물을 형성하는 인산(예: 1-하이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포스폰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및 이들의 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카복실 및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수용성 중합체(예: α-하이드록시아크릴산계 중합체); 안정화제(예: 피리딘카복실산, 예를 들어 디피콜린산)]인 추가의 안정화 성분이 존재할 수 있다.
수성상을 결정화하여 제조된 과탄산나트륨 코어를 갖는 특히 바람직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피막내에 각각,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수화물 부재 상태로서 계산하여, 2 내지 6중량%의 탄산나트륨 및/또는 이의 수화물들, 2 내지 6중량%의 수화물 부재 및/또는 수화물들을 함유하는 황산마그네슘, SiO2:Na2O의 몰 비가 3.5:1 내지 2.5:1인 0.5 내지 3중량%의 수화물 부재 및/또는 수화물들을 함유하는 규산나트륨 및, 필요한 경우, 0 내지 2중량%, 특히 0 내지 1 중량%의 전술한 기타 안정화 성분을 하나 이상 함유한다.
분무 과립화에 의해 제조된 과탄산나트륨을 피복하는 경우, 피막의 양은 전술한 양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피복될 입자 표면이 결정화에 의해 제조된 입자의 경우보다 평활하기 때문이다. 표면이 평활한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피복하기 위해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0.5 내지 5중량%의 Na2O3, 0.5 내지 5중량%의 MgSO4및 0.2 내지 2중량%의 규산나트륨(SiO2:Na2O = 2.5 내지 3.5:1)을 사용한다.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공지된 붕소 부재의 피복된 입자에 비해 제올라이트 함유 세제 타워 분말 존재하에서 예기치 않게도 높은 저장 안정성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30℃의 온도 및 80%의 상대 습도하에서 8주 저장한 후의 본 발명에 따르는 생성물의 상대적 활성 산소 함량(Oa보유량)은, 층 구조, 피막의 양 및 사용된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에 따라 약 70 내지 거의 100%이다. 전술한 저장 조건하에서 세제와 혼합한 상태로 8주후의 특히 바람직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Oa보유량은 93 내지 97%이다.
안정화시킬 생성물에 피막 층을 도포하는데 종종 사용되는 전문 분야의 방법중에서, 안정화시킬 생성물을 임의로 습윤화한 후 이를 안정화제 분말로 처리하는, 혼합기를 사용하는 방법 및 수용액 형태의 피막 성분을, 유동층에 위치하는 안정화시킬 생성물 위로 분무시키면서 이에 의해 도입된 물을 동시에 증발시키는 소위 유동층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피막 성분으로 과탄산나트륨을 유동층 속에서 피복시키는 경우 혼합기를 사용하는 전술한 피복 방법보다 저장 안정성이 필수적으로 더 높은 생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피막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동층에 위치하는 피복시킬 입자 위로 분무하고 유동층 온도를 30 내지 100℃로 유지시키면서 물을 증발시킴을 포함하는데, 이는 탄소수가 1 내지 4인 카복실산의 카복실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그룹으로부터의 마그네슘 염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액을 피복시킬 입자 위로 동시에 또는 하나씩 순서대로 분무시키며, 도포될 피막 성분의 총량이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5중량%(수화물 부재 상태로 계산)임을 특징으로 한다.
탄산나트륨 및 마그네슘 염을 함유하는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씩 차례로 분무한다. 소다를 함유하는 층이 입자위의 최외각층으로서 도포되는 것이 특히 편리하다. 이 방법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필수적으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피복될 입자위에 최초로 분무하고, 이어서 필수적으로 황산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분무하고, 필수적으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을 마지막으로 분무한다.
당해 방법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알칼리 금속 규산염, 바람직하게는 규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탄산나트륨 함유 용액을 사용한다. 이의 대안으로는, 필수적으로 알칼리 금속 규산염 및/또는 이의 수화물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피막 층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 규산염의 수용액(예: 나트륨 물유리 용액)을 이미 하나 이상의 피막 층을 가질 수 있는 피복시킬 입자위로 분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규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기본적 파라미터인 SiO2:Na2O의 몰 비는 4: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2.5:1 내지 3.5:1, 특히 약 3 내지 3.5:1이다.
피막 성분인 탄산나트륨 및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일 피막층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탄산나트륨 용액 및 마그네슘 염 용액, 바람직하게는 황산마그네슘 용액을 운동층 내에 적합하게 위치한 2개의 개별 노즐로부터 또는 3성분 노즐로부터 외부 혼합시키면서 피복될 입자위에 분무한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은 또한 알칼리 금속 규산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용액은 탄산나트륨 또는 마그네슘 화합물과 혼화성인 다른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관련된 용액을 생성된 피복시킨 입자가 하나 이상의 층내에 피막 성분을 전술한 양으로 함유하도록 하는 양으로 피복시킬 입자위에 분무한다. 분무되는 용액중의 피막 성분의 농도는 본질적으로 상관이 없으나, 증발시킬 물의 양이 가능한한 낮아지도록 가능한한 가장 높은 농도의 용액이 바랑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거의 포화된 탄산나트륨 용액 및 거의 포화된 마그네슘 염, 특히 황산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한다. 규산나트륨을 SiO2:Na2O의 몰 비가 약 3,5:1인 물유리 용액(35 내지 40°보메)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피막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과탄산나트륨이거나 이미 부분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인 피복시킬 입자를 유동층에서 도포하는 기술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인들에게는 공지되어 있다[참조: DE-PS 제26 22 610호]. 연속적으로 또는 배취식으로 조작되는 통상의 유동층 장치에서, 유동층은 건조 공기에 의해 피복시킬 과탄산나트륨으로부터 형성된다. 피막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노즐로부터 동시에 또는 하나씩 차례로 분무하면서, 동시에 용액과 함께 도입된 물을 증발시킨다. 건조 공기의 양 및 이의 온도는 용액과 함께 유동층으로 도입된 물의 양 및 목적하는 건조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두 파라미터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인에 의해 유동층내의 온도가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로 유지되도록 서로 조정한다. 또한, 이미 분무된 용액의 온도는 30 내지 80℃인 것이 편리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피복된 입자를 후속적으로 60 내지 100℃, 특히 70 내지 90℃에서 건조시켜 수화물 형성 피막 성분을 충분히 탈수시킬 수 있다.
다층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연속 제조를 위해, 2개 이상의 분무대 및, 필요한 경우, 후건조대가 장착된 구유형(trough-shaped) 유동층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시킬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임의의 과탄산나트륨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언급될 수 있는 방법에는, 소다 및 과산화수소를 수성상으로 반응시키고 생성된 과탄산나트륨을 모액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습식 방법(i); 고체 소다를 과산화수소와 직접 반응시키는 방법(ii); 소다 용액 및 과산화수소 용액 또는 Na2CO3및 H2O2를 함유하는 용액을 목적하는 입자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물을 증발시키면서 동시에 그레이딩 배출구가 장착되어 있거나 장착되지 않은 유동층 건조기내의 유동층내에 위치하는 과탄산나트륨 씨드에 분무시키는 소위 분무 과립화방법(iii)[참조: DE-OS 제27 33 935호]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잇점은 뛰어나게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또는 다층 피막을 갖는, 균일하게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가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탄산나트륨 입자에 피복물을 도포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적합한 장치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증명된 바 있다. 당해 방법의 수행은 간단하며 도포할 피복물의 양은 아무런 문제없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는 세제, 세정제 및 표백 조성물의 표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세제, 세정제 및 표백 조성물은 그 속에 함유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저장 안정성이 제올라이트 존재하에서조차도 뛰어나게 높아서 이러한 유형의 조성물은 통상의 저장 기간 동안 활성 산소 손실이 매우 낮다. 적합한 세제, 세정제 및 표백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1 내지 99중량%로 구성되며, 잔여량은 이러한 유형의 조성물에 대한 기타 통상의 성분 100중량% 이하로 이루어진다. 특히 다음 성분이 언급될 수 있다.
1.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2. 주로 수중 경도와 관련되는 금속 이온을 격리 또는 착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무기 및/또는 유기 증강제(예: 제올라이트, 시트 규산염, 폴리인산염, 아미노폴리아세트산 및 아미노폴리포스폰산 뿐만 아니라 폴리옥시카복실산).
3. 알칼리성 및 무기 전해질(예: 알칸올아민 및 규산염, 탄산염 및 황산염).
4. N-아실 화합물 및 O-아실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표백 활성화제(예: 테트라아세틸 에틸렌디아민(TAED)].
5. 과산화물에 대한 안정화제일 수 있는 제제 속의 기타 성분(예: 특히 마그네슘 염, 침전 방지제, 광학 증백제, 발포 억제제, 효소, 살균제, 부식 억제제, 방향제, 염료 및 pH 조절제).
물질 1 내지 5의 그룹에 포함되는 개별 화합물과 관련하여 문헌(참조: DE-OS 제33 21 082호, 14 내지 30면)을 참고한다.
다음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피막의 안정화 효과가, 유사하게 구성되고 제조된 공지된 붕소 부재의 과탄산나트륨 위의 피막보다 훨씬 높음을 명백히 보여준다.
실시예
a) 혼합기내에서의 피복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제조방법 결과로서 함수량이 5 내지 10중량%인 피복시킬 과탄산나트륨을 보습 혼합기(plough-share mixer)내에서 연속 혼합하에 피막 성분(들)으로 처리한다. 무수 과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 먼저 하나 이상의 피막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물로 분무시켜 전술한 수분량을 갖도록 한 후 추가의 피막 성분과 혼합한다. 황산마그네슘은 7수화물로서 사용하고 탄산나트륨은 소결 소다로서 사용하며, 알칼리 금속 규산염은 나트륨 물유리 용액(37 ° Be')(SiO2:Na2O=약 3.5:1)으로서 사용하여 무수 과탄산나트륨에 분무한다. 혼합 공정을 완료한 후, 피복된 생성물을 유동층 건조기내에서 60 내지 70℃에서 잔류 수분량(Karl Fischer)이 0.5%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b) 본 발명에 따르는 유동층내에서의 피복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실험실용 유동층 건조기내에서, 피막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동시에 또는차례로 건조 공기(유입 온도 100 내지 110℃) 및 피복시킬 과탄산나트륨(NaPc)으로 구성된 유동층위로 분무시키며, 이때 유동층의 온도는 40 내지 60℃로 유지시킨다. 80 내지 90℃에서 후건조시킨다. 추진제로서 공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2성분 노즐로 분무시키는데, 본 발명에 따르는 단층 피막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액은 2개의 2성분 노즐에 의해 도포되나, 바람직하게는 외부 혼합기를 갖는 1개의 3성분 노즐에 의해 도포된다.
사용된 수용액: MgSO4용액(30 또는 20중량%의 MgSO4); Na2CO3용액(30 또는 20중량%의 Na2CO3); 규산나트륨 용액 약 37°(SiO2:Na2O3약 3.5:1); 37°인 나트륨 물유리 용액으로부터 제조되고 SiO2:Na2O의 몰 비가 약 3.5:1인 혼합된 Na2CO3/규산나트륨 용액(20중량% Na2CO3, 8중량% 규산나트륨). 분무되는 용액의 온도는 30 내지 40℃이다.
c) 세제와 혼합시킬 때의 저장 안정성 측정
인산염은 부재하나 제올라이트, TAED 활성화제 및 시험할 과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시판되는 타워 세척 분말(Persil Supra SP)을 혼합물이 5% TAED를 함유하고 Oa함량이 약 2.35중량%로 되도록 하는 양으로 혼합한다.
400 내지 800g의 혼합물(이후의 실시예 5 및 비교 실시예 10)을 30℃ 및 상대 습도 80%의 기후 시험 캐비닛 속에서 발수성이 되도록 함침시키고 함께 접착시킨 시판되는 E1 세제 패킷속에 저장한다. 하나의 패킷을 각각 2, 4 및 8주 동안 저장한 후 제거한다. Oa함량은 통상의 방법으로 요오드 적정법으로 측정한다. 각각의 Oa보유량은 초기 Oa함량과 2, 4 및 8주 후 Oa함량으로부터 %-시효경과로서 측정한다.
실시예 E 1 내지 E 4 및 비교 실시예 CE 1 내지 CE 4
표 1은 표 1의 실시예 E 1 내지 E 4 및 비교 실시예 CE 2 내지 CE 4의 표 3의 비교 실시예 CE 5 내지 CE 9에 기재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에 대한 출발생성물로서 사용되는 피복되지 않은 과탄산나트륨(CE 1)의 세제와 혼합시켰을 때의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2층 및 3층 피막은 표 1의 첫 번째 칼럼에 제시된 피막 성분을 사용하여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피막의 경우, 혼합기내에서 MgSO4·7H2O 및 Na2CO3를 동시에 사용한다. CE 2 및 CE 3에 사용된 NaPc의 잔류 수분 함량은 약 7%이다. CE 4에서, NaPc를 먼저 물유리 용액으로 습윤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저장 안정성은 피막의 양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혼합기내에서 피복된 생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능가한다.
표 2는 제조 직후 및 저장 10주후(세제와 혼합하지 않음) 혼합기 및 유동층내에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활성 산소 함량(Oa함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은 Oa함량이 저장 동안 필수적으로 보다 소량으로 감소됨을 특징으로 한다.
[표 1]
[표 2]
비교 실시예 CE 5 내지 CE 9
CE 1에 따르는 과탄산나트륨을 표 3에 제시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물질 및 이미 공지되어 있는 물질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유동층내에서 피복시킨다. 세제와 혼합하였을 때의 저장 안정성은 불충분하며, 이는 8주 저장 후 특히 명백하다.
[표 3]
실시예 E 5 내지 E 7 및 비교 실시예 CE 10
표 4는 세제와 혼합하였을 때의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 소다 및 과산화수소를 수성상으로 반응시키고 NaPc를 결정화하고 이를 수성상으로부터 분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한 시판되는 피복되지 않은 과탄산나트륨(CE 10)을 사용한다.
피복은 매회, 사용된 NaPc의 중량에 대해, 5중량%의 황산마그네슘, 5중량%의 탄산나트륨 및 2중량%의 나트름 물유리(SiO2:Na2O=3.5:1)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MgSO4용액 및 Na2CO3와 나트륨 물유리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동시에 사용하고 3성분노즐을 사용하여 NaPc 위에 분무시킴으로써 1층 피복(E 5)을 수행한다. 2층 피복(E 6)의 경우, 언급된 용액을 2성분 노즐을 통해 차례로 사용한다. 3층 피복(E 7)의 경우, MgSO4용액, Na2CO3용액 및 최종적으로 나트륨 물유리 용액을 차례로 분무한다.
2층 피막 및 3층 피막은 단층 피막보다 필수적으로 보다 우수한 안정화 효과를 제공한다.
[표 4]
실시예 E 8 및 E 9, 비교 실시예 CE 11
DE 제27 33 935호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동층내에서 분무 과립화하여 제조한 과탄산나트륨(CE 11)을 사용한다. 입자의 10%는 직경이 0.2 내지 0.5㎜이고 입자의 70%는 직경이 0.5 내지 0.7㎜이고 입자의 20%는 직경이 0.7 내지 1.0㎜이다.
이를 본 발명에 따라 유동층내에서 먼저 MgSO4용액, 이어서 Na2CO3용액 및 나트륨 물유리(SiO2:Na2O=3.5:1)를 분무하여 피복시킨다. 분무 용액의 온도는 40℃이다. 분무시키는 동안의 유동층 온도는 50 내지 60℃이다. 후건조 동안 유동층의 온도는 80℃이다.
당해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저장 안정성을 상당히 증가시킴을 입증한다.
[표 5]

Claims (13)

  1. 과탄산나트륨 코어 및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0.5 내지 25중량%(수화물 부재 상태로 계산)를 구성하는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피막을 포함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에 있어서, 피막이 황산 마그네슘 염, 염산 마그네슘 염 및 탄소수가 1 내지 4인 카복실산 마그네슘 염인 그룹 또는 언급된 염과 탄산나트륨 또는 존재하는 기타 피막 성분과의 반응 생성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함유하며 피막 성분이 부분 수화될 수 있고 탄산나트륨과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이 1개의 피막층에 또는 개별적인 다수의 피막층에 존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피막이 탄산나트륨 또는 이의 수화물들 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 및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화물들 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막이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 규산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들 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을 추가로 함유하거나, 탄산나트륨 또는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층에 알칼리 금속 규산염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막이 황산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하나의 층, 소다를 함유하는 하나의 층 및 규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언급된 물질들 중의 일부는 이들의 수화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언급된 충돌은 언급된 순서대로 내부로부터 외부로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막이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코어의 1 내지 15중량%를 구성하며, 피복된 입자가 하나의 피막층 내지 모든 피막층 내에 안정화 피막 성분으로서, 각각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탄산나트륨 또는 이의 수화물 0.2 내지 10중량%(Na2CO3로서 계산),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 또는 이의 수화물 0.2 내지 10중량%(MgSO4로서 계산) 및 SiO2:Na2O의 몰 비가 4:1 내지 1:1인 규산나트륨 또는 이의 수화물 0 내지 5중량%(수화물 부재 상태로 계산)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6. 하나 이상의 피막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동층 속에 위치하는 피복시킬 입자들 위에 분무하고 유동층 온도를 30 내지 100℃로 유지시키면서 물을 증발시킴을 포함하여 고체 피막 성분을 과탄산나트륨 입자 위에 분무하여 제1항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하나 이상의 수용액과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탄소수가 1 내지 4인 카복실산의 카복실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마그네슘 염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액을 피복시킬 입자 위에 동시에 또는 하나 하나 차례로 분무[여기서, 도포된 피막 성분들의 총량은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5중량%(수화물 부재 상태로 계산)이다]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과 마그네슘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차례로 분무(여기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이 마그네슘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분무한 후에 분무되며, 황산마그네슘이 마그네슘 염으로서 사용된다)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 규산염을 추가로 함유하는 탄산나트륨 함유 용액이 사용되거나,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 규산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동층 속으로 분무함으로써 추가의 피막 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각각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탄산나트륨 0.2 내지 10중량%, 마그네슘 염 0.2 내지 10중량%, SiO2:Na2O의 몰 비가 4:1 내지 1:1인 규산나트륨 0 내지 5중량%를 과탄산나트륨 위에 분무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수성 상으로부터 결정화하여 제조한 과탄산나트륨을 피복시키고, 각각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수화물 부재 상태로 계산된, 분무된 탄산나트륨의 양이 2내지 6중량%이고, 분무된 황산마그네슘의 양이 2 내지 6중량%이며, SiO2:Na2O의 몰 비가 2.5:1 내지 3.5:1인 규산나트륨의 양이 0.5 내지 3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분무 과립화로 제조한 과탄산나트륨을 피복시키고, 각각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피막으로서 분무된 탄산나트륨의 양이 0.5 내지 5중량%이고, 분무된 황산마그네슘의 양이 0.5 내지 5중량%이며, SiO2:Na2O의 몰 비가 2.5:1 내지 3.5.l인 규산나트륨의 양이 0.2 내지 2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유동층내의 온도가 50 내지 80℃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6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수득한 제1항에 따르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표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세제, 세정제 및 표백제.
KR1019960700217A 1993-07-17 1994-04-23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세정제 및 표백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309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24104A DE4324104C2 (de) 1993-07-17 1993-07-17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P4324104.2 1993-07-17
PCT/EP1994/001271 WO1995002555A1 (de) 1993-07-17 1994-04-23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802A KR960703802A (ko) 1996-08-31
KR100309586B1 true KR100309586B1 (ko) 2002-07-03

Family

ID=649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2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9586B1 (ko) 1993-07-17 1994-04-23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세정제 및 표백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0710215B1 (ko)
JP (1) JPH09500084A (ko)
KR (1) KR100309586B1 (ko)
CN (1) CN1127498A (ko)
AT (1) ATE162497T1 (ko)
AU (1) AU6647994A (ko)
CA (1) CA2166281A1 (ko)
CO (1) CO4180441A1 (ko)
CZ (1) CZ1896A3 (ko)
DE (2) DE4324104C2 (ko)
ES (1) ES2113102T3 (ko)
FI (1) FI960208A7 (ko)
HU (1) HUT72833A (ko)
IL (1) IL110331A (ko)
MY (1) MY130024A (ko)
PL (1) PL312608A1 (ko)
SK (1) SK4296A3 (ko)
TR (1) TR27995A (ko)
TW (1) TW296406B (ko)
WO (1) WO1995002555A1 (ko)
ZA (1) ZA9452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0896A (en) * 1993-08-31 1996-10-01 Degussa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ducing granulated sodium percarbonate
CZ285638B6 (cs) * 1994-10-07 1999-10-13 Eka Chemicals Ab Částice obsahující peroxysloučeninu a prostředek, který je obsahuje
DE19534274A1 (de) * 1995-09-15 1997-03-20 Degussa Verfahren zur Erniedrigung der Lösezeit bei der Herstellung und/oder Umhüllung von Natriumpercarbonat
DE19544293C2 (de) 1995-11-28 1998-01-29 Degussa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und deren Verwendung
DE19600018A1 (de) 1996-01-03 1997-07-10 Henkel Kgaa Waschmittel mit bestimmten oxidierten Oligosacchariden
DK0891417T3 (da) 1996-03-27 2002-07-01 Solvay Interox Sa Sammensætninger, der indeholder natriumpercarbonat
DE19619646A1 (de) * 1996-05-15 1997-11-20 Henkel Kgaa Stabilisierung von Alkalipercarbonat
DE19717729A1 (de) * 1997-04-26 1998-10-29 Degussa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19830946A1 (de) * 1998-07-10 2000-01-13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eten Persauerstoffverbindungen
EP0992575A1 (en) * 1998-10-09 2000-04-12 Akzo Nobel N.V. Bleaching agent
WO2000022080A1 (en) * 1998-10-09 2000-04-20 Akzo Nobel N.V. Bleaching agent
KR100366556B1 (ko) * 2000-04-26 2003-01-09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세제용 입상 코티드 과탄산나트륨과 이의 제조방법
DE10130334A1 (de) * 2001-06-26 2003-01-02 Glatt Ingtech Gmbh Verfahren zum Coating von körnigen und pulverförmigen Materialien
DE10136211B4 (de) * 2001-07-25 2007-05-24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teilchenförmiger Wasch-oder Reinigungsmittel
KR20050089974A (ko) 2002-12-20 2005-09-09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액체 세제 및 세척제 조성물
WO2004058931A1 (de) 2002-12-20 2004-07-15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Bleichmittelhaltige wasch- oder reinigungsmittel
DE10320196A1 (de) * 2002-12-20 2004-07-08 Henkel Kg Auf Aktien Bleichmittelhaltige Wasch- oder Reinigungsmittel
DE10351325A1 (de) 2003-02-10 2004-08-26 Henkel Kgaa Wasch- oder Reinigungsmittel mit wasserlöslichem Buildersystem und schmutzablösevermögendem Cellulosederivat
EP1592767B1 (de) 2003-02-10 2007-05-16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Bleichmittelhaltige wasch- oder reinigungsmittel mit wasserlöslichem buildersystem und schmutzablösevermögendem cellulosederivat
ATE299471T1 (de) 2003-05-07 2005-07-15 Degussa Umhülltes natriumpercarbonatgranulat mit verbesserter lagerstabilität
EP1612185A1 (en) * 2004-06-29 2006-01-04 SOLVAY (Société Anonyme)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1612186A1 (en) * 2004-06-29 2006-01-04 SOLVAY (Société Anonyme)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102004054495A1 (de) 2004-11-11 2006-05-24 Degussa Ag Natriumpercarbonatpartikel mit einer Thiosulfat enthaltenden Hüllschicht
SI1903098T1 (sl) * 2006-07-27 2009-04-30 Evonik Degussa Gmbh ObloĹľeni delci natrijevega perkarbonata
ES2401126T3 (es) 2010-02-25 2013-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ón detergente
CN103068726B (zh) * 2010-08-05 2015-12-09 索尔维公司 包覆的过碳酸钠颗粒,其制备方法,其在洗涤剂组合物中的用途和含有它们的洗涤剂组合物
CN106811315A (zh) * 2015-11-30 2017-06-09 常州西品科技有限公司 家用清洁片
CN106811336A (zh) * 2015-11-30 2017-06-09 常州西品科技有限公司 家用清洁剂
CN112877152B (zh) * 2021-02-06 2022-05-06 濮阳宏业环保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包衣过碳酸钠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6460B1 (ko) * 1973-04-20 1976-12-17 Interox
LU72575A1 (ko) * 1975-05-23 1977-02-10
JPS54143799A (en) * 1978-04-28 1979-11-09 Kao Corp Stabilizing method for sodium percarbonate
JP2858254B2 (ja) * 1989-06-27 1999-02-17 東海電化工業株式会社 安全性の高い過炭酸ナトリウム組成物
GB9126296D0 (en) * 1991-12-11 1992-02-12 Unilever Plc Sodium percarbonate
US5462804A (en) * 1993-05-06 1995-10-31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Stabilized particle of sodium percarbo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405122D1 (de) 1998-02-26
ES2113102T3 (es) 1998-04-16
MY130024A (en) 2007-05-31
ZA945218B (en) 1995-02-27
HUT72833A (en) 1996-05-28
ATE162497T1 (de) 1998-02-15
EP0710215A1 (de) 1996-05-08
JPH09500084A (ja) 1997-01-07
KR960703802A (ko) 1996-08-31
FI960208L (fi) 1996-01-16
PL312608A1 (en) 1996-04-29
SK4296A3 (en) 1996-05-08
HU9600079D0 (en) 1996-03-28
IL110331A0 (en) 1994-10-21
IL110331A (en) 1998-01-04
DE4324104A1 (de) 1995-01-19
AU6647994A (en) 1995-02-13
CO4180441A1 (es) 1995-06-07
CZ1896A3 (en) 1996-05-15
CA2166281A1 (en) 1995-01-26
TW296406B (ko) 1997-01-21
FI960208A0 (fi) 1996-01-16
EP0710215B1 (de) 1998-01-21
TR27995A (tr) 1995-11-16
CN1127498A (zh) 1996-07-24
FI960208A7 (fi) 1996-01-16
DE4324104C2 (de) 1997-03-20
WO1995002555A1 (de) 199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586B1 (ko)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세정제 및 표백제
US5902682A (en)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5658873A (en)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detergent, cleaning and bleach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6113805A (en)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KR100489468B1 (ko) 피복된과탄산나트륨입자,이의제조방법및이를함유하는세제,세정제및표백제
US4321301A (en) Process for stabilizing particles of peroxygenated compounds
US5478488A (en)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lkali metal peroxysalt stabilized with alkali metal sulfate and chloride
US5681807A (en) Coated alkali metal peroxy salt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0965444B1 (ko) 제어 방출되는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그의 용도
RU2355628C2 (ru) Частицы перкарбоната натрия, обладающие оболочным слоем, включающим тиосульфат
JPH09509132A (ja) 粒状アルカリ金属過炭酸塩を安定化させる方法
KR101434343B1 (ko) 코팅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RU2137704C1 (ru)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перкарбоната щелочного металла в виде частиц
US6054066A (en) Process for preparing a sodium percarbonate product
US5670470A (en) Percarbonate stabilised by coating with an aqueous solution of phosphate and boron compounds
KR100321534B1 (ko) 용해속도가 빠른 내마모성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과탄산나트륨
RU245436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крытых оболочкой частиц перкарбоната натр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50610